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F-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쓰비시 F-1은 미쓰비시 T-2 훈련기를 기반으로 개발된 일본 항공자위대의 단좌 지원 전투기이다. 1970년대에 F-86 세이버 전투기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75년 시험 비행을 거쳐 1978년부터 1987년까지 총 77대가 생산되어 실전 배치되었다. 주요 무장으로는 JM61A1 20mm 발칸포,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ASM-1 공대함 미사일 등을 탑재했으며, 2006년 F-2 전투기로 대체되면서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전투기 - 미쓰비시 F-2
미쓰비시 F-2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지원 전투기로, F-16을 기반으로 일본과 미국의 공동 개발을 통해 탄생했으며, 대지 및 대함 공격 능력에 특화되어 운용되고 있다. - 일본의 전투기 - 미쓰비시 X-2 신신
미쓰비시 X-2 신신은 일본 방위성이 주도하고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한 기술 실증기로, 스텔스 성능과 고기동성을 추구하는 설계를 통해 미래 전투기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 및 5세대 전투기 기술의 실용성 검증을 목표로 한다. - 항공자위대의 장비 - 미쓰비시 F-2
미쓰비시 F-2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지원 전투기로, F-16을 기반으로 일본과 미국의 공동 개발을 통해 탄생했으며, 대지 및 대함 공격 능력에 특화되어 운용되고 있다. - 항공자위대의 장비 - 가와사키 T-4
가와사키 T-4는 항공자위대에서 운용하는 아음속 중급 제트 훈련기로, 높은 기동성, 낮은 운영 비용, 우수한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 조종사 훈련에 효과적이며, 특히 블루 임펄스 곡예 비행팀의 기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1975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야코블레프 Yak-42
야코블레프 Yak-42는 1970년대 야코블레프 설계국에서 개발한 100~120석 규모의 단거리-중거리용 3발 제트 여객기로, 구형 기종 대체, 리어 엔진 레이아웃, 자체 탑승 에어 스테어 등의 특징을 가지며, 설계 수정 및 개선을 거쳐 Yak-42D 등의 파생형으로 2003년까지 생산되었다. - 1975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밀 Mi-17
Mi-17은 밀 설계국에서 개발한 Mi-8 헬리콥터의 개량형 다목적 헬리콥터로, 강력한 엔진과 개선된 동체를 통해 고온 및 고고도 환경에서 운용 능력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파생 모델로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군용 및 준군용으로 운용된다.
미쓰비시 F-1 | |
---|---|
개요 | |
종류 | 공격기 |
제작 국가 | 일본 |
제작 회사 | 미쓰비시 중공업 |
최초 비행 | 1975년 6월 3일 |
실전 배치 | 1978년 4월 |
퇴역 | 2006년 3월 |
주요 운용국 | 일본 항공자위대 |
생산 대수 | 77대 |
개발 기반 | 미쓰비시 T-2 |
명칭 | |
명칭 | F-1 |
형식 | 지원 전투기 |
분류 | 전투폭격기 |
개발 및 생산 | |
생산 기간 | 1975년 – 1987년 |
평균 가격 | 약 27억 엔 |
원형 | T-2 |
운용 | |
운용 시작 | 1977년 9월 |
퇴역 시점 | 2006년 3월 9일 |
운용 상황 | 전량 퇴역 |
이미지 | |
![]() | |
![]() |
2. 개발 배경
1970년대 일본 항공자위대는 F-86 세이버 전투기의 노후화와 F-104 스타파이터 전투기의 잦은 추락사고로 인해 새로운 전투기 도입이 시급했다.[1] F-4EJ를 확보하면서도, 일본은 자체 전투기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하고 방위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로센과 같은 프로펠러 전투기 개발 경험은 있었지만, 전후 제트 전투기 개발 경험은 부족했다.[1] 이에 일본은 초음속 훈련기 개발을 먼저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 소요에 맞는 공격기(지원기)를 개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1960년대 중반, 항공자위대는 지상 공격 및 대함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제트 훈련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1] T-38 탈론과 SEPECAT 재규어의 면허 생산을 고려한 후, 자체 훈련기인 초음속 미쓰비시 T-2를 개발하기로 결정했고, 1971년 7월 20일에 첫 비행을 했다. T-2 프로그램의 비용 초과로 단좌 공격기 버전 개발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으나, 가와사키 P-XL의 취소로 자금이 확보되면서 1973년에 공격기 버전인 '''FS-T2kai'''의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1][2]
FS-T2kai는 T-2를 최소한으로 변경하여 개발되었다. 후방 조종석을 제거하고 항공기 캐노피를 단순화하여 항공 전자 장비 베이로 전환했다.[3] 더 무거운 무기 탑재를 위해 날개 아래에 두 개의 하드포인트를 추가하고, 새로운 J/AWG-12 레이더를 장착하여 항공 전자 장비를 개선했다.[5] J/AWG-12 레이더는 영국 공군 F-4M 팬텀에 장착된 AN/AWG-12와 유사하며, 거리 정보를 제공한다.[5]
2. 1. 대한민국과의 비교 (T-50 골든이글)
일본은 초음속 훈련기를 먼저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 소요에 맞는 공격기(일본식 명명으로는 지원기) 개발을 결정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의 T-50 골든이글과 A-50 개발 방식과 동일하다.[1]3. 개발 역사
미쓰비시 T-2 훈련기를 개발한 미쓰비시 중공업이 T-2를 기반으로 F-1 개발을 주도했다. 1972년에 설계를 시작하여 1975년 6월 시험 비행을 거쳐, 1978년부터 일본 항공자위대에 실전 배치되었다. 1978년 18대가 생산된 이후 1987년 3월 9일까지 총 77대가 도입되었다.[1] T-2 훈련기를 개량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매우 짧았다.
1960년대 중반, 항공자위대는 지상 공격 및 대함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제트 훈련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T-38 탈론과 SEPECAT 재규어의 면허 생산을 고려한 후, 일본은 자체 훈련기인 초음속 미쓰비시 T-2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T-2 프로그램의 비용 초과로 단좌 공격기 버전은 포기될 뻔했지만, 가와사키 P-2J 해상 초계기를 대체할 예정이었던 가와사키 P-XL의 취소로 자금이 확보되면서 1973년에 공격기 버전인 '''FS-T2kai'''의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2]
새로운 항공기는 T-2를 최소한으로 변경한 파생형으로, 후방 조종석을 제거하고 항공 전자 장비 베이로 전환했다.[3] 더 무거운 무장을 위해 날개 아래에 두 개의 하드포인트가 추가되었고, 새로운 J/AWG-12 레이더를 장착하여 항공 전자 장비가 개선되었다.[5] F-1은 750발의 탄약을 장착한 20mm JM61A1 벌컨포를 내장하고 있으며, 7개의 외부 하드포인트에 다양한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F-1의 주요 무기는 ASM-1과 ASM-2 대함 미사일이며,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도 탑재 가능하다.
F-1은 F-2와 업그레이드된 F-4EJ Kai 팬텀 II로 대체되었다. 후쿠오카현의 쓰이키 비행장에 배치된 마지막 6대의 F-1은 2006년 3월 9일 퇴역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이 처음으로 독자 개발한 전투기였다. 항공자위대에서는 지원 전투기로 분류하고 있지만, 능력상으로는 공격기 내지는 전투 폭격기에 가까웠다. 초기 단계부터 공대함 미사일과의 조합에 의한 대함 공격이 예상되었으며, 국산 80식 공대함 유도탄(ASM-1) 탑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T-2를 기반으로 한 시제기인 특별 사양기(FS-T2개)가 1975년 6월 3일, 양산형 1호기가 1977년 6월 16일에 각각 첫 비행을 했다. 총 77기가 제조되어, 미사와 기지의 제3비행대와 제8비행대, 축성 기지의 제6비행대에 배치되었다.
3. 1. FS-T2 개량형
1971년 12월 15일 XT-2 1호기가 납입되어 개발이 일단락되자, T-2를 기반으로 한 지원 전투기 시제기 개조 설계 작업이 시작되었다.[9] 이 지원 전투기형은 '''FS-T2개'''라고 불렸으며, 1972년 6월 항공막료장으로부터 요구 성능이 상신되어, 7월 24일 장비 심의회에서 기본 요목이 결정되었다.[9] 10월 9일에는 국방회의에서 장비 방침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9]T-2 개발 당시, 미국제 T-38을 채용할 예정이었으나, 기술연구본부 모리야 토미지로 본부장의 노력과 마쓰노 방위청 장관의 지시로 국산 개발로 변경되었다.[9] 그러나 F-1 양산 결정까지도 T-38/F-5를 채용해야 한다는 압력이 계속되었다.[9] 1972년 10월 제4차 방위력 정비 계획 결정 직전 국방회의 의원 간담회에서도 F-5E로 변경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정부 측은 T-2 연습기와의 상호 운용성과 일본 국토 적합성, 레이더와 폭격 조준 장치의 성능 우수성을 설명하여 이해를 얻었다.[9] 항속 거리가 짧아 주변국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하여 F-4EJ에서 삭제된 폭격 조준 기능 문제도 해결하였다.[9]
1973년 3월 말, 미쓰비시 중공업에 시스템 설계, 미쓰비시 전기에 화기 관제 장치(FCS)가 발주되어 연초부터 작업이 시작되었다. 설계는 T-2와의 공통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모형은 조종석과 외부 탑재물 주변만 제작하고, 1973년 5월에 세부 설계에 들어갔다. 같은 해 3월 계약된 T-2 1차 계약 중 T-2 양산 2호기(#106) 및 3호기(#107)는 FS-T2 비행 시험용 테스트 베드기로 특별 사양기로 제작되었다. 1975년 6월 3일 107호기, 6월 7일 106호기가 첫 비행을 하였고,[9] 1975년 7월 말부터 항공실험단에서 비행 시험이 시작되었다. 1976년 3월까지 213소티 비행이 실시되었고,[9] 그 성과는 "FS-T2개 기술적 시험·실용 시험 보고서"로 정리되었다. 장비 심의회를 거쳐 1976년 11월 12일 방위청 장관의 부대 사용 승인이 내려져 "F-1"으로 개명되었다.[9]
4. 주요 제원 및 성능
항목 | 내용 |
---|---|
전장 | 17.9m |
기폭 | 7.9m |
높이 | 4.4m |
자중 | 6358kg |
최대 이륙 중량 | 13674kg |
최대 무장 적재량 | 약 4t |
엔진 |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중공업에서 면허 생산한 롤스로이스 터보메카 아도어 MK-801A 터보팬 엔진 2기 (엔진 추력: 3310kgf x 2) |
최대 속도 | 마하 1.6 |
실용 상승 고도 | 15240m |
전투 행동 반경 | 350km |
항속 거리 | 2600km (증조 3개 탑재) |
최대 상승률 | 35000fpm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F-1은 M61A1 20mm 발칸포 1문을 고정 무장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750발의 탄약을 탑재한다. 주 날개와 동체 아래에는 총 7개의 하드포인트가 있어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ASM-1/ASM-2 공대함 미사일, Mk.82 500파운드 폭탄, JM117 750파운드 폭탄, CBU-87/B 클러스터 폭탄, 70mm·127mm 로켓탄용 포드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영국 공군의 F-4M 팬텀 전투기에 장착된 AN/AWG-12와 유사한 J/AWG-12 레이더를 장착하여 항공 전자 장비를 개선했다.[5]
4. 1. 외관
F-1 지원기는 외관상 유럽의 다국적 공동 개발 기체인 재규어 전투기와 비슷하며, 주 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F-104 스타파이터 전투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주익은 고익 형태로 동체 상부와 거의 일직선을 이룬다.

동체의 기본 구조는 강력한 종통재와 원형 프레임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기수에는 화기 관제 레이더 안테나를 수납하는 FRP제 레돔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로 뒤는 전자 장비와 액체 산소 컨버터 등의 수납 공간이다.[1]
그 뒤에는 가압식 조종석이 배치되어 있다. 풍방은 처음에는 T-2와 동일한 3분할식이었으나, 나중에 강도가 높은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한 원피스형으로 교체되었다. 사출 좌석은 제로 고도·제로 속도에서 탈출 가능한 다이셀의 ES-7J가 채용되었다. T-2에서 후방석이었던 부분은 전자 장비실로, 이 부분은 캐노피가 아닌 금속제 외판으로 되어 있다.[1]
클립드 델타형의 주익은 고익 배치로 되어 있으며, 9도의 하반각이 붙어 있다.[1] 후퇴각을 붙여 익면 하중이 높은 주익은 T-2에서 채용된 것이었지만, 지원 전투기로서 저공을 고속으로 비행하는 데에도 적합한 특성이었다.[4] 그 대신, 뛰어난 초음속 성능을 목표로 작게, 단면도 매우 얇게 만들어져 주익 내에 연료 탱크를 설치할 수 없었다.[4] 수평 꼬리 날개는 아래쪽으로 15도의 각도가 붙어 있는 전유동식이며, 앞쪽 가장자리는 엔진 배기 및 미사일 화염으로부터의 내열을 위해 티타늄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1]
T-2/F-1의 횡 조종에는 MU-2 이래의 미쓰비시 중공업제 항공기에 사용되고 있는 전 스포일러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조익을 폐지하고 스포일러를 사용함으로써, 저속에서 고속, 큰 받음각까지 양호한 조종타의 효능을 확보하고 있다.[3]
사용 재료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1]
F-1에는 지상 공격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미채 도장이 도입되었다. 상공에서 발견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 기체 윗면과 측면은 녹색의 농담과 갈색으로 칠해졌고, 아랫면은 지상에서 발견되기 어려운 하늘과 섞이는 밝은 회색으로 칠해졌다.[5]
4. 2. 주요 제원
항목 | 내용 |
---|---|
전장 | 17.9m |
기폭 | 7.9m |
높이 | 4.4m |
자중 | 6358kg |
최대 이륙 중량 | 13674kg |
엔진 |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중공업에서 면허 생산한 롤스로이스 터보메카 아도어 MK-801A 터보팬 엔진 2기 |
최대 속도 | 마하 1.6 |
실용 상승 고도 | 15240m |
4. 3. 무장
M61A1 20mm 발칸포 1문을 고정 무장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750발의 탄약을 탑재한다. 주 날개와 동체 아래에는 총 7개의 하드포인트가 있어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1]공대공 전투를 위해서는 AIM-9 사이드와인더 적외선 유도 방식 공대공 미사일을 최대 4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주로 날개 끝 레일에 장착하지만, 방공 임무 시에는 날개 아래 하드포인트에도 장착 가능하다.[1]
ASM-1 또는 ASM-2 공대함 미사일을 2발 장착할 수 있다. 이 미사일들은 미국의 AGM-84 하푼이나 프랑스의 AM.39 엑조세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다.[1]
일반 폭탄으로는 500파운드(약 227kg)급 폭탄을 최대 12발(약 2.7t)까지 장착할 수 있다.[1]
이외에도 70mm 로켓 포드 등을 장착할 수 있다.[1]
4. 4. 항공 전자 장비
미쓰비시 F-1은 J/AWG-12 레이더를 장착하여 항공 전자 장비를 개선했다. 이 레이더는 영국 공군의 F-4M 팬텀 전투기에 장착된 AN/AWG-12와 유사하며, 거리 정보를 제공한다.[5]5. 운용 역사
미쓰비시 F-1은 일본에서만 운용되었다. 일본은 평화헌법에 따라 자국산 무기를 해외에 수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5. 1. 배치 현황

미쓰비시 F-1은 일본에서만 운용되었다. 일본은 평화헌법에 따라 자국산 무기를 해외에 수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4차 방위력 정비 계획에 따라 당초 4개 비행대 126기를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개 비행대, 총 77기가 생산되었다. F-1은 1977년 미사와 기지의 제3비행대를 시작으로, 제8비행대, 쓰이키 기지의 제6비행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2]
1990년부터 F-1의 퇴역 및 기종 갱신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F-1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F-2의 개발 지연으로 인해, F-4EJ 개량형이 제8비행대에 임시 배치되기도 했다.
결국 F-2의 양산이 시작되면서, F-1은 2006년 3월 18일, 마지막까지 F-1을 운용하던 쓰이키 기지의 제6비행대에서 임무 종료식을 갖고 완전히 퇴역하였다.[2]
5. 2. 사고
1998년 8월 25일 밤, 이와테현 해역에서 훈련 중이던 제3항공단 소속 F-1 지원 전투기 3대 중 2대가 추락했다. 추락한 전투기의 조종사는 편대장 A 이등공위(당시 29세)와 B 이등공위(당시 29세)였다.[11] A 이등공위는 비행 시간 2000시간 초과, B 이등공위는 1500시간 초과의 베테랑 조종사였으며, B 이등공위는 쓰키지 기지 제8항공단 소속으로 훈련에 참가했다.[11] 훈련에 함께 참가했던 다른 동료기는 미사와 기지로 귀환 후 "불덩이가 보였다"고 보고했다.[11]이후 A, B 이등공위의 유해가 수습되었고, 두 조종사 모두 1계급 특진이 추서되었다. 8월 29일에는 장례식이 거행되었다.[12]
6. 파생형
7. 전시 현황
미쓰비시 F-1은 퇴역 후 일본 각지의 공군 기지, 박물관 등에 전시되고 있다.[6]
기체 번호 | 전시 장소 |
---|---|
60-8275 | 후추 공군 기지 (도쿄) |
70-8207 | 미쓰 세이키(Mitsu Seiki) 주식회사 (아와지 효고현) |
00-8249 | 항공자위대(JASDF) 가모 분기지 (오가 아키타현) |
00-8241 | 미사와 공군 기지 (미사와 아오모리현) (전방 동체 부분) |
00-8247 | 미사와 항공 과학 박물관 (미사와 아오모리현) |
80-8219 | 아시야 비행장 (아시야 후쿠오카현) (화재 훈련용) |
90-8234 | 가스가 공군 기지 (가스가 후쿠오카현) |
70-8277 | 쓰이키 비행장 (쓰이키 후쿠오카현) |
00-8242 | 항공자위대(JASDF) 에리모 분기지 (에리모 홋카이도) |
60-8274 | 햐쿠리 공항 (오미타마 이바라키현) |
20-8263 | 방위대학교 (요코스카 가나가와현) |
00-8246 | 항공자위대(JASDF) 사도 분기지 (사도 니가타현) |
70-8201 | 이루마 공군 기지 (사야마 사이타마현) |
90-8232 | 오쓰 육상자위대 기지 (오쓰 시가현) |
90-8231 | 후지산 쥬쿠노 모리 공원, 비행장 카페 (고텐바 시즈오카현) (전방 동체 부분) |
90-8227 | 하마마츠 홍보 센터 (하마마츠 시즈오카현) |
90-8225 | 하마마츠 홍보 센터 (하마마츠 시즈오카현) |
30-8268 | 미·일 합동 방공 사령부 본부 (요코타 공군 기지, 후사 도쿄도) |
10-8256 | 호후 키타 비행장 (호후 야마구치현) |
50-8270 | 호후 미나미 비행장 (호후 야마구치현) |
10-8257 | 후쿠에 지부 기지 (후쿠에 나가사키현) |
20-8260 | 미호 비행장 (사카이미나토 돗토리현) |
70-8276 | 나라 기지 (나라 나라현) |
8. 평가 및 의의
미쓰비시 중공업이 T-2 고등 훈련기를 발전시켜 만든 3세대 제트 전투기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이 처음으로 독자 개발한 전투기이다. 항공자위대에서는 지원 전투기로 분류했지만, 실제 능력은 공격기 또는 전투 폭격기에 가까웠다.[1] 제인 연감에서는 "close support fighter영어"라고 칭하고 있다.[2] F-1은 초기 단계부터 공대함 미사일과의 조합을 통한 대함 공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으며, 국산 80식 공대함 유도탄(ASM-1) 탑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3]
F-1은 공대함 미사일을 이용한 대함 공격과 고정밀 폭격을 통한 대지 지원 임무에 기대를 모았으나,[4] 기동성이 낮아 요격 임무 등의 공중 전투 기동에는 불안감을 안고 있었다.[5]
F-1은 일본의 독자적인 전투기 개발 능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되지만, 낮은 기동성 때문에 요격 임무에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도 받았다. F-1 개발은 일본의 군사력 강화와 재무장 시도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평화헌법 개정 논의와 더불어 F-1과 같은 군사력 증강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9. 대중문화
F-1/T-2 관련 작품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서적
1995
[2]
서적
1980
[3]
서적
1995
[4]
서적
1980
[5]
서적
1995
[6]
웹사이트
J-HangarSpace - Where Are They Now?
http://www.j-hangars[...]
2016-09-16
[7]
서적
1980
[8]
서적
1994
[9]
서적
昭和52年度防衛白書
http://www.clearing.[...]
大蔵省印刷局
[10]
서적
日本の航空宇宙工業50年の歩み
https://www.sjac.or.[...]
社団法人 日本航空宇宙工業会
2003
[11]
뉴스
岩手沖で自衛隊機不明 「赤い火の玉見た」 福岡・築城基地の同僚ら気遣う
読売新聞
1998-08-26
[12]
뉴스
2操縦士の通夜に800人 F1戦闘機墜落事故/青森
朝日新聞
1998-08-30
[13]
뉴스
自衛隊機『墜落事故、多すぎる』三沢市長、異例の抗議/青森
朝日新聞
1998-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