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족 목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족 목적어는 동사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법 요소로, 동사와 어근이 같거나 의미가 유사한 명사를 목적어로 사용한다. 이는 문장의 표현력을 풍부하게 하고, 행위의 강도, 방식, 정도 등을 나타낸다. 동족 목적어는 주로 자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문학 작품에서 시적 표현을 위해 자주 활용된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각 언어의 특성에 따라 사용 양상과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장 성분 - 목적어
    목적어는 문법에서 동사의 행위나 작용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으로, 한국어에서는 '을/를'과 같은 조사가 붙어 형성되며, 영어에서는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전치사 목적어 등으로 나뉜다.
  • 문장 성분 - 부정사
    부정사는 동사의 한 형태로,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며,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고 시제, 상, 태를 표시하는 굴절 형태를 가지며, 영어, 독일어, 라틴어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된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동족 목적어
기본 정보
언어영어 (주로 사용)
어원'同族目的語 (동족 목적어)'
'類語目的語 (유어 목적어)' (일본어)
정의
품사문법
내용'자동사로서는 표현할 수 없는 의미 내용을 나타내는 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것. 꿈을 꾸다, 춤을 추다, 노래를 부르다 등이 그 예이다.
영어 명칭
영어 명칭Cognate object
예시 (영어)
설명'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예시 1'He died a noble death.' (그는 고귀한 죽음을 맞이했다.)
예시 2'He lived a happy life.' (그는 행복한 삶을 살았다.)
예시 3'She smiled a sweet smile.' (그녀는 달콤한 미소를 지었다.)
예시 (한국어)
설명'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
예시 1'꿈을 꾸다'
예시 2'춤을 추다'
예시 3'노래를 부르다'

2. 동족 목적어의 개념

동족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자동사(목적어를 가지지 않는 동사)와 함께 쓰이며, 해당 자동사의 명사 형태를 목적어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영어 문장 "He slept a troubled sleep."(그는 불안한 잠을 잤다)에서 'sleep'은 동사 'slept'의 동족 목적어이다.

동족 목적어는 특정 어족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서로 친족 관계가 없는 언어들에서도 발견되는데, 예를 들어 아랍어, 체와어, 독일어, 히브리어, 아이슬란드어, 러시아어[6] 등에서 동족 목적어를 사용한다.

일본어의 "歌を歌う"(노래를 부르다)와 같은 표현도 동족 목적어의 예시로 볼 수 있다.

3. 한국어의 동족 목적어

한국어에서는 동사와 같은 어원을 가진 명사목적어로 사용하는 동족 목적어 용법이 나타난다. 이는 주로 동사의 행위 자체를 명사화하여 목적어로 삼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꿈을 꾸다', '잠을 자다', '춤을 추다', '그림을 그리다', '삶을 살다'와 같은 표현들이 한국어의 대표적인 동족 목적어 사용 예시이다. 이러한 표현에서 '꿈', '잠', '춤', '그림', '삶'은 각각 동사 '꾸다', '자다', '추다', '그리다', '살다'와 직접적인 어원 관계를 가지며 목적어로 사용되었다.

더 다양한 동족 목적어의 예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동족 목적어 예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1. 동족 목적어

동족 목적어는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목적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 가래로 갈다
  • 갈래로 갈리다
  • 갈퀴로 갈퀴다, 할퀴다
  • 거리를 거닐다
  • 걸음을 걷다 to walk a walk영어
  • 굄돌, 굄목을 괴다
  • 그림을 그리다 to draw a drawing영어
  • 금을 긋다
  • 꼬챙이를 꽂다
  • 꿈을 꾸다 to dream a dream영어
  • (팔)꿈치를 굽히다
  • 나머지를 남기다
  • 넓이를 넓히다
  • 높이를 높이다
  • 누룽지를 눌리다
  • 누비를 누비다
  • 다리를 달다
  • 덤을 더주다
  • 덮개를 덮다
  • 도르래를 돌리다
  • 둘레를 두르다
  • 디딤돌을 딛다
  • 뗏장을 떼다
  • 또아리를 틀다
  • 뜀을 뛰다
  • 뜸을 뜨다
  • 마개를 막다
  • 말을 몰다
  • 매듭을 맺다
  • 먹이를 먹이다 to feed food영어
  • 몇모금 먹다
  • 무덤에 묻다
  • 무침을 무치다
  • 바람에 불리다
  • 바람을 (풀무로) 불다 to blow with the blower영어
  • 받침을 받치다
  • 버무리를 버무리다
  • 베개를 베다
  • 볶음을 볶다
  • 부채로 부치다
  • 부침개를 부치다
  • 부피를 부풀리다
  • 북을 북돋우다
  • 빛을 비추다
  • 빨대를 빨다
  • 빨래를 빨다
  • 사람을 살리다
  • 살림을 살다 to live a living영어
  • 삶을 살다 to live a life영어
  • 셈을 세다
  • 소리로 소리치다 to sound a sound영어
  • 숨을 쉬다 to breathe a breath영어
  • 신을 신다
  • 싸개로 싸다
  • 싸움을 싸우다
  • 써레로 써리다
  • 쓰레기를 쓸다
  • 얼음을 얼리다
  • 여닫이를 여닫다
  • 열쇠로 열다
  • 울음을 울다 to cry a cry영어
  • 웃음을 웃다 to laugh a laugh영어
  • 이름을 이르다 to name a name영어
  • 이엉을 잇다
  • 자루를 잡다
  • 자리를 잡다
  • 잠을 자다
  • 자물쇠(로)를 잠그다
  • 절임을 절이다
  • 절이를 절이다
  • 졸음을 졸다
  • 죽음을 죽다 to die a death영어
  • 지게를 지다
  • 지팡이를 짚다
  • 짐을 지다 to bear a burden영어
  • 집을 짓다 to build a building영어
  • 차림을 차리다
  • 춤을 추다 to dance a dance영어
  • 칼을 갈다
  • 코를 골다
  • 크기를 키우다
  • 키를 키우다

3. 1. 2. 동족 주어

형용사의 명사형을 주어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 거름이 걸다

: 곱사등이 굽다

: 길이가 길다

: 까마귀는 까맣다

: 넓이가 넓다

: 높이가 높다

: 누리는 너르다

: 돈이 돌다

: 돌이 돌아오다

: 두꺼비가 두껍다

: 두께가 두껍다

: 두더지가 뒤지다

: 두덩이 두두룩하다

: 두둑이 두둑하다

: 무게가 무겁다

: 이 마르다

: 이 맑다

: 이 묽다

: 바람이 불다

: 밝기가 밝다

: 버들이 부들부들하다

: 보풀이 보풀다

: 볼이 볼록하다

: 볼기가 볼록하다

: 부피가 부프다

: 이 밝다

: 이 붉다

: 이 비치다

: 이 빛나다

: 서리가 서리다

: 소나기가 쏟아지다

: 이 쉬다

: 쐐기가 쏘다

: 얼음이 얼다

: 열매가 열리다

: 짜임새가 짜이다

: 크기가 크다

: 팔뚝이 두껍다

: 이 푸르다

4. 영어의 동족 목적어

영어에서 동족 목적어 구문은 다양한 자동사와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자동사는 타동사처럼 기능하게 된다.[6] 동족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동사의 명사 형태이며, 종종 수식어와 함께 쓰여 동사의 의미를 구체화한다. 예를 들어, ''He slept a troubled sleep'' (그는 힘겨운 잠을 잤다)과 같은 문장에서 'a troubled sleep'은 동사 'slept'의 동족 목적어이다.

이러한 구문은 때로 더 간단한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관용구적이거나 수사법적인 이유로 사용되기도 한다. 동족 목적어는 영어 외에도 아랍어, 체와어, 독일어, 히브리어, 아이슬란드어, 러시아어[6], 일본어 (예: "노래를 부르다") 등 여러 언어에서 발견된다. 사동상과 같은 문법적 개념을 설명할 때 동족 목적어 구조가 활용되기도 한다.

4. 1. 영어 동족 목적어 예시

영어에서 동족 목적어는 주로 자동사와 함께 쓰여 해당 동사를 타동사처럼 기능하게 만든다. 동족 목적어는 동사와 어원이 같거나 의미상 밀접하게 관련된 명사이다.

다음은 영어에서 동족 목적어가 사용된 예시이다.

  • ''He slept a troubled sleep.'' (그는 힘겨운 잠을 잤다. 즉, 잠을 설치거나 불안하게 잤다는 의미이다.)
  • ''He laughed a bitter laugh.'' (그는 씁쓸한 웃음을 웃었다. 즉, 씁쓸하게 웃었다는 의미이다.)
  • ''He dreamed a strange dream.'' (그는 이상한 꿈을 꾸었다.)
  • ''He walked their walk and talked their talk.'' (그는 그들의 걸음걸이로 걷고 그들의 말투로 말했다. 즉, 그들처럼 행동했다는 의미이다.)
  • ''He smiled a charming smile.'' (그는 매력적인 미소를 지었다.)
  • ''He danced a cheerful dance.'' (그는 경쾌한 춤을 추었다.)
  • ''He died a painful death.'' (그는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즉, 고통스럽게 죽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구문에서 동족 목적어는 종종 형용사와 같은 수식어와 함께 쓰여 동사의 의미를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 준다. 예를 들어, ''He slept a troubled sleep''이라는 문장에서 'troubled'는 그가 '어떻게' 잠을 잤는지를 설명한다. 동족 목적어 구문은 때때로 부사 등을 사용한 더 간단한 표현(예: ''He slept troubledly'')으로 바꿀 수도 있지만, 관용구적인 표현이거나 수사법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의미론적으로 동족 목적어와 함께 쓰이는 동사들은 웃음, 미소와 같은 비언어적 표현이나 춤, 걷기, 잠과 같은 신체적 행동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언어학자 베스 레빈(Beth Levin)이 '왈츠 동사'라고 명명한 경우처럼, 춤의 이름(예: waltz)이 별다른 형태 변화 없이 그대로 동사(예: to waltz)로 쓰이는 제로 파생 동사들이 이러한 구조를 자주 보인다.

또한, 사동상과 같은 문법적 개념을 설명할 때 동족 목적어 구조가 활용되기도 한다.

5. 일본어의 동족 목적어

일본어에서는 歌を歌う|우타오 우타우일본어(노래를 부르다) 등이 동족 목적어의 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Accusative Case {{!}} Department of Classics https://classics.osu[...] 2024-05-21
[2] 웹사이트 Linguist list https://linguistlist[...]
[3] 서적 A Greek grammar for colleges
[4] 서적 New Latin grammar for schools and colleges
[5] 서적 English Verb Classes and Alternation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웹사이트 Linguist list http://www.linguist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