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일 쿠투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일 쿠투조프는 러시아의 장군으로, 1759년 또는 1760년에 군에 입대하여 여러 전쟁에서 활약했다. 그는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 1806-1812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그리고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총사령관으로 활약했다. 특히 1812년에는 보로디노 전투 이후 모스크바를 포기하고 초토화 작전을 펼쳐 프랑스군의 퇴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쿠투조프는 1813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러시아에서 널리 기려져, 소설 '전쟁과 평화'의 등장인물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원정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 러시아 원정 - 표트르 비트겐슈타인
    표트르 비트겐슈타인은 독일 귀족 가문 출신으로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서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공을 세워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구원자' 칭호를 얻고 육군 원수까지 진급했으며, 나폴레옹 전쟁과 러시아-튀르크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다.
  • 러시아의 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러시아의 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미하일 쿠투조프
위치 정보
주요 전투 위치
기본 정보
이름미하일 일라리오노비치 골레니셰프쿠투조프
로마자 표기Mikhail Illarionovich Golenishchev-Kutuzov
별칭북쪽의 여우
출생일1745년 9월 16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813년 4월 28일
사망지볼레스와비에츠, 프로이센 왕국(현재 폴란드)
매장지카잔 대성당 (상트페테르부르크)
군사 정보
소속러시아 제국
군 종류러시아 제국 육군
복무 기간1759년–1813년
최종 계급육군 원수
지휘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 총사령관 (제3차 대프랑스 동맹), 1812년 조국 전쟁 러시아 제국군 총사령관
주요 참전 전투러시아-튀르크 전쟁 (1768년~1774년)
라르가 전투
카굴 전투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2년)
킨부른 전투
오차코프 공방전
림니크 전투
이즈마일 공방전
마친 전투
러시아-튀르크 전쟁 (1806년~1812년)
루슈크 전투
다뉴브강 전투
나폴레옹 전쟁
뒤렌슈타인 전투
아우스터리츠 전투
보로디노 전투
타루티노 전투
말로야로슬라베츠 전투
크라스니 전투
베레지나 전투
훈장
러시아 훈장스몰렌스크 공작
성 게오르기우스 훈장 1, 2, 3, 4등급
성 안나 훈장 1등급
성 블라디미르 훈장 1, 2등급
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
성 요한 기사단 훈장
성 안드레이 훈장
용맹무훈 황금검
외국 훈장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흑수리 훈장
적수리 훈장
서명

2. 초기 생애 및 경력

골레니시체프-쿠투조프(일반적으로 '''쿠투조프'''라고 줄여서 부른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757년 귀족 포병학교에 입학하여 1759년 혹은 1760년에 러시아 군에 입대하였다. 이후 폴란드 전쟁(1764년~ 1769년)과 튀르키예 전쟁(1770년~ 1774년)에 참전하여 활약하였으나 이 와중에 한쪽 눈을 잃었다. 전쟁이 끝나고 몇 년 동안 중부와 서부 유럽을 여행하였다.

1784년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1787년 수보로프 휘하에서 크림 지방의 군정관이 되었다. 수보로프에게서 지휘관으로서 훈련을 받으며, 러시아-투르크 전쟁(1787년~ 1792년)에서 오카코프, 오데사, 벤데르, 이스마일 등을 함락시키고 림니크와 마신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1791년 중장으로 진급한 후, 콘스탄티노플 대사, 핀란드 군정관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파벨 1세의 총애를 받았으며, 파벨 1세 암살 이후 알렉산드르 1세에게도 일시적으로 총애를 받았으나 이후 멀어졌다. 그러나 쿠투조프는 알렉산드르 1세에게 계속 충성을 바쳤다.

2. 1. 출생 및 가문

1745년 9월 16일, 러시아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 그의 아버지 일라리온 쿠투조프는 30년 동안 공병대에서 복무했으며, 표트르 대제를 섬긴 군인이었다. 그의 어머니 안나 베클레미셰바는 러시아 귀족 출신이었다. 아버지의 공적과 어머니의 출신 덕분에 쿠투조프는 어린 시절부터 로마노프 왕조와 교류가 있었다.

2. 2. 군 입문 및 초기 경력

1745년 9월 16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군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 아버지 일라리온 쿠투조프는 30년간 공병대에서 근무했으며, 표트르 대제를 섬긴 군인이었다. 어머니 안나 베클레미셰바는 러시아 귀족 출신이었다. 아버지의 공적과 어머니의 출신 덕분에 쿠투조프는 어린 시절부터 로마노프 왕조와 교류가 있었다.

1757년 귀족 포병학교에 입학했고, 14세에 군에 입대했다. 포병학교 졸업 후에는 모교의 수학 교관을 역임했다.[19] 폴란드 전쟁과 튀르키예 전쟁에 참전하여 명성을 떨쳤다. 1774년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제1차 러시아-튀르키예 전쟁, 1768년-1774년)에서 오른쪽 눈을 잃었다.[19] 한쪽 눈을 잃은 군인으로는 같은 시대의 영국의 호레이쇼 넬슨 제독이 있다.

예카테리나 2세 시대의 제2차 러시아-튀르키예 전쟁(1787년-1791년)에서는 명장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장군의 지휘하에 오스만 제국의 중요 전략 거점인 이즈마일 요새(현 우크라이나 오데사주) 공격에 참여했다. 쿠투조프는 5차례에 걸친 요새의 첨탑에 대한 용감한 공격으로 1790년 12월 이즈마일 요새를 함락시켜 수보로프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9]

2. 3. 폴란드 및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

쿠투조프는 1764년부터 1769년까지 폴란드와의 전쟁, 1770년부터 1774년까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 참전하여 활약했고, 이 과정에서 한쪽 눈을 잃었다.[1] 1768년 10월,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하자, 쿠투조프는 표트르 루먄체프 백작 휘하에서 복무했다. 그는 용감하게 싸웠으나, 루먄체프를 조롱했다는 보고를 받고 훈장을 받지 못했다. 이후 바실리 돌고루코프-크림스키 공의 군대로 전출되어 타타르족과의 전투에서 코사크 경기병 전술을 배웠다.[1] 1774년, 알루슈타 공격 중 왼쪽 관자놀이에 총상을 입어 오른쪽 눈을 크게 다쳤다.[1]

1784년 소장으로 진급한 쿠투조프는 1787년 수보로프 휘하에서 크림 지방의 군정관이 되었다. 그는 수보로프에게서 지휘관으로서 훈련을 받으며 성장했다. 1787년부터 1792년까지 벌어진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오차코프, 오데사, 벤데르, 이스마일 등을 함락시키고 림니크와 마신 전투에서 승리했다.[2] 1788년에는 오차코프 포위전에서 왼쪽 관자놀이에 다시 총상을 입었지만 회복했다.[2] 1791년 중장으로 진급한 후, 콘스탄티노플 대사, 핀란드 군정관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3. 나폴레옹 전쟁 이전의 활동

미하일 골레니시체프-쿠투조프는 1745년 9월 16일 러시아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군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 그의 아버지는 표트르 대제를 섬긴 군인이었고, 어머니는 러시아 귀족 출신이었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쿠투조프는 어린 시절부터 로마노프 왕조와 교류할 수 있었다.

1757년 귀족 포병학교에 입학한 쿠투조프는 14세에 군에 입대했고, 졸업 후에는 모교에서 수학 교관을 역임했다.[19] 그는 폴란드 전쟁(1764년~1769년)과 튀르키예 전쟁(1770년~1774년)에 참전하여 군인으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특히 1774년 튀르키예 전쟁에서 오른쪽 눈을 잃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19]

전쟁이 끝난 후, 쿠투조프는 몇 년 동안 중부와 서부 유럽을 여행했다. 1784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고, 1787년에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휘하에서 크림 지방의 군정관이 되었다.

1802년에는 예비역이 되었지만, 1805년 제3차 대프랑스 동맹으로 현역에 복귀했다. 1805년 대프랑스 전쟁에서는 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 총사령관을 맡았으나,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이후 지방 주지사로 좌천되기도 했지만, 1806년부터 시작된 대튀르키예 전쟁(1806년~1812년)에서 몰도바 군 총사령관으로 활약하며 부쿠레슈티 조약 체결에 기여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이어나갔다.

3. 1.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1792) 참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휘하에서 1787년 크림 지방의 군정관이 된 쿠투조프는 수보로프에게 지휘관으로서 훈련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쿠투조프는 오차코프 함락, 오데사, 벤데르, 이즈마일을 함락시키고, 림니크 전투(1789년)와 머친 전투(1791년 7월)에서 승리하는 활약을 하였다.[19] 특히 이즈마일 요새(현 우크라이나오데사주) 공격에서 쿠투조프는 5차례에 걸쳐 요새의 첨탑에 대한 용감한 공격으로 1790년 12월 이즈마일 요새를 함락시켜 수보로프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3. 2. 외교관 및 군정관 임무

1791년 쿠투조프는 중장(lieutenant general)이 되었으며 콘스탄티노플 주재 러시아 대사, 핀란드 군정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사관생도 지휘관, 베를린 주재 러시아 대사, 상트페테르부르크 군정관 등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역임했다. 쿠투조프는 파벨 1세(재위 1796년-1801년)의 총애를 받았으나, 파벨 1세 암살 이후 즉위한 알렉산드르 1세의 총애를 잠시 잃기도 했지만 충성을 유지했다.

4. 나폴레옹 전쟁

1805년 쿠투조프는 나폴레옹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러시아 군단을 이끌고 출진하였다. 아우스터리츠 전투 전날 밤, 쿠투조프는 동맹군 장군들을 설득하여 전투를 연기하려 하였으나, 알렉산드르 1세에 의해 기각당하고 꾀병을 핑계로 전술을 짜는 데 참여하지 않았다.[29] 1805년 11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쿠투조프는 일군을 지휘하다가 부상을 입었다.

1806년~1812년 쿠투조프는 리투아니아와 키에프의 군정관을 맡았다. 이후 러시아-튀르크 전쟁 (1806-1812)에서 러시아군의 작전을 총지휘하는 책임을 맡았다. 쿠투조프는 다가올 프랑스군과의 싸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재빠른 작전을 실시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베사라비아 점유를 공식화했다. 이 전쟁의 승리로 인해 쿠투조프는 공작(knyaz)이 되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1812년)이 시작되자, 총사령관 미하일 바르클레이 드 톨리의 청야 전술·후퇴 작전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고, 8월 20일 여론에 밀려 67세의 쿠투조프가 후임 총사령관에 취임했다.[20][21] 쿠투조프의 총사령관 취임은 전군의 사기를 크게 높였다.[20] 8월 26일 쿠투조프 취임 후, 러시아군과 프랑스군은 러시아 중부, 모스크바 서쪽 112킬로미터의 보로디노(모스크바주)에서 충돌했다(보로디노 전투). 양군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러시아군은 후퇴했고 프랑스군도 결정적인 승리를 얻지 못했다.[21][22]

이후 쿠투조프는 바르클레이와 마찬가지로 후퇴하여 모스크바를 포기하는 결정을 내렸다.[21]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를 잃더라도 러시아를 잃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군대가 전멸하면 모스크바와 러시아가 멸망한다”고 말하며 주변을 설득했다.[20][22] 11만 명의 나폴레옹군은 모스크바에 무혈 입성했지만, 도시의 3분의 2가 폐허가 되었다.[24] 쿠투조프는 남쪽에서 모스크바를 포위하여 나폴레옹군의 보급로를 차단했다.[20]

결국 나폴레옹이 후퇴를 시작하자, 쿠투조프는 집요한 추격전을 통해 프랑스군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러시아군뿐만 아니라 농민 파르티잔이 추격했고, 나폴레옹이 러시아 영토를 벗어났을 때는 패잔병 3만 명만 남았다. 이 공적에 따라 “스몰렌스크 공”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4. 1. 아우스터리츠 전투 (1805)

1805년, 쿠투조프는 나폴레옹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러시아 군단을 이끌었으나, 오스트리아군은 러시아 동맹군과 합류하기 전인 10월 중순 울름에서 신속히 패배하였다.

쿠투조프는 1805년 12월 2일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전하였다. 전투 전날, 쿠투조프는 나폴레옹과 맞서기 전에 증원군을 기다릴 필요성을 연합군 장군들에게 설득하려 했다.[3] 알렉산드르 1세는 나폴레옹의 군대와 교전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비겁하게 보일 것이라고 믿었다. 쿠투조프는 자신이 더 이상 알렉산드르 1세와 오스트리아 참모총장 프란츠 폰 바이로터 장군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가 알렉산드르 1세에게 부대를 이동시킬 계획을 물었을 때, 알렉산드르 1세는 "당신과 상관없는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알렉산드르 1세의 명령은 러시아군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프라첸 고지에서 이동해야 함을 분명히 했지만, 쿠투조프는 나폴레옹이 이 고지에서 얻을 이점을 인식하고 최대한 오랫동안 지연했다. 마침내 알렉산드르 1세는 쿠투조프에게 고지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나폴레옹은 신속하게 고지를 점령하고, 이제 프라첸 고지에서 전장을 지휘하는 포병으로 연합군의 전열을 붕괴시켰다. 전투는 패배로 끝났고, 2만 5천 명이 넘는 러시아군이 사망했다. 알렉산드르 1세가 슬픔에 잠긴 가운데, 쿠투조프는 헝가리를 거쳐 러시아로의 군대 후퇴를 조직하는 임무를 맡았다.[29]

4. 2. 러시아-튀르크 전쟁 (1806-1812)

쿠투조프는 1806년부터 1812년까지 이어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군을 지휘했다. 그는 프랑스와의 전쟁이 임박했음을 인지하고, 장기화되던 전쟁을 슬로보지아 전투에서 승리하며 신속하게 마무리 지었다.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베사라비아러시아 제국에 편입시키는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냈고, 1811년에는 '그라프' 칭호를 받았다.[19]

4. 3. 1812년 조국 전쟁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전쟁장관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라이 드 톨리는 청야 전술을 선택하여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대규모 전투를 피하고 후퇴하는 전략을 택했다. 이 전략은 표트르 바그라티온 공작 등 많은 장군과 병사들의 불만을 샀다.

스몰렌스크 전투 이후, 알렉산드르 1세는 새로운 장군을 선택해야 했고, 결국 쿠투조프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쿠투조프는 러시아인이었고, 용감했으며, 전투에서 능력을 증명했고, 러시아 정교회 신앙심이 깊었으며, 병사들의 복지에 신경 썼기 때문에 인기가 많았다. 귀족들과 성직자들 또한 쿠투조프를 높이 평가했다. 8월 17일 쿠투조프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고, 8월 29일 차리보-자이미슈체에서 군에 합류하자 러시아인들은 그의 임명을 지지했다. 다만, 알렉산드르 1세는 쿠투조프의 체격을 싫어하고 아우스터리츠 전투 패배의 책임을 그에게 물었기 때문에 쿠투조프의 임명을 기뻐하지 않았다.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로 가는 길목에서 결전을 벌일 것을 각오하고, 양군은 1812년 9월 7일 보로디노 근교에서 격돌하였다.

4. 3. 1. 보로디노 전투

1812년 9월 7일, 모스크바로 접근하는 길목인 보로디노 근처에서 러시아군과 프랑스군이 격돌했다. 이 전투는 25만 명에 달하는 병력이 참여한, 당시까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였다.[4] 프랑스군과 러시아군의 비율은 약 1.1:1이었다. 전투 결과는 프랑스군에게 일종의 피라스의 승리로, 프랑스군은 약 3분의 1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러시아군은 절반가량 피해를 입었으나 궤멸되지는 않았다.[4]

1812년 보로디노 전투에서의 알렉세이 예르몰로프(Aleksey Petrovich Yermolov)(사포노프 작품)


보로디노 전투 전 쿠투조프. 니콜라이 사모키시(N. S. Samokish)의 석판화. 1912년


9월 10일, 러시아군 주력 부대는 볼시예 비야조미에 있었다.[4]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로 가는 대로변에 있는 영지에 자리 잡았다. 다음 날인 9월 11일 알렉산더 1세는 쿠투조프를 최고 군사 계급인 원수로 승진시켰다. 러시아 자료에 따르면 쿠투조프는 모스크바 군사 총독 로스토프친에게 도시 또는 군대를 구출하는 것에 대한 여러 명령과 편지를 썼다고 한다.[5] 9월 12일 쿠투조프의 주력 부대는 현재 골리치노 마을을 떠나 오딘초보 근처 20km 서쪽에 진을 쳤고, 그 뒤를 모르티에와 조아킴 뮈라의 선봉대가 따랐다.[6]

쿠투조프는 필리(Fili) 마을에서의 회의 후, 청야 전술을 사용하여 프랑스군이 지쳐 나가떨어질 때까지 러시아군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능한 한 퇴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러시아는 모스크바를 포기했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는 저서 『전쟁론』에서 "쿠투조프는 보로디노에서 이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궁정 세력, 군대, 러시아 국민의 목소리가 그에게 회전을 강요했다"고 기록했다.[20] 쿠투조프는(나폴레옹도 마찬가지로), 공식 문서에서는 자군의 승리라고 발표했다.[23]

4. 3. 2. 모스크바 포기와 초토화 작전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국방장관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라이 드 톨리는 청야 전술을 선택하여 대회전을 피하고 퇴각했다. 이 전략은 많은 장병들의 불만을 샀고, 특히 표트르 바그라티온 공작 같은 이들이 그러했다. 8월 17일, 쿠투조프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러시아군 본대에 합류하자 많은 이들이 환영했다.

쿠투조프는 2주 동안 모스크바로 가는 길목에서 결전을 준비했다. 1812년 9월 7일, 양군은 보로디노 근교에서 격돌했다. 이 전투는 20만 명 이상이 참전한, 당시까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였다. 전투는 프랑스군에 유리한 무승부로 끝났지만, 프랑스군의 4분의 1, 러시아군의 절반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

필리(Fili) 마을에서의 회의 후, 쿠투조프는 선임자가 사용한 청야 전술을 계속 사용했다. 프랑스군이 지쳐 나가떨어질 때까지 러시아군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능한 한 퇴각하라는 명령을 전군에 내렸다. 이로 인해 러시아는 모스크바를 포기하고, 도시의 시민들은 모두 도시 밖으로 대피했다. 쿠투조프는 이때 “모스크바를 잃더라도 러시아를 잃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군대가 전멸하면 모스크바와 러시아가 멸망한다”고 말하며 주변을 설득했다.[20][22]

이는 모스크바 주민들이 대피한 모스크바 함락의 대가를 치른 것이었다. 필리 마을에서의 회의 후, 쿠투조프는 모스크바의 부유한 남동쪽으로 철수했다. 9월 19일, 무라트는 방향을 바꿔 서쪽으로 포돌스크로 향한 쿠투조프를 놓쳤다. 그리고 타루티노에서 그는 주변 언덕과 나라 강에 의해 더 보호받을 수 있었다. 10월 3일, 쿠투조프와 그의 참모진 전원이 타루티노에 도착했다. 그는 오브닌스크에서 칼루가메딘으로 이어지는 세 갈래 길을 통제하기 위해 더 나아가고자 했는데, 나폴레옹이 남쪽이나 남서쪽으로 돌아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쿠투조프는 러시아군을 강화하고 나폴레옹의 후퇴를 기다리기 위해 대규모 군대가 참여하는 정면 전투를 피했다.[7] 이 전술은 참모총장 베니그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알렉산드르 황제에게도 심하게 비판을 받았다.

칼루가 도로를 따라 퇴각하며 화약을 보급한 후, 쿠투조프는 나폴레옹을 도발하여 말로야로슬라베츠 전투(Battle of Maloyaroslavets)를 벌였다. 이후 러시아군은 승세를 타고 퇴각하는 프랑스군을 추격하기 시작했다.

4. 3. 3. 프랑스군 추격 및 격퇴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라이 드 톨리 국방장관은 청야 전술을 선택하여 대회전을 피하고 퇴각했다. 이 전략은 많은 장병들의 불만을 샀고, 1812년 8월 17일, 표트르 바그라티온 공작 등의 지지를 받은 쿠투조프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쿠투조프는 2주 후 모스크바로 가는 길목에서 결전을 벌이기로 결심했다. 1812년 9월 7일, 양군은 보로디노 근교에서 격돌했다. 이 전투는 20만 명 이상이 참전한, 당시까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였다. 전투는 프랑스 측에 유리한 무승부로 끝났지만, 프랑스군의 4분의 1, 러시아군의 절반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 이후 쿠투조프는 필리(Fili) 마을에서의 회의 후, 이전처럼 청야 전술을 사용하여 프랑스군이 지쳐 나가떨어질 때까지 러시아군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가능한 한 퇴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결정으로 러시아는 모스크바를 포기하고 시민들을 도시 밖으로 대피시켰다. 쿠투조프는 칼루가(Kaluga) 도로를 따라 퇴각하며 화약을 보급한 후, 나폴레옹을 도발하여 말로야로슬라베츠 전투를 벌였다. 이후 러시아군은 퇴각하는 프랑스군을 추격하기 시작했다. 노련한 쿠투조프의 신중한 추격전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69만 명의 대육군 중 9만 3천 명만이 살아서 프로이센 땅을 밟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쿠투조프의 전략이 정당했음을 보여준다.

쿠투조프는 야전 원수 직위에 올랐고, 1812년 11월 스몰렌스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한 공로로 "스몰렌스크 공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20][21]

5. 죽음과 유산

쿠투조프는 1813년 초 병에 걸려, 1813년 4월 28일 당시 프로이센 왕국(Kingdom of Prussia)에 속했던 슐레지엔(Silesia)의 분즐라우(Bunzlau, 현재 폴란드의 볼레슬라비에츠)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카잔 대성당에 안치되었고, 프랑스군에게서 노획한 군기들이 함께 봉납되었다. 카잔 대성당은 제정 러시아에게 조국 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건축물이 되었다.

그를 기리는 동상이 모스크바 포클로냐야 언덕과 카잔 대성당 앞에 세워졌는데, 카잔 대성당의 동상은 보리스 올로브스키가 제작하였다. 쿠투조프는 가문을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재산은 톨스토이 가문에게 넘어갔다.

러시아 장군들 중에서 쿠투조프는 그의 스승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다음가는 평가를 받는다.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자신의 유명한 애가(elegy)인 "쿠투조프의 묘"(Kutuzov's sepulchre)에서 이 야전 원수의 활약을 노래하였다. 레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서 쿠투조프는 현명하고 인내심 강한 지도자로 묘사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 정부는 쿠투조프 훈장을 제정했는데, 이 훈장은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군사 훈장 중 하나로 건재하고 있다. 또한 붉은 군대의 주요 전략 작전 중 하나인 오룔 전략 공세 작전 "쿠투조프"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그를 기리는 의미로 여러 러시아 도시들이 "쿠투조보"로 명명되었다. 모스크바의 가장 큰 거리 중 하나인 쿠투조프스키 가는 쿠투조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소련 순양함 미하일 쿠투조프가 노보로시스크의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다. 아에로플로트는 자사 항공기 중 하나에 쿠투조프의 이름을 붙였다.

5. 1. 죽음과 장례

1813년 초, 쿠투조프는 병에 걸려 1813년 4월 28일 분즐라우(Bunzlau)에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 그의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카잔 대성당에 안치되었으며, 프랑스군에게서 노획한 군기들이 함께 봉납되었다.[26] 카잔 대성당은 제정 러시아에게 조국 전쟁 승리의 상징이 되었다.

그를 기리는 기념 동상은 모스크바 포클로냐야 언덕(Poklonnaya Hill)과 카잔 대성당 앞에 세워졌으며, 카잔 대성당의 동상은 보리스 올로브스키(Boris Orlovsky)가 제작했다.[8] 쿠투조프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재산은 장녀 프라스코비야 쿠투조바(Princess Praskovya Kutuzova)와 톨스토이 가문(Tolstoy family)의 백작 마트베이 표도로비치 톨스토이(Count Matvei Fyodorovich Tolstoy)와의 결혼으로 인해 톨스토이 가문에 상속되었다.

183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세워진 쿠투조프 기념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카잔 성당(19세기 말-20세기 초의 옛 사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카잔 성당에 있는 쿠투조프 동상.

5. 2. 쿠투조프에 대한 평가

미하일 쿠투조프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군사적 천재로 불리는 나폴레옹에게 패배를 안긴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지만, 그의 전략과 능력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존재한다.

소련 시대의 요시프 스탈린은 독소전쟁(대조국전쟁) 중 쿠투조프를 "국민적 영웅"으로 규정하고, 그의 이름을 딴 쿠투조프 훈장을 제정했다.[27] 이 훈장은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에서 높은 군사 훈장으로 남아있다.

반면, 쿠투조프가 소극적이고 겁 많은 노령의 장군에 불과했다거나, 나폴레옹을 고의로 놓아준 무능한 지휘관이라는 비판도 있다. 특히, 러시아 원정 당시 쿠투조프가 프랑스군에 대규모 공격을 가하지 않은 이유와 러시아군의 초토화 전술이 계획적인 것이었는지, 아니면 우발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쿠투조프와 바르클레이가 실시한 작전은 광대한 영토를 이용한 러시아식 전법의 한 예로서 일정한 평가를 받는다. 이는 표트르 1세가 대북방전쟁에서, 그리고 소련 붉은 군대가 대조국전쟁에서 유사한 작전으로 성공을 거둔 사례와 연결된다.

쿠투조프는 3대에 걸쳐 황제를 섬긴 노장이었지만, 알렉산드르 1세와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는 명목상의 사령관으로 강등되었고, 작전 건의도 무시당했다. 1812년 총사령관 임명 역시 알렉산드르 1세가 상당히 망설였다고 전해진다.

레프 톨스토이는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쿠투조프를 주요 인물로 등장시켜 높은 평가를 내렸다.[28] 1956년 미국 영화 <전쟁과 평화>에서는 오스카 호몰카가 쿠투조프 역을 맡았다.

다음은 쿠투조프에 대한 여러 인물들의 평가를 정리한 것이다.

인물평가
나폴레옹북쪽에서 온 교활한 늙은 여우[1]
레프 톨스토이단순하고 겸손하며, 그러므로 진정으로 위대한 인물[2]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그는 교활하고 영악하다. 그를 속일 사람은 없다.[23]
장 콜랭나폴레옹의 대담함은 아우스터리츠에서 성공했지만, 쿠투조프가 무시되었기 때문일 뿐이다.
알렉산드르 1세음모가를 꾸미고 부도덕하며 매우 위험한 인물
바클레이 드 톨리답을 서면으로 받아라. 쿠투조프를 조심해야 한다.
클라우제비츠진정한 러시아인, 약간 능력이 줄어든 수보로프
베니그센 장군그, 베니그센은 훨씬 더 나은 지휘관이 될 것이다.
알렉산더의 여동생그의 군대의 무위도식은 그의 게으름의 결과이다.
윌슨쿠투조프는 완전히 게으르고 무능했으며, 심지어 프랑스의 친구였을지도 모른다.
리처드 K. 리언나폴레옹은 단기간의 대가였고, 쿠투조프는 장기적인 것을 이해했다.


5. 2. 1. 후대의 기념



1954년 소련 시대 스몰렌스크에 세워진 쿠투조프 기념비


1945년 소련 우표에 등장한 쿠투조프


1813년 초 쿠투조프는 병에 걸려, 1813년 4월 28일 분즐라우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기념비는 모스크바 포클로냐야 언덕과 쿠투조프가 묻힌 상트페테르부르크카잔 대성당 앞에 세워졌다. 카잔 대성당의 동상은 보리스 올로브스키가 제작하였다.

러시아 장군들 중에서 쿠투조프는 그의 스승인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다음가는 평가를 받는다.[8] 알렉산드르 푸시킨은 쿠투조프의 묘비에 대한 유명한 만가에서 그를 언급했다. 레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서 쿠투조프는 현명하고 인내심 강한 지도자로 묘사된다.

제2차 세계 대전(러시아에서는 "위대한 애국 전쟁") 중 소련 정부는 쿠투조프 훈장을 제정했다. 이 훈장은 소련 해체 후에도 러시아에서 여러 다른 훈장들과 함께 보존되어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군사 훈장 중 하나로 남아 있다.[10] 주코프 훈장 다음으로 두 번째이다.[11]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붉은 군대의 주요 전략 작전 중 하나인 오룔 전략 공세 작전 "쿠투조프"() (1943년 7월 12일 ~ 8월 18일)는 이 원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소련 시대에 그를 기리는 의미로 적어도 10개의 러시아 도시가 "쿠투조보"로 명명되었다. 그중 주목할 만한 것은 1945년 소련 보병이 독일 영토에 처음 도달했던 독일의 쉬르빈트(현재 칼리닌그라드주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군의 쿠투조보)이다. 모스크바의 가장 큰 거리 중 하나인 쿠투조프스키 가는 1952년부터 쿠투조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54년 소련 해군에 쿠투조프라는 이름이 붙은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 소련 순양함 미하일 쿠투조프가 취역했다. 이 배는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의 노력 덕분에 노보로시스크의 박물관선으로 보존되어 있다.[12] 1813년 5월부터 2020년까지 영국, 미국, 러시아 제국, 소련, 러시아에서 쿠투조프의 이름을 딴 배가 최소 24척 확인되었다.[13]

서부 우크라이나 브로디 시의 쿠투조프 기념비는 2014년 2월 유로마이단 시위의 일환으로 철거되었다.[14] 탈공산화 정책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쿠투조프의 이름을 딴 거리는 2016년 올렉사 알마지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골목은 예브헨 구츠알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5]

아에로플로트는 자사 항공기 중 하나에 쿠투조프의 이름을 붙였다.[16]

6. 더 읽어보기

The Fox of the North: The Life of Kutuzov, General of War and Peace영어, 로저 파킨슨 저, 뉴욕: 데이비드 맥케이, 1976년 출판.

참조

[1] 논문 Two bullets to the head and an early winter: fate permits Kutuzov to defeat Napoleon at Moscow (2016) https://thejns.org/f[...]
[2] 논문 Two bullets to the head and an early winter: fate permits Kutuzov to defeat Napoleon at Moscow (2016) https://thejns.org/f[...]
[3] 웹사이트 Napoleon's Masterpiece: Austerlitz 1805 https://www.youtube.[...] 2018-06-28
[4] 서적 Memoiren des Königlich Preussischen Generals der Infanterie Ludwig Freiherrn von Wolzogen Wigand
[5] 웹사이트 Большие Вязёмы https://www.nivaspos[...]
[6] 서적 Napoleon's Army in Russia: The Illustrated Memoirs of Albrecht Adam, 1812 Pen & Sword Books Limited
[7] Youtube Kutusov, Russian movie from 1944 with English subtitles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31 greatest commanders in Russian history http://russian7.ru/2[...] russian7.ru 2016-03-22
[9] 웹사이트 War and peace: analysis of major characters http://www.sparknote[...] SparkNotes 2016-01-01
[10] 웹사이트 Decree of the Presidium of the Supreme Soviet of the USSR of July 29, 1942 http://www.libussr.r[...] Legal Library of the USSR 1942-07-29
[11] 법령 Decree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of 16 December 2011 No 1631 2011-12-16
[12] 웹사이트 The Cruiser "Mikhail Kutuzov" http://eng.navalmuse[...] Central Naval Museum 2019-11-13
[13] 간행물 Patriotic War of 1812 about the liberation campaigns of the Russian Army of 1813–1814. Sources. Monuments. Problems. Materials of the XXIII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3–5 September 2019. Borodino, 2020. // S. Yu. Rychkov. The historical memory about the participants of the Borodino battle in the names of ships. Pp.302–329.
[14] 뉴스 Ukraine: Russia Angry as Another Soviet Hero Statue Toppled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4-02-25
[15] 뉴스 Bandera Avenue in Kyiv to be – the decision of the Court of Appeal https://www.pravda.c[...] Ukrayinska Pravda 2021-04-22
[16] 웹사이트 The airline's fleet https://www.aeroflot[...] 2020-10-01
[17] 논문 Two bullets to the head and an early winter: fate permits Kutuzov to defeat Napoleon at Moscow (2016) https://thejns.org/f[...]
[18] 서적 Путеводитель по масонским тайнам Центр гуманитар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ЦГО)
[19] 참고자료 외川 (2004)
[20] 참고자료 倉持 (1994) pp.125-128
[21] 참고자료 和田 (2001) pp.89-92
[22] 참고자료 土肥 (2009) pp.53-54
[23] 참고자료 倉持 (1994) p.126
[24] 참고자료 和田 (2001) p.90
[25] 참고자료 倉持 (1995) pp.129-130
[26] 일반 카잔 성당 정보
[27] 참고자료 戦争用語事典 (1998) p.399
[28]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29] 일반 용병 군대의 군사 계급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