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누 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누 법전은 '마누스므리티'라고도 불리며, 고대 인도의 다르마 샤스트라(힌두 법전) 중 하나이다. 이 법전은 인류의 시조인 마누의 전승과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기원전 2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누 법전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의 창조, 다르마의 근원, 네 가지 계급의 다르마, 업, 윤회, 해탈의 법칙 등을 다룬다. 이 법전은 브라만(사제 계급)과 크샤트리아(왕족, 행정 및 전사 계급)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여성의 권리와 덕, 윤리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마누 법전은 역사적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 법률 체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현대에는 그 진정성과 내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2. 명칭

Manusmṛtisa라는 제목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용어이며, 본문이 운문 형태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8] 발견된 50여 개가 넘는 사본에는 이 제목이 사용되지 않고, Manava Dharmashastra|마나바 다르마샤스트라sa라는 제목으로 명시되어 있다. 현대 학문에서는 이 두 제목이 동일한 경전을 가리킨다.[8]

3. 성립 시기

18세기 언어학자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슐레겔은 마누 법전을 기원전 1000년경으로 추정했으나, 이는 후대의 언어 발전을 고려할 때 받아들일 수 없다. 본문의 언어는 기원전 5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우파니샤드와 같은 후기 베다 문헌보다 후대의 것이기 때문이다.[9] 후대 학자들은 본문의 연대를 기원 1세기 또는 2세기로 수정했다.[10] 패트릭 올리벨은 화폐 증거와 벌금으로 금화가 언급된 점을 들어 본문이 기원 2세기 또는 3세기에 집필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1]

대부분의 학자들은 마누 법전을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저자가 집필한 종합적인 저작으로 본다.[12]

4. 구조

고대 본문은 12개의 아드히야야(adhyayas, 장)로 세분화되었지만, 원래 본문에는 그러한 구분이 없었다.[16] 본문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하나의 주제가 끝나고 다음 주제가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전환 구절"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고대 인도 문헌 중 독특하다.[16] 본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부분은 길이가 다르고 다시 하위 단락으로 나뉜다.[16]


  • 세계의 창조
  • 다르마의 근원
  • 네 가지 계급의 다르마
  • 업, 윤회, 그리고 최종 해탈의 법칙


본문은 숭고한 스승과 다양한 측면에 대해 배우고자 하는 제자들 간의 대화 형식으로 운문인 슐로카(shlokas, 운문)로 구성되어 있다.[17] 처음 58절은 본문에서 마누에게 귀속되며, 나머지 2천 절 이상은 그의 제자 브리구에게 귀속된다.[17]

다르마 샤스트라(힌두 법전)는 기존의 다르마 슁트라와는 다른 유형의 문헌이다. 다르마 슁트라는 수트라 형식으로 저술되었지만, 『마누 법전』을 비롯한 다르마 샤스트라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와 마찬가지로 고전 산스크리트어에 매우 가까운 언어로, 2행시인 슈로카 형식으로 쓰여졌다. 『마누 법전』은 "인류의 시조 마누의 전승"을 의미하며, 세계의 창조주 브라흐마의 아들로 인류의 시조로 여겨지는 신화적 인물 마누의 전승, 가르침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12장, 1342절, 2685구로 구성되어 있다.

5. 내용

『마누 법전』은 힌두교의 백과사전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힌두 사회 제도, 법률, 윤리 도덕 체계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114] 성인이 서술했다고 전해지는 슴리티(Smṛti) 중에서도 특히 높은 지위를 차지하며, 제2기 슴리티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114] 형식과 내용의 완성도가 높고 격조가 높아 다르마 샤스트라로서 확고한 지위를 쌓았으며, 『야주냐발키야 법전』과 함께 가장 중요한 다르마 샤스트라가 되어 힌두교 세계의 성전이 되었다.

『마누 법전』은 기존의 다르마 슁트라(Dharmaśūtra)와는 다른 유형의 문헌으로,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힌두 법전)라고 불린다. 다르마 슁트라는 수트라 형식으로 저술되었지만, 『마누 법전』을 비롯한 다르마 샤스트라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와 마찬가지로 고전 산스크리트어에 가까운 언어로, 2행시인 슈로카(śloka) 형식으로 쓰여졌다. 다르마(dharma)는 행동 규범, 사회적·종교적 의무를 의미하며, 『마누 법전』은 12장, 1342절, 2685구로 구성되어 있다.

금욕 고행주의의 대두로 정통적인 가정 중심의 사회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마누 법전』은 베다에 정통한 브라만 엘리트 계층에 의해 작성되었다. 4가지 바르나에 고유한 사회 기능을 정하고, 행동 규범을 통해 사회를 재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누 법전』은 19세기 중반까지 정통 힌두 사회의 행동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다르마 문헌으로서는 처음으로 (karma)·윤회 사상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선인선과·악인악과의 철칙은 사람들이 다르마를 지키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브라만은 청정 유지가 필수적이며, 『마누 법전』에는 청(淸)·부정(不淨)의 구체적인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여성에 대한 태도는 모순되어 있으며, 남성에 대한 복종을 의무로 하는 등 여성의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도 있다. 『마누 법전』에서 설명된 사회적 역할은 카스트 제도로 존속되었고, 바르나, 카스트 제도의 교의적 근거가 되었다.

『마누 법전』은 왕권 관계의 기술에 큰 비중을 할애하는 것이 특징이다. 왕의 행동에 관한 부분은 아르타(Artha) 전승에서 도입한 것으로, 브라만 그룹 외부의 지식이다. 막스 베버는 『마누 법전』이 『마하바라타』의 마지막 부분보다 후대의 것이라고 보았다. 베버와 막스 뮐러는 『마누 법전』의 운문 부분이 산문으로 쓰여진 오래된 논문을 번역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6세기 이후 다양한 주석서가 만들어졌으며, 가장 널리 통용되는 것은 13세기경 쿨루카(Kullüka)가 만든 주석서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제1장: 세계 창조, 주기적 세계관, 4계급(바르나)과 직능
  • 제2장~제10장: 4계급과 혼혈 집단의 생활 방식, 아슈라마(학생기·가주기·임주기·유행기), 통과의례, 일상 행사, 조상 제사, 국왕의 권력과 의무, 민법, 형법, 혼인법, 상속법 등
  • 제11장: 죄의 제거(프라야슈치타(Prāyaścitta)), 정화
  • 제12장: 업(業)(카르마), 윤회, 해탈


마누 법전에 따르면, 고대 인도에서는 불살생, 진실, 도둑질하지 않음, 감각의 통제와 함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사성(四身分)에 공통되는 올바른 다르마(dharma)였다. 다르마를 지키는 것은 현세에서 영원한 행복을 얻고, 궁극적으로 윤회를 벗어나 천계에 이르는 성취의 요건이었다.

5. 1. 다르마의 근원

마누법전에서는 다르마의 근원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한다.[19][20]

  • 베다
  • 전통
  • 선량한 사람들의 행동
  • 자신에게 즐거운 것


레빈슨에 따르면, 이는 다른 힌두 법률 문서와 마찬가지로, 다음 4가지 다르마의 근원을 포함하고 있다.[21][22][23]

  • Atmana santushti (양심의 만족)
  • Sadachara (덕 있는 개인의 지역적 규범)
  • Smriti (전통)
  • Sruti (베다)


마누법전 2장 6절에서는 "전체 베다가 신성한 법의 (첫 번째) 근원이며, 다음으로는 (베다를 더 잘 아는 사람들의) 전통과 덕 있는 행실, 성인들의 관습,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기만족(Atmana santushti)이다."라고 말한다.[19][20]

마누법전 2장 12절에서는 "베다, 신성한 전통, 덕 있는 사람들의 관습, 그리고 자신의 즐거움, 그들은 신성한 법을 정의하는 4가지 수단이라고 선언한다."라고 언급한다.[19][20]

5. 2. 네 가지 바르나(계급)의 다르마

마누 법전은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가지 바르나(카스트)에 따른 의무와 권리를 규정한다. 각 바르나의 의무는 다음과 같다.

바르나의무
브라만(사제자)베다의 교육과 학습, 자신을 위한 제사, 타인을 위한 제사, 선물, 보시를 받는 것
크샤트리아(왕, 무인)백성의 보호, 선물, 제사, 베다의 학습, 감각의 대상에 대한 무집착
바이샤(서민, 주로 농민)가축의 보호, 선물, 제사, 베다의 학습, 상업, 사채업, 농업
수드라(예민)상위 세 계급에 대해 질투하지 않고 봉사하는 것



마누 법전의 구조와 내용은 주로 브라만(사제 계급)과 크샤트리아(왕족, 행정 및 전사 계급)를 대상으로 한다.[31] 브라만의 법률과 기대되는 미덕에 관한 1,034구절(가장 큰 부분)과 크샤트리아에 관한 971구절을 할애하고 있다.[30] 반면 바이샤(상인 계급)와 수드라(장인 및 노동 계급)에 대한 규칙은 매우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31] 이는 "정치 권력과 사제의 이익 간의 균형"을 다루기 위해 저술되었고, 저술 당시 인도에 대한 외세 침입이 증가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31]

마누 법전에는 각 바르나에 따른 정화 의식이나 불결 기간 등의 규정이 다르게 나타난다.[116] 특히 상위 세 바르나와 수드라의 차이는 명백하며, 수드라는 항상 불결하다고 여겨져 베다를 낭송하거나 듣는 것도 허락되지 않았다.[116] 이는 인도에 침입하여 정복한 아리아인과 정복당한 원주민의 관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16]

5. 3. 왕의 의무와 전쟁 규칙

마누법전 7장은 왕의 의무, 갖추어야 할 미덕, 피해야 할 악덕에 대해 논한다.[52] 왕은 장관, 사절, 관리를 선발할 때 신중해야 하며, 잘 요새화된 수도를 갖추어야 한다.

마누법전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협상과 화해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52][53] 그러나 전쟁이 불가피할 경우, 군인은 민간인, 비전투원, 항복한 사람을 해쳐서는 안 되며, 무력 사용은 비례적이어야 한다.[52] 이는 인도 사회가 전쟁에서도 다르마(dharma, 올바른 행동)를 지켜야 함을 보여준다.

또한, 마누법전 7장은 공정한 조세 지침을 제시한다.[52][53] 크샤트리아가 다르마에 따라 전투 중 무기에 의해 죽으면 즉시 성취를 이룬다고 여겨졌으며, 전사로서 전장에서 죽는 것은 미덕으로 간주되었다.

5. 4. 여성의 권리

마누법전은 여성의 권리에 대해 상반된 관점을 제시한다.[50] 여성은 남성에게 복종해야 하고 독립적으로 살 수 없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는 반면,[45] 3.55-3.56절에서는 여성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하며, "여성이 존중받는 곳에는 신들이 기뻐한다"고 한다.[44][19]

결혼과 관련하여, 마누법전은 여성이 결혼을 해소할 수 없다고 선언하기도 하지만,[40] 다른 구절에서는 사기나 학대가 있는 경우 남녀 모두 결혼을 해소하고 재혼할 수 있다고 허용한다.[41] 또한 남편이 실종되거나 버린 경우 여성이 재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41]

마누법전은 아눌로마와 프라틸로마처럼 자신의 바르나 밖의 결혼, 브라만 남성과 수드라 여성의 결혼, 과부와 미혼 남성 사이의 임신 등 다양한 관행을 언급하고, 이러한 경우 재산 상속권과 자녀의 법적 권리를 부여한다.[46] 기혼 여성이 남편이 아닌 다른 남성과 임신한 경우, 자녀의 양육권은 여성과 법적 남편에게 있다고 명시한다.[47][48]

마누법전은 여성에게 여섯 가지 유형의 재산권을 부여한다. 여기에는 결혼 선물, 도망 또는 납치 시 받은 선물, 사랑의 증표, 가족에게 받은 것, 남편에게 받은 것, 사망한 친척에게 상속받은 것이 포함된다.[49]

플라비아 에이그니스는 마누법전이 여성의 권리에 대해 복잡한 논평이며, 영국 식민 시대에 힌두교도 여성의 권리를 성문화할 때 마누법전의 특정 측면만 선택하고 강조했다고 말한다.[50]

마누 법전에는 삼종지도(三従)와 같이 여성이 아버지, 남편, 아들에게 순종해야 한다는 사상이 나타나 있으며, 이는 오랫동안 여성의 권리를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18]

5. 5. 덕과 윤리

마누법전은 여러 구절에서 덕목을 열거하고 권장한다. 예를 들어, 6.75절에서는 모든 사람에게 비폭력과 절제를 핵심 덕목으로 권장하며,[19][32] 10.63절에서는 네 가지 바르나 모두 어떤 생명체도 해치지 않고, 거짓말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재산을 빼앗지 않아야 한다고 설파한다.[19][33]

마찬가지로, 4.204절에서 올리벨은 마누법전의 일부 사본에는 권장되는 덕목으로 "자비, 인내, 정직, 비폭력, 자제, 욕심 없음, 명상, 평온, 온화함, 정직함"을 주요 덕목으로, "정화, 제사, 고행, 기부, 베다 암송, 성적 욕망 억제, 의례, 금식, 침묵, 목욕"을 부차적인 덕목으로 열거하고 있다고 말한다.[34] 몇몇 사본에는 다른 4.204절이 있는데, 여기에는 "누구도 해치지 않기, 진실을 말하기, 순결, 정직, 훔치지 않기"를 중심적이고 주요한 덕목으로, "화내지 않기, 스승에게 순종하기, 정화, 절제된 식사, 경계"를 바람직하고 부차적인 덕목으로 열거하고 있다.[34]

발견된 다른 ''마누법전'' 사본들, 특히 가장 많이 번역된 캘커타 사본에서 4.204절은 야마에 속하는 윤리적 계율, 예를 들어 아힘사(비폭력)가 가장 중요하며, 니야마에 속하는 것들, 예를 들어 이슈바라프라니다나(개인적인 신에 대한 묵상)는 사소하며, ''야마''를 실천하지 않고 ''니야마''만 따르는 자들은 버림받는다고 선언한다.[19][35]

마누법전에는 개인이 자신과 타인에 대해 가져야 할 의무에 대한 다양한 구절이 있으며, 도덕 규범뿐만 아니라 법적 규범도 포함되어 있다.[36]

본문에서 다루는 개인의 행동은 광범위하다. 예를 들어, 2.51~2.56절에서는 승려가 구걸을 하고, 음식을 구걸하여 먼저 스승에게 바친 후 먹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얻은 음식을 존중하고 멸시하지 않고 먹어야 하지만, 과식은 건강에 해롭기 때문에 과식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한다.[37] 5.47절에서는 사람이 좋아하는 일을 생각하고, 착수하고, 행하며, 어떤 생명체도 해치지 않을 때 일이 수월해진다고 명시한다.[38]

수많은 구절이 육식, 그것이 살아있는 존재에게 어떻게 해를 끼치는지, 왜 악한지, 그리고 채식주의의 도덕성에 관해 이야기한다.[36] 그러나 본문은 양심에 호소하는 도덕적인 어조를 균형 있게 유지한다. 예를 들어, 5.56절은 "고기를 먹는 것, 술을 마시는 것, 성관계를 갖는 것에 잘못이 없다. 그것은 생명체의 자연스러운 활동이다. 그러나 그러한 활동을 삼가면 가장 큰 보상을 얻게 된다."라고 말한다.[39]

5. 6. 업, 윤회, 해탈

마누 법전의 12.3절부터 12.81절은 행위의 결과, 개인적 책임, 그리고 최고의 개인적 행복인 모크샤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행위에 대해 다룬다.[28]

마누 법전은 선행은 이 세상과 사후의 행복을 가져오고, 악행은 멸망, 지옥 또는 열등한 환생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즉, 행위의 결과에 따라 윤회하며, 궁극적으로는 윤회를 벗어나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누 법전의 마지막 구절은 다음과 같다.

마누 법전에 따르면, 고대 인도에서는 불살생, 진실, 도둑질하지 않음, 감각의 통제와 함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사성(四身分)에 공통되는 올바른 다르마(dharma)였다. 다르마를 지키는 것은 현세에서 영원한 행복을 얻고, 궁극적으로 윤회를 벗어나 천계에 이르는 성취의 요건이었다.

6. 진정성 및 불일치

패트릭 올리벨은 2005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한 마누법전 번역본을 통해 마누법전 사본의 진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54] 그는 자신이 대조한 50개가 넘는 사본 중 몇 개만이 쿨루카(Kulluka)의 주석이 포함된 캘커타 사본, 즉 "통용본"을 따르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54]

다른 학자들 또한 마누법전 구절들의 진정성과 후대에 변경, 삽입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시나는 마누법전에 있는 2,685개의 구절 중 절반 미만인 1,214개의 구절만이 진정성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56] 또한, 마누법전의 구절들은 내적으로 모순된다.[55] 예를 들어, 마누법전 3.55–3.62절은 여성의 지위를 찬양하지만, 9.3절과 9.17절은 그 반대이다.[56] 가네샤와 관련된 구절들과 같이 마누법전에서 발견되는 다른 구절들은 현대 시대에 삽입된 위조물이다.[57] 로버트 E. 반 보어스트는 3.55–60절은 가부장적 체제 내에서 여성이 집에서 받는 존중에 관한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58]

1887년 넬슨은 영국령 인도 마드라스 고등법원에서 법률 요약에서 "마누 스므리티 자체에는 여러 가지 모순과 불일치가 있으며, 이러한 모순은 그러한 주석이 따라야 할 법적 원칙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권고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결론을 내리게 할 것"이라고 진술했다.[59] 마하트마 간디는 마누법전 내의 관찰된 불일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7. 주석서

바루치(Bhāruci)는 『마누법전』(Manu Smṛti)에 대한 가장 오래된 주석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주석서인 『마누샤스트라비바라나(Manu-sastra-vivarana)』는 영국 식민 시대부터 유통된 쿨루카(Kullūka)-칼카타 판본보다 훨씬 적은 수의 구절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실된 것으로 여겨지는 더 오래된 경전들을 언급한다.[64]

메다티티(Medhātithi)의 주석서는 널리 연구되었다. 학자들은 그가 북인도, 아마도 카슈미르 지방 출신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마누법전』 주석서는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로 추정된다.[65]

고빈다라자(Govindarāja)의 주석서인 『마누티카(Manutika)』는 11세기 주석서로, 『짐무타바하나(Jimutavahana)』와 『락슈미다라(Laksmidhara)』에서 언급되었으며, 올리벨(Olivelle)은 쿨루카(Kullūka)에 의해 표절되었다고 주장한다.[66]

쿨루카(Kullūka)의 주석서인 『만바르타무크타발리(Manvarthamuktavali)』는 그가 편찬한 『마누법전』 사본과 함께 18세기 영국 식민 관리들이 칼카타에서 발견한 이후로 "통용본" 또는 표준본이자 가장 많이 연구된 판본이 되었다.[66] 올리벨에 따르면, 이것이 가장 많이 재현되고 유명한 것은 가장 오래되었거나 우수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가장 먼저 발견된 운 좋은 판본이기 때문이다.[66]

나라야나(Nārāyana)의 주석서인 『만바르타비브르티(Manvarthavivrtti)』는 아마도 14세기 것으로 추정되며, 저자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66]

난다나(Nandana)는 남인도 출신이며, 그의 주석서인 『난디니(Nandini)』는 남인도에서의 『마누법전』 판본과 해석에 대한 유용한 기준을 제공한다.[66]

그 외에도 『마누법전』에 대한 알려진 중세 시대 주석서로는 사르바즈냐나라야나(Sarvajnanarayana), 라가바난다(Raghavananda), 라마찬드라(Ramacandra) 등의 주석서가 있다.[66][67]

8. 역사적 의의와 역할

학자들은 마누 법전이 고대 또는 중세 인도 사회에서 법전으로 실제 시행된 적이 없다고 의심한다. 데이비드 벅스바움은 "최고의 현대 동양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마누법전은 전체적으로 인도에서 실제로 시행된 적이 있는 규칙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대부분 브라만의 관점에서 볼 때 법이 되어야 할 것에 대한 이상적인 그림이다"라고 말한다.[68]

도널드 데이비스는 "다른 형태의 법전 인식, 존중 및 활용과는 달리, 통치자나 어떤 국가에 의한 다르마샤스트라(Dharmasastra, 마누법전 포함)의 적극적인 전파나 시행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없다. 따라서 다르마샤스트라를 법전으로, 저자들을 입법자로 생각하는 것은 그 역사에 대한 심각한 오해이다"라고 썼다.[69] 다른 학자들도 구자라트, 케랄라, 타밀나두의 중세 힌두 왕국에서 얻은 비문, 고고학적 및 텍스트 증거를 바탕으로 같은 견해를 표명했지만, 마누 법전이 남아시아 법의 역사에 영향을 미쳤고 이론적 자료였음을 인정했다.[70][71]

마누 법전(Manusmṛti)은 기존의 다르마 슁트라(Dharmaśūtra)와는 다른 유형의 문헌으로,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힌두 법전)라고 불린다. 다르마 슁트라는 수트라 형식으로 저술되었지만, 마누 법전을 비롯한 다르마 샤스트라는 슈로카(śloka) 형식으로 쓰여졌다. 마누 법전은 "인류의 시조 마누의 전승"을 의미하며, 브라흐마의 아들로 인류의 시조로 여겨지는 신화적 인물 마누의 전승, 가르침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다르마(dharma)는 행동 규범, 사회적·종교적 의무를 의미한다.

마누 법전은 힌두교의 백과사전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힌두 세계 특유의 사회 제도, 법률, 윤리 도덕 체계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성인이 서술했다고 전해지는 성전 중에서도 특히 높은 지위를 차지하며, 제2기 슴리티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형식·내용의 완성도가 높고 격조가 높기 때문에 다르마 샤스트라로서 확고한 지위를 쌓았으며, 야주냐발키야 법전과 함께 가장 중요한 다르마 샤스트라가 되어 그 이후 힌두교 세계의 성전이 되었다.

마누 법전은 브라만 엘리트 계층에 의해 작성되었다. 4가지 바르나 각각에 고유한 사회 기능을 정하고, 인간 본래의 성스럽고 올바른 삶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행동 규범으로 함으로써 사회를 재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4가지 바르나를 기초로 한 촌락 생활 및 생활 규범 등이 체계화되어 있다. 바르나 체제는 창조주에 의한 세계 창조의 일환으로 신의 뜻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마누 법전은 바르나 체제에 신적인 권위를 부여했는데, 이는 다르마 슁트라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부분이다. 마누 법전은 19세기 중반까지 정통 세계의 행동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계속 수행했다.

마누 법전에서 설명된 사회적 역할은 고정화되어 카스트 제도로 존속되었고, 바르나, 카스트 제도의 교의적 근거가 되었다. 법 규정은 자세하게 체계화되었지만, 분량은 전체의 4분의 1 정도이다. 7-9장은 인도에서 법적 요소를 체계화하는 최초의 시도가 되고 있다.

막스 베버는 마누 법전이 마하바라타의 마지막 부분보다 더 후대의 것이라고 생각했다. 베버와 막스 뮬러는 마누 법전의 운문 부분은 산문으로 쓰여진 오래된 논문을 후에 번역한 것이라고 보았다.

마누 법전은 오랫동안 인도에서 존중받았으며, 힌두교 성립 이후에도 근본 법전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이상적이고 문학적이며, 교훈적인 요소도 많아 인도인의 생활뿐만 아니라 인도인의 내면, 정신적인 부분까지 깊이 뿌리내리는 등 그 영향력은 측정하기 어렵다.

8. 1. 인도 외부

『다르마샤스트라』, 특히 마누법전은 미얀마의 와레루 담마탓, 태국, 캄보디아, 그리고 인도네시아 자바-발리에서 자연 질서를 정의하는 문서로서, 왕들이 준수해야 할 의무로서 크게 존중받았다. 이 법전들은 베껴지고, 번역되었고, 현지 법전에 통합되었는데, 미얀마와 태국에서는 원문을 엄격하게 준수했고, 자바(인도네시아)에서는 현지의 필요에 맞게 적응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71] 중세 시대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텍스트와 마누법전 사본은 영국령 인도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로 사용되어 온 “보통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후커의 말에 따르면, 당시 존재했던 마누법전은 동남아시아 사람들의 법전의 역사적 기초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힌두 문화와 함께 미얀마,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 전해져 그 여러 법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미얀마에서 왕조 시대에 편찬된 「다마탓」은 마누 법전 등의 다르마 샤스트라가 불교적으로 개작된 속세법으로 알려져 있다.[122]

8. 2. 영국령 인도

영국 식민 통치 이전 남아시아의 무슬림들은 샤리아(이슬람법)를 따랐으며, 이는 '''파트와-에-알람기리(Fatawa-e-Alamgiri)'''에 성문화되어 있었다. 하지만 힌두교,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 파르시교 등 비무슬림에 대한 법은 성문화되지 않았다.[77] 영국 식민 당국이 도착하면서 마누 법전(Manusmriti)은 남아시아 비무슬림들을 위한 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역사적인 역할을 했고, 초기 서구에서 고대 및 중세 인도 사회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7]

18세기 동인도회사의 초기 영국인들은 무굴 제국의 대리인 역할을 했다. 영국 식민 통치가 인도의 정치 및 행정 권력을 장악하면서 입법 및 사법 기능과 같은 다양한 국가 책임을 떠맡게 되었다.[78] 동인도회사와 후대의 영국 왕실은 무역을 통해 영국 주주들에게 이윤을 추구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군사 개입으로 효과적인 정치적 통제를 유지하려고 했다.[80] 행정부는 최소한의 저항으로, 대부분 무슬림과 일부 힌두교도인 여러 토후국가의 지역 중개인들을 활용하는 길을 택했다.[80] 영국은 간섭을 피하고 지역 중개인들이 설명하는 법적 관행에 적응함으로써 권력을 행사했다.[79] 무슬림을 위한 기존 법률 문서와 부활한 마누 법전(Manusmriti) 원고는 식민 국가가 19세기 후반까지 식민지 이전의 종교 및 정치 법과 갈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78][80][89]

인도 무슬림의 경우, 영국은 아우랑제브 후원하에 쓰여진 '''알-시르지야(al-Sirjjiyah)'''와 '''파트와-이 알람기리(Fatawa-i Alamgiri)'''와 같은 문서를 바탕으로 샤리아를 법전으로 받아들였다.[82][83][84][85] 하지만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 파르시교 등 힌두교도와 다른 비무슬림에 대한 정보는 없었다.[78] 힌두법의 내용은 영국 식민 당국이 마누 법전(Manusmriti)에서 가져온 것이었고, 1794년에 번역된 최초의 다르마샤스트라(Dharmasastra)가 되었다.[86][7] 영국 식민 당국은 실제로 식민 통치 목적으로 다르마샤스트라(Dharmaśāstra)에서 영국의 법과 종교 범주를 추출하려고 시도했다.[87][88]

그러나 영국 식민 당국은 마누 법전(Manusmriti)을 법전으로 오해하여, 그것이 긍정적 법률의 진술이 아니라 도덕과 법에 대한 주석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89][82] 19세기 초의 식민 당국은 또한 마누 법전(Manusmriti)이 경쟁하는 여러 다르마샤스트라(Dharmasastra) 텍스트 중 하나일 뿐이며, 인도의 이슬람 지배 기간 동안 수세기 동안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89][82] 당국은 마누 법전(Manusmriti)을 부활시켜 남아시아 무슬림 인구에 대한 샤리아 사용 정책을 충실히 지키기 위해 비무슬림을 위한 긍정적 법률 진술을 텍스트에서 구성했다.[7][89][82] 따라서 마누 법전(Manusmriti)은 영국-힌두법을 구성하는 데, 그리고 식민 시대부터 고대 및 중세 시대 힌두 문화에 대한 서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역할을 했다.[90]

9. 다른 다르마샤스트라와의 비교

존 보커에 따르면, 『마누법전』(마누 다르마샤스트라)과 함께 고대 인도에는 18개에서 36개 사이의 경쟁적인 다르마샤스트라들이 존재했다고 한다.[14] 이들 텍스트의 상당수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소실되었지만, 다른 고대 인도 텍스트에서 언급되어 일부 지역이나 시대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시사한다. 수많은 법률 관련 주석과 스므리티 텍스트 중에서, 마누 스므리티 이후 그리고 더 오래된 다르마 수트라 이외의 텍스트들 중에서, 야즈냐발크야 스므리티는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그 뒤를 나라다 스므리티와 파라샤라 스므리티(가장 오래된 다르마 스므리티)가 따랐다.[91] 고세(Ghose)와 다른 학자들에 따르면, 증거는 통치와 관행 문제에 있어서 야즈냐발크야 스므리티가 마누 스므리티보다 더 많이 참조되었음을 시사한다. 저술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마누 스므리티 이후 수 세기 후일 가능성이 높은 이 텍스트는 더 "간결하고, 체계적이며, 압축적이고, 자유로운" 성격을 띤다.[92]

M. 라마 조이스는 그의 저서 "인도의 법률 및 헌법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93]

> 18개의 법률 제목에 관하여, 야즈냐발크야는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마누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 여성의 상속권과 재산 소유권, 수드라의 지위, 형벌과 같은 문제에 있어서, 야즈냐발크야는 마누보다 더 자유롭다. …그는 유효한 문서 작성, 저당권, 담보 제공, 파트너십 및 합작 투자와 같은 주제를 철저하게 다룬다.

조이스는 야즈냐발크야 스므리티 텍스트의 자유로운 진화가 고대 인도의 불교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92] 야즈냐발크야 텍스트는 또한 수도원 조직, 토지 기증, 증서 작성 및 기타 사항에 대한 장을 추가한다는 점에서 마누 텍스트와 다르다. 야즈냐발크야 텍스트는 12세기 비즈냐네슈바라가 저술한 주석서인 『미탁샤라』에서 증명되는 것처럼, 중세 시대의 많은 힌두 왕국에서 더 많이 참조되었다.[94]

10. 현대적 수용

B. R. 암베드카르는 마누법전을 인도의 카스트 제도의 원인으로 여겨 비판했다. 그는 1927년 12월 25일 항의의 표시로 마누법전을 불태웠다.[96] 반면, 마하트마 간디는 마누법전에 고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지만, 일관성과 모순이 있는 경전이며, 원본을 소유한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했다.[97] 그는 마누법전 전체를 읽고 "진실과 아힘사(타인에 대한 비폭력)"와 일치하는 부분은 받아들이고 다른 부분은 거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97]

프리드리히 니체는 마누법전에 대해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했다. 그는 마누법전을 기독교 성경보다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영적이고 우월한 작품"이라고 칭찬하며, "전체 책에 햇살이 비친다"고 언급했다.[100] 또한 마누의 사회 질서가 완벽과는 거리가 멀지만, 카스트 제도의 일반적인 개념은 자연스럽고 옳다고 생각했다.[102][103] 그러나 그는 "이러한 규정은 충분히 교훈적이다. 여기서 우리는 아리아 인류를 처음으로 순수하고 원초적인 모습으로 만난다. 우리는 '순수 혈통'이라는 개념이 무해한 개념의 반대라는 것을 알게 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104][105]

참조

[1] 서적 Manusmriti http://oxfordindex.o[...]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논문 The discourse of what is primary
[5] 웹사이트 Flood (1996) https://archive.org/[...]
[6] 논문 The Idea of Hindu Law
[7] 서적 The Spirit of Hindu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Indian Empire: Its People, History and Products Routledge
[10] 웹사이트 Manu-smriti | Hindu law https://www.britanni[...] 2023-01-01
[11]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3]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Message and the Book: Sacred Texts of the World's Religio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5] 서적 Dharmasutras – the law codes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17]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laws of Manu http://archive.org/d[...] Oxford : The Clarendon Press
[20] 서적 The Laws of Manu Penguin
[21] 서적 Encyclopedia of Crime and Punishment SAGE Publications
[22] 논문 On Ātmastuṣṭi as a Source of Dharma
[23] 서적 Hindu Law: Beyond Tradition and Modernity Oxford UP
[24]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서적 Manu's Code of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Bharuci's commentary on the Manusmrti Schriftenreihe des Sudasien-Instituts der Universitat Heidelberg
[33]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Bharuci's commentary on the Manusmrti Schriftenreihe des Sudasien-Instituts der Universitat Heidelberg
[36]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Law and Gender Inequality: The Politics of Women's Rights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Islam and the Secular State Harva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3]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Women of India: Their Status Since the Vedic Times
[56] 서적 Psycho-Social Analysis of the Indian Mindset Springer Academic
[57] 서적 Ganesh: Studies of an Asian God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8] 서적 Anthology of World Scriptures https://books.google[...] Cengage 2016-01-01
[59] 서적 Entanglements in Legal History Max Planck Institute
[60] 서적 Hinduism According to Gandhi Orient Paperbacks
[61] 서적 History of Dharmaśāstr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Poona
[62] 서적 Dharmaśāstra: A Literary History
[63] 서적 Bharuci's commentary on the Manusmrti Schriftenreihe des Sudasien-Instituts der Universitat Heidelberg
[64] 서적 Essays in Classical and Modern Hindu Law Brill Academic
[65] 서적 History of Dharmaśāstra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66] 서적 Manu's Cod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Manavadharmaśastram
[68] 서적 Family Law and Customary Law in Asia: A Contemporary Legal Perspective Springer Academic
[69] 서적 The Spirit of Hindu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서적 Hindu Law: Beyond Tradition and Modernity Oxford University Press
[71] 논문 Intermediate Realms of Law: Corporate Groups and Rulers in Medieval India
[72] 논문 Manusmriti and Manavadhammasattham: Indian Influence on Burmese Legal Texts https://www.jstor.or[...] 1993
[73] 서적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The lands below the winds Yale University Press
[74] 서적 Burmese Administrative Cyc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Classical Law of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 논문 The Indian-Derived Law Texts of Southeast Asia 1978-02
[77] 논문 Justices and Paṇḍitas: Some Ironies in Contemporary Readings of the Hindu Legal Past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989-11
[78] 서적 Hinduism and Law: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논문 Framed, Blamed and Renamed: The Recasting of Islamic Jurisprudence in Colonial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5
[80] 논문 Law, State and Agrarian Society in Colonial India 1981
[81] 논문 Indian Response to Anglo-Hindu Law
[82] 서적 Institutions and Ideologies: A SOAS South Asia Reader Routledge
[83] 서적 Sharia and ambiguity in South Asian Isl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4] 서적 Islam and the Secular State Harva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A digest of Moohummudan law on the subjects to which it is usually applied by British courts of justice in India http://archive.org/d[...] London, Smith, Elder & co. 1875
[86] 웹사이트 Flood (1996) https://archive.org/[...]
[87] 논문 Hindu Law and Religion: Where to draw the line? New Delhi
[88] 서적 Punishment and Expiation: Overlapping Domains in Brahmanical Law Faber
[89] 논문 Hindu Conceptions of Law
[90] 논문 Law Books in an Oral Culture: The Indian Dharmaśāstra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993-06
[91] 서적 Legal and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Universal Law Publishing
[92] 서적 Legal and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Universal Law Publishing
[93] 서적 Legal and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Universal Law Publishing
[94] 서적 Legal and Constitutional History of India Universal Law Publishing
[95] 문서 Avari, pp. 142–143.
[96] 서적 Castes of Mind: Colonialism and the Making of Modern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97] 서적 Hinduism according to Gandhi Orient Paperbacks
[98] 문서 Flood (1996), p. 56.
[99] 문서 Thapar (2002), pp. 2–3.
[100] 서적 The Antichrist
[101] 서적 Nietzsche and the Political Routledge
[102] 서적 Friedrich Nietzsche: A Philosophic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 서적 Nietzsche: The Anti-Christ, Ecce Homo, Twilight of the Idols: And Other Wri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 서적 From Shakespeare to Existenti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5] 서적 The Portable Nietzsche https://books.google[...] Penguin 1977-01-27
[106] 서적 Dr. Babasaheb Ambedkar, Writings and Speeches: Philosophy of Hinduism ; India and the pre-requisites of communism ;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 Buddha or Karl Marx https://books.google[...] Education Department, Government of Maharashtra 1987
[107]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s Oxford University Press 1960
[108] 웹사이트 An Historical and Artistic Description of Sanchi https://web.archive.[...] 2007-07-20
[109]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Norton 2011
[110] 문서 The Light of Truth, Chapter 4
[111] 서적 The Pedigree of Man: Four Lectures Delivered at the Twenty-eighth Anniversary Meetings of the Theosophical Society, at Adyar, December, 1903 https://archive.org/[...] Theosophical Publishing Society 1904
[112] 서적 The Will to Power
[113] 웹사이트 ヒンドゥー教の聖と俗ー古代インド人の人生の目的(purusartha)とはー https://www.cc.kyoto[...] 2024-11-10
[114] Kotobank シュルティ
[115] 웹사이트 日本南アジア学会28回全国大会 先達に聞く 第3回 報告者 小谷汪之先生(東京都立大学名誉教授) https://jasas.info/i[...] 2024-11-17
[116] 웹사이트 国際身分制研究会 研究会・学習会報告 穢れと規範:インドの不可触民を中心として https://blhrri.org/o[...] 2024-11-17
[117] 웹사이트 インド法典と「法(ダルマ)」の概念の展開 発表者:井狩彌介 (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https://www.asafas.k[...] 2024-11-10
[118] Kotobank 三従
[119] Kotobank 女大学
[120] 웹사이트 亀山の歴史の中の女性達 プロローグ https://kameyamareki[...] 2024-11-10
[121] 웹사이트 女大学(おんなだいがく) https://www.historis[...] 2024-11-10
[122] 서적 ビルマ法制史研究入門 - 伝統法の歴史的役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