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리올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트리올 지하철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운영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1966년 10월에 개통되었다. 총 4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몬트리올 지하철은 건축 양식과 공공 미술로도 유명하며, 각 역은 독특한 디자인과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1971년 사고와 같은 사건들도 있었지만, 승객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몬트리올 지하철은 연장 및 신규 노선 건설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지하철 - 스카이트레인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은 밴쿠버 광역권의 자동 무인 운전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엑스포 라인, 밀레니엄 라인, 캐나다 라인 총 3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엑스포선과 밀레니엄선은 선형 유도 전동기를, 캐나다선은 일반적인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 몬트리올 교통공사 - 노란색선 (몬트리올)
노란색선 (몬트리올)은 몬트리올 지하철의 노선으로, 베리-UQAM역에서 롱괴유-위니베르시테 드 셰르브루크역까지 4.3km 구간, 3개의 역을 운행하며, 1967년에 개통되어 몬트리올 섬과 롱괴이 시를 연결한다. - 몬트리올 교통공사 - 녹색선 (몬트리올)
몬트리올 지하철의 녹색선은 1966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2010년대 이후 개보수 작업과 더불어 서쪽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 196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정선선
정선선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38.7km 철도 노선으로, 과거 태백선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정선 아리랑 열차 등 관광 노선과 레일바이크가 운영되고, 과거 통표 폐색을 사용했던 특징이 있다. - 196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2호선 블루어-댄포스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토론토 지하철의 주요 노선으로, 1966년 개통 이후 연장을 거쳐 현재 키플링역과 케네디역을 잇는 핵심 간선 역할을 하며, 스카버러 지역 연장 공사 및 미시소거 지역 서부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몬트리올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몬트리올 지하철 |
프랑스어 명칭 | Métro de Montréal |
![]() | |
![]() | |
서비스 지역 | 몬트리올, 퀘벡 |
유형 | 도시 철도 |
노선 수 | 4 |
역 수 | 68 (공사 중 5개 역) |
개통일 | 1966년 10월 14일 |
운영자 |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
특징 | 완전 지하 |
차량 | 909 |
시스템 길이 | 69.2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고무 타이어용 러닝 패드가 강철 레일 외부에 있음 |
전철화 | 750 V DC (도전 가이드 바) |
최고 속도 | 72.4 km/h |
웹사이트 | 몬트리올 교통공사 공식 웹사이트 |
수송량 | |
일일 승객 수 | 1,254,700 (2023년 4분기) |
연간 승객 수 | 343,000,000 (2023년) |
노선 | |
노선도 | [[파일:Montreal Metro|몬트리올 지하철 노선도]] |
2. 역사
몬트리올 지하철 공사는 1962년 5월에 시작하였지만 지하철을 짓고자 하는 계획은 그보다 훨씬 전에 이루어졌다.
몬트리올의 도시 교통은 1861년 크레이그 거리(현재 생트안투안 거리)와 노트르담 거리에서 말이 끄는 전차(Horsecar) 노선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결국 노면전차 노선의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도시 대부분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시 혼잡으로 인해 노면전차의 시간 엄수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고, 지하 시스템에 대한 아이디어가 곧 고려되기 시작했다.[7]
몬트리올 지하철 건설 계획은 19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4] 그러나 실제 몬트리올 지하철 건설이 시작된 것은 50년이나 지난 1962년 5월이었다. 몬트리올 엑스포 개최가 결정되면서 지하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당시 프랑스 파리에는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었고, 파리 메트로의 기술을 도입하여 유사한 스타일의 지하철이 건설되었다.[125] 1966년 10월, 1호선과 2호선으로 몬트리올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이후 1967년 4월에는 4호선이 몬트리올 엑스포에 맞춰 개통되었다. 또한 1986년 6월에는 5호선이 개통되면서 앞서 언급된 4개 노선이 완성되었다. 이후 재정 문제로 인해 1990년대에는 노선 신설이나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02년에 2호선을 3개 역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2007년 4월에 3개 역이 새롭게 연장 개통되었다.
2. 1. 공사 이전
20세기 초, 캐나다 최대 도시였던 몬트리올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다. 1890년과 1910년 사이에 인구는 세 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도시는 북쪽과 동쪽으로 팽창하기 시작하였다. 이 지역 주민들은 도심으로 출퇴근하였으며, 교통 정체로 느린 노면 전차는 만원이었다.[130] 이 문제는 미국과 유럽의 주요 도시에서 노면 전차를 지하화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었고, 이에 캐나다 연방 정부는 1902년에 몬트리올 지하철회사 (Montreal Subway Company)를 설립하여 몬트리올에 지하철 건설을 추진하였다.[130]1910년부터 여러 사기업들이 지하철 건설에 관심을 보였다.[131] 몬트리올 시가전차 회사(Montreal Street Railway Company), 몬트리올 중앙 터미널사 (Montreal Central Terminal Company), 몬트리올 지하철사 (Montreal Underground), 고가철도회사 (Elevated Railway Company) 등 네 개 기업이 시 측에 제안하였다.[131][7] 1912년에는 불어권 캐나다인 금융조합 (Comptoir Financier Franco-Canadien)과 몬트리올 터널 회사 (Montreal Tunnel Company)가 몬트리올 도심에서 세인트로렌스 강 아래 터널을 통해 섬 남쪽 지역까지 연결하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다른 철도회사의 반발을 샀다.[132][8] 1913년, 몬트리올 전차 회사(Montreal Tramways Company, MTC)가 시 대중교통 주요 업체로 거듭나[133] 주정부의 인가를 받았고, 4년에 걸쳐 지하철을 건설할 기회가 주어졌지만, 시의원들의 공사 비용 조달에 대한 망설임으로 무산되었다.[9]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지하철 건설에 대한 관심이 다시 제기되었지만, 이후 경기 침체로 공사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1920년대에 경제가 회복되면서 몬트리올 트램 회사의 공사 계획이 다시 주목받았고, 퀘벡 주총리의 지지도 얻었지만,[7] 1920년대 말 대공황으로 인해 몬트리올은 빚더미에 올랐고, 노면 전차 배차도 줄어들어 지하철 건설 계획은 무산되었다.[130][11] 1939년 카밀리앵 우드 시장 당시에도 실직자 구제 방안으로 지하철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무산되었다.[130][10]
제2차 세계 대전 즈음, 전시 상황에 승객 수가 늘면서 지하철 건설 계획이 다시 부상하였다. 1944년 몬트리올 트램 회사는 지하철 노선 구상에 다시 들어갔지만, 결실을 맺지 못하였다.[131][11] 1951년, 시 당국은 몬트리올 트램 회사가 운행하는 노면 전차를 버스로 대체할 공기업인 몬트리올 교통위원회 (Commission de transport de Montréal, CTM)를 발족하고, 1953년에 생드니, 생자크, 생트카트린느가를 따라 12.5km 연선의 첫 노선을 구상하였다. 토론토가 1954년에 지하철을 개통하는 동안에도 몬트리올 시의원들은 소극적이었고, 장 드라포 시장과 같이 자가용 위주의 교통 정책을 선호했던 정치인들은 대중교통을 과거의 산물로 여겼다.[134][135][10]
1959년 11월, 사기업인 광역 확장 회사 (Société d'expansion métropolitaine)가 고무차륜 턴키 방식의 지하철을 제안했지만,[136] CTM은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지하철 노선을 짓고자 하였다.[137][13] 하지만 장 드라포 시장이 재선되고 그의 오른팔 뤼시앵 솔니에가 정치권에 입성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138] 1960년대에 들어서서 베이비붐 세대와 맞물려 퀘벡은 조용한 혁명을 거치고 있었다. 1960년 8월 1일, 시 당국은 이 계획안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갔고, 1961년 11월 3일, 몬트리올 시의회는 1억 3,200만 달러를 투입해 16km의 지하철을 짓기로 표결하였다.[131][12]
2. 2. 공사 (1962-1967)
몬트리올 지하철의 첫 두 노선 공사는 1962년 5월 23일에 몬트리올시 공공사업부 소장이자 "몬트리올 지하철의 아버지"로 불리는 루시앙 랄리에의 지휘 하에 이루어졌다.[17] 1961년 계획안은 기존의 여러 구상안을 토대로 최종 결정되었고 몬트리올 도심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실어 나르는 세 개의 노선을 구상하였다.[14] 주 노선인 1호선 (녹색 선)은 몬트리올 시내에서 가장 큰 번화가인 생트카트린느와 셰르브루크가 사이에 있는 드메종뇌브가를 따라간다. 영어권 서쪽의 앳워터역에서 시작하여 불어권 동쪽의 프롱트낙역까지 이어진다. 2호선 (오렌지 선)은 몬트리올 북쪽의 크레마지역에서 생드니가 인근의 주거 지역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와 금융가가 위치해 있는 플라스다름역에 종착한다.[139]
1963년 6월 11일, 터널 공사 비용이 예상보다 적게 든 관계로 2호선은 북부와 남부 종점을 각각 앙리 부라사와 보나방튀르역으로 연장하였다.[16] 공사는 작업이 한창일 때에는 5천 명이 넘는 인부가 투입되었으며[139] 12명이 사망하였다. 두 노선은 1966년 10월 14일에 완공되었고,[140] 상업 운행은 1966년 10월과 1967년 4월 사이에 역이 준비가 되는대로 점차적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141]
3호선 또한 계획되었는데, 몬트리올 도심에서 출발하여 몽루아얄을 관통하는 캐나다 내셔널 철도 (CN)의 터널을 따라 몬트리올 북서쪽의 카르티에빌까지 이어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몬트리올이 1962년 11월에 1967년 세계박람회 개최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시 당국은 20세기 초 구상과 비슷했던 몬트리올과 섬 남쪽을 잇는 4호선 노란색 선을 우선 개통하는데 박차를 가하기로 하였다.[18] 3호선은 건설되지 않았고, 몽루아얄 터널을 따라 달리던 철도는 1990년대에 전면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 두몽타뉴선 통근열차가 운행하고 있으며 이후 무인 경전철 체계인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가 운행할 예정이다.
몬트리올 시 당국은 세인트로렌스강을 건너 섬 남쪽에 다다를 지하철 노선을 두고 어느 지자체에 지하철을 짓는 게 좋을지 물어보았으며, 롱괴유가 지하철 종점을 따냈다. 4호선 노란색 선은 베리 드몽티니역을 지나 세인트로렌스강 하저터널을 따라 롱괴유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중간에는 오슐라가군도에 지어질 엑스포장에 갈 수 있는 지하철역을 세우기로 하였고, 생텔렌섬은 엑스포를 위해 지하철 공사 도중에 섬을 메워 다른 섬과 통합 및 확장하였다. 근처에 있는 노트르담섬은 같은 이유로 인공섬으로 지어졌다. 4호선은 1967년 4월 1일에 엑스포 개막에 맞춰 완공되었다.[18]
몬트리올 지하철망은 1967년 4월 28일에 노란색 선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갖추었다. 몬트리올, 롱괴유, 웨스트마운트는 총 공사비용 2억 1,370만 달러를 분담하였으며 이에 따라 몬트리올은 북아메리카에서 7번째로 지하철을 개통한 도시가 되었다.[142]
2. 3. 연장 (1971-1988)
1970년, 몬트리올 섬의 모든 지자체를 하나의 도시공동체로 재개편하고 몬트리올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통합 몬트리올 도시공동체 (Communauté urbaine de Montréal, CUM)가 발족하였다. 도시공동체는 광역권 차원에서 해결이 필요한 정부 업무를 수행하고자 만들어졌는데 이 중 하나는 대중교통이었다. 이에 따라 몬트리올 도시공동체의 대중교통 운영기관인 몬트리올 도시공동체 교통위원회 (Commission de transport de la CUM, CTCUM)를 창설하여 앞으로의 지하철 연장 사업을 전두 지휘하게 되었다. CTCUM은 기존의 몬트리올 섬에 있던 모든 대중교통 기관을 하나로 합치고 1985년에는 몬트리올 도시공동체 교통공사 (Société de transport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Montréal, STCUM), 2002년에는 몬트리올 교통공사(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STM)으로 그 이름을 변경하였다.[143][144]
몬트리올 지하철의 성공은 몬트리올섬의 교외 지역 등 다른 인구 밀집 지역으로 노선을 확장해야 한다는 압력을 증가시켰다. 1970년 5월에 몬트리올이 1976년 하계 올림픽 개최를 따내면서 1호선과 2호선 연장 및 새로운 동서축 노선인 5호선 파란색 선을 짓기 위해 4억 3천만 달러의 채권을 발행하는 방안을 도시공동체 정부가 승인하였다. 퀘벡 주정부는 이와 동시에 공사비의 60%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철 연장 공사는 1971년 10월 14일에 1호선 녹색 선을 올림픽 경기장이 지어질 피뇌프역과 25번 고속도로 (오노레 보그랑역)까지 연장하여 교외 승객들의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철 연장과 동시에 시는 신형 전동차 구매와 기존 역 확장은 물론 신호 체계도 반자동 신호기로 변경하는 등 기존 지하철에도 적극 투자하였다. 첫 번째 연장 구간은 올림픽 개막 직전인 1976년 6월에 개통하였고, 1호선은 남서쪽의 베르됭과 라살까지 연장하여 앙그리뇽 공원까지 연장하였다. 이 남서부 연장 구간은 1978년 9월에 개통하였다.
이후 다른 연장도 계획되었고 1975년에 다다라서 지하철 연장 지출 비용은 16억 달러에 다다랐다. 늘어나는 지하철 연장 비용에 퀘벡 주정부는 장 드라포 시장이 원했던 모든 지하철 연장 구간에 대해 1976년 5월 19일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다.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였던 2호선 연장 구간과 5호선 공사 입찰은 전면 동결되었다. 지하철 연장은 주정부와 도시공동체가 서로 동의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었기 때문에 공사 비용을 두고 갈등은 지속되었다.
1977년, 새로 당선된 르네 레베크의 퀘벡당 정부는 2호선 연장과 5호선 신설 공사에 대한 지불 유예를 일부 해제하였다. 오렌지 선은 1980년에 플라스생앙리역까지, 1981년에 스노든역까지 공사가 마무리되었고, 역 공사가 끝나는 대로 본격적으로 개통하였다. 1979년 12월, 퀘벡 주정부는 통합 교통 계획안을 발표하여 2호선을 뒤콜레주역까지, 5호선을 스노든역에서 앙주까지 연장하고자 하였지만 별다른 노선을 지을 계획은 없었다. 대신 주정부는 기존 철도 노선을 도시 철도로 변환하여 전철로 운행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도시공동체의 시장들은 처음에 난색을 표했지만 이후 1981년 2월에 주정부 계획안에 공사 비용 조달을 승인하였다. 2호선은 1984년에 뒤콜레주역까지 연장되고 1986년에 코트베르튀역까지 연장되어 섬 북쪽에 인구가 많은 두 지역과 시내를 U자로 잇는 노선이 형성되었다.

모라토리엄과 기술적 문제를 거듭한 뒤 네 번째 지하철 노선이 첫 삽을 든 지 14년만에 개통하였다. 몬트리올 섬 중앙을 동서로 잇는 5호선 파란색 선은 2호선 장 탈롱역에서 1986년에, 1988년에 스노든역까지 개통하였다. 승객 수가 저조했던 관계로 STCUM은 개통 당시 3량 전동차를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만 운행하였다. 이 노선의 주 승객이었던 몬트리올 대학교 학생들은 막차를 오후 11시 10분까지, 2002년에는 오전 12시 15분까지 연장하는 데 성공하였다.[145]
2. 4. 1990년대 이후
1980년대 말, 몬트리올의 지하철 총연장은 20년 만에 4배로 늘어나 토론토 지하철보다 더 길어졌지만, 추가적인 연장 계획은 발표와 중단을 반복했다.[146] 1981년 퀘벡 주 정부는 뒤콜레주에서 레팡티니까지 잇는 광역 철도인 6호선과 피뇌프역에서 몽레알노르를 잇는 7호선, 라디송역과 푸앵토트랑블을 잇는 8호선 경전철, 방돔역과 라신을 잇는 10호선, 앙그리뇽역에서 라살을 잇는 11호선등을 제안했으나,[146] 1985년 로베르 부라사의 퀘벡 자유당 정부가 이 계획에 제동을 걸고 1988년에 통근열차로 변경하였다.[146] 하지만 1989년 퀘벡주 총선이 다가오면서 7호선 계획안이 다시 수면에 올라왔고 5호선을 생미셸역에서 앙주의 갈르리 당주 쇼핑몰까지, 2호선을 부아프랑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146]
1990년대는 경기 침체와 더불어 캐나다 전체에서, 특히 퀘벡주에서 예산 수지가 맞지 않아 적자를 겪게 되었다.[147] 몬트리올의 지하철 승객 수는 줄어들었고 퀘벡주는 대중교통 지원금을 감축하였다.[147] 이에 따라 지하철 연장 계획은 보류되었고, 기존 역 보수 작업에 집중하였다.[147]
1996년, 퀘벡 주정부는 몬트리올 광역권의 모든 대중교통 발전을 총괄하는 광역교통기관(AMT)을 설치하였다.[148] AMT는 지하철 건설과 통근열차 운영을 책임지게 되었으며, 2017년 6월 1일, AMT는 광역교통망 (RTM)으로, 2018년 5월에는 엑소 (exo)로 이름을 변경하였다.[148]
1998년, 몬트리올 교통공사(STM)은 2호선 오렌지 선을 앙리 부라사역에서 프레리강을 지나 라발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하였고,[149][150] 2002년 3월 18일에 착공하였다.[131] 2007년 4월 28일, 5.2km 구간이 완공되어 카르티에, 드라콩코르드, 몽모랑시역 등 세 개 역이 개통하였다.[131]
2004년부터 STM은 지하철 개통 이후 계속 쓰던 노후 시설을 보수·교체하는 데 적극 투자하였다.[131][151] 신형 전동차인 MPM-10 (아쥐르)이 2016년부터 반입되었고 터널은 물론 베리-UQAM역 등을 포함한 여러 역이 보수 공사에 들어갔다.[152][153]
1998년 10월, 퀘벡 교통부는 파란색 선을 피뇌프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는 방안을 발표했지만,[154] 라발 지하철 연장 공사비 증가로 취소되었다. 2013년 9월, 퀘벡 교통부는 파란색 선을 앙주까지 5개 정거장, 6km 구간 연장을 발표했으나, 2016년 2월 연장 비용은 15억에서 30억 달러로 증가했다.[155]
2018년 4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필립 쿠이야르 퀘벡 주지사는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파란색 선 연장을 공식 발표하였다.[156] 앙주까지 연장하는 데 드는 비용은 39억 달러로 최종 추산되었고[157] 2021년에 착공에 들어간다. 2019년 2월 19일, 파란색 선 연장을 위한 전담 사무실이 개장하였다.[158]
3. 운행 계통
몬트리올 지하철은 일반적으로 색상이나 종착역으로 구분되는 4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45] 여행 방향의 종착역을 사용하여 방향을 구분한다.
세인트로렌스강을 횡단하는 구간을 포함하여 모든 노선의 전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었다. 역에서 원활하게 출발하고 역에 원활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노선에는 의도적으로 경사가 붙어 있으며, 역을 향해 오르막길이 되어 있어 역 간 구간이 약간 낮아져 있다.[121]
이것은 역의 승강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22]
2024년 현재 운영 중인 노선은 4개 노선이 있다. 이 4개의 노선에는 각각 번호와 심볼 컬러가 부여되어 있다. 3호선이 결번인 이유는, 초기에는 3호선이 다른 노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무 타이어가 아닌 기존 철도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계획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이 3호선 대신 몬트리올 대도시권 교통국의 근교 철도 노선인 두몽타뉴선으로 정비되었으나, 2024년에는 무인 운전의 경전철인 REM으로 개업했다.
3. 1. 노선 및 운행 시간
몬트리올 지하철은 노선과 요일에 따라 오전 5시 24분과 30분 사이에 운행을 시작하고 다음 날 오전 12시 30분과 1시 30분 사이에 운행을 종료한다.[159] 승객 수가 많은 녹색 선과 오렌지 선의 배차 간격은 2-4분이다.[159]노선명 | 종점 | 개통 연도 | 최종 연장 연도 | 총 연장 (km) | 역 개수 | 배차 간격 (분) | ||||
---|---|---|---|---|---|---|---|---|---|---|
러시 아워 | 평상시 | |||||||||
녹색 선 | 앙그리뇽 | ↔ | 오노레 보그랑 | 1966 | 1978 | 22.1 | 27 | 3-4 | 4-10 | |
오렌지 선 | 코트베르튀 | ↔ | 몽모랑시1 | 1966 | 2007 | 30.0 | 31 | 2-4 | 4-10 | |
노란색 선 | 베리-UQAM | ↔ | 롱괴유-위니베르시테 드 셰르브루크 | 1967 | 1967 | 4.25 | 3 | 3-5 | 5-10 | |
파란색 선 | 스노든 | ↔ | 생미셸 | 1986 | 1988 | 9.7 | 12 | 3-5 | 5-10 | |
참고:1 오렌지 선은 러시아워에 코트베르튀발 열차의 종점이 몽모랑시와 앙리 부라사역 두 곳으로 나뉜다. 몽모랑시행 열차만 라발의 세 개 지하철역에 정차한다. 반대 방향은 몽모랑시역과 앙리 부라사역에서 열차가 번갈아 출발한다. 아침에는 앙리 부라사에서 몽모랑시에 종착하는 열차 두 편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앙리 부라사역은 이 노선의 모든 방면의 열차가 정차하는 유일한 역이다.* 3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3호선은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소유하고 있는 선로를 이용해 몽루아얄 지하를 따라 카르티에빌까지 지상으로 운행하는 계획이었으나 67년 세계박람회를 앞두고 4호선 노란색 선 연장을 우선시하면서 건설 계획이 무산되었다. CN 선로는 엑소의 두몽타뉴선과 마스쿠시선 열차가 이용하고 있다. |
3. 2. 지하철역
각 지하철역은 건축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승객들이 구별하기가 쉽다.
2024년 기준, 몬트리올의 68개 역 중에서 27개 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164] 이 중에서 베리-UQAM역은 녹색 선과 오렌지 선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지만 노란색 선에 엘리베이터가 지어지고 있는 관계로 교통약자가 이용하기에는 아직까지 불편할 수 있다.
몬트리올에 처음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은 2007년에 개통한 2호선 라발 연장 구간이고, 2024년 현재 베리-UQAM, 앳워터, 플라스생앙리, 에두아르 몽프티, 우트르몽역 등 5개 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165]
몬트리올 지하철은 다른 많은 지하철 시스템(몬트리올 지하철보다 오래된 시스템 포함)에 비해 접근성 개선이 늦었고, 이는 몬트리올의 접근성 옹호가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다.[65] 시스템에서 처음으로 접근이 가능한 역은 라발(Laval)에 있는 세 역, 카르티에(Cartier), 드 라 콩코르드(De la Concorde), 몽모렌시(Montmorency) 역이었으며, 이 역들은 2007년 오렌지선 연장의 일환으로 개통되었다. 기존의 네 개 역인 리오넬-그루, 베리-UQAM, 앙리-부라사, 코트-베르튀는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66]
2024년 1월 기준으로, 시스템에는 27개의 접근이 가능한 역이 있으며,[67][68] 대부분은 오렌지선에 있다. 모든 지하철 노선 간 환승역은 접근이 가능하지만, 베리-UQAM역은 현재 오렌지선과 그린선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69] 2022년 5월부터 베리-UQAM역을 완전히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69]
2015년, 새로운 맥길 대학교 건강 센터(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 대형 병원이 방돔 역 인근에 개원했고, 병원과 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지하 보행자 터널이 생겼다.[70] 그러나 병원 방문객 중에는 이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역이 접근이 가능하지 않아 STM(몬트리올 교통공사)은 비판을 받았다.[71] 2017년에 역을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어 2021년에 완료되었다.[72][73]
몬트리올 지하철은 2025년까지 30개 이상의 접근 가능한 역을,[74] 2030년까지 41개의 역을 목표로 하며,[75] 2038년까지 모든 지하철역이 접근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76][77] 비교적으로, 토론토 지하철(1954년 처음 개통)은 2025년까지 완전히 접근 가능하게 될 것이며,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의 모든 역은 1985년 시스템 개통 이후로 접근이 가능했지만, 그랜빌 역은 2006년에 접근 가능하게 되었다.
3. 2. 1. 접근성
각 지하철역은 건축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승객들이 구별하기가 쉽다.
2024년 기준, 몬트리올의 68개 역 중에서 27개 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164] 이 중에서 베리-UQAM역은 녹색 선과 오렌지 선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지만 노란색 선에 엘리베이터가 지어지고 있는 관계로 교통약자가 이용하기에는 아직까지 불편할 수 있다.
몬트리올에 처음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은 2007년에 개통한 2호선 라발 연장 구간이고, 2024년 현재 베리-UQAM, 앳워터, 플라스생앙리, 에두아르 몽프티, 우트르몽역 등 5개 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165]
몬트리올 지하철은 다른 많은 지하철 시스템(몬트리올 지하철보다 오래된 시스템 포함)에 비해 접근성 개선이 늦었고, 이는 몬트리올의 접근성 옹호가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다.[65] 시스템에서 처음으로 접근이 가능한 역은 라발(Laval)에 있는 세 역, 카르티에(Cartier), 드 라 콩코르드(De la Concorde), 몽모렌시(Montmorency) 역이었으며, 이 역들은 2007년 오렌지선 연장의 일환으로 개통되었다. 기존의 네 개 역인 리오넬-그루, 베리-UQAM, 앙리-부라사, 코트-베르튀는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66]
2024년 1월 기준으로, 시스템에는 27개의 접근이 가능한 역이 있으며,[67][68] 대부분은 오렌지선에 있다. 모든 지하철 노선 간 환승역은 접근이 가능하지만, 베리-UQAM역은 현재 오렌지선과 그린선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69] 2022년 5월부터 베리-UQAM역을 완전히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69]
2015년, 새로운 맥길 대학교 건강 센터(McGill University Health Centre) 대형 병원이 방돔 역 인근에 개원했고, 병원과 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지하 보행자 터널이 생겼다.[70] 그러나 병원 방문객 중에는 이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역이 접근이 가능하지 않아 STM(몬트리올 교통공사)은 비판을 받았다.[71] 2017년에 역을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어 2021년에 완료되었다.[72][73]
몬트리올 지하철은 2025년까지 30개 이상의 접근 가능한 역을,[74] 2030년까지 41개의 역을 목표로 하며,[75] 2038년까지 모든 지하철역이 접근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76][77] 비교적으로, 토론토 지하철(1954년 처음 개통)은 2025년까지 완전히 접근 가능하게 될 것이며,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의 모든 역은 1985년 시스템 개통 이후로 접근이 가능했지만, 그랜빌 역은 2006년에 접근 가능하게 되었다.
3. 2. 2. 열차 정보 안내판

2014년 말부터 메트로비지옹 (MétroVision) 전광판이 모든 역에 걸쳐 설치되었다.[163] 평면 스크린이나 빔 프로젝터로 비추는 이 전광판은 다음 두 열차가 언제 오는지 알려주고 광고와 뉴스, 날씨는 물론 지연이나 운행 중단과 같은 지하철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해준다.
몽레알 지하철역에는 광고, 뉴스 헤드라인 및 메테오메디아(MétéoMédia) 기상 정보와 더불어 STM(몽레알 교통공사) 관련 정보(운행 변경, 지연 등 시스템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메트로비전(MétroVision) 정보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2014년 말까지 STM은 모든 68개 역에 화면을 설치했다. 베리-UQAM역이 최초 설치 역이었다.[51]
3. 3. 요금
몬트리올 지하철 요금은 시내버스와 동일하며, 티켓 한 장으로 120분 동안 무제한 환승이 가능하다.[170] 몬트리올 교통공사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STM)가 지하철과 버스 서비스를 운영한다.[46]요금제는 엑소의 통근 열차와 일부 연동되어 있다. 몬트리올 광역 교통국 (Autorité régionale de transport métropolitain, ARTM)이 요금을 책정하는 TRAM 티켓이나 정기권을 지하철에서도 이용할 수 있지만, STM 티켓을 통근 열차에서 사용할 수는 없다. 오렌지 선의 보나방튀르, 루시앙 랄리에, 방돔, 드 라 콩코르드역과 파란색 선의 파크역에서 지하철과 통근 열차로 환승할 수 있다.
2022년 7월 1일, ARTM은 요금 체계를 A, B, C, D의 4개 구역으로 재편했다. 몬트리올 섬은 A 구역에 속하며, B, C, D 구역의 요금은 개별 또는 함께 구매할 수 있다. 몬트리올에서 라발(B 구역)로 Exo, REM 또는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해당 구역의 요금(예: 모든 교통수단 AB 요금)이 필요하다.
요금 지불은 자기 티켓과 RFID 방식의 비접촉식 카드를 허용하는 개찰구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개찰구에서 승차권을 삼켜버려 무임승차나 부정 승차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1966년부터 2009년까지는 개찰구 밖 환승 표 발급기를 통해 버스 환승 표를 받을 수 있었다.[171] 현재는 승차권에 개찰구에 들어간 날짜와 시각이 적혀 있어 영수증 및 환승 표로 사용되며, 가짜 표를 감별하는 데에도 쓰인다.[170]


2008년 4월 21일, 오푸스라는 충전 가능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공개되었다.[47] OPUS 카드에는 일회권, 왕복 승차권, 10회권, 몬트리올 정기권, 통근열차 정기권 및 TRAM 정기권 등 여러 종류의 승차권을 충전할 수 있다. 어린이, 학생과 만 65세 이상의 노인은 뒷면에 증명사진이 있는 OPUS 카드를 제시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172]
2015년부터 고객들은 오푸스 카드 판독기를 구매하여 컴퓨터에서 개인 카드를 온라인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48] 2016년부터는 STM이 NFC 기술을 이용하여 OPUS 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개발에 들어갔다.[173][174] 2024년 4월, ARTM은 크로노(Chrono) 앱을 통해 OPUS 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발표하였다.[175][49]
3. 4. 운영 비용
몬트리올 지하철의 운영 비용은 몬트리올 교통공사(STM)가 부담한다. 승차권과 정기권 판매 수익은 전체 운영 비용의 40-45%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몬트리올섬의 지자체가 28-32%, 몬트리올 대도시권이 5-6%, 퀘벡 주 정부가 13-23%를 지원한다.[176][55]STM은 지하철과 버스를 통합하여 운영 비용을 관리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은 지하철과 버스 서비스를 모두 포함한다. 2016년 STM의 직접 운행 예상 비용은 6억 6,700만 달러였으며, 2017년에는 6억 7,700만 달러로 추산되었다.[55][176] 할인 요금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몬트리올 광역권의 지자체와 퀘벡 주정부는 각각 5억 1,300만-5억 3,900만 달러와 1억 8,900만-3억 5,100만 달러를 지원한다.[55][176] STM 총예산 중 인건비가 57-6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설비 비용은 23-28%, 부채 상환 비용은 13-22%를 차지한다.[55][176] 지하철 운영비만 한정하면, 인건비가 75-7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기세가 9%를 차지한다.[55][176]

지하철 연장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퀘벡 주 정부가 전액 지원한다.[177][56] 기존 시설 유지·보수 및 서비스 개선 비용은 연방 정부, 주 정부, 몬트리올섬의 지자체가 최대 100%까지 지원하며, 이 지원금이 어느 사업에 사용될지는 STM이 결정한다.[177][56] 예를 들어, 전동차 교체 비용의 74%는 퀘벡 주 정부가, 환풍구 교체 작업 비용의 33%는 연방 정부가 부담하였다.[177][56]
3. 5. 안전 시설
몬트리올 지하철역은 STM 검표원 167명과[176] 몬트리올시 경찰국(Service de police de la ville de Montréal, SPVM)의 지하철 전담 요원 115명이 순찰한다.[178] SPVM 요원들은 2천여 대의 카메라와 안면 인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지하철 경찰대 본부와 연락한다.[179]
역 승강장에는 지하철 통신 센터와 연결되는 호출기가 있으며 비상시를 대비한 전력 차단기와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다.[180] 전원 공급 장치 시스템은 짤막한 구간으로 나뉘어 전력을 해당 구간에만 따로 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한 해당 열차에만 전력을 끊고 나머지 뒤따르는 열차는 가장 가까운 역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동차가 터널 안에 있는 경우에는 비상 통로가 선로보다 더 높이 있어 전력이 흐르는 제3궤조 선로에 발을 디디지 않고 대피할 수 있다. 약 15m 간격으로 안내 표지판이 화살표로 나타나 있으며 150m 간격으로 대피소에 비상 전화기, 전력 차단기와 소화전이 있다. 환기구의 경우 지상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도 같이 마련되어 있다.
지상층에는 파란색 소화전으로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비되어 있다. 터널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관들은 빨간색 소화전을 파란색 소화전에 연결하여 지하철을 제어한다. 소화전 두 개가 서로 떨어져 있는 이유는 실수로 소화전이 폭발해 터널 안에 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181]
3. 6. 이용객 수
몬트리올 지하철 이용객 수는 첫 개통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하여, 1967년 연간 총 1억 3,600만 명에서 반세기 후 3억 6,700만 명으로 크게 늘었다.[182] 몬트리올 지하철은 북미에서 가장 붐비는 지하철 중 하나로 뉴욕 다음으로 북미에서 인구 대비 지하철 이용객 수가 가장 많다.[129] 하지만 196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는 이용객 수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1996년부터 2017년까지는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오늘날에는 녹색 선 베리-UQAM과 맥길 사이, 오렌지 선 생드니 연선은 러시 아워에 혼잡하며, 승객들이 열차 몇 대를 보내야 하는 경우도 빈번히 일어난다.[183] 지하철 내에는 에어컨이 없는 관계로 여름철 혼잡한 구간을 이용하면 불쾌할 수 있다.2019년 기준, 몬트리올에서 가장 승객 수가 많은 지하철역은 베리-UQAM (연간 1264만 200명) 이고,[184] 맥길 (1179만 3714명), 기-컨커디아 (1020만 5552명), 보나방튀르 (943만 502명), 롱괴유-위니베르시테 드 셰르브루크역 (850만 4353명) 순으로,[184] 다섯 곳 중 네 곳은 시내에 위치해 있다. 승객 수가 가장 적은 지하철역은 보드리역으로 2019년 기준 연간 80만 3,769명이 승차하였다.[184]
3. 7. 보수 및 정비
지하철역 건물과 종점에 정박해 있는 열차는 위생 전담 직원이 매일 24시간 청소한다. 331km에 달하는 선로와 가이드 바의 유지 및 보수는 선로 전담 직원이 맡는다.[177] 전 세계 대부분의 지하철과 같이 선로 유지·보수 작업은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인 오전 1시 30분부터 5시까지 이루어진다.[161]

승강장 차량 50량, 작업용 소형 견인차 25대, 조차 차량 2대, 선로 변경 차량 1대를 포함한 총 119대의 유지·보수 차량이 밤사이에 운행한다.[161] 또한, 구조 변경이 이루어진 전동차와[185] 진공청소기가 탑재된 디젤 트랙터가 선로 위에 있는 쓰레기를 흡착한다. 평상시에는 이 작업 차량이 비오, 뒤베르네, 유빌 연결 선로에 정박해 있다.[161]
2004년 이후, 몬트리올 교통공사(STM)의 투자는 대부분 차량과 인프라 개보수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왔다.[27] 새로운 열차(MPM-10)가 도입되어 구형 MR-63 열차를 대체했다. 터널이 보수되고 있으며, 베리-UQAM 역(Berri–UQAM)을 포함한 여러 역들이 수년간 재건축 공사를 진행 중이다. 2016년에는 지상에 있는 많은 전기[28] 및 환기 시설[29][30]이 현대적인 기준에 맞춰 완전히 재건축되었다. 2020년에는 지하철 내 휴대전화 통신망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다.[31] 역사 접근성도 개선되어, 2007년 이후 68개 역 중 26개 역 이상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32]
운행하지 않는 열차들은 앙그리농, 보그랑, 코트-베르튀, 생-샤를, 몽모렌시의 다섯 개 차량기지에 보관된다. 앙그리농을 제외하고 모두 지하에 있으며, 전체 궤도차량의 약 46%를 수용할 수 있다. 나머지 열차들은 종착역 선로에 주차된다.
- 앙그리농(Angrignon) 차량기지는 1호선 앙그리농(Angrignon) 종착역 서쪽에 위치한 지상 건물로, 앙그리농 공원(Angrignon Park) 옆에 있으며, 각각 9량 열차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6개의 선로를 갖추고 있다.
- 보그랑(Beaugrand) 차량기지는 1호선 오노레-보그랑(Honoré-Beaugrand) 종착역 동쪽에 위치해 있다. 셰니에-보그랑 공원(Chénier-Beaugrand Park) 지하에 있으며, 주요 출입구는 오노레-보그랑 역을 통해 이루어진다. 7개의 선로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시험 선로와 함께 MR-63 차량에 대한 경량 정비를 수용한다.[100]
- 생-샤를(Saint-Charles) 차량기지는 앙리-부라사(Henri-Bourassa) 종착역 북쪽에 위치하며, 구앵 공원(Gouin Park) 지하에 있다. 20대의 열차를 주차할 수 있는 8개의 선로를 갖추고 있으며, 2호선의 주요 차량기지이다.[101] 또한, 잔느-소베 공원(Jeanne-Sauvé Park) 지하에는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훈련 시설이 있으며, 1973년 화재로 손상된 MR-63 차량 한 대와 폐기된 집게 열차 한 대가 있다.
- 몽모렌시(Montmorency) 차량기지는 종착역에 수직으로 건설되어 라발 지역으로 2호선을 더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02]
- 코트-베르튀(Cote-Vertu) 차량기지는 2호선의 추가 MPM-10 열차를 수용하기 위해 티맹스 대로(Thimens boulevard) 끝 지하에 건설되었다.[103] 600m 길이의 터널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소규모 정비 시설과 총 12개의 주차 공간을 위한 2개의 긴 선로를 갖추게 될 것이다. 노선 연장과 함께 나중에 2개의 선로를 더 추가할 수 있다.[104]
차량 정비는 세 곳의 네 개 시설에서 이루어진다. 몽모렌시(Montmorency)와 보그랑(Beaugrand) 차량기지에는 소규모 선로 두 개가 있으며, 플라토 드유빌(Plateau d'Youville) 시설에는 대규모 선로 두 개가 있다. 코트베르튀(Cote-Vertu) 차량기지에는 다섯 번째 시설이 건설 중이다.
몬트리올 지하철의 유일한 수리 시설은 크레마지(트랜스캐나다 고속도로의 일부)와 생 로랑(Saint-Laurent) 대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아틀리에 플라토 드유빌(Atelier Plateau d'Youville)이다. 최초 구간과 함께 건설되어 1966년 10월에 이전 노면전차 차고지 부지에 개장했으며,[105] 지하철 차량의 주요 수리를 담당하는 대규모 지상 시설로, 선로 조립 작업장(선로 구간을 설치 전에 조립하는 곳)의 주요 기지이다.[106] 네트워크를 유빌(Youville) 포탈 게이트에 연결하는 양방향 서비스 터널은 크레마지역(Crémazie)과 쏘베역(Sauvé) 사이에 있다. 과거 아틀리에 플라토 드유빌은 CN 생 로랑(St Laurent) 지선에 연결되는 연결 선로를 통해 캐나다 국영 철도 네트워크와 연결되었으며, 주로 MR-63 열차의 배송에 사용되었다.[107]
4. 건축 양식과 공공 미술
몬트리올 지하철의 건축 양식과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몬트리올의 겨울을 반영하여 지어졌으며, 비용과 지하철 디자인을 전두 지휘했던 장 드라포 시장의 영향을 받았다.
몬트리올 지하철의 디자인은 몬트리올의 겨울철 기후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다른 도시의 지하철과 달리, 몬트리올 지하철역의 거의 모든 출입구는 보도에서 약간 들어가 있으며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보통 작고 별도의 건물이나 건물 외벽 안에 위치해 있다. 출입구에는 열차 운행으로 인한 바람으로 인해 문을 열기 어려운 상황을 완화하기 위한 회전식 "나비" 문이 설치되어 있다.[61] 지하철 시스템 전체가 지하에 있으며 일부 역은 건물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몬트리올의 지하도시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몬트리올 지하철에는 총 68개의 역이 있으며, 그중 4개의 역은 지하철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고 5개의 역은 통근열차와 연결되어 있다. 역 이름은 대부분 인접한 거리 이름을 따서 지었다.[62]
역 간 평균 거리는 950m이며, 시내 중심부 역과 역 사이의 최단 거리는 296m, 역과 역 사이의 최장 거리는 2.36km이다.[62] 평균 역 깊이는 15m이다. 가장 깊은 역인 역은 방면 승강장이 지하 29.6m에 위치해 있다. 가장 얕은 역은 역과 롱괴유-쉬에르브룩 대학교 종착역으로 지표면 아래 4.3m에 위치해 있다.
승강장은 길이 152.4m, 너비 최소 3.8m이며, 선로 양쪽에 위치해 있다. 단, 역, 역, 역은 특정 방향으로 노선 간 환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승강장이 겹쳐져 있다. 역과 델레글리즈 역은 설계상의 이유로 2층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는데, 이 지역의 지반암석(셰일)이 너무 약해서 더 넓은 면적의 역을 건설할 수 없기 때문이다. 향후 연장선의 종착역에는 회차 루프를 수용하기 위해 중앙 승강장이 설치될 수 있다.[63]
몬트리올 지하철은 건축과 공공 미술로 유명하다. 드라포의 지휘 아래 캐나다 건축가들 간의 경쟁을 통해 각 역의 디자인을 결정하여, 각 역이 서로 다른 건축가에 의해 서로 다른 스타일로 지어지도록 했다. 과 같은 여러 역은 모더니즘 건축의 중요한 사례이며, 시스템 전반의 다양한 디자인 선택은 국제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공중전화와 확성기 설치, 그리고 눈에 띄는 배선과 같은 수많은 개입은 많은 역의 우아함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스톡홀름 지하철과 함께 몬트리올은 자본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지하철에 공공 미술을 설치하는 것을 개척했다. 이러한 관행은 그 이전에는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국가에서 주로 발견되었다(모스크바 지하철이 대표적인 예임). 50개가 넘는 역이 조각, 스테인드글라스, 유명한 퀘벡 예술가(유명한 예술 운동인 ''오토마티스트의 구성원 포함)의 벽화 등 100개가 넘는 공공 미술 작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지하철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일부에는 역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주요 퀘벡 예술가 마르셀 페롱의 걸작)과 스퀘어-빅토리아-OACI역의 기마르 입구가 있다. 이 입구는 대부분 유명한 출입구( 파리 메트로를 위해 디자인됨)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4] 1966년부터 RATP가 지하철 건설 협력을 기념하기 위해 영구 대여해 주었다. 1967년(엑토르 기마르 탄생 100주년)에 설치된 이 입구는 파리 외 지역에서 사용 중인 유일한 진짜 기마르 입구이다.
4. 1. 건축 양식
몬트리올 지하철은 건축 양식과 공공 미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각 역은 다른 건축가가 각기 다른 스타일로 디자인하였다.[161] 일부 역은 모더니즘 양식을 따르는 한편, 다른 역은 국제 양식에 영향을 받았다. 지하철 설계자들은 선로를 지하화하여 교통 정체를 해소하고 바깥 날씨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몬트리올은 스톡홀름 지하철과 더불어 지하철에 공공 예술을 적극 도입한 곳이기도 하다. 50여 개 역에는 잘 알려진 예술가들의 조각상, 유리판, 벽화 등 105개의 공공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196] 예술가 대부분은 반체제, 반종교 예술가 선언서인 《전면 거절》 (Refus global)의 서명자들이다.[196]
지하 철도를 짓는 방법에는 절개 공법과 터널 굴착 공법이 있다. 절개 공법은 공사비가 저렴하지만, 도시 통행과 경제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141] 몬트리올섬의 하층면은 회색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터널 굴착에 적합하며, 실제로 터널 굴착이 절개 공법보다 네 배 가량 저렴하였다.[141][186] 몬트리올 지하철 전체의 80%는 발파 및 굴착을 통해 터널을 지었다.[141]

프레더릭 백이 플라스데자르역에 설치한 천정은 몬트리올 지하철에 처음으로 설치된 공공미술 작품 중 하나이다.[198] 샹드마르스역 유리 타일에 설치된 마르셀 페롱의 추상적인 미술 작품도 초기 작품에 속한다.[197]
미술 작품은 대부분 역 내부에 있지만, 스콰르빅토리아-OACI역 출입구에 설치된 파리 지하철 양식의 기마르 출입구는 바깥에 설치된 작품이다.[201][202] 이 외에도 카르티에역, 장 드라포역, 몽루아얄역, 파피노역 등에 역 바깥에 미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4. 2. 공공 미술
몬트리올 지하철은 건축 양식과 공공 미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각 역은 다른 건축가가 각기 다른 스타일로 디자인하였다.[161] 일부 역은 모더니즘 양식을 따르고, 다른 역은 국제 양식에 영향을 받았다.스톡홀름 지하철과 더불어 몬트리올은 지하철에 공공 예술을 적극 도입한 초기 사례이다. 50여 개 역에는 유명 예술가들의 조각, 유리판, 벽화 등 100개가 넘는 공공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196] 이 예술가들 대부분은 반체제, 반종교 예술가 선언서인 《전면 거절》 (Refus global)의 서명자들이다.[196] 초기에는 미술 작품 설치가 주된 관심사는 아니었지만, 기부 작품이 늘어나면서 역 건물의 일부로 통합되었다.[161] 1973년과 1986년 사이 지하철 연장 시에는 건설사 재량으로 연장 구간 역에 공공 미술을 설치하였다.[197]
몬트리올 지하철에 처음 설치된 공공 미술 작품 중 하나는 프레더릭 백이 플라스데자르역에 설치한 천정으로, 1967년에 완성되었다. 샹드마르스역의 마르셀 페롱의 유리 타일은 추상적인 미술 작품이다.[197] 2013년에는 몬트리올 벽화 설치 단체 MU가 페롱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샹드마르스역 출입구 벽 틈새를 색칠해 생동감을 더했다.[199][200]
미술 작품은 대부분 역 내부에 있지만, 스콰르빅토리아-OACI역 출입구에 설치된 작품은 외부에 있다. 이 출입구는 파리 지하철의 기마르 양식으로, RATP가 제공한 타일까지 설치하여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201][202]
5. 차량
고무 차륜 전동차는 1930년대에 미슐랭이 개발했지만 1950년대에 파리 지하철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몬트리올 지하철 또한 같은 차륜을 쓴다.
몬트리올 지하철은 철바퀴 대신 고무 타이어를 사용한다. 지하철이 전 구간 지하에 있기 때문에 차량과 전기 시스템은 방수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열차의 너비는 2.5m로, 북미의 다른 대부분의 지하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열차보다 좁다. 이러한 좁은 너비 덕분에 지하철 노선 건설 시 단일 터널(양쪽 선로 공용)을 사용할 수 있었다.[78]
몬트리올의 1세대 차량은 파리 메트로의 MP 59 차량을 단순히 채택하는 것을 넘어섰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지하철 시스템을 건설한 북미 도시들(워싱턴 D.C., 샌프란시스코, 애틀랜타)은 자신의 필요에 가장 적합할 뿐만 아니라 미적 디자인과 성능에 중점을 둔 산업 디자인의 변화를 포함하는 현대적인 차량을 찾고 있었다. 2018년 6월까지 일부 몬트리올 열차는 운행 중인 북미 지하철 열차 중 가장 오래된 열차 중 하나였다 – 1966년 시스템 개통 당시부터 운행된 캐나디언 비커스 MR-63 – 하지만 완전히 보호된 환경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수명이 길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의 대부분 지하철 시스템의 지하철 차량과는 달리, 유럽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몬트리올 차량에는 에어컨이 없다.[79] 여름에는 냉방이 부족하여 승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80] STM의 주장에 따르면, 지하철이 전적으로 지하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에어컨을 사용하면 터널 온도가 너무 높아져 열차 운행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몬트리올 지하철은 고무타이어식 지하철(고무차륜식)이다. 집전 방식은 제3궤조 방식이다.[126]
==== 전동차 디자인 ====
몬트리올 지하철은 대규모 철도 회사에 인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철도와 규격이 맞지 않는 철도를 원했던 장 드라포 시장의 의지에 따라, 파리 지하철을 모델로 하여 전 구간 고무 차륜으로 운행하는 세계 최초의 지하철 체계이다.[190][141] 고무 차륜은 미슐랭과 RATP의 도움으로 도입되었으며, 소음이 적고 가감속 및 등판 능력이 뛰어나 몬트리올 지하철의 효율성을 높였다.[195][179][192][193]
선로는 주행, 유동, 전원 공급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주행 공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다. 각 차량에는 베어링, 방향 유도 바퀴, 철제 보조 바퀴 등으로 구성된 대차가 있으며, 철제 보조 바퀴는 선로 변경 및 타이어 펑크 시 사용된다.[203]
전동차 바퀴는 미슐랭과 브리지스톤이 공급하며, 질소로 채워져 있다.[204] 바퀴는 9,000km마다 교체되며, 전동차는 연간 94,000~111,000km를 주행한다.[205] 전력은 히드로퀘벡이 공급하며, 전동차 운행에 65%가 사용된다.[206]
전동차는 100% 지하 운행으로 별도 난방은 없으며, 가감속과 브레이크가 열의 80%를 차지한다.[208] MR-73은 환풍기로, MPM-10은 자동 환기로 온도 조절을 한다. 역과 터널에는 통풍구와 기계 환기 시설이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고 비상시 대피 시설로 활용된다.[208]
브레이크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며, MR-73과 MPM-10의 전류는 전력망에 투입된다.[213] 완전히 멈출 때는 땅콩기름을 바른 자작나무 제동 장치를 사용한다.[214]
열차는 저합금 고장력강으로 제작되며, 파란색 바탕에 흰색 띠가 있다. 3량, 6량, 9량 편성이 가능하며, 각 차량에는 양쪽에 3~4개의 넓은 출입문이 있다. MPM-10 열차는 개방형 통로를 채택하여 차량 간 이동이 가능하다.
고무 타이어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급경사, 급커브 운행에 유리하지만, 견인 모터 소음이 크고 콘크리트 노반 사용으로 소음이 증폭되는 단점이 있다. 열차는 최대 6.5% 경사를 오르며, 험프형 역 프로필을 따라 에너지를 절약한다.
MR-73 차량은 출발 시 세 가지 청각 신호 (초퍼 회로)를 발생시키며, 이는 보통 사람을 위한 환상곡의 첫 세 음표와 같다.[95][97] 몬트리올 지하철 안내 방송은 미셸 드슬로리에르(Michèle Deslauriers)가 녹음했다.[98]
==== "두두두" ====
2010년부터 MR-73 전동차와 그 이후에 도입된 MPM-10 전동차에는 출입문을 닫을 때 효과음이 나온다. 이는 일부 전동차의 구동음에서 비롯되었는데,[210] MR-73 전동차는 초퍼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몬트리올 사람들에게 익숙한 솔-도-솔 3개 음을 낸다.[211][212] 초퍼 제어 장치는 전동차가 가속할 때 과부하로 가열되지 않도록 5단계에 걸쳐 전력을 제어하는데,[213] 보통 마지막 3단계만 들리고 나머지는 소리가 작아 대부분의 승객은 듣기 힘들다. 한편, 이 효과음은 1967년 세계박람회 당시 배경음악으로 쓰였던 에런 코플런드의 곡인 팬페어 포 더 커먼 맨/Fanfare for the Common Man영어 첫 부분의 세 음이기도 하다.
==== 반자동 운전 ====
몬트리올 지하철은 배차 간격 단축 및 기관사 오류 감소를 위해 1976년에 1, 2, 5호선에 2단계 자동 열차 운전 장치를 도입하였다.[215] 기관사는 출입문을 닫고 자동 운전 모드를 작동하기만 하면 된다. 운전대에 설치된 컴퓨터가 지정 속도까지 가속하고 제동하며, 승강장 위치에 정확하게 멈추고 출입문을 연다.[216] 기관사는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시속 40km 이하로 운행해야 한다.
열차의 출발과 규정 속도는 관제탑에서 선로에 있는 대체 전기 신호로 전동차에 전송되며, 이 신호는 역간 선로 구간별로 다르다. 열차 운전대에는 차내 정보 시스템을 통해 규정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216] 열차를 올바른 위치에 정차하기 위해 선로 토대에 있는 유도 시설이 전동차의 실제 주행 및 제동 속도를 결정한다. 첫 번째 제동 신호는 상부의 전동차로 전송되어 제동 장치를 실행하고, 중간에 있는 두 번째 신호는 제어 역할을 하며, 마지막인 세 번째 신호는 정확한 지점에 멈추도록 한다. 전동차 속도가 시속 5km 미만이고 전동차가 완전히 역 승강장에 진입하면 승강장 쪽에 있는 신호가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9량 열차의 경우 첫 번째 제동 신호는 역 진입 152m (승강장 길이) 전에 떨어진다. 전동차가 신호를 받는 대로 주행 거리계가 남은 거리의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며 회생 제동에서 고무 제동 순으로 제동 장치를 실행한다. 자동 운전 장치는 역간 거리와 고무 차륜의 원지름을 토대로 제동 거리를 각 역마다 다시 측정하고 정차 위치를 오차범위 5cm 이내로 계산한다.
MR-73 열차와 이전의 MR-63 열차는 수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MPM-10 열차는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R-73 열차는 기관사가 문을 열고 닫고 주행/제동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며, MPM-10 열차는 기관사가 수동으로 문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 출발/Départ automatique프랑스어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된다. MPM-10은 기관사가 재량에 따라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신호는 레일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펄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선로 표지판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속도 명령과 역 정차 위치는 운전실 아래에 장착된 표지판 판독기를 통해 수집된다. 열차의 전자 모듈로 전송되는 정보는 속도 정보를 전달하며, 부과된 속도를 준수하는 것은 열차 자동 제어 시스템 컴퓨터의 책임이다. 열차 컴퓨터는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 지침을 받아 열차에 네 가지의 서로 다른 경제적인 관성 주행 모드와 최대 성능을 위한 한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수동 제어의 경우, 선로 속도는 최대 허용 속도를 나타내는 운전실 속도계에 표시된다.
열차는 특정 역 위치에 정확한 차륜계수기(±5cm)로 정차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역에 진입하기 전에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제동 프로그램과 역 정차 위치 명령(역의 1/3, 2/3 또는 끝)을 받으며, 정차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역 내에 추가적인 표지판이 있다. 마지막 표지판은 플랫폼 끝으로부터 정확히 12바퀴 회전 지점에 위치하며, 이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열차는 각 동력차 양쪽에 있는 두 세트의 750볼트 직류 가이드 바/제3 레일에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9량 열차는 최대 6,000암페어의 큰 전류를 끌어들인다. 따라서 모든 모델의 차량은 전력 서지, 아크 및 차단기 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 교정된 주행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두 모델 모두 주된 마찰 제동을 보조하는 전기 제동(모터 사용)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요성을 줄인다.
열차는 탈레스 그룹이 제공하는 이중 적용 광대역 무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9]
==== 운행 중인 전동차 ====
2019년 기준, 몬트리올 지하철에는 두 종류의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생산한 MR-73은 파란색 좌석의 전동차로, 1976년에 도입되었다.[205] 1992년에 열차 내 전광판이 설치되었고,[205] 2005년과 2008년 사이에 전면 개조되었다.[220] 현재 녹색 선, 노란색 선, 파란색 선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총 423량이 운행 중이다.[161]
봄바디어와 알스톰이 합작하여 제작한 MPM-10(아쥐르)은 2012년 공청회를 통해 '아쥐르'(Azur)로 이름이 정해졌으며,[217]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수주하였다.[177] 2016년 2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였으며,[222] 객차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수송량을 늘렸다.[218] 현재 오렌지 선에서 주로 운행하며, 총 468량이 운행 중이다.[221]
몬트리올 지하철의 1세대 열차였던 MR-63은 파리 메트로의 MP 59 전동차와 같은 기종으로, 비커스가 제조하여 1965년부터 1967년 사이에 수주하였다. 2018년 6월 21일에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퇴역하였다.[219]
몬트리올 지하철 759형은 고무차륜식 제3궤조 방식이다. 각 차량은 2개의 대차 위에 있으며, 각 대차에는 4개의 고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차륜은 4개의 직류 모터로 차동 기어를 통해 구동되며, 전기 회생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다. 차량의 외장은 파란색을 기조로 하고 있다.[127]
==== 전동차 교체 ====
2001년, 몬트리올 지하철의 전동차가 노후하여 몬트리올 교통공사 (STM)는 전동차 교체 작업에 착수하였다. 1세대 전동차인 MR-63을 신형 전동차로 교체할 예정이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2005년으로 미루어졌다.[226] 2006년 5월 11일, 퀘벡 주정부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사가 STM의 전동차를 수주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로 선정하여 정치 및 법적 공방으로 이어져 2010년에 예정되었던 수주가 지연되었다.
2008년 7월 31일, 퀘벡 상급법원은 주정부의 불공정한 입찰 과정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프랑스 기업인 알스톰의 손을 들어주면서 STM은 신형 전동차 342량을 공개 입찰하고 126량을 추가 발주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227][228][229] 2008년 가을, 봄바디어와 알스톰이 설립한 컨소시엄 업체가 최종 선정되었지만[212] 기존 비용인 12억 달러보다 높은 18억 달러를 요구하면서 STM과 8개월간 격렬한 협상을 진행하였다. 차량당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STM은 MR-73을 포함한 모든 전동차를 교체하기로 하여 전동차 수는 765량으로 늘어났고 거기에다가 288량을 더 발주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전동차 수가 늘어나면서 관련 법에 따라 STM은 전 세계 기업에 공개 입찰하였다.[230][231]
2010년 1월 재입찰 당시 전 세계 공개 입찰에 참여한 기업은 중국 기업인 주저우 전동차사와[229] 스페인 기업인 CAF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두 곳이었다. 2010년 7월 13일, STM은 철제 차륜을 제안한 주저우의 입찰을 거절하였고 CAF의 입찰을 허용하여 그 해 가을에 전동차 1053량 교체를 위한 신규 입찰에 들어갔다.[231]
퀘벡 주정부는 2012년으로 미루어진 전동차 수주를 두고 입찰 과정을 더 이상 지연하지 않기 위해 개입하지 않기로 하였다.[232] 이는 2010년 10월 5일, STM이 입찰 과정에 다시 들어가고 봄바디어-알스톰 컨소시엄이 퀘벡상급법원에 재입찰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하였다.[233] 장 샤레 퀘벡 주지사는 전동차 교체가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며 신형 전동차를 봄바르디에-알스톰 컨소시엄에 수주하고 경쟁 업체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하였다. 퀘벡 정부는 컨소시엄과의 협상에서 전동차 발주 수를 줄였지만 차량당 100만 달러를 절감한 가격에 협상을 체결하였다.[234] 2016년 기준으로 전동차 468량 교체 비용은 14억 1천만 달러로 치솟았다.[177]
신형 전동차 이름은 2010년에 주문한 몬트리올의 고무 차륜 전동차 (Matériel pneumatique de Montréal acquis en 2010)라는 뜻의 MPM-10으로 정해졌다.[235] 첫 전동차는 2012년에 공개되었고[236] 2014년 4월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갔다.[237] 2015년 1월, 제조사의 소트프웨어 문제로 전동차 생산이 6개월간 중단되었다.[238] 이후 6개월간 또 다른 시범 운행을 거친 다음 2016년 2월 7일, 오렌지 선에 신형 전동차가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222]
캐나다 빅커스(Canadian Vickers)에서 제작한 MR-63 열차는 1966년 10월 지하철 개통 이후 2018년 6월까지 운행되었다. 원래 제작된 369량 중 2건의 사고로 33량이 파손되었다. 2018년 6월 21일, 마지막 MR-63 열차가 52년의 운행을 마치고 완전히 퇴역했다.[83]
==== 차량 운행 ====
샤르펜베르크 전동차 자동 연결 방식으로 전동차를 손쉽게 연결하거나 떼어낼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차량 수를 조절할 수 있다. 2006년까지 파란색 선은 평일 러시 아워에 6량, 나머지 시간대에 3량으로 운행하였다.[239] 노란색 선도 시범적으로 차량 수를 조절하였다. 자동 운전 장치는 전동차 길이에 따라 제동 장치 작동 시점을 조절한다. 2019년 기준, 녹색과 오렌지 선은 9량, 파란색과 노란색 선은 매일 상시 6량으로 운행한다.[177]
열차 간격은 자동 열차 운전 장치에 제한 속도를 전송하여 조정된다. 역에서 열차가 지연되거나 조착하면 자동 운전 장치가 속도를 조절하고, 제동 직전 전동차 엔진의 프리휠 운행 시간을 조정한다.[193] 중앙 컴퓨터는 정시성에 영향을 주는 열차에 맞춰 배차 간격을 조절한다.[193] 전동차 위치는 궤도 회로로 파악하며, 이 정보는 지하철 관제소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안전 거리 유지를 위해 전동차는 다음 역으로 가는 선로에 차량이 있으면 움직일 수 없으며, 제한 속도는 시속 0-40km이다.[193]
승강장 끝 신호는 기관사에게 다음 역까지의 선로 상황을 알려준다. 녹색 불은 출발 가능 여부를, 삼각형 녹색 불은 비상 상황을 알린다.[216]
전동차는 종착역 뒤 검수 구역에서 주행 및 유도 차륜의 공기압, 마찰 발생 장치 작동 여부를 점검받는다.[240] 지하철역 센서는 공기압 부족, 펑크난 차륜을 감지하며, 비상 차륜이 대신 운행한다.[240]
지하철 운행 정보는 중앙 관제소에서 관리하며, 전동차 운행, 환기, 비상 상황, 무선 통신, 안내방송, 신호 관리 등을 총괄한다. 2012년 2월 알스톰의 이코니스(Iconis) 관제 시스템을[241] 갖춘 새 관제소가 문을 열었다.[179] 기존 관제소는 셰르브루크역 근처 베리가 2033번지에 위치해있다.[187]
MR-73 열차와 이전의 MR-63 열차는 수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MPM-10 열차는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R-73 열차는 운전사가 문을 열고 닫고 주행/제동 제어 시스템을 제어한다. MPM-10 열차는 운전사가 수동으로 문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Départ automatique|자동 출발프랑스어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된다. 운전사는 MPM-10 열차를 수동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신호는 레일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펄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열차 컴퓨터는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 지침을 받는다. 수동 제어의 경우, 선로 속도는 운전실 속도계에 표시된다. 열차는 경사와 하중에 따라 16초 이내에 최대 허용 속도 72.4km/h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열차는 특정 역 위치에 정확한 차륜계수기(±5센티미터)로 정차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마지막 표지판은 플랫폼 끝으로부터 정확히 12바퀴 회전 지점에 위치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열차는 두 세트의 750볼트 직류 가이드 바/제3 레일에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9량 열차는 최대 6,000암페어의 전류를 끌어들인다. 모든 모델의 차량은 전력 서지, 아크 및 차단기 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 교정된 주행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두 모델 모두 전기 제동(모터 사용)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요성을 줄인다.
열차는 탈레스 그룹이 제공하는 이중 적용 광대역 무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9]
고무 차륜은 철제 차륜에 비해 소음이 적고 진동을 억제하며, 최대 6.5%의 급경사도 등판 가능하다. 저속에서의 급가속, 급감속도 고무 차륜이 유리하다. 그러나 고무 차륜은 수명이 짧고 구름 저항이 커 에너지 손실이 많다.
==== 전동차 보수 ====
1세대 전동차인 MR-63은 상업 운행에 들어간 지 50년이 지난 2016년, 주행 거리가 400만 킬로미터에 달했지만[185] 꼼꼼한 보수 작업 덕분에 반세기 동안 같은 전동차로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243] MR-63을 제조한 비커스는 지금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교체 부품은 STM 정비 직원들이나 퀘벡의 하청 업체들이 직접 만들어서 쓴다. 예를 들면 전동차 앞유리는 퀘벡주 보스 지역의 업체에서 만들어졌다.[243] MR-73의 경우도 2003년에 200만 킬로미터가 넘는 주행 거리를 달렸고 같은 보수 작업으로 2036년까지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205]
몬트리올 지하철 전동차는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보그랑드, 앙그리뇽, 생샤를, 몽모랑시 등 네 개 차량기지에 정박해 있다. 다섯 번째 차량기지인 코트베르튀 차량기지는 현재 공사 중에 있다.[244] 앙그리뇽 차량기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하에 있다. 차량기지를 모두 합쳐서 전체 차량의 46%인 39대를 정박할 수 있다. 나머지 54%는 종착역 후방의 주박 선로에 정박해 있거나 보수 작업을 위해 정비 시설에 있다.
- '''보그랑 차량기지'''(Garage Beaugrand)는 1호선 종착역인 오노레 보그랑역 동쪽인 셰니에 보그랑 공원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MR-63이 운행하던 당시 보수 작업을 여기서 수행하곤 했다.[246]
- '''앙그리뇽 차량기지'''(Garage Angrignon)는 1호선 종착역인 앙그리뇽역 서쪽의 앙그리뇽 공원 지하에 위치해있으며, 공원 지하로 500m가량 이어지는 주박선 두 개 뒤에 있다.[247]
- '''생샤를 차량기지'''(Garage Saint-Charles)는 2호선 앙리 부라사역 북쪽의 구앵 공원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8개의 긴 선로로 이루어져 있는 이 기지는 오렌지 선 열차 20대가 정박하는 곳이다.[248] 잔 소베 공원 지하에 1974년에 지하철 사고로 불에 탄 전동차를 기관사 훈련 시설로 개조해 운행하고 있고 청소차로 쓰였던 차량 2량을 지하철 내 비상 상황을 대비한 소방 훈련 시설로 개조해 쓰고 있다.[185]
- '''몽모랑시 차량기지'''(Garage Montmorency)는 2호선 몽모랑시역 남쪽의 환승 주차장 지하에 위치해 있다. 차량기지 내에 설치된 정비 시설에는 간단한 점검과 전동차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다.
- '''코트베르튀 차량기지'''(Garage Côte-Vertu)는 화이자가 소유하던 공터 두 곳 밑에 위치해 있으며,[250] 2호선의 MPM-10 전동차 추가분을 정박하고 보수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251]
전동차 정비는 네 개의 정비 시설에서 이루어지는데 두 개는 몽모랑시와 보그랑 차량기지에 위치해 있고 나머지 두 개는 유빌 정비소에 위치해 있다. 다섯 번째 정비 시설은 코트베르튀 차량기지에 지어지고 있다.
- '''유빌 정비소'''(Plateau d'Youville): 크레마지와 생로랑 사이에 위치해 있는 유빌 정비소는 버스 차량은 물론 지하철 모든 차량의 중
5. 1. 전동차 디자인
몬트리올 지하철은 대규모 철도 회사에 인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철도와 규격이 맞지 않는 철도를 원했던 장 드라포 시장의 의지에 따라, 파리 지하철을 모델로 하여 전 구간 고무 차륜으로 운행하는 세계 최초의 지하철 체계이다.[190][141] 고무 차륜은 미슐랭과 RATP의 도움으로 도입되었으며, 소음이 적고 가감속 및 등판 능력이 뛰어나 몬트리올 지하철의 효율성을 높였다.[195][179][192][193]선로는 주행, 유동, 전원 공급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주행 공간은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다. 각 차량에는 베어링, 방향 유도 바퀴, 철제 보조 바퀴 등으로 구성된 대차가 있으며, 철제 보조 바퀴는 선로 변경 및 타이어 펑크 시 사용된다.[203]
전동차 바퀴는 미슐랭과 브리지스톤이 공급하며, 질소로 채워져 있다.[204] 바퀴는 9,000km마다 교체되며, 전동차는 연간 94,000~111,000km를 주행한다.[205] 전력은 히드로퀘벡이 공급하며, 전동차 운행에 65%가 사용된다.[206]
전동차는 100% 지하 운행으로 별도 난방은 없으며, 가감속과 브레이크가 열의 80%를 차지한다.[208] MR-73은 환풍기로, MPM-10은 자동 환기로 온도 조절을 한다. 역과 터널에는 통풍구와 기계 환기 시설이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고 비상시 대피 시설로 활용된다.[208]
브레이크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며, MR-73과 MPM-10의 전류는 전력망에 투입된다.[213] 완전히 멈출 때는 땅콩기름을 바른 자작나무 제동 장치를 사용한다.[214]
열차는 저합금 고장력강으로 제작되며, 파란색 바탕에 흰색 띠가 있다. 3량, 6량, 9량 편성이 가능하며, 각 차량에는 양쪽에 3~4개의 넓은 출입문이 있다. MPM-10 열차는 개방형 통로를 채택하여 차량 간 이동이 가능하다.
고무 타이어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급경사, 급커브 운행에 유리하지만, 견인 모터 소음이 크고 콘크리트 노반 사용으로 소음이 증폭되는 단점이 있다. 열차는 최대 6.5% 경사를 오르며, 험프형 역 프로필을 따라 에너지를 절약한다.
MR-73 차량은 출발 시 세 가지 청각 신호 (초퍼 회로)를 발생시키며, 이는 보통 사람을 위한 환상곡의 첫 세 음표와 같다.[95][97] 몬트리올 지하철 안내 방송은 미셸 드슬로리에르(Michèle Deslauriers)가 녹음했다.[98]
5. 2. "두두두"
2010년부터 MR-73 전동차와 그 이후에 도입된 MPM-10 전동차에는 출입문을 닫을 때 효과음이 나온다. 이는 일부 전동차의 구동음에서 비롯되었는데,[210] MR-73 전동차는 초퍼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몬트리올 사람들에게 익숙한 솔-도-솔 3개 음을 낸다.[211][212] 초퍼 제어 장치는 전동차가 가속할 때 과부하로 가열되지 않도록 5단계에 걸쳐 전력을 제어하는데,[213] 보통 마지막 3단계만 들리고 나머지는 소리가 작아 대부분의 승객은 듣기 힘들다. 한편, 이 효과음은 1967년 세계박람회 당시 배경음악으로 쓰였던 에런 코플런드의 곡인 《팬페어 포 더 커먼 맨/Fanfare for the Common Man영어》 첫 부분의 세 음이기도 하다.5. 3. 반자동 운전
몬트리올 지하철은 배차 간격 단축 및 기관사 오류 감소를 위해 1976년에 1, 2, 5호선에 2단계 자동 열차 운전 장치를 도입하였다.[215] 기관사는 출입문을 닫고 자동 운전 모드를 작동하기만 하면 된다. 운전대에 설치된 컴퓨터가 지정 속도까지 가속하고 제동하며, 승강장 위치에 정확하게 멈추고 출입문을 연다.[216] 기관사는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시속 40km 이하로 운행해야 한다.열차의 출발과 규정 속도는 관제탑에서 선로에 있는 대체 전기 신호로 전동차에 전송되며, 이 신호는 역간 선로 구간별로 다르다. 열차 운전대에는 차내 정보 시스템을 통해 규정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216] 열차를 올바른 위치에 정차하기 위해 선로 토대에 있는 유도 시설이 전동차의 실제 주행 및 제동 속도를 결정한다. 첫 번째 제동 신호는 상부의 전동차로 전송되어 제동 장치를 실행하고, 중간에 있는 두 번째 신호는 제어 역할을 하며, 마지막인 세 번째 신호는 정확한 지점에 멈추도록 한다. 전동차 속도가 시속 5km 미만이고 전동차가 완전히 역 승강장에 진입하면 승강장 쪽에 있는 신호가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9량 열차의 경우 첫 번째 제동 신호는 역 진입 152m (승강장 길이) 전에 떨어진다. 전동차가 신호를 받는 대로 주행 거리계가 남은 거리의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며 회생 제동에서 고무 제동 순으로 제동 장치를 실행한다. 자동 운전 장치는 역간 거리와 고무 차륜의 원지름을 토대로 제동 거리를 각 역마다 다시 측정하고 정차 위치를 오차범위 5cm 이내로 계산한다.
MR-73 열차와 이전의 MR-63 열차는 수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MPM-10 열차는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R-73 열차는 기관사가 문을 열고 닫고 주행/제동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며, MPM-10 열차는 기관사가 수동으로 문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 출발/Départ automatique프랑스어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된다. MPM-10은 기관사가 재량에 따라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신호는 레일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펄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선로 표지판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속도 명령과 역 정차 위치는 운전실 아래에 장착된 표지판 판독기를 통해 수집된다. 열차의 전자 모듈로 전송되는 정보는 속도 정보를 전달하며, 부과된 속도를 준수하는 것은 열차 자동 제어 시스템 컴퓨터의 책임이다. 열차 컴퓨터는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 지침을 받아 열차에 네 가지의 서로 다른 경제적인 관성 주행 모드와 최대 성능을 위한 한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수동 제어의 경우, 선로 속도는 최대 허용 속도를 나타내는 운전실 속도계에 표시된다.
열차는 특정 역 위치에 정확한 차륜계수기(±5cm)로 정차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역에 진입하기 전에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제동 프로그램과 역 정차 위치 명령(역의 1/3, 2/3 또는 끝)을 받으며, 정차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역 내에 추가적인 표지판이 있다. 마지막 표지판은 플랫폼 끝으로부터 정확히 12바퀴 회전 지점에 위치하며, 이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열차는 각 동력차 양쪽에 있는 두 세트의 750볼트 직류 가이드 바/제3 레일에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9량 열차는 최대 6,000암페어의 큰 전류를 끌어들인다. 따라서 모든 모델의 차량은 전력 서지, 아크 및 차단기 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 교정된 주행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두 모델 모두 주된 마찰 제동을 보조하는 전기 제동(모터 사용)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요성을 줄인다.
열차는 탈레스 그룹이 제공하는 이중 적용 광대역 무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9]
5. 4. 운행 중인 전동차
2019년 기준, 몬트리올 지하철에는 두 종류의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다.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서 생산한 MR-73은 파란색 좌석의 전동차로, 1976년에 도입되었다.[205] 1992년에 열차 내 전광판이 설치되었고,[205] 2005년과 2008년 사이에 전면 개조되었다.[220] 현재 녹색 선, 노란색 선, 파란색 선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총 423량이 운행 중이다.[161]봄바디어와 알스톰이 합작하여 제작한 MPM-10(아쥐르)은 2012년 공청회를 통해 '아쥐르'(Azur)로 이름이 정해졌으며,[217]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수주하였다.[177] 2016년 2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였으며,[222] 객차 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수송량을 늘렸다.[218] 현재 오렌지 선에서 주로 운행하며, 총 468량이 운행 중이다.[221]
몬트리올 지하철의 1세대 열차였던 MR-63은 파리 메트로의 MP 59 전동차와 같은 기종으로, 비커스가 제조하여 1965년부터 1967년 사이에 수주하였다. 2018년 6월 21일에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퇴역하였다.[219]
몬트리올 지하철 759형은 고무차륜식 제3궤조 방식이다. 각 차량은 2개의 대차 위에 있으며, 각 대차에는 4개의 고무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차륜은 4개의 직류 모터로 차동 기어를 통해 구동되며, 전기 회생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다. 차량의 외장은 파란색을 기조로 하고 있다.[127]
5. 5. 전동차 교체
2001년, 몬트리올 지하철의 전동차가 노후하여 몬트리올 교통공사 (STM)는 전동차 교체 작업에 착수하였다. 1세대 전동차인 MR-63을 신형 전동차로 교체할 예정이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2005년으로 미루어졌다.[226] 2006년 5월 11일, 퀘벡 주정부는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사가 STM의 전동차를 수주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로 선정하여 정치 및 법적 공방으로 이어져 2010년에 예정되었던 수주가 지연되었다.2008년 7월 31일, 퀘벡 상급법원은 주정부의 불공정한 입찰 과정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프랑스 기업인 알스톰의 손을 들어주면서 STM은 신형 전동차 342량을 공개 입찰하고 126량을 추가 발주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227][228][229] 2008년 가을, 봄바디어와 알스톰이 설립한 컨소시엄 업체가 최종 선정되었지만[212] 기존 비용인 12억 달러보다 높은 18억 달러를 요구하면서 STM과 8개월간 격렬한 협상을 진행하였다. 차량당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STM은 MR-73을 포함한 모든 전동차를 교체하기로 하여 전동차 수는 765량으로 늘어났고 거기에다가 288량을 더 발주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전동차 수가 늘어나면서 관련 법에 따라 STM은 전 세계 기업에 공개 입찰하였다.[230][231]
2010년 1월 재입찰 당시 전 세계 공개 입찰에 참여한 기업은 중국 기업인 주저우 전동차사와[229] 스페인 기업인 CAF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두 곳이었다. 2010년 7월 13일, STM은 철제 차륜을 제안한 주저우의 입찰을 거절하였고 CAF의 입찰을 허용하여 그 해 가을에 전동차 1053량 교체를 위한 신규 입찰에 들어갔다.[231]
퀘벡 주정부는 2012년으로 미루어진 전동차 수주를 두고 입찰 과정을 더 이상 지연하지 않기 위해 개입하지 않기로 하였다.[232] 이는 2010년 10월 5일, STM이 입찰 과정에 다시 들어가고 봄바디어-알스톰 컨소시엄이 퀘벡상급법원에 재입찰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하였다.[233] 장 샤레 퀘벡 주지사는 전동차 교체가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며 신형 전동차를 봄바르디에-알스톰 컨소시엄에 수주하고 경쟁 업체가 소송을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하였다. 퀘벡 정부는 컨소시엄과의 협상에서 전동차 발주 수를 줄였지만 차량당 100만 달러를 절감한 가격에 협상을 체결하였다.[234] 2016년 기준으로 전동차 468량 교체 비용은 14억 1천만 달러로 치솟았다.[177]
신형 전동차 이름은 2010년에 주문한 몬트리올의 고무 차륜 전동차 (Matériel pneumatique de Montréal acquis en 2010)라는 뜻의 MPM-10으로 정해졌다.[235] 첫 전동차는 2012년에 공개되었고[236] 2014년 4월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갔다.[237] 2015년 1월, 제조사의 소트프웨어 문제로 전동차 생산이 6개월간 중단되었다.[238] 이후 6개월간 또 다른 시범 운행을 거친 다음 2016년 2월 7일, 오렌지 선에 신형 전동차가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222]
캐나다 빅커스(Canadian Vickers)에서 제작한 MR-63 열차는 1966년 10월 지하철 개통 이후 2018년 6월까지 운행되었다. 원래 제작된 369량 중 2건의 사고로 33량이 파손되었다. 2018년 6월 21일, 마지막 MR-63 열차가 52년의 운행을 마치고 완전히 퇴역했다.[83]
5. 6. 차량 운행
샤르펜베르크 전동차 자동 연결 방식으로 전동차를 손쉽게 연결하거나 떼어낼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차량 수를 조절할 수 있다. 2006년까지 파란색 선은 평일 러시 아워에 6량, 나머지 시간대에 3량으로 운행하였다.[239] 노란색 선도 시범적으로 차량 수를 조절하였다. 자동 운전 장치는 전동차 길이에 따라 제동 장치 작동 시점을 조절한다. 2019년 기준, 녹색과 오렌지 선은 9량, 파란색과 노란색 선은 매일 상시 6량으로 운행한다.[177]열차 간격은 자동 열차 운전 장치에 제한 속도를 전송하여 조정된다. 역에서 열차가 지연되거나 조착하면 자동 운전 장치가 속도를 조절하고, 제동 직전 전동차 엔진의 프리휠 운행 시간을 조정한다.[193] 중앙 컴퓨터는 정시성에 영향을 주는 열차에 맞춰 배차 간격을 조절한다.[193] 전동차 위치는 궤도 회로로 파악하며, 이 정보는 지하철 관제소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안전 거리 유지를 위해 전동차는 다음 역으로 가는 선로에 차량이 있으면 움직일 수 없으며, 제한 속도는 시속 0-40km이다.[193]
승강장 끝 신호는 기관사에게 다음 역까지의 선로 상황을 알려준다. 녹색 불은 출발 가능 여부를, 삼각형 녹색 불은 비상 상황을 알린다.[216]
전동차는 종착역 뒤 검수 구역에서 주행 및 유도 차륜의 공기압, 마찰 발생 장치 작동 여부를 점검받는다.[240] 지하철역 센서는 공기압 부족, 펑크난 차륜을 감지하며, 비상 차륜이 대신 운행한다.[240]
지하철 운행 정보는 중앙 관제소에서 관리하며, 전동차 운행, 환기, 비상 상황, 무선 통신, 안내방송, 신호 관리 등을 총괄한다. 2012년 2월 알스톰의 이코니스(Iconis) 관제 시스템을[241] 갖춘 새 관제소가 문을 열었다.[179] 기존 관제소는 셰르브루크역 근처 베리가 2033번지에 위치해있다.[187]
MR-73 열차와 이전의 MR-63 열차는 수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MPM-10 열차는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R-73 열차는 운전사가 문을 열고 닫고 주행/제동 제어 시스템을 제어한다. MPM-10 열차는 운전사가 수동으로 문을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Départ automatique|자동 출발프랑스어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자동으로 운행된다. 운전사는 MPM-10 열차를 수동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신호는 레일을 통해 전송되는 코드화된 펄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열차 컴퓨터는 선로 표지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 지침을 받는다. 수동 제어의 경우, 선로 속도는 운전실 속도계에 표시된다. 열차는 경사와 하중에 따라 16초 이내에 최대 허용 속도 72.4km/h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열차는 특정 역 위치에 정확한 차륜계수기(±5센티미터)로 정차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마지막 표지판은 플랫폼 끝으로부터 정확히 12바퀴 회전 지점에 위치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열차는 두 세트의 750볼트 직류 가이드 바/제3 레일에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9량 열차는 최대 6,000암페어의 전류를 끌어들인다. 모든 모델의 차량은 전력 서지, 아크 및 차단기 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해 교정된 주행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두 모델 모두 전기 제동(모터 사용)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패드 교체 필요성을 줄인다.
열차는 탈레스 그룹이 제공하는 이중 적용 광대역 무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9]
고무 차륜은 철제 차륜에 비해 소음이 적고 진동을 억제하며, 최대 6.5%의 급경사도 등판 가능하다. 저속에서의 급가속, 급감속도 고무 차륜이 유리하다. 그러나 고무 차륜은 수명이 짧고 구름 저항이 커 에너지 손실이 많다.
5. 7. 전동차 보수
1세대 전동차인 MR-63은 상업 운행에 들어간 지 50년이 지난 2016년, 주행 거리가 400만 킬로미터에 달했지만[185] 꼼꼼한 보수 작업 덕분에 반세기 동안 같은 전동차로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243] MR-63을 제조한 비커스는 지금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교체 부품은 STM 정비 직원들이나 퀘벡의 하청 업체들이 직접 만들어서 쓴다. 예를 들면 전동차 앞유리는 퀘벡주 보스 지역의 업체에서 만들어졌다.[243] MR-73의 경우도 2003년에 200만 킬로미터가 넘는 주행 거리를 달렸고 같은 보수 작업으로 2036년까지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205]몬트리올 지하철 전동차는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보그랑드, 앙그리뇽, 생샤를, 몽모랑시 등 네 개 차량기지에 정박해 있다. 다섯 번째 차량기지인 코트베르튀 차량기지는 현재 공사 중에 있다.[244] 앙그리뇽 차량기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하에 있다. 차량기지를 모두 합쳐서 전체 차량의 46%인 39대를 정박할 수 있다. 나머지 54%는 종착역 후방의 주박 선로에 정박해 있거나 보수 작업을 위해 정비 시설에 있다.
- '''보그랑 차량기지'''(Garage Beaugrand)는 1호선 종착역인 오노레 보그랑역 동쪽인 셰니에 보그랑 공원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MR-63이 운행하던 당시 보수 작업을 여기서 수행하곤 했다.[246]
- '''앙그리뇽 차량기지'''(Garage Angrignon)는 1호선 종착역인 앙그리뇽역 서쪽의 앙그리뇽 공원 지하에 위치해있으며, 공원 지하로 500m가량 이어지는 주박선 두 개 뒤에 있다.[247]
- '''생샤를 차량기지'''(Garage Saint-Charles)는 2호선 앙리 부라사역 북쪽의 구앵 공원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8개의 긴 선로로 이루어져 있는 이 기지는 오렌지 선 열차 20대가 정박하는 곳이다.[248] 잔 소베 공원 지하에 1974년에 지하철 사고로 불에 탄 전동차를 기관사 훈련 시설로 개조해 운행하고 있고 청소차로 쓰였던 차량 2량을 지하철 내 비상 상황을 대비한 소방 훈련 시설로 개조해 쓰고 있다.[185]
- '''몽모랑시 차량기지'''(Garage Montmorency)는 2호선 몽모랑시역 남쪽의 환승 주차장 지하에 위치해 있다. 차량기지 내에 설치된 정비 시설에는 간단한 점검과 전동차 보수 작업이 이루어진다.
- '''코트베르튀 차량기지'''(Garage Côte-Vertu)는 화이자가 소유하던 공터 두 곳 밑에 위치해 있으며,[250] 2호선의 MPM-10 전동차 추가분을 정박하고 보수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251]
전동차 정비는 네 개의 정비 시설에서 이루어지는데 두 개는 몽모랑시와 보그랑 차량기지에 위치해 있고 나머지 두 개는 유빌 정비소에 위치해 있다. 다섯 번째 정비 시설은 코트베르튀 차량기지에 지어지고 있다.
- '''유빌 정비소'''(Plateau d'Youville): 크레마지와 생로랑 사이에 위치해 있는 유빌 정비소는 버스 차량은 물론 지하철 모든 차량의 중검수, MR-73 전동차를 정비·점검하고 선로 부품을 생산한다.[253]

지하철 종점과 노선간 연결 선로에 전동차와 선로 보수 차량이 정박해 있다.
- '''뒤베르네 부속 정비 시설'''(Centre d'attachement Duvernay)은 전동차와 선로 보수 차량을 위한 부속 차량 기지로, 리오넬 그루역 남쪽의 1호선과 2호선 연결 선로에 위치해 있다.
- '''비오 부속 정비 시설'''(Centre d'attachement Viau)에는 전동차와 선로 보수 차량이 정박해 있으며 비오역 서쪽에 위치해 있다.
- '''베리-UQAM 연결 선로'''(Raccordement Berri-UQAM)는 베리-UQAM역에서 1호선과 4호선을 연결하는 선로이다.
- '''스노든 연결 및 주박 선로'''(Raccordement & arrière-gare Snowdon)는 스노든역 남쪽과 서쪽에 위치한 2호선과 5호선을 연결하는 선로로, 보수 차량이 정박한다.
- '''코트베르튀 주박 선로'''(Arrière-gare Côte-Vertu)는 코트베르튀역과 동시에 지어졌으며 전동차 열 대가 정박할 수 있는 길이이다.[248]
6. 미래 계획
지하철 노선 연장안은 2007년에 오렌지 선이 라발로 연장된 이후 여러 차례 거론되었다. 지금은 파란색 선을 생미셸역에서 앙주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른 지하철 연장안은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몬트리올
1980년대 5호선 (푸른선)이 개통된 이후, 여러 정부에서 푸른선을 동쪽으로 앙주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해 왔다. 2013년, STM과 퀘벡 주 정부는 앙주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5] 2018년 4월 9일, 퀘벡 주지사 필립 쿠야르와 캐나다 총리 저스틴 트뤼도는 연장선 건설 자금 지원 및 완공을 약속했으며, 당시 2026년 개통을 계획했다.[36] 2022년 3월, 연방 정부가 연장선 건설에 13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고, 나머지 비용은 주 정부가 부담하기로 발표되었다.[37]
6km에 달하는 연장선에는 5개의 새로운 역, 2개의 버스 터미널, Pie-IX BRT와 연결되는 보행자 터널, 그리고 새로운 주차장이 포함될 예정이다.[38][39] 전체 프로젝트 비용은 약 58억~64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 완공 예정이다.[40][41] 2022년 8월에 초기 공사가 시작되었다.[42]
2008년 6월 12일, 몬트리올 시는 가까운 미래를 위한 종합 교통 계획을 발표했다. 2018년 4월 9일에는 블루 라인의 5개 신규 역 건설이 발표되었고, 2021년에 착공되었다.[110] 종합 교통 계획에서 다음 프로젝트가 우선 순위를 부여받았다.
- 블루 라인은 생미셸 역에서 생레오나르와 앙주 자치구까지 연장되어, 당초 설계대로 건설될 예정이다. 피에-IX, 비오, 라코르데르, 랑젤리에, 앙주 등 5개의 신규 역이 건설될 것이다.
- 오렌지 라인은 코트베르튀역에서 북서쪽으로 기존 부아프랑 기차역까지 연장되며, 르 푸아리에 거리에 중간역이 하나 생길 예정이다. 부아프랑 역은 수도권 급행철도(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과 연계되는 연계 교통 시설이 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베리-UQAM 역에서 맥길 역까지 옐로 라인을 연장하는 계획이 연구 중이며, 그린 라인의 해당 구간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111]
2006년과 2007년, 몬트리올의 웨스트 아일랜드 지역 신문에서는 당초 설계대로 스노든 역에서 몬트리올의 노트르담드그라스 지역으로 블루 라인을 연장하는 계획을 논의했다.[112]
; 지하철 연장
2008년에 발표한 몬트리올시의 교통계획안에는 파란색 선을 원안대로 생미셸역에서 갈르리 당주까지 동쪽으로 연장하고, 오렌지 선을 코트베르튀역에서 부아프랑역까지 두 정거장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256] 이 중에서 파란색 선은 연장 공사를 시작하였고, 오렌지 선 연장은 아직까지 별다른 예산이 배정되지 않았다.[257]
2024년 몬트리올시는 2050년을 앞두고 새로운 교통계획안을 통과할 예정으로, 여기에는 기존에 거론되었던 노선 뿐만 아니라 장 탈롱에 트램을 놓는 계획 등 다양한 계획이 거론되고 있다.[258]
; 신규 노선
2017년, 몬트리올의 시 정당인 프로제 몽레알은 몽레알노르에서 몬트리올 시내를 거쳐 라신까지 이어지는 핑크 선을 계획하였다. 이 노선 계획안에 따르면 몽레알노르에서 시내까지 지하로, 시내에서 라신까지 지상으로 운행하게 된다.[259] 이는 프로제 몽레알 대표 발레리 플랑트가 몽레알노르에서 시내로 이어지는 구간에 인기가 높았으며 2016년 12월에 몬트리올 시장으로 당선되었다.[260]
같은 해, 발레리 플랑트는 몬트리올 시장 선거 운동의 일환으로 핑크 선을 제안했다. 이 새로운 노선은 29개의 역으로 구성되며 주로 몬트리올 북동부 지역과 시내 지역, 그리고 NDG와 라신의 서쪽 끝을 연결할 예정이었다.[43] 이 프로젝트는 이후 퀘벡주의 10년짜리 인프라 계획에 추가되었으며, 2021년 6월 해당 노선의 서쪽 구간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다.[44]
2019년 6월 26일, 퀘벡 주정부는 몬트리올에 시내와 라신 간 핑크 선 공사 비용을 지원하였고 이 구간은 경전철로 지어질 수 있다.[261] 지방선거를 한 달 앞둔 2021년 10월 6일, 플랑트 시장은 동부 광역급행철도 계획이 발표되자 핑크 선 계획을 철회하였지만, 이후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동부 광역급행철도 계획도 철회되었다.[262]
; 스크린도어
2018년, STM은 파란색 선 연장을 대비해 오렌지 선 승객들의 안전한 승차를 위해 크레마지와 보나방튀르역 사이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263] 2019년 10월 15일, 교통공사는 오렌지 선의 모든 역에 높이 2.5m 규모의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중순까지 사업자를 선정하고 2021년 가을과 2022년 말 사이에 지하철역 한 곳에 시제품을 설치하고 2023년과 26년 사이에 나머지 30개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예정이었다.[264] 그러나 2022년, 몬트리올시는 스크린도어 설치에 대한 예산 부족을 이유로 설치를 2031년으로 연기하였다.[265]
; 경전철
2000년대 초반부터 몬트리올 서부 지역 주민들은 이 지역, 특히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에 지하철을 놓아달라는 요구를 줄곧 해왔다. 주 당국은 통근 열차를 전철화한 서부권 전철(Train de l'Ouest)을 선호하였고 무인 자동화 경전철인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REM)가 본격적으로 궤도에 올랐다. REM은 엑소의 전신이였던 AMT가 2007년에 에두아르 몽프티와 맥길역을 몽루아얄 지하로 지나는 터널을 통해 잇는 방안을 포함한 계획이기도 하다.[266]

REM은 퀘벡 연금보험 및 투자신탁공사(Caisse de dépôt et placement du Québec, CDPQ)가 주관하는 2027년까지 세인트로렌스강 남쪽에 있는 브로사르와 섬 서쪽의 생트안드벨뷔, 프레리강 북쪽에 있는 두몽타뉴는 물론 트뤼도 국제공항과 몬트리올 상트랄역을 잇는 경전철이다.[267][268] 경전철은 총 26개 역, 길이 67km의 노선으로 몬트리올 지하철에 맞먹는 길이이다. REM은 기존 대중교통과 이어질 예정이며, 매일 하루에 20시간씩 운행하고 전구간 개통 시 하루 평균 최소 15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비용은 63억 2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CDPQ가 30억 달러를, 나머지는 캐나다와 퀘벡주가 공사비를 지원한다.[269]
REM은 2023년 7월에 1단계 구간인 몬트리올 상트랄역과 브로사르 사이 구간이 개통하였고,[270] 8월에는 몽트뢰이 중앙역과 브로사르 역 구간의 몽트뢰이 급행 지하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33] 2단계 구간인 상트랄역에서 두몽타뉴 및 생트안드벨뷔의 앙스아로름역까지 2024년 말에 개통을 앞두고 있고, 3단계 구간인 공항 지선과 그리핀타운역은 2027년에 개통을 앞두고 있다.[270] 이 시스템은 몽트뢰이 지하철과는 독립적이지만, 지하철과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퀘벡 연금 기금인 퀘벡 예금 및 투자 기금의 자회사인 CDPQ 인프라가 건설한 이 노선은 결국 몽트뢰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몽트뢰이 중앙역(보나방튀르), 맥길, 에두아르 몽쁘띠 역에서 지하철과 환승될 예정이다.[34]
; 라발
질 바양쿠르 라발 시장은 2007년 여름에 오렌지 선 연장 구간이 성공을 거두면서 오렌지 선을 순환선으로 묶어서 라발과 몬트리올에 각각 세 개 역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271] 2012년,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프로젝트 사무실에 라발에 5개 역 (수브니르(Souvenir), 생마르탱(Saint-Martin), 르카르푸(Le Carrefour), 노트르담(Notre-Dame), 쇼메데(Chomedey)), 몬트리올에 3개 역 (푸아리에(Poirier), 부아프랑(Bois-Franc), 구앵(Gouin)) 을 추가하는 계획안을 제출하였다.[272]
2007년 7월 22일, 질 베이앙쿠르 라발 시장은 몽모렌시(Montmorency)역과 코트 베르튀(Côte-Vertu)역을 잇는 오렌지 선 순환 노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퀘벡 교통부(Transports Quebec)에 연간 1억 달러의 예산 배정을 제안했다.[115]
2011년 5월 26일, 베이앙쿠르 시장은 올리비에 샤르보뇌 다리(Olivier-Charbonneau Bridge)의 성공적인 개통 이후, 라발의 남은 지역 개발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계획은 5개의 새로운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방식을 채택했다.[116][117] 새로운 역 4개는 오렌지 선 서쪽 지선(Gouin, Lévesque, Notre-Dame, Carrefour)에, 나머지 1개는 동쪽 지선(De l'Agora)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서쪽 지선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역은 동서 지선을 연결하는 환승역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116][117]
현재 지하철 연장에 대한 별다른 예산 배정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 롱괴유
2001년, 롱괴유 교통 네트워크(Réseau de transport de Longueuil, RTL)는 노란선을 롱괴유 시내 역 너머 4개 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샹플랭 다리 통로에 경전철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우선순위가 바뀌었다. 2008년, 롱괴유 시장 클로드 글라듀는 이 제안을 다시 제기했다.[113]
2012년, AMT는 《비지옹 2020》 (Vision 2020) 계획안에서 노란색 선을 롱괴유 시내로 연장하여 6개 지하철역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273][274][114][111] 2019년 11월 24일, ARTM과 퀘벡주 교통부는 노란색 선 연장안과 타쉐로를 따라 경전철 노선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두 프로젝트 사무실을 하나로 통합하였다. 퀘벡 주정부는 두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를 위해 6천만 달러를 투입하였다.[275] 2020년 10월, 퀘벡주는 REM을 건설한 CDPQ 인프라에 대중교통 연장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를 요청하였고, 2022년 2월에 CDPQ 측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지하철이나 경전철 연장에 대한 별다른 소식은 없었고 2024년 1월에 CDPQ에서 이 사업에 손을 떼겠다고 밝히면서 이 사업은 잠정 중단되었다. 롱괴유 시장은 이에 대해 앞으로 퀘벡주에서 설립할 광역교통기관에서 이 사업을 계속 추진하기를 바랐다.[276]
2006년 연구에서는 샹플랭 다리 통로의 경전철 프로젝트의 대안으로 역에서 몽트리올 남쪽 해안의 브로사르 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가능성과 비용을 기각했다.
1980년대~1990년대 초에는 3호선, 6호선, 7호선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6. 1. 몬트리올
1980년대 5호선 (푸른선)이 개통된 이후, 여러 정부에서 푸른선을 동쪽으로 앙주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해 왔다. 2013년, STM과 퀘벡 주 정부는 앙주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5] 2018년 4월 9일, 퀘벡 주지사 필립 쿠야르와 캐나다 총리 저스틴 트뤼도는 연장선 건설 자금 지원 및 완공을 약속했으며, 당시 2026년 개통을 계획했다.[36] 2022년 3월, 연방 정부가 연장선 건설에 13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고, 나머지 비용은 주 정부가 부담하기로 발표되었다.[37]
6km에 달하는 연장선에는 5개의 새로운 역, 2개의 버스 터미널, Pie-IX BRT와 연결되는 보행자 터널, 그리고 새로운 주차장이 포함될 예정이다.[38][39] 전체 프로젝트 비용은 약 58억~64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 완공 예정이다.[40][41] 2022년 8월에 초기 공사가 시작되었다.[42]
2008년 6월 12일, 몬트리올 시는 가까운 미래를 위한 종합 교통 계획을 발표했다. 2018년 4월 9일에는 블루 라인의 5개 신규 역 건설이 발표되었고, 2021년에 착공되었다.[110] 종합 교통 계획에서 다음 프로젝트가 우선 순위를 부여받았다.
- 블루 라인은 생미셸 역에서 생레오나르와 앙주 자치구까지 연장되어, 당초 설계대로 건설될 예정이다. 피에-IX, 비오, 라코르데르, 랑젤리에, 앙주 등 5개의 신규 역이 건설될 것이다.
- 오렌지 라인은 코트베르튀역에서 북서쪽으로 기존 부아프랑 기차역까지 연장되며, 르 푸아리에 거리에 중간역이 하나 생길 예정이다. 부아프랑 역은 수도권 급행철도(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과 연계되는 연계 교통 시설이 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베리-UQAM 역에서 맥길 역까지 옐로 라인을 연장하는 계획이 연구 중이며, 그린 라인의 해당 구간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111]
2006년과 2007년, 몬트리올의 웨스트 아일랜드 지역 신문에서는 당초 설계대로 스노든 역에서 몬트리올의 노트르담드그라스 지역으로 블루 라인을 연장하는 계획을 논의했다.[112]
앞서 언급된 블루 라인의 앙주까지 연장 외에도, 핑크선 계획이 있다.
1980년대~1990년대 초에는 3호선, 6호선, 7호선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6. 1. 1. 지하철 연장
2008년에 발표한 몬트리올시의 교통계획안에는 파란색 선을 원안대로 생미셸역에서 갈르리 당주까지 동쪽으로 연장하고, 오렌지 선을 코트베르튀역에서 부아프랑역까지 두 정거장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256] 이 중에서 파란색 선은 연장 공사를 시작하였고, 오렌지 선 연장은 아직까지 별다른 예산이 배정되지 않았다.[257]
2024년 몬트리올시는 2050년을 앞두고 새로운 교통계획안을 통과할 예정으로, 여기에는 기존에 거론되었던 노선 뿐만 아니라 장 탈롱에 트램을 놓는 계획 등 다양한 계획이 거론되고 있다.[258]
앙주까지의 푸른선 연장
1980년대 5호선 (푸른선)이 개통된 이후, 여러 정부에서 푸른선을 동쪽으로 앙주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해 왔다. 2013년, STM과 퀘벡 주 정부는 앙주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5] 2018년 4월 9일, 퀘벡 주지사 필립 쿠야르와 캐나다 총리 저스틴 트뤼도는 연장선 건설 자금 지원 및 완공을 약속했으며, 당시 2026년 개통을 계획했다.[36] 2022년 3월, 연방 정부가 연장선 건설에 13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고, 나머지 비용은 주 정부가 부담하기로 발표되었다.[37]
6km에 달하는 연장선에는 5개의 새로운 역, 2개의 버스 터미널, Pie-IX BRT와 연결되는 보행자 터널, 그리고 새로운 주차장이 포함될 예정이다.[38][39] 전체 프로젝트 비용은 약 58억~64억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 완공 예정이다.[40][41] 2022년 8월에 초기 공사가 시작되었다.[42]
앞서 언급된 블루 라인(ligne bleue)의 앙주(Anjou)까지 연장 외에도, 핑크선 계획이 있다.
1980년대~1990년대 초에는 3호선(Red Line), 6호선, 7호선(White Line)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6. 1. 2. 신규 노선
2017년, 몬트리올의 시 정당인 프로제 몽레알은 몽레알노르에서 몬트리올 시내를 거쳐 라신까지 이어지는 핑크 선을 계획하였다. 이 노선 계획안에 따르면 몽레알노르에서 시내까지 지하로, 시내에서 라신까지 지상으로 운행하게 된다.[259] 이는 프로제 몽레알 대표 발레리 플랑트가 몽레알노르에서 시내로 이어지는 구간에 인기가 높았으며 2016년 12월에 몬트리올 시장으로 당선되었다.[260]같은 해, 발레리 플랑트는 몬트리올 시장 선거 운동의 일환으로 핑크 선을 제안했다. 이 새로운 노선은 29개의 역으로 구성되며 주로 몬트리올 북동부 지역과 시내 지역, 그리고 NDG와 라신의 서쪽 끝을 연결할 예정이었다.[43] 이 프로젝트는 이후 퀘벡주의 10년짜리 인프라 계획에 추가되었으며, 2021년 6월 해당 노선의 서쪽 구간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다.[44]
2019년 6월 26일, 퀘벡 주정부는 몬트리올에 시내와 라신 간 핑크 선 공사 비용을 지원하였고 이 구간은 경전철로 지어질 수 있다.[261] 지방선거를 한 달 앞둔 2021년 10월 6일, 플랑트 시장은 동부 광역급행철도 계획이 발표되자 핑크 선 계획을 철회하였지만, 이후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동부 광역급행철도 계획도 철회되었다.[262]
1980년대~1990년대 초에는 3호선, 6호선, 7호선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6. 1. 3. 스크린도어
2018년, STM은 파란색 선 연장을 대비해 오렌지 선 승객들의 안전한 승차를 위해 크레마지와 보나방튀르역 사이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263] 2019년 10월 15일, 교통공사는 오렌지 선의 모든 역에 높이 2.5m 규모의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중순까지 사업자를 선정하고 2021년 가을과 2022년 말 사이에 지하철역 한 곳에 시제품을 설치하고 2023년과 26년 사이에 나머지 30개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예정이었다.[264] 그러나 2022년, 몬트리올시는 스크린도어 설치에 대한 예산 부족을 이유로 설치를 2031년으로 연기하였다.[265]6. 2. 경전철
2000년대 초반부터 몬트리올 서부 지역 주민들은 이 지역, 특히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에 지하철을 놓아달라는 요구를 줄곧 해왔다. 주 당국은 통근 열차를 전철화한 서부권 전철(Train de l'Ouest)을 선호하였고 무인 자동화 경전철인 몬트리올 광역급행철도(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REM)가 본격적으로 궤도에 올랐다. REM은 엑소의 전신이였던 AMT가 2007년에 에두아르 몽프티와 맥길역을 몽루아얄 지하로 지나는 터널을 통해 잇는 방안을 포함한 계획이기도 하다.[266]REM은 퀘벡 연금보험 및 투자신탁공사(Caisse de dépôt et placement du Québec, CDPQ)가 주관하는 2027년까지 세인트로렌스강 남쪽에 있는 브로사르와 섬 서쪽의 생트안드벨뷔, 프레리강 북쪽에 있는 두몽타뉴는 물론 트뤼도 국제공항과 몬트리올 상트랄역을 잇는 경전철이다.[267][268] 경전철은 총 26개 역, 길이 67km의 노선으로 몬트리올 지하철에 맞먹는 길이이다. REM은 기존 대중교통과 이어질 예정이며, 매일 하루에 20시간씩 운행하고 전구간 개통 시 하루 평균 최소 15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사 비용은 63억 2천만 달러로 예상되며 CDPQ가 30억 달러를, 나머지는 캐나다와 퀘벡주가 공사비를 지원한다.[269]
REM은 2023년 7월에 1단계 구간인 몬트리올 상트랄역과 브로사르 사이 구간이 개통하였고,[270] 8월에는 몽트뢰이 중앙역과 브로사르 역 구간의 몽트뢰이 급행 지하철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33] 2단계 구간인 상트랄역에서 두몽타뉴 및 생트안드벨뷔의 앙스아로름역까지 2024년 말에 개통을 앞두고 있고, 3단계 구간인 공항 지선과 그리핀타운역은 2027년에 개통을 앞두고 있다.[270] 이 시스템은 몽트뢰이 지하철과는 독립적이지만, 지하철과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퀘벡 연금 기금인 퀘벡 예금 및 투자 기금의 자회사인 CDPQ 인프라가 건설한 이 노선은 결국 몽트뢰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몽트뢰이 중앙역(보나방튀르), 맥길, 에두아르 몽쁘띠 역에서 지하철과 환승될 예정이다.[34]
6. 3. 라발
질 바양쿠르 라발 시장은 2007년 여름에 오렌지 선 연장 구간이 성공을 거두면서 오렌지 선을 순환선으로 묶어서 라발과 몬트리올에 각각 세 개 역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271] 2012년, 몬트리올 교통공사는 프로젝트 사무실에 라발에 5개 역 (수브니르(Souvenir), 생마르탱(Saint-Martin), 르카르푸(Le Carrefour), 노트르담(Notre-Dame), 쇼메데(Chomedey)), 몬트리올에 3개 역 (푸아리에(Poirier), 부아프랑(Bois-Franc), 구앵(Gouin)) 을 추가하는 계획안을 제출하였다.[272]2007년 7월 22일, 질 베이앙쿠르 라발 시장은 몽모렌시(Montmorency)역과 코트 베르튀(Côte-Vertu)역을 잇는 오렌지 선 순환 노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퀘벡 교통부(Transports Quebec)에 연간 1억 달러의 예산 배정을 제안했다.[115]
2011년 5월 26일, 베이앙쿠르 시장은 올리비에 샤르보뇌 다리(Olivier-Charbonneau Bridge)의 성공적인 개통 이후, 라발의 남은 지역 개발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계획은 5개의 새로운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방식을 채택했다.[116][117] 새로운 역 4개는 오렌지 선 서쪽 지선(Gouin, Lévesque, Notre-Dame, Carrefour)에, 나머지 1개는 동쪽 지선(De l'Agora)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서쪽 지선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역은 동서 지선을 연결하는 환승역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116][117]
현재 지하철 연장에 대한 별다른 예산 배정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6. 4. 롱괴유
2001년, 롱괴유 교통 네트워크(Réseau de transport de Longueuil, RTL)는 노란선을 롱괴유 시내 역 너머 4개 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샹플랭 다리 통로에 경전철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것으로 우선순위가 바뀌었다. 2008년, 롱괴유 시장 클로드 글라듀는 이 제안을 다시 제기했다.[113]2012년, AMT는 《비지옹 2020》 (Vision 2020) 계획안에서 노란색 선을 롱괴유 시내로 연장하여 6개 지하철역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273][274][114][111] 2019년 11월 24일, ARTM과 퀘벡주 교통부는 노란색 선 연장안과 타쉐로를 따라 경전철 노선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두 프로젝트 사무실을 하나로 통합하였다. 퀘벡 주정부는 두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를 위해 6천만 달러를 투입하였다.[275] 2020년 10월, 퀘벡주는 REM을 건설한 CDPQ 인프라에 대중교통 연장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를 요청하였고, 2022년 2월에 CDPQ 측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지하철이나 경전철 연장에 대한 별다른 소식은 없었고 2024년 1월에 CDPQ에서 이 사업에 손을 떼겠다고 밝히면서 이 사업은 잠정 중단되었다. 롱괴유 시장은 이에 대해 앞으로 퀘벡주에서 설립할 광역교통기관에서 이 사업을 계속 추진하기를 바랐다.[276]
2006년 연구에서는 샹플랭 다리 통로의 경전철 프로젝트의 대안으로 역에서 몽트리올 남쪽 해안의 브로사르 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가능성과 비용을 기각했다.
7. 문화 속의 지하철
몬트리올 지하철은 몬트리올의 문화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예술 작품의 대상이나 장소로 손꼽히곤 한다.
=== 지하철 안내방송 ===
미셸 데로리에는 몬트리올 지하철의 안내방송을 맡고 있는 퀘벡 여배우이다.[277] 2003년부터 텔레시테 (Télécité) 시스템은 데로리에의 목소리로 다음 역 안내 방송과 지하철 운행 정보를 알려준다.[277] 그 이전에는 쥐디스 위메가 안내방송을 맡았다.[278]
=== 지하철 악사 ===
몬트리올 지하철에는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음악가들이 43개 지하철역 59곳에서 무료로 공연을 할 수 있다.[279] 이 공연 장소는 벽에 붙여있는 하프 모양의 스티커나 안내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2012년에 안내판 색상이 바뀌었다.[280] 공연은 기타, 베이스, 플루트, 아카펠라, 화가, 저글링 등 다양하다.
2003년 다큐멘터리인 《슬픈 열차를 위한 음악 (Music for a Blue Train)》은 몬트리올의 지하철 악사, 그 중 하모니카 연주자인 배드 뉴스 브라운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2000년 영화인 《냉장고 왼쪽 절반 (La Moitié gauche du frigo)》은 보비앙역에서 플라스틱 상자를 스틱으로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는 길거리 음악가인 마르탱의 모습을 담았다.
가루, 마누엘 가스, 에릭 몽그랭 등을 포함한 퀘벡 음악가들이 본격 데뷔하기 전에 지하철 공연을 거쳐갔고 일부 대중매체는 최고의 길거리 음악가를 뽑기 위한 경연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283]
1980년대 초반, 몬트리올의 지하철 악사들은 지하철 독립 음악가 연합 (Association des musiciens indépendents du métro, AMIM) 을 설립하였는데, 2009년 10월 19일부터, 몬트리올 지하철 음악가 그룹 (Regroupement des musiciens du métro de Montréal) 또는 뮤지메트로몽레알 (MusiMétroMontréal) 이 전신인 AMIM을 대체하였다.[284] STM의 지원을 받는 이 비영리 단체는 몬트리올 지하철 악사들을 대표하고 STM과 지하철 악사간의 교섭 창구로서 지하철 악사들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284]
=== 영화 ===
몬트리올 지하철은 아래 영화에 나타나기도 하였다.[285]
- 《존 윅: 리로드》 (2017): 뉴욕 지하철 장면이 플라스데자르역에서 촬영되었다.[286][287]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2014): 파리 메트로의 빅토르 위고역은 스콰르빅토리아-OACI역에서 촬영되었다.[288]
- 《퍼블릭 에너미 넘버원》 (2008): 셰르브루크와 보나방튀르역[289]
- 《캐치 미 이프 유 캔》 (2002): 리오넬 그루역[290]
- 마엘스트롬/Maelström프랑스어 (2000): 아카디역[160]
- 냉장고 왼쪽 절반/Le Début du commencement프랑스어 (2000): 보비앙역
- 이제 네 차례야, 로라 카디외/C'est ton tour, Laura Cadieux프랑스어 (1998): 보드리, 맥길, 플라스데자르, 장 드라포역[160]
- 《자칼》 (1997): 워싱턴 지하철 장면은 리오넬 그루역과 몬트리올 지하철 터널에서 촬영하였다.[160]
- 주아이외 칼베르/Joyeux Calvaire프랑스어 (1996): 라살역[160]
- 몬트리올 예수/Jésus de Montréal프랑스어 (1989): 플라스생앙리역[160]
=== 폐전동차 재활용 ===
2018년에 MR-63 전동차가 퇴역하면서 폐전동차 일부를 새로운 용도로 재활용하였다.[291] 가스페반도의 메티 정원에는 폐전동차가 실내 정원으로 탈바꿈하였다. 2019년에는 폐전동차 두 대가 몬트리올 쉬드웨스트 지역에 각각 카페와 술집으로 변신하였다.[292] 같은 해에 몬트리올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도 폐전동차가 휴식 공간인 폴리테크니크 알스톰역으로 변모하였다.[293]

=== 터널 광고 ===
몬트리올 지하철 개통 초기에는 일부 도심 터널에 광고주의 제품을 묘사한 만화가 창문 높이의 터널 벽에 설치되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녹색 선 앳워터 방면 선로 북쪽에 프레임을 그려놓고 전동차가 지나가면서 그려놓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스톱 모션으로 전동차 내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였다.[294] 이는 런던의 사우스게이트역과 보스턴의 레드 라인 등 전세계 지하철에서 쓰이고 있는 광고 기법이다.[295]
열차가 지나갈 때 작동되는 스트로브 조명이 만화 그림 프레임을 비추어 열차 승객에게는 마치 영화처럼 보였다.[118] 오늘날 "터널 영화" 또는 "터널 광고"로 알려진 이 방식은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여러 도시의 지하철에서 설치되었다.[119]
7. 1. 지하철 안내방송
미셸 데로리에는 몬트리올 지하철의 안내방송을 맡고 있는 퀘벡 여배우이다.[277] 2003년부터 텔레시테 (Télécité) 시스템은 데로리에의 목소리로 다음 역 안내 방송과 지하철 운행 정보를 알려준다.[277] 그 이전에는 쥐디스 위메가 안내방송을 맡았다.[278]7. 2. 지하철 악사
몬트리올 지하철에는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음악가들이 43개 지하철역 59곳에서 무료로 공연을 할 수 있다.[279] 이 공연 장소는 벽에 붙여있는 하프 모양의 스티커나 안내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2012년에 안내판 색상이 바뀌었다.[280] 공연은 기타, 베이스, 플루트, 아카펠라, 화가, 저글링 등 다양하다.2003년 다큐멘터리인 《슬픈 열차를 위한 음악 (Music for a Blue Train)》은 몬트리올의 지하철 악사, 그 중 하모니카 연주자인 배드 뉴스 브라운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2000년 영화인 《냉장고 왼쪽 절반 (La Moitié gauche du frigo)》은 보비앙역에서 플라스틱 상자를 스틱으로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는 길거리 음악가인 마르탱의 모습을 담았다.
가루, 마누엘 가스, 에릭 몽그랭 등을 포함한 퀘벡 음악가들이 본격 데뷔하기 전에 지하철 공연을 거쳐갔고 일부 대중매체는 최고의 길거리 음악가를 뽑기 위한 경연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283]
1980년대 초반, 몬트리올의 지하철 악사들은 지하철 독립 음악가 연합 (Association des musiciens indépendents du métro, AMIM) 을 설립하였는데, 2009년 10월 19일부터, 몬트리올 지하철 음악가 그룹 (Regroupement des musiciens du métro de Montréal) 또는 뮤지메트로몽레알 (MusiMétroMontréal) 이 전신인 AMIM을 대체하였다.[284] STM의 지원을 받는 이 비영리 단체는 몬트리올 지하철 악사들을 대표하고 STM과 지하철 악사간의 교섭 창구로서 지하철 악사들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284]
7. 3. 영화
몬트리올 지하철은 아래 영화에 나타나기도 하였다.[285]- 《존 윅: 리로드》 (2017): 뉴욕 지하철 장면이 플라스데자르역에서 촬영되었다.[286][287]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2014): 파리 메트로의 빅토르 위고역은 스콰르빅토리아-OACI역에서 촬영되었다.[288]
- 《퍼블릭 에너미 넘버원》 (2008): 셰르브루크와 보나방튀르역[289]
- 《캐치 미 이프 유 캔》 (2002): 리오넬 그루역[290]
- 《마엘스트롬/Maelström프랑스어》 (2000): 아카디역[160]
- 《냉장고 왼쪽 절반/Le Début du commencement프랑스어》 (2000): 보비앙역
- 《이제 네 차례야, 로라 카디외/C'est ton tour, Laura Cadieux프랑스어》 (1998): 보드리, 맥길, 플라스데자르, 장 드라포역[160]
- 《자칼》 (1997): 워싱턴 지하철 장면은 리오넬 그루역과 몬트리올 지하철 터널에서 촬영하였다.[160]
- 《주아이외 칼베르/Joyeux Calvaire프랑스어》 (1996): 라살역[160]
- 《몬트리올 예수/Jésus de Montréal프랑스어》 (1989): 플라스생앙리역[160]
7. 4. 폐전동차 재활용
2018년에 MR-63 전동차가 퇴역하면서 폐전동차 일부를 새로운 용도로 재활용하였다.[291] 가스페반도의 메티 정원에는 폐전동차가 실내 정원으로 탈바꿈하였다. 2019년에는 폐전동차 두 대가 몬트리올 쉬드웨스트 지역에 각각 카페와 술집으로 변신하였다.[292] 같은 해에 몬트리올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도 폐전동차가 휴식 공간인 폴리테크니크 알스톰역으로 변모하였다.[293]7. 5. 터널 광고
몬트리올 지하철 개통 초기에는 일부 도심 터널에 광고주의 제품을 묘사한 만화가 창문 높이의 터널 벽에 설치되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녹색 선 앳워터 방면 선로 북쪽에 프레임을 그려놓고 전동차가 지나가면서 그려놓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스톱 모션으로 전동차 내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였다.[294] 이는 런던의 사우스게이트역과 보스턴의 레드 라인 등 전세계 지하철에서 쓰이고 있는 광고 기법이다.[295]열차가 지나갈 때 작동되는 스트로브 조명이 만화 그림 프레임을 비추어 열차 승객에게는 마치 영화처럼 보였다.[118] 오늘날 "터널 영화" 또는 "터널 광고"로 알려진 이 방식은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여러 도시의 지하철에서 설치되었다.[119]
8. 사건·사고
1971년 12월 8일, 과속하던 MR-63 열차가 앙리 부라사역 근처에 정차 중이던 MR-63 열차와 충돌하여 17시간 동안 화재가 발생하였고, 앙리-부라사 차량기지에 정차 중이던 MR-63 차량 24량이 파괴되었다.[120] 이 사고로 기관사 제라르 마카로네(Gerard Maccarone)가 사망하였는데, 이후 조사 결과 제동 장치 고장으로 인해 제때 제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120] 이 사고는 1995년 토론토 지하철에서 발생한 러셀 힐 지하철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캐나다에서 발생한 지하철 사고 중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고였다.[120]
1971년 12월 8일, 앙리 부라사역 주박 선로에서 전동차 한 대가 다른 전동차를 들이받아 화재가 발생하여 주박 선로와 전동차 24량이 전소되었다.[185] 이 사고로 운전사는 질식으로 숨졌다.[216] 조사 결과 제동 장치 고장으로 인해 제때 제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216]
1974년 1월 9일, 9량 전동차가 로즈몽과 로리에역 사이에서 고무차륜 펑크로 멈춰선 뒤 화재로 전소되었다.[160] 승객들은 전원 대피하여 심각한 부상은 없었다.[160] 이 사고로 오렌지 선은 며칠간 운행을 중단하였다.[296]
몬트리올 지하철은 전세계에서 비교적 안전한 편에 속하지만[178] 여전히 범죄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2013년 기준 승차 100만 회당 32건의 범죄가 일어났으며,[297] 2008년과 2013년 사이에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역은 베리-UQAM역이었다.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노선은 녹색 선이었다.[298][299]
몬트리올 지하철의 사망 사고는 대부분 자살 시도에서 비롯되는데, 이는 지하철 운행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승객과 기관사들에게 트라우마를 안긴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STM의 모든 직원들은 자살 징조를 감시하기 위한 사전 교육을 받는다.[300]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지하철에서 115명이 숨졌으며,[160] 지하철에서 한 해 평균 20명 미만의 자살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 중 4분의 3은 살아남지만 중상을 입는다.[300][301]
8. 1. 지하철 사고
1971년 12월 8일, 앙리 부라사역 주박 선로에서 전동차 한 대가 다른 전동차를 들이받아 화재가 발생하여 주박 선로와 전동차 24량이 전소되었다.[185] 이 사고로 운전사는 질식으로 숨졌다.[216] 조사 결과 제동 장치 고장으로 인해 제때 제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는 1995년 토론토 지하철에서 발생한 러셀 힐 지하철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캐나다에서 발생한 지하철 사고 중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고였다.[120]1974년 1월 9일, 9량 전동차가 로즈몽과 로리에역 사이에서 고무차륜 펑크로 멈춰선 뒤 화재로 전소되었다.[160] 승객들은 전원 대피하여 심각한 부상은 없었다.[160] 이 사고로 오렌지 선은 며칠간 운행을 중단하였다.[296]
8. 2. 범죄
몬트리올 지하철은 전세계에서 비교적 안전한 편에 속하지만[178] 여전히 범죄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2013년 기준 승차 100만 회당 32건의 범죄가 일어났으며,[297] 2008년과 2013년 사이에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역은 베리-UQAM역이었다.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노선은 녹색 선이었다.[298][299]8. 3. 자살
몬트리올 지하철의 사망 사고는 대부분 자살 시도에서 비롯되는데, 이는 지하철 운행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승객과 기관사들에게 트라우마를 안긴다.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STM의 모든 직원들은 자살 징조를 감시하기 위한 사전 교육을 받는다.[300]1986년부터 1995년까지 지하철에서 115명이 숨졌으며,[160] 지하철에서 한 해 평균 20명 미만의 자살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 중 4분의 3은 살아남지만 중상을 입는다.[300][301]
참조
[1]
뉴스
Bombardier to lay off 145 workers in La Pocatière over Metro car production stall
http://www.cbc.ca/ne[...]
2015-01-23
[2]
웹사이트
Programme des immobilisations 2020-2029
http://www.stm.info/[...]
2019-10-29
[3]
웹사이트
Montreal Metro
http://www.urbanrail[...]
[4]
웹사이트
Montreal Metro
http://mic-ro.com/me[...]
[5]
웹사이트
APTA Q4 2022 Ridership Report
https://www.apta.com[...]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2023-03-01
[6]
웹사이트
Montréal and Québec Leaders Announce "Irreversible" Decision to Expand Métro – The Transport Politic
http://www.thetransp[...]
Thetransportpolitic.com
2009-09-18
[7]
문서
(Clairoux 2001, p. 11)
[8]
웹사이트
Le Metro de Montreal : les projets 1902–1953
http://www.genealogi[...]
[9]
뉴스
Company timeline
http://www.stm.info/[...]
[10]
뉴스
Montréal Metro
http://thecanadianen[...]
[11]
문서
(Clairoux 2001, p. 13)
[12]
뉴스
Métro history
http://www.stm.info/[...]
[13]
문서
(Clairoux 2001, p. 21)
[14]
뉴스
LES PROJETS DE LA SOFRETU
https://www.lemonde.[...]
1982-02-09
[15]
웹사이트
Top 11 Underground Transit Systems Throughout the World
http://www.virgin-va[...]
[16]
뉴스
The métro at 50: Building the network
https://montrealgaze[...]
2016-10-13
[17]
웹사이트
The métro at 50: A métro by Montrealers, for Montrealers
https://montrealgaze[...]
[18]
서적
Le métro de Montréal
Bureau de transport métropolitain
[19]
웹사이트
Le film Horizon 2000 dévoilé en 1967 !
http://archivesdemon[...]
Archives de Montréal
[20]
웹사이트
Le futur n'était-il pas magnifique?
http://emdx.org/rail[...]
[21]
웹사이트
Expansion du réseau
http://esteemfoundat[...]
[22]
웹사이트
Line 5 – Blue
http://www.metrodemo[...]
[23]
뉴스
Achalandage record pour le transport en commun
https://www.ledevoir[...]
[24]
웹사이트
Notes pour l'allocution du ministre des transports du Québec, Monsieur Jacques Brassard, lors de l'annonce des investissements pour le prolongement du métro a Laval.
http://www.bv.transp[...]
1998-10-08
[25]
웹사이트
Prolongement du metro vers Laval
http://agencequebecp[...]
[26]
뉴스
Métro à Laval : Un succès sur toute la ligne
http://www.radio-can[...]
[27]
뉴스
Priorisation des Projets d'investissements 2011–2020 de 11,5 G$
http://www.stm.info/[...]
[28]
뉴스
Guizot rectifier station
http://www.stm.info/[...]
[29]
뉴스
Saint-Timothée mechanical ventilation station
http://www.stm.info/[...]
[30]
뉴스
Saint-Dominique mechanical ventilation station
http://www.stm.info/[...]
[31]
웹사이트
Cellular coverage now extended throughout Montreal métro network
https://montrealgaze[...]
2020-12-03
[32]
웹사이트
McGill station becomes 26th accessible station in the métro network
https://www.stm.info[...]
2023-04-03
[33]
뉴스
Le REM ouvert au public le 31 juillet
https://www.lapresse[...]
2023-07-07
[34]
웹사이트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https://www.cdpqinfr[...]
2019-10-10
[35]
웹사이트
Green light for Montreal métro's Blue Line extension
https://montrealgaze[...]
[36]
웹사이트
Montreal métro: Green light for Blue Line extension
https://montrealgaze[...]
2018-04-09
[37]
웹사이트
New investments to extend the Montréal Metro's Blue line
https://pm.gc.ca/en/[...]
2019-07-04
[38]
웹사이트
Blue line extension
https://www.stm.info[...]
[39]
뉴스
Montreal Metro's Blue line extension finally a go, but province says it's behind schedule
https://www.cbc.ca/n[...]
2022-03-18
[40]
웹사이트
Montreal to get its metro blue line extension in the east end by 2029
https://montreal.cit[...]
2022-03-18
[41]
웹사이트
Blue line Metro extension stalled again due to complexity of project
https://montreal.ctv[...]
2023-09-26
[42]
웹사이트
Aujourd'hui, c'est le jour 1 des travaux du prolongement de la ligne bleue! 🤩🔵
https://www.facebook[...]
Projet Montréal
2022-08-29
[43]
뉴스
New Metro line with 29 stations would cost less than $6B, Projet Montréal says
http://www.cbc.ca/ne[...]
2017-10-10
[44]
웹사이트
Pink line a key campaign promise once again for Projet Montréal - Montreal
https://globalnews.c[...]
2021-09-16
[45]
웹사이트
Useful info > Networks > Métro [map]
http://www.stm.info/[...]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STM)
[46]
뉴스
1 trip
http://www.stm.info/[...]
[47]
뉴스
Opus cards and other fare media
http://www.stm.info/[...]
[48]
뉴스
La carte OPUS pourra être rechargée en ligne
http://www.lapresse.[...]
[49]
웹사이트
Recharge d’une carte OPUS avec un téléphone intelligent
https://www.artm.que[...]
[50]
뉴스
STM developing mobile payment system for Android phones
http://www.cbc.ca/ne[...]
[51]
뉴스
More Screens Added to the Subway System: Another Initiative to Better Inform the Clientele
http://www.stm.info/[...]
[52]
웹사이트
Autobus, métro : " On est entassés comme des bêtes "
http://ici.radio-can[...]
ICI.Radio-Canada.ca
[53]
서적
Rapport annuel STM 2014
http://www.myvirtual[...]
myvirtualpaper.com
[54]
뉴스
Palmarès des stations de métro les plus et les moins fréquentées
http://journalmetro.[...]
2012-07-08
[55]
웹사이트
Budget 2016
http://www.stm.info/[...]
2015-11-17
[56]
뉴스
STM's 2016–2018 Three-Year Capital Expenditures Program: $2.8B to improve the customer experience
https://www.stm.info[...]
[57]
웹사이트
Quelle station de métro connaît le plus de crimes et de délits ?
http://ici.radio-can[...]
2015-04-17
[58]
웹사이트
Visite du centre de surveillance de la STM
http://www.tvanouvel[...]
2012-10-17
[59]
뉴스
Sécurité dans le métro
http://www.stm.info/[...]
[60]
웹사이트
Ville de Montréal – L'eau de Montréal – Saviez-vous que...
http://ville.montrea[...]
[61]
웹사이트
L'effet piston
http://www.stm.info/[...]
[6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metrodemontreal.com
http://www.metrodemo[...]
[63]
뉴스
Métro de Montréal: une refonte majeure du réseau
[64]
인터뷰
Interview Pierre Bourgeau by SRC oct 2006
[65]
웹사이트
Métro elevator plans stall
https://montrealgaze[...]
Montrealgazette.com
2010-12-15
[66]
웹사이트
"Les ascenseurs des stations Lionel-Groulx et Berri-UQAM maintenant en service." ''Métro'' (Montreal). September 14, 2009. Retrieved September 20, 2009
http://www.journalme[...]
Journalmetro.com
2010-12-21
[67]
웹사이트
Elevator access to the métro
https://www.stm.info[...]
[68]
웹사이트
D'Iberville becomes métro network's 27th accessible station
https://www.stm.info[...]
2024-01-29
[69]
웹사이트
Work underway at Berri-UQAM station
http://www.stm.info/[...]
[70]
뉴스
Un deuxième édicule construit à la station Vendôme
http://journalmetro.[...]
2015-12-18
[71]
웹사이트
Access an issue as new Vendôme-MUHC tunnel opens
https://globalnews.c[...]
2023-01-11
[72]
웹사이트
Long-awaited Vendôme tunnel will finally open Monday
https://globalnews.c[...]
2022-12-12
[73]
웹사이트
Le nouvel édicule du pôle multimodal Vendôme ouvre ses portes le 31 mai
https://www.stm.info[...]
2023-01-11
[74]
웹사이트
Universal Accessibility
http://www.stm.info/[...]
2022-12-12
[75]
웹사이트
D'Iberville becomes métro network's 27th accessible station
https://www.stm.info[...]
2024-01-29
[76]
웹사이트
The STM plans to have 41 wheelchair accessible metro stations by 2025
https://cultmtl.com/[...]
2022-09-20
[77]
웹사이트
STM Metro accessibility plan will mean more elevators, ramps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8-04
[7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metrodemo[...]
metrodemontreal.com
2011-03-10
[79]
웹사이트
Métro et autobus: chaud débat sur la climatisation
http://ruefrontenac.[...]
Ruefrontenac.com
2011-03-10
[80]
웹사이트
Montreal's Car-Free Day Week: The Target Market, The Image, the Underground Heat
http://montreal.abou[...]
Montreal.about.com
2011-03-10
[81]
뉴스
La STM dévoile le nom des nouvelles voitures de métro
http://www.stm.info/[...]
2016-12-20
[82]
뉴스
New AZUR métro cars
http://www.stm.info/[...]
2016-12-20
[83]
뉴스
A Sustainable Reclamation Plan for MR-63 cars
http://www.stm.info/[...]
2016-12-20
[84]
뉴스
277 millions pour le métro
http://www.lapresse.[...]
2016-12-20
[85]
뉴스
STM commissions final AZUR train
https://www.stm.info[...]
2023-02-12
[86]
뉴스
After 52 years, Montreal Metro's MR-63 cars go on final ride
https://globalnews.c[...]
2018-06-21
[87]
뉴스
When should the MR-73 métro cars be replaced? The STM responds
http://www.stm.info/[...]
2016-12-20
[88]
뉴스
Une voiture de métro MR-73 retourne chez Alstom
https://www.stm.info[...]
2023-02-12
[89]
뉴스
Renovated metro cars. A major investment for increased comfort and passenger capacity
http://www.stm.info/[...]
2016-12-20
[90]
웹사이트
Programme des immobilisations: 2020-2029
https://www.stm.info[...]
[91]
웹사이트
New AZUR métro cars
http://www.stm.info/[...]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2017-11-02
[92]
뉴스
AZUR makes history as it welcomes its first clients
http://www.stm.info/[...]
2016-12-20
[93]
웹사이트
The métro at 50: Building the network
https://montrealgaze[...]
2019-12-15
[94]
Youtube
Wooden brake shoes
https://www.youtube.[...]
2019-12-15
[95]
웹사이트
Le « dou-dou-dou » du métro Le hacheur de courant
https://www.stcum.qc[...]
[96]
웹사이트
Dou dou dou...the Montréal métro's signature sound.mp4 - YouTube
https://www.youtube.[...]
[97]
웹사이트
Fanfare for the Common Commuter: Observatory: Design Observer
http://observatory.d[...]
[98]
웹사이트
'Attention': The voice of the STM emerges from behind the microphone
https://www.cbc.ca/n[...]
CBC/Radio-Canada
2023-04-19
[99]
보도자료
Thales Awarded Communications System Contract for Montreal Metro
https://www.thalesgr[...]
Thales
2015-06-10
[100]
웹사이트
Visite du garage Honoré-Beaugrand
http://emdx.org/rail[...]
Marc Dufour
2013-04-10
[101]
Youtube
Métro de Montréal – Arrière-gare & Garage Angrignon – ligne 1 verte
https://www.youtube.[...]
2016-12-29
[102]
Youtube
Métro de Montréal – Garage Montmorency – ligne 2 orange
https://www.youtube.[...]
2016-12-28
[103]
웹사이트
La STM acquiert des terrains
http://www.tvanouvel[...]
2016-12-28
[104]
뉴스
Construction of the Côte-Vertu garage
http://www.stm.info/[...]
2016-12-28
[105]
웹사이트
Youville track maintenance workshop
https://www.stm.info[...]
[106]
웹사이트
Youville Shops
http://www.metrodemo[...]
2016-12-28
[107]
웹사이트
Cartes détaillées - Plan du métro de Montréal
https://cartometro.c[...]
[108]
웹사이트
Snowdon Tail Track and Connecting Track
http://www.metrodemo[...]
2016-12-28
[109]
웹사이트
Le mausolée du tunnel fantôme (reprise)
https://web.archive.[...]
2016-12-28
[110]
웹사이트
Plan de transport 2008
http://servicesenlig[...]
2016-12-20
[111]
뉴스
Prolongement du métro de Montréal: la ligne jaune (Longueuil)
http://www.lapresse.[...]
2016-12-20
[112]
뉴스
Blue Line to get extended by five stops by 2026: Couillard
https://montreal.ctv[...]
[113]
뉴스
Le maire de Longueuil réitère l'importance de prolonger le métro vers Edouard-Montpetit
24 Heures
2008-12-11
[114]
서적
Plan Strategique Vision 2020
https://web.archive.[...]
Agence Metropolitaine de Transport
2016-12-20
[115]
웹사이트
Montréal a bien d'autres priorités
https://archive.toda[...]
Courrierlaval.com
2011-03-10
[116]
뉴스
Métro: Laval réclame cinq nouvelles stations
https://web.archive.[...]
2016-12-20
[117]
뉴스
Prolongement du métro: la ligne orange (Montréal et Laval)
http://www.lapresse.[...]
2016-12-20
[118]
뉴스
Rebuilding the McGill métro travertine walls (with a segue to subway tunnel animation)
https://montrealgaze[...]
2017-11-10
[119]
뉴스
Tunnel vision
http://archive.bosto[...]
Boston Globe
2004-08-25
[120]
비디오
Fire hits the Montreal metro
http://www.cbc.ca/ar[...]
1971-12-10
[121]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2]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3]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4]
웹사이트
An underground railway project since 1910
https://web.archive.[...]
STM
2007-06-11
[125]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6]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7]
서적
地下鉄のフシギ!?
山海堂
1999-06-10
[128]
웹인용
APTA Q4 2023 Ridership Report
https://www.apta.com[...]
미국 대중 교통 협회
2024-04-20
[129]
뉴스
Montréal and Québec Leaders Announce "Irreversible" Decision to Expand Métro
http://www.thetransp[...]
2014-01-04
[130]
웹인용
Pourquoi donc un métro à Montréal au début du siècle?)
http://archive.wikiw[...]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4-04-02
[131]
웹인용
Histoire du métro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18
[132]
웹인용
Le Métro de Montréal : les projets, 1902-1953
http://www.genealogi[...]
www.genealogieplanete.com
2019-02-18
[133]
웹인용
Chronologie de l'entrepris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18
[134]
웹인용
Métro de Montréal
http://www.encyclope[...]
L'Encyclopédie canadienne
2019-02-18
[135]
뉴스
The métro at 50: A métro by Montrealers, for Montrealers
https://montrealgaze[...]
2019-02-18
[136]
웹인용
Dossier D03 - Proposition de la Société d'expansion métropolitaine
https://archivesdemo[...]
몬트리올 시립 아카이브
1959
[137]
뉴스
Métro : vive opposition au projet
http://numerique.ban[...]
2019-02-18
[138]
뉴스
Le métro, ce mal-aimé des Montréalais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19-02-18
[139]
웹인용
« Vite monté… Vite rendu! » Le Métro de Montréal a 50 ans (1966-2016)
https://web.archive.[...]
몬트리올 시립 아카이브
2019-02-19
[140]
뉴스
50 ans du métro de Montréal : du chantier à la réalité
https://ici.radio-ca[...]
2019-02-19
[141]
영상인용
Les Grands Projets Québécois - Le Métro de Montréal
https://www.youtube.[...]
유튜브
2019-02-19
[142]
웹인용
Le film Horizon 2000 dévoilé en 1967!
https://web.archive.[...]
몬트리올 시립 아카이브
2019-02-19
[143]
웹인용
Le mausolée du tunnel fantôme (reprise)
http://www.metrodemo[...]
metrodemontreal.com
2019-02-20
[144]
웹인용
Expansion du réseau
http://esteemfoundat[...]
esteemfoundation.org
2019-02-20
[145]
웹인용
Ligne 5 - Bleue : Snowdon - Saint-Michel
http://www.metrodemo[...]
metrodemontreal.com
2019-02-20
[146]
뉴스인용
Les 25 ans du métro de Montréal
http://numerique.ban[...]
La Presse
2019-02-20
[147]
뉴스인용
Achalandage record pour le transport en commun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19-02-20
[148]
뉴스인용
Le RTM change de nom et devient exo
https://web.archive.[...]
Canoe
2019-02-20
[149]
뉴스인용
Gilles Vaillancourt, Mayor of Laval annonce the extension of Montreal subway to Laval
http://agencequebecp[...]
Agence Québec Presse
2019-02-20
[150]
보고서인용
Notes pour l'allocution du ministre des transports du Québec, Monsieur Jacques Brassard, lors de l'annonce des investissements pour le prolongement du métro à Laval
http://www.bv.transp[...]
2019-02-20
[151]
웹인용
Priorisation des Projets d'investissements 2011-2020 de 11,5 G$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52]
웹인용
Deux nouveaux postes de redressement pour le métro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53]
웹인용
Poste de ventilation mécanique Bishop : La construction commence demain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54]
보고서인용
Notes pour une allocution du ministre des transports du Québec Monsieur Jacques Brassard lors de l'annonce du prolongement de la ligne 5 du métro de Montréal vers l'est et de celle des études du métro de surface sur le territoire de la communauté urbaine de Montréal et de la Rive Sud.
http://www.bv.transp[...]
2019-02-20
[155]
뉴스인용
Prolongement de la ligne bleue du métro : deux fois plus cher que prévu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2-20
[156]
뉴스인용
Le prolongement de la ligne bleue prévu pour 2026
https://www.lapresse[...]
2019-02-20
[157]
뉴스인용
Prolongements du métro à Laval et de la ligne bleue: incomparables, dit la STM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2-20
[158]
뉴스인용
Le Bureau de projets du prolongement de la ligne bleue lance ses opérations
https://ici.radio-ca[...]
캐나다 방송 협회|ICI Radio-Canada
2019-02-20
[159]
웹인용
Ligne vert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60]
웹인용
Foire aux questions
http://www.metrodemo[...]
metrodemontreal.com
2019-02-20
[161]
서적인용
Le Métro de Montréal : Notre fierté
http://www.stm.info/[...]
2019-02-20
[162]
웹인용
L'effet piston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63]
웹인용
Des écrans dans l’ensemble du réseau du métro: pour une clientèle toujours mieux informé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64]
웹인용
Accès au métro par ascenseur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65]
웹사이트
Accessibilité universelle
https://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24-04-20
[166]
웹인용
The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wishes to remind its customers that fares will increase on July 1st.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67]
뉴스인용
STM: hausse des prix pour un budget sans déficit
https://www.ledevoir[...]
Le Devoir
[168]
웹인용
La STM présente sa nouvelle grille tarifaire pour 2014
http://www.stm.info/[...]
2019-02-20
[169]
뉴스인용
STM: le passage unique passe à 3,50$
https://www.tvanouve[...]
TVA Nouvelles
2019-10-29
[170]
웹인용
1 passag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71]
웹인용
Bref historique des titres de transport à Montréal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72]
웹인용
Carte OPUS et autres support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0
[173]
웹인용
STM developing mobile payment system for Android phones
http://www.cbc.ca/ne[...]
캐나다 방송 협회|CBC News
2019-02-20
[174]
뉴스인용
Le paiement mobile testé à la STM
https://journalmetro[...]
Journal Métro
2019-02-20
[175]
웹사이트
Comment utiliser la fonctionnalité – Recharge OPUS
https://www.artm.que[...]
2024-04-20
[176]
보고서
Budget 2017 : Un engagement ferme envers l'amélioration de l'expérience client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6-11-23
[177]
웹인용
Programme triennal d'immobilisations 2016-2018 de la STM : 2,8 G% pour l'amélioration de l'expérience client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5-10-21
[178]
뉴스
Quelle station de métro connaît le plus de crimes et de délits?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15-04-19
[179]
뉴스
Visite du centre de surveillance de la STM
https://www.tvanouve[...]
TVA Nouvelles
2012-10-17
[180]
웹인용
Sécurité dans le métro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181]
웹인용
Le Saviez-vous?
http://ville.montrea[...]
몬트리올시
[182]
웹인용
Transit Ridership Report, Fourth Quarter, 2017
http://www.apta.com/[...]
미국 대중 교통 협회
2018-03-13
[183]
뉴스
Autobus, métro : « On est entassés comme des bêtes »
http://ici.radio-can[...]
ICI Radio-Canada
2016-02-18
[184]
보고서
Entrants de toutes les stations de métro en 2019
2020-05-21
[185]
웹인용
Mise en valeur des MR-63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186]
웹인용
La construction du métro
http://www.emdx.org/[...]
EMDX
[187]
서적
Le métro de Montréal en photo et en prose
Les Éditions de l'Action nationale
1966
[188]
웹인용
Chronique Montréalité no 31 : La construction du métro
http://archivesdemon[...]
몬트리올 시립 아카이브
2015-03-16
[189]
뉴스
À $14 millions du mille, le métro demeure "économique"
http://collections.b[...]
La Presse
1961-10-21
[190]
서적
Expo-Express
https://dl.dropboxus[...]
Bibliothèque et Archives nationales du Québec
2015
[191]
웹인용
L'architecture des stations de métro
http://www.emdx.org/[...]
EMDX
[192]
웹인용
부산지하철 파업 최대쟁점 '반송선' "안전한가?"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2009-06-30
[193]
웹인용
Une approche d'optimisation énergétique des profils de tunnel pour métro
http://archive.wikiw[...]
École de technologie supérieure, Université du Québec
2005-07-21
[194]
웹인용
La gestion de l'eau au Québec
http://www.bape.gouv[...]
퀘벡 환경 공청회 사무처
1999-11-09
[195]
뉴스
La ville de Montréal versera $500,000 de plus à SOFRETU
http://collections.b[...]
1965-10-26
[196]
웹인용
Jean-Paul Mousseau – du Refus global à l’intégration des arts urbains au Québec
http://blogues.banq.[...]
Bibliothèque et Archives nationales du Québec
2017-04-25
[197]
웹인용
Art dans le métro : Bref historiqu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198]
웹인용
Liste des œuvre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199]
웹인용
Printemps - Philippe Allard - 2013 - Résultats
http://www.mumtl.org[...]
MU
[200]
웹인용
Le tunnel Champ-de-Mars embelli
https://journalmetro[...]
Journal Métro
2013-02-20
[201]
웹인용
Restauration et réinauration de l'entourage Guimard
http://www.metrodemo[...]
[202]
웹인용
Les échanges culturel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3]
웹인용
Principe du métro sur pneumatiques
http://www.emdx.org/[...]
EMDX
[204]
웹인용
Spécifications MR-63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5]
웹인용
À quel moment faut-il remplacer les voitures de métro MR-73 ?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6]
웹인용
Électrification du transport : Les nouveaux trains Azur de la STM
http://aieq.net/wp-c[...]
알스톰
2014-03-27
[207]
웹인용
La distribution électrique
http://www.logiquefl[...]
Logique Floue
[208]
웹인용
Poste de ventilation mécanique Saint-Timothé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9]
뉴스
Pas question de climatiser le métro, dit la STM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0-08-31
[210]
웹인용
Dou-dou-dou
http://www.mouvement[...]
mouvementcollectif.org
[211]
웹인용
Matériel roulant
http://www.metrodemo[...]
metrodemontreal.com
2019-02-23
[212]
뉴스
277 millions pour le métro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2-23
[213]
웹인용
Le hacheur de courant
http://www.logiquefl[...]
Logique floue
2019-02-23
[214]
뉴스
Le nouveau métro utilisera encore les sabots de frein en bois
https://journalmetro[...]
Journal Métro
2019-02-24
[215]
서적
Railway applications – Automated urban guided transport (AUGT) – Safety requirements
https://webstore.iec[...]
국제전기기술위원회
2019-02-24
[216]
웹인용
Le pilotage automatique
http://archive.wikiw[...]
Logique floue
2019-02-24
[217]
웹인용
La STM dévoile le nom des nouvelles voitures de métro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18]
웹인용
Nouvelles voitures de métro MPM-10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19]
웹인용
La STM rend un hommage spécial au dernier train MR-63 à l’occasion de sa dernière journée en service clientèl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20]
웹인용
Rénovation des voitures de métro : Un investissement important qui permettra une capacité et un confort accru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21]
웹인용
Métro Azur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22]
웹인용
AZUR marque l'histoire et accueille ses premiers client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23]
웹인용
Signature du contrat d'acquisition des voitures du métro de Montréal
http://www.mtq.gouv.[...]
퀘벡주
2019-02-24
[224]
웹인용
Deux rames de métro supplémentaires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25]
뉴스
Montréal autorise un emprunt de 580 M$ pour l'acquisition de trains Azur
https://www.tvanouve[...]
TVA Nouvelles
2019-02-24
[226]
웹인용
Alstom Canada inc. c.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http://publicsde.reg[...]
퀘벡상급법원
2019-02-24
[227]
뉴스
Le Québec va ouvrir un appel d'offres pour le métro de Montréal
http://today.reuters[...]
로이터
2019-02-24
[228]
뉴스
Métro de Montréal : Un appel d'offres sera lancé
http://www.radio-can[...]
캐나다 방송 협회|ICI Radio-Canada
2019-02-24
[229]
뉴스
Les Chinois veulent le contrat du métro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19-02-24
[230]
뉴스
Une commande qui pourrait gonfler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19-02-24
[231]
뉴스
Voitures de métro - La STM forcée de relancer l'appel d'offres
https://www.ledevoir[...]
Le Devoir
2019-02-24
[232]
뉴스
La STM reprend tout à zéro
https://ici.radio-ca[...]
ICI Radio-Canada
2019-02-24
[233]
뉴스
Des bâtons dans les roues du métro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9-02-24
[234]
뉴스
Métro de Montréal : fin de saga ou nouvel épisode ?
https://www.lemonde.[...]
르 몽드
2019-02-24
[235]
보고서
Plan stratégique 2020 : Document synthèse, projet pour consultation
http://archive.wikiw[...]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36]
웹인용
Dévoilement de la future voiture du métro de Montréal : avec Azur, l’horizon se dessin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37]
웹인용
AZUR arrive à Montréal : la STM reçoit le premier train prototype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38]
웹인용
Autre retard dans la livraison des voitures de métro : réactions de MM. Robert Poëti, Denis Coderre et Philippe Schnobb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39]
웹인용
STM 2006 Budget: A favourable context for public transportation
http://www.stm.inf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40]
웹인용
Le ralentissement du métro de Montréal
http://ptaff.ca/blog[...]
2019-02-24
[241]
웹인용
Alstom to supply a new train control center for one of the busiest transit areas in Canada
https://www.alstom.c[...]
2019-02-24
[242]
웹인용
Le point sur la commande centralisée du métro
http://www.stm.info/[...]
2019-02-24
[243]
웹인용
Le réseau du métro
http://www.stm.info/[...]
2019-02-24
[244]
뉴스
Nouveau garage de la STM: la facture gonfle de 45 millions
https://www.lapresse[...]
La Presse
2016-02-05
[245]
Youtube
Métro de Montréal - Garage Beaugrand - ligne 1 verte
https://www.youtube.[...]
유튜브
2019-02-24
[246]
웹인용
Visite du garage Honoré-Beaugrand
http://emdx.org/rail[...]
2019-02-24
[247]
웹인용
Métro de Montréal - Arrière-gare & Garage Angrignon - ligne 1 verte
https://www.youtube.[...]
유튜브
2019-02-24
[248]
웹인용
Construction du garage Côte-Vertu
http://www.stm.info/[...]
2019-02-24
[249]
웹인용
Métro de Montréal - Garage Montmorency - ligne 2 orange
https://www.youtube.[...]
유튜브
2019-02-24
[250]
뉴스
La STM acquiert des terrains
https://www.tvanouve[...]
2019-02-24
[251]
뉴스
Métro: un garage de 470 millions pour les nouveaux trains
https://www.lapresse[...]
2019-02-24
[252]
웹인용
CI01_Travaux d'excavation et de bétonnage du Garage Côte-Vertu
http://www.seao.ca/O[...]
몬트리올 교통공사
2019-02-24
[253]
웹인용
Ateliers Youville
http://www.metrodemo[...]
2019-02-24
[254]
웹인용
Le centre Duvernay
http://esteemfoundat[...]
2019-02-24
[255]
웹인용
Raccordement et arrière-gare Snowdon
http://www.metrodemo[...]
2019-02-24
[256]
웹인용
Plan de transport 2008
http://servicesenlig[...]
2019-02-25
[257]
웹인용
Prolongement ligne bleue
https://www.stm.info[...]
2024-04-20
[258]
웹인용
Créer ensemble le Plan d’urbanisme et de mobilité 2050
https://montreal.ca/[...]
2024-04-20
[259]
뉴스
Projet Montréal chiffre son projet de ligne rose à 5,9 milliards de dollars
https://ici.radio-ca[...]
2019-02-25
[260]
뉴스
Projet Montréal promet une ligne rose encore plus longue
https://quebec.huffi[...]
2019-02-25
[261]
뉴스
Un début de ligne rose pour Montréal
https://ici.radio-ca[...]
2020-06-27
[262]
뉴스
La ligne rose mise de côté pour le REM de l’Est
https://journalmetro[...]
2024-04-20
[263]
뉴스
Des portes «antisuicides» dans 13 stations de la ligne orange
https://www.lapresse[...]
2019-02-25
[264]
뉴스
La ligne orange pourrait être équipée de portes palières d’ici 2026
https://www.journald[...]
2020-06-27
[265]
뉴스
L’installation de portes palières dans le métro repoussée à 2031
https://ici.radio-ca[...]
2024-04-20
[266]
웹인용
Implantation de deux gares de train de banlieue dans le tunnel Mont-Royal à Montréal
https://web.archive.[...]
퀘벡교통협회 (AQTR)
2019-02-25
[267]
뉴스
La Caisse annonce un projet de SLR d'envergure pour Montréal
http://ici.radio-can[...]
2019-02-25
[268]
웹인용
Quand le REM sera-t-il complètement en service?
https://rem.info/fr/[...]
2024-04-20
[269]
뉴스
Un train électrique à 5,5 milliards pour Montréal
https://www.lapresse[...]
2019-02-25
[270]
웹인용
Calendrier 2024
https://rem.info/fr/[...]
2024-04-20
[271]
뉴스
Saint-Laurent et Laval en bout de ligne?
http://www.nouvelles[...]
2019-02-25
[272]
뉴스
Prolongement du métro: la ligne orange (Montréal et Laval)
https://www.lapresse[...]
2019-02-25
[273]
뉴스
Prolongement du métro de Montréal: la ligne jaune (Longueuil)
https://www.lapresse[...]
2019-02-25
[274]
웹인용
Vision 2020
https://web.archive.[...]
2019-02-25
[275]
웹인용
Ligne jaune et tramway sur Taschereau, le sort connu en 2022
https://journalmetro[...]
2020-06-27
[276]
뉴스
CDPQ Infra se retire du prolongement du REM sur le boulevard Taschereau
https://www.lapresse[...]
2024-04-20
[277]
뉴스
Elle est la voix du métro depuis 11 ans
https://www.journald[...]
2019-02-27
[278]
뉴스
[CurioCité] Qui est derrière la voix du métro de Montréal?
https://journalmetro[...]
2019-02-27
[279]
웹인용
Où jouer dans le métro
http://musimetromont[...]
2019-02-27
[280]
웹인용
musiciensmetro_lyreetoiles-230x230.jpg
http://www.stm.info/[...]
2019-02-27
[281]
웹인용
Les Étoiles du Métro
http://musimetromont[...]
2019-02-27
[282]
웹인용
Les musiciens dans le métro
http://www.stm.info/[...]
2019-02-27
[283]
웹인용
Quel est le profil type d'un musicien de rue?
http://www.radio-can[...]
2019-02-27
[284]
웹인용
Historique
http://musimetromont[...]
2019-02-27
[285]
웹인용
Le métro et les tournages
http://www.stm.info/[...]
2019-02-27
[286]
뉴스
John Wick: Chapter 2 is a pop-art action triumph
https://cultmtl.com/[...]
2017-02-09
[287]
웹인용
Where was John Wick Chapter 2 filmed?
https://cultmtl.com/[...]
2019-02-27
[288]
웹인용
X-Men: Days Of Future Past (2014)
http://www.movie-loc[...]
2019-02-27
[289]
웹인용
Mesrine Part 1: Killer Instict - Goofs
https://www.imdb.com[...]
2019-02-27
[290]
웹인용
Catch Me If You Can (2002): Filming & Production
https://www.imdb.com[...]
2019-02-27
[291]
뉴스
Des vieilles MR-63 commencent leur nouvelle carrière en dehors du métro… ou presque
https://journalmetro[...]
2020-06-27
[292]
뉴스
Le Complexe MR-63 commence à prendre forme
https://journalmetro[...]
2020-06-27
[293]
웹인용
Inauguration of Station Polytechnique-Alstom: welcome aboard!
https://sciencebusin[...]
2020-06-27
[294]
뉴스
Rebuilding the McGill métro travertine walls (with a segue to subway tunnel animation)
https://montrealgaze[...]
2012-03-28
[295]
뉴스
Tunnel vision
http://archive.bosto[...]
Boston Globe
2004-08-25
[296]
웹인용
Déclenchement d’un incendie dans le métro de Montréal
http://bilan.usherbr[...]
2019-02-27
[297]
뉴스
Nos stations de métro sont-elles sécuritaires ?
http://lesactualites[...]
2019-02-27
[298]
뉴스
Map: Crimes in the Montreal Métro
http://www.montrealg[...]
2019-02-27
[299]
뉴스
Criminalité dans le métro
http://www1.journald[...]
2019-02-27
[300]
뉴스
Suicide dans le métro: un phénomène tabou
https://www.ledevoir[...]
2019-02-27
[301]
뉴스
Prévention du suicide : l'installation de portes palières est envisagée dans le métro
https://ici.radio-ca[...]
2019-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