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 1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13세는 1601년 앙리 4세와 마리 드 메디시스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왕이었다. 어린 시절 말더듬과 이중 치열을 겪었으며, 1610년 아버지의 암살로 8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가 섭정을 맡았으나, 콘치노 콘치니의 영향력 증대로 갈등이 빚어졌다. 1617년, 루이 13세는 콘치니를 암살하고 어머니를 유배 보낸 후 친정을 시작했다.

이후 샤를 달베르, 리슐리외 추기경의 도움을 받아 통치하며 30년 전쟁에 개입, 절대 왕정을 확립하고 해군을 강화했다. 또한 해외 식민지 확장을 추진하여 뉴프랑스를 개발하고, 프랑스 아카데미를 설립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1615년 스페인의 안 도트리슈와 결혼하여 루이 14세와 필리프 1세 도를레앙 공작을 낳았다. 루이 13세는 1643년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는 프랑스의 문화적, 정치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 13세 - 안 도트리슈
    안 도트리슈는 스페인 펠리페 3세의 딸로, 프랑스 왕 루이 13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궁정 생활을 시작했으며, 루이 14세를 낳고 남편 사망 후 섭정으로 프랑스를 통치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루이 13세 -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족으로, 형 루이 13세 치세에 반란과 음모를 일으키며 불안정한 행보를 보였고, 루이 13세 사후에는 프롱드의 난에 가담했으며, 두 번의 결혼으로 자녀를 두었고 조카 루이 14세 치세에는 '르 그랑 몽시외'로 불렸다.
  • 프랑스의 30년 전쟁 관련자 - 루이 14세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 국왕인 루이 14세는 72년간 재위하며 절대 왕정을 강화하고 프랑스 문화의 황금기를 이룩했으나 잦은 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켜 절대 왕정의 전성기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 프랑스의 30년 전쟁 관련자 - 쥘 마자랭
    쥘 마자랭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30년 전쟁 종식과 프랑스-스페인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프롱드의 난을 진압하여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기반을 다진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 성소수자 국가원수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성소수자 국가원수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루이 13세
기본 정보
루이 13세의 34세 초상화
필리프 드 샹파뉴의 초상화, 1635년경
프랑스 국왕프랑스 국왕
프랑스 국왕 재위1610년 5월 14일 – 1643년 5월 14일
프랑스 대관식1610년 10월 17일 랭스 대성당
프랑스 선임자앙리 4세
프랑스 후임자루이 14세
프랑스 섭정마리 드 메디시스 (1610–1614)
프랑스 수석 국무 장관뤼네 공작 (1617–1621)
리슐리외 추기경 (1624–1642)
쥘 마자랭 추기경 (1642–1643)
나바라 국왕나바라 국왕 (루이 2세)
나바라 국왕 재위1610년 5월 14일 – 1620년 10월 20일
나바라 선임자앙리 4세
출생일1601년 9월 27일
출생지퐁텐블로 성, 프랑스 왕국
사망일1643년 5월 14일
사망지생제르맹앙레, 프랑스 왕국
매장일1643년 5월 19일
매장지생드니 대성당, 프랑스
배우자안 도트리슈 (1615년 11월 24일 결혼)
자녀루이 14세
필리프 1세, 오를레앙 공작
왕가부르봉 왕가
아버지앙리 4세
어머니마리 드 메디시스
종교로마 가톨릭교
서명
기타 정보
암살앙리 4세 암살
프랑스어 이름루이
별칭공정왕

2. 어린 시절

퐁텐블로 궁전에서 앙리 4세와 그의 두번째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루이는 6남매 중 맏아들이었고, 출생과 함께 도팽 칭호를 받았다. 앙리 4세의 첫 결혼은 자녀 없이 끝났지만, 루이는 아버지와 다른 여인들과의 관계에서 태어난 이복 형제자매들이 여럿 있었다. 어린 시절 루이는 병약했고, 말을 더듬는 버릇이 있었다.

앙리 4세와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의 장남으로 퐁텐블로 궁전에서 태어난 루이는 프랑스 왕자이자 도팽(왕세자)이었다.[32] 아버지 앙리 4세는 살리카 법에 따라 외가 쪽 재종조부인 앙리 3세에게서 왕위를 계승한 부르봉 왕조의 초대 프랑스 국왕이었다. 루이 13세의 외조부모는 메디치가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황녀 요한나였고, 친조부모는 뱅돔 공작 앙투안과 나바라 여왕 잔느 달브레였다. 외숙모인 엘레오노라 데 메디치가 대모를 맡았다.[3] 루이는 어린 시절 왕실 교육관 프랑수아즈 드 몽글라의 감독 아래 성장했다.

1619년, 영국 국왕 제임스 1세가 프랑스 궁정에 파견한 대사 에드워드 허버트 경은 루이 13세가 선천적으로 심하게 말을 더듬고 이중 치열을 가졌다고 기록했다.[4]

3. 여왕 모친의 섭정 (1610년 ~ 1617년)

앙리 4세가 1610년 5월 14일 파리에서 에 찔려 사망한 후, 8세의 나이로 루이 13세가 왕위에 올랐다.[5] 그의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는 어린 국왕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프랑스 루이 13세 초상화, 프랑수아 푸르뷔스 2세 작


1614년 앙리 2세 드 콩데 친왕이 여왕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같은 해, 루이 13세는 성년이 되어 프랑스의 공식적인 군주가 되었지만,[5] 실제 권력은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에게 있었다. 그녀는 사실상의 통치자로서 계속 활동했다.

마리 드 메디시스는 초기에는 남편 앙리 4세의 장관들 대부분을 유지하며 온건한 정책을 추구했다. 그러나 1615년부터 이탈리아 출신 콘치노 콘치니에게 더욱 의존하기 시작했다. 이는 콩데 친왕을 더욱 적대시하여, 그는 두 번째 반란을 일으켰다.

여왕 모친은 콘치니를 보호하기 위해 콩데 친왕을 체포하였는데, 이는 더 큰 혼란을 초래했다. 샤를 달베르의 충고에 따라 루이 13세는 1617년 4월 24일 콘치니를 암살하도록 했다.[5] 마리 데 메디시스는 블루아성으로 추방되었다.[6]

4. 통치 (1617년 ~ 1643년)

루이 13세는 1617년 샤를 달베르의 도움을 받아 통치를 시작했다. 1618년 30년 전쟁이 발발하자, 루이 13세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를 지지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합스부르크 가문과 대립 관계에 있었기에, 개신교 세력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1618년 폴레트 세금 폐지와 1620년 관직 매매는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1619년, 1620년에는 왕의 모친 마리 드 메디시스를 중심으로 귀족들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왕실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621년에는 위그노 반란 진압에 나섰으나, 몽토방 포위 공격은 실패하고 샤를 달베르는 사망하였다.

뤼인 공작 사후 루이 13세는 국무회의를 통해 통치하기로 결정했고, 1622년에는 모친 마리 드 메디시스가 국무회의에 참여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몽펠리에 조약을 체결하여 위그노 반란을 종식시켰다.

1624년에는 리슐리외 추기경을 수상으로 임명하여, 이후 18년 동안 프랑스의 주요 정책을 결정하게 했다. 리슐리외의 주도로 절대 왕정을 확립해 나갔고, 30년 전쟁에 성공적으로 개입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했다. 또한, 위그노의 정치적, 군사적 특권을 철폐하고, 귀족들을 통제하여 왕권을 강화했다.

1635년 프랑스는 30년 전쟁에 개신교 측으로 참전하여 스페인군과 직접 전투를 벌였으나, 전쟁으로 인한 과중한 세금은 백성들의 봉기를 야기했다. 1638년에는 왕비 안 도트리슈가 왕위 계승자인 아들(훗날 루이 14세)을 낳았다.

루이 13세는 앙탕트(지방 감찰관) 제도를 설치하여 귀족들을 감시하고, 르 아브르 항구를 현대화하고 해군을 강화했다. 또한, 북아메리카 대륙의 누벨프랑스 개발을 지원하고, 레위니옹1642년 "부르봉 섬"으로 명명했다. 문화적으로는 프랑스 예술가들이 이탈리아에서 배우는 풍조를 바꾸려 노력했고, 루브르 궁전 장식을 니콜라 푸생과 필리프 드 샹파뉴에게 맡겼다.

해외 확장에도 힘을 기울여, 일본과의 관계를 시작하고, 모로코와 프랑스-모로코 조약 (1631년)을 체결하여 특혜를 얻었다. 뉴프랑스에서는 원주민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장려했고, 아카디아 식민지 개발에도 참여했다. 브라질에서는 적도 프랑스 식민지가 설립되었지만, 곧 소멸되었다. 1642년에는 프랑스 국민이 대서양 노예 무역에 참여하는 것을 허가했다. 프랑스-일본 관계는 1615년에 시작되었고, 1636년에는 프랑스 사제가 일본에 발을 디디면서 상호 교류가 이루어졌다.

루이네 공작 샤를(1578년 ~ 1621년)


''승리의 관을 쓴 루이 13세 (라 로셸 공성전, 1628)'', 필리프 드 샹파뉴, 루브르 박물관


오귀스탱 드 보르뇌(Augustin de Beaulieu)가 이끄는 "몽모랑시 함대", 동인도(East Indies)에서, 1619년~1622년

4. 1. 샤를 달베르의 득세 (1617년 ~ 1621년)

1617년, 16세의 루이 13세는 샤를 달베르의 도움을 받아 왕국을 다스리기 시작했다. 샤를 달베르는 루이 13세에 의해 뤼인 백작으로 임명되었다.

1615년경~1620년경의 말을 탄 루이 13세. 프랑스(아마도 파리) 제작 청동상.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소장


루앵은 곧 콘치니만큼 인기가 없어졌다. 다른 귀족들은 그가 국왕을 독점하는 것을 분개했다. 루앵은 앙리 4세의 장관들보다 덜 유능한 것으로 여겨졌고, 그들은 마리 드 메디시스를 둘러싸고 있었다.

1618년 30년 전쟁이 발발했다. 프랑스 궁정은 어느 편을 지지할지 확신하지 못했다. 프랑스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전통적인 라이벌 관계였기에 개신교 세력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루이 13세는 가톨릭 교육을 받았기에 페르디난트 2세를 지지하였다.

1618년 ''폴레트 세금''의 폐지와 1620년 관직 매매로 인해 프랑스 귀족들은 루앵에 더욱 반감을 품게 되었다. 블루아 망명 중이던 마리 드 메디치는 이러한 불만에 대한 결집의 중심 인물이 되었고, 루콩 주교(1622년 리슐리외 추기경이 됨)는 그녀의 주요 고문으로 활동하며 마리와 국왕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했다.

프랑스 귀족들은 1620년 7월 2일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1620년 8월 7일 퐁드세 전투에서 왕실군에 의해 쉽게 패배했다. 루이는 그 후 여러 왕실 결정에 반항한 베른위그노들을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다. 이 원정은 베른의 공식 종교로 가톨릭교를 재확립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베른 원정은 다른 지방의 위그노들을 앙리 드 로앙 공작이 이끄는 반란으로 몰아넣었다.

1621년 루이 13세는 공식적으로 어머니와 화해했다. 루앵은 프랑스 컨스터블로 임명되었고, 그 후 그와 루이는 위그노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출발했다. 위그노의 거점인 몽토방에 대한 포위 공격은 야영열병으로 사망한 왕실 군인의 수가 많아 3개월 만에 포기해야 했다. 야영열병의 희생자 중 한 명은 루앵이었고, 그는 1621년 12월에 사망했다.[11]

4. 2. 국무회의 통치 (1622년 ~ 1624년)

뤼네(Luynes) 공작이 사망한 후, 루이 13세는 국무회의를 통해 통치하기로 결정했다. 1622년 망명에서 돌아온 그의 어머니 마리 드 메디시스는 국무회의에 참여하였다.

1622년의 군사 작전은 이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왕실군은 초기에 승리했지만, 몽펠리에 요새를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1622년 10월 루이 13세와 로앙 공작은 몽펠리에 조약을 체결하여 위그노의 반란을 종식시켰다. 이 조약은 낭트 칙령의 원칙을 확인하였고, 여러 위그노 요새는 파괴될 예정이었지만, 위그노는 몽토방과 라 로셸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했다.

1624년, 루이 13세는 스페인과의 발텔리나(Valtellina) 문제에 대한 외교적 처리 방식에 불만을 품고 노엘 브뤼라르 드 실레리와 피에르 브뤼라르를 해임했다. 발텔리나는 개신교 세력인 그리존의 통치하에 있었지만, 주민들은 가톨릭 신자들이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에게 이탈리아로 가는 중요한 통로였으며, 스페인이 이 지역에 지속적으로 간섭하자,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 통로를 장악하고자 했던 루이 13세는 분노했다.[7]

4. 3. 리슐리외 추기경의 집권 (1624년 ~ 1642년)

1624년, 루이 13세는 리슐리외 추기경을 수상(최고 국무 장관)으로 임명했다.[17] 이후 리슐리외는 루이 13세 치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18년 동안 프랑스를 이끌었다.[17] 리슐리외의 업적으로 루이 13세는 절대 군주의 선구자 중 한 명이 되었다.[17]

루이 13세와 리슐리외는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던 위그노 문제 해결에 착수했다.[18] 1628년, 14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위그노의 본거지 라 로셸을 함락시켰고 (라 로셸 포위전), 라 로셸 화약에 따라 앙리 4세가 위그노에게 부여했던 정치적, 군사적 특권을 폐지했다 (신앙의 자유는 허용되었다).[18]

1630년 리슐리외에게 불만을 품은 일부 귀족들이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와 결탁하여 리슐리외 축출 쿠데타를 기도했다.[18] 루이 13세는 처음에는 리슐리외의 파면에 동의했으나, 다음 날 태도를 바꾸었다 ("속임수의 날").[18] 쿠데타는 리슐리외의 승리로 끝나고, 국왕 직인 보관관은 파면되었으며, 왕비 마리 드 메디치스는 다시 추방되어 브뤼셀로 망명했다.[18]

1635년, 프랑스는 30년 전쟁에 프로테스탄트 측으로 개입하여, 국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스페인군과 전투를 벌였다.[19] 그러나 전쟁으로 인해 중과세가 부과되어 백성들은 곤궁해졌고, 곳곳에서 민중 봉기가 일어났다.[19]

1638년 왕비 안 도트리슈가 24년의 결혼 생활 끝에 왕위 계승자인 아들(훗날 루이 14세)을 낳았다.[19]

루이 13세와 리슐리외는 앙탕트(지방 감찰관) 제도를 설치하여 귀족들의 규율을 유지하고 왕권 강화를 추진했으며,[19] 르 아브르 항구를 현대화하고 강력한 해군을 건설했다.[16] 불행히도 국왕과 리슐리외에게는 행정 개혁(특히 프랑스의 조세 제도)에 필요한 시간적, 정세적 여유가 없었다.[19]

해외에서는 루이 13세가 북아메리카 대륙의 누벨프랑스 개발과 행정을 조직하고, 식민지를 퀘벡에서 몬트리올까지, 세인트로렌스 강 서쪽으로 확장했다.[19] 또한 1640년 프랑스령으로 선포된 섬(레위니옹)을 1642년 "부르봉 섬"으로 명명했다.[19]

문화적으로 루이 13세는 프랑스의 유망한 예술가들이 이탈리아에서 배우고 일하는 풍조를 바꾸려고 노력했다.[19] 그는 화가 니콜라 푸생과 필리프 드 샹파뉴에게 루브르 궁 장식을 맡겼다.[19] 또한, 『아마릴리스』를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리슐리외 추기경은 1624년부터 루이 13세 재위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향후 18년 동안 프랑스의 방향을 결정했다.[16] 리슐리외의 활동 결과, 루이 13세는 절대 군주의 초기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16] 루이와 리슐리외 치하에서 왕실은 30년 전쟁에 성공적으로 개입하여 합스부르크가(家)에 대항하였고, 프랑스 귀족들을 통제하고, 앙리 4세가 위그노들에게 부여한 정치적, 군사적 특권을 철회(종교적 자유는 유지)했다.[16] 루이 13세는 중요한 라 로셸 공성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6]

1642년 12월 리슐리외가 사망했다.[20]

4. 4. 해외 확장

일본과 관계는 1615년에 이미 설립되었다.[9] 1619년 국왕은 이자크 드 라질리 아래 함대를 모로코로 보냈다.[9] 그곳에 기반을 만들 수 있었다. 같은 해 오귀스탱 드 볼리외 장군 아래 무장 원정이 옹플뢰르에서 일본으로 보내졌다. 그 주요 목적은 극동에서 네덜란드인들과 싸우는 것이었다.

앙리 4세의 탐험 노력을 계속하기 위해 루이 13세는 모로코 식민지 건설을 고려하여 1619년 이자크 드 라질리를 지휘하는 함대를 파견했다.[9] 라질리는 모가도르까지 해안을 탐험할 수 있었다. 1624년 그는 모로코의 해적 항구 살레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무라이 지단의 자이다니 도서관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임명되었다.[10]

1630년 라질리는 모로코인들로부터 프랑스 노예들을 구입하는 협상을 성사시켰다. 그는 1631년에 다시 모로코를 방문하여 프랑스-모로코 조약 (1631년) 협상을 지원했다.[11] 이 조약은 프랑스에 강화 조건으로 알려진 특혜를 부여했다. 즉, 특혜 관세, 영사관 설치, 프랑스 국민의 종교 자유 등이었다.

다른 식민 열강과 달리 루이 13세와 리슐리외 추기경의 지휘 아래 프랑스는 뉴프랑스에서 원주민과 식민지 개척민 간의 평화로운 공존을 장려했다. 1627년 칙령에 따라 가톨릭으로 개종한 인디언들은 "자연스러운 프랑스인"으로 간주되었다.

아카디아 또한 루이 13세 치하에서 개발되었다. 1632년 이삭 드 라질리는 리슐리외 추기경의 요청으로 포트로열(현재 노바스코샤주 애너폴리스 로열)을 점령하고 프랑스 식민지로 개발하여 아카디아 식민화에 참여했다. 국왕은 라질리에게 뉴프랑스 부총독이라는 공식 직함을 수여했다. 그는 이전 조약에서 프랑스에 할양된 페놉스콧 만의 마자비그와듀스에 있는 펜타구에 요새를 장악하고 페마퀴드 북쪽의 모든 토지를 비우도록 영국에 통보하는 등 군사적 임무를 수행했다. 이로 인해 아카디아의 모든 프랑스 이익이 회복되었다. 브라질에서는 1612년 적도 프랑스 식민지가 설립되었지만, 포르투갈에 의해 4년 만에 소멸되었다. 1642년 루이 13세는 프랑스 국민이 대서양 노예 무역에 참여하는 것을 허가했는데, 그들이 노예로 삼은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조건이었다.[13]

프랑스-일본 관계는 1615년 루이 13세 치세에 시작되었다. 당시 다테 마사무네가 로마로 파견한 일본 사무라이이자 대사인 하세쿠라 쓰네나가가 며칠간 생트로페에 상륙했기 때문이다. 1636년에는 프랑스의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 사제인 기욤 쿠르테가 일본에 발을 디디면서 상호 교류가 이루어졌다.[14]

1615년 마리 드 메디시스는 디에프와 다른 항구의 상인들을 통합하여 몰루카 회사를 설립하였다. 1619년에는 3척의 함선(승무원 275명, 대포 106문)으로 구성된 무장 원정대인 "몽모랑시 함대"가 오귀스탱 드 보르뇌의 지휘 아래 옹플뢰르에서 출발하여 극동에서 네덜란드와 싸우기 위해 파견되었다. 1624년 리슐리외 추기경은 콩피에뉴 조약을 통해 극동에서의 네덜란드-프랑스 전쟁을 중단시키는 데 합의를 얻었다.[15]

5. 문화 발전

루이 13세는 어머니에게서 류트에 대한 애정을 물려받았다. 그의 첫 장난감 중 하나가 류트였으며, 주치의 장 에로아르는 루이 13세가 1604년, 세 살 때 어머니를 위해 류트를 연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5] 1635년 루이 13세는 "발레 드 라 메를레종(Ballet de la Merlaison)"의 음악을 작곡하고, 대본을 쓰고, 의상을 디자인했다. 국왕 자신도 같은 해 샹티이와 로와몽에서 두 차례 이 발레 공연에 출연했다.[26]

17세기 초반 서구 유럽 남성 패션에서 루이 13세는 1624년 남성들의 가발 착용을 유행시켰다.[27] 이 유행은 유럽과 유럽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로 퍼져나가 1660년대에 유행했으며, 프랑스 혁명으로 인한 의복 변화가 있던 1790년대까지 약 140년 동안 남성들의 지배적인 스타일이었다.[28]

6. 개인 생활과 유산

1615년 11월 24일, 루이 13세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의 딸인 오스트리아의 안 도트리슈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프랑스와 스페인 두 가톨릭 강대국 간의 군사 및 정치적 동맹을 왕실 결혼으로 굳건히 하는 전통을 따른 것이었다.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은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떨어져 지냈다. 23년간의 결혼 생활과 네 번의 사산 끝에, 안나는 1638년 9월 5일 아들 루이 14세를 낳았다.

프랑스 왕비 안 도트리슈(오스트리아의 안나), 루이 13세의 왕비 (피터 폴 루벤스 작, 1625년)


많은 사람들은 루이 14세의 탄생을 기적으로 여겼고, 오랫동안 기다려온 상속자의 탄생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부모는 그에게 루이-''드외도네''("신이 주신")라는 이름을 지었다.

루이 13세는 정부(情婦)를 두지 않아 "순결한 루이"라는 칭호를 얻었지만, 그가 동성애자였거나 양성애자였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여러 보고서가 있다. 왕비의 임신 간격이 길었던 것은 이성애 활동을 꺼렸던 루이 13세 때문이었을 수 있다. 십대 시절 그의 관심은 남성 궁정 신하들에게 집중되었고, 특히 총애하는 신하였던 샤를 달베르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했다. 왕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왕의 침실에서 일어났던 일에 대해 명시적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루이 13세는 자신보다 19살 어린 앙리 쿠아피에 드 뤼제에게 매료되었는데, 그는 나중에 전쟁 중 스페인과의 음모를 꾸몄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루이 13세는 만성 질환으로 고통을 겪었다. 현대 역사가들은 그가 폐외 결핵을 앓았다고 추측한다. 그는 1643년 5월 14일 사망했는데, 그의 지배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삼총사에서 불멸화되었다.

6. 1. 자녀

루이 13세와 안느 도트리슈 사이에는 1619년부터 1631년까지 4번의 유산 이후, 두 아들이 태어났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루이 14세1638년 9월 5일1715년 9월 1일프랑스 국왕. 1660년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필리프 1세 도를레앙 공작1640년 9월 21일1701년 6월 8일오를레앙 공작. 1661년 앙리에타 앤 스튜어트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고, 1671년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드 바비에르와 재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루이 14세의 탄생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적으로 여겨졌으며, 루이 13세 부부는 오랫동안 기다려온 상속자 탄생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아들에게 루이-''드외도네''("신이 주신")라는 이름을 지었다.[16][17][18]

참조

[1] 서적 Bringing the State Back 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 웹사이트 Schneider, Robert A. ''History 1450–1789: Louis XIII.'' http://www.answers.c[...] Answers.com 2012-08-23
[3] 서적 https://archive.org/[...] 1897
[4] 서적 https://books.google[...] 1830
[5] 서적 2008
[6] 백과사전 Concini, Concino https://www.britanni[...]
[7] 서적 1989
[8] 서적 1989
[9] 서적 Round table of Franciscan research Capuchin Seminary of St. Anthony 1952
[10] 서적 The Chevalier de Montmagny (1601–1657): First Governor of New Franc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ttawa Press 2005
[11] 서적 A Man of Three Worlds: Samuel Pallache, a Moroccan Jew in Catholic and Protestant Europ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12] 문서 Acte pour l'établissement de la Compagnie des Cent Associés pour le commerce du Canada, contenant les articles accordés à la dite Compagnie par M. le Cardinal de Richelieu, le 29 avril 1627 http://notrehistoire[...]
[13] 웹사이트 French por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lantation economy and the trade of enslaved people (EN, FR) https://www.projectm[...] 2022-12-13
[14]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15]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12-15
[16] 웹사이트 Apparition story of the Virgin Mary in Cotignac (Var, Provence) http://www.nd-de-gra[...] 2008-01-31
[17] 서적 https://archive.org/[...] 1908
[18] 백과사전 Louis XIV http://encarta.msn.c[...] MSN Encarta 2008-01-20
[19] 서적 Anne d’Autriche Hachette 1980
[20] 서적 Louis XIV https://archive.org/[...] Norton 1968
[21] 서적 1989
[22]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23] 서적 https://books.google[...] 2006
[24] 서적 1989
[25]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iguel Yisrael, lutenist, about the lute in France in the 17th century http://www.classique[...]
[26] 웹사이트 CND - Centre National de la Danse http://www.cnd.fr/ag[...] 2014-12-26
[27] 웹사이트 Everything Has a History Including Wigs https://historynewsn[...] 2016-03-13
[28] 웹사이트 "Horrid Bushes of Vanity": A History of Wigs http://www.randomhis[...] Randomhistory.com 2009-02-24
[29] 서적 Catherine de Medici: Renaissance Queen of France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6
[30] 웹사이트 The Medici Granducal Archive and the Medici Archive Project http://www.medici.or[...]
[31] 백과사전
[32] 서적 Painters and Their Wor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1897
[33] 웹사이트 Our Lady of Graces and the birth of Louis XIV http://www.nd-de-gra[...]
[34] 서적 La Provence mystique au XVIIe siècle https://books.google[...] Plon-Nourrit 1908
[35] 백과사전 Louis XIV http://encarta.msn.c[...] MSN Encata 2008-01-20
[36] 서적 Anne d’Autriche Hachette 1980
[37] 문서 The King's Affection
[38]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Unspecified) 1991
[39]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