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하메드 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메드 딥은 알제리 출신의 작가로, 알제리 독립 투쟁과 알제리인의 삶을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프랑스 문학계에서 널리 알려졌다. 1952년 첫 소설인 《라 그랑드 메종》을 출간하며 작가로 데뷔했으며, 알제리 3부작을 통해 식민지 알제리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알제리 독립 전쟁 이후 프랑스 정부에 의해 추방당했으나, 프랑스, 핀란드 등지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딥은 SF적 요소를 도입하거나 북유럽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했으며, 그의 작품은 알제리, 프랑스, 북유럽 등 여러 지역의 문학적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딥은 1953년 페네옹 상, 1994년 프랑스어권 대상 등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알제리 독립과 민족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 대학교 동문 - 자크 제르네
    자크 제르네는 프랑스의 한학자이자 중국 지성사가로, 알제 대학교와 소르본 대학교, 파리 디드로 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연구하며 콜레주 드 프랑스 학과장을 역임했고 중국 과학사 연구에 기여했다.
  • 알제 대학교 동문 - 디온쿤다 트라오레
    말리의 정치인 디온쿤다 트라오레는 1991년 민주화 운동 참여를 시작으로 여러 장관직과 국회의장을 거쳐 2012년 쿠데타 이후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며 투아레그 반군과의 갈등 등 정치적 어려움에 직면했으나 2013년 대통령 선거를 통해 정권을 이양했다.
모하메드 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디브의 초기 사진
디브의 초기 사진
본명محمد ديب
직업소설가, 시인
국적알제리
출생알제리, 틀렘센
출생일1920년 7월 21일
사망프랑스, 이블린주, 라셀생클루
사망일2003년 5월 2일
언어프랑스어
활동 기간1950년대 - 2000년대
영향을 준 작가해당사항 없음
영향을 받은 작가해당사항 없음
모하메드 디브 서명
모하메드 디브 서명
웹사이트무함마드 디브 국제 우호 협회 (SIAMD)
교육
학력사범학교
자격초등학교 교원 자격
작품
대표 작품『큰 집 (La Grande Maison)』
『화재 (L’incendie)』
『직조기 (Le Métier à tisser)』
알제리 3부작
아프리카의 여름
바르바리의 신
데뷔 작품해당사항 없음
장르소설

희곡
수필
아동 문학
수상
수상 내역페네옹 상
마르메 상
프랑스어권 대상
기타
안장 장소라셀생클루 묘지

2. 생애

딥은 알제리에서 모로코 국경과 가까운 틀렘센에서 태어났으며, 중산층 집안에 속했으나 점점 가난했다. 어린 시절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딥은 15살에 시를 쓰기 시작했다. 18살 때에는 모로코의 우지다에서 선생님으로 일을 하였다. 20대와 30대에는 방직공, 선생님, 회계사, 프랑스와 영국 군대 사이의 통역사, 그리고 알제리 공산당 기구인 ''Alger Républicain'' ''(알저 리퍼블리칸)''과 ''Liberté'' ''(리베르테)'' 같은 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하는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알제리 전쟁이 있기 2년 전인 1952년도에 프랑스 여성과 결혼을 하고, 프랑스를 방문하며 알제리 공산당에 들어갔다. 같은 해에 딥의 첫 장편 소설인 라 그랑드 메종을 출판하였다. 딥은 알제리인 작가들의 그룹인 ''Generation of '52'' (52년도의 세대)의 첫 구성원 이였으며 다른 구성원들 중에는 알베르 카뮈와 물루드 페라운이 있다.

1959년에 딥은 알제리 독립 투쟁을 지지하고 식민 통치 아래의 많은 알제리인들의 현실적인 삶을 담은 장편 소설이 유명해지자, 프랑스 당국에 의해 알제리에서 추방 당한다. 많은 알제리의 독립주의자들 같이 카이로로 거처를 옮기는 대신 딥은 프랑스 정부를 로비 한 후 카뮈를 포함한 다양한 작가들과 프랑스에 거주했다. 1967년부터 주로 파리와 가까운 라셀생클루에 거주했다.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엔젤레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신 파리 대학교에서도 교수직을 맡았다. 말년에는 핀란드로 자주 여행을 가고, 그 여행이 후년의 몇몇 소설들의 배경이 되었다. 딥은 라셀생클루에서 2003년 5월 2일에 사망하였다. 딥의 사망 후, 프랑스 문화부 장관, 장 자크 아일라공은 딥은 "알제리와 프랑스, 북쪽과 지중해를 영적으로 이어주는 다리"였다고 찬사를 표현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모하메드 딥은 1920년 7월 21일 알제리 틀렘센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가세가 기울었고,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었다. 15세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18세에는 모로코 우지다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다.

딥은 모국어인 아랍어 외에 프랑스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프랑스어를 "두 번째 모국어"라고 표현하며, 프랑스어로 글을 쓰면서도 모국어인 아랍어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틀렘센의 칼리지에서 음악 교사인 로제 베리산을 만나 음악, 교육,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베리산은 비종교적인 교육을 지지하고 알제리 공산당 당원이었으며, 딥은 이러한 영향을 받아 알제리 공산당에 입당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육군 군수창의 회계 담당을 맡았다.[7] 1942년에는 연합군이 알제리에 상륙한 후 트렘센의 군수 공장에 징용되었다.[1][3][5][8] 이후 알제리 국철에 고용되었다가,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알제의 미국 무기 대여국에서 프랑스어와 영어를 사용하는 통역기자로 활동했다.[1][3][5][8] 알제 체류 중에는 알제 대학교에서 문학 강좌를 수강했다.[5]

2. 3. 작가로서의 출발

딥은 1948년 시디 마다니에서 열린 작가 회의에서 장 케롤/Jean Cayrol프랑스어, 루이 기유/Louis Guilloux프랑스어, 브리스 팔랑, 장 세나크/Jean Sénac (poète)프랑스어, 알베르 카뮈 등과 만났다.[1] 이 만남은 딥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특히 세나크와는 오랜 기간 친분을 유지했다. 케롤의 도움으로 딥의 작품 대부분은 쉬유 출판사에서 간행되었고, 일부는 에마뉘엘 로블레스/Emmanuel Roblès프랑스어가 창간한 '지중해 총서'를 통해 출간되었다.[9]

1950년, 딥은 알제리 공산당 계열 신문인 《알제 레퓌블리캥/Alger républicain프랑스어》의 기자 및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카테브 야신과 교류했다.[7][8] 딥은 야신 외에도 에드몽 샬로/Edmond Charlot프랑스어,[10] 로블레스 등과 교류하며 여러 잡지에 기고할 기회를 얻었다.[3]

1952년, 딥은 첫 소설 《라 그랑드 메종》을 출간하여 페네옹 상을 수상했다.

2. 4. 알제리 독립 전쟁과 망명

모하메드 딥은 알제리 3부작(《라 그랑드 메종》, 《화재》, 《직조기》)을 발표했다. 이 소설들은 대부분의 알제리인에게 식민지 알제리의 삶의 현실을 묘사했다. 《화재》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이 봉기하고 알제리 전쟁(알제리 독립 전쟁)이 발발한 1954년11월 1일 몇 달 전에 발표된 예견적인 작품이었다.

알제리 전쟁 발발 후, 딥은 알제리인과 프랑스인 200명이 "양 국민의 상호 이해를 위해" 발표한 "알제리의 우애" 선언에 서명했다. 프랑스에서 평가받은 알제리 3부작과 알제리 공산당 활동 때문에, 식민지 당국의 감시를 받게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공산당이 알제리의 독립을 지지하는 유일한 정당이었기 때문이다.

1959년, 알제리 독립 투쟁을 지지하고 알제리인들의 현실적인 삶을 담은 장편 소설이 유명해지면서, 프랑스 당국에 의해 알제리에서 추방당했다. 많은 알제리의 독립주의자들 같이 카이로로 거처를 옮기는 대신 딥은 프랑스 정부를 로비 한 후 알베르 카뮈를 포함한 다양한 작가들과 프랑스에 거주했다. 1967년부터 주로 파리와 가까운 라셀생클루에 거주했다.

2. 5. 망명 작가로서의 활동

딥은 알제리 독립 투쟁을 지지하고 식민 통치 아래의 많은 알제리인들의 현실적인 삶을 담은 장편 소설이 유명해지자, 1959년 프랑스 당국에 의해 알제리에서 추방당했다. 많은 알제리 민족주의자들처럼 카이로로 가는 대신, 알베르 카뮈를 포함한 여러 작가들의 로비로 프랑스에 거주하게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이미 딥이 독립을 위해 싸우는 알제리의 양심을 대표하는 작가라는 평가가 확립되었기 때문에, 아라공을 비롯한 많은 좌파지식인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18][19] 1967년부터 주로 파리와 가까운 라셀생클루에 거주했다.

1964년에 파리 근교의 무동(오드센 주)으로 이사했고, 잠시 후 라 셀 생 클루(이블린 주)에 거처를 마련했다.[3] 무쟁 체류 중에는 동유럽 여러 국가를 방문해 소설 『아프리카의 여름』과 『누가 바다를 기억하는가』, 첫 시집 『수호 망령』을 발표했다. 소설 『누가 바다를 기억하는가』는 딥의 작풍 전환을 알리는 작품으로, 식민주의 문제를 다루면서도 사실주의적인 묘사가 아닌, 식민지 체제의 붕괴를 암시하는 환상적인 작품이었다.[8] 이후 딥의 작품은 망명 작가로서 언어의 문제, 의미 탐구를 중심으로 사색적, 형이상학적, 상징주의적, 때로는 난해한 작품을 쓰게 된다.[7]

1970년부터 러시아, 동유럽・북유럽 등 세계 각지를 방문했고,[3] 1976년부터 1977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신 파리 대학교에서도 교수직을 맡았다. 1974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에서 교편을 잡았다.[3] 1975년, 라흐티(핀란드)에서 개최된 작가 회의에 초대된 것을 계기로, 핀란드 시의 번역가로서 활약했다.[21] 핀란드에 여러 번 체류하면서, 1985년부터 1990년에 걸쳐 그 곳을 무대로 한 북유럽 3부작 『올솔 대지』, 『이브의 잠』, 『대리석의 눈』을 발표했다.[21]

딥은 1990년대에 다시 알제리를 무대로 하는 소설들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단기 체류를 제외하고는 다시 알제리로 돌아가지 않았다. 2003년 5월 2일, 이블린 주 라 셀 생 클루에서 사망하여, 향년 82세로 라 셀 생 클루 묘지에 안장되었다.[22] 딥의 사망 후, 당시 프랑스 문화부 장관인 장 자크 아일라공은 추모사에서 딥을 "알제리와 프랑스, 북쪽과 지중해 사이의 정신적 다리"라고 칭송했다.

3. 작품 세계

딥은 그의 업적들이 더 넓은 세상, 특히 프랑스어를 쓰는 나라들의 사람들에게 진정한 알제리 역사의 경험을 나눌 수 있게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알제리 전쟁(1954년-1962년)은 딥의 생각에 큰 영향을 미쳤고 딥은 세상이 알제리 독립 투쟁에 주목하게 하고 싶어 했다. 정치적 평등을 지지하는 사람으로서 딥은 "우릴 다르게 만드는 것들은 항상 부차적으로 머문다" 고 믿었다. 딥은 프랑스 문학 기관에서 많은 상들을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에서 딥은 알제리 삶의 진정한 경험을 더 넓은, 특히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세계에 알리는 데 관심을 가졌다. 알제리 혁명(1954–1962)은 그의 사고방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알제리의 독립 투쟁을 세상에 알리고자 하는 열망을 갖게 했다. 정치적 평등주의를 옹호한 그는 "우리를 다르게 만드는 것들은 항상 부차적인 것으로 남는다"고 믿었다. 그는 프랑스 문학계에서 많은 상을 받았다.

3. 1. 초기 작품: 알제리 3부작

딥의 데뷔 소설인 ''La grande maison'' ''<대저택>''은 알제리 3부작의 첫 부분으로 알제리의 대가족에 대해 다룬다. 주인공 오마르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직전의 알제리에서 가난하게 자라는 어린 소년이다. 3부작에밀 졸라와 유사하게 사실주의적으로 표현되었다. 1952년 고향 트렘센으로 돌아와 처녀작 『큰 집』을 쇠유 출판사(Éditions du Seuil)에서 발표했다. 이듬해 1953년에는 35세 이하 젊은 작가 및 예술가에게 수여되는 페네옹 상(Prix Fénéon)을 수상했다.

두번째 작품인 ''L'Incendie <''화재>는 알제리 혁명이 일어나는 해에 출판 되었으며, 제 2차 세계 대전중의 오마르의 삶에 대해 다룬다. 『화재』는,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이 봉기하고 알제리 전쟁(알제리 독립 전쟁)이 발발한 1954년11월 1일 몇 달 전에 발표된 예견적인 작품이었다.

세번째 작품인 ''Le Métier à tisser'' <선물>은 1957년에 출판 되었으며 오마르가 성년이 된 후 알제리에서 일을 하는 삶에 대해 다룬다. 『직조기』는 독립 전쟁 중에 발표된 작품이지만, 작품에서는 그러한 배경에 직접 언급하지 않고 트렘센 사람들의 생활·노동 환경을 통해 국민 의식의 고조를 그렸다. 3부작은 부분적으로 딥의 자서전이기도 하다.

3. 2. 중기 작품: 초현실주의와 SF적 요소

딥의 후기 소설들은 초기 소설과 같은 사실주의적 체계보다는 초현실적인 요소들을 보였다. 딥은 《Qui se souvient de la mer》(바다를 기억하는 자) (1962)에서 SF의 요소도 사용하였다.

3. 3. 후기 작품: 북유럽 3부작 등

1985년부터 1994년까지 딥은 북유럽 국가들을 방문하는 북아프리카 남자가 방문한 나라의 여자와 만나 아이를 가지는 내용의 준 자서전 네 편을 썼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아이가 아버지의 조국을 방문한다. 딥은 또한 여러 핀란드 책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일을 도왔다.

3. 4. 작품의 주제와 특징

모하메드 딥은 작품을 통해 알제리의 역사와 현실, 특히 알제리 전쟁(1954년-1962년)으로 대표되는 알제리 독립 투쟁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딥은 알제리 독립 투쟁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으며, 정치적 평등주의를 옹호하며 "우리를 다르게 만드는 것들은 항상 부차적인 것으로 남는다"고 믿었다. 그의 작품은 프랑스 문학계에서 많은 상을 받았다.

4. 주요 작품 목록

모하메드 딥은 소설, 시집, 단편집, 희곡, 아동 문학, 수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30]


  • 소설
  • 알제리 3부작
  • ''La Grande Maison'' (1952) (거대한 집/La Grande Maison프랑스어) (페네옹 상 수상)
  • ''L'incendie'' (1954) (화재/L’incendie프랑스어)
  • ''Le Métier à tisser'' (1957) (직조기/Le Métier à tisser프랑스어)
  • ''Un été africain'' (1959) (아프리카의 여름/Un été africain프랑스어)
  • ''Qui se souvient de la mer'' (1962) (누가 바다를 기억하는가/Qui se souvient de la mer프랑스어)
  • ''Cours sur la rive sauvage'' (1964) (야생의 기슭에 관한 강좌/Cours sur la rive sauvage프랑스어)
  • ''La Danse du roi'' (1968) (왕의 춤/La Danse du roi프랑스어)
  • ''Dieu en Barbarie'' (1970) (바르바리의 신/Dieu en Barbarie프랑스어)
  • ''Le Maître de chasse'' (1973) (사냥의 스승/Le Maître de chasse프랑스어)
  • ''Habel'' (1977) (하벨/Habel프랑스어)
  • 북유럽 3부작
  • ''Les Terrasses d’Orsol'' (1985) (오르솔 대지/Les Terrasses d’Orsol프랑스어)
  • ''Le Sommeil d’Eve'' (1989) (이브의 잠/Le Sommeil d’Eve프랑스어)
  • ''Neiges de Marbre'' (1990) (대리석의 눈/Neiges de Marbre프랑스어)
  • ''Le désert sans détour,'' (1992) (우회로 없는(솔직하게 말하는) 사막/Le désert sans détour프랑스어)
  • ''L’infante maure'' (1994) (무어인의 공주/L’infante maure프랑스어)
  • ''La nuit sauvage'' (1995) (야생의 밤/La nuit sauvage프랑스어)
  • ''Comme un bruit d’abeilles'' (2001) (벌의 날갯짓처럼/Comme un bruit d’abeilles프랑스어)
  • ''L.A Trip'' (2003) (L.A 여행/L.A Trip프랑스어) - 시에 의한 소설
  • ''Laëzza'' (2006) (라에자/Laëzza프랑스어)

  • 시집
  • ''Ombre gardienne'' (1961) (수호 망령/Ombre gardienne프랑스어)
  • ''Formulaires'' (1970) (신청서/Formulaires프랑스어)
  • ''Omneros'' (1975) (옴메로스/Omneros프랑스어)
  • ''Feu beau feu'' (1979) (불, 아름다운 불/Feu beau feu프랑스어)
  • ''O vive'' (1987) (오, 만세/O vive프랑스어)
  • ''L’enfant-jazz'' (1998) (아이=재즈/L’enfant-jazz프랑스어)
  • ''Le Cœur insulaire'' (2000) (섬의 마음/Le Cœur insulaire프랑스어)
  • ''Poésies, œuvres complètes'' (2007) (시집 - 전집/Poésies, œuvres complètes프랑스어)

  • 단편집
  • ''Au Café'' (1956) (카페에서/Au Café프랑스어)
  • ''Le Talisman'' (1966) (주문/Le Talisman프랑스어)
  • ''Tlemcen ou les lieux de l’écriture'' (1994) (트렘센, 혹은 에크리튀르의 장소/Tlemcen ou les lieux de l’écriture프랑스어)
  • ''L’Arbre à dires'' (1998) (말의 나무/L’Arbre à dires프랑스어)
  • ''Simorgh'' (2003) (시무르그/Simorgh프랑스어)

  • 희곡
  • ''Mille hourras pour une gueuse'' (1980) (여자 거지에게 만세 삼창/Mille hourras pour une gueuse프랑스어)

  • 아동 문학
  • ''Baba Fekrane, contes d’Algérie'' (1959) (바바 페크라네/Baba Fekrane, contes d’Algérie프랑스어)
  • ''L’histoire du chat qui boude'' (1974) (심술궂은 고양이의 이야기/L’histoire du chat qui boude프랑스어)
  • ''Salem et le sorcier,'' (2000) (살렘과 마법사/Salem et le sorcier,프랑스어)
  • ''L’hippopotame qui se trouvait vilain'' (2001) (자신이 나쁜 아이라고 생각했던 하마/L’hippopotame qui se trouvait vilain프랑스어)

  • 수필
  • ''L’Arbre à dires'' (1998) (말의 나무/L’Arbre à dires프랑스어)
  • ''Simorgh'' (2003) (시무르그/Simorgh프랑스어)
  • ''Laëzza'' (2006) (라에자/Laëzza프랑스어)
  • ''L’aube Ismaël'' (1996) (새벽, 이스마엘/L’aube Ismaël프랑스어)
  • ''Si diable veut'' (1998) (악마의 뜻에 맞으면/Si diable veut프랑스어) - 「인샬라(알라의 뜻에 맞으면)」에 언급


딥의 작품 다수는 같은 출판사 또는 다른 출판사에서 재판되었고, 아랍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으로 번역되었다.[30]

5. 수상 내역

모하메드 딥은 1953년 《La Grande Maison》로 페네옹 상/Prix Fénéon프랑스어을 수상하였다. 1963년에는 《Qui se souvient de la mer》로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쥘 다벤 상/Prix Jules-Davaine프랑스어을,[23] 1966년에는 물루드 마무리 회장의 알제리 작가 연합상을 수상했다.[24] 1968년과 1974년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폴 플라 상/Prix Paul-Flat프랑스어을 각각 《La Danse du roi》,[25] 《Le Maître de chasse》로 두 차례 수상하였다.[25] 1971년에는 전 작품에 대해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브로케트 고냉 상/Prix Broquette-Gonin프랑스어을,[26] 1994년에는 전 작품에 대해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프랑스어권 대상을 수상하였다.[27] 1998년에는 《L’enfant-jazz》로 말라르메 상/Prix Mallarmé프랑스어을 수상하였다.[28] 그 외에도 여러 협회, 현, 시, 정촌 등으로부터 다수의 상을 받았다.[29]

6. 한국 사회에 주는 의의

모하메드 딥은 알제리 독립과 민족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작가로서, 그의 작품은 식민지 경험과 민족 해방, 그리고 그 이후의 사회 변화를 다루고 있어 한국의 역사적 경험과도 공통분모를 찾을 수 있다. 딥의 문학은 언어와 정체성, 개인과 사회, 억압과 저항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어, 한국 독자들에게도 깊은 공감과 성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특히, 딥의 작품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한국 사회에 문화적 다양성과 상호 이해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알제리 전쟁(1954년~1962년)은 딥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딥은 알제리 독립 투쟁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했다. 정치적 평등을 지지했던 딥은 "우리를 다르게 만드는 것들은 항상 부차적인 것으로 남는다"고 믿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ie http://siamdib.com/?[...] Société Internationale des Amis de Mohammed Dib (SIAMD) 2020-06-02
[2] 웹사이트 文化 - チュニジアの音楽 https://web.archive.[...] 駐日チュニジア大使館 2020-06-02
[3] 웹사이트 DIB Mohammed (Dictionnaire Algérie) https://maitron.fr/s[...] Maitron 2014-02-21
[4] 웹사이트 Vies d'exil - 1954-1962. Des Algériens en France pendant la guerre d'Algérie http://www.histoire-[...] Musée national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2020-06-02
[5] 뉴스 Mohammed Dib, l'Algérie au cœur https://www.lemonde.[...] 2003-05-03
[6] 웹사이트 BELLISSANT Roger (Dictionnaire Algérie) https://maitron.fr/s[...] Maitron 2016-02-16
[7] 웹사이트 MOHAMMED DIB https://www.universa[...] 2020-06-02
[8] 웹사이트 Vies d'exil - 1954-1962. Des Algériens en France pendant la guerre d'Algérie. Dossier Enseignants http://www.histoire-[...] Musée nationale de l'histoire de l'immigration 2020-06-02
[9] 웹사이트 Mohammed Dib, Biographie Mohammed Dib, Livres Mohammed Dib https://www.seuil.co[...] Éditions du Seuil 2020-06-02
[10] 웹사이트 【書評】歌人・川野里子が読む『アルジェリア、シャラ通りの小さな書店』カウテル・アディミ著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1-12
[11] 웹사이트 La Grande Maison , Mohammed Dib http://www.editionsp[...] Éditions Points 2020-06-02
[12] 간행물 奪われた民衆の声を響かせる - モハメド・ディブ『織機』について https://doi.org/10.2[...] 日本フランス語フランス文学会
[13] 웹사이트 L'Incendie, Mohammed Dib http://www.editionsp[...] Éditions Points 2020-06-02
[14] 서적 아라공 신일본출판사 1990
[15] 웹사이트 Le « moment janvier 1956 », en France, en Algérie et dans le monde https://glycines.hyp[...] 2016-01-23
[16] 웹사이트 2015年度 研究成果報告書 - 植民地帝国主義崩壊の国際関係史的研究 https://kaken.nii.ac[...] 科学研究費助成事業 2016-06-21
[17] 논문 Entre exils, errances et migrations. L’expérience littéraire de Kateb Yacine http://journals.open[...] 2012-07-01
[18] 웹사이트 Benaouda Lebdai – Mohammed Dib, cet Africain intégral https://www.lepoint.[...] 2020-05-03
[19] 웹사이트 Un écrivain pas comme les autres https://www.elwatan.[...] El Watan 2019-11-30
[20] 웹사이트 Ombre gardienne - Blanche http://www.gallimard[...] Éditions Gallimard 2020-06-02
[21] 간행물 Une lecture de la trilogie nordique de Mohammed Dib. https://www.persee.f[...] 1999
[22] 웹사이트 LA CELLE SAINT-CLOUD (78) : cimetières https://www.landruci[...] Cimetières de France et d'ailleurs 2020-06-02
[23] 웹사이트 Prix Jules Davain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02
[24] 웹사이트 Mohammed Dib http://www.editions-[...] Éditions Barzakh 2020-06-02
[25] 웹사이트 Prix Paul Flat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02
[26] 웹사이트 Prix Broquette-Gonin (littératur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02
[27] 웹사이트 Grand Prix de la Francophonie http://www.academie-[...] Académie française 2020-06-02
[28] 웹사이트 Prix Mallarmé, membres du jury, laureats http://www.academie-[...] Académie Mallarmé 2020-06-02
[29] 웹사이트 Récompenses http://siamdib.com/?[...] Société Internationale des Amis de Mohammed Dib (SIAMD) 2020-06-02
[30] 웹사이트 DIB, Mohammed http://www.limag.com[...] Littératures du Maghreb (Limag) 2020-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