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나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나 왕국은 마다가스카르 중앙 고원에 위치했던 왕국으로, 16세기부터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지화로 멸망할 때까지 존속했다. 바짐바족과 호바족의 공존과 갈등을 거쳐 안드리아마넬로 시대에 호바족이 지배권을 확립했으며, 랄람보 왕은 이메리나라는 이름을 처음 도입했다. 이후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 왕에 의해 영토가 확장되었으나, 그의 사후 분열과 내전을 겪었다. 18세기 말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 왕에 의해 재통일되었고, 그의 아들 라다마 1세는 영국의 지원을 받아 영토를 확장하며 근대화를 추진했다. 라나발로나 1세는 쇄국 정책을 펼쳤으며, 이후 라다마 2세, 라나발로나 2세, 라나발로나 3세 시대를 거치며 프랑스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메리나 사회는 귀족, 자유민, 노예의 삼분 계급으로 이루어졌으며, 전통 신앙과 기독교가 공존했다.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갖추었고, 농업, 무역, 노예 무역을 통해 경제력을 키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7년 폐지 - 조선
    조선은 1392년 이성계가 건국하여 1910년 일본에 병합될 때까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를 통해 운영되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외세 침략과 붕당 정치를 겪었고, 농업 중심의 신분제 사회였으며, 한글 창제와 실학 발달 등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었으나 결국 일본에 의해 멸망했다.
  • 1897년 폐지 - 카티푸난
    카티푸난은 1892년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등이 스페인 식민 통치로부터 필리핀 독립을 목표로 결성한 비밀 결사 단체로, 무장 혁명을 통해 독립을 추구하며 1896년 필리핀 혁명을 일으켰다.
  • 마다가스카르의 역사 - 마다가스카르 계획
    마다가스카르 계획은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유대인들을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섬으로 강제 이주시키려던 구상이었으나, 독일 패배와 전쟁 장기화로 폐기되고 홀로코스트로 이어졌다.
  • 마다가스카르의 역사 - 마다가스카르 전투
    마다가스카르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인도양의 전략적 요충지인 마다가스카르를 점령하여 일본의 진출을 막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메리나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마다가스카르 내 위치
마다가스카르 내 위치
기본 정보
일반적인 긴 이름이메리나 왕국
일반 명칭이메리나
시대식민 이전
시작 사건안드리아마넬로 왕의 즉위
종료 사건프랑스의 왕궁 점령
종료 연도1897년
수도안타나나리보
공용어말라가시어
종교전통 신앙, 개신교
국가http://www.nationalanthems.info/mg-96.html 마다가스카르 (1896년까지)
"오, 하느님, 라나발로나 여왕을 축복하소서"
국가 모토
국기 및 문장
메리나 왕국의 국기
국기
메리나 왕국의 문장
문장 (1896–1897)
정치
정부 형태준봉건적 전제군주제 (1540–1863)
단일 준봉건적 입헌군주제 (1863–1897)
군주 칭호군주
초대 군주안드리아마넬로
초대 군주 재위 기간1540–1575
마지막 군주라나발로나 3세
마지막 군주 재위 기간1883–1897
총리 칭호총리
초대 총리안드리아미하자
초대 총리 재임 기간1828–1833
마지막 총리라산지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1896–1897
역사
이전 국가마다가스카르의 역사
이전 국가 1보이나 왕국
이전 국가 2타니베 왕국
이전 국가 3이메리나에아
이전 국가 4말라가시
다음 국가말라가시 보호령
다음 국가 1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현재 국가마다가스카르

2. 전사(前史)

기원전 200~300년경, 보르네오섬 남동부에서 이주해 온 바짐바족이 마다가스카르 중부 고원 지대에 정착하여 숲에 작은 마을들을 이루며 살았다.[31] 15세기경에는 남동쪽 해안에서 호바인(人)들이 이주해와 언덕 위에 마을을 세웠는데, 이들은 이미 왕과 여왕이 있던 바짐바족 마을 속에 섞여 살면서 여러 세대에 걸쳐 공존하고 통혼하였다. 바짐바족 여왕 (라포히, 랑기타)은 호바족 남자인 마넬로베와 결혼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들의 장남인 안드리아마넬로(1540~1575)는 바짐바족 공동체들에 대해 대규모 전쟁을 일으켜 호바족 지배 아래 동화시키거나 쫓아내는 등, 공존의 전통을 깨뜨렸다.[31]

그의 뒤를 이은 랄람보(1575~1612) 왕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큰 성취를 이루었고, 자신이 다스리는 중부 고원 지대에 "이메리나"('메리나인들의 땅')라는 이름을 처음 도입했다. 안드리아니아카(1612~1630) 왕은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바짐바족의 큰 세력을 정복하고, '메리나족의 신성한 열두 언덕' 중 하나인 '아날라망가' 언덕에 요새화된 왕릉군(로바)을 지었다. 이 자리에 지금의 안타나나리보가 들어섰고, 로바는 이후 왕궁 자리가 되었다.

이후,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1675~1710) 왕은 메리나를 4분할하여 그의 총애하는 아들들에게 주었다. 그 이후 분할된 메리나인들의 왕국들 사이에는 내전이 계속되었다. 그러다 1787년, 동부 암보히망가 출신의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 왕이 등장하여, 외교적 수단과 무력을 동원해 메리나 왕국을 재통일한다.

2. 1. 초기 정착과 바짐바족

기원전 200~300년경, 보르네오섬 남동부에서 바짐바족이 피로그를 타고 마다가스카르 중부 고원 지대에 정착했다.[31] 이들은 섬의 빽빽한 숲에 작은 마을을 이루며 살았다.

2. 2. 호바인의 이주와 두 민족의 공존

15세기경, 남동쪽 해안으로부터 호바인들이 중부 고원 지대로 이주해왔다.[32] 이들은 이미 왕과 여왕이 있던 바짐바족 마을 속에 언덕 위 마을을 세웠다. 두 민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공존하고 통혼하였다. 바짐바족 여왕(라포히, 랑기타)은 호바족 남자인 마넬로베와 결혼했다고 한다.

다채로운 논이 구릉을 덮고 있다
안드리아마넬로는 고원에서 바짐바족을 축출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

2. 3. 안드리아마넬로의 등장과 호바족 지배

15세기경, 남동쪽 해안으로부터 호바인들이 중부 고원 지대로 이주해왔다.[32] 호바인들은 중부 고원 지대에 언덕 위 마을들을 세웠는데, 이 마을들은 이미 왕과 여왕을 가지고 있던 바짐바족 마을 속에 산재하였다. 두 민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공존하였고 통혼하였다. 바짐바족의 여왕(라포히, 랑기타라고 전해짐)은 호바족 남자인 마넬로베와 결혼했다고 한다. 그들의 장남인 안드리아마넬로(1540~1575)는 주변 바짐바족 공동체들에 대해 대규모의 성공적인 전쟁을 일으켜 호바족의 지배 아래 두거나, 동화시키거나, 아니면 달아나게 하는 등 기존의 공존 전통을 깨뜨렸다.[31]

3. 역사

라다마 1세는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의 아들로, 안타나나리보에 유럽 선교사들과 외교관들을 처음으로 받아들여 정기적으로 교류한 인물이다. 그의 아버지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사람들을 동원하여 관개 시설을 정비하고 늪지를 논으로 바꾸었으며, 21세기 현대까지 이어지는 안타나나리보 명물인 금요일 시장(즈마의 시장)을 만들었다.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1820년에 사망하면서 "바다야말로 나의 논의 경계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를 메리나 왕국의 영토로 만들라는 의미였다. 라다마 1세는 이 유언에 따라 메리나의 영토 확장에 착수했다.

라다마 1세의 정복 사업에는 영국이 크게 관여했다. 당시 인도양에서는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이 패권을 다투고 있었고, 각국은 근거지와 식민지 건설에 힘을 쏟고 있었다. 프랑스가 현지 수장으로부터 생트마리 섬을 획득하자, 영국령 모리셔스 총독 파커는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메리나 왕국을 지원했다. 제3차 마라타 전쟁(1817-1818), First Anglo-Burmese War|제1차 영-버마 전쟁영어(1824-1826)을 치르던 영국에게 마다가스카르에 군사력을 할애할 여력은 없었기에, 파커는 라다마 1세에게 "마다가스카르 왕"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라다마 1세는 파커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제공받고 군사 훈련도 받아들였다. 또한, 런던 선교회의 선교를 허락하고 학교 설립도 허가했으며, 라틴 알파벳을 이용한 마다가스카르어 표기법을 도입했다. 라다마 1세의 통치 기간 8년 동안,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가 보호국화를 꾀하던 서해안의 사칼라바 여러 왕국을 포함한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의 3분의 2 정도까지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라다마 1세는 만성적인 술 과다 섭취로 인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첫째 부인이 라나발로나 1세로 즉위했다.

라나발로나 1세는 라다마 1세의 미망인이자 왕비로서, 영국프랑스의 식민지 획득 경쟁에 맞서 자국의 문화와 주권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1833년 총리 제도를 도입하여 라이니하로가 첫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1852년 재임 중 사망했다.[1] 라나발로나 1세는 라다마 1세가 영국과 맺었던 조약을 거부하고 1835년 이후 기독교 신앙 허용 칙령을 모두 무효화했다. 영국 선교사들을 추방하고 기독교 박해를 멈추지 않았으며, 1861년 사망했다.[1] 그녀의 33년 통치는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근대성으로부터 마다가스카르의 문화적 고립을 유지하려는 투쟁으로 특징지어진다.[2]

마다가스카르의 마지막 군주였던 라나발로나 3세


1869년, 라나발로나 2세 여왕은 영국 국교회(성공회)에서 세례를 받고, 성공회를 메리나 왕국의 국교로 정했다.[33] 그녀는 조상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부적인 삼피를 공개적으로 불태웠다. 천주교와 개신교 선교사들이 메리나 왕국에 들어와 교회성당, 학교를 세웠다.

라나발로나 1세 여왕 말년, 후바(자유민) 엘리트 출신인 라이니보니나히트리뇨니와 그의 동생 라이닐라이아리보니가 정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861년 라나발로나 1세가 사망하고 라다마 2세가 즉위했으나, 1863년 귀족 장교들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라소헤리나, 라나발로나 2세, 라나발로나 3세가 왕위를 계승했고, 라이닐라이아리보니 수상이 실질적인 왕국 운영을 담당했다. 라나발로나 2세는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하고 삼피를 불태우는 등 기독교화를 강행했다.

라다마 2세는 프랑스 상인 조제프-프랑수아 랑베르에게 마다가스카르의 권익을 인정하는 특허를 발행했다. 메리나 왕국은 1863년 불평등한 특허를 취소했지만, 프랑스는 "라보르드의 상속 문제" 등을 구실로 압력을 강화했다. 1883년 프랑스는 마다가스카르를 침공했고, 메리나 왕국은 디에고 수아레스를 할양했다. 영국은 1890년 잔지바르 협정을 통해 마다가스카르에 대한 프랑스의 권익을 인정했다.

1892년 프랑스는 메리나 왕국에 보호령화를 통고했고, 1894년 선전포고를 했다. 1895년 안타나나리보를 점령하고 프랑스 보호령 마다가스카르를 성립시켰다. 1896년 마다가스카르 병합을 선언하고 메리나 왕국 영토를 상실했다. 라이닐라이아리보니는 알제리로 추방되어 사망했다.

라나발로나 3세1883년 11월 22일에 즉위했으며,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와 두 번의 전쟁을 치렀으나 모두 패배했다. 1894년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에서 패배한 후,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1897년 프랑스 식민군에 의해 폐위된 그녀는 프랑스령 알제리로 망명했고, 메리나 왕국은 멸망했다. 1917년 알제리에서 사망했다. 가톨릭으로 개종한 마리 루이즈 공주가 자녀 없이 사망하면서 메리나 왕가는 단절되었다.

3. 1. 안드리아마넬로와 랄람보 시대 (16세기)



마다가스카르 중앙 고원 지대는 기원전 200년에서 기원후 300년 사이에 섬 최초의 정착민인 바짐바족이 처음 거주하기 시작했다.[3] 15세기까지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해안 출신의 호바인들이 중앙 고원으로 점차 이동해 왔다.[4] 그들은 기존의 바짐바족 정착지 사이에 언덕 위 마을들을 세웠고, 이 마을들은 지역 왕과 여왕이 다스렸다. 두 민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평화롭게 공존했으며, 혼인 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짐바족 여왕(구전 역사에서 라포히 또는 랑기타로 불림)이 마넬로베라는 호바족 남성과 결혼했다. 그들의 장남인 안드리아마넬로(재위 1540~1575년)는 주변 바짐바족 공동체를 정복하고 호바족의 지배에 복종하거나 동화되도록 강요하거나 도망치도록 강제하는 데 성공적인 전쟁을 시작했다.

안드리아마넬로의 뒤를 이은 그의 아들 랄람보(재위 1575~1612년)는 많은 정치적, 문화적 업적으로 메리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고대 군주들 사이에서 영웅적인 지위를 얻었다. 랄람보는 그가 다스린 중앙 고원 지역에 "메리나인의 땅"이라는 뜻의 이메리나(Imerina)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붙였다. 랄람보는 외교와 해안 왕국과의 무역을 통해 이메리나에 최초의 화기를 확보하여 군사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메리나 왕국을 확장하고 방어했다. 최초로 인두세(vadin-aina, "안전한 삶의 대가")를 부과함으로써 그는 최초의 상비군인 메리나 왕실 군대를 창설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을 장비하기 위해 대장장이와 은세공인 부대를 설립했다. 그는 강력한 서해안 베치미사라카족 군대의 침략 시도를 물리친 것으로 유명하다. 구전에 따르면 고원을 배회하던 야생 제부 소는 랄람보 통치하에 이메리나에서 처음으로 식량용으로 길들여졌고, 그는 소 우리 건설 관행과 설계를 도입했으며, 그의 요리 발견을 기념하기 위해 전통적인 ''판드로아나''(Royal Bath, "왕실 목욕") 의식도 도입했다.

3. 2. 안드리아나자카 시대 (17세기 초)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안드리아나자카 시대 (17세기 초)"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제공된 텍스트는 라다마 1세 통치 기간과 그 이후의 사건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3.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 시대와 왕국 분열 (17세기 말~18세기)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 치하에서 이메리나 왕국은 6개의 주(toko)로 구성되었다.[10] 각 주는 고유한 수도를 가지고 있었다.

수도
아바라드라노(Avaradrano)안타나나리보, 암보히망가
바키니사오니(Vakinisisaony)알라소라
보니종고(Vonizongo)피하오나나
마로바타나(Marovatana)암보히트라트리모
암보디라노(Ambodirano)페노아리보
바키난카라트라(Vakinankaratra)베타포



이후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이 주들을 재통합하고 서쪽에 이마모(Imamo)를 추가했다. 이마모는 암보디라노에 통합되거나 별개 지역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북서쪽에는 발랄라포츠(Valalafotsy)가 있었다. 이 지역들은 메리나족의 고향인 이메리나의 핵심 영토를 구성했다.[10]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 통치 시기, 관개 시스템 도입으로 논농사가 가능해졌다. 이는 왕실 노역인 '파놈포아나(fanompoana)'에 동원된 노예들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졌다. 쌀은 현재까지 마다가스카르 요리의 주식이다.[10]

이메리나의 풍경과 지리적 조작은 메리나 문화에서 중요한 의식적 의미를 가졌다. 안타나나리보에 도입된 관개 시스템은 왕족과 백성 간 통합을 상징했다. 이는 토지와 사람들의 통합을 나타내는 '츠드라노(tsodrano)'라는 물 뿌리기 의식과 유사했다. 메리나 신앙은 문화적 역사와 풍경 간 연결을 중요시했으며, 사람, 땅, 조상 간 영적 연결을 위해 물을 사용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일반적이다.[10]

3. 4.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 시대와 메리나 통일 (18세기 말~19세기 초)

1800년 이전부터,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자신의 영토를 확장하고, 그 안에 있는 18종류의 부족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길고 어려운 업적을 이루어냈다. 왕은 "Ny ranomasina no valapariako" (Ny ranomasina no valapariako|니 라노마시나 노 발라파리아코mg, 뜻: 바다는 내 농장의 경계선이다)라고 선포했다.[5] 왕은 법전을 편찬하고, 수도 안타나나리보 주변 경작지에 제방, 수로, 도랑 건설을 감독했다. 그는 금속 삽을 도입하여 쌀 농사 효율을 높였다.[5] 1810년 그가 사망했을 때, 그는 바라와 베칠레오 고지를 점령했고, 왕국의 경계선은 해안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5]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 왕 (약 1787년~1810년)


1787년, 암보히망가의 왕 람보아살라마 왕자는 삼촌을 몰아내고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다. 그는 외교와 무력을 사용하여 이메리나를 통일하고 마다가스카르 전역을 지배하려 했다.

19세기 초, 메리나는 베자노자노, 베치미사라카 등 경쟁 부족들과 사칼라바 왕국을 정복하여 메리나 왕관 아래 복속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메리나"라는 민족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5] 1824년, 메리나는 서해안의 마하장가 항구를 점령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라다마 1세 치하에서 메리나는 제국 통제를 확장하고 군 지휘관들을 부유하게 만드는 군사 원정을 계속했다.[7]

메리나가 이웃 부족들을 정복할 수 있었던 것은 영국의 화력과 군사 훈련 덕분이었다. 영국은 1815년부터 섬의 중심 위치 때문에 메리나 왕국과 무역을 맺는 데 관심이 있었다.[7] 제2차 메리나-영국 조약 파기 이후 메리나 제국의 원정은 더욱 빈번하고 잔혹해졌다. 1828년부터 1840년 사이에 1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20만 명 이상이 메리나군에 의해 노예로 끌려갔다.[8] 19세기 중반까지 제국 확장과 해안 무역 통제 강화는 섬 전체에 걸쳐 메리나의 우위를 공고히 했다.

3. 5. 라다마 1세 시대와 영토 확장 (19세기 초)

라다마 1세는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의 아들로, 안타나나리보에 유럽 선교사들과 외교관들을 처음으로 받아들이고 정기적으로 교류한 인물이다. 그의 아버지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사람들을 동원하여 관개를 실시하고 늪지를 논으로 바꾸었으며, 21세기 현대까지 이어지는 안타나나리보 명물인 금요일 시장(즈마의 시장)을 관례화했다.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1820년에 사망하면서 "바다야말로 나의 논의 경계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를 메리나 왕국의 영토로 만들라는 의미였다. 라다마 1세는 이 유언에 따라 메리나의 영토 확장에 착수했다.

라다마 1세의 정복 사업에는 영국이 크게 관여했다. 당시 인도양에서는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이 패권을 다투고 있었고, 각국은 근거지와 식민지 건설에 힘을 쏟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가 현지 수장으로부터 생트마리 섬을 획득하자, 영국령 모리셔스 총독 파커는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메리나 왕국을 지원하기로 했다. 제3차 마라타 전쟁(1817-1818), First Anglo-Burmese War|제1차 영-버마 전쟁영어(1824-1826)을 치르고 있던 영국에게 마다가스카르에 군사력을 할애할 여력은 없었기에, 파커는 라다마 1세에게 "마다가스카르 왕"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라다마 1세는 파커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제공받고 군사 훈련도 받아들였다. 또한, 런던 선교회의 선교를 허락하고 학교 설립도 허가했으며, 라틴 알파벳을 이용한 마다가스카르어 표기법을 도입했다. 라다마 1세의 통치 기간 8년 동안,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가 보호국화를 꾀하던 서해안의 사카라바 여러 왕국을 포함한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의 3분의 2 정도까지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라다마 1세는 만성적인 술 과다 섭취로 인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첫째 부인이 라나발로나 1세로 즉위했다.

3. 6. 라나발로나 1세 시대와 쇄국 정책 (19세기 중반)

라나발로나 1세는 라다마 1세의 미망인이자 왕비로서, 영국프랑스의 식민지 획득 경쟁에 맞서 자국의 문화와 주권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1833년 총리 제도를 도입하여 라이니하로가 첫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1852년 재임 중 사망했다.[1] 라나발로나 1세는 라다마 1세가 영국과 맺었던 조약을 거부하고 1835년 이후 기독교 신앙 허용 칙령을 모두 무효화했다. 영국 선교사들을 추방하고 기독교 박해를 멈추지 않았으며, 1861년 사망했다.[1]

라나발로나 1세의 33년 통치는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근대성으로부터 마다가스카르의 문화적 고립을 유지하려는 투쟁으로 특징지어진다.[2]

3. 7. 라다마 2세 ~ 라나발로나 3세 시대와 프랑스의 침략 (19세기 후반)

1869년, 라나발로나 2세 여왕은 영국 국교회(성공회)에서 세례를 받고, 성공회를 메리나 왕국의 국교로 정했다.[33] 그녀는 조상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부적인 삼피를 공개적으로 불태웠다. 천주교와 개신교 선교사들이 메리나 왕국에 들어와 교회성당, 학교를 세웠다.

라나발로나 3세1883년 11월 22일에 즉위했으며, 그녀의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와 두 번의 전쟁을 치렀으나 모두 패배했다. 1894년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에서 패배한 후,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 1897년 프랑스 식민군에 의해 폐위된 그녀는 프랑스령 알제리로 망명했고, 메리나 왕국은 멸망했다.

라다마 1세의 뒤를 이은 라나발로나 1세는 마다가스카르의 문화적 고립을 유지하려 했다. 그녀의 아들 라다마 2세는 람베르 헌장에 서명했지만, 그의 정책은 귀족들의 분노를 사 쿠데타로 살해당했다. 귀족 혁명으로 라소헤리나 왕대비가 입헌군주제를 받아들여 즉위했고, 1867년 미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그녀는 총리였던 라이니보니나히트리뇨니를 그의 동생 라이닐라이아리보니로 교체했는데, 그는 30년 동안 총리직을 유지하며 후임 여왕들과 결혼했다. 라나발로나 2세는 국가를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모든 삼피를 불태웠다. 라나발로나 3세는 22세에 왕위에 올랐고, 1896년 프랑스에 의해 레위니옹프랑스령 알제리로 망명되었다.

라나발로나 1세 여왕 말년, 후바(자유민) 엘리트 출신인 라이니보니나히트리뇨니와 그의 동생 라이닐라이아리보니가 정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861년 라나발로나 1세가 사망하고 라다마 2세가 즉위했으나, 1863년 귀족 장교들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라소헤리나, 라나발로나 2세, 라나발로나 3세가 왕위를 계승했고, 라이닐라이아리보니 수상이 실질적인 왕국 운영을 담당했다. 라나발로나 2세는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하고 삼피를 불태우는 등 기독교화를 강행했다.

라다마 2세는 프랑스 상인 조제프-프랑수아 랑베르에게 마다가스카르의 권익을 인정하는 특허를 발행했다. 메리나 왕국은 1863년 불평등한 특허를 취소했지만, 프랑스는 "라보르드의 상속 문제" 등을 구실로 압력을 강화했다. 1883년 프랑스는 마다가스카르를 침공했고, 메리나 왕국은 디에고 수아레스를 할양했다. 영국은 1890년 잔지바르 협정을 통해 마다가스카르에 대한 프랑스의 권익을 인정했다.

1892년 프랑스는 메리나 왕국에 보호령화를 통고했고, 1894년 선전포고를 했다. 1895년 안타나나리보를 점령하고 프랑스 보호령 마다가스카르를 성립시켰다. 1896년 마다가스카르 병합을 선언하고 메리나 왕국 영토를 상실했다. 라이닐라이아리보니는 알제리로 추방되어 사망했다.

라나발로나 3세1917년 알제리에서 사망했다. 가톨릭으로 개종한 마리 루이즈 공주가 자녀 없이 사망하면서 메리나 왕가는 단절되었다.

3. 8. 왕조의 멸망

1883년 11월 22일 라나발로나 3세가 즉위했으나, 두 차례의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했다. 1894년 제2차 프랑스-마다가스카르 전쟁에서 패배하여 메리나 왕국은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1] 1897년 프랑스 식민군에 의해 라나발로나 3세는 폐위되고 프랑스령 알제리로 망명되면서 메리나 왕국은 멸망했다.[1]

4. 사회

메리나 왕국 사회는 안드리아나(귀족), 호바(자유민), 안데보(노예)라는 세 신분으로 구성되었다. 안드리아마넬로는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안드리아나라는 귀족 계급을 설치했다고 알려져 있다. 랄람보는 안드리아나 계급을 4개로 계층화했고,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이를 다시 6개로 세분화했다.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안드리아나의 특권과 의무를 정하고, 씨족과 가족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4. 1. 신분 제도

메리나 왕국의 사회는 안드리아나(귀족), 호바(자유민), 안데보(노예)라 불리는 세 개의 신분으로 구성되었다. 안드리아마넬로는 사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안드리아나라는 귀족 계급을 설치했다고 알려져 있다. 랄람보는 안드리아나 계급을 4개로 계층화했다.

이후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는 안드리아나 계급을 6개로 더욱 세분화했다. 그는 안드리아나임을 나타내는 맹금류 상징을 집 입구에 장식하는 특권 등, 안드리아나의 여러 특권과 의무를 정했다. 또한, 씨족과 가족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자원을 고르게 배분하고, 가족 묘지에 가족 구성원 모두가 같은 묘지에 매장되는 장례 제도를 정비했다.

4. 2. 종교

메리나 왕국은 전통적으로 조상을 숭배하고 정령 신앙을 믿는 것이 중심이었다. 특히 '삼피'라는 부적은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다양한 천연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왕국을 보호하는 힘이 있다고 여겨졌다. 랄람보 왕은 이메리나 전역에서 12개의 강력한 '삼피'를 모아 왕권 강화에 이용했다. 이러한 '삼피'는 신성한 수호자로 여겨졌으며, 왕의 주권과 국가의 완전성을 보호한다고 믿었다.[33]

19세기 후반, 라나발로나 2세 여왕 시대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여왕은 영국 국교회(성공회)에서 세례를 받고 성공회를 국교로 지정했다. 그 후 여왕은 전통 신앙의 상징이었던 '삼피'를 공개적으로 불태웠다. 이는 천주교와 개신교 선교사들이 메리나 왕국에 들어와 교회, 성당, 학교를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33]

5. 정치

16세기부터 이 섬의 정치적 삶은 메리나 왕국과 사칼라바 왕국 간의 분쟁으로 특징지어졌는데, 이는 사칼라바의 이메리나 침략으로 인한 노예 사냥에서 비롯되었다.[5] 19세기 초, 메리나는 베자노자노, 베치미사라카 등의 경쟁 부족들과 결국 사칼라바 왕국을 정복하여 메리나 왕관 아래로 복속시켰다. 이 과정에서 "메리나"라는 민족명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5]

1824년, 메리나는 섬 서해안에 위치한 마하장가(Mahajanga) 항구를 점령하여 세력을 더욱 확장했다. 라다마 1세 치하에서 메리나는 제국 통제를 확장하고 군 지휘관들을 부유하게 만드는 군사 원정을 계속했다.[7] 메리나가 이웃 부족들을 정복할 수 있었던 것은 영국의 화력과 군사 훈련 덕분이었다. 영국은 1815년부터 섬의 중심 위치 때문에 메리나 왕국과 무역을 맺는 데 관심이 있었다.[7] 제2차 메리나-영국 조약 파기 이후 메리나 제국의 원정은 더욱 빈번하고 잔혹해졌다. 1828년부터 1840년 사이에 1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20만 명 이상이 메리나군에 의해 노예로 끌려갔다.[8]

19세기 중반 내내 계속된 제국 확장과 해안 무역에 대한 통제 강화는 섬 전체에 걸쳐 메리나의 우위를 공고히 했다. 메리나 왕국은 1895년 프랑스 식민지화 이전에 마다가스카르 전체를 거의 단일 국가로 통합했다.[9]

안드리아마시나발로나 왕은 왕국을 네 명의 아들에게 분할 통치하게 하여 이메리나(Imerina)의 여러 공국들 사이에 분열과 전쟁을 초래했다. 그는 왕국이 분열되기 전까지 가장 큰 역사적 영토로 왕국의 국경을 확장했다. 1787년, 암보히망가의 왕 람보아살라마 왕자는 삼촌을 몰아내고 안드리아나푸이니메리나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다. 새 왕은 외교와 무력을 모두 사용하여 이메리나를 통일하고 마다가스카르 전역을 자신의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안드리아마넬로는 은세공, 철세공, 그리고 피로그 제작 및 사용 기술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5. 1.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이메리나의 계승 체계는 "조직된 정부"를 의미하는 ''판자카나 아린드라''(fanjakana arindra)라는 시스템을 사용했다.[1] 이 시스템은 이메리나의 창시자인 안드리아마넬로를 키운 바짐바 귀족 여성들에 의해 수립되었다. 바짐바는 역사적으로 여왕에 의한 통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호바는 남성 상속자를 선호했고, 안드리아마넬로의 바짐바 어머니와 호바 아버지 사이의 결혼으로 두 아들과 한 딸이 태어났다. 갈등을 막기 위해 여왕은 안드리아마넬로가 어머니 사후 왕위를 계승하고, 자신의 자녀가 아닌 그의 남동생이 그를 계승하도록 결정했다.[2] 이 계승 시스템은 여왕들에 의해 영원히 준수하도록 명령되었으며, 가족에도 적용되었다. 장남과 차남이 있는 경우, 부모는 사망 시 장남이 가족 내 권위를 맡도록 지정하고, 장남이 사망할 경우 그 권위는 지정된 차남에게 넘겨주도록 했다.[1] 랄람보는 일부다처제를 실천한 최초의 메리나 군주였으며, 그의 두 번째 부인이 그에게 첫 아들을 낳았다. 첫 번째 부인과의 차남이 통치할 예정이었지만, 랄람보는 장남에게 왕위가 이후로는 재위 중인 군주와 장남 안드리안톰포코인드린드라의 가계 출신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에게만 계승될 수 있다고 선언함으로써 그를 달랬다.[20]

5. 2. 법과 사법 제도

안드리아남포이니메리나는 법전을 편찬하여 법치주의의 기반을 마련했다.[22] 전통적인 사법 형태인 '신의 심판'이 존재했으나, 안드리아나자카 시대에는 피고인이 직접 독을 섭취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있었다.[22]

6. 경제

메리나 왕국의 경제는 주로 벼농사에 기반을 두었다. 안드리아마넬로 시대부터 저지대 습지를 관개 논으로 바꾸는 작업이 시작되었고, 안드리안자카 시대에는 안타나나리보 주변 평원이 잉여 생산을 하는 논으로 변모했다.[23] 제방 건설과 빗물 관리를 통해 농업 생산량이 증가했다.[23]

안드리안자카는 1620년경 유럽인들과 처음 접촉한 메리나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경쟁 부족을 제압하는 데 필요한 총과 화기를 얻기 위해 노예를 교환했다.[24] 초기에는 아랍인, 인도인과 거래했지만, 16세기 초부터 유럽인들도 노예 무역에 참여했다. 마다가스카르 노예들은 아라비아, 인도, 레위니옹모리셔스, 브라질 등 아메리카로 수출되었다.[24]

인도양에서의 노예 사냥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은 프랑스령 마스카렌 제도를 점령하여 노예와 농산물 수출을 용이하게 했다. 로버트 드루리의 항해일지는 마다가스카르 노예 무역에 대한 초기 기록 중 하나이다.[25]

제3차 마라타 전쟁과 First Anglo-Burmese War|제1차 영-버마 전쟁|redirect=1영어으로 인해 마다가스카르에 집중할 여력이 없던 영국은 모리셔스 총독 Robert Townsend Farquhar|로버트 타운젠드 파커|label=파커영어를 통해 메리나 왕국을 지원했다. 라다마 1세는 파커로부터 무기와 군사 훈련을 지원받았다.

영국은 메리나 왕국을 지원하여 마다가스카르 전역으로 제국과 무역망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왔다. 1820년 제2차 영국-메리나 조약을 통해 마다가스카르의 노예 수출을 중단시키려 했으나, 1820년 이후에도 내부 노예 시장은 번성하여 매년 6,000명에서 10,000명의 노예가 수출되었다.[26]

메리나 왕국에서 낮은 인구 밀도는 가정 노예 제도를 통해 자원과 인력 지배를 확장하는 수단이었다. 엘리트들은 노예 노동에 크게 의존했고, 라다마 1세는 1817년 최초의 영국-메리나 조약을 준수할 의사가 거의 없었다. 노예 소유는 일반화되었고, 노예 계급이 확장되면서 더 많은 메리나 사람들이 노예를 소유하게 되었다. 안타나나리보 인구는 1820년 약 1만 명에서 1833년 5만 명으로 증가했다. ''파놈포아나''(fanompoana) 또는 의무 군 복무로 인해 자유 남성들이 군대로 이동하면서 노예 수요가 증가했다.[28]

19세기 후반, 메리나인들은 동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수입했다. 1877년 약 15만 명의 노예가 해방되었지만, 이들은 제국 노동 예비군으로 편입되어 노예 제도와 큰 차이가 없었다. 1882년 프랑코-메리나 적대 행위가 발생할 때까지 1880년대에는 은밀한 무역이 계속되었다.

6. 1. 농업

메리나 왕국의 경제는 주로 벼농사에 의존했다. 안드리아마넬로 시대부터 저지대 습지를 관개 논으로 바꾸는 작업이 시작되었다.[23] Andriamanelo영어는 백성에게 농업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안드리안자카 시대에는 안타나나리보 주변 평원이 잉여 생산을 하는 논으로 변모했다.[23] 제방을 건설하고 빗물의 방향을 바꾸어 관개 시설을 정비함으로써 농업 생산량을 늘렸다.[23]

6. 2. 무역과 노예 무역

안드리안자카는 1620년경 유럽인들을 처음 맞이한 메리나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경쟁 부족을 평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총과 기타 화기를 얻기 위해 노예를 교환하여 군대에 총 50정과 화약 3통을 장비했다.[24] 부족 간의 약탈로 잡힌 포로들은 마다가스카르 노예 인구가 되었고, 이들의 과잉 인구는 해안의 외국 상인들에게 보내졌다. 초기에는 아랍인과 인도인이었지만, 16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노예를 요구하며 이 무역에 합류했다. 마다가스카르 노예들은 아라비아, 인도, 레위니옹모리셔스, 그리고 아메리카(주로 브라질)로 수출되었다.[24]

나폴레옹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한 후, 마다가스카르 동쪽에 있는 프랑스령 마스카렌 제도를 점령했다. 이 제도는 노예와 농산물 수출을 용이하게 했다. 영국에서 처음 알려진 마다가스카르 관련 이야기 중 일부는 난파된 영국 선원 로버트 드루리가 자신의 항해일지에 기록하고 영국에서 널리 배포된 마다가스카르 노예 무역에 관한 것이었다.[25]

당시 제3차 마라타 전쟁(1817-1818)과 First Anglo-Burmese War|제1차 영-버마 전쟁|redirect=1영어(1824-1826)을 치르고 있던 영국에게 마다가스카르에 할애할 여력은 없었다. 모리셔스 총독 Robert Townsend Farquhar|로버트 타운젠드 파커|label=파커영어는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당시 중앙 고지에서 국력이 크게 성장한 메리나 왕국을 지원하기로 했다. 라다마 1세는 파커로부터 무기와 탄약 제공, 군사 훈련을 받았다.

마다가스카르 노예 무역에 대한 영국의 집착은 메리나 왕국을 지원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메리나 왕국은 이를 통해 마다가스카르 전역으로 제국과 무역망을 확장할 무력을 얻게 되었다. 영국은 나중에 레위니옹 섬을 프랑스에 반환했지만 모리셔스는 유지했으며, 1820년 제2차 영국-메리나 조약을 통해 메리나 왕국 아래에서 마다가스카르의 노예 수출을 종식시키기로 선언했다. 그러나 영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820년 이후 내부 노예 시장은 여전히 호황을 누렸으며, 1820년까지 안타나나리보에서 매년 6,000명에서 10,000명의 노예가 수출된 것으로 추산된다.[26]

마다가스카르의 인구 밀도가 낮았기 때문에, 가정 노예 제도는 자원과 인력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는 수단이었다. 이메리나의 엘리트들은 노예 노동에 크게 의존했다. 이 때문에 라다마 1세는 1817년에 체결된 최초의 영국-메리나 조약을 준수할 의향이 거의 없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노예 소유는 점점 더 일반화되었다. 노예 계급이 확장됨에 따라 메리나 인구 중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노예를 소유하게 되었다. 이웃 부족으로부터 포획된 노예의 공급이 제국 정복으로 계속 증가함에 따라 안타나나리보의 인구는 1820년 약 1만 명에서 1833년 5만 명으로 증가했다. 메리나 왕국에서 ''파놈포아나''(fanompoana) 또는 의무 군 복무가 설립됨에 따라 건장한 자유 남성들이 농업 노동에서 군대로 이동하면서 노예에 대한 수요는 공급의 증가와 일치했다.[28]

19세기 후반, 메리나인들은 동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이는 노예 노동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와 개인적인 재정적 이익을 가진 메리나 궁정 관리들의 요구에 의해 주도되었다. 1877년에는 가정 노예 해방이 시작되어 약 15만 명의 노예가 해방되었으나, 이들은 제국 노동 예비군으로 만들어져 노예 제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1882년 프랑코-메리나 적대 행위가 발생할 때까지 1880년대에는 은밀한 무역이 번창했다.

7. 문화

(섹션 제목 '문화'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7. 1. 지리

메리나 왕국이 성립된 마다가스카르섬의 중앙고원은 섬의 중앙산맥 서쪽 사면, 해발 800~1800미터에 위치하며, 저위도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이 낮고 우기와 건기가 교차하는 몬순 기후이다.[30] 지질학적으로 중앙고원의 경관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기반암, Madagascar Plate|마다가스카르 플레이트영어침식된 결과 형성된 완만한 구릉과 우기 계곡(라바카)이 끝없이 펼쳐지는 모습이다.

마다가스카르 중앙고원의 경관


선사 시대에는 이 지형이 숲으로 더 덮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다가스카르섬은 유라시아 대륙 등과 비교하여 생물상이 특수하며, 식용이 되는 야생 식물이나 동물이 매우 적다. 섬의 가장 깊은 곳인 중앙고원에서의 국가 형성은 비교적 늦었다. 처음 중앙고원에 온 사람들은 마다가스카르 민화에 등장하는 Vazimba|바짐바영어라고 불리는 이들로 추정된다. 바짐바는 키가 작고 털이 많았다는 등 숲의 요정처럼 이야기되지만, 역사학적으로는 메리나인이나 베트시레오인에 앞서 중앙고원의 숲에 도착한 오스트로네시아계 수렵 채집민으로 생각된다.

15세기경, 훗날 "메리나"로 통합되는 사람들이 수전 경작 기술을 가지고 중앙고원 북부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언덕 아래의 숲을 개간하여 논을 만들고, 논 주변에 주거지를 배치했다. 고저차가 심한 곳에는 계단식 논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수전 경작에 의존하는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foko|포코mg라는 마을 공동체를 형성했다. 포코 중에는 분화된 사회 계층을 갖추고, 언덕 위에 Rova (Madagascar)|로바영어라고 불리는 성을 쌓아 다른 마을이나 숲에 사는 사람들과의 싸움에 대비하는 곳도 나타났다.

7. 2. 건축

라나발로나 2세 시대에는 프로테스탄트의 영향으로 산림 보호를 위해 화전, 제조, 목조 건축물 건설을 금지하고, 벽돌 건축을 추진하였다. 또한 '로바'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왕릉군이 건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adagascar (to 1896) http://www.nationala[...]
[2] 서적 Ritual Imagination: A Study of Tromba Possession Among the Betsimisaraka in Eastern Madagascar BRILL
[3] 저널 A refined chronology of prehistoric Madagascar and the demise of the megafauna
[4] 저널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5] 저널 Desperately Seeking 'the Merina' (Central Madagascar): Reading Ethnonyms and Their Semantic Fields in African Identity Histories 1996
[6] 서적 Forget colonialism?: sacrifice and the art of memory in Madagasc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7]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8]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9] 웹사이트 Merina people https://www.britanni[...] 2020-04-13
[10] 저널 The Merina Landscape in Early Nineteenth Century Highlands Madagascar 2005-12
[11] 저널 The Implications of Marriage Rules and Descent: Categories for Merina Social Structures 1971-02
[12] 서적 Piolet (1895)
[13] 서적 Madagascar : a short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14] 저널 Madagascar and Africa II: The Sakalava, Maroserana, Dady and Tromba before 1700
[15] 저널 Le mariage à Madagascar http://www.persee.fr[...] 2011-04-03
[16] 저널 Ritual, history and cognition: From analogy to hegemony in highland Malagasy polities 2012-12
[17] 저널 Conceptions of Identity and Tradition in Highland Malagasy Clothing 2009-06
[18] 서적 Early kingdoms in Madagascar, 1500–1700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0
[19] 저널 Phantom Nostalgia and Recollecting (From) the Colonial Past in Tamatave, Madagascar 2002
[20] 웹사이트 Antananarivo: Histoire de la commune http://www.iarivo-to[...] 2010-08-02
[21] 웹사이트 Alasora: Royaume d'Andriamanelo et terre des Velondraiamandreny http://madatana.com/[...] www.madatana.com 2010-11-10
[22] 서적 Kent (1970)
[23] 서적 Raison-Jourde (1983)
[24]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25] 서적 The pleasant and surprizing adventures of Mr. Robert Drury, during his fifteen years captivity on the island of Madagascar : Containing I. His voyage to, and short stay at the East Indies. II. An Account of the shipwreck of the degrave, on the island of Madagasear; the murder of capt. Younge and his ship's company, except admiral Bembo's son, and some few others, who made their escape. III. His captivity, hard usage, marriage, and wonderful variety of fortune. IV. His travels thorow the island, and description of its situation, product, manufactures, commodities, &c. V. The nature of the people, their customs, wars, religion, and policy: as also, the conferences between some of their chiefs, and the author, concerning the Christian, and their religion. VI. His redemption from thence by Capt. Mackett, late commander of the Prince of Wales, in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s Service: His arrival in England, and second voyage thither. VII. A vocabulary of the Madagasear language. The whole is a faithful narrative of matter of fact, interspers'd with a variety of amazing incidents, and illustrated with a sheet map of Madagasear and other cuts. First written by himself, and now carefully revised and corrected from the original copy, with improvements. Printed for and sold by M. Sheepey, under the Royal Exchange 1750
[26]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27]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28] 저널 Madagascar and the Slave Trade, 1810–1895 1981
[29] 웹사이트 Andriamanitra ô! Tahionao ny Mpanjakanay http://www.nationala[...]
[30] 웹사이트 Madagascar-GEOGRAPHY http://countrystudie[...] U. S. Library of Congress 2018-02-14
[31] 저널 A refined chronology of prehistoric Madagascar and the demise of the megafauna
[32] 저널 The Structure of Trade in Madagascar, 1750–1810
[33] 웹사이트 마다가스카르에는 3개의 자치적인 성공회 인도양 교구가 있는데, 이는 영국 국교회에 속한다. 2006년 9월 14일 정정. http://www.anglicanc[...] 2006-09-14
[34] 문서 라다마 1세의 아들로 공표되었지만, 친부는 Andriamihaja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