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1974년 국제결제은행(BIS) 산하에 설립된 위원회로, 국제 통화·금융 시장의 안정을 목표로 은행 감독에 관한 각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등 은행감독 관련 국제표준 제정, 각국 감독당국 간 협력 및 정보 교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바젤 I, 바젤 II, 바젤 III와 같은 국제적인 은행 규제 기준을 마련했다. 현재는 20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 증권 감독 기구, 국제 보험 감독자 협회와 함께 국제 금융 규제 기관의 합동 포럼을 구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경제 - 래퍼 곡선
    래퍼 곡선은 세율과 세수입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제 이론으로, 세율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세수입이 감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세율 인하가 세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
  • 위원회 - 이사회
    이사회는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회사의 핵심 의사 결정 기구이다.
  • 위원회 - 위원장
    위원장은 조직이나 단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고 의사 결정을 주도하는 위원회의 대표 직책이다.
  • 1974년 설립된 단체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974년 결성되어 박정희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1974년 설립된 단체 - 케이토 연구소
    케이토 연구소는 197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자유주의 성향의 싱크탱크로, 자유, 작은 정부, 자유 시장을 지지하며 경제, 사회, 외교 정책 분야에서 연구 및 출판 활동을 한다.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
개요
명칭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
영어 명칭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CBS)
약칭BCBS
유형국제 금융 규제 기구
목표은행 감독 기준 강화 및 감독 관행 개선
설립1974년
소재지스위스, 바젤
본부국제결제은행(BIS)
모체주요 10개국 중앙은행 총재
회원
회원국아르헨티나
호주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대한민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러시아
사우디 아라비아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르키예
영국
미국
구성원중앙은행 및 은행 감독 당국
주요 활동
바젤 합의바젤 I
바젤 II
바젤 III
목표은행의 자본 적정성 및 유동성 규제 강화
기타국제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 증진을 위한 감독 기준 개발
조직 구조
의장파블로 에르난데스 데 코스 (스페인 은행 총재)
사무국장벤 오도로
운영 위원회위원회의 전략적 방향 설정 및 감독
기준 구현 그룹바젤 기준의 일관된 구현 감독
정책 개발 그룹새로운 정책 이니셔티브 개발
감독 실무 그룹감독 문제에 대한 모범 사례 개발

2. 역사

1974년 6월 독일 헤르슈타트 은행(Herstatt Bankhaus) 파산에 따른 국제 통화·금융 시장의 불안정 이후, G-10 국가 중앙은행 총재회의의 결의로 은행감독에 관한 각국간 협력증대를 위해 국제결제은행(BIS) 산하 위원회로 1974년 12월 설립되었다.[4]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은행 감독 문제에 대한 정기적인 협력을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위원회의 목표는 주요 감독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 세계 은행 감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마련하며, 이 중 잘 알려진 것으로는 자본 적정성에 관한 국제 기준, 효과적인 은행 감독을 위한 핵심 원칙, 그리고 국경 간 은행 감독에 관한 협약 등이 있다.[4] 위원회의 사무국은 국제결제은행(BIS) 스위스의 바젤에 위치해 있다. BIS는 표준 설정 및 금융 안정성을 위해 활동하는 여러 국제 기구를 유치하고 지원하며,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BCBS)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위원회들과 마찬가지로 BCBS는 G10 국가의 중앙은행 총재들의 지침을 받으며 자체적인 거버넌스 체계, 보고 라인 및 의제를 가지고 있다.[5]

은행 및 금융 시장의 세계화는 글로벌 규제와 함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각국 규제 기관은 은행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남았다. 이들은 역량 문제와 정보 문제를 안고 있었다.[6] 따라서 BCBS의 목적은 공통의 접근 방식과 기준을 향해 수렴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위원회는 창립 조약이 없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다자간 기구는 아니다. BCBS는 구속력 있는 규제를 발행하지 않으며, 대신 정책 해결책과 기준이 개발되는 비공식 포럼 역할을 한다.[7]

바젤 위원회는 광범위한 감독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은행 감독에 대한 최우수 관행에 대한 성명을 권고하며 (예: 은행 규제 또는 "바젤 III 협약" 참조) 회원 당국과 기타 국가 당국이 자체적인 국가 시스템을 통해 이를 시행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한다.

바젤 위원회는 초기에는 국경을 넘는 은행업의 활발한 전개에 따라 외국 은행의 업무가 규제 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은행에 대한 충분한 감독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988년에는 국제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은행의 자본력을 강화하기 위해 위원회에 참여한 각국이 각각 실시하기로 약속한 공통 최저 자기자본비율을 결정했다.( 바젤 I ) 그후, 바젤 II를 거쳐, 2009년 이후 바젤 II를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일련의 성과는 바젤 III라고 통칭된다.

2. 1. 바젤 I (BIS 규제)

국제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은행의 자본력을 강화하기 위해 위원회에 참여한 각국이 각각 실시하기로 약속한 공통 최저 자기자본비율을 결정했다. 이것이 이른바 Basel I영어 (이른바 BIS 규제)라고 불리는 합의이다. 바젤 I은 기본적으로 은행이 보유하는 자산의 신용 위험 총량에 대해 8%의 자기자본 보유를 의무화했지만, 파생 상품 거래의 일반화 등 1990년대 후반 이후 국제 금융 시장의 발전에 비추어 기준 체계의 미비점이 눈에 띄게 되었기 때문에 바젤 위원회는 위험 측정 방식을 더욱 정교하게 하는 등 바젤 II(2004년 최종 결정)를 제정하게 되었다.

2. 2. 바젤 II

국제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은행의 자본력을 강화하기 위해 위원회에 참여한 각국이 각각 실시하기로 약속한 공통 최저 자기자본비율을 결정했다. 이것이 이른바 Basel I|바젤 I영어 (이른바 BIS 규제)라고 불리는 합의이다. 바젤 I은 기본적으로 은행이 보유하는 자산의 신용 위험 총량에 대해 8%의 자기자본 보유를 의무화했지만, 파생 상품 거래의 일반화 등 1990년대 후반 이후 국제 금융 시장의 발전에 비추어 기준 체계의 미비점이 눈에 띄게 되었기 때문에 바젤 위원회는 위험 측정 방식을 더욱 정교하게 하는 등 바젤 II (2004년 최종 결정)를 제정하게 되었다.

2. 3. 바젤 III

바젤 위원회는 초기에는 국경을 넘는 은행업의 활발한 전개에 따라 외국 은행의 업무가 규제 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은행에 대한 충분한 감독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988년에는 국제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은행의 자본력을 강화하기 위해 위원회에 참여한 각국이 각각 실시하기로 약속한 공통 최저 자기자본비율을 결정했다. 이것이 이른바 바젤 I(BIS 규제)이라고 불리는 합의이다. 바젤 I은 기본적으로 은행이 보유하는 자산의 신용 위험 총량에 대해 8%의 자기자본 보유를 의무화했지만, 파생 상품 거래의 일반화 등 1990년대 후반 이후 국제 금융 시장의 발전에 비추어 기준 체계의 미비점이 눈에 띄게 되었기 때문에 바젤 위원회는 위험 측정 방식을 더욱 정교하게 하는 등 바젤 II(2004년 최종 결정)를 제정하게 되었다. 또한, 바젤 위원회는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발생한 국제 금융 경제 위기의 배경이 된 은행 감독의 문제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은행 자기자본의 질 향상, 위험 관리의 한층 더 강화라는 관점에서 2009년 이후 바젤 II를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일련의 성과는 바젤 III라고 통칭된다.[1]

3. 기능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등 은행감독과 관련한 국제표준 제정, 각국 감독당국 간 협력 및 정보교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등 은행감독 관련 국제표준 제정
  • 감독업무의 질적 수준 향상 및 가이드라인 개발
  • 각국 감독제도의 잠재적 애로요인에 대한 조기경보체제 개선
  • 각국 감독당국 간 협력 증진 및 정보 교환 촉진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은행 감독 문제에 대한 정기적인 협력을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위원회의 목표는 주요 감독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 세계 은행 감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마련하며, 이 중 잘 알려진 것으로는 자본 적정성에 관한 국제 기준, 효과적인 은행 감독을 위한 핵심 원칙, 그리고 국경 간 은행 감독에 관한 협약 등이 있다.[4] 위원회의 사무국은 국제결제은행(BIS) 스위스 바젤에 있다. BIS는 표준 설정 및 금융 안정성을 위해 활동하는 여러 국제 기구를 유치하고 지원하며,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BCBS)도 그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위원회들과 마찬가지로 BCBS는 G10 국가의 중앙은행 총재들의 지침을 받으며 자체적인 거버넌스 체계, 보고 라인 및 의제를 가지고 있다.[5]

은행 및 금융 시장의 세계화는 글로벌 규제와 함께 이루어지지 않았다. 각국 규제 기관은 은행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남았다. 이들은 역량 문제와 정보 문제를 안고 있었다.[6] 따라서 BCBS의 목적은 공통의 접근 방식과 기준을 향해 수렴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위원회는 창립 조약이 없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다자간 기구는 아니다. BCBS는 구속력 있는 규제를 발행하지 않으며, 대신 정책 해결책과 기준이 개발되는 비공식 포럼 역할을 한다.[7]

바젤 위원회는 광범위한 감독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은행 감독에 대한 최우수 관행에 대한 성명을 권고하며 (예: 은행 규제 또는 "바젤 III 협약" 참조) 회원 당국과 기타 국가 당국이 자체적인 국가 시스템을 통해 이를 시행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한다.

바젤 위원회는 은행 감독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공통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전 세계 각국의 은행 감독 강화를 목표로 하는 위원회이다. 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형성된 공통의 이해를 바탕으로 은행 감독에 관한 개괄적인 기준, 지침 또는 권고사항(바젤 협약)을 정리하여, 이를 회원국 및 다른 국가의 규제 감독 당국이 각국 고유의 법령을 제정할 때 참조하게 함으로써 은행 감독에 관한 국제적인 공통의 접근 방식 또는 기준이 형성되도록 촉진하고 있다. 다시 말해, 국제적인 규제 자체를 제정하거나 시행할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다.

4. 조직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은행 감독 문제에 대한 정기적인 협력을 위한 포럼으로, 주요 감독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 세계 은행 감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4] 위원회는 비공식 포럼으로서 정책 해결책과 기준을 개발한다.[7]

위원회의 사무국은 국제결제은행(BIS) 본부가 있는 스위스 바젤에 위치한다. BIS는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BCBS)를 포함한 여러 국제 기구를 지원하지만, BCBS는 G10 국가의 중앙은행 총재들의 지침을 받는 자체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가지고 있다.[5]

위원회의 회원국은 G20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홍콩 특별 행정구,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한국,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러시아, 사우디 아라비아,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영국, 미국 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연 4회 개최되며, 하부 그룹 회의도 빈번하게 개최된다. 위원회의 주요 결론은 회원국 중앙은행 총재 및 감독 당국 장관 회의에 보고된다. 2011년 7월 1일부터 스웨덴 국립 은행(Sveriges Riksbank) 총재인 스테판 잉베스(Stefan Ingves)가 의장을 맡고 있다.

4. 1. 하위 조직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하위 조직을 두고 있다.

  • 의장(Chairman): 나우트 웰링크 네덜란드 중앙은행 총재
  • 사무국(Secretariat): 스위스 바젤BIS 본부에 위치
  • 4개의 주요 전문 하위 조직(sub-committees)
  • 기준 이행 그룹(SIG)
  • 운영 리스크 소그룹: 운영 리스크에 대한 고급 측정 방식과 관련된 문제 해결
  • 칼리지 태스크 포스: 감독 칼리지에 대한 바젤 위원회의 작업에 대한 지침 개발
  • 보상 태스크 포스: 건전한 보상 관행 채택 촉진
  • 기준 모니터링 절차 태스크 포스: 기준 모니터링 및 이행의 효율성과 일관성 향상을 위한 절차 개발
  • 정책 개발 그룹(PDG)
  • 리스크 관리 및 모델링 그룹: 리스크 측정 및 관리의 최신 발전에 대한 업계와의 연락 창구
  • 연구 태스크 포스: 회원 기관의 경제학자들이 학계와 협력하여 금융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논의하도록 지원
  • 트레이딩 북 그룹: 트레이딩 북의 리스크를 규제 자본으로 어떻게 포착해야 하는지 검토
  • 유동성 실무 그룹: 유동성 리스크 관리 및 규제에 대한 글로벌 기준 마련
  • 자본 정의 소그룹: 적격 자본 도구 검토
  • 자본 모니터링 그룹: 자본 요구 사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국가 감독 기관의 전문 지식 조정
  • 국경 간 은행 해결 그룹: 국경 간 운영이 중요한 은행 해결에 대한 국가 정책, 법적 프레임워크 및 책임 할당 비교
  • 회계 전문가 그룹(AEG): 회계 및 감사 기준이 건전한 리스크 관리를 촉진하여 은행 시스템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유지하도록 보장
  • 감사 소그룹: 주요 감사 문제를 탐구하고 기준을 홍보하기 위해 다른 기관과 협력
  • 바젤 협의 그룹(BCG): 비회원국과의 대화를 포함하여 은행 감독 기관 간의 참여 촉진

5. 회원국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최초 G-10 국가(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를 회원국으로 하였다. 1964년 스위스가 G-10 국가로 활동하면서 회원국에 추가되었고, 이후 스페인, 룩셈부르크가 회원국으로 승인되었다. 2009년 3월 15일에는 대한민국, 호주, 브라질, 러시아, 중국, 인도, 멕시코가 신규 가입하여 현재는 20개 국가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까지 위원은 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등 선진국만 포함했다. 현재 회원국은 G20 국가를 중심으로 중앙 은행 및 금융 감독을 담당하는 행정 당국의 대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위원회 위원은 다음 국가에서 온다.


6. 역대 의장 및 사무총장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는 의장과 사무총장을 두어 운영되어 왔다. 역대 의장, 사무총장, 그리고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의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6. 1. 역대 의장

재임 기간이름국적비고
1975-1977조지 블런든(George Blunden)영국영어
1977-1988피터 쿡(Peter Cooke)영국영어
1988-1991호이프 뮐러(Huib Muller)네덜란드nl
1991스티그 다니엘손(Stig Danielsson)스웨덴sv직무대행
1991-1993제럴드 코리건(Gerald Corrigan)미국영어
1993-1997토마소 파도아-스키오파(Tommaso Padoa-Schioppa)이탈리아it
1997-1998톰 데 스반(Tom de Swaan)네덜란드nl
1998-2003윌리엄 맥도노(William McDonough)미국영어
2003-2006하우메 카루아나(Jaime Caruana)스페인es
2006-2011노트 웰링크(Nout Wellink)네덜란드nl
2011-2019스테판 잉베스(Stefan Ingves)스웨덴sv
2019-2024파블로 에르난데스 데 코스(Pablo Hernández de Cos)스페인es[12]
2024년 5월 ~에릭 테덴(Erik Thedéen)스웨덴sv


6. 2. 역대 사무총장

재임 기간이름국적
1975년-1984년마이클 딜트리Michael Diltree|마이클 딜트리영어
1984년-1988년크리스 톰슨Chris Thompson|크리스 톰슨영어
1988년-1992년피터 헤이워드Peter Hayward|피터 헤이워드영어
1992년-1997년에릭 머쉬Eric Meursch|에릭 머쉬nl
1997년-2003년다니엘 누이프랑스 [13]
2003년-2006년氷見野良三|히미노 료조일본어일본 [14]
2006년-2011년Stefan Walter|슈테판 발터de독일/미국 [15]
2012년-2014년웨인 바이러스호주 [16]
2014년-2019년윌리엄 코엔미국 [17]
2019년-2022년캐롤린 로저스캐나다 [18]
2022년 이후닐 에쇼호주 [19]


6. 3.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의장

역대 의장
장클로드 트리셰 (유럽 중앙 은행), 2010-2011
머빈 킹 (영국), 2011-2017
마리오 드라기 (유럽 중앙 은행), 2013-2019[10]
프랑수아 빌로이 드 갈로 (프랑스), 2019-2022
티프 맥클렘 (캐나다), 2022년~현재[11]
스테판 잉베스 (스웨덴 국립 은행 총재), 2011년 7월 1일~


참조

[1] 웹사이트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http://www.bis.org/b[...]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asel Committee and its Membership http://www.bis.org/b[...]
[3] 웹사이트 Basel Committee membership https://www.bis.org/[...] 2019-05-26
[4] 웹사이트 About the Basel Committee http://www.bis.org/b[...] 2011-08-30
[5] 간행물 About committees and associations https://www.bis.org/[...] 2005-08-04
[6] 서적 Global business regul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논문 Rules that Many Use: Standards and Global Regulation
[8] 서적 The Fundamentals of Risk Measurement McGraw Hill
[9] 서적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 a history of the early years, 1974-1997
[10] 간행물 Agustín Carstens to chair the BIS Economic Consultative Committee and the BIS Global Economy Meeting; Mario Draghi to chair the Group of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https://www.bis.org/[...] 2013-06-05
[11] 간행물 Tiff Macklem appointed Chair of the Group of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oversight body of the Basel Committee https://www.bis.org/[...] 2022-04-01
[12] 간행물 Basel Committee organisation and governance https://www.bis.org/[...] 2016-12-27
[13] 웹사이트 Danièle Nouy – Ideal candidate https://www.politico[...] 2014-01-08
[14] 웹사이트 Ryozo Himino https://www.fsb.org/[...] 2023-03-29
[15] 웹사이트 Stefan Walter to become new CEO of FINMA https://www.finma.ch[...] 2024-01-24
[16] 웹사이트 Chair of the 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 https://ministers.tr[...] 2022-07-26
[17] 웹사이트 William (Bill) Coen https://www.torontoc[...]
[18] 웹사이트 Carolyn Rogers, Senior Deputy Governor https://www.bankofca[...]
[19] 간행물 Neil Esho appointed Secretary General of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https://www.bis.org/[...] 2022-01-27
[20] 간행물 Rules that many use : standards and global regulation 20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