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니아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니아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지중해에 면해 있는 그리스의 현이다. 타이게토스 산맥, 키파리시아 산맥, 리코디모 산맥 등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주요 도시로는 칼라마타, 메시니, 키파리시아 등이 있다. 농업이 경제의 기반이며, 올리브 오일, 칼라마타 올리브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관광 또한 중요한 산업으로, 네스토르 궁전, 고대 메시니, 필로스, 코로니, 메토니 등의 유적지와 보이도킬리아 해변, 스팍테리아 섬 해변 등 아름다운 풍경이 관광객을 유치한다. 메시니아는 칼라마타 국제공항이 있으며, 국도와 철도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시니아현 - 이토미산
    이토미 산은 그리스 메세니아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이자 종교, 문화의 중심지였고, 메세니아 전쟁과 헤일로타이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제우스 사원이 있었고, 이토마이아 축제가 열렸으며, 서쪽 기슭에는 고대 도시 메세네가 위치해 있다.
  • 메시니아현 - 필로스
    필로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서쪽 끝에 위치한 도시로, 미케네 문명 시기 네스토르 궁전을 중심으로 번성했으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코린티아현
    코린티아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코린토스만과 사로니코스만에 접하고,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이오니아 해와 에게 해를 연결하며, 현청 소재지는 코린토스인, 고대 코린토스의 중심지이자 현대에는 아테네 위성 도시로서 경제, 산업, 교통의 요충지이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라코니아현
    라코니아현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반도 남부에 위치하며 스파르타가 있던 지역에서 유래, 비옥한 계곡과 산악 지형, 반도를 포함하고 스파르티를 현도로 역사 유적지와 관광 명소가 있는 현이다.
메시니아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개요
지역펠로폰네소스
중심지칼라마타
면적2991
인구146080 (2021년)
차량 번호판ΚΜ
지역 번호272x0, 276x0
ISO 3166-2GR-17
웹사이트메시니아현 공식 웹사이트
행정 구역
자치체6 (데모스)
역사
고대 지역메세니아 (고대 지역)
추가 정보
참고현대 지역 단위
고대 그리스 지역에 대해서는 메세니아 (고대 지역) 참조

2. 지리

펠로폰네소스 반도 남부(독일어)


메시니아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에는 타이게토스산맥 등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메시니아 중앙부를 흐르는 Pamisos (river)|파미소스강영어과 북부를 흐르는 네다강이 있다. 메시니아 반도 남쪽에는 Sapientza|사피엔차섬영어, Schiza|스키자섬영어 등으로 구성된 이누세스 제도Μεσσηνιακές Οινούσσες|메시니아키스 이누시스el가 있다.

이토메 산에서 바라본 메시니아 평원의 전망


메시니아현의 기후는 저지대에서는 아테네보다 기온이 약간 높고, 겨울에는 산악 지대를 제외하고는 강설을 거의 볼 수 없다. 내륙 지방에서는 흐림 날씨가 많이 나타난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 메시니아현의 주요 도시 및 마을은 다음과 같다.

도시인구
칼라마타57,706명
메시니5,744명
키파리시아4,893명
가르갈리아노이4,399명
필리아트라4,373명



메시니아만에 면한 현청 소재지인 칼라마타가 현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메시니 등 파미소스 강 하류의 평야부에 거주하며, 칼라마타-메시니 도시권이라고 불린다.

키파리시아

2. 1. 위치 및 지형

메시니아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 서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일리아현, 북동쪽으로는 아르카디아현, 남동쪽으로는 라코니아현과 접하고, 남쪽과 서쪽으로는 지중해 (이오니아해)에 면해 있다.

이오니아해로 뻗어 있는 현의 서남부를 구성하는 큰 반도는 메시니아 반도 또는 아크리타스 반도라고 불리며, 메시니아 반도와 마니반도에 의해 메시니아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파리시아 부근에서 피르고스 (일리아현) 부근까지 호를 그리며 만입하는 바다는 키파리시아만|영어이라고 불린다.

메시니아현은 삼면이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에는 타이게토스산맥, 북서쪽에는 키파리시아 산맥, 남서쪽 반도부에는 리코디모 산맥이 이어진다.

주요 하천으로는 메시니아 중앙부를 흐르는 Pamisos (river)|파미소스강|영어과 북부를 흐르는 네다강이 있다. 메시니아 반도 남쪽에는 Sapientza|사피엔차섬|영어, Schiza|스키자섬|영어 등으로 구성된 이누세스 제도Μεσσηνιακές Οινούσσες|메시니아키스 이누시스|el가 있으며, 이 외에도 Βενέτικο Μεσσηνίας|베네티코섬|el, Sphacteria|스파크테리아섬|영어이 있다.

2. 2. 기후

메시니아현의 기후는 다양하며, 저지대에서는 아테네보다 기온이 약간 높다. 겨울에는 타이게토스 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악 지대를 제외하고는 강설을 거의 볼 수 없다. 또한, 내륙 지방에서는 흐림 날씨가 많이 나타난다.

2. 3. 주요 도시

2021년 인구 조사 기준 메시니아현의 주요 도시 및 마을은 다음과 같다.

도시인구
칼라마타57,706명
메시니5,744명
키파리시아4,893명
가르갈리아노이4,399명
필리아트라4,373명



2001년 인구 조사 기준 3,000명 이상 도시 목록은 다음과 같다.

도시인구
칼라마타 (칼라마타 시)49,154명
Filiatra|필리아트라영어 (트리필리아 시)6,719명
Messini|메시니영어 (메시니 시)6,693명
Gargalianoi|가르갈리아노이영어 (트리필리아 시)5,970명
Kyparissia|키파리시아영어 (트리필리아 시)4,894명
Χώρα Μεσσηνίας|호라el (필로스-네스토라스 시)3,458명



메시니아 만에 면한 현청 소재지인 '''칼라마타'''가 현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현 인구의 절반 이상은 '''메시니''' 등 파미소스 강 하류의 평야부에 거주하며, 칼라마타-메시니 도시권이라고 불린다. 현 북서부 평야에는 북쪽부터 '''키파리시아''', '''필리아트라''', '''가르갈리아노이'''와 같은 마을이 있다. 메시니아 반도에서는 내륙의 '''호라'''(네스토라스)가 가장 큰 마을이며, 항구 도시 '''필로스'''(고대 명칭: 필로스)가 그 다음으로 크다.

3. 역사

메시니아는 유럽 문학의 가장 오래된 작품인 ''일리아스''에 언급될 정도로 그 역사가 깊다.[1] 이름은 최소한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 기원은 신화 속에 묻혀 있다. 이 지역은 고대 스파르타에 의해 정복되어 헤일로타이로 노예화된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였다.

고대 메세니아 지도


펠라스고이인과 레레게스인이 초기에 메시니아 지방에 거주했으며, 이후 아에로=미니아인이 이주해 왔다. 호메로스서사시에 따르면 메시니아 동부는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가, 서부는 필로스의 왕 네레우스가 지배했으나, 메넬라오스 사후 국경이 동쪽으로 타이게토스 산맥까지 이동했다.

기원전 1300년대 청동기 시대 후기, 필로스의 왕은 관료제를 갖춘 농업 국가를 통치했으며, 미케네 방언과 그리스 다신교를 사용했다. 크레스폰테스가 이끄는 도리아인이 아르카디아 지방에서 침입하여 스테니클라스를 수도로 삼고 메시니아 지방 전역을 지배했다. 아르카디아 방언이 미케네 방언의 직계 언어라는 점을 고려하면, 선주민이 도리아인에게 쫓겨 아르카디아 지방으로 도망간 것으로 추정된다.

도리아인은 선주민을 융합하여 단일한 메시니아인으로 묶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스파르타가 정복한 선주민을 헬로타이나 페리오이코이로 삼은 것과 다르다. 비옥한 토지와 양호한 기후를 가진 메시니아 지방은 이웃 국가 스파르타의 영토 확장 야욕을 자극했다.

기원전 720년, 스파르타 왕 텔레클로스가 살해당한 사건을 계기로 제1차 메시니아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은 메시니아 왕 에우파에스와 아리스토데모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났다. 기원전 648년부터 기원전 631년까지 아리스토메네스의 지휘 하에 메시니아인이 봉기(제2차 메시니아 전쟁)를 일으켰으나, 에이라 요새가 함락되면서 실패했다.

스파르타는 광대한 토지를 얻었고, 도망가지 않은 메시니아인은 헬로타이 신분으로 전락했다. 이들은 자신이 경작하는 토지 생산물의 절반을 스파르타 시민에게 바쳐야 했다. 스파르타 시인 튀르타이오스는 메시니아인들이 스파르타인의 오만함을 견뎌야 했다고 묘사했다.

기원전 464년 스파르타 지진을 틈타 메시니아인은 다시 반란(제3차 메시니아 전쟁)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이토메 요새에 웅거했으나 함락되었고, 메시니아인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추방되었다. 아테네는 서 로크리스 지방의 나우팍토스를 이주지로 제공했다.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 이후, 에파메이논다스의 지원으로 메시니아인은 고향으로 돌아와 스파르타로부터 독립을 회복했다. 메세네(현재의 메시니)는 기원전 369년에 건설되어 메시니아 지방의 주도가 되었고, 스파르타에게는 장애가 되었다.

테베의 패권이 끝난 후, 메시니아는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2세와 동맹을 맺었지만,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이후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하여 기원전 222년 셀라시아 전투에서 아카이아인안티고노스 3세와 함께 싸웠다. 필리포스 5세는 파로스의 데메트리오스를 보내 메세네를 포위했지만 실패했고, 스파르타 참주 나비스가 메세네를 점령했다가 필로포이멘에게 해방되었다.

기원전 183년 아카이아 동맹과의 전쟁에서 메시니아인은 필로포이멘을 살해했다. 그러나 아카이아 동맹의 보복 공격으로 이듬해 뤼코르타스에게 점령당하고, 다시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했다. 이 과정에서 아비아, 투리아, 페라이 등이 독립하여 메시니아의 힘은 약화되었다.

기원전 146년, 공화정 로마 집정관 루키우스 뭄미우스의 원정으로 메시니아는 공화정 로마에 지배되었다. 서기 25년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타이게토스 산맥 서쪽 기슭의 아게르 덴테리아레스 마을이 메시니아에 귀속되는 판결이 내려졌다.[2]

395년 로마 제국이 분열되자 메시니아 지방은 동로마 제국에 속했고, 이후 슬라브족의 침략이 잇따랐다.

중세 시대에 메시니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다른 지역들과 운명을 같이 했다. 칼라마타, 코로니(고대 아시네, 현대 코로니), 모돈(메토니), 필로스의 중세 요새 유적에서 분쟁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메시니아는 1205년까지 비잔틴 제국의 일부였다가 아카이아 공국에 속했고, 코로니와 모돈 항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코로니와 모돈을 제외한 나머지 메시니아는 1430년에 비잔틴 모레아 전제 공국에 의해 점령되었다.[1]

메시니아의 대부분은 1460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일부 지역은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1503)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에 남아 있었다. 1534년에는 '코로니'라고 알려진 여러 가문들이 시칠리아의 피아나 델리 알바네시에 정착했다. 이들은 Ἀρβανίται|아르바나이트grc인들과 코로니 출신의 그리스인들이었다.[1]

1680년대에 메시니아 전역은 모레아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고, 1715년 오스만의 모레아 재정복까지 "모레아 왕국"의 일부를 이루었다. 현대 메시니아의 일부인 마니 반도는 터키의 지배로부터 자치 상태를 유지했다.[1]

메시니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32)의 결과로 독립 그리스의 일부가 되었다. 1827년 현재의 필로스 근처에서 벌어진 나바리노 해전은 그리스와 동맹국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그리스 레지스탕스가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나치 점령군)과 협력자 치안대대를 상대로 멜리가라스 전투, 칼라마타 전투, 코라-아고렐리차 전투 등 여러 전투를 메시니아에서 벌였다.[2]

칼라마타와 메세네 지역의 인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30,000명에서 현재 80,000명 가까이로 증가했다. 메시니아는 2007년 그리스 산불로 피해를 입었다.[2] 그리스 왕국 영토가 된 메시니아 지방은 농업 생산과 경제가 성장했다. 이후 Piraeus, Athens and Peloponnese Railways영어 (OSE의 전신)에 의해 철도가 부설되었다. 그러나 메시니아 지방에서 미국이나 국내 대도시로의 이민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오니아 제도의 일부인 Sapientza영어와 Schiza영어는 이 무렵 메시니아 현에 편입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내전이 끝나자 대부분의 건물은 복구되었다. 전후 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서유럽으로의 이민이 증가했지만 1980년대에는 종식되기 시작했다. 반면에 칼라마타나 메시니와 같은 도시 지역의 인구는 급증했다.[3]

1970년대에는 고속도로가 메시니아 현에 건설되었다. 1999년에는 국도 7호선의 건설이 추진되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국도 9호선과의 나들목이 증설되었다.[3]

2007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현 중앙부에서 발생한 산불은 산림과 과수원, 농장, 집 등을 태워 현의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그 한 달 후에는 현 북동부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여 타이게토스 산맥에 위치한 마을들을 파괴했다. 2008년 2월 14일에는 규모 6.6의 대규모 지진이 현 전체를 덮쳤다.[3]

3. 1. 고대

메세네의 고대 극장


메세니아는 유럽 문학의 가장 오래된 작품인 ''일리아스''에서 언급된다.[1] 이름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소한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 기원은 신화 속에 묻혀 있다. 이 지역은 고대 스파르타에 의해 정복되어 헤일로타이로 노예화된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였다.

처음에 메세니아 지방에 거주한 것은 펠라스고이인과 레레게스인이었으며, 레레게스인은 북서부 안다니아를 중심으로 거주했다. 그 후 아에로=미니아인이 도래하여 메세니아로 이주했다. 호메로스서사시에 따르면 메세니아 동부는 동쪽 이웃인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의 지배하에 있었고, 서부는 메세니아 서부 해안에 위치한 필로스의 왕 네레우스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스파르타 왕 메넬라오스의 사후 국경이 동쪽으로 타이게토스 산맥까지 이동했다.

기원전 1300년대의 청동기 시대 후기에는, 관료제를 갖춘 농업 국가였던 필로스의 왕이 메세니아 지방을 통치했다. 당시에는 미케네 방언이 사용되었으며, 그리스의 다신교를 신봉했다. 크레스폰테스가 이끄는 도리아인이 아르카디아 지방에서 메세니아 평원의 북부에 침입하자, 스테니클라스를 수도로 삼았다. 더 나아가 그 후의 지배는 메세니아 지방 전역에 미쳤다. 그러나 아르카디아 방언이 미케네 방언의 직계 언어라는 점을 고려하면, 선주민이 도리아인에게 쫓겨 오히려 아르카디아 지방으로 도망간 것으로 생각된다.

도리아인은 강한 애국심으로 남은 선주민을 융합하여 단일한 메세니아인으로 묶는 데 성공했다. 이는 스파르타의 도리아인이 정복한 선주민을 헬로타이나 페리오이코이로 삼은 것과는 뚜렷이 다른 특징이다. 그러나 메세니아 지방은 비옥한 토지와 양호한 기후로 인해 비교적 풍요로운 지방이었고, 그 때문에 영토 확장주의를 채택하는 이웃 국가 스파르타의 욕망을 자극했다.

기원전 720년, 스파르타 왕 텔레클로스가 메세니아인에게 살해당한 사건을 계기로 양국 간의 전쟁 (제1차 메세니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은 메세니아 왕 에우파에스와 차기 왕 아리스토데모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스파르타의 승리로 끝났다. 기원전 648년부터 기원전 631년에 걸쳐 아리스토메네스의 지휘 하에 메세니아인이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제2차 메세니아 전쟁) 그러나 에이라 요새가 11년의 포위 끝에 함락되면서 실패로 끝났다.

그 결과 스파르타 시민은 광대한 토지를 얻었고, 토지를 버리고 도망가지 않은 메세니아인은 헬로타이의 신분으로 떨어졌다. 예속은 가혹하여, 자신이 경작하는 토지의 생산물의 절반을 토지 소유자인 스파르타 시민에게 지불해야 했다. 스파르타의 시인 튀르타이오스는 스파르타인의 오만함을 견디는 메세니아인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짐에 지쳐 피곤한 당나귀처럼,

> 잔혹한 힘은 그들에게 복종을 강요했고,

> 잘 경작된 땅이 제공하는 모든 과실 중,

> 절반은 그들의 오만한 영주에게 바쳐야 했다.

기원전 464년 스파르타 지진이 일어나 많은 인명을 앗아가자, 이를 틈타 다시 메세니아인은 반란을 일으켰다. (제3차 메세니아 전쟁) 반란군은 제2차 메세니아 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이토메 요새에 웅거했다. 그러나 결국 요새는 함락되었고, 메세니아인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추방되었지만, 스파르타에 불만을 품고 있던 아테네인에 의해 서 로크리스 지방에 있는 나우팍토스의 마을을 이주지로 받았다.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 이후, 이탈리아나 시칠리아 섬, 북아프리카에 흩어져 있던 메세니아인은 에파메이논다스의 지원으로 다시 메세니아로 귀환하여 스파르타로부터 독립을 회복했다. 메세네 (현재의 메시니)의 마을은 기원전 369년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메세니아 지방의 주도로서, 아르카디아 지방의 주도 메갈로폴리스와 마찬가지로 스파르타에게 장애가 될 수 있었다. 이때 메세니아 지방의 다른 마을들도 마찬가지로 건설되었지만, 대부분의 토지는 아직 과소 지역이었다.

테베의 패권이 끝난 후 메세니아는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2세와 동맹을 맺었지만,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그 후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하여 기원전 222년 셀라시아 전투에서는 아카이아인안티고노스 3세와 함께 싸웠다.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5세는 메세네 포위에 파로스의 데메트리오스를 파견했지만, 데메트리오스는 사망하여 실패했다. 그 직후 스파르타의 참주 나비스가 메세네 마을을 점령했지만, 필로포이멘이 이끄는 메갈로폴리스의 군대가 도착하여 마을은 해방되었다.

기원전 183년 아카이아 동맹과의 전쟁이 시작되자, 메세니아인은 필로포이멘을 포획하여 살해했다. 그러나 아카이아 동맹은 필로포이멘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메세니아를 공격했기 때문에, 이듬해 뤼코르타스에게 마을을 점령당하고, 다시 메세네는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했다. 이 전투 과정에서 아비아, 투리아, 페라이와 같은 도시가 메세네로부터 독립했기 때문에 메세네의 힘은 감소했다.

기원전 146년에는 공화정 로마의 집정관 루키우스 뭄미우스의 원정으로 다른 그리스 제국과 함께 메세네도 공화정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 무렵, 타이게토스 산맥의 서쪽 기슭에 있는 아게르 덴테리아레스 마을의 귀속을 놓고 메세니아와 스파르타 사이에 오랫동안 대립이 있었지만, 결국 서기 25년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메세니아에 귀속되는 판결이 내려졌다.[2]

395년에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자, 메세니아 지방은 동로마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 그 후 슬라브족의 침략이 잇따랐다.

3. 2. 중세 및 근세

중세 시대에, 메세니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다른 지역들과 운명을 같이 했다. 이러한 분쟁의 뚜렷한 흔적은 칼라마타, 코로니(고대 아시네, 현대 코로니), 모돈(메토니) 및 필로스의 중세 요새의 현존하는 유적에서 찾을 수 있다. 메세니아는 1205년까지 비잔틴 제국의 일부였으며, 그 이후에는 아카이아 공국에 속했고, 코로니와 모돈 항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코로니와 모돈을 제외한 나머지 메세니아는 1430년에 비잔틴 모레아 전제 공국에 의해 점령되었다.[1]

메세니아의 대부분은 1460년 오스만 제국의 손에 들어갔고, 일부 지역은 제2차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99–1503)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에 남아 있었다. 1534년에는 '코로니'라고 알려진 여러 가문들이 시칠리아의 피아나 델리 알바네시에 정착했다. 이들은 Ἀρβανίται|아르바나이트grc인들과 코로니 출신의 그리스인들이었다.[1]

1680년대에 메세니아 전역은 모레아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고, 1715년 오스만의 모레아 재정복까지 "모레아 왕국"의 일부를 이루었다. 현대 메세니아의 일부인 마니 반도는 터키의 지배로부터 자치 상태를 유지했다.[1]

3. 3. 근대 및 현대

메시니아는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32)의 결과로 독립 그리스의 일부가 되었다. 1827년 현재의 필로스 근처에서 유명한 나바리노 해전이 벌어졌으며, 그리스와 동맹국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그리스 레지스탕스가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나치 점령군)과 협력자 치안대대를 상대로 멜리가라스 전투, 칼라마타 전투, 코라-아고렐리차 전투를 포함한 여러 전투를 메시니아에서 벌였다.[2]

칼라마타와 메세네 지역의 인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30,000명에서 현재 80,000명 가까이로 증가했다. 메시니아는 2007년 그리스 산불로 피해를 입었다.[2] 그리스 왕국 영토가 된 메시니아 지방은 농업 생산과 경제가 성장했다. 그 후 Piraeus, Athens and Peloponnese Railways영어 (OSE의 전신)에 의해 철도가 부설되었다. 그러나 메시니아 지방에서 미국이나 국내 대도시로의 이민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오니아 제도의 일부인 Sapientza영어와 Schiza영어는 이 무렵 메시니아 현에 편입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내전이 끝나자 대부분의 건물은 복구되었다. 전후 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서유럽으로의 이민이 증가했지만 1980년대에는 종식되기 시작했다. 반면에 칼라마타나 메시니와 같은 도시 지역의 인구는 급증했다.[3]

1970년대에는 고속도로가 메시니아 현에 건설되었다. 또한 1999년에는 국도 7호선의 건설이 추진되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국도 9호선과의 나들목이 증설되었다.[3]

2007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현 중앙부에서 발생한 산불은 산림과 과수원, 농장, 집 등을 태워 현의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그 한 달 후에는 현 북동부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여 타이게토스 산맥에 위치한 마을들을 파괴했다. 또한 2008년 2월 14일에는 규모 6.6의 대규모 지진이 현 전체를 덮쳤다.[3]

4. 정치

2010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메시니아 현은 29개의 디모스(지방 자치 단체)와 2개의 키노티타(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0년 이후, 메시니아 현은 6개의 지방 자치 단체만 포함하는 지역 단위가 되었지만, 면적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 개편으로 25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공동체가 통합되어 6개의 새로운 지방 자치 단위를 형성했다.[1]

메시니아 현에는 과거 4개의 군(에파르히아)이 존재했으나, 2006년 이후 법적인 지위는 사라졌다.

군 이름한글 표기중심지
칼라마타 군칼라마타칼라마타
메시니 군메시니메시니
필리아 군필리아필로스
트리필리아 군트리필리아키파리시아



4. 1. 행정 구역

2010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메시니아 현은 29개의 디모스(Δήμος, 지방 자치 단체)와 2개의 키노티타(Κοινότητα,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0년 이후 메시니아 현은 6개의 지방 자치 단체만 포함하는 지역 단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가 되었지만, 면적은 변경되지 않았다. 개편 과정에서 25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공동체가 통합되어 6개의 새로운 지방 자치 단위를 형성했다.[1]

지방 자치 단체지방 자치 단위중심지
칼라마타칼라마타칼라마타
아리스
아르파라
투리아
메시니
(Messini)
메시니메시니
아이페이아
안드루사
아리스토메니스
부프라데스
이토미
페탈리디
트리코르포
오이칼리아오이칼리아멜리가라스
안다니아
도리오
에이라
멜리가라스
필로스-네스토라스필로스필로스
코로니
메토니
네스토라스
파파플레사스
킬리오코리아
트리필리아키파리시아키파리시아
에토스
아블로나스
가르갈리아노이
필리아트라
트리필라
서 마니
(Dytiki Mani)
아비아카르다밀리
레프크트로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으로 신설된 지방자치단체(디모스)는 아래와 같다.

자치단체명소재지면적(km²)인구(2001년 기준)
칼라마타칼라마타442.7km267,127
서마니카르다밀리406.1km28,647
메시니메시니565.6km228,754
오이칼리아멜리가라스420.6km214,987
필로스-네스토라스필로스551.9km223,780
트리필리아키파리시아602.8km233,581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의 구 자치체는 신 자치체를 구성하는 행정구역(디모티키 에노티타)이 되었다.

4. 2. 지방 행정

2010년 이전 메시니아현은 29개의 "디모이"(지방 자치 단체)와 2개의 "코이노티테스"(공동체)를 포함하는 "노모스"(현)였다. 2010년 이후 메시니아현은 6개의 지방 자치 단체만 포함하는 "페리페레이아케 에노테타"(지역 단위)가 되었지만, 개편 과정에서 면적이 변경되지 않아 인구는 동일하다. 약 25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공동체가 아래 표와 같이 6개로 통합되어 지방 자치 단위를 형성했다.[1]

지방 자치 단체지방 자치 단위중심지
칼라마타칼라마타칼라마타
아리스
아르파라
투리아
메시니메시니메시니
아이페이아
안드루사
아리스토메니스
부프라데스
이토미
페탈리디
트리코르포
오이칼리아오이칼리아멜리가라스
안다니아
도리오
에이라
멜리가라스
필로스-네스토라스필로스필로스
코로니
메토니
네스토라스
파파플레사스
킬리오코리아
트리필리아키파리시아키파리시아
에토스
아블로나스
가르갈리아노이
필리아트라
트리필라
서 마니아비아카르다밀리
레프크트로



메시니아 현에는 다음과 같은 4개의 군(에파르히아)이 있었지만, 2006년 이후 법적인 지위는 없어졌다.

군 이름철자중심지
칼라마타 군Καλαμάτα|칼라마타el칼라마타
메시니 군Μεσσήνη|메시니el메시니
필리아 군Πυλία|필리아el필로스
트리필리아 군Τριφυλία|트리필리아el키파리시아



5. 경제

메시니아의 경제는 주로 농업 생산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관광과 같은 다른 분야의 활동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올리브 오일, 칼라마타 식용 올리브, 무화과, 검은 건포도(술타나)이다. 다양한 농산물은 소량의 축산물(쇠고기, 우유, 스펠라 치즈, 꿀)과 메시니아 만의 어류로 보완된다.

관광 개발은 주로 네스토르 궁전, 고대 메시니, 베네치아필로스, 코로니, 메토니, 칼라마타 성과 같은 중요한 고고학 유적지의 홍보와 아름다운 풍경에 기인한다. 메시니아 경제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필로스와 트리필리아 경계에 위치한 코스타 나바리노로, 여러 개의 친환경 고급 리조트와 골프 코스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그리스 최대의 관광 개발이다.[3]

농산물의 가공 및 표준화에 관련된 많은 중소기업과 목재 가공, 가구 제조, 금속 건설에 전념하는 많은 기업이 있다. 카렐리아 담배 회사는 칼라마타에 기반을 두고 있다.

6. 교통

메시니아현에는 칼라마타 국제공항(KLX)이 있다.

메시니아현을 지나는 주요 고속도로는 국도 7호선, 국도 9호선, 국도 82호선이 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피레우스, 아테네 및 펠로폰네소스 철도 회사가 펠로폰네소스반도에 협궤 노선을 부설했다. 주요 철도 노선(미터 궤)으로는 코린토스-아르고스-트리폴리-제브골라테이오-칼라마타 노선, 파트라-피르고스-칼로 네로-키파리시아 노선, 칼로 네로-제브골라테이오 노선이 있다.

6. 1. 도로

메시니아현에는 4개의 주요 국도가 지나간다.

구분번호주요 경로
유럽 고속도로E55호선European route E55|유러피안 루트 E55영어파트라 - 피르고스 - 칼라마타
유럽 고속도로E65호선European route E65|유러피안 루트 E65영어코린토스 - 트리폴리 - 칼라마타 - 키사모스
자동차 도로A7호선 Moreas Motorway|모레아스 자동차 도로영어아테네 - 트리폴리 - 칼라마타
국도GR-7호선 National Road 7 (Greece)|내셔널 로드 7영어코린토스 - 트리폴리 - 칼라마타
국도GR-9호선 Greek National Road 9|그리스 국도 9호선영어파트라 - 피르고스 - 칼로 네로 - 필로스
국도GR-82호선 Greek National Road 82|그리스 국도 82호선영어필로스 - 칼라마타 - 스파르티


6. 2. 철도

아스프로호마역(칼라마타 시)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피레우스, 아테네 및 펠로폰네소스 철도 회사(이후 국유화되어 그리스 국철의 일부가 됨)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협궤 (궤간 1,000mm의 "미터 궤") 노선을 부설했다.

메시니아현의 주요 철도 노선은 다음과 같다.

6. 3. 공항

메시니아현의 주요 공항은 칼라마타 국제공항이다.

7. 문화

메시니아현에는 다음과 같은 텔레비전 방송국이 있다.


  • 노티아 엘리니키 텔레오라시
  • 베스트 TV
  • 메소게이오스 TV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바세의 아폴로 에피쿠리오스 신전이 메시니아현 이하리아 시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 웹사이트 Απογραφές πληθυσμού 1991,2001,2011 σύμφωνα με την κωδικοποίηση της Απογραφής 2011 https://www.statisti[...]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2024-04-17
[3] Bloomberg webpage Bloomberg webpage https://www.bloomber[...] 2015-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