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裵)는 한국과 중국, 베트남에서 사용되는 성씨이다. 한국의 배씨는 신라 건국 설화와 고려 개국 공신 배현경을 시조로 하는 두 계통으로 나뉘며, 경주 배씨가 시조이자 모든 배씨의 도시조이다. 주요 본관으로는 경주, 성주, 분성, 대구, 흥해, 곤양, 함흥, 화순, 협계, 남해 배씨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 47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중국의 배씨는 하동 배씨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며, 중국 역사상 많은 재상과 고위 관료, 황실 인척을 배출한 명문 귀족 가문이다. 베트남의 배씨는 인구 순위 9위의 성씨이다. 한국에서는 '裵'를 정자로, 중국에서는 '裴'를 정자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배 (성씨) | |
---|---|
성씨 정보 | |
한글 | 배 |
한자 | 裵 |
로마자 표기 | Bae |
문화관광부 표기 | Bae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ae |
기타 정보 | |
영어 표기 | Bae, Bai, Bay, Pae, Pai, Pay |
2. 기원
한국 배씨(裵氏)의 기원은 크게 두 계통으로 나뉜다.
== 신라 건국 설화 ==
진한 건국 설화에 따르면, 사로 6촌(斯盧六村)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촌장 '''지타'''(祗陀, 只他)는 다른 6부 촌장들과 함께 혁거세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하였다. 32년 신라 유리왕은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가리부(加利部)를 한지부(漢祗部)로 고치고 '''배(裵)'''씨 성을 사성하였다. 성덕왕 때의 상대등(上大等) 배부(裵賦), 희강왕 때의 아찬(阿飡) 배훤백(裵萱伯), 정강왕 때의 현령(縣令) 배영숭(裵零崇)의 기록이 정사(正史)에 나타나지만, 그 후손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 고려 개국 공신 ==
배현경(裵玄慶)은 처음 이름이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衫)으로 성씨가 없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게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벼슬이 대광(大匡)에 이르렀고, 신숭겸(申崇謙)·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과 함께 고려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다. 경주 배씨의 시조이자 모든 배씨의 도시조이다. 그의 현손 사혁의 장남 원룡은 김해, 차남 천룡은 성주, 삼남 운룡은 대구, 사남 오룡은 흥해로 각각 분파되었다.
2. 1. 신라 건국 설화
진한 건국 설화에 따르면, 사로 6촌(斯盧六村) 중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촌장 '''지타'''(祗陀, 只他)는 다른 6부 촌장들과 함께 혁거세를 신라 초대 왕으로 추대하였다. 32년 신라 유리왕은 금산가리촌(金山加利村) 가리부(加利部)를 한지부(漢祗部)로 고치고 '''배(裵)'''씨 성을 사성하였다. 성덕왕 때의 상대등(上大等) 배부(裵賦), 희강왕 때의 아찬(阿飡) 배훤백(裵萱伯), 정강왕 때의 현령(縣令) 배영숭(裵零崇)의 기록이 정사(正史)에 나타나지만, 그 후손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2. 2. 고려 개국 공신
배현경(裵玄慶)은 처음 이름이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衫)으로 성씨가 없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에게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벼슬이 대광(大匡)에 이르렀고, 신숭겸(申崇謙)·홍유(洪儒)·복지겸(卜智謙)과 함께 고려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다. 경주 배씨의 시조이자 모든 배씨의 도시조이다. 그의 현손 사혁의 장남 원룡은 김해, 차남 천룡은 성주, 삼남 운룡은 대구, 사남 오룡은 흥해로 각각 분파되었다.3. 본관
한국의 배씨는 10개 안팎의 본관이 전해지지만, 모두 배현경을 시조로 하는 동원 혈족이다.
모든 배씨는 신라 육부촌 금산가리촌(한기부)의 촌장 기타공에게 연원을 두고 있으며, 고려의 개국 공신 배현경이 경주 배씨의 시조이자 모든 배씨의 도시조이다. 배현경은 고려 태조 왕건을 옹립하는데 큰 공을 세워 개국일등공신에 오르고 대광을 역임하였으며,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그의 현손 사혁의 장남 원룡은 김해, 차남 배천룡은 성주, 삼남 배운룡은 대구, 사남 배오룡은 흥해로 각각 분파되었다. 또한 흥해에서 협계가 나왔다는 기록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 '''경주 배씨'''(慶州裵氏) 시조 배현경은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조선시대 인물인 '''배충과'''(裵忠果)를 중시조로 삼으며, 배충과는 의술에 능하여 조선 중종 때 의서습독관에 제수되었으며, 경주처사의 호가 내려졌다.
- '''성주 배씨'''(星州裵氏) 시조 '''배위준'''은 고려시대에 삼중대광 벽상공신에 올랐다. 그의 5세손 배인경은 고려 충선왕 때 추밀원사를 역임하고, 충숙왕 때 흥안부원군에 봉해졌다. 11세손 배극렴은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어 성산백에 봉해졌다.
- '''분성 배씨'''(盆城裵氏) 시조 '''배원룡'''은 도병마사 및 평장사 등을 역임하고, 고려 우왕 때 분성군에 봉해졌다.
- '''대구 배씨'''(大邱裵氏) 시조는 고려 중엽 달성군에 추증된 '''배운룡'''이다. 그의 8세손인 배정지가 고려조에 밀직부사에 올랐다. 배정지의 둘째 아들 배천경이 1354년(공민왕 3)에 달성군에 봉해지고, 1358년(공민왕 7년)에 판추밀원사를 거쳐 동경윤을 역임하였다.
- '''흥해 배씨'''(興海裵氏) 시조 '''배경분'''은 고려시대에 겸교장군을 역임했다. 그의 6세손 배전은 고려 충혜왕 때 호군을 거쳐 군부판서로 조적의 난 때 왕을 호종하여 익대좌명공신 삼중대광첨의평리에 책록되고 흥해군에 봉해졌다.
- '''곤양 배씨'''(昆陽裵氏) 시조 '''배맹달'''은 조선 세조 13년(1467년)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에 서훈되고, 가정대부 행 호분위 상호군에 올랐으며, 곤산군에 봉해졌다.
- '''함흥 배씨'''(咸興裵氏) 시조 '''배덕수'''는 조선시대에 교서관 박사를 역임하였다.
- '''화순 배씨'''(和順裵氏) 시조 '''배련'''은 고려시대에 국자감 진사가 되었다.
- '''협계 배씨'''(俠溪裵氏) 시조 '''배진'''은 고려시대에 합문사인을 역임하였다.
- '''남해 배씨'''(南海裵氏) 시조 '''배순'''은 조선 성종 때 가선대부 경기감사를 역임하였다.
배씨는 조선 시대에 47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오늘날 배씨의 최대 종은 성주 배씨이다.
3. 1. 주요 본관
모든 배씨는 신라 육부촌 금산가리촌(한기부)의 촌장 기타공에게 연원을 두고 있으며, 고려의 개국 공신 배현경이 경주 배씨의 시조이자 모든 배씨의 도시조이다. 배현경은 고려 태조 왕건을 옹립하는데 큰 공을 세워 개국일등공신에 오르고 대광을 역임하였으며, 배씨 성을 사성받았다. 그의 현손 사혁의 장남 원룡은 김해, 차남 천룡은 성주, 삼남 운룡은 대구, 사남 오룡은 흥해로 각각 분파되었다. 또한 흥해에서 협계가 나왔다는 기록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경주 배씨'''(慶州裵氏) 시조 배현경은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조선시대 인물인 '''배충과'''(裵忠果)를 중시조로 삼으며, 배충과는 의술에 능하여 조선 중종 때 의서습독관에 제수되었으며, 경주처사의 호가 내려졌다.
- '''성주 배씨'''(星州裵氏) 시조 '''배위준'''은 고려시대에 삼중대광 벽상공신에 올랐다. 그의 5세손 배인경은 고려 충선왕 때 추밀원사를 역임하고, 충숙왕 때 흥안부원군에 봉해졌다. 11세손 배극렴은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어 성산백에 봉해졌다.
- '''분성 배씨'''(盆城裵氏) 시조 ''' 배원룡'''은 도병마사 및 평장사 등을 역임하고, 고려 우왕 때 분성군에 봉해졌다.
- '''대구 배씨'''(大邱裵氏) 시조는 고려 중엽 달성군에 추증된 '''배운룡'''이다. 그의 8세손인 배정지가 고려조에 밀직부사에 올랐다. 배정지의 둘째 아들 배천경이 1354년(공민왕 3)에 달성군에 봉해지고, 1358년(공민왕 7년)에 판추밀원사를 거쳐 동경윤을 역임하였다.
- '''흥해 배씨'''(興海裵氏) 시조 '''배경분'''은 고려시대에 겸교장군을 역임했다. 그의 6세손 배전은 고려 충혜왕 때 호군을 거쳐 군부판서로 조적의 난 때 왕을 호종하여 익대좌명공신 삼중대광첨의평리에 책록되고 흥해군에 봉해졌다.
- '''곤양 배씨'''(昆陽裵氏) 시조 '''배맹달'''은 조선 세조 13년(1467년)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에 서훈되고, 가정대부 행 호분위 상호군에 올랐으며, 곤산군에 봉해졌다.
- '''함흥 배씨'''(咸興裵氏) 시조 '''배덕수'''는 조선시대에 교서관 박사를 역임하였다.
- '''화순 배씨'''(和順裵氏) 시조 '''배련'''은 고려시대에 국자감 진사가 되었다.
- '''협계 배씨'''(俠溪裵氏) 시조 '''배진'''은 고려시대에 합문사인을 역임하였다.
- '''남해 배씨'''(南海裵氏) 시조 '''배순'''은 조선 성종 때 가선대부 경기감사를 역임하였다.
배씨는 조선 시대에 47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오늘날 배씨의 최대 종은 성주 배씨이다.
4. 인물
배현경은 고려의 무신이었다. 배중손과 배정지 역시 고려의 무신이었다. 배천경은 고려의 문신이었다. 배극렴은 고려와 조선의 무신이었다. 배흥립과 배설은 조선의 무신이었다.
배달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었다. 배창호는 영화 감독이다. 배정민과 배정미는 성우이다. 배용준, 배두나, 배그린, 배수빈, 배슬기는 배우이다. 배수지는 아이돌 그룹 미쓰에이의 멤버이다. 배용균은 영화 감독이다. 배현진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자 전 아나운서이다. 배상문, 배경은은 프로 골프 선수이다. 배영수, 배영섭, 배장호는 야구 선수이다. 배유나는 배구 선수이다. 배대원, 배승민, 배천석, 배해민, 배기종은 축구 선수이다.
4. 1. 역사 인물
배현경은 고려의 무신이었다. 배중손과 배정지 역시 고려의 무신이었다. 배천경은 고려의 문신이었다. 배극렴은 고려와 조선의 무신이었다. 배흥립과 배설은 조선의 무신이었다.4. 2. 현대 인물
배상면, 배순훈, 배흥준, 배찬병, 배해동, 배호원, 배선령, 배수곤, 배종렬, 배동조, 배영호, 배정현, 배성로, 배영환, 배도, 배대성, 배대환, 배혜정, 배중호, 배광우, 배윤성, 배재경, 배일동 등 많은 기업인들이 배씨 성을 가지고 있다.배중혁, 배헌, 배상연, 배성기, 배성룡, 배길도, 배명국, 배기선, 배종무, 배일도, 배의환, 배명인, 배영식, 배성기, 배은희, 배국환, 배성동, 배길랑, 배덕광, 배종신, 배창규, 배성범, 배상윤, 배수강 등은 공직에서 활동했다.
배상명, 배길기, 배명진, 배경훈, 배상훈, 배상욱, 배일환, 배성근, 배병삼, 배영자, 배대식, 배기범, 배재환, 배진영, 배상혁 등은 교육계에 종사했다.
배용준, 배두나, 배종옥, 배도환, 배누리, 배슬기, 배그린, 배성우, 배유람, 배민희, 배영선, 배민수, 배민정, 배수빈, 배소은, 배세라, 배영준, 배강유 등은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배다빈(1993년 출생), 배현성 (1999년 출생), 배인혁 (1998년 출생)도 배우이다.
배호, 배철수, 배수지, 배다해, 배기성, 배성우, 배주현, 배유빈, 배진예, 배우희, 배소민, 배수정, 배성연, 배성, 배인혁, 배영준, 배제욱, 배재원, 배지연, 배진영 등은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배진영 (예명 펀치, 1993년 출생)은 대한민국 가수이다. 배진영 (2000년 출생)은 가수이자 배우이며, 보이 그룹 CIX와 워너원의 前 멤버이다.
배영수, 배상문, 배영섭, 배힘찬, 배유나, 배연주, 배장호, 배기종, 배민희, 배은혜, 배슬기, 배천석, 배효성, 배재준, 배경은, 배선우, 배홍희, 배재환, 배진홍, 배정민 등은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배은혜 (1982년 출생)는 유도 선수, 배은미 (1973년 출생)는 체조 선수, 배준서 (2000년 출생)는 태권도 선수, 배진석 (1978년 출생)는 복싱 선수, 배기석 (1987–2010)은 복싱 선수였다.
배삼룡, 배일집, 배영만, 배동성 등은 희극 배우로 활동했다.
배기완, 배성재, 배현진, 배지현, 배수경, 배수연, 배소윤 등은 아나운서로 활동하고 있다. 배현진 (1983년 출생)은 방송인이자 정치인이다.
배한성, 배정미, 배정민, 배진홍, 배주영, 배영규 등은 성우로 활동하고 있다.
배금택, 배진수, 배철완 등은 만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배병우, 배재민, 배성웅, 배어진, 배준식 등은 프로게이머로 활동하고 있다.
배정남, 배성희, 배윤영, 배혜령, 배수현, 배선영 등은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배창호, 배원세 등은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배창호 (1953년 출생)는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배재철, 배장흠, 배상재, 배상원, 배장은 등은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다.
배해선, 배수현, 배은빈, 배정민은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배해선 (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배민우는 무용가이다.
배범근 (1993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배병우 (1950년 출생)는 대한민국 사진작가, 배찬수 (1998년 출생)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 배대원 (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 배일환 (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배재정 (1968년 출생)은 대한민국 정치인, 배재우 (1993년 출생)은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 배지환 (1999년 출생)은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배준호 (2003년 출생)은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 케네스 배 (1968년 출생)는 북한에 억류된 미국 선교사, 배남주 (1965년 출생)은 대한민국 前 프로 테니스 선수, 배세화 (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 예술가, 배승희 (1983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 배승진 (1987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 배신영 (1992년 출생)은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 배소희 (1993년 출생)은 대한민국 사격 선수, 배소라 (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 필드 하키 선수, 배수용 (1998년 출생)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 배수아 (1965년 출생)은 대한민국 작가이자 번역가, 배성덕 (1970년 출생)은 대한민국 사격 선수이다.
5. 중국의 배(裴)씨
중국의 배(페이/裴중국어)씨는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인물 백익의 후예로 영성(嬴姓) 계통이며 비자(非子)의 12대손인 진 환공(秦桓公)의 아들 후자침(后子鍼)을 시조로 삼는다.
중국 중세의 저명한 문벌 귀족 중 하나로, 하동 배씨(河東裴氏)로 시칭(時稱)되었다. 배씨는 진(秦), 한(漢)의 고대부터 기반을 닦아, 위(魏), 진(晉)을 거쳐 수(隋), 당(唐) 때 이르러 전성기를 누렸다. 청(淸)나라 때 편찬한 《배씨세보》(裴氏世譜)에 따르면, 배씨는 중국역사상 재상 59명, 대장군 59명, 중서시랑 14명, 상서 55명, 시랑 44명, 상시 11명, 어사 10명, 절도사, 관찰사, 방어사 25명, 자사 211명, 태수 77명을 배출했다. 그리고 작위가 공(公)이 89명, 후(候)가 33명, 백(伯)이 11명, 자(子)가 18명, 남(男)이 13명이었다. 황실과의 인척관계를 보면, 황후가 3명, 태자비가 4명, 왕비가 2명, 부마가 21명, 공주가 20명이었다. 정사에 전(傳)을 남기거나 열거된 자가 600여명에 이르고, 7품 이상의 관리들만 3,000여 명에 달하였다.
5. 1. 중국 인물
6. 베트남의 배씨
베트남의 배(뿌이/Bùivi)씨는 베트남 성씨 인구 순위 9위로 한국, 중국에 비해 순위권에 드는 성씨이다.
7. 표기
후한 허신의 《설문해자》에 따르면, '裵'가 본래 글자이고 '裴'는 변형된 글자이다. 역사적으로 '裵' 자가 쓰여 왔으며, 필기체인 행서나 초서에서도 '裵' 또는 두 글자가 함께 쓰였다. 다만, 현재 중국에서는 이해가 쉬운 '裴'를 정자로 사용하고, 한국에서는 원래 글자인 '裵'를 정자로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성씨ㆍ본관별 인구 - 시군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08-12
[2]
서적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9-06-25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