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무타이어 지하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무타이어 지하철은 일반적인 강철 바퀴와 레일 대신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지하철 시스템이다. 1846년 로버트 윌리엄 톰슨이 최초로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1950년대 파리 메트로에 처음 적용되었다. 고무 타이어 지하철은 가파른 경사, 짧은 제동 거리, 소음 감소, 부드러운 승차감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에너지 소비가 높고, 타이어 펑크의 위험이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현재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운영 중이며, 자동화된 무인 열차 시스템으로도 발전하고 있다.

2. 역사

(내용 없음)

2. 1. 고무 타이어 철도 차량의 초기 아이디어

고무타이어 철도 차량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는 공압식 타이어의 원조 발명가인 스코틀랜드 출신 로버트 윌리엄 톰슨의 작품이었다. 1846년의 특허[2]에서 그는 자신의 '에어리얼 휠'이 "그들이 달리는 땅 또는 레일 또는 트랙"에 똑같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3] 이 특허에는 평평한 판자 트랙 위를 달리는 공압식 메인 휠에 의해 무게가 지탱되고 중앙 수직 가이드 레일 측면을 달리는 작은 수평 강철 가이드 휠에 의해 안내되는 철도에 대한 그림도 포함되어 있었다.[3] 탈고의 발명가인 알레한드로 고이코체아는 1936년 2월 특허 ES 141056으로 이와 유사한 구성을 특허 냈으며, 1973년에는 이 특허의 개발품인 'Tren Vertebrado', 특허 DE1755198을 라스팔마스데그란카나리아의 아베니다 마리티마에 건설했다.

2. 2. 파리 메트로에서의 도입과 발전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던 파리메트로 시스템은 제대로 된 유지보수 없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전후 심각하게 노후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황폐해진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고, 1929년부터 Pneurail 실험을 진행해 온 미쉐린이 개발한 공기 주입식 고무 타이어와 안내 궤도를 사용하는 고무 타이어 지하철 기술이 처음으로 파리 메트로에 적용되었다. 1951년에는 시제 차량인 :fr:MP 51이 영업 구간이 아닌 포르트 드 릴라(Porte des Lilas)와 프레 생 제르베(Pré Saint-Gervais) 사이의 시험선에서 시운전을 시작했다.

1956년에는 파리 메트로 11호선의 샤틀레(Châtelet) - 메리 드 릴라(Mairie des Lilas) 구간에 처음으로 고무 타이어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 노선은 급경사 구간이 많다는 이유로 선정되었다. 이후 운행 빈도가 높고 혼잡한 노선인 파리 메트로 1호선의 샤토 드 뱅센(Château de Vincennes) - 퐁 드 뇌이(Pont de Neuilly) 구간에 1964년, 파리 메트로 4호선의 포르트 도를레앙(Porte d'Orléans) -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Porte de Clignancourt) 구간에 1967년에 각각 도입되었다. 1974년에는 파리 메트로 6호선의 샤를 드 골 에투알(Charles de Gaulle – Étoile) - 나시옹(Nation) 구간에 고가 구간에서의 소음 감소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고무 타이어 방식으로 개조하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이후 기존의 강철 바퀴 및 궤도 방식 노선을 고무 타이어 방식으로 추가 개조하는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는 파리 메트로 14호선과 같은 신규 노선 건설 시에만 고무 타이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2. 3. 세계 각국으로의 확산

파리 메트로에서 시작된 고무 타이어 방식은 다른 나라로 확산되었다.

최초로 완전한 형태의 파리 메트로 방식 고무 타이어식 지하철이 도입된 것은 캐나다 몬트리올몬트리올 지하철1966년 10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 선이 1971년 12월 16일기타24조역마코마나이역 사이 구간에서 개통되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는 "삿포로 방식"이라고도 불리며, 파리 메트로 방식과는 달리 철륜과 철궤도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고무 타이어 방식 지하철을 도입한 도시 중에는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도입한 곳도 있다. 프랑스의 마트라가 개발한 VAL 시스템을 사용하여 1983년 릴에서 릴 메트로가 개통되었다. 이후 툴루즈 메트로렌 메트로 등에도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한 메트로가 개통되었다.

3. 기술

고무타이어 지하철은 전동차 방식으로 구동되며, 전력 공급 방식은 노선에 따라 제3궤조 또는 가공 전차선을 사용한다[8]. 주행로는 주로 콘크리트강철로 만들어지며, 차량 유도를 위한 안내 레일이 설치된다. 일부 시스템에서는 타이어 펑크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일반적인 철도 궤도와 철제 차륜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3. 1. 개요

VAL 차량이 운행하는 릴 메트로 선로


삿포로 지하철의 가이드 레일과 평평한 강철 주행로


고무타이어 지하철의 열차는 일반적으로 전동차 형태를 갖춘다. 운행을 위해 타이어가 구르는 주행로와 차량을 유도하는 안내 레일이 설치된다. 대부분 시스템은 각 타이어 폭에 맞춰 두 개의 평행한 주행로를 사용하며, 주행로의 재질은 노선에 따라 다양하다. 몬트리올 지하철, 릴 메트로, 툴루즈 메트로, 그리고 산티아고 메트로의 대부분 구간은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부산 도시철도 4호선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한다. 파리 메트로, 멕시코 시티 메트로, 그리고 산티아고 메트로의 지상 구간은 열간 압연 강철을,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평평한 강철을 주행로로 사용한다. 반면, 삿포로 시영 지하철릴 메트로는 중앙에 안내 레일 하나만 사용하는 독특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4]

파리, 몬트리올, 멕시코 시티와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주행로 사이에 일반적인 철도 선로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의 대차에는 일반적인 것보다 더 긴 플랜지가 있는 철제 바퀴가 포함되어 있는데, 평상시에는 레일 바로 위에 떠 있지만 타이어 펑크 시나 분기기 및 교차로 통과 시 안전 확보 및 안내 역할을 한다. 파리에서는 이 레일을 사용하여 고무 타이어 열차와 강철 바퀴 열차가 동일한 선로를 사용하는 혼합 교통 운행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툴루즈에서 사용되는 VAL 시스템은 다른 종류의 타이어 보상 및 전환 방식을 갖추고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전력 공급은 가이드 바 중 하나를 세 번째 레일 방식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전류는 별도의 측면 집전 슈를 통해 공급받으며, 귀환 전류는 일반적인 철도 선로 중 하나 또는 둘 다, 혹은 다른 가이드 바에 있는 귀환 슈를 통해 흐른다. 하지만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호선과 같이 가공 전차선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안내 레일을 통해 귀환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8]

고무 타이어는 전통적인 강철 바퀴보다 높은 구름 저항을 갖지만, 접지력이 우수하여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이 덕분에 더 빠른 가속도가 가능하고, 일반적인 철도 궤도로는 오르기 힘든 가파른 경사(약 13%까지)를 오르내릴 수 있다. 또한, 제동 거리가 짧아 열차 간 간격을 좁힐 수 있으며, 운행 소음이 적고 레일 마모가 적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 예를 들어, 로잔 지하철의 2호선은 최대 12%의 구배를 가지고 있다.[5]

3. 2. 장점

고무 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강철 차륜 철도 시스템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가속도가 좋다.[8]
  • 제동 거리가 짧아 열차 운행 간격을 좁힐 수 있다.
  • 경사 등판 능력이 뛰어나 최대 13%(130‰)의 가파른 경사도 오를 수 있다.[8] 일반적인 강철 차륜 철도는 이 정도 경사를 오르기 위해 랙 철도와 같은 특수 설비가 필요할 수 있다.
  • 소음이 적다.
  • 승차감이 부드럽다.

3. 3. 단점

고무타이어 지하철은 강철 차륜 시스템에 비해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 에너지 효율: 고무 타이어는 구름 저항이 커서 철제 바퀴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효율이 낮다.[9]
  • 승차감: 유지보수가 잘 된 강철 차륜 시스템에 비해 승차감이 떨어질 수 있다.[6]
  • 안전성: 타이어 펑크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는 강철 바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문제이다.
  • 비용: 초기 제조 비용뿐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이 더 많이 든다. 특히 타이어는 마모율이 높아 강철 바퀴보다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11] 장기적인 비용 부담이 크다. (안내용 고무 타이어도 필요하다.) 타이어 교체 및 점검 등 시스템 유지 관리 비용이 전반적으로 높다.[11]
  • 발열: 운행 중 마찰로 인해 강철 차륜보다 더 많은 열이 발생한다. 열차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회생 제동으로 회수되는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열로 손실되는데, 특히 터널 구간에서는 열 발산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추가적인 환기 시설이 필요하며, 일부 시스템에서는 열 문제로 에어컨 설치가 어렵기도 하다.
  • 환경 문제: 타이어가 마모되면서 미세한 고무 입자(먼지)가 발생하여 대기 오염을 유발하고 주변을 더럽힐 수 있다.[7]
  • 날씨 영향: 지상 구간은 날씨 변화, 특히 이나 얼음과 같은 악천후 시 견인력(traction)을 잃기 쉽다.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몬트리올 지하철은 전 구간 지하로 건설되었고, 파리 메트로 6호선은 타이어 개선과 특수 트랙을 시도했으며,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의 지상 구간은 알루미늄 덮개로 보호된다.) 다만,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경우 지상 구간 전체를 쉘터로 덮어 날씨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8]
  • 구조적 복잡성: 전력 공급, 접지, 안전 시스템 및 분기기 작동을 위해 여전히 강철 레일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고무 타이어 주행로와 강철 레일 두 시스템이 병렬로 존재하게 되어 건설, 설치, 유지보수 비용이 더 증가한다.)
  • 기술적 한계: 바퀴 하나당 견딜 수 있는 무게(축중) 제한이 강철 바퀴보다 작다.[9]
  • 표준 부재 및 호환성: 표준궤와 같은 세계적인 표준 규격이 없어 중고 차량 도입이나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이 어렵다.[10] 일반 철도 노선(교외 철도나 다른 방식의 지하철 등)과의 상호 운행도 불가능하고 도로 주행도 할 수 없어 도시 교통 계획에서 고립될 수 있다.[10]

4. 유사 기술

자동 안내 수송 시스템은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데 국한되지 않는다. 런던의 도클랜즈 경전철, 코펜하겐 지하철, 밴쿠버의 스카이트레인,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라인과 같이 기존 철도 기술을 사용하여 건설된 시스템이 많이 있으며, 무인 운전이 아닌 열차를 개조한 차량을 사용하기도 한다. 뉴욕의 JFK 공항과 지역 지하철 및 통근 열차를 연결하는 에어트레인 JFK도 이러한 시스템의 예이다. 대부분의 모노레일 제조업체는 고무 타이어를 선호한다.

5. 시스템 목록

고무 타이어 방식은 전 세계 다양한 도시철도 시스템과 공항 내부 이동 수단으로 활용된다. 캐나다몬트리올 지하철, 칠레의 산티아고 지하철, 프랑스 파리 메트로 일부 노선, 일본삿포로 시영 지하철, 멕시코 멕시코 시티 지하철 등이 대표적인 도시철도 적용 사례이다.

또한, 프랑크푸르트 공항, 홍콩 국제공항,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 두바이 국제공항, 런던 히드로 공항, 파리 샤를 드 골 공항,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 등 여러 공항에서는 터미널 간 이동 편의를 위해 고무 타이어 방식의 자동 여객 수송 시스템(APM)을 운영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의정부 경전철, 신림선이 고무 타이어 경전철 시스템으로 운행 중이며, 이 노선들에는 우진이 개발한 K-AGT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주요 고무 타이어 시스템 기술로는 프랑스의 VAL, 봄바디어 (현 알스톰)의 이노비아 APM, 미쓰비시 중공업의 크리스탈 무버 등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 또는 과거에 운영되었던 고무 타이어 시스템의 상세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운영 중

알스톰/봄바디어 MPM-10 (주황색, 녹색)1966칠레산티아고산티아고 지하철 (노선 1호선, 2호선, 5호선)알스톰 NS-74 (5호선)
콩카릴 NS-88 (2호선)
알스톰 NS-93 (1호선, 5호선)
알스톰 NS-04 (2호선)
CAF NS-07 (1호선)
CAF NS-12 (1호선)
알스톰 NS-16 (2호선, 5호선)1975중국충칭비스산 스카이셔틀BYD Skyshuttle2021광저우주강 신도시 자동 여객 수송 시스템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2010상하이상하이 지하철 (푸장 선)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3002018프랑스릴 지하철Matra VAL206
지멘스 VAL2081983리옹리옹 지하철 (노선 A, B, D)알스톰 MPL 75 (A, B)
알스톰 MPL 85 (D)1978마르세유마르세유 지하철알스톰 MPM 761977파리파리 메트로 (노선 1호선, 4호선, 6호선, 11호선, 14호선)미쉐린 / 알스톰, 롤웨이 사이1958파리 (오를리 공항)오를리발Matra VAL2061991파리 (샤를 드 골 공항)CDGVAL지멘스 VAL2082007렌 지하철지멘스 VAL208 (A)
지멘스 시티발 (B)2002툴루즈툴루즈 지하철Matra VAL206
지멘스 VAL2081993독일프랑크푸르트 공항스카이라인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Adtranz CX-100)1994뮌헨 공항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3002015인도네시아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수카르노 하타 공항 스카이트레인우진2017홍콩홍콩 (첵랍콕 공항)자동 여객 수송 시스템미쓰비시 크리스탈 무버
이시카와지마-하리마 중공업1998
2007 (2단계)이탈리아토리노메트로리노지멘스 VAL2082006일본히로시마히로시마 고속 교통 (아스트람 라인)가와사키
미쓰비시
니가타 트랜시스1994고베고베 신교통 (포트 아일랜드 선 / 롯코 아일랜드 선)가와사키1981 (포트 아일랜드 선)
1990 (롯코 아일랜드 선)오사카난코 포트 타운 선니가타 트랜시스1981사이타마시뉴 셔틀1983삿포로삿포로 시영 지하철가와사키1971도쿄유리카모메미쓰비시
니가타 트랜시스
일본 차량
도큐 차량 제조1995닛포리·도네리 라이너니가타 트랜시스2008도코로자와, 히가시무라야마세이부 야마구치 선니가타 트랜시스1985사쿠라야마만 유카리가오카 선일본 차량1982요코하마가나자와 시사이드 라인미쓰비시
니가타 트랜시스
일본 차량
도큐 차량 제조1989대한민국부산부산 도시철도 4호선K-AGT (우진)2011의정부시U라인지멘스 VAL2082012서울신림선K-AGT (우진)2022마카오타이파마카오 경전철미쓰비시 크리스탈 무버2019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어로트레인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Adtranz CX-100)1998멕시코멕시코 시티멕시코 시티 지하철 (A선, 12호선 제외한 모든 노선)미쉐린, 롤웨이 사이1969싱가포르싱가포르경전철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C801 [Adtranz CX-100] 및 C801A) 및 향후 APM 300R (C801B)
미쓰비시 크리스탈 무버 (C810 및 C810A)1999스위스로잔로잔 지하철 M2선알스톰 MP 892008대만타이베이타이베이 첩운 브라운 라인Matra/GEC Alsthom VAL 256
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2561996타오위안 공항타오위안 국제공항 스카이트레인니가타 트랜시스2018태국방콕골드 라인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3002020아랍에미리트두바이 국제공항두바이 국제공항 자동 여객 수송 시스템미쓰비시 크리스탈 무버 (3 터미널)
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300 (1 터미널)2013영국개트윅 공항터미널-철도 셔틀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C-100 교체)1988스탠스테드, 에세스 (스탠스테드 공항)스탠스테드 공항 운송 시스템웨스팅하우스/Adtranz C-100
Adtranz/봄바디어 CX-1001991히드로 공항히드로 터미널 5 운송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2002008미국시카고, 일리노이 (오헤어)공항 운송 시스템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256 (2019년 VAL256 교체)1993–2018 (VAL), 2021 (이노비아)댈러스/포트워스, 텍사스 (DFW 공항)DFW 스카이링크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2002007덴버, 콜로라도 (DEN 공항)자동 안내 궤도 수송 시스템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1995휴스턴, 텍사스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탈 공항)스카이웨이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Adtranz CX-100)1999마이애미, 플로리다메트로모버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 (2014년 말 C-100 교체)1986피닉스, 애리조나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PHX 스카이 트레인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2002013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SFO 공항)에어트레인 (SFO)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2003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더 플레인 트레인웨스팅하우스 C-100/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1001980워싱턴 D.C. (덜레스 국제공항)에어로트레인미쓰비시 중공업 크리스탈 무버2010


5. 2. 건설 중

wikitext

국가/지역도시/지역시스템
대한민국부산부산 도시철도 5호선
미국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LAX 공항)LAX 자동 여객 이동 장치


5. 3. 폐지

wikitext

국가/지역도시/지역시스템기술개통 연도폐지 연도
프랑스라옹포마 2000케이블 구동19892016
일본고마키피치라이너일본차량19912006


참조

[1] 웹사이트 Rubber-Tyred Metro http://www.railsyste[...] 2021-11-17
[2] 특허 1846-06-10
[3] 서적 The History of the Pneumatic Tyre Dunlop Archive Project
[4] 웹사이트 Sapporo Subway http://www.urbanrail[...] 2008-04-15
[5] 웹사이트 Sticking with rubber http://www.canada.co[...] 2011-12-21
[6] 서적 SAE Technical Paper Series 1974-02-01
[7] 간행물 Airborne Particulate Debris from Rubber Tires 1974-11-01
[8] 웹사이트 日本にただ一つ、珍しい鉄道システムの数々 https://www.tetsudo.[...] 朝日インタラクティブ 2022-10-03
[9] 서적 "「超」図説講義 鉄道のひみつ" https://books.google[...] 学研プラス 2010-03-16
[10] 뉴스 札幌市営地下鉄東西線과 JR函館本線과의 직통 운전 검토 (홋카이도 신문 2001년 12월 16일 조간) 北海道新聞 2001-12-16
[11] 웹사이트 追加資料3 https://www.city.sap[...] 札幌市 2022-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