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 링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 링깃은 말레이시아의 통화이다. 링깃이라는 단어는 말레이어로 "톱니 모양"을 의미하며, 스페인 달러에서 유래되었다. 말레이시아 링깃은 국제적으로 MYR 코드로 표시되며, RM이라는 약어와 통화 기호를 사용한다. 1967년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대체하면서 도입되었으며, 싱가포르 달러 및 브루나이 달러와 한때 상호 교환이 가능했으나 1973년 중단되었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으나, 2005년 변동환율제로 전환되었다. 링깃은 동전과 지폐로 발행되며, 동전은 1, 5, 10, 20, 50 센트, 지폐는 1, 5, 10, 20, 50, 100 링깃이 유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경제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는 1930년 싱가포르 증권 중개인 협회에서 시작하여 1960년 말레이 증권거래소로 공식 설립되었고,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와의 분리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세 개의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 5월 기준 시가총액 2조 링깃을 돌파하는 등 말레이시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말레이시아의 경제 -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태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및 자산 가치를 폭락시킨 경제 위기로, 취약한 경제 구조와 외부 충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IMF의 구조조정 요구는 논란을 야기했고, 이는 동아시아 경제 정책 변화와 금융 시스템 개혁을 촉발했다.
  • 통화 기호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통화 기호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 아시아의 통화 - 부탄 뉘땀
    부탄 뉘땀은 1974년부터 통용된 부탄의 통화로, 인도 루피와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며 부탄에서 법정 통화로 통용되고, 1뉘땀은 100 체트럼으로 나뉘며, 부탄 왕립 통화청에서 지폐와 주화를 발행한다.
  • 아시아의 통화 - 인도네시아 루피아
    인도네시아 루피아는 인도네시아의 통화이며, 1946년 처음 발행되어 여러 경제 위기를 겪으며 가치가 하락했고, 현재 지폐와 동전으로 유통되며 리디노미네이션과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개발이 논의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링깃
통화 정보
현지어 통화 이름Ringgit Malaysia
로마자 표기Ringgit Malaysia (링깃 말레이시아)
자위 문자ريڠݢيت مليسيا
ISO 코드MYR
사용 국가말레이시아
비공식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중국
인플레이션율3.38% (2022년)
인플레이션율 출처 날짜말레이시아 통계청
대체 통화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
보조 단위 비율1/100
보조 단위 이름센(sen)
속어 (보조 단위)쿠팡 (kupang, 1/10 단위, 특히 크다 주 및 말레이 반도 북부)
기호RM
자주 사용되는 동전5, 10, 20, 50 센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1 센 (단종, 여전히 법정 통화)
자주 사용되는 지폐RM1, RM5, RM10, RM20, RM50, RM100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RM2 (단종, 여전히 법정 통화); RM60, RM600 (기념)
발행 기관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발행 기관 웹사이트말레이시아 중앙은행 웹사이트
조폐국말레이시아 왕립 조폐국
기타 정보
도입 날짜1967년 6월 12일
현재 발행된 말레이시아 링깃 지폐 및 동전
2012년부터 사용된 현재 발행된 말레이시아 링깃 지폐 및 동전

2. 어원

'''링깃'''(말레이어)은 "톱니 모양"을 뜻하는 구식 용어이다. 이 단어는 원래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지역에서 널리 유통된 최초의 유럽 동전은 스페인 달러였는데, 조잡한 외관이 돌과 비슷하여 "jagged"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0] 이 스페인 통화의 유통은 스페인이 인근 필리핀을 통제했기 때문이다.[11]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인(jagged 또는 "beringgit") 18세기 스페인 달러


1812년의 초기 인쇄 자료인 ''말레이어 사전''에는 이미 링깃을 화폐 단위로 언급하고 있다.[10]

현대에는 ''링깃''이 거의 전적으로 통화에 사용된다. 싱가포르 달러브루나이 달러도 말레이어로 ''링깃''이라고 불리지만 (미국 달러와 호주 달러와 같은 통화는 ''달러''로 번역됨), 오늘날 싱가포르 달러는 말레이어로 ''달러''라고 더 흔히 불린다.[12] 세 통화를 구별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통화는 ''링깃 말레이시아''(Ringgit Malaysia)라고 불리며, 따라서 공식 약어 및 통화 기호는 ''RM''이다. 국제적으로 말레이시아 링깃의 ISO 4217 통화 코드는 ''MYR''이다.

말레이어 이름 ''링깃''과 ''센''(sen)은 1975년 8월 28일에 공식적으로 유일한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었다.[13] 이전에는 영어로 달러와 센트, 말레이어로 링깃과 센으로 공식적으로 알려졌으며, 국가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사용법이 계속되고 있다. 말레이 반도의 북부 주에서는 10 ''센'' 단위를 케다 말레이어에서는 ''쿠팡''(kupang)이라고 부르고, 페낭 호키엔어에서는 ''푸앗''()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태국어 단어 ''바트''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50 ''센''은 말레이어로는 ''리마 쿠팡''(lima kupang) 또는 클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방언으로는 '사마'(samah), 호키엔어로는 ''고 푸앗''()이라고 한다. 말레이시아타밀어 사용 공동체는 ''링깃''을 지칭하기 위해 타밀어로 "은"을 뜻하는 ''벨리''(veḷḷi|வெள்ளிta)를 사용하고, ''센''의 경우 영어 단어 "cash"의 어원인 ''카수''(kācu|காசுta)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3. 역사

마닐라 갤리온을 통해 유입된 스페인-아메리카 은화는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 국제 무역의 주요 통화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결국 "링깃"으로 불리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스페인 달러에서 파생된 스트레이츠 달러, 사라왁 달러, 영국령 북보르네오 달러 등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달러들은 말라야 달러, 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거쳐 현대의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달러의 기원이 되었다.

1967년 6월 12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대체하는 말레이시아 달러를 발행했다.[14] 새 통화는 10,000달러권을 제외한 이전 통화의 모든 액면가를 유지했으며, 색상 체계도 그대로 계승했다. 당시 말레이시아는 스털링 지역 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새 달러는 1 영국 파운드 스털링당 달러로 평가되었다(£1 = US$2.80, US$1 = M$3.06). 그러나 1967년 11월, 파운드가 14.3% 평가 절하되면서(US$2.80→US$2.40) 스털링 지역은 붕괴되었다. 새 통화는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지만(US$1 = M$3.06), 이전 지폐는 평가 절하되어 가치가 하락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는 통화 동맹을 맺어 상호 교환 협정을 준수했지만, 1973년 5월 8일 말레이시아 정부가 협정에서 탈퇴하면서 종료되었다.[15] 1975년에는 '말레이시아 링깃'이라는 명칭이 도입되었고, 1993년에는 통화 기호 "RM"이 "$"를 대체하게 되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링깃은 자유 변동환율제를 채택하여 미국 달러당 약 2.50링깃으로 거래되었다.[16]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자본 도피가 발생하면서 1997년 말 링깃 가치는 3.80 MYR/USD 아래로 크게 하락했다.[16] 1998년 상반기에는 3.80~4.40 MYR/USD 사이에서 변동하다가, 1998년 9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링깃을 미국 달러에 3.80 MYR/USD로 고정하고 다른 통화에 대해서는 변동환율제를 유지했다. 또한, 링깃은 역외 거래가 금지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1998년 9월 2일 고정 환율 제도를 도입하여 1 미국 달러 = RM3.80의 환율을 적용했다. 그러나 2005년 7월 21일 중국의 위안화 개혁에 따라 통화 바스켓 제도에 의한 관리 변동 환율 제도로 전환했다. 이는 달러 약세에 따른 링깃 가치 하락을 방지하고, 중국 위안화 평가 절상과 함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 2005년 12월까지 1USD = RM3.77 - 3.7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06년 1월 해외 투자 자금 유입으로 1USD = RM3.73까지 강세를 보였다. 이후 링깃은 상반기에는 1USD = RM3.60 이하, 하반기에는 RM3.65 - 3.70 범위로 변동했다. 2006년 말에는 주식 투자 및 기업 인수합병을 위한 해외 자금 유입으로 1USD = RM3.53까지 급등했다.

2005년 고정환율제 종료 후, 링깃은 2008년 4월 3.16 MYR/USD까지 통화 평가 절상되었다. 홍콩 달러와 인민폐에 대해서도 2008년 5월까지 가치가 상승했다. 2010년 9월, 나집 라작 총리는 링깃 역외 거래 재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악용 방지를 위한 규정 마련을 시사했다.[27]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과 2008년 페르마탕 파우 바이 선거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원유 가격 하락, 금리 인상 부족[28] 등으로 링깃 가치는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급락했다. 2008년 9월 4일, 미국 달러는 3.43 MYR/USD로 절상되었고,[29] 다른 주요 통화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2009년 3월 링깃은 3.73 MYR/USD로 급등했다가 2011년 중반까지 3.00 MYR/USD로 회복, 2011년과 2014년 사이에는 약 3.10 MYR/USD로 안정화되었다.

1MDB 스캔들 심화, 2015-16년 중국 증시 불안,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등의 영향으로 2014년 중반부터 링깃 가치는 급락했다. 2014년 중반 3.20 MYR/USD에서 2015년 초 3.70 MYR/USD로 하락했고, 2015년 9월에는 1998년 이후 최저 수준인 4.43 MYR/USD까지 떨어졌다.[30] 이후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링깃은 4.40~4.50 MYR/USD 아래로 하락했다.

2016년 11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링깃 비 인도적 선물환 거래 단속을 강화했다.[31] 이후 링깃은 미국 달러에 대해 꾸준히 절상되었으며, 경제 성과 개선,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 재협상, 원유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2017년 11월 초부터 상승세를 보였다. 2018년 4월 초 3.86 MYR/USD까지 상승했지만, 2018년 미중 무역 전쟁, 신흥 시장 매도 공포,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 결과로 인한 경제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2018년 10월 말에는 약 4.18 MYR/USD로 하락했다. 유로화를 제외한 다른 주요 통화에 대해서는 2016년 말 이전 수준으로 가치가 회복되었지만, 전반적으로 2013년 말 이전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3. 1. 독립 이전

마닐라 갤리온이 가져온 스페인-아메리카 은화는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 사용된 국제 무역의 주요 통화였으며, 결국 "링깃"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세기에 도입된 다양한 달러는 스페인 달러에서 파생되었으며, 스트레이츠 달러, 사라왁 달러, 영국령 북보르네오 달러가 있었다. 이 달러로부터 후속 통화인 말라야 달러와 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 그리고 궁극적으로 현대의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달러가 파생되었다.

3. 2. 독립 이후 (1967–1997)

1967년 6월 12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말레이시아 달러는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액면가로 대체했다.[14] 새 통화는 10,000달러권을 제외하고 이전 통화의 모든 액면가를 유지했으며, 구 달러의 색상 체계도 그대로 가져왔다. 이후 1967년 M$1 동전 도입부터 1999년 RM500 및 RM1,000 지폐의 통용 중단에 이르기까지 수십 년 동안 발행된 지폐와 동전에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

말레이시아 달러가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를 액면가로 대체했고 말레이시아가 스털링 지역의 회원국이었기 때문에, 새 달러는 원래 1 영국 파운드 스털링당 달러로 평가되었다. £1 = US$2.80이므로, US$1 = M$3.06이었다. 말레이시아 달러 도입 5개월 후인 1967년 11월, 파운드는 US$2.80에서 US$2.40으로 14.3% 평가 절하되어 스털링 지역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1972년에는 붕괴되었다. 새 통화는 US$1 = M$3.06으로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지만, 말라야-영국령 보르네오 달러의 이전 지폐는 8.57달러당 US$2.80에서 US$2.40으로 평가 절하되었다. 그 결과 이 지폐의 가치는 달러당 85센트로 감소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 새로운 통화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세 국가가 통화 동맹의 원래 회원으로서 준수했던 상호 교환 협정은 말레이시아 달러가 싱가포르 달러브루나이 달러와 액면가로 교환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 이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1973년 5월 8일에 이 협정에서 탈퇴하면서 종료되었다.[15] 싱가포르 통화청과 브루나이 통화 및 통화 위원회는 2021년 현재에도 두 통화의 상호 교환성을 유지하고 있다.[15] 1975년에 말레이시아 링깃이라는 명칭이 도입되었다.

1993년에는 통화 기호 "RM"(링깃 말레이시아)이 달러 기호 "$" (또는 "M$")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3. 3. 아시아 금융 위기 및 미국 달러 고정 (1997–2005)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링깃은 자유 변동환율제 통화로 미국 달러당 약 2.50링깃으로 거래되었다.[16]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시작되면서 자본 도피의 결과로 1997년 말까지 링깃은 3.80 MYR/USD 아래로 크게 하락했다.[16] 1998년 상반기 동안 통화는 3.80과 4.40 MYR/USD 사이에서 변동하다가,[16]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1998년 9월 링깃을 미국 달러에 페그하여 다른 통화에 대해서는 변동환율제를 유지하면서 3.80 MYR/USD의 가치를 유지했다. 또한 1998년에는 말레이시아 밖에서 링깃이 거래 불가 통화로 지정되어 자금 유출을 막았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통화 관리 정책의 일환으로, 1998년 9월 2일에 고정 환율 제도로 이행함에 따라 1미국 달러=RM3.80의 환율이 적용되었으나, 2005년 7월 21일에 발표된 중국의 위안화 개혁에 따라 통화 바스켓 제도에 의한 관리 변동 환율 제도로의 이행을 발표, 다음 날부터 시행되었다.

변동 환율제 변경은 2005년 초의 달러 약세 경향에 연동된 과도한 링깃 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으로, 중국 위안화 평가 절상과 동시에 진행하여 수출 경쟁력 확보를 도모했다.

제도 변경 초기부터 2005년 12월까지는 1USD = RM3.77 - 3.78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2006년 1월에 해외 투자 자금 유입으로 인해 1USD = RM3.73까지 링깃 강세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제도 변경 전부터 변동폭은 여전히 작았으며, 통화 바스켓 제도의 범위 내에 있었다. 그 후, 상반기에는 1USD = RM3.60을 밑도는 수준까지 링깃 강세가 진행되었지만, 하반기에 들어 약간 약세로 돌아서 RM3.65 - 3.70의 범위까지 회귀했다. 그러나 2006년 11월 말부터 연말에 걸쳐 주식 투자 및 기업 인수합병을 위한 해외 자금 유입으로 인해 1USD = RM3.53까지 급등했다.

3. 4. 미국 달러 고정 해제 이후 (2005–현재)

통화 고정 제도가 종료된 후 링깃은 2008년 4월 3.16 MYR/USD까지 통화 평가 절상되었다. 링깃은 또한 홍콩 달러(0.49에서 0.44 MYR/HKD로)[25]와 인민폐(0.46에서 0.45 MYR/CNY로)[26]에 대해서도 2008년 5월까지 절상되는 시기를 누렸다. 2000년대 후반 링깃의 초기 안정세는 10년 이상 국제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환 거래에 통화를 다시 도입하는 것을 고려하게 했다. 2010년 9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말레이시아 총리 겸 재무부 장관인 나집 라작은 정부가 경제에 도움이 된다면 링깃의 역외 거래 재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27] 이와 같은 고려에도 불구하고, 링깃은 통화의 역외 거래를 계속 억제하기 위한 의도적인 조치로 국제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31]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과 2008년 페르마탕 파우 바이 선거 이후의 정치적 불확실성, 2000년대 후반의 원유 가격 하락, 그리고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이미 낮은 금리를 인상하기 위한 개입 부족(2006년 4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3.5%를 유지) [28]으로 인해 링깃 가치는 2008년 5월과 7월 사이에 소폭 하락했고, 같은 해 8월과 9월 사이에 더욱 급격하게 하락했다. 그 결과, 2008년 9월 4일 현재 미국 달러는 3.43 MYR/USD로 크게 절상되었으며,[29] 인민폐와 홍콩 달러를 포함한 다른 주요 통화도 이러한 추세를 따랐다. 링깃은 2009년 3월 3.73 MYR/USD로 급등했다가 2011년 중반까지 점차 3.00 MYR/USD로 회복되었고, 2011년과 2014년 사이에는 약 3.10 MYR/USD로 정상화되었다.

링깃은 1MDB 스캔들이 심화되면서 2014년 중반부터 가치가 더욱 급격하게 하락했는데, 이는 수십억 링깃의 정치적 자금이 역외 계좌로 흘러갔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2015-16년 중국 증시 불안과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링깃 가치는 2014년 중반 평균 3.20 MYR/USD에서 2015년 초 3.70 MYR/USD로 하락했다. 말레이시아의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의 2015년 6월 주식 시장 붕괴는 링깃의 가치를 다시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이는 1998년 이후 최저 수준인 2015년 9월 4.43 MYR/USD까지 하락했으며, 그 직후 미국 달러 대비 4.10~4.20으로 안정되었다.[30] 이후 보호무역주의를 옹호하는 도널드 트럼프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여파로 링깃은 1998년 최저치인 4.40과 4.50 MYR/USD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미국이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TPP)(말레이시아는 서명국이며, 미국은 2017년 1월 즉시 탈퇴했다) 및 말레이시아-미국 무역에 참여하는 문제(미국은 말레이시아의 가장 큰 교역 상대국 중 하나이다)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2016년 11월 링깃의 급격한 하락에 대응하여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통화 투기를 억제하기 위해 링깃의 장외 비 인도적 선물환 거래에 대한 일련의 더욱 강력한 단속을 시작했다.[31] 그 이후, 링깃은 미국 달러에 대해 꾸준하지만 일관된 평가 절상률을 보였으며, 긍정적인 경제 성과 보고서, TPP를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 경제 동반자 협정으로의 재구조화, 그리고 세계 원유 가격 상승에 따라 2017년 11월 초부터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다. 2018년 4월 초 3.86 MYR/USD까지 절상된 후, 2018년 미중 무역 전쟁에 대응한 무역 전쟁 긴장 고조, 다른 신흥 시장에서의 매도 공포, 그리고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희망 연합(Pakatan Harapan) 연합의 이변으로 인한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2018년 10월 말에는 약 4.18 MYR/USD로 가치가 하락했다. 유로화를 제외하고, 링깃은 인민폐, 영국 파운드, 호주 달러, 일본 엔, 싱가포르 달러를 포함한 다른 주요 통화에 대해서도 2016년 말 이전 수준으로 가치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지만, 전반적으로 2013년 말 이전보다 가치가 낮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통화 관리 정책으로 1998년 9월 2일 고정 환율 제도로 이행하여 1 미국 달러=RM3.80의 환율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2005년 7월 21일 중국의 위안화 개혁에 따라 통화 바스켓 제도에 의한 관리 변동 환율 제도로의 이행을 발표, 다음 날부터 시행되었다. 변동 환율제 변경은 2005년 초의 달러 약세 경향에 연동된 과도한 링깃 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중국 위안화 평가 절상과 동시에 진행하여 수출 경쟁력 확보를 도모했다.

제도 변경 초기부터 2005년 12월까지는 1USD = RM3.77 - 3.78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2006년 1월에 해외 투자 자금 유입으로 인해 1USD = RM3.73까지 링깃 강세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제도 변경 전부터 변동폭은 여전히 작았으며, 통화 바스켓 제도의 범위 내에 있었다. 그 후, 상반기에는 1USD = RM3.60을 밑도는 수준까지 링깃 강세가 진행되었지만, 하반기에 들어 약간 약세로 돌아서 RM3.65 - 3.70의 범위까지 회귀했다. 그러나 2006년 11월 말부터 연말에 걸쳐 주식 투자 및 기업 인수합병을 위한 해외 자금 유입으로 인해 1USD = RM3.53까지 급등했다.

4. 동전

말레이시아 링깃의 경화는 50, 20, 10, 5, 1센 5종류가 유통되고 있다. 다만, 1센 동전은 거의 유통되지 않으며, 계산할 때 5센 단위로 올리거나 내려서 계산한다.[60] 2005년 12월 6일에는 위조 문제로 1링깃 동전이 폐지되어 법적 가치를 잃었다.

2012년부터는 신형 경화(제3세대)가 유통되기 시작했다. 제3세대에서는 1센 동전의 가치가 너무 낮아 제조되지 않았다. 그러나 1링깃을 제외한 구형 동전(제2세대 이전)은 1센 동전을 포함하여 여전히 법적으로 유효하다.

역대 경화의 재질은 아래 표와 같다.

제1세대(1967)제2세대(1989)제3세대(2012)
1 링깃백동구리·아연·주석 합금(2005년 통용 정지, 지폐로 대체)
50센백동백동니켈 황동 도금 구리
20센백동백동니켈 황동
10센백동백동스테인리스 강
5센백동백동스테인리스 강
1센청동 → 구리 도금 강철구리 도금 강철(소액으로 제조 중단)


4. 1. 1세대 (1967)

1967년에 처음 발행된 센 동전 시리즈는 액면가가 1, 5, 10, 20, 50센으로 구성되었으며, 1971년에는 1링깃 동전(기호 $ 사용, 해당 시리즈에서 가장 큰 동전)이 도입되었다.[32] 동전의 직경은 다양했지만, 거의 모든 동전은 디자인이 거의 동일하게 앞뒷면으로 주조되었고 매우 일반적이었다. 앞면에는 당시 최근에 완공된 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과 말레이시아 국기 깃발 용어의 칸톤에서 따온 연방 별과 초승달이 묘사되었다. 모든 동전은 양백동으로 주조되었으며, 유일한 예외는 1센 동전으로, 1967년에서 1972년 사이에는 청동으로, 1973년부터는 구리로 도금된 강철로 제작되었다. 50센 동전은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글자를 포함하도록 가장자리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던 1971년 개정을 거친 이 시리즈의 유일한 동전이다. 모든 동전의 뒷면, 국회의사당 아래에는 GC라는 이니셜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말레이시아 최초의 동전 시리즈 디자이너인 제프리 콜리(Geoffrey Colley)를 의미한다.[32] 1링깃 동전은 동일한 액면가의 지폐와 충돌하여 당시에는 인기가 없었다.

이 첫 번째 시리즈의 동전은 크기와 구성이 이전 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의 동전과 동일했다. 첫 번째 센 시리즈의 주조는 1989년에 두 번째 시리즈가 도입되면서 종료되었다. 구형 동전은 2019년 현재까지 법정 통화로 남아 있지만, 그 수는 꾸준히 감소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이미지액면가기술적 매개변수설명발행일
앞면뒷면직경구성가장자리뒷면앞면최초 주조발행
colspan="2" rowspan="2" |1센18mm청동민자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과 14개 별과 초승달주 이름, 액면가, 주조 연도1967년1967년 6월 12일
1센구리 도금 강철1973년1973년
colspan="2" |5센16mm양백동톱니 모양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과 14개 별과 초승달주 이름, 액면가, 주조 연도1967년1967년 6월 12일
colspan="2" |10센19mm
colspan="2" |20센23mm
colspan="2" |50센28mm
colspan="2" |50센문자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블록 캡스로 표시1971년1971년 5월 1일
colspan="2" |1링깃33mm문자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블록 캡스로 표시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과 14개 별과 초승달. 초승달과 별은 더 얇은 형태로 묘사되어 있으며, 초승달 자체는 상당히 크고 국회의사당과 동일한 위치에 있습니다.1971년1971년 5월 1일

[33]

4. 2. 2세대 (1989)

1989년 후반에 유통된 2세대 센 동전은 앞면과 뒷면이 완전히 새로 디자인되었지만, 1 링깃 동전을 제외하고는 1989년 이전 시리즈 동전의 가장자리, 직경, 구성 디자인을 대부분 유지했다. 10센 동전에는 콩깍이라는 현지 만칼라 게임 보드와 같은 말레이 문화의 품목이, 50센 동전에는 와우 불란 또는 "달 연"과 같은 그림이 있으며, 뒷면 상반부에는 히비스쿠스 로사-시넨시스(말레이어: ''붕가 라야'')인 말레이시아 국화가 포함되었다. 이 두 번째 시리즈는 로우 이 켕이 디자인했다.[34]

1 링깃 동전은 크기가 직경 33mm에서 24mm로 줄었고, 첫 번째 시리즈의 구리-니켈 대신 합금인 구리, 아연, 주석으로 주조되었다. 달러 기호는 새 동전에 사용되었지만, 1993년 이후 주조된 동전은 "RINGGIT"으로 대체되었다. 2005년 12월 7일, 1 링깃 동전은 화폐 폐지되어 유통에서 제외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표준화 문제(두 가지 버전의 두 번째 시리즈 동전이 주조됨)와 위조 때문이었다.[34]

2008년 4월 1일부터 총 청구서에만 적용되는 가격을 가장 가까운 5 센으로 반올림하는 메커니즘이 시행되었다. 이는 1 센 동전의 무의미성을 만들기 위한 시도로, 2007년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에서 처음 발표했다.[35] 개별 품목과 서비스는 여전히 1 센 단위로 가격이 책정될 수 있으며, 최종 총액은 가장 가까운 5 센으로 반올림된다. 예를 들어, 4.88MYR과 3.14MYR의 두 품목을 구매하여 총 8.02MYR가 되면 8말레이시아 링깃으로 반올림된다. 각 품목을 개별적으로 반올림하면 (각각 4.9말레이시아 링깃과 3.15MYR로) '''잘못된''' 총액은 8.05MYR가 된다. 유통 중인 기존 1 센 동전은 최대 2말레이시아 링깃까지의 결제에 대한 법정 통화로 남아 있다.[36]

두 번째 시리즈[37][38]
이미지액면가기술적 매개변수설명날짜
앞면뒷면직경질량구성가장자리뒷면앞면처음 주조발행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1 센18mm1.74g청동 피복 강철평평함레바나 우비은행명, 액면가, 주조 연도19891989년 9월 4일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5 센16mm1.41g구리-니켈물결 모양가싱은행명, 액면가, 주조 연도19891989년 9월 4일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10 센19mm2.82g콩깍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20 센23mm5.66g빈랑 및 아레카 열매 씹는 용기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50 센28mm9.33g"말레이시아 중앙 은행" 문구와우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124mm9.3g구리-아연-주석물결 모양크리스와 칼집, 송켓 배경은행명, "$1", 주조 연도19891989년 9월 4일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RM1은행명, "1 링깃", 주조 연도1993
colspan="10"|



역대 경화의 재질은 다음 표와 같다.

제1세대(1967)제2세대(1989)제3세대(2012)
1 링깃백동구리·아연·주석 합금(동전은 2005년에 통용 정지, 지폐로 일원화)
50센백동백동니켈 황동 도금 구리
20센백동백동니켈 황동
10센백동백동스테인리스 강
5센백동백동스테인리스 강
1센청동 → 구리 도금 강철구리 도금 강철(소액이라 제조 중지)


4. 3. 3세대 (2012)

2011년 7월 25일, 세 번째 시리즈의 동전이 발표되었고, 2012년 1월 16일에 출시 기념 주화로 처음 발행되었다.[39] 세 번째 시리즈는 "말레이시아의 개성"을 주제로, 말레이시아의 다양한 문화에서 가져온 동식물 문양에서 영감을 받아 "말레이시아의 국가 정체성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반영"한다.[39] 발행된 액면가는 5, 10, 20, 50센이다. 2011년 10월 24일, 다툭 도날드 림 재무부 차관은 이 시리즈의 동전 공급업체로 대한민국의 푸산 회사를 지명했으며, 동전은 샤알람의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 조폐창에서 주조된다.[39]

림 차관에 따르면, 금속 성분 변화로 동전 생산 비용이 49% 절감될 것이다.[40] 이 시리즈의 다른 변화로는 직경, 20센과 50센 동전의 색상(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 앞면 디자인 변경(각 액면가별 다른 문양 사용), 13개 주와 연방 직할지를 상징하는 14개의 점, 루쿠네가라의 5가지 원칙을 나타내는 5개의 가로선이 있다.[40]

50센 동전은 다른 액면가보다 더 독특하다. 둥근 모양에 9개의 들여쓰기가 있으며,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BANK NEGARA MALAYSIA)" 문구가 생략되었다. 앞면에는 5개의 가로선이 없지만, 동전을 약간 기울이면 액면가 "50"과 "SEN" 문자가 보이는 잠상 보안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40]

20센과 50센 동전은 크기, 가장자리 디자인, 색상이 10유로 센트 및 20유로 센트 동전과 유사하지만, 각각 0.047EUR와 0.12EUR에 불과하다.

세 번째 시리즈[41]
이미지액면가기술적 매개변수설명발행일
앞면뒷면직경질량성분가장자리뒷면앞면최초 주조출시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5 센17.78mm1.72g스테인리스강평문14개의 점, 5개의 가로선, 술루르 카창(sulur kacang, 완두 덩굴) 문양, 카다잔두순 부족의 "데스타르 시가"(destar siga) 천 문양은행 이름, 액면가, 주조 연도, 국가의 꽃2011년2012년 1월 16일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10 센18.8mm2.98g밀착된14개의 점, 5개의 가로선, 마흐 메리족의 직조 패턴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20 센20.6mm4.18g백동밀착된14개의 점, 5개의 가로선, 배경에 "데스타르 시가" 문양, 전경에 분가 멜루르(bunga melur, 재스민 꽃) 문양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50 센22.65mm5.66g백동으로 도금한 구리거친14개의 점, 술루르 카창(sulur kacang, 완두 덩굴) 문양 및 보안 기능


4. 4. 키장 에마스 (Kijang Emas)

키장 에마스는 세 가지 종류의 금화로 발행되며, "키장 에마스"(키장은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로고의 일부인 사슴의 일종)는 액면가 50MYR, 100MYR, 200MYR이며, 각각 1/4 온스, 1/2 온스, 1 온스(트로이 온스)의 무게를 갖는다. 키장 에마스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의 Kilang Wang에서 주조되었으며 2001년 7월 17일에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에서 출시되어 말레이시아는 자체 금괴를 발행하는 12번째 국가가 되었다.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다른 금괴와 마찬가지로 키장 에마스는 일상적인 유통보다는 주로 투자 목적으로 사용된다.[42] 키장 에마스의 구매 및 재판매 가격은 당시 국제 금 시장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42] 2020년 11월 17일 기준 키장 에마스의 가격은 1온스당 8266MYR, 1/2온스당 4211MYR, 1/4온스당 2144MYR이다.[43]

5. 지폐

말레이시아 링깃 지폐는 100, 50, 20, 10, 5, 2, 1 링깃의 7종류가 있다. 과거에 발행되었던 500, 1000 링깃 지폐는 더 이상 법적인 가치가 없다. 모든 지폐에는 초대 국왕 압두르 라만의 초상이 인쇄되어 있다. 1 링깃과 5 링깃 지폐는 폴리머 지폐로 만들어졌다. 100 링깃 지폐는 유통량이 적어, 50 링깃 지폐가 일상에서 고액권으로 사용된다.

2012년부터는 새로운 디자인의 지폐(제4세대)가 유통되기 시작했다. 제4세대 지폐에서는 유통량이 적었던 2 링깃 지폐가 발행되지 않는다.

3세대 지폐는 다음과 같다.

5. 1. 1세대 (1967)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1967년 6월 6일에 1, 5, 10, 50, 100달러 지폐를 처음 발행했고,[44] 1000달러 지폐는 1968년 9월 2일에 처음 발행했다. 최초의 말레이시아 지폐에는 독립 말라야의 초대 국왕인 투안쿠 압둘 라만의 초상이 담겨 있었으며, 말레이시아 중앙은행 초대 총재인 툰 이스마일 빈 모하메드 알리의 서명이 포함되었다. 1972년 8월 16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통화 인쇄에 국가 언어인 바하사 말레이어의 공식 새로운 철자법을 채택했으며 디자인은 유지했다. 새로운 철자법이 적용된 지폐는 이전 지폐와 함께 유통되었다.[45]

초대 시리즈[46]
이미지액면가주 색상설명발행일발행 중단회수일
앞면뒷면앞면뒷면
--1달러파란색투안쿠 압둘 라만 (1895–1960)말레이시아 중앙은행 로고, 키장 에마스1967년 6월1984년제한적
--5달러녹색
--10달러빨간색1983년
--50달러파란색/회색
--100달러보라색
1000달러보라색/녹색쿠알라룸푸르의 국회의사당1968년 9월 2일1984년1999년


5. 2. 2세대 (1982)

두 번째 시리즈는 말레이시아 전통 장식 디자인을 주제로 발행되었다. 1982년에 20링깃과 500링깃, 두 가지 새로운 권종이 도입되었고, 1983년에는 10링깃, 50링깃, 100링깃 지폐가 재설계되었으며, 1984년에는 1링깃, 5링깃, 1000링깃 지폐가 재설계되면서 시리즈가 완성되었다. 이 시리즈의 모든 지폐는 토마스 드 라 뤼에서 인쇄했다. 2010년까지 두 번째 시리즈 지폐는 가끔 발견되었다.

1986년에는 왼쪽 상단 모서리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표식이 제거되었고, 1링깃을 제외한 모든 권종에 보안선이 추가되었다.

1993년에는 1링깃 동전이 이를 대체하면서 1링깃 지폐의 인쇄가 중단되었다.

20링깃(RM20) 권종은 인기가 없어 1995년에 유통이 중단되고 점차 폐지되었다.

1999년에는 500링깃과 1000링깃 지폐가 발행 중단되었고 법정 통화로서의 효력을 잃었다. 이는 1997년 아시아 통화 위기 당시 막대한 양의 링깃이 이 지폐로 환전되어 국외로 유출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폐는 유통에서 회수되었고, 지폐로 국외로 반출될 수 있는 링깃 액수는 1000MYR으로 제한되었다.

이미지액면가주 색상설명발행일발행 중단폐지일비고
앞면뒷면앞면뒷면
1링깃파란색투앙쿠 압둘 라만쿠알라룸푸르의 국립 기념비1984년1993년제한적1986년 이전에는 시각 장애인 표식이 있었고, 1986년 이후에는 없음.
5링깃녹색당시 이스타나 네가라 (국립 궁전)1984년1999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10링깃빨간색쿠알라룸푸르 기차역1983년1998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20링깃갈색/흰색말레이시아 중앙 은행 본부1982년1995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50링깃파란색/회색쿠알라룸푸르의 국립 박물관1983년1998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100링깃보라색쿠알라룸푸르의 국립 모스크1983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500링깃주황색당시 대법원 건물1982년1999년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1000링깃파란색/녹색쿠알라룸푸르의 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1984년1999년


5. 3. 3세대 (1996)

세 번째 시리즈는 1996년에 비전 2020의 정신에 따라 디자인되어 RM1, RM2, RM5, RM10, RM50 및 RM100 액면으로 발행되었다. 더 큰 액면의 RM50 및 RM100 지폐에는 위조지폐범을 막기 위해 추가 홀로그램 줄무늬가 있었다.[47]

2004년,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이전에 RM50 및 RM100 지폐에서만 볼 수 있었던 홀로그램 줄무늬를 포함한 추가 보안 기능을 갖춘 새로운 RM10 지폐를 발행했다. 또한 독특한 투명 창이 있는 새로운 RM5 폴리머 지폐도 발행되었다. 두 지폐 모두 원래 세 번째 시리즈 디자인과 거의 동일하다. 한때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결국 모든 종이 지폐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폴리머 지폐로 교체할 의사를 발표했다.[47]

이미지액면크기주 색상설명발행일발행 중단비고
앞면뒷면앞면뒷면
RM1120mm × 65mm파란색투안쿠 압둘 라만키나발루 산, 물루 산 및 "와우 블란" 2000년 11월 8일2012년 7월 16일제한적
RM2130mm × 65mm라일락색쿠알라룸푸르 타워 통신 타워 및 MEASAT 위성1996년 2월 5일2000년 1월 1일
RM5135mm × 65mm녹색멀티미디어 슈퍼 코리더, KLIA페트로나스 트윈 타워1999년 9월 27일2004년 10월 26일
2004년 10월 26일2012년 7월 16일
RM10140mm × 65mm빨간색푸트라 LRT 열차, 말레이시아 항공 보잉 777 항공기 및 MISC 선박1998년 1월 10일2004년 1월 5일
2004년 1월 5일2012년 7월 16일
RM50145mm × 69mm파란색/회색채광, 페트로나스 석유 굴착 장치1998년 7월 20일2008년 1월 30일
RM100150mm × 69mm보라색프로톤 자동차 생산 라인 및 엔진1998년 10월 26일2012년 7월 16일


5. 4. 4세대 (2012)

2011년 5월,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현재 유통 중인 디자인을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지폐 시리즈를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이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세 번째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았던 RM20 지폐의 재도입이었다.[1] 새로운 지폐 디자인은 2011년 12월 21일에 발표되었으며, 2012년 하반기에 유통될 예정이었다.[1] 새 지폐 시리즈는 법정 통화이며 기존 시리즈와 함께 유통될 예정이었고, 기존 시리즈는 점차적으로 폐지될 예정이었다.[1] 4가지 지폐 시리즈 모두(500 및 1000 제외) 기술적으로는 여전히 법정 통화이지만, 일부 판매점에서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시리즈의 지폐를 받지 않을 수 있다(현재는 거의 보이지 않음).[1] 새 시리즈의 모든 지폐 액면가는 초대 국왕 투안쿠 압둘 라만의 초상화를 유지한다.[1] 지폐는 스웨덴의 Crane AB, 독일의 Giesecke & Devrient GmbH, 프랑스의 Oberthur Technologies, 스위스의 Orell Fussli에서 공급했으며,[1] 2012년 7월 16일에 유통되었다.[1]

이미지액면가크기주 색상재질설명발행일비고
앞면뒷면앞면뒷면
RM1120 × 65 mm파란색폴리머투안쿠 압둘 라만과 국화 히비스커스, 전통 직물인 송켓의 패턴와우 불란2012년 7월 16일
RM5135 × 65 mm녹색코뿔새
RM10140 × 65 mm빨간색지폐라플레시아2012년 7월 16일
RM20145 × 65 mm주황색매부리거북과 장수거북
RM50145 × 69 mm파란색과 녹색말레이시아의 초대 총리,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 독립 50주년 기념 로고가 있는 기니 팜 나무2008년 1월 30일유통 지폐 (접두사 AA0020001 ~ AE)
청록색말레이시아의 초대 총리,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 독립 50주년 기념 로고가 없는 기니 팜 나무2009년 7월 15일유통 지폐 (접두사 AF부터 시작)
2012년 7월 16일유통 지폐 (접두사 AAA)
RM100150 × 69 mm보라색키나발루 산과 아피 산 계곡의 첨탑 암석


5. 5. 기념 지폐

1998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1998년 코먼웰스 게임을 기념하기 위해, 1998년 6월 1일에 RM50 고분자 지폐 기념 지폐가 발행되었다.[54] 이것은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발행한 최초의 고분자 지폐였으며, 노트 프린팅 오스트레일리아(NPA)에서 인쇄되었다. 총 50만 세트가 발행되었으며, 특별 포장된 형태로 80링깃에 판매되었다. 이 지폐는 일반적인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수집가용 기념품으로 사용된다.

2007년 12월 21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말레이시아 독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50 링깃 기념 지폐를 발행했다.[55] 디자인은 네 번째 시리즈의 50 링깃 지폐와 동일했지만, 뒷면 오른쪽 상단에 독립 50주년 기념 로고가 추가되었고, 뒷면에 "1957-2007"이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2009년부터 발행된 일반 50 링깃 지폐에는 이러한 추가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지 않았다.

기념 디자인이 새겨진 지폐는 총 5천만 장이 발행되었으며, 일련 번호는 AA부터 AE까지의 문자로 시작했다. 이후 일반 지폐의 일련 번호는 AF부터 시작되었다. 5천만 장의 기념 지폐 중 처음 2만 장은 특별 포장된 형태로 60 링깃에 판매되었다.

2017년 12월 14일,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은 말라야 연방 독립 협정 서명 60주년을 기념하여 두 종류의 폴리머 혼합 기념 지폐를 발행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지폐는 60 링깃과 600 링깃 권종으로 발행되었다. 60 링깃 지폐는 3-in-1 형태로도 판매되었다.[56]

600 링깃 지폐는 크기 면에서 세계에서 발행된 법정 통화 지폐 중 가장 큰 지폐로, 크기는 370mm x 220mm이다.[57]

해당 지폐는 2017년 12월 29일에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60 링깃 지폐는 120 링깃, 3-in-1 60 링깃 지폐는 500 링깃, 600 링깃 지폐는 1,700 링깃에 판매되었다. 60 링깃 지폐의 발행 부수는 60,000장, 3-in-1 60 링깃 지폐와 600 링깃 지폐는 각각 6,000장이다.

기념 지폐
이미지액면가크기주된 색상설명발행일비고
앞면뒷면앞면뒷면
[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0045.htm][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0045.htm]50 링깃152mm × 76mm노란색과 녹색투안쿠 압둘 라만, 쿠알라룸푸르의 스카이라인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포함)부킷 잘릴 스포츠 단지1998년 6월 1일폴리머 (양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0049.htm][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0049.htm]50 링깃145mm × 69mm파란색과 녹색투안쿠 압둘 라만과 국화인 히비스커스말레이시아 초대 총리,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와 독립 50주년 기념 로고. 야자유 나무2007년 12월 26일양쪽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처음 20,000장 (AA 0000001부터 AA 0020000까지의 접두사).
[https://web.archive.org/web/20181018161735/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W2018-060.htm][https://web.archive.org/web/20181018161735/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W2018-060.htm]60 링깃162mm × 84mm노란색과 녹색15명의 양 디-페르투안 아궁 초상화로 둘러싸인 왕좌말라야 연방 독립 협정에 서명하는 9명의 통치자 초상,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의 실루엣, 국립 궁전, 페르다나 푸트라, 국회의사당 및 법원2017년 12월 14일폴리머 및 종이 기질
[https://web.archive.org/web/20181018161810/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W2018-600.htm][https://web.archive.org/web/20181018161810/http://banknote.ws/COLLECTION/countries/ASI/MLY/MLYW2018-600.htm]600 링깃370mm × 220mm노란색과 녹색15명의 양 디-페르투안 아궁 초상화로 둘러싸인 왕좌말라야 연방 독립 협정에 서명하는 9명의 통치자 초상,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 하지의 실루엣, 국립 궁전, 페르다나 푸트라, 국회의사당 및 법원2017년 12월 14일폴리머 및 종이 기질


6. 환율

프랑스 프랑: 0.4552771.5926
0.5083703.50893.40253.59254.29994.72674.71444.60284.7074.88514.90404.27214.26514.63874.62915.0135영국 파운드3.86543.94585.76025.48025.70966.21166.95116.89286.75316.87486.36195.50814.97474.90435.29245.43075.8944싱가포르 달러1.59591.79502.20342.12082.12262.18072.24882.27622.30822.28072.35422.42372.36222.43363.03683.19123.4510호주 달러1.74991.88772.209951.96472.06612.47862.79972.88742.76222.87962.82392.78232.95873.15852.88083.05293.0565일본 엔0.0232240.0245930.0352570.0312910.0303950.0328320.0351540.0343770.0315170.0291940.0323510.0376900.036730.038430.038000.033580.03056중국 위안0.44540.30460.45900.45910.45890.45890.45910.46220.45990.45190.47980.51590.47540.47340.59980.65400.6429


참조

[1] 웹사이트 PM Anwar: Close to RM60b worth of transactions with trade partners used ringgit, Vietnam and Cambodia set to follow suit https://www.malaymai[...] 2023-10-17
[2] 웹사이트 Miris, "Garuda di Dadaku, Ringgit di Kantongku" http://nasional.komp[...] Kompas.com 2014-03-15
[3] 웹사이트 Alasan warga perbatasan pilih gunakan Ringgit daripada rupiah https://www.merdeka.[...] 2013-06-07
[4] 웹사이트 Food prices up 100% in Tawi-Tawi due to Sabah standoff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013-03-05
[5] 웹사이트 UN's call should be heeded to end violence in Sabah, says Hajiri http://www.zamboanga[...] 2013-03-09
[6] 웹사이트 Relaxation in the carrying of Ringgit Malaysia for border traders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1999-02-05
[7] 뉴스 Thailand pushes yuan, ringgit use to curb baht volatility https://www.bangkokp[...] Bangkok Post 2023-08-08
[8] 서적 Panduan Memborong di Vietnam https://books.google[...] PTS Professional 2012-04-30
[9] 웹사이트 28% of Malaysia's China trade to be in ringgit, to reduce dependency on US$, says Anwar https://asianews.net[...] Asia News Network 2023-10-11
[10] 간행물 RINGGIT https://www.jstor.or[...] 1974
[11] 간행물 RINGGIT https://www.jstor.or[...] 1974
[12] Webarchive Dolar Singapura berkemungkinan bertambah lemah https://www.bharian.[...] Berita Harian 2019-10-09
[13] 웹사이트 Significant milestones in the Malaysian Foreign Exchange Market https://www.bnm.gov.[...] Bank Negara Malaysia
[14] webarchive International Economics - Historial Exchange Rate Regime of Asian Countries http://intl.econ.cuh[...]
[15] 웹사이트 The Currency History of Singapore http://www.mas.gov.s[...]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2007-04-09
[16] 웹사이트 Kadar Tukaran Matawang MYR – USD http://niagaummah.co[...] niagaummah.com
[17] 웹사이트 The RM500 and RM1000 Note http://malaysianbank[...] malaysianbanknotes.blogspot.my 2011-07-03
[18] 웹사이트 Singapore Dollar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19] 웹사이트 Euro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0] 웹사이트 Australian Dollar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1] 웹사이트 British Pound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2] 웹사이트 2006 Investment Climate Statement -- Malaysia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23] 웹사이트 Malaysia: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2005) https://www.uktradei[...] UK Trade & Investment
[24] 웹사이트 Beijing's 'Thursday surprise'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5-07-23
[25] 웹사이트 Hong Kong Dollar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6] 웹사이트 Chinese Yuan to Malaysian Ringgit Exchange Rate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27] 뉴스 All eyes on ringgit after PM's remarks http://www.btimes.co[...] Business Times Malaysia 2010-09-13
[28] 웹사이트 Malaysian Ringgit Will Be a 'Washout', Institute Says (Update2) https://www.bloomber[...] Bloomberg.com 2008-09-04
[29] 웹사이트 US Dollar ($) ⇨ Malaysian Ringgit (MYR) https://www.google.c[...] Google Finance
[30] 웹사이트 Malaysia reserves fall again as ringgit continues to slide https://finance.yaho[...] 2015-08-21
[31] 웹사이트 Malaysia's Currency Crackdown is Hitting Speculator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7-03-29
[32] 웹사이트 Malaysia 1st series coin designer http://lunaticg.blog[...] lunaticg.blogspot 2012-03-26
[33] 웹사이트 Bank Negara Malaysia Money Museum & Art Centre http://moneymuseum.b[...]
[34] 뉴스 Times are changing for fake ringgit coins http://www.scmp.com/[...] 2005-09-08
[35] 뉴스 Doing away with one-sen coin payment http://thestar.com.m[...] 2007-11-14
[36] 뉴스 BNM Rounding Mechanism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2008-04-08
[37] 웹사이트 The Malaysian Currency: Circulation Coins http://moneymuseum.b[...] Bank Negara Malaysia Money Museum and Art Centre 2012
[38] 웹사이트 The Third Series of Malaysian Coins FAQ - What are the benefits of the new coins series? https://www.bnm.gov.[...] Bank Negara Malaysia
[39] 웹사이트 Malaysia Names New Currency Producers http://www.numismast[...] 2011-12-14
[40] 웹사이트 Issuance of Commemorative Coins for Malaysia's New Third Coins Series http://www.bnm.gov.m[...] 2011-07-25
[41] 웹사이트 The Third Series of Malaysian Coins https://www.bnm.gov.[...] Bank Negara Malaysia
[42] 웹사이트 The Kijang Emas Gold Bullion Coins https://www.bnm.gov.[...] 2020-11-17
[43] 웹사이트 Kijang Emas Prices https://www.bnm.gov.[...] 2020-11-17
[44] 서적 The Banknote Book http://www.banknoteb[...] www.BanknoteNews.com
[45] 웹사이트 The Malaysian Currency : Circulation Notes – Past Series http://moneymuseum.b[...]
[46] 웹사이트 Bank Negara Malaysia Money Museum & Art Centre http://moneymuseum.b[...]
[47] 웹사이트 BNM.gov.my http://www.bnm.gov.m[...]
[48] 웹사이트 Bank Negara Malaysia Issues New Design for RM50 Banknote to Commemorate Malaysia's 5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http://www.bnm.gov.m[...] 2007-12-21
[49] 뉴스 Bank Negara Malaysia Issues New Design RM50 Banknote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2009-07-15
[50] 웹사이트 Bank Negara Malaysia to Issue New Series of Banknotes and Coins http://www.bnm.gov.m[...] 2011-05-23
[51] 웹사이트 Launch of Malaysia's New Currency Series http://www.bnm.gov.m[...] 2011-12-21
[52] 웹사이트 Distinctively Malaysia – The Fourth Series of Malaysian Banknotes http://www.bnm.gov.m[...] 2011-12-21
[53] 웹사이트 Malaysia new banknote family confirmed, to be issued 16 July 2012 http://banknotenews.[...]
[54] 웹사이트 Kuala Lumpur 98 - XVI Commonwealth Games RM50 Commemorative Polymer Banknote http://www.bnm.gov.m[...] 2018-10-18
[55] 웹사이트 Bank Negara Malaysia Issues New Design for RM50 Banknote to Commemorate Malaysia's 5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http://www.bnm.gov.m[...] 2018-10-18
[56] 웹사이트 Issuance of Commemorative Banknotes in conjunction with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greement http://www.bnm.gov.m[...] 2018-09-05
[57] 웹사이트 Tom Chao's Paper Money Gallery http://tomchao.com/t[...] Tom Chao
[58] 문서 現在のマレーシア(ムラカ州)にあたるマラッカ海峡は、かつて東南アジアにおけるポルトガル海上帝国の拠点であった。
[59] 문서 ただし、米ドルや豪ドルは「ドラ(ル)」と呼ぶ。
[60] 문서 ただし、四捨五入ではなく、1、2センは切り捨て、3、4、6、7センは5センに、8、9センは切り上げる。
[61] 웹인용 Warga Perbatasan Transaksi Pakai Ringgit http://www.republika[...] Republika Online 2011-10-17
[62] 영상인용 Warga Perbatasan Gunakan Mata Uang Ringgit http://video.news.vi[...] Viva News 2013-02-24
[63] 웹인용 Miris, "Garuda di Dadaku, Ringgit di Kantongku" http://nasional.komp[...] Kompas.com 2014-03-15
[64] 웹인용 Food prices up 100% in Tawi-Tawi due to Sabah standoff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013-03-05
[65] 웹인용 UN's call should be heeded to end violence in Sabah, says Hajiri http://www.zamboanga[...] Zamboanga Today 2013-03-09
[66] 웹인용 Relaxation in the carrying of Ringgit Malaysia for border traders http://www.bnm.gov.m[...] Bank Negara Malaysia 1999-02-05
[67] 웹인용 Warning over fake ringgit in South http://www.bangkokpo[...] Bangkok Post 2013-09-06
[68] 서적 Panduan Memborong di Vietnam https://books.google[...] PTS Professional 2012-04-30
[69] 문서 Approximately 30% of goods are price-controlled (2016 est.) (''[https://web.archive.org/web/20070613003823/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fields/2092.html#my The World Factbook]'')
[70] 웹사이트 theedgedaily.com http://www.theedge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