맨위로가기

요제프 요아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제프 요아힘은 1831년 헝가리에서 태어난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교육자이다. 그는 19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13세에 런던에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여 데뷔했다. 멘델스존, 리스트 등에게 음악을 배웠으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제1 바이올린 수석을 역임했다. 브람스와 평생의 우정을 나누며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고, 베를린 왕립 음악원 초대 원장으로 교육에도 기여했다. 요아힘은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의 부활,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베토벤 후기 현악 사중주곡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의 바이올린 연주자 - 레오폴트 아우어
    헝가리 태생의 바이올리니스트 레오폴트 아우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49년간 교수로 재직하며 미샤 엘만, 야샤 하이페츠, 나탄 밀스타인 등 수많은 거장 바이올리니스트를 배출하고 러시아 발레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을 헌정받았으나 초연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헝가리의 바이올린 연주자 - 산도르 베그
    산도르 베그는 헝가리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교육자로, 솔로 연주자 데뷔 후 헝가리 트리오와 사중주단에서 활동하고 베그 사중주단을 창단하여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유럽 각지 음악원 교수와 체르보 국제 실내악 페스티벌 창설 및 관현악단 지휘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수많은 상훈을 받았다.
  • 헝가리의 작곡가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작곡가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지휘자 - 코다이 졸탄
    코다이 졸탄은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민속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로, 바르토크 벨라와 함께 헝가리 민요를 연구하여 민족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민속 음악 요소와 서유럽 음악 전통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과 혁신적인 음악 교육 방법인 '코다이 메소드'로 세계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지휘자 - 게오르그 솔티
    헝가리 출신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는 바르토크와 코다이에게 사사 후 헝가리 국립 오페라에서 데뷔, 뮌헨과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극장 음악감독, 코벤트 가든 로열 오페라 하우스 음악감독을 거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세계 최정상급으로 발전시켰고, 데카 레코드와 협력하여 250개가 넘는 음반을 제작했으며, '월드 오케스트라 포어 피스'를 창설하는 등 평화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요제프 요아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요제프 요아힘
본명요아힘 요제프
출생1831년 6월 28일
출생지쾨프셴, 헝가리 왕국
사망1907년 8월 15일 (향년 76세)
사망지베를린
교육빈 음악원
직업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교육자
소속 단체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하노버 오페라 극장
요아힘 4중주단
배우자아말리에 요아힘
서명
이름
독일어Joseph Joachim
헝가리어Joachim József
경력
주요 활동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작곡가, 교육자
음악 스타일
장르클래식 음악

2. 생애

헝가리 왕국 서부 키트제(Kitsee)에서 태어나 부다페스트에서 초기 음악 교육을 받았다. 1843년, 12세의 나이로 라이프치히로 이주하여 펠릭스 멘델스존의 지도를 받으며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았다. 어린 나이에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등에서 연주하며 명성을 쌓았고, 멘델스존과 함께 런던에서 성공적인 연주회를 가졌다. 멘델스존 사후에도 라이프치히에서 활동하다가 1850년 바이마르로 옮겨 궁정 오케스트라의 콘체르트마이스터가 되었다.

바이마르에서는 프란츠 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등과 교류했으나, 그들의 음악적 경향과는 거리를 두고 1852년 하노버로 이주했다. 하노버 시절에는 로베르트 슈만, 클라라 슈만, 그리고 요하네스 브람스와 깊은 음악적, 개인적 유대를 맺었다. 특히 브람스와는 평생에 걸친 우정을 나누며 서로의 음악 활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에 가수 아말리에 바이스와 결혼했다.

1866년 베를린으로 초청받아 왕립 음악 아카데미(훗날 베를린 예술대학교)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감독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1869년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요아힘 현악사중주단'을 창설하여 실내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884년 아내와의 이혼 문제로 브람스와 잠시 관계가 소원해졌으나, 브람스가 이중 협주곡을 헌정하며 화해했다. 요아힘은 1907년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주 및 교육 활동을 펼쳤다.

2. 1. 헝가리 유대인으로서의 기원과 초기 경력

요아힘의 키트제 출생지


요아힘의 생가(오늘날의 키트세)


생가의 기념비


요제프 요아힘은 1831년 6월 28일, 당시 헝가리 왕국 서부 모손주의 Köpcsény|쾨프체니hu(오늘날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주의 키트제(Kittsee))에서 태어났다.[2] 그는 양모 상인 율리우스 요아힘과 패니 요아힘 사이에서 태어난 여덟 자녀 중 일곱째였으며, 가족은 헝가리 유대인 혈통이었다.[2] 어린 시절 그는 에스터하지 가문의 보호 아래 지역의 유명한 유대인 공동체인 쾨프체니 케힐라(Kehilla)의 일원으로 성장했다. 그는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피아니스트 파울 비트겐슈타인의 할머니인 패니 비트겐슈타인(결혼 전 성 피그도어)의 사촌이었다.[3] 또한 그의 조카인 모드 요아힘(형제 헨리의 딸)은 정치범 대우 거부에 항의하며 감옥에서 단식 투쟁을 벌인 최초의 영국 여성 참정권 운동가 중 한 명이기도 했다.[4][5]

1833년, 그의 가족은 1873년 부다페스트로 통합되기 전의 페슈트로 이주했다. 요아힘은 5세가 되던 1836년부터 페슈트 오페라의 악장이자 당시 페슈트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알려진 폴란드 출신 바이올리니스트 스타니스와프 세르바친스키에게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2] 그의 부모는 "특별히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평범한 교사를 선택하지 않도록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6] 요아힘은 7세 때인 1839년 3월 17일 첫 공개 연주회를 가졌다.[7] (세르바친스키는 나중에 폴란드 루블린으로 돌아가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를 가르쳤다.)

1839년, 요아힘은 으로 가서 빈 음악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그는 미스카 하우저와 게오르크 헬메스베르거 1세에게 잠시 배웠고,[8] 이후 가장 중요하게는 요제프 뵈름에게 사사하며[9] 실내악의 세계를 접하게 되었다.[10][11]

1843년, 12세가 된 요아힘은 사촌 패니 피그도르(훗날 라이프치히 상인 비트겐슈타인과 결혼)를 따라 라이프치히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생활하며 공부했다.[12][13] 당시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였던 펠릭스 멘델스존은 요아힘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그의 후원자가 되었다.[14] 멘델스존은 요아힘이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모리츠 하우프트만에게 이론과 작곡을, 페르디난트 다비드에게 바이올린을 배우도록 주선했다.[15] 같은 해 8월, 요아힘은 게반트하우스에서 멘델스존, 클라라 슈만 등과 함께 연주하며 라이프치히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게반트하우스 데뷔 독주회에서는 하인리히 빌헬름 에른스트의 ''오텔로 판타지''를 연주했다.

2. 2. 런던 필하모닉 데뷔와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1844년 5월 27일, 요제프 요아힘은 13세가 되기 전에 런던 데뷔 무대를 가졌다. 그는 펠릭스 멘델스존이 지휘하는 왕립 필하모닉 학회 콘서트에서 베토벤바이올린 협주곡 독주를 맡았다.[16] 당시 필하모닉 학회는 너무 어린 연주자를 무대에 세우지 않는다는 방침이 있었지만, 요아힘의 뛰어난 연주 실력과 음악적 성숙함에 깊은 인상을 받은 심사위원단의 결정으로 예외가 인정되었다.

오늘날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은 최고의 협주곡 중 하나로 평가받지만, 요아힘의 연주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루트비히 슈포어는 이 곡을 혹평했고, 바이올리니스트 에드워드 엘리아손의 런던 초연 이후 한 비평가는 "3류 또는 4류 작곡가가 쓴 것 같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요아힘은 이 곡을 연주하기 위해 직접 카덴차를 작곡하고 곡 전체를 외우는 등 철저하게 준비했다. 리허설 소식이 전해지면서 청중의 기대는 매우 높았고,[17] 멘델스존의 기록에 따르면 요아힘이 오케스트라 앞에 서자마자 "열광적인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고 한다. 연주가 시작되자 더 큰 박수가 터져 나왔고, "청중의 환호는 협주곡의 모든 부분을 따라다녔다".

비평가들의 찬사도 이어졌다. '뮤지컬 월드'는 "가장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들도 이 협주곡을 경외심으로 대하고 있다… 젊은 요아힘은… 가장 숙련된 예술가의 활기와 결의로 이 곡에 도전했으며… 어떤 거장도 그보다 더 잘 연주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극찬하며, 요아힘이 직접 작곡한 카덴차를 "엄청난 업적… 기발하게 작곡되었다"고 평가했다.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요아힘을 "아마도 그의 시대뿐 아니라 그의 세기에서도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일 것이다"라고 칭하며, "그는 베토벤의 유일한 협주곡을 연주했는데, 지난 20년 동안 모든 위대한 연주자들이 시도했지만, 항상 실패했던 곡이다… 그의 연주는 이 곡을 상상해낸 거장의 정신을 웅변적으로 증명했다"고 썼다. '모닝 포스트' 역시 이 협주곡이 "일반적으로 바이올리니스트들에 의해 그들의 악기의 능력을 제대로 효과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고 언급하면서도, 요아힘의 연주는 "모든 찬사를 넘어서고, 모든 묘사를 초월한다"며 "전례 없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이 성공적인 데뷔 연주는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이 곡은 바이올린 레퍼토리의 중요한 작품으로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다. 요아힘은 이 연주를 통해 영국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이후 그의 친구인 윌리엄 스터데일 베넷의 요청 등으로 1858년, 1859년, 1862년을 포함하여 거의 매년 영국을 방문하며 오랜 기간 동안 영국 음악계와 인연을 이어갔다.[18]

2. 3. 바이마르와 하노버 시절, 그리고 신독일 악파와의 결별

펠릭스 멘델스존이 1847년 사망한 후, 요아힘은 라이프치히에 잠시 머물면서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강의를 했고, 페르디난트 다비드와 함께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제1 바이올린 수석으로 연주했다.[21] 1848년, 17세가 된 요아힘은 2년간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 재직하며 오케스트라 활동뿐만 아니라 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에서 제2 바이올린을 담당하기도 했다.

1850년, 요아힘은 바이마르로 이주하여 궁정 오케스트라의 콘체르트마이스터 직책을 맡았다. 이곳에서 그는 프란츠 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등과 교류하게 되었다. 그러나 요아힘은 리스트와 바그너로 대표되는 소위 '신독일 악파'의 음악적 이상과는 점차 거리를 두게 되었다. 그는 이들의 관념주의적 경향에 동의하지 않았고, 결국 1852년 하노버로 거처를 옮기면서 그들과 음악적으로 결별했다.

하노버 시절은 요아힘에게 중요한 시기였다. 그는 하노버 왕국게오르크 5세 국왕의 후원을 받으며 오페라와 콘서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이 시기에 로베르트 슈만, 클라라 슈만, 그리고 요하네스 브람스와 깊은 음악적, 개인적 친분을 쌓았다. 특히 브람스와는 매우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여러 차례 리사이틀에서 브람스가 직접 피아노 파트를 연주하기도 했다. 요아힘과 브람스는 리스트와 바그너 및 그 추종자들의 음악에 반대하는 공동 선언문을 작성하며 고전주의 음악의 전통을 옹호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노버에서 요아힘은 가수 아말리에 바이스와 결혼했다.

2. 4. 슈만, 브람스와의 관계, 그리고 베를린 시절

1853년 로베르트 슈만이 이끄는 위원회는 요아힘을 라인강 하류 음악 축제에 초청했다.[30] 축제에서 요아힘은 다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독주했고,[31] 이 성공은 그를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예술가"로 만들었다. 로베르트 슈만과 그의 아내 클라라 슈만은 깊은 인상을 받았고 요아힘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32] 이 축제에서 요아힘은 당시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20세의 요하네스 브람스를 만났다. 요아힘은 브람스의 연주에 대해 "예술가를 예언하는 강렬한 불꽃...을 보여준다"고 평했으며, "그의 작품은 그의 나이 또래의 다른 어떤 음악가에게서도 보지 못한 힘을 이미 보여준다"고 썼다.[33] 요아힘은 브람스를 로베르트 슈만에게 강력히 추천했고,[34] 브람스는 슈만 부부에게 열렬한 환대를 받았다. 1854년 로베르트 슈만의 정신적 붕괴와 1856년 사망 이후에도 요아힘, 클라라 슈만, 브람스는 평생 친구로 남아 음악적 견해를 공유했다. 요아힘의 바이올린 연주 스타일은 클라라 슈만의 피아노 연주처럼 기교 과시보다는 음악 자체에 집중하는 절제되고 순수한 것으로 평가받았다.[35]

1854년 12월, 요아힘은 그해 2월부터 엔데니히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던 로베르트 슈만을 방문했는데, 이는 슈만이 입원한 후 처음으로 맞이한 방문객이었다.[36]

요아힘과 브람스의 음악적 교류는 매우 깊었다. 초기 브람스는 피아노 연주와 작곡에 능숙했지만 관현악 편곡에는 어려움을 겪었다.[37] 1854년, 브람스는 그의 첫 관현악 작품이 될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작곡을 시작하며 첫 악장 악보를 요아힘에게 보내 조언을 구했다.[38] 요아힘의 상세한 조언에 브람스는 "첫 악장을 그렇게 공감적이고 신중하게 연구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당신의 말씀에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음악가로서 저는 당신과 같은 친구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도록 더 많은 재능을 갖는 것보다 더 큰 소망이 없습니다."라고 답장을 보냈다.[39] 4년에 걸쳐 협주곡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브람스는 론도 악장을 보내며 "지난번처럼 정말 엄격한 비판을 부탁드립니다."라고 요청하기도 했다.[40] 최종 악보에는 요아힘의 필체로 된 많은 수정 사항이 남아 있다.[41]

1860년, 브람스와 요아힘은 프란츠 브렌델의 ''Neue Zeitschrift für Musik''에서 주장된 신독일 악파의 '진보적' 음악에 반대하는 선언문을 공동으로 작성했다. 이 선언문은 낭만주의 음악의 전쟁이라 불리는 논쟁의 일부였으며, 처음에는 4명의 서명으로 시작했으나[15] 나중에 더 많은 이들이 참여했다. 이 선언문은 엇갈린 반응을 얻었으며, 특히 리하르트 바그너 추종자들의 조롱을 받았다.[51]

요제프와 아말리 요아힘


1863년 5월 10일, 요아힘은 콘트랄토 가수 아말리 슈네바이스(Amalie Schneeweiss, 예명 아말리 바이스, 1839~99)와 결혼했다. 아말리는 유망했던 오페라 가수 경력을 포기하고 여섯 자녀를 낳았으나, 이후에도 오라토리오 공연과 가곡 독창회 활동을 이어갔다.

1865년, 요아힘은 하노버 국왕의 봉직을 그만두었다. 이는 오페라 관장(예술 감독)이 오케스트라 단원 야코프 그룬의 유대인 혈통을 이유로 승진을 거부했기 때문이었다.[52] 이러한 결정은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반유대주의에 대한 그의 비판적 입장을 보여준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요아힘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 그는 베를린에 새로 설립된 왕립 음악원(Royal Academy of Music)의 음악 연주 부문(음악 연주 고등학원, Hochschule für ausübende Tonkunstdeu) 설립을 돕고 초대 감독이 되었다.

1868년 4월 10일 성금요일, 요아힘과 아내 아말리는 브람스와 함께 브레멘 대성당에서 열린 브람스의 ''브람스 독일 레퀴엠'' 첫 완전판 공연에 참여했다. 이 공연은 브람스에게 큰 성공을 안겨주었으며, 아말리는 소프라노 솔로 "Ich weiß, dass mein Erlöser lebtdeu"를 불렀고, 요제프는 로베르트 슈만의 ''Abendlieddeu''를 연주했다. 공연 후에는 요아힘 부부, 클라라 슈만, 알베르트 디트리히, 막스 브루흐 등 약 100명의 친구들이 모여 브레멘 라츠켈러(Rathskeller)에서 축하연을 가졌다.

요아힘 사중주단. 왼쪽부터: 로베르트 하우스만(첼로), 요제프 요아힘(제1 바이올린), 에마누엘 비르트(비올라), 카렐 할리르(제2 바이올린).


베를린 징아카데미에서 연주하는 요아힘 사중주단—펠릭스 포사르트(Felix Possart) 그림 기반 판화, ''Zeitschrift der Internationalen Musikgesellschaft'' 4/5(1903) 별지.


1869년, 요아힘은 요아힘 현악사중주단을 창단했다. 이 사중주단은 곧 유럽 최고의 실내악단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1907년 요아힘이 사망할 때까지 활동했다. 초기 멤버는 요아힘(제1바이올린)과 그의 제자들이었던 에른스트 시에버(Ernst Schiever, 제2바이올린, 1869-71), 빌헬름 뮐러(Wilhelm Müller, 첼로, 1869-79), 그리고 하인리히 드 아나(Heinrich de Ahna, 비올라, 1869-71)였다. 이후 멤버 구성에 변화가 있었는데, 주요 멤버는 다음과 같다.

  • 제2바이올린: 하인리히 드 아나(1871–92), 요한 크루제(Johann Kruse, 1892–97), 카렐 할리르(Karel Halíř, 1897–1907)
  • 비올라: 에두아르드 라폴디(Eduard Rappoldi, 1871–77), 에마누엘 비르트(Emanuel Wirth, 1877–1907, 때때로 칼 클링글러(Karl Klingler)가 대리 연주)
  • 첼로: 로베르트 하우스만(Robert Hausmann, 1879–1907)[53][54]


1878년, 브람스는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면서 요아힘에게 많은 조언을 구했고, 요아힘은 기꺼이 격려와 기술적 조언을 제공했다.[55] 브람스는 요아힘에게 협주곡의 카덴차 작곡을 부탁했고, 요아힘은 이를 작곡하여 오늘날에도 널리 연주되고 있다.

그러나 1884년, 요아힘은 아내 아말리가 출판업자 프리츠 짐록과 불륜 관계라고 확신하고 별거에 들어갔다. 브람스는 요아힘의 의심이 근거 없다고 생각하며 아말리에게 동정적인 편지를 보냈는데, 이 편지는 나중에 이혼 소송에서 아말리 측 증거로 제출되었다.[56] 이 사건으로 브람스와 요아힘의 오랜 우정에 금이 갔고, 관계는 몇 년간 소원해졌다. 1887년, 브람스는 화해의 손길로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가단조 작품 102를 작곡하여 요아힘과 첼리스트 로베르트 하우스만에게 헌정했다. 요아힘과 하우스만이 이 곡을 초연하면서 두 사람의 우정은 회복될 수 있었다.

1895년 말, 브람스와 요아힘은 스위스 취리히의 새로운 취리히 톤할레 개관식에 함께 참석했다. 브람스는 지휘를 맡았고 요아힘은 부지휘자로 참여했다. 그러나 2년 뒤인 1897년 4월, 브람스가 빈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요아힘은 소중한 친구를 영원히 떠나보냈다. 1899년 12월, 마이닝겐에서 브람스 동상이 제막될 때 요아힘이 추모 연설을 했다. 요아힘은 1907년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에 머물며 교육과 연주 활동을 계속했다.

3. 업적

1848년,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프란츠 리스트는 괴테와 실러가 활동했던 바이마르에 정착했다.[22] 리스트는 바이마르를 독일의 아테네와 같은 문화 중심지로 다시 만들고자 했고, 그곳에서 라이프치히 학파의 보수성에 반대하는 젊은 아방가르드 음악가들을 모았다. 요아힘은 이 모임의 초기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리스트를 위해 협주곡 1악장을 연주하는 등, 몇 년간 리스트가 '심리적 음악'이라 칭한 새로운 경향의 음악을 열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1852년, 요아힘은 하노버로 거처를 옮기면서 '신독일 악파'(리스트, 리하르트 바그너,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그 추종자들을 언론인 프란츠 브렌델이 정의한 용어)의 음악적 이상과 결별했다. 바이마르에서 점차 강해지는 바그너 음악에 대한 숭배 분위기는 요아힘에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었다.[23] 이 결별은 1857년 8월, 요아힘이 과거 스승이었던 리스트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는 편지에서 "저는 당신의 음악과 완전히 공감하지 못합니다. 그것은 제가 어린 시절부터 위대한 거장들의 정신으로부터 정신적 양식으로 삼았던 모든 것과 모순됩니다."라고 밝혔다.[24]

당시 독립 왕국이었던 하노버[25]의 게오르크 왕은 시각 장애가 있었지만 음악을 매우 사랑했으며, 요아힘에게 좋은 보수와 상당한 자유를 보장했다.[26] 이 시기 요아힘은 하노버 궁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27] 유럽 전역으로 연주 여행을 다니는 등[28]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3. 1. 연주자로서

요제프 요아힘은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독주자로서뿐만 아니라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에서 2년간(1848-1850) 활동하고, 같은 악단의 수석 연주자들로 구성된 게반트하우스 현악사중주단에서 제2바이올린을 맡는 등 실내악과 오케스트라 연주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그의 연주 레퍼토리는 바흐부터 베토벤, 그리고 브람스, 브루흐, 드보르자크 등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범위를 자랑했다.

1904년 존 싱어 사전트가 그린 요제프 요아힘


특히 요아힘은 잊혀가던 걸작들을 발굴하여 다시 무대에 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44년 5월 27일, 13세가 채 되지 않은 나이에 런던 필하모닉 학회 콘서트에서 멘델스존의 지휘로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6] 당시 필하모닉 학회는 어린 연주자를 무대에 세우지 않는다는 방침이 있었으나, 요아힘의 뛰어난 기량에 감탄한 심사위원단의 결정으로 예외가 인정되었다. 오늘날 최고의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로 꼽히는 베토벤의 협주곡은 당시만 해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었다. 슈포어는 이 곡을 비판했고, 런던 초연 후 한 비평가는 "3류 또는 4류 작곡가가 쓴 것 같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그러나 요아힘은 직접 카덴차를 작곡하고 곡 전체를 암기하여 연주하는 등 철저한 준비 끝에 이 곡을 연주했고, 청중과 비평가들로부터 열광적인 찬사를 받았다.[17] '뮤지컬 월드'는 "가장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들도 경외심으로 대하는 협주곡을 젊은 요아힘이 가장 숙련된 예술가의 활기와 결의로 도전했으며, 어떤 거장도 그보다 더 잘 연주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극찬했고,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그를 "그의 시대뿐 아니라 그의 세기에서도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주를 계기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은 중요한 레퍼토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요아힘은 이후 평생 영국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1858년부터 거의 매년 영국을 방문하여 연주했다.[18]

베토벤의 후기 현악 사중주곡 역시 요아힘 덕분에 재조명될 수 있었다. 당시 많은 연주자들과 대중은 이 곡들의 난해함 때문에 초기 사중주곡만큼 높이 평가하지 않았으나, 요아힘의 스승이었던 요제프 뵘은 이 곡들의 가치를 알아보았고, 이는 요아힘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9] 요아힘은 18세에 이미 사중주 연주자로서도 높은 명성을 얻었다.[20] 또한 그는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특히 파르티타 2번 라단조 BWV 1004의 샤콘느를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5][66]

요아힘은 동시대 작곡가들과도 깊은 교류를 나누며 그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연주했다. 그는 멘델스존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를 작곡가와 직접 공부하고 페르디난트 다비드에 이어 두 번째로 연주한 바이올리니스트였다. 1853년 라인강 하류 음악 축제에서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다시 연주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고[31], 이를 계기로 로베르트 슈만클라라 슈만 부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30][32] 이때 요아힘은 당시 무명이었던 20세의 브람스를 만나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고 슈만에게 강력히 추천했다.[33][34] 이후 요아힘, 클라라, 브람스는 평생 음악적 동반자이자 친구로 지냈다. 요아힘의 연주 스타일은 클라라의 피아노 연주처럼 기교를 과시하기보다는 음악 자체에 집중하는 순수하고 절제된 것으로 평가받았다.[35]

브람스와의 관계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브람스는 자신의 첫 관현악 작품인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작곡하면서 요아힘에게 악보를 보내 조언을 구했고, 요아힘의 세심한 검토에 깊은 감사를 표했다.[38][39][40] 협주곡의 최종 악보에는 요아힘의 수정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41] 또한 브람스는 요아힘을 위해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를 작곡하여 헌정했고, 요아힘은 이 곡의 초연(1879년 1월 1일)에서 독주를 맡았으며 카덴차를 직접 작곡했다.[55] 이후 두 사람의 관계는 요아힘의 이혼 문제로 잠시 소원해졌으나, 브람스가 화해의 의미로 작곡한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A단조를 통해 회복되었다. 이 곡 역시 초연자인 요아힘과 첼리스트 로베르트 하우스만에게 헌정되었다.[56] 요아힘은 브람스의 교향곡 1번 영국 초연을 지휘하기도 했다.[67] 슈만, 브람스, 알베르트 디트리히는 요아힘의 모토인 'Frei aber Einsam'(자유로우나 고독하게)의 머리글자를 딴 F-A-E 소나타를 공동 작곡하여 헌정하기도 했다.

요아힘은 실내악 연주에도 큰 열정을 쏟았다. 1869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요아힘 사중주단을 결성하여 1907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끌었다. 이 사중주단은 곧 유럽 최고의 현악 사중주단으로 명성을 얻었다. 창단 멤버 및 후임 멤버는 다음과 같다.

요아힘 사중주단 구성원 변화[53][54]
역할기간연주자
제1바이올린1869–1907요제프 요아힘
제2바이올린1869–1871에른스트 시에버
1871–1892하인리히 드 아나
1892–1897요한 크루제
1897–1907카렐 할리르
비올라1871–1877에두아르드 라폴디
1877–1907에마누엘 비르트 (칼 클링글러가 때때로 대체)
첼로1869–1879빌헬름 뮐러
1879–1907로베르트 하우스만



그는 또한 런던 세인트 제임스 홀에서 열린 인기 콘서트 시리즈에 1866년부터 1904년까지 정기적으로 참여하며 영국의 음악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43][44] 이 콘서트에서 그는 자신의 사중주단과 함께 연주하기도 했지만, 루이 리스(제2바이올린), J. B. 제르비니(비올라), 알프레도 피아티(첼로) 등 상주 연주자들과 더 자주 호흡을 맞췄다.[45][46] 조지 버나드 쇼는 이 콘서트 시리즈가 영국의 음악적 취향을 계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47] 클라라 슈만과도 여러 차례 함께 무대에 올라 피아노 사중주, 삼중주 등을 연주했으며, 특히 브람스의 A장조 피아노 사중주를 자주 연주했다.[48][49][50]

53세의 요아힘


슈만, 브람스 외에도 브루흐, 드보르자크 등 여러 작곡가들이 요아힘을 위해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여 헌정했다. 그러나 요아힘의 독주 레퍼토리는 비교적 제한적이어서, 슈만이 그를 위해 작곡한 D단조 바이올린 협주곡이나 드보르자크가 헌정한 A단조 바이올린 협주곡은 공개적으로 연주하지 않았다. 브루흐의 유명한 G단조 협주곡 역시 초연은 다른 연주자가 맡았다.

1903년, 요아힘은 그라모폰사에 5개의 레코드를 녹음했다. 이는 19세기 바이올린 연주 양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이후 LP와 CD로 복각되었다. 비록 기계식 녹음의 한계로 잡음이 있지만, 그의 역사적인 연주를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3. 2. 작곡가로서

요아힘은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을 뿐만 아니라 작곡가로서도 활동했다. 특히 하노버 시절은 그의 가장 왕성한 작곡 시기였다.[42] 그의 작품들은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서곡, 실내악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다.

그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이올린 협주곡 2번 D단조 "헝가리풍" (Op. 11)이다. 이 곡은 친구인 브람스에게 헌정되었으며, 헝가리 집시 음악의 색채가 짙게 나타나는 동시에 연주자에게 고도의 기교를 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68] 이 외에도 그는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영감을 받은 ''햄릿'' 서곡 (Op. 4)과 ''헨리 4세'' 서곡 (Op. 7) 등을 작곡했다.

요아힘은 총 14개의 작품에 작품번호를 부여했으며, 그 외에도 비슷한 수의 작품번호 없는 작품들을 남겼다.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품번호제목작곡 연도헌정 대상/비고
Op. 1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안단티노와 알레그로 셰르초소1848요제프 뵈름
Op. 2바이올린 또는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소품 (로망스, 환상곡, 봄의 환상곡)c. 1848-1852모리츠 하우프트만
Op. 3단악장 바이올린 협주곡 G단조1851프란츠 리스트
Op. 4햄릿 서곡1853바이마르 관현악단
Op. 5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소품 (린덴라우셴, 저녁 종소리, 발라드)기젤라 폰 아르님
Op. 6데메트리우스 서곡1853프란츠 리스트 (헤르만 프리드리히 그림의 희곡에 따름)
Op. 7헨리 4세 서곡1854
Op. 8고치의 희극을 위한 서곡1854프리츠 슈타인바흐
Op. 9히브리 멜로디 (바이런의 노래 인상), 비올라와 피아노1854-1855
Op. 10E장조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자작 주제에 의한 변주곡1854헤르만 그림
Op. 11바이올린 협주곡 2번 D단조 "헝가리풍"1857 (1861 출판)요하네스 브람스
Op. 12A장조 바이올린과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야상곡1858
Op. 13애가적 서곡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를 추모하며"c. 1877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학위 기념[57]
Op. 14실러데메트리우스마르파의 장면c. 1869
작품번호 없음G장조 바이올린 협주곡 3번1875
작품번호 없음C장조 서곡 (황제 탄생일을 위한 콘체르토 서곡)1896[69]
작품번호 없음오케스트라를 위한 두 개의 행진곡 (C장조, D장조)[69]
작품번호 없음A단조 안단티노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피아노)[70]
작품번호 없음B♭장조 로망스 (바이올린과 피아노)
작품번호 없음C장조 로망스 (바이올린과 피아노)1894 (출판)
작품번호 없음E단조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변주곡c. 1879파블로 사라사테



또한 요아힘은 다른 작곡가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카덴차를 작곡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특히 베토벤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그의 카덴차는 오늘날에도 자주 연주된다. 그가 카덴차를 작곡한 주요 협주곡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작품
베토벤D장조 협주곡, Op. 61[74]
브람스D장조 협주곡, Op. 77[75] (브람스의 요청으로 작곡[55])
힐러A장조 협주곡, Op. 152a
크로이처D단조 19번 협주곡
모차르트오페라 일 레 파스토레 중 아리아, K. 208; G장조 3번 협주곡, K. 216; D장조 4번 협주곡, K. 218; A장조 5번 협주곡, K. 219
로데B단조 10번 협주곡; D장조 11번 협주곡
슈포어A단조 협주곡, Op. 47 (Gesangsszene)
타르티니G단조 소나타 (악마의 트릴)
비오티A단조 22번 협주곡



이 외에도 요아힘은 1855년 슈베르트의 ''그랜드 듀오'' 피아노 이중주를 "C장조 교향곡"으로 편곡하기도 했다.[73]

작곡가로서 요아힘의 업적은 연주자로서의 명성만큼 뛰어나지는 않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그의 작품은 "훌륭하지만 개성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며, 현재는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

3. 3. 교육자로서

요아힘은 연주자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큰 족적을 남겼다. 그는 베를린 고등음악학교(현 베를린 예술대학교)의 교장을 역임하며 수많은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썼다. 그의 가르침은 엄격하면서도 깊이가 있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그의 영향을 받아 세계적인 음악가로 성장했다.

필립 알렉시우스 드 라슬로(Philip Alexius de László)가 1903년에 그린 ''요제프 요아힘''


upright


대표적인 제자로는 레오폴드 아우어와 예뇌 후바이가 있으며, 이들은 스승의 교육 방식을 계승하여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교육자로 명성을 떨쳤다. 아우어의 제자로는 미샤 엘만, 야샤 하이페츠, 나탄 밀슈타인, 에프렘 짐발리스트, 오노 안나 등이 있으며, 후바이 문하에서는 요제프 시게티와 같은 거장들이 배출되었다. 이처럼 요아힘의 음악적 유산은 제자들을 통해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졌다.

특히 일본 바이올린계에도 요아힘의 영향은 지대했다. 오노 안나에게 배운 스와 네지코, 짐발리스트 문하의 에토 슌야, 시게티와 밀슈타인에게 배운 우미노 요시오, 마에바시 테이코, 하이페츠 문하의 시미즈 타카시 등 수많은 일본 연주자들이 요아힘의 직계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성장했다.

요아힘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주요 활동 및 설명
레오폴드 아우어바이올리니스트, 교사. 하노버에서 요아힘에게 사사. 미샤 엘만, 야샤 하이페츠, 나탄 밀슈타인 등 다수 육성.
도라 발레스카 베커 (Dora Valesca Becker, 1870–1958)
앙리 베레니 (Henri Berény, 1871–1932)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휴고 라이히텐트리트
에일머 뷔스트 (Eilmer Buest)
윌리 버머스터
칼 쿠르부아지에 (Carl Courvoisier, 1846–1908)"요아힘의 방법에 따른 바이올린 연주 기법" 저술.[78]
브람 엘데링 (Bram Eldering, 1865–1943)베를린 필하모닉, 마이닝엔 호프카펠레 악장.
아딜라 파키리요아힘의 조카 손녀.
F. 플라이슈하우어 (F. Fleischhauer, 1834년생)마이닝엔 궁정 악장.
샘 프랑코
리처드 곰퍼츠 (Richard Gompertz, 1859년생)런던 왕립 음악 대학 교수.
야코프 그륀 (Jakob Grün, 1837년생)페슈트 출신. 요아힘은 그륀이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승진하지 못하자 항의하며 사임.
카렐 (칼) 할리르 (Karel (Carl) Halíř, 1859–1909)보헤미아 바이올리니스트, 요아힘 사중주단 단원.
윌리 헤스
구스타프 힐레 (Gustav Hille)
리처드 히멜슈토스 (Richard Himmelstoß, 1843년생)브레슬라우 악장.
시어도어 홀랜드 (Theodore Holland, 1878–1947)영국 작곡가, 교사.
구스타프 홀랜더 (Gustav Holländer, 1855년생)독주 바이올리니스트.
레베카 와일더 홈즈 (Rebecca Wilder Holmes, 1871–1953)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스미스 대학교 교수.
예뇌 후바이헝가리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브로니스와프 후베르만[79]
칼 클링글러클링글러 사중주단 바이올리니스트, 베를린 국립 음악대학 요아힘 후임. 스즈키 신이치의 스승.
요시프 코텍 (1855–1885)러시아 바이올리니스트.
한스 레츠 (Hans Letz)시어도어 토마스 오케스트라 악장.[80]
베르나르트 리스테만 (Bernhard Listemann)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악장.
칼 마르케스 (Karl Markees, 1865–1926)스위스 바이올리니스트, 마르케스 스트라디바리우스 소유.[81]
찰스 마틴 러플러 (1861–1935)
마르틴 마르시크
피에트로 멜라니 (Pietro Melani)
발데마르 J. 마이어 (Waldemar J. Meyer, 1853–1940)
베르나르도 V. 모레이라 드 사 (Bernardo V. Moreira de Sá, 1853–1924)포르투갈 바이올리니스트, 교사. 포르투 음악원 원장, 오르페옹 포르투엔세 설립자. 베를린에서 요아힘에게 사사.
안드레아스 모저 (1859–1925)바이올리니스트, 요아힘 조수. 요아힘 전기 집필, 바흐 작품 원본 복구 및 판본 작업 협력.
티바다르 나체즈 (Tivadar Nachéz, 1859–1930)
요하네스 팔라슈코 (Johannes Palaschko, 1877–1932)
앙리 페트리라이프치히 악장.
릴리 페츠니코프 (Lili Petschnikoff, 1874–1957)미국 바이올리니스트.
막시밀리안 필체르 (Maximilian Pilzer)뉴욕 필하모닉 악장 (1915–1917).[82][83]
엔리코 폴로 (Enrico Polo, 1868–1953)이탈리아 바이올리니스트, 비올리스트, 교육자.
모드 파월미국 바이올리니스트.[84]
빌리발트 리히터 (Willibald Richter, 1860–1929)독일 태생 영국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 교사. 요아힘의 제자, 친구, 반주자. 레스터 음악대학 설립.
카밀로 리터 (Camillo Ritter)비올리스트 윌리엄 프라이머스의 스승.
에른스트 쉬에버 (Ernst Schiever, 1844–1915)리히터 오케스트라 지휘자, 요아힘 사중주단 초기 단원 (1869–1871).[85]
오시프 슈니를린 (Ossip Schnirlin, ? – 1937)
에밀리 시너 (Emily Shinner)[86]
악셀 스코브가르드 (Axel Skovgaard)
마리아 솔다트-뢰거
시어도어 스피어링미국 바이올리니스트, 뉴욕 필하모닉 악장 (1909–1911).
캠프 스틸링스 (Kemp Stillings, 1888–1967)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음악 교사.
아그네스 체체추린 (Agnes Tschetschulin)
프란츠 폰 베크세이후바이에게 배운 후 요아힘에게 사사.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헌정자.
알프레드 비텐베르크
칼 셰우러 (Karl Scheurer)



(이 외에도 빌헬름 요제프 폰 바지엘레프스키의 저서 "Die Violine und Ihre Meister"에 다른 제자들이 언급될 수 있다.)

요아힘의 조카 손녀인 옐리 다라니와 아딜라 파키리 자매 역시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다. 이들은 예뇌 후바이에게 배운 뒤 요아힘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았으며, 주로 잉글랜드에서 활동했다. 라벨, 바르토크, 서머벨, 홀스트 등 당대의 여러 작곡가들이 이들 자매에게 바이올린 소나타와 협주곡을 헌정했다. 특히 언니 아딜라 파키리는 요아힘이 교육 기관 소속이 아닌 개인 교수로서 가르친 유일한 제자로 알려져 있다. 요아힘 사후, 아딜라는 스승이 사용하던 1715년 제작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을 물려받았다. 이 악기는 스승과 제자의 이름을 따 '요아힘/아라니(Joachim/Arányi)'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현재는 아딜라의 유족으로부터 악기를 매입한 일본재단이 소유하고 있다.

4. 요아힘과 한국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요제프 요아힘과 한국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1. 한국 연주자들에 대한 영향

요아힘은 교육자로서도 높은 명성을 누렸으며, 베를린 고등음악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그의 제자로는 레오폴트 아우어와 예네 휘바이 등이 있으며, 이들 역시 뛰어난 연주자이자 교사로 활동했다. 아우어의 제자로는 에프렘 짐발리스트, 야샤 하이페츠, 나탄 밀슈타인, 오노 안나 등이 있고, 휘바이의 제자로는 요제프 시게티가 있어 이들은 요아힘의 손제자가 된다. 일본에서도 오노 안나 문하의 스와 네지코, 짐발리스트 문하의 에토 슌야, 시게티 및 밀슈타인 문하의 우미노 요시오, 마에바시 테이코, 하이페츠 문하의 시미즈 타카시 등 요아힘의 음악적 계보를 잇는 연주자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요아힘의 조카딸인 예리 다라니와 아딜라 파키리 자매는 휘바이를 거쳐 요아힘에게 직접 배웠다. 이들은 잉글랜드에서 활동하며 모리스 라벨, 벨라 바르토크, 아서 서머벨, 구스타프 홀스트 등 여러 작곡가로부터 바이올린 소나타와 협주곡을 헌정받았다. 특히 언니인 아딜라 파키리는 요아힘이 개인적으로 가르친 유일한 제자였으며, 요아힘 사후 그가 사용하던 1715년 제작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물려받았다. 이 바이올린은 스승과 제자의 이름을 따 '요아힘/아라니'로 불리며, 현재는 일본재단이 소유하고 있다.

5. 요아힘의 악기

요제프 요아힘


요제프 요아힘은 활동 기간 동안 여러 명품 바이올린과 두 대의 비올라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사용한 악기 중 일부는 타리시오 경매 웹사이트([https://tarisio.com/cozio-archive/ cozio.com])에 소개되어 있으며, 더 자세한 정보는 독일어로 작성된 Kamlah(2013)의 논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요아힘이 사용한 주요 악기는 다음과 같다.

제작자제작 연도종류비고현재 소장처
Guarneri Filius Andreae1703년바이올린요아힘의 첫 번째 풀 사이즈 바이올린. 이후 펠릭스 슈만에게 주었다.-
스트라디바리우스1715년바이올린ex-Joachim. 1889년 요아힘의 기념 공연을 기념하여 증정되었다.크레모나 시립 박물관(Collezione Civica del Comune di Cremona)[87]
가스파로 다 살로1609년 이전비올라Ex Joachim, Joseph Vieland. 브레시아에서 제작되었다.Shrine to Music (No. 3368)[88]
Johannes Theodorus Cuypers1807년바이올린요아힘이 19세기 중반에 구입하여 유럽 순회 공연에 사용했다. 1895년 파리 독주회에서도 연주했으며, 1955년에는 프리츠 크라이슬러카네기 홀 콘서트에서 이 악기를 연주했다.[89]-


6. 평가

1877년 3월, 케임브리지 대학교로부터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를 기념하여 클라이스트를 기리는 서곡 작품 13번을 발표했다.[57] 1889년 4월 16일, 연주 경력 50주년을 맞아 영국의 친구들과 숭배자들은 그에게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가 1715년에 제작한 명품 바이올린 Il Cremonese|일 크레모네제it를 선물했다.[58][59] 1899년 4월 22일에는 연주 경력 6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제자들이 주축이 되어 콘서트를 열었다.[60] 이 콘서트에는 약 140명의 현악 연주자들이 참여했으며, 스트라디바리, 과르네리, 베르곤치, 아마티 등 당대 최고의 명기들이 동원되었다.[61] 이는 "그의 생애 동안 다른 어떤 음악가에게도 베풀어진 적이 없는 영예"로 평가받는다.[60]

같은 해인 1899년, 요아힘은 런던에 새로 설립된 옥스퍼드 앤 케임브리지 음악 클럽의 초대 회장으로 추대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62]

1903년 8월 17일에는 베를린에서 그래모폰 & 타이프라이터 주식회사(G&T)를 위해 5개의 음반을 녹음했다. 이 녹음들은 19세기 바이올린 연주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남아 있으며, 그는 녹음을 남긴 최초의 저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파블로 드 사라사테 등이 뒤를 이어 녹음을 시작했다.

그의 모습은 여러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는데, 필립 드 라슬로는 두 번 그렸고, 존 싱어 사전트는 1904년 런던 데뷔 60주년 기념 행사에서 그에게 헌정된 초상화를 그렸다.[63] 요아힘은 1907년 사망할 때까지 베를린에서 활동했다.

1906년 6월, 75세 생일 기념식에서 요아힘은 독일 바이올린 협주곡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독일에는 네 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있다. 가장 위대하고, 가장 타협하지 않는 것은 베토벤의 협주곡이다. 브람스의 협주곡은 그것과 진지함으로 경쟁한다. 가장 풍부하고, 가장 매혹적인 것은 막스 브루흐가 작곡한 것이다. 그러나 가장 내면적이고, 마음의 보석은 펠릭스 멘델스존의 협주곡이다.[64]


여기서 언급된 브루흐의 협주곡은 그가 직접 수정을 도왔던 유명한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64]

한편, 요아힘은 편곡 작업도 했는데, 1855년에는 슈베르트의 ''그랑 듀오'' 피아노 이중주를 "C장조 교향곡"으로 편곡하기도 했다.[73]

참조

[1] 웹사이트 San Francisco Symphony – BRUCH: Concerto No. 1 in G minor for Violin and Orchestra, Opus 26 http://www.sfsymphon[...] 2020-12-16
[2]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Campbell
[3] 서적 Ludwig Wittgenstein: The Duty of Genius Monk
[4] 웹사이트 Maud Joachim https://spartacus-ed[...] 2023-10-01
[5] 웹사이트 Maud Joachim · Suffragette Stories https://suffragettes[...] 2023-10-01
[6]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901
[7]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8]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Fuller-Maitland
[9]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0]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Fuller-Maitland
[11]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Campbell
[12]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Fuller Maitland
[13]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901
[14]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5] 서적 (출판년도만 기재됨) Avins 2002
[16] 웹사이트 London Philharmonic Debut http://josephjoachim[...] 2013-07-03
[17]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901
[18]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Fuller-Maitland
[19]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20]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21]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1901
[22]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23]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Campbell 1981
[24]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Swafford
[25] 서적 Violin Playing as I Teach It Leopold Auer 1980
[26]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Auer 1923
[27]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28]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29]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30]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31]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Swafford
[32]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Swafford
[33]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Moser
[34]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Swafford
[35] 서적 (페이지 번호만 기재됨) Swafford
[36] 서적 undefined
[37] 서적 undefined
[38] 서적 undefined
[39] 서적 undefined
[40] 서적 undefined
[41] 서적 undefined
[42] 서적 undefined 1913
[43] 웹사이트 Arts & Humanities Research Council ''Concert Programmes'', St. James's Hall Concerts (1867–1904) http://www.concertpr[...] 2022-03-28
[44] 서적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2-2003
[45] 웹사이트 Joseph Joachim’s Concerts https://josephjoachi[...]
[46] 뉴스 undefined Illustrated Australian News 1892-01-01
[47] 서적 London Music in 1888–89 as heard by Corno di Bassetto Constable 1937
[48] 서적 undefined
[49] 서적 undefined
[50] 서적 undefined
[51] 서적 Johannes Brahms Knopf 1997
[52] 서적 undefined 1901
[53] 서적 Cobbett's Cyclopedic Survey of Chamber Music, Volume II OUP 1963
[54] 서적 undefined 2003
[55] 서적 undefined
[56] 서적 undefined
[57] 서적 undefined
[58] 서적 undefined 1901
[59] 서적 undefined 1901
[60] 서적 undefined 1901
[61] 서적 undefined 1901
[62] 웹사이트 OCMC history http://www.ocmc.org.[...]
[63] 웹사이트 Joseph Joachim http://jssgallery.or[...]
[64] 서적 undefined
[65] 서적 undefined
[66] 서적 undefined
[67] 음반 BRAHMS: Sym. No. 1/Tragic Overture/Academic Festival Overture Naxos
[68] 서적 undefined
[69] 서적 undefined 1905
[70] 서적 undefined 1905
[71] 서적 The Music of Joseph Joachim Boydell & Brewer 2018
[72] 서적 The Music of Joseph Joachim Boydell & Brewer 2018
[73] 문서 There are recordings, by the Vienna State Opera Orchestra conductor Felix Prohaska, and the Houston Symphony conducted by Christoph Eschenbach.
[74] 문서 Joachim's was an early cadenza; later many others wrote more
[75] 문서 Joachim's cadenza to Brahms's concerto came to be 'almost always' played, according to Fuller-Maitland, 1905, p. 55
[76] 간행물 The EMI Archive 1997-06-01 # Summer 1997로 추정
[77]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Edinburgh Museums, Galleries & Collections http://tweed.lib.ed.[...] 2009-05-03
[78] 웹사이트 Violin-technik (Courvoisier, Carl) https://imslp.org/wi[...] 2022-03-28
[79] 웹사이트 Bronislaw Huberman http://www.huberman.[...] 2006-02-13
[80] 웹사이트 Hans Letz http://www.theviolin[...]
[81] 웹사이트 Stradivari, Guarneri, Amati. The Legendary Italian String Instruments http://www.lnmm.lv/e[...] 2023-09-09
[82] 문서 archives.nyphil.orgindex.php
[83] 웹사이트 Russian Symphony Orchestra of New York http://www.stokowski[...]
[84] 웹사이트 Department of Music http://music.acu.edu[...] 2006-02-13
[85] 뉴스 Mr Ernst Schiever: Distinguished Liverpool Musician's Retirement 1911-05-13
[86] 서적 Famous Violinists of To-Day and Yesterday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08-08-01 # August 2008로 추정
[87] 웹사이트 Tarisio http://www.cozio.com[...]
[88] 웹사이트 Bowed Stringed Instruments Made Before 1800 at the National Music Museum http://www.usd.edu/s[...] 2022-03-28 # accessdate 값을 date로 변환
[8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aline.co[...] 2007-08-17
[90] 웹사이트 Robert Bridges http://www.sonnet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