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립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고립주의는 미국이 국제 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외교 정책이다. 1723년 로버트 월폴의 영국 정치에서 시작되어, 미국 독립 혁명, 조지 워싱턴의 고별 연설을 거치며 미국 외교의 중요한 원칙으로 자리 잡았다. 19세기 먼로 독트린을 통해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배제했지만,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제국주의로 전환하기도 했다. 20세기 초, 1차 세계 대전 중립을 지키다 참전하여 국제주의 외교를 펼쳤으나, 전간기에는 베르사유 조약 거부, 대공황으로 인한 국내 문제 집중 등으로 비개입주의가 다시 강화되었다. 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중립을 유지하다 진주만 공격으로 참전하면서 비개입주의는 종말을 맞았다. 냉전 시대에는 로버트 태프트가 비판했고, 21세기에는 시리아 내전 개입 논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논쟁 등으로 비개입주의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외교 정책 - 마셜 플랜
마셜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제안으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재건을 지원하여 경제 회복과 공산주의 확산 방지, 유럽 통합에 기여한 대규모 경제 지원 계획이다. - 미국의 외교 정책 - 핑퐁 외교
핑퐁 외교는 1971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냉전 시대 미국과 중국의 관계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외교 활동으로, 스포츠를 통해 정치적 장벽을 허물고 양국 관계 정상화의 계기를 마련했다. - 역사 논란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 역사 논란 - 대동아 전쟁
대동아 전쟁은 일본 제국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면서 사용한 명칭으로, 중일 전쟁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전쟁을 의미하며,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려는 의도가 담겨있고, 현재 일본 정부는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역사적 의미와 적절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불간섭주의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불간섭주의 - 찰스 린드버그
찰스 린드버그는 1927년 단독 무착륙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아들 유괴 사건, 나치 독일과의 관계,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과 과학 연구, 저술 활동 등 복잡한 삶을 살았던 미국의 비행사이자 저술가이다.
미국 고립주의 | |
---|---|
개요 | |
유형 | 외교 정책 |
설명 | 다른 국가의 문제에 개입하지 않거나 관여를 최소화하려는 외교 정책 |
역사적 맥락 | |
주요 지지 세력 | 조지 워싱턴 토머스 제퍼슨 존 퀸시 아담스 허버트 후버 로버트 태프트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주요 반대 세력 | 시어도어 루스벨트 우드로 윌슨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고립주의 보호 무역주의 국수주의 중립주의 평화주의 반제국주의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먼로 독트린 중립법 (1930년대)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미국의 대외 관계 미국의 제국주의 자유지상주의 신고립주의 미국의 개입주의 정치적 현실주의 |
2. 역사적 배경
비개입주의의 초기 형태는 18세기 영국과 미국에서 나타났다. 1723년 영국의 휘그당 총리 로버트 월폴은 힘의 균형 유지를 위해 유럽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거부하는 입장을 밝혔다.[1] 미국 독립 혁명 시기, 제2차 대륙 회의는 프랑스와의 동맹을 논의하였고, 벤저민 프랭클린이 1778년에 협상에 참여했다.[2] 조지 워싱턴은 1792년 영국과 프랑스 간의 전쟁에서 중립을 선포했고,[3] 고별 연설(1796년)을 통해 외교 정책은 상업적 관계를 확대하고 정치적 관계를 최소화하는 비개입주의 정책을 발표했다.[4]
2. 1. 영국
1723년 영국의 첫 휘그당 총리 로버트 월폴은 "나의 정치는 가능한 한 모든 관여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경제적 이익을 중시하였으며, 힘의 균형 유지를 위해 유럽 문제에 개입하는 것을 거부하였다.[1]2. 2. 미국
미국 독립 혁명 당시 제2차 대륙 회의는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해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비개입주의를 포기했다.[2]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고별 연설에서 외국과의 정치적 관계는 최소화하고 상업적 관계를 확대하는 비개입주의 정책을 천명했다.[4]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모든 국가와의 평화, 상업, 정직한 우정, 어떤 국가와도 얽히는 동맹은 없다"는 원칙을 제시하며 워싱턴의 외교 정책을 계승했다.[5]제임스 먼로 대통령은 먼로 독트린을 통해 유럽 열강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배제하고 미국의 비개입주의적 입장을 확고히 했다. 19세기 후반,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과 필리핀-미국 전쟁을 통해 비개입주의 정책을 폐기하고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으로 전환했다.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중립을 유지했으나,[10] 결국 참전을 결정하고 국제 연맹 창설을 주도하며 국제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
3. 세계 대전 사이의 비개입주의 (1919-1939)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국제 연맹 가입을 거부하고 고립주의적 정서가 다시 확산되었다. 헨리 캐벗 로지를 비롯한 공화당 상원 지도자들은 국제 연맹 가입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전쟁 이후 미국 사회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가치관 차이로 분열되었는데, 이는 국제 문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14] 1920년대 국무부의 규모와 예산은 매우 작았으며, 이는 의회가 국제 문제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음을 보여준다.[14] 또한, 동유럽 및 남유럽 출신 이민자들에 대한 반감은 고립주의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4]
그러나 미국은 1920년대에 국제 협상과 조약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1921-1922)를 통해 주요 강대국 간의 해군 군축을 달성했고, 도스 계획을 통해 독일의 전쟁 배상금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회복을 지원했다. 1928년에는 프랭크 켈로그 국무장관과 아리스티드 브리앙 프랑스 외무장관의 주도로 켈로그-브리앙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을 불법화했지만, 실질적인 효력은 크지 않았다.[15][16][17]
대공황 이후, 미국은 국내 경제 문제 해결에 집중하면서 국제 문제에 대한 개입을 더욱 꺼리게 되었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미국 내에서는 전쟁 개입을 주장하는 개입주의자와 비개입주의자 간의 논쟁이 격화되었다.
3. 1. 상원의 국제 연맹 가입 거부
헨리 캐벗 로지를 비롯한 공화당 상원 의원들은 국제 연맹 가입이 미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불필요한 해외 분쟁에 개입하게 할 수 있다며 반대했다.[12][13][14]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상원은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국제 연맹 가입 제안을 거부했다. 헨리 캐벗 로지는 상원이 미국의 전쟁 참전에 대한 최종 권한을 갖도록 하는 유보 조항을 포함한 조약을 지지했지만, 윌슨 대통령과 민주당은 이를 거부했다.
윌리엄 보라, 조지 W. 노리스 등 국제 연맹 가입에 강력히 반대하는 상원 의원들(불가침론자)은 미국이 다른 국가를 방어하기 위해 개입해야 하는 조항에 반대했다. 윌리엄 보라는 이를 "미국 독립의 일부를 대가로 평화를 사는 것"이라고 비판했고,[12] 하이럼 존슨은 국제 연맹을 "거대한 전쟁 신탁"이라고 비난했다.[13]
3. 2. 경제 대공황과 중립법
1929년 대공황 발생 이후, 미국은 국내 경제 문제 해결에 집중하면서 국제 문제에 대한 개입을 더욱 꺼리게 되었다. 경제 대공황은 비간섭주의를 더욱 부추기는 원인이 되었다.[25] 국가의 관심은 주로 국가 경제 문제 해결에 집중되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일본 제국의 공격적인 제국주의 정책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정복과 만주사변과 같은 갈등으로 이어졌지만, 미국의 공식적인 반응은 미온적이었다.[25] 미국은 스페인 내전에 개입하지 않았고 1934년 좋은 이웃 정책의 출범과 함께 아이티에서 군대를 철수했다.[25]1930년대 후반 유럽이 전쟁 직전으로 치달으면서 미국 의회는 미국의 중립을 계속 요구했다.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의회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립법을 통과시켰다.[25] 예를 들어, 최종 중립법에 따라 미국인들은 교전국 국기를 게양한 선박에 승선하거나 교전국과 무기를 거래할 수 없었다. 이러한 활동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의 참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었다.[25]
4. 제2차 세계 대전과 비개입주의의 쇠퇴
1930년대 후반 유럽에서 전쟁 위협이 커지자, 미국 의회는 미국의 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의회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립법을 통과시켰다.[18] 이 법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참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던 활동, 즉 미국인들이 교전국 국기를 게양한 선박에 승선하거나 교전국과 무기를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에 전쟁을 선포했다.[18] 루스벨트 대통령은 중립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어디에서든 평화가 깨지면 모든 국가의 평화가 위험에 처한다"라며 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했다.[18]
유럽 전쟁은 미국 국민들을 비개입주의자와 개입주의자로 분열시켰다. 개입주의자들은 독일의 침공을 우려했고, 죽음의 상인들이 이익을 위해 개입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1940년 프랑스 항복 이후, 영국은 독일의 유일한 민주주의적 적국이 되었다.[19][20] 루스벨트는 "힘의 철학에 지배받는 세계에서 미국이 고독한 섬으로 남는 것을 안전하게 허용할 수 있다"는 망상을 경계했다.[21]
1940년 라이프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대다수는 독일-이탈리아의 승리가 미국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믿었고, 압도적인 비율로 무장을 지지했으며, 징병제 도입에도 찬성했다.[22] 아치볼드 맥클레이시는 "우리가 스스로에 대한 전쟁의 관찰자로 앉아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이념적 균열을 강조했다.[23]
그러나 비개입주의자들은 여전히 존재했고, 로버트 메이나드 허친스와 같은 인물들은 국가 안보를 강조하며 외국 전쟁 개입에 반대했다.[28][29]
1940년에서 1941년로 넘어가면서 루스벨트 행정부는 점차 개입주의적 입장을 취했다. 1939년 제4차 중립법 개정을 통해 "현금 및 운송" 정책을 도입하여 교전국에 무기를 판매했지만, 현금 지불과 자체 운송을 조건으로 했다.[25][30] 1941년 무기 대여법은 대통령에게 미국의 방위에 필수적인 국가에 무기, 탄약, 식량 등을 대여, 임대, 판매 또는 교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31] 대서양 전투에서 침몰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면서, 1941년 말 미국인의 대다수는 독일을 물리치는 것이 전쟁 회피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다.[32]
4. 1. 진주만 공격과 미국의 참전
1941년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이로써 비개입주의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33] 찰스 린드버그의 아메리카 퍼스트 위원회와 허버트 후버 같은 고립주의자들은 전쟁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33]조지 실베스터 비어렉과 같은 독일 대사관 직원이 해밀턴 피시 3세와 같은 고립주의 정치인의 도움을 받아 수행한 선전 활동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후로 연방 검사들에 의해 조사되고 억제되었다.[34] 1941년, 피시는 아메리카 퍼스트 위원회의 우편 요금 논란에 연루되었는데, 이는 고립주의 정치인들이 무료 우편 특권을 이용하여 독일 선전 캠페인을 지원한 것으로 밝혀졌다.[34]
5. 냉전 시대의 비개입주의
로버트 A. 태프트 상원 의원은 1945년 이후 미국의 개입주의에 반대했지만, 주로 국내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35] 반면, 1964년 배리 골드워터는 공산주의 축소와 냉전 승리를 주장하며 공화당 보수파를 결집시켰다.[40]
5. 1. 태프트의 비판
로버트 A. 태프트 상원 의원은 미국의 과도한 해외 개입과 군사력 증강이 자유를 위협하고 "주둔 국가"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비개입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36]태프트는 정부 지출 감소와 1945년 영국 차관 및 마셜 플랜과 같은 외국 원조 조치의 축소 또는 방지를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조치들이 "개인의 자유, 주와 지방 자치단체의 자유, 농부 자신의 농장을 운영할 자유, 노동자가 자신의 일을 할 자유"를 파괴하여 미국 번영의 기반을 위협하고 "전체주의 국가"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35]
1951년, 한국 전쟁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 중에 태프트는 외교 정책에 대해 더욱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미국의 해외 공약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은 포모사나 이스라엘과 같은 국가를 외면할 수 없고, NATO와 같이 이행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자금 부족과 국내 문제로 인해 약속을 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도한 공약이 자유를 위협하고, 많은 돈을 들이고 군의 힘을 증가시켜 미국 사회를 주둔 국가로 변모시키는 외교 정책을 기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36]
1952년 공화당 내 집단 안보에 대한 논쟁에서, 태프트는 외교 정책에서 "독자 행동을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완화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유럽에서 1945년 이후 미국의 집단 안보에 대한 약속을 구체화한 인물로, 태프트의 당선이 NATO를 포함한 전체 집단 안보 노력의 거부로 이어질까 우려하여 출마했다.[37] 아이젠하워는 후보 지명을 받고 태프트에게 국내 정책에서 주도적인 목소리를 약속함으로써 그의 지지를 확보했다.[38]
5. 2. 아이젠하워의 국제주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태프트의 비개입주의와 대립하며, 집단 안보 체제를 강화하고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했다.[37]아이젠하워는 후보 지명을 받은 후, 태프트에게 국내 정책에서 주도적인 목소리를 약속함으로써 그의 지지를 확보했다.[38] 그는 보수 공화당원들이 전통적으로 외국 원조와 상호 무역 정책, 그리고 집단 안보 협정에 대한 공격에서 그러한 정책에 대한 지지로 이동하는 데 성공했다.[39]
6. 21세기 비개입주의 논쟁
냉전 종식 이후, 미국에서는 비개입주의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특히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시리아 내전 개입 문제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 그리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이러한 논쟁이 더욱 심화되었다.
2023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중 단 17%만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자국이 "충분히 노력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49][48]
6. 1. 오바마 행정부의 시리아 내전 개입 논란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존 케리 국무장관을 포함한 미국 연방 정부 일부 구성원들은 시리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고려했다.[41][42] 그러나 2013년 4월 말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62%는 "미국은 시리아 내전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책임이 없다"고 생각했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25%에 불과했다.[43]뉴욕 타임스의 한 기고가는 이를 "고립주의적 경향"이라고 언급했으나, 국제 관계 학자 스티븐 월트는 "조잡한 저널리즘"이라고 비판했다.[43][44] 월트는 "시리아에 대한 더 깊은 개입이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미국이 아랍/이슬람 세계에서 또 다른 불쾌한 종파 갈등에 휘말리는 것을 가장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분별 있는 사람들"이 '고립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44]
2013년 12월, 퓨리서치센터의 여론조사 "2013년 세계 속의 미국"에서 응답자의 52%가 "미국은 국제적으로 자국 문제에 신경 쓰고 다른 국가들이 스스로 최선을 다하도록 내버려둬야 한다"고 답했다.[45] 이는 1964년 여론조사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다.[46] 10년 전에는 응답자의 약 3분의 1만이 이렇게 생각했다.[46]
2014년 7월 미국 전역의 "격전지 유권자" 대상 여론조사에서는 2016년 말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완전 철수하는 데 77%가 찬성했고, 시리아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더 많은 개입에 관심 있는 사람은 각각 15%와 17%에 불과했다. 또한, '미국의 군사 행동은 우리 국가 안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진술에 동의하는 사람은 67%였다.[47]
6. 2.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평화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2] 이는 토머스 제퍼슨의 비간섭주의 정책으로 복귀를 지지하고 이란, 이라크와 같은 국가에 대한 군사 개입에 반대했던 론 폴 전 공화당 의원의 입장과 유사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공화당은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에 대해 분열되었고, 러시아에 대한 "대리 전쟁"에 개입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도 있다.[51]6. 3. 우크라이나 전쟁과 비개입주의 논쟁 재점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 내에서는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를 둘러싸고 비개입주의와 개입주의 간의 논쟁이 다시 격화되고 있다. 특히 공화당 내에서 비개입주의적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원 대신 평화 협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2]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공화당은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에 대해 분열되어 러시아에 대한 "대리 전쟁"에 개입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51] 여론조사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인 중 단 17%만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자국이 "충분히 노력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전쟁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49][48]
7. 비개입주의를 지지한 인물들
정치인 및 정부 관료 |
---|
8. 비개입주의에 대한 비판
벤저민 슈워츠는 빌 카우프만의 1995년 저서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Its History, Culture, and Politics)''에 대한 ''월드 폴리시 저널(World Policy Journal)'' 서평에서 미국의 고립주의 역사를 비극으로 묘사하며, 그 뿌리가 청교도 사상에 있다고 주장했다.[82]
참조
[1]
간행물
The English Background of American Isolationism in the Eighteenth Century
1944
[2]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US foreign relations since 1776
2008
[3]
서적
From colony to superpower
[4]
서적
US Foreign Policy in Context: National Ideology from the Founders to the Bush Doctri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웹사이트
First Inaugural Address
https://jeffersonpap[...]
Princeton University
1801-03-04
[6]
웹사이트
Thomas Jefferson Quotes
https://www.brainyqu[...]
[7]
학술지
The Welfare Cost of Autarky: Evidence from the Jeffersonian Trade Embargo, 1807–09
https://www.dartmout[...]
2005-09
[8]
웹사이트
America's Will to War: The Turning Point
https://mises.org/da[...]
[9]
웹사이트
Ulysses S. Grant: Foreign Affairs | Miller Center
https://millercenter[...]
2016-10-04
[10]
웹사이트
http://www.newsinhis[...]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War I: A - D.,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12]
웹사이트
William e. Borah, Speech on the League of Nations [November 19, 1919]
https://www.historyc[...]
[13]
뉴스
JOHNSON ASSAILS LEAGUE OF NATIONS; Californian Calls It a "Gigantic War Trust" in Speech to Senate. SEES AMERICA SWALLOWED Declares the Monroe Doctrine is Left to the Interpretation of Foreign Nations. FEARS VOTES OF ENGLAND Senator Attacks the Shantung "Secret Treaty" and Plan toProtect France. Sees No War Preventive. Danies Monroe Doctrine Safeguard. Asserts League is Deceptive
https://www.nytimes.[...]
1919-06-03
[14]
서적
The Isolationist Impulse: Its Twentieth Century Reaction
The Free Press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120 – Fireside Chat
http://www.presidenc[...]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Barbara
1939-09-03
[19]
서적
Isolationist Impulse
[20]
서적
The Annals of Amer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1]
서적
The Annals of America
[22]
잡지
What the U. S. A. Thinks
https://books.google[...]
1940-07-29
[23]
서적
The Annals of Amer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4]
웹사이트
154 – Fireside Chat – December 29, 1940
http://www.presidenc[...]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Barbara
1940-12-29
[25]
서적
Isolationist Impulse
[26]
서적
The Future of American Politics
Anchor Press
[27]
서적
Isolationist Impulse
[28]
서적
Annals of America
[29]
서적
Annals of America
[30]
서적
Isolationist Impulse
[31]
서적
Isolationist Impulse
[32]
서적
Selling War: The British Propaganda Campaign against American "Neutrality" in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3]
뉴스
Isolationist Groups Back Roosevelt
http://timesmachine.[...]
1941-12-09
[34]
서적
Prequel An American Fight Against Fascism
[35]
웹사이트
Review of Wunderlin, Clarence E., Robert A. Taft: Ideas, Tradition, and Party in U.S. Foreign Policy (Biographies in American Foreign Policy) and Wunderlin, Clarence E. Jr.., ed., The Papers of Robert A. Taft, Volume 3: 1945-1948
http://www.h-net.org[...]
2005-12
[36]
서적
Mr. Republican: a biography of Robert A. Taft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37]
서적
The National Security: Its Theory and Practice, 1945-196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8]
문서
Patterson, p. 577
[39]
문서
Graebner, p 249
[40]
서적
U.S. vs. Them: Conservatism in the Age of Nuclear Terror
https://books.google[...]
Penguin
[41]
뉴스
Text of President Obama's Remarks on Syria
https://www.nytimes.[...]
2013-08-31
[42]
뉴스
A closer look at next week... Spending, Syria, ObamaCare
https://thehill.com/[...]
2013-09-06
[43]
뉴스
Poll Shows Isolationist Streak in Americans
https://www.nytimes.[...]
2013-04-30
[44]
뉴스
Sloppy journalism at the New York Times
https://foreignpolic[...]
2013-05-01
[45]
뉴스
It's not isolationist for America to mind its own business
http://washingtonexa[...]
Washington Examiner
2013-12-10
[46]
웹사이트
The Public's Mixed Message on America's Role in the World
http://www.people-pr[...]
Pew Research Center for the People & the Press
2013-12-03
[47]
뉴스
What Would Nietzsche Do?
https://foreignpolic[...]
2014-07-29
[48]
웹사이트
Americans show signs of impatience with Ukraine war
https://www.brooking[...]
[49]
웹사이트
US Polling and Politics on Ukraine War is Changing
https://www.kyivpost[...]
2023-06-19
[50]
간행물
Does One Right Make a Realist? Conservatism, Neoconservatism, and Isolationism in the Foreign Policy Ideology of American Elites
[51]
뉴스
Taiwan matters more to US Republicans than Ukraine – here's why
https://www.telegrap[...]
2023-06-15
[52]
웹사이트
Trump says he can end war in 24 hours; Zelenskyy says Biden could in 5 minutes: Ukraine live updates
https://www.usatoday[...]
[53]
웹사이트
The Old Cause
https://www.antiwar.[...]
2001-04-24
[54]
웹사이트
Howard Buffett: Anticommunist and Anti-interventionist
https://mises.org/wi[...]
2020-07-27
[55]
웹사이트
Coolidge against the world: Peace, prosperity, and foreign policy in the 1920s
https://commons.lib.[...]
[56]
웹사이트
Mike Gravel: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2020 candidate
https://www.axios.co[...]
2019-05-05
[57]
웹사이트
About – Gravel Institute
https://gravelinstit[...]
[58]
웹사이트
'Wild Bill' dies, Nov. 8, 1959
https://www.politico[...]
2013-11-08
[59]
웹사이트
Louis Ludlow and the Power to Declare War
https://blog.history[...]
2020-01-14
[60]
웹사이트
Henrik Shipstead Against the UN
https://historynewsn[...]
2005-08-01
[61]
웹사이트
Robert Taft and His Forgotten "Isolationism"
https://mises.org/li[...]
2014-03-08
[62]
뉴스
George Will: Justin Amash, one to watch from Michigan
https://www.washingt[...]
2013-04-19
[63]
웹사이트
Rep. Justin Amash on Trump, Ryan, and the 'Stupidity' of How the Government Spends Your Money
https://reason.com/v[...]
2018-04-09
[64]
웹사이트
Will the Real GOP Non-Interventionists Stand up?
https://www.theameri[...]
2017-08-29
[65]
웹사이트
The question no one asked: What did Russia get for hacking our electorates?
http://www.libertyfi[...]
2017-03-13
[66]
웹사이트
Rep. Tulsi Gabbard Stands Firm on Anti-Regime Change Stance
https://www.theadvoc[...]
The Advocates
2019-05-17
[67]
웹사이트
Tulsi Gabbard Opposes 'Regime Change Wars' — But She's Not Anti-war
https://www.huffpost[...]
Huffington Post
2019-10-16
[68]
웹사이트
Gary Johnson presidential campaign, 2016/Foreign affairs
https://ballotpedia.[...]
[69]
웹사이트
Thomas Massie Stands Against Neoconservative Intervention
https://libertyconse[...]
2019-06-24
[70]
뉴스
Ron Paul to Retire from Congress
http://www.rollcall.[...]
2011-07-12
[71]
뉴스
Entangling Alliances Distort our Foreign Policy
http://www.house.gov[...]
House of Representatives
2002-09-16
[72]
뉴스
Patriotism
http://archive.lewro[...]
House of Representatives
2007-05-22
[73]
뉴스
The Foreign Policy of Ron Paul
http://archive.lewro[...]
Lew Rockwell
2007-05-21
[74]
웹사이트
Rand Paul's Foreign Policy: For the Situation Room or the Dorm Room?
https://www.national[...]
2014-04-15
[75]
웹사이트
Rand Paul Found His Voice: Can He Find Noninterventionist Voters?
https://nationalinte[...]
2015-09-17
[76]
웹사이트
The Two Non-Interventionists
https://web.archive.[...]
2017-06-29
[77]
웹사이트
Responsible Foreign Policy
https://berniesander[...]
[78]
웹사이트
What the World Could Expect From Dr. Ron Paul's Non-Interventionist America
https://www.lewrockw[...]
2007-11-28
[79]
웹사이트
Inside the Pentagon's "Office of Special Plans"
http://natsummit.org[...]
2014-03-07
[80]
잡지
What Does Tucker Carlson Believe?
https://www.theatlan[...]
2019-12-15
[81]
뉴스
Tucker Carlson Goes to War Against the Neocons
https://nationalinte[...]
2017-07-14
[82]
논문
Review: The Tragedy of American Isolationism
Duke University Press
1996-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