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스-크란츠 번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스-크란츠 번호는 선(先)소크라테스 철학 연구에 사용되는 체계로, 고대 철학자들의 저작을 분류하고 인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번호 체계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는 철학자 또는 관련 인물을 나타내는 번호, 두 번째는 자료 유형을 나타내는 문자(A: 증언, B: 정확한 단어, C: 모방), 세 번째는 해당 장에서 특정 항목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이 체계는 78명의 개별 철학자, 여러 학파, 그리고 익명의 저작들을 포함하며, 현대 선(先)소크라테스 철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딜스-크란츠 번호 |
---|
2. 딜스-크란츠 번호 체계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저작은 현재까지 온전히 전해지지 않았다. 그들에 대한 지식은 도소그래피라 불리는 후대 철학자들의 저작에서 인용 및 의역 형태로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탈레스에 대한 지식은 그보다 수 세기 후에 살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크게 의존한다. 로마의 히폴리투스의 ''모든 이설의 반박''은 헤라클레이토스를 비롯한 다른 철학자들의 직접적인 인용을 담고 있어, 그가 반박하려 했던 철학자들의 작품을 보존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인용, 의역 및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 대한 기타 언급들은 헤르만 알렉산더 딜스와 발터 크란츠에 의해 수집되어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독일어: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에 담겼다. 이 책은 현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교육 및 연구의 표준 텍스트가 되었다. 그 영향력 때문에 딜스-크란츠 번호는 문헌, 학술 회의, 심지어 대화에서까지 자료를 참조하는 표준적인 방식이 되었다.
2. 1. 번호 구성
딜스-크란츠 번호는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1]# 항목 관련 인물 번호: 탈레스를 나타내는 "11"과 같이, 항목과 관련된 인물을 나타내는 번호이다. 이 번호는 《단편》(Fragmente)의 장 번호이기도 하다.
# 항목 유형 문자: A, B, C 중 하나가 부여된다.
# 항목 위치 번호: 해당 장에서 특정 항목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예를 들어, "테오도로스, 탈레스의 경우를 보게. ...(중략)... 발 앞에 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2]라는 텍스트는 DK 11A9로 표기된다. 11은 탈레스를, A는 탈레스의 삶에 대한 증언(Testimonia|테스티모니아la)을, 9는 해당 장의 아홉 번째 항목임을 의미한다.
"금을 찾는 자는 많은 흙을 파내고 약간의 금을 발견한다."[3]라는 텍스트는 "22B22" 대신 "헤라클레이토스 B22"로 표기할 수 있다. 이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직접적인 말(Ipsissima Verba|입시시마 베르바la)을 나타내는 B와, 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한 장(22장)의 22번째 항목임을 의미한다.[4]
2. 1. 1. 철학자 번호
딜스-크란츠 번호는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1]# 인물 번호: 해당 인물을 나타내는 번호로, 《단편》(Fragmente)의 장 번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11"은 탈레스를 가리키며, 《단편》의 11번째 장을 의미한다.[1]
# 항목 유형 문자: 항목의 유형에 따라 'A', 'B', 'C' 중 하나의 문자가 부여된다.[1]
## A: ''Testimonia''(증언): 저자의 삶과 가르침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에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저작에 대한 해설과 그들의 삶, 철학적 견해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1]
## B: ''Ipsissima Verba''(입시시마 베르바): "정확한 단어"라는 뜻으로, 후대 저작에서 인용된 해당 철학자의 정확한 단어를 포함한다. '단편'이라고도 불린다.[1]
## C: ''Imitations''(모방): 해당 철학자를 본떠서 만든 작품이다.[1]
# 항목 위치 번호: 해당 장에서 특정 항목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이다.[1]
예를 들어, 다음 인용문은 DK 11A9로 표시된다.
> 테오도로스, 탈레스의 경우를 보게. 그가 별을 연구하고 위를 쳐다보다가 구덩이에 빠졌는데, 어떤 날카롭고 재치 있는 트라키아 노예 소녀가 그를 비웃었다고 한다. 그가 하늘의 일들을 너무 알고 싶어하여 바로 발 앞에 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2]
이는 《단편》 11장의 주제인 탈레스를 언급하고, 플라톤의 대화 중 하나인 테아이테토스에서 탈레스의 삶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므로, "A"(testimonium)로 표시된다. 또한 해당 장의 아홉 번째 항목이므로 전체 번호는 DK 11A9가 된다.[1]
때로는 장(인물) 번호가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인용문은 "22B22" 대신 "헤라클레이토스 B22"로 표기할 수 있다.
> 금을 찾는 자는 많은 흙을 파내고 약간의 금을 발견한다.[3]
이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직접적인 말을 전달하고(B), 《단편》에서 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한 장(장 번호 22)의 22번째 항목이기 때문이다.[4]
2. 1. 2. 자료 유형 문자
자료 유형에 따라 다음 세 가지 문자가 사용된다.[1]- A: Testimonia|증언la: 저자의 삶과 교리에 대한 설명이다. Testimonia|증언la에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저작에 대한 해설과 그들의 삶과 철학적 견해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 B: Ipsissima Verba|입시시마 베르바la: 문자 그대로 "정확한 단어"로 번역되며, 때로는 "단편"이라고도 불리며, 후기 저작에서 인용된 저자의 정확한 단어를 포함하는 항목이다.
- C: Imitations|모방la: 저자를 모델로 삼은 작품이다.[1]
예를 들어 플라톤의 대화편인 테아이테토스에서 "테오도로스, 탈레스의 경우를 보게. 그가 별을 연구하고 위를 쳐다보다가 구덩이에 빠졌는데, 어떤 날카롭고 재치 있는 트라키아 노예 소녀가 그를 비웃었다고 한다. 그가 하늘의 일들을 너무 알고 싶어하여 바로 발 앞에 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2]라는 구절은 DK 11A9로 표기된다. 이는 탈레스의 삶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증언(testimonium|테스티모니움la)이므로 'A'로 표시되며, 11장의 아홉 번째 항목이기에 DK 11A9가 된다.
"금을 찾는 자는 많은 흙을 파내고 약간의 금을 발견한다."[3]라는 구절은 "22B22" 대신 "헤라클레이토스 B22"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직접적인 말(B)이며, ''Fragmente''에서 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한 장(22장)의 22번째 항목이기 때문이다.[4]
2. 1. 3. 단편 번호
각 철학자별 자료 내에서 특정 단편에 부여된 고유 번호이다.번호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항목과 관련된 인물을 나타내는 번호. 예를 들어, "11"은 탈레스를 지칭한다.[1]
# 항목 유형에 해당하는 문자 ''A'', ''B'', ''C''[1]
## A: ''Testimonia''(증언): 저자의 삶과 교리에 대한 설명이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저작에 대한 해설, 삶, 철학적 견해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1]
## B: ''Ipsissima Verba''(입시시마 베르바): "정확한 단어"로 번역되며, "단편"이라고도 불린다. 후기 저작에서 인용된 저자의 정확한 단어를 포함한다.[1]
## C: ''Imitations''(모방): 저자를 모델로 삼은 작품이다.[1]
# 해당 장에서 특정 항목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1]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테오도로스, 탈레스의 경우를 보게. 그가 별을 연구하고 위를 쳐다보다가 구덩이에 빠졌는데, 어떤 날카롭고 재치 있는 트라키아 노예 소녀가 그를 비웃었다고 한다. 그가 하늘의 일들을 너무 알고 싶어하여 바로 발 앞에 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2]
위 텍스트는 DK 번호가 11A9이다. 11장은 탈레스를 의미하고, 플라톤의 대화 중 하나인 ''테아이테토스''에서 출처를 가져왔으며, 탈레스의 삶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므로 "A"로 표시되는 ''testimonium''이다. 해당 장의 아홉 번째 항목이므로 전체 번호는 DK 11A9가 된다.
때로는 장(인물) 번호가 단순히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금을 찾는 자는 많은 흙을 파내고 약간의 금을 발견한다.[3]
위의 내용은 "22B22" 대신 "헤라클레이토스 B22"로 지칭될 수도 있는데, 헤라클레이토스의 직접적인 말(B)이며, ''Fragmente''에서 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한 장(장 번호는 22)의 22번째 항목이기 때문이다.[4]
2. 2. 번호 체계의 예시
Θεόδωρε, καὶ Θαλῆν ἀστρονομοῦντα καὶ ἄνω βλέποντα, πεσόντα εἰς φρέαρ, Θρᾷττά τις ἐμμελὴς καὶ χαρίεσσα θεραπαινὶς ἀποσκῶψαι λέγεται ὡς τὰ μὲν ἐν οὐρανῷ προθυμοῖτο εἰδέναι, τὰ δ' ἔμπροσθεν καὶ παρὰ πόδας λανθάνοι αὐτόν|테오도로스, 탈레스가 별을 연구하고 위를 쳐다보다가 구덩이에 빠졌는데, 어떤 날카롭고 재치 있는 트라키아 노예 소녀가 그를 비웃었다고 한다. 그가 하늘의 일들을 너무 알고 싶어하여 바로 발 앞에 있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grc[2]위 텍스트는 딜스-크란츠 번호 11A9이다. 여기서 11은 탈레스를, A는 탈레스의 삶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testimonium''을, 9는 해당 장의 아홉 번째 항목을 각각 나타낸다.[1]
> 금을 찾는 자는 많은 흙을 파내고 약간의 금을 발견한다.[3]
위의 내용은 "헤라클레이토스 B22"로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직접적인 말(B)을 나타내며, ''Fragmente''에서 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한 장의 22번째 항목이기 때문이다.[4]
3. 딜스-크란츠 번호 목록 (제5판 기준)
다음은 크란츠가 편집한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제5판을 기준으로 한 딜스-크란츠 번호 목록이다.[5][6][7][8] 이 번호 체계는 현대 선(先)소크라테스 철학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대부분의 항목(78개)은 단일 명명된 개인과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12개)는 더 복잡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후자 중 8개(10, 19, 39, 46, 53-56)는 각각 명명된 여러 인물 그룹과 관련이 있으며, 대개 각 항목에서 그들의 연관성을 정당화할 수 있는 명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항목(58, 79)은 개인에게 헌정된 것이 아니라 사상 학파(피타고라스 학파, 소피스트)에 헌정되었으며, 마지막 2개(89, 90)는 동시대 익명의 텍스트를 재현한다.
몇몇 경우, 열거된 인물들은 매우 모호하여 다른 출처에서 이름만 언급될 뿐이며, 그들의 지리적,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힌트나 그들의 아이디어에 대한 ''의역''조차 살아남지 않거나, 그들이 무엇을 썼을지에 대한 언급도 없다.
1 | 오르페우스 | 31 | 엠페도클레스 | 61 | 메트로도로스 |
---|---|---|---|---|---|
2 | 무세우스 | 32 | 메네스토르 | 62 | 클레이데무스 |
3 | 에피메니데스 | 33 | 크수토스 | 63 | 이다에우스 |
4 | 헤시오도스 | 34 | 보이다스 | 64 | 디오게네스 |
5 | 포쿠스 | 35 | 트라시알케스 | 65 | 크라틸로스 |
6 | 클레오스트라토스 | 36 | 이온 | 66 | 안티스테네스 |
7 | 페레퀴데스 | 37 | 다몬 | 67 | 레우키포스 |
8 | 테아게네스 | 38 | 히폰 | 68 | 데모크리토스 |
9 | 아쿠실라오스 | 39 | 팔레아스와 히포다모스 | 69 | 네사스 |
10 | 그리스 7현인: 비아스, 킬론, 클레오불루스, 페리안드로스, 피타쿠스, 솔론, 탈레스 | 40 | 폴리클레이토스 | 70 | 메트로도로스 |
11 | 탈레스 | 41 | 오이노피데스 | 71 | 디오게네스 |
12 | 아낙시만드로스 | 42 | 히포크라테스 | 72 | 아낙사르코스 |
13 | 아낙시메네스 | 43 | 테오도로스 | 73 | 헤카타이오스 |
14 | 피타고라스 | 44 | 필롤라오스 | 74 | 아폴로도로스 |
15 | 케르콥스 | 45 | 에우리토스 | 75 | 나우시파네스 |
16 | 페트론 | 46 | 아르키포스, 리시스, 옵시무스 | 76 | 디오티무스 |
17 | 브론티누스 | 47 | 아르키타스 | 77 | 비온 |
18 | 히파소스 | 48 | 오켈루스 | 78 | 볼루스 |
19 | 칼리폰, 데모케데스 | 49 | 티마이오스 | 79 | 소피스트: 이름과 개념 |
20 | 파르메니스쿠스 | 50 | 히케타스 | 80 | 프로타고라스 |
21 | 크세노파네스 | 51 | 엑판토스 | 81 | 크세니아데스 |
22 | 헤라클레이토스 | 52 | 크세노필로스 | 82 | 고르기아스 |
23 | 에피카르무스 | 53 | 디오클레스, 에케크라테스, 폴림나스투스, 판톤, 아리온 | 83 | 리코프론 |
24 | 알크마이온 | 54 | 프로루스, 아미클라스, 클레이니아스 | 84 | 프로디코스 |
25 | 이쿠스 | 55 | 다몬, 핀티아스 | 85 | 트라시마코스 |
26 | 파론 | 56 | 시무스, 미오니데스, 에우프라노르 | 86 | 히피아스 |
27 | 아메이니아스 | 57 | 리콘 | 87 | 안티폰 |
28 | 파르메니데스 | 58 | 피타고라스 학파 | 88 | 크리티아스 |
29 | 제논 | 59 | 아낙사고라스 | 89 | 이암블리코스가 인용한 익명의 작가 |
30 | 멜리소스 | 60 | 아르켈라오스 | 90 | 두 배의 논증 |
3. 1. 주요 철학자 및 학파
딜스-크란츠 번호는 개별 철학자뿐만 아니라 특정 학파나 사상 조류, 익명의 저작에도 부여된다. 예를 들어 1번은 오르페우스[5][6][7][8]에게 부여되었고, 10번은 그리스 7현인 (비아스, 킬론, 클레오불루스, 페리안드로스, 피타쿠스, 솔론, 탈레스)에게 부여되었다.[5][6][7][8]주요 철학자 및 학파별 번호는 다음과 같다.
- 11번: 탈레스 (그리스 7현인 중 한 명)[5][6][7][8]
- 14번: 피타고라스[5][6][7][8]
- 21번: 크세노파네스[5][6][7][8]
- 22번: 헤라클레이토스[5][6][7][8]
- 28번: 파르메니데스[5][6][7][8]
- 31번: 엠페도클레스[5][6][7][8]
- 59번: Ἀναξαγόρας|아낙사고라스grc[5][6][7][8]
- 68번: 데모크리토스[5][6][7][8]
- 80번: Πρωταγόρας|프로타고라스grc[5][6][7][8]
- 82번: 고르기아스[5][6][7][8]
3. 1. 1. 1-10번
1 | 오르페우스[5][6][7][8] |
2 | 무세우스 |
3 | 에피메니데스 |
4 | 헤시오도스 |
5 | 포쿠스 |
6 | 클레오스트라토스 |
7 | 페레퀴데스 |
8 | 테아게네스 |
9 | 아쿠실라오스 |
10 | 그리스 7현인: 비아스, 킬론, 클레오불루스, 페리안드로스, 피타쿠스, 솔론, 탈레스 |
3. 1. 2. 11-20번
3. 1. 3. 21-30번
3. 1. 4. 31-40번
3. 1. 5. 41-50번
Οἰνοπίδης|오이노피데스grc[5][6][7][8]Ἱπποκράτης ὁ Χῖος|키오스의 히포크라테스grc[5][6][7][8]
Θεόδωρος ὁ Κυρηναῖος|키레네의 테오도로스grc[5][6][7][8]
Φιλόλαος|필롤라오스grc[5][6][7][8]
Εὔρυτος|에우리토스grc[5][6][7][8]
Ἄρχιππος|아르키포스grc, Λῦσις|리시스grc, Ὄψιμος|옵시무스grc[5][6][7][8]
Ἀρχύτας|아르키타스grc[5][6][7][8]
Ὄκελλος ὁ Λευκανός|로크리의 오켈루스grc[5][6][7][8]
Τίμαιος ὁ Λοκρός|로크리의 티마이오스grc[5][6][7][8]
῞Ικέτας|히케타스grc[5][6][7][8]
3. 1. 6. 51-60번
- 51번: Ἔκφαντος|엑판토스grc는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다.[5][6][7][8]
- 52번: Ξενόφιλος|크세노필로스grc는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다.[5][6][7][8]
- 53번: 디오클레스, Ἐχέκρατες|에케크라테스grc, 폴림나스투스, Φάντων|판톤grc, 아리온은 플리우스와 관련된 인물들이며, 피타고라스 학파와 관련이 있다.[5][6][7][8]
- 54번: 프로루스, 아미클라스, Κλεινίας|클레이니아스grc는 타렌툼과 관련된 인물들이며, 피타고라스 학파와 관련이 있다.[5][6][7][8]
- 55번: 다몬과 핀티아스는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다.[5][6][7][8]
- 56번: 시무스, 미오니데스, 에우프라노르는 피타고라스 학파와 관련이 있다.[5][6][7][8]
- 57번: Λύκων|리콘grc은 피타고라스 학파의 일원이었다.[5][6][7][8]
- 58번: 피타고라스 학파에 대한 내용이 해당한다.[5][6][7][8] 이암블리코스는 218명의 남성과 17명의 여성, 그리고 다른 추정되는 익명의 추종자들을 피타고라스 학파로 열거했다.[10]
- 59번: Ἀναξαγόρας|아낙사고라스grc[5][6][7][8]
- 60번: Ἀρχέλαος|아르켈라오스grc[5][6][7][8]
3. 1. 7. 61-70번
Μετρόδωροςgrc는 람프사쿠스 출신의 메트로도로스(기원전 5세기)를 가리킨다.[5][6][7][8] 클레이데무스 (기원전 4세기)는 초기 아테네 역사가로, 아티카의 전설과 의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티도그라포스(향토사가)였다.[5][6][7][8] 이다에우스는 기원전 5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활동한 역사가로 추정된다.[5][6][7][8] 디오게네스는 아폴로니아 출신의 철학자(기원전 5세기)이다.[5][6][7][8] 크라틸로스는 아테네 출신의 철학자(기원전 5세기 후반)로, 헤라클레이토스의 영향을 받았다.[5][6][7][8] 안티스테네스는 헤라클레이토스 학파의 철학자이다.[5][6][7][8] 레우키포스(기원전 5세기 전반)는 원자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5][6][7][8] 데모크리토스는 압데라 출신의 철학자(기원전 460년경 ~ 기원전 370년경)로, 원자론을 발전시켰다.[5][6][7][8] 네사스는 데모크리토스의 제자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5][6][7][8] 메트로도로스는 키오스 출신의 철학자(기원전 4세기)로, 데모크리토스 학파에 속하며 회의주의적 경향을 보였다.[5][6][7][8]3. 1. 8. 71-80번
71 | 디오게네스 | Διογένης|디오게네스grc[5][6][7][8] |
72 | 아낙사르코스 | Ἀνάξαρχος|아낙사르코스grc[5][6][7][8] |
73 | 헤카타이오스 | Ἑκαταῖος|헤카타이오스grc[5][6][7][8] |
74 | 아폴로도로스 | Ἀπολλόδωρος|아폴로도로스grc[5][6][7][8] |
75 | 나우시파네스 | Ναυσιφάνης|나우시파네스grc[5][6][7][8] |
76 | 디오티무스 | 디오티무스[5][6][7][8] |
77 | 비온 | Βίων|비온grc[5][6][7][8] |
78 | 볼루스 | Βῶλος|볼루스grc[5][6][7][8] |
79 | 소피스트: 이름과 개념 | 소피스트: 이름과 개념[5][6][7][8] |
80 | 프로타고라스 | Πρωταγόρας|프로타고라스grc[5][6][7][8] |
3. 1. 9. 81-90번
4. 비판과 한계
딜스-크란츠 번호는 고대 철학 연구에 획기적인 기여를 했지만, 다음과 같은 비판과 한계도 지적된다.
5. 한국 철학 연구에의 기여
딜스-크란츠 번호는 한국의 서양 고대 철학 연구, 특히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EP: "Diels–Kranz Numbering System"
http://www.iep.utm.e[...]
2017-08-30
[2]
웹사이트
Plato, Theaetetus, page 174
https://www.perseus.[...]
2017-08-30
[3]
Wikisource
Fragments of Heraclitus
[4]
웹사이트
Heraclitus
http://www.iep.utm.e[...]
2017-08-30
[5]
서적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A Companion to Diels, ''Fragmente der Vorsokratiker'' (Second Ed.)
Harvard University Press
1959
[6]
서적
Ancilla to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A complete translation of the Fragments in Diels, ''Fragmente der Vorsokratik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7]
웹사이트
Ancilla to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Contents
http://www.sacred-te[...]
[8]
서적
The First Philosophers: The Presocratics and the Sophis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9]
웹사이트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https://archive.org/[...]
1903
[10]
문서
Freeman's ''Companion'', 244-245
[11]
서적
The Fragments of Presocratic Philosop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