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 너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어 너클"은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세 개의 게임으로 구성된 메가 드라이브용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는 전직 경찰관들이 범죄 조직과 싸우는 내용을 다루며, 캡콤의 "파이널 파이트"와 유사한 횡스크롤 격투 액션 방식을 채택했다. 첫 번째 작품은 "베어 너클"로, 이후 "베어 너클 2"와 "베어 너클 3"가 출시되었다. 1990년대 세가의 인기 프랜차이즈 중 하나였으나, 2020년에 "Streets of Rage 4"가 출시되기 전까지 25년 이상 새로운 게임이 나오지 않았다. 이 시리즈는 만화, 사운드트랙, 소설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으며, 특히 유조 코시로의 사운드트랙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 랑그릿사
랑그릿사는 NCS가 개발하고 메사이아 브랜드로 출시한 메가 드라이브용 시뮬레이션 RPG로, 시나리오 기반의 대규모 전투와 빛의 여신 루시리스와 어둠의 신 카오스의 대립, 성검 랑그릿사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룬다. - 1991년 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소닉 더 헤지혹은 세가의 대표적인 마스코트 캐릭터이자 빠른 속도감을 강조한 게임 플레이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확장된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다. - 세가의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 풋볼 매니저
풋볼 매니저는 Sports Interactive에서 개발하고 세가에서 배급하는 현실적인 축구 매니지먼트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구단 운영, 선수 관리, 전술 설정 등의 깊이 있는 게임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세가의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 세계수의 미궁
세계수의 미궁은 아틀라스에서 제작한 1인칭 시점의 던전 탐험 RPG 시리즈로, 플레이어가 캐릭터를 제작하여 파티를 구성하고 터치 패널로 지도를 그리면서 던전을 탐험하며, 직업, 스킬, 은퇴 시스템, 오토 맵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 동방 프로젝트
동방 프로젝트는 ZUN이 제작한 탄막 슈팅 게임 시리즈로, 환상향이라는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인간과 요괴의 공존, 스펠 카드 시스템, 다채로운 등장인물, 그리고 방대한 2차 창작물이 특징적인 일본 동인 문화에 큰 영향을 준 작품이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
파이널 판타지는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에서 1987년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로, 각 작품은 독립적인 세계관을 가지나 공통 요소와 판타지 및 공상과학적 설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믹스를 통해 확장되었으며, 전투 시스템과 성장 시스템의 변화를 거듭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베어 너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장르 | 진행형 격투 게임 |
개발사 | 세가 AM7 Ancient Lizardcube 가드 크러시 게임스 Dotemu |
배급사 | 세가 게임스 Dotemu |
작곡가 | 고시로 유조 Motohiro Kawashima |
플랫폼 | 세가 제네시스 게임 기어 세가 마스터 시스템 세가 CD 아케이드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One Windows MacOS 리눅스 Stadia |
첫 번째 출시 버전 | 베어 너클: 분노의 철권 |
첫 번째 출시일 | 1991년 8월 2일 |
최신 출시 버전 | 베어 너클 4 |
최신 출시일 | 2020년 4월 30일 |
2. 게임 시리즈의 역사
1991년 첫 작품이 출시된 이후, 1994년 베어 너클 3까지 총 세 편의 시리즈가 메가 드라이브용으로 발매되었다.
메가드라이브에서 큰 인기를 얻었음에도, 후속 기종인 세가 새턴에서는 3D 버전 출시 루머만 있었을 뿐 실제 제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드림캐스트 시절에는 베어 너클 4의 데모 버전이 공개되기도 했으나, 세가 미국 본사에서 시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동영상을 삭제했다. 이 데모 영상의 일부는 유튜브에 유출되었다.[1]
2007년경에는 스페인의 게임 제작 동호회 '봄버게임[75][76]'에서 제작한 무료 리메이크 버전이 공개되었다. 이 리메이크는 베어 너클 2를 기반으로 1, 2, 3탄의 모든 캐릭터와 시스템을 선택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세가는 저작권 문제를 이유로 공식 홈페이지를 폐쇄 조치했다.
2. 1. 오리지널 3부작
1991년 1탄이 발매된 후, 1994년 3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후속작은 발매되지 않고 있다.1991년 발매된 1탄에는 애덤, 액슬, 블레이즈 3명의 주인공이 등장하며, 이후 시리즈의 기본 골격이 되었다. 2탄은 그래픽과 게임 시스템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고, 프로레슬러 맥스와 애덤의 동생 새미(영문명: 에디/스케이트)가 주인공으로 추가되었다.
1994년에 발매된 3탄은 게임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래픽은 더 사실적이고 세련되어 보였지만, 게임성은 2탄에 비해 큰 발전이 없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북미판의 경우 난이도가 매우 높았다.
각 시리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베어 너클
- 베어 너클 2
- 베어 너클 3
2. 1. 1. 베어 너클 (1991)
1991년 세가에서 발매한 메가 드라이브용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이다. 베어 너클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전직 경찰관인 액슬 스톤, 블레이즈 필딩, 아담 헌터가 범죄 조직의 수장 미스터 X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이 게임은 화면상의 모든 보스 외 적을 물리치는 시노비 스타일의 특수 공격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의 유일한 게임이다.[37] 캡콤의 파이널 파이트(1989년)의 요소를 더한 작품이다.
메가 드라이브 외에도 게임 기어, 세가 마스터 시스템, Wii, i 애플리케이션, iOS, Windows Mobile, Windows, 닌텐도 3DS, 안드로이드, 리눅스, Mac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
개발 | 세가 제6AM 연구 개발부 |
---|---|
유통 | 세가 |
디자이너 | 오바 노리카츠, 지노 히로아키 |
프로그래머 | 모모타 히로시, LITTLE SUN |
작곡가 | 고다이 유조 |
아티스트 | 기요미야 아츠시, 후쿠다 히로미, NANDEMO, UDI |
고다이 유조는 레드불과의 인터뷰에서 이 작품의 곡을 제작할 때 처음으로 해외 시장을 의식했다고 밝혔다.[38] 메가 드라이브는 일본보다 구미에서 더 많이 팔렸고, 이들 국가에서는 퓨전 계열의 음악보다 클럽 뮤직의 인기가 높았다. 고다이는 소울 II 소울과 에니그마의 영향을 받아 오프닝 트랙을 만들었다고 한다.
2. 1. 2. 베어 너클 2 (1992)
'''베어 너클 II: 사투에의 진혼가'''(ベア・ナックルII 死闘への鎮魂歌)는 1992년 12월 20일 북미에서 일본의 세가가 발매한 메가 드라이브용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시리즈 2번째 작품이다. 일본에서는 1993년 1월 14일에 발매되었다.이 작품은 납치된 아담을 구하기 위해 블레이즈, 액셀, 액셀의 친구 맥스, 그리고 아담의 동생 새미가 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코시로 유조와 카와시마 모토히로가 작곡한 새로운 음악은 90년대 초 클럽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더욱 선명해진 그래픽과 더 많은 동작을 선보였다. 또한 에디 "스케이트" 헌터와 맥스 썬더(또는 일부 지역에서는 새미 "스케이트" 헌터와 맥스 해칫)라는 두 명의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했다. ''베어 너클 2''는 세가의 제네시스, 마스터 시스템, 게임 기어에서 플레이할 수 있었다.
2. 1. 3. 베어 너클 3 (1994)
''베어 너클 3''는 컷신을 사용하여 더욱 복잡한 스토리를 담았다. 서양 버전은 난이도가 증가했고, 일본판과 비교하여 다른 요소들이 변경되거나 검열되었다. 코시로 유조와 카와시마 모토히로가 작곡한 음악은 이전 두 게임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평가를 받았다.[66]2. 2. 시리즈 중단
1991년 1탄이 발매된 후, 1994년 3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후속작은 발매되지 않고 있다. 메가드라이브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타이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속 기종인 세가 새턴에서 세가는 이 작품을 3D 버전으로 내놓는다는 루머를 내놓았을 뿐, 실제로 게임을 만들지는 않았다. 이후 드림캐스트 시절 세가는 베어너클 4의 데모 버전을 공개했다. 4탄은 액슬과 비슷한 외모의 주인공이 1인칭 시점에서 적들을 물리치는 내용이었고, 1탄과 3탄에서 선보였던 협동 공격도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세가 미국본사에서 이 게임의 시장성에 의문을 표시했고 결국 데모 버전 동영상은 삭제되었다. 그러나 유튜브에 이 동영상 중 일부가 유출되었다.[1]세가 새턴용 속편이 구상되었지만 실현되지 않았고, 드림캐스트용으로는 캐릭터의 기본 조작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었지만 제품화되지는 못했다. 이는 세가가 ST-V (아케이드 게임)로, 1996년에 『다이너마이트 형사』(세가 새턴으로도 이식되었다) 출시 후, 아케이드 속편을 중단하려 결정하기 전, 『베어 너클』의 3D를 세가 새턴으로 출시하려 한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결국 출시되지 않았다. 그 후, 『다이너마이트 형사』와 컨셉이 비슷한 미국의 코어 디자인이 고안하여 개발 중 (거의 완성)인 3D 액션 게임 "Fighting Force"에 세가의 미국 지사가 관심을 보이며, 베어 너클의 속편으로 변경하여, 1996년 11월 26일에 『Streets of Rage 4 (Streets of Rage 3D)』로 세가 새턴으로 출시하려 계획했었다.[67] 그러나, 이는 결국 잘 풀리지 않아 세가 새턴으로 발매되지는 않았다.
이후, 아이도스가 해당 작품의 판매 소유권을 얻어, 베어 너클과는 무관한 작품으로 (유럽에서 출시 예정이었고, 세가 유럽과 그 문제로 다툼도 있었다), 1997년에 플레이스테이션과 닌텐도 64용 소프트로 발매되었다. 1998년에는 일본의 일렉트로닉 아츠 스퀘어에서 『메탈피스트』라는 타이틀로 플레이스테이션판이 발매되었다.[68]
드림캐스트에서의 속편 계획에서는, Fighting Force를 베어 너클의 속편으로 세가 새턴에 이식하려던 계획이 실패한 후, 1999년에 고대 유조의 곡과 함께, 세가의 미국 지사는 3D화된 벨트 스크롤 타입이나, FPS와 같은 1인칭 시점 타입을 구상하여, 기본 조작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데모 영상도 공개했지만, 세가의 미국 지사는 베어 너클 시리즈의 역사나 팬층에 대해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 데모 영상을 본 일본의 세가가, 시험 제작한 이 게임은 베어 너클의 게임이 아니며, 좋지 않은 아이디어라고 판단하여, 상품화되지 않았다.[69][70]
이후 Backbone Entertainment는 세가에 새로운 ''베어 너클'' 게임을 제안했지만, 이 프로젝트 역시 진행되지 못했다.[2]
''Beats of Rage''[3]와 ''Streets of Rage Remake''를 포함한 수많은 비공식 팬 제작 프로젝트와 리메이크가 개발되었다.[4] 후자의 팬 제작 프로젝트는 2003년 3월 17일에 시작되었으며 20명 이상의 개발자로 구성되었다. 리드 개발자인 "Bomber Link"는 이 게임이 리버스 엔지니어링의 어떤 요소도 차용하지 않고 처음부터 만들어졌다고 밝혔다.[5] ''Streets of Rage Remake''는 2011년 4월 Bombergames 포럼에서 윈도우 PC 플랫폼용으로 다운로드 형태로 출시되었다.[6] 게임 출시 며칠 후, 세가는 Bombergames 포럼을 대상으로 하는 중단 및 포기 명령의 형태로 무단 게임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했다.[5] 세가가 개발팀에 연락한 후, 포럼 웹사이트는 게임 다운로드 링크를 삭제하고 포럼 회원들에게 게임 파일을 재배포하지 않도록 요청했다.[7][8]
2007년경에 무료로 발매된 리메이크(베어너클 리메이크는 세가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봄버게임[75][76]'이라는 스페인의 게임제작 동호회에서 만든 것임)는 2탄을 기본 베이스로 한 채 1, 2, 3탄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들이 전부 다 등장하고 시스템 역시 자신이 원하는 시스템으로 선택이 가능하기까지 했다.
이 게임은 세가가 아닌 봄버게임에서 만든 게임이다. 베어너클 1, 2, 3의 모든 특징을 총 집약한 게임으로 각 시리즈마다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켰다. 또한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 이르러서는 처음 시작부터 중간 중간마다 루트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하지만 베어너클 리메이크가 개발된 것을 알게 된 세가는 저작권을 문제삼아 베어너클 리메이크 공식 홈페이지를 폐쇄 조치했다. 원래 봄버게임에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갈 수 있는 숨겨진 마지막 스테이지와 진엔딩도 개발 완료 상태였고 차후 업데이트할 예정이었으나 이로 인해 일반 유저들은 영원히 즐길 수 없게 묻혀 버렸다. 세가의 이 행동은 저작권을 주장하는 정당한 행동이지만 네티즌들 사이에서 이러한 행동에 대한 평판은 상당히 나쁘다.
3DS판 『II』를 프로듀스한 세가 게임스 (당시)의 오쿠나리 요스케는, 2015년 패미통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만든 것을 포함하여 적어도 3종류의 『IV』 후보가 있었음을 밝혔다.[71]
2. 3. 부활
베어 너클 3의 사건으로부터 10년 후를 배경으로 하는 시리즈의 첫 번째 신작 베어 너클 IV가 2018년에 발표되어 2020년에 출시되었다.[9] 이 게임은 Lizardcube, Guard Crush Games, Dotemu에서 개발했으며, 이들은 이전에 Wonder Boy III: The Dragon's Trap의 2017년 리메이크를 출시했다.[10]베어 너클 3의 시점으로부터 10년 후, 미스터 X는 이미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미스터 Y(Mr.Y)와 딸 미즈 Y(Ms.Y) 남매가 신디케이트를 재건하기 위해 경찰을 매수하면서 벌어진 사건을 해결하는 시나리오이다.
2020년 4월 30일, 프랑스에 거점을 둔 퍼블리셔 DotEmu는 베어 너클 IV를 발매했다. 이 작품은 세가가 부여한 정식 라이선스를 바탕으로 DotEmu, 원더 보이 드래곤의 함정을 리메이크한 Lizardcube, Guard Crush Games의 3사 공동 개발 체제로 제작되었다. 같은 해 7월 30일에는 3goo에서 PS4・Switch용 패키지 소프트 베어 너클 IV 스페셜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그래픽은 2D 셀 터치 애니메이션적인 묘사로 되어 있으며, 조건을 만족하면 역대 작품의 주인공을 플레이어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72] 음악은 오리지널 버전을 담당한 코시다 유조와 카와시마 모토히로가 새롭게 작곡한 키 뮤직을 제공하며, 파이널 파이트에서 일부 곡을 담당한 시모무라 요코 등이 곡을 제공했다.[73]
세가의 6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용과 같이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스핀오프 미니 게임 ''Streets of Kamurocho''가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Empty Clip Studios에서 개발했으며, 2020년 10월 17일~19일과 11월 13일~16일 동안 Steam을 통해 Windows에서만 이용할 수 있었다.[11]
세가는 The Game Awards 2023에서 새로운 ''Streets of Rage'' 게임을 발표했으며,[12] 경영진 회의 발표에서 이 게임의 이름이 ''Streets of Rage: Revolution''으로 밝혀졌다.[13] 더 게임 어워드 2023에서 발표되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일본어 제목이 붙지 않았다. 공식 문서에는 "인기 횡스크롤 액션 시리즈! 전직 경찰관 중 한 명을 조작하여 사람들이 'Streets of Rage'를 걸을 필요가 없는 거리를 만듭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3. 시스템의 특징
이 게임은 캡콤의 파이널 파이트와 비슷한 횡스크롤 격투액션 게임이다. 적을 잡아서 뒤로 던져 다른 적에게도 피해를 주거나, 펀치 연타로 콤보를 넣을 수 있다. 2편부터는 플레이어와 적들의 체력바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점프 공격 시 레버를 아래로 내리고 공격하면 적이 넘어지지 않는 무릎찍기 공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파이널 파이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이널 파이트와는 달리, 베어 너클은 적을 뒤에서도 잡을 수 있고, 앞뒤 잡기에 따라 다른 기술을 사용한다. 또한 잡은 상태에서 앞뒤로 넘어갈 수도 있다.
1편에서는 작은 용량에도 불구하고 협동 공격과 지원 사격(경찰 지원)이라는 참신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호평을 받았다. 2편에서는 그래픽이 크게 향상되고 캐릭터 스프라이트가 커졌지만, 협동 공격과 지원 사격이 사라져 일부 팬들에게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격투 게임처럼 필살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3편에서는 협동 공격이 부활했지만, 지원 사격 시스템은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지원 사격이 다시 부활했고, 총, 대전차 로켓, 수류탄 같은 고급 무기까지 등장한다.
베어 너클 II: 사투로의 진혼가에서는 원호 공격이 사라지고 캐릭터마다 필살기가 추가되었다.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영향을 받은 듯한 필살기(장풍, 승룡권 동작)가 존재하고, 필살기 사용 시 음성이 추가되었다. 또한 근거리 히트 시 다단 히트가 되는 기술, 다양한 기본기를 가진 적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 대전 격투 게임과 횡스크롤 액션 게임의 장점을 모두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적들의 인공지능도 발달하여, 대전 격투 게임처럼 적 캐릭터들이 점프 공격을 대공 기본기로 쳐내기도 한다.
1편에서는 능력이 다른 3명의 주인공 중 한 명을 선택하여 플레이하며, 점프, 공격, 스페셜 공격(지원 사격) 3개의 버튼을 사용한다. 골든 액스와 달리 대시 및 대시 공격은 삭제되었고, 적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늘어났다. 잡기 상태에서는 무릎차기나 던지기 외에 점프 버튼으로 적의 뒤로 돌아갈 수 있으며, 뒤에서 잡으면 다른 던지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2인 플레이 시에는 상대 플레이어를 잡아서 던지는 "합체 공격"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2편에서는 삭제되었다.
3DS 버전에서는 오리지널 플레이 스타일인 "일격 필살 모드"와 "중간 저장" 기능이 추가되었고, 무선 통신을 이용한 2인 동시 플레이도 가능하다.[54]
4. 등장 인물
베어 너클 시리즈는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게임의 재미를 더한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액슬 스톤'''
신체 | 25세, 183cm / 75kg |
---|---|
격투술 | 가라데와 마샬아츠 |
설명 | 1탄부터 4탄까지 전 시리즈에 걸쳐 등장한다. 1탄에서는 전직 경찰이었으나, 도시 외곽에 가라데 도장을 개설한다. 3탄에서는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며, 리메이크에서는 경찰 근무와 가라데 도장 사범을 겸한다.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파워형 캐릭터로 변화하다가 리메이크 버전에서 다시 표준형 캐릭터로 돌아왔다. |
- '''아담 헌터'''
신체 | 26세, 188cm / 88kg |
---|---|
격투술 | 복싱 기반 |
설명 | 세가에서 만든 베어너클에서는 1탄에서만 등장하지만 리메이크 버전에도 등장한다. 1탄에서는 강한 공격력과 긴 공격 범위를 가진 캐릭터였으나, 2탄에서는 미스터 X에게 납치되어 등장하지 않는다. 3탄에서는 카메오로 출연하며,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복귀했다. |
- '''미스터 X'''
신체 | 51세, 213cm / 115kg |
---|---|
설명 | 신디케이트의 보스로, 게임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악당이다. 1탄과 2탄에서는 인간 형태로 등장했으나, 3탄에서는 뇌만 남은 형태로 플레이어들을 괴롭힌다.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선택 가능하다. |
- '''잔 길버트 박사'''
신체 | 나이 불명, 201cm / 153kg |
---|---|
설명 | 3탄에서 처음 등장하며, 전 마약 밀매조직의 일원이었으나 액셀과 블레이즈에게 협력한다. 몸의 일부를 로봇으로 개조한 사이보그이다. |
- '''빅티'''
- '''애쉬'''
신체 | 35세, 204cm / 84kg |
---|---|
설명 | 1스테이지에서 최초로 중간 보스로 등장하는 호모 캐릭터이다. |
- '''일렉트라 (엘르)'''
설명 | 베어 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다.[77] 모든 여성 캐릭터 중 가장 키가 크고 힘과 스테미너가 뛰어나며, 채찍을 사용해 먼 거리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
---|
- '''루드라'''
설명 | 베어 너클 리메이크에 등장하는 여성 닌자 캐릭터이다. 긴 머리를 위로 묶은 차가운 인상이며, Ver.5에서 7번째 스테이지 보스로 등장한다. |
---|
- '''체리 헌터'''
설명 | 아담 헌터의 딸로, 베어 너클 4에 새로운 캐릭터로 등장한다. |
---|
- '''플로이드 이라이아'''
설명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는 새로운 캐릭터로, 전작의 맥스 썬더의 포지션이다. 원래 공사장 노가다 인부였으나 사고로 두 팔을 잃고 잔 길버트 박사가 달아준 기계 팔을 사용하며, 잔 길버트 박사를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다. |
---|
4. 1. 베어 너클
베어너클은 골든 엑스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횡스크롤 격투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원호공격이 있다. 원호공격은 경찰차가 지원사격을 하는 것이다. 1P의 원호공격은 대전차총으로 사격을 하며 2P의 원호공격은 발칸포로 사격을 한다. 또한 버튼 두 개를 누르면 후방공격을 하는 요소 역시 골든액스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베어너클 전 시리즈 중 난이도가 가장 높다. 이는 당시 캐릭터의 기술이 거의 없으며, 적들 또한 인공지능이 항상 양쪽으로 둘러싸 공격하려는 패턴을 보이기 때문이다. 4M 라는 용량 한계상 캐릭터 스프라이트가 매우 작고 적의 종류도 적고 공격패턴이 단순하며 한 스테이지당 계속 똑같은 배경이 길게 늘어서 있는 단조로운 면이 있다. 파이널 파이트와 다른 특징으로는 뒤에서 잡는 포지션이 있어서 뒤에서 잡은 후 메치면 저먼 수플렉스로 좀 더 강력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잡은 후 뒤로 넘어가는게 가능하며 플레이어끼리 집어던지거나 할 경우 위력이 엄청난 공중공격이 가능한 협동공격, 적에게 뒤를 잡혔을 때 앞차기 후 역으로 던지는 식의 플레이가 가능하다.또한 2인 협동플레이로 마지막 보스까지 갔을 경우 미스터 X 가 악의 조직에 몸담겠느냐는 질문을 해 오는데 서로 다른 대답을 했을 경우 다시 두 단계 이전 스테이지로 떨어지게 되며 재진행하여 마지막 보스를 클리어하면 플레이어끼리 서로 싸워서 승자가 악의 조직의 보스가 되는 배드엔딩이 존재한다. ( 더블드래곤 협력플레이 시의 마지막 스테이지 플레이어 대결과 비슷)
- '''액슬 스톤'''
1탄부터 4탄까지 전 시리즈에 걸쳐 등장한다. 1탄에서 전 경찰이었던 그는 도시 외곽에 가라데 도장을 개설한다. 이후 3탄에서 그는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게 된다. 리메이크에서는 아예 경찰로 근무하면서 가라데 도장의 사범을 겸하고 있다. 1탄에서는 표준형 캐릭터였으나, 2탄에서 3탄으로 시리즈가 바뀌면서 점차 파워형 캐릭터로 변모하게 된다. 2탄에서 그랜드 어퍼라는 필살기를 통해 표준형 캐릭터에서 조금 벗어나다 못해 사기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체력소모기가 아님에도 무적시간이 있다), 3탄에서 파워형 캐릭터로 정착했다. 그러다가 리메이크 버전에서 강한 공격력을 그대로 지닌 채 다시 표준형 캐릭터로 바뀌었다. 리메이크 Ver.5에서는 역대 베어너클 시리즈의 액슬을 전부 선택할 수 있는데 베어너클2 버전의 액슬의 성능이 가장 좋으며 이 액슬만 유일하게 공중돌려차기가 가능하다. 엑셀은 전 캐릭터 중 가장 기본기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강캐에 속한다. 다만 점프력은 1탄부터 쭈욱 최약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큰 문제로 느껴지진 않으며 다만 2편부터의 제자리 점프공격은 전체적으로 상당히 고성능이고 강력하지만 액슬의 경우는 근접할 시 2단차기가 되는 대신에 리치가 대단히 짧고 판정이 위로 몰려있어서 성능이 상당히 떨어진다. 또한 2탄에서는 기본 펀치공격이 새미 다음가는 숏팔로 리치가 짧아서 특정 적 (폭주족 류)에게는 멍하니 팔을 휘두르고 있으면 팔 길이 차이 때문에 그대로 골로 맞고 쓰러지기도 하고 잡기공격류들 위력이 매우 약하며 후방으로 넘어가 메치기는 던진 후 빈틈이 큰 등 핸디캡도 상당히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랜드어퍼 하나로 모두 상쇄 가능.
그 외에도 기본연타 콤보공격이 펀치공격 3번 후 2단앞차기 로 마무리 하는데 가끔씩 발차기를 한번만 하는 경우가 있다. 조건은 명확하지 않은데 그냥 랜덤인지 버튼을 누르는 타이밍 문제인지 불명. 콤보공격 위력 자체가 후반의 발차기에 많이 몰려있기 때문에 4단만으로 마무리 될 경우 위력이 크게 떨어지는데 또하나의 핸디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액슬의 국민콤보라 할 수 있는 펀치 두방 후 그랜드어퍼 로 마무리하는 루트가 있는 이상 그리 크게 다가오진 않는다.
그 외에도 필살기 쪽도 그랜드어퍼 하나가 너무 사기라서 그렇지 긴급회피기인 드래곤윙 은 화려한 연출에 비해 위력은 4명 중 가장 떨어지며 체력소모 고데미지 필살기인 드래곤스매쉬의 경우는 제자리에 가만히 서서 리치가 엄청나게 짧게 주먹을 빠르게 여러번 휘두르고 승룡권을 날려 마무리하는 식이라 전방 초근접 적을 상대할 때는 엄청난 데미지를 내지만 주먹을 휘두르는 동안 전후좌우 모두 완전 무방비 상태이며 가드가 가능한 캐릭터들은 맞다가 가드가 가능한등 다른 캐릭터들의 같은계열 필살기에 비하면 성능이 무지막지하게 떨어진다. 무엇보다 이 시리즈의 얍삽이인 주먹을 리듬있게 틈을 주며 연타해 적을 죽을때까지 때릴 수 있는 베어너클용 와리까리 (파이널파이트의 그것같은) 가 존재하는 이상, 와리까리를 자동으로 빠르게 해준다는 느낌밖에 안되어 더욱 설 자리를 잃는 필살기. 다만 3에서는 쓰는 몇초간 내내 완전무적이 되는 황당한 성능.
잘 다루는 무기는 설정상으론 일본도(카타나)와 각목, 파이프,배트 등 긴 무기류. 그러나 실제로 써보면 일본도, 파이프를 사용시 짧은 리치와 휘두른 후의 빈틈으로 인해 불안정한 공격을 보여주어 왜 잘다루는 무기라고 써 있는지 의문이었다. 한손으로 일본도 파이프를 휘두르는 블레이즈와 비교해도 리치, 속도 등 성능이 하늘과 땅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실 플레이 체감상 일본도, 파이프 성능이 최강인 캐릭터는 맥스 - 블레이즈 - 액슬 - 새미 순. 그러나 3탄에서는 일본도, 방망이 전용 무기필살기가 추가되어 (그냥 휘두르는 성능은 여전히 구리다) 설정에 나름 맞춰졌다. 다만 3의 모든 캐릭터들 대쉬필살기가 그렇듯이 그랜드어퍼의 위력이 엄청나게 다운되고 (거의 기본기 두세대 수준) 무적시간이 사라져 땅을 긁는 도중에도 맞아서 끊기기도 하며 너무 근접해서 맞기 시작했을 경우 때리는 도중 적을 지나쳐 뒤통수를 맞기도 하는등 점수를 올려 필살기를 파워업시키기 전까진 큰 쓸모가 없는 쓰레기 기술이 되었다.
정리해 보자면 2편 액슬의 장점은 그랜드어퍼, 단점은 펀치 리치가 짧고 점프공격 성능이 떨어지며 던지기류 위력과 성능이 떨어지고 기본콤보가 4단까지밖에 안나가는 경우가 있으며 체력소모류 필살기들 성능이 낮고 무기 다루는 성능도 떨어진다. 그랜드어퍼 하나때문에 강캐릭터 자리를 꿰차고 있었다고 봐도 무방.
격투술은 가라데와 마샬아츠. 4탄에서는 세월 탓인지 털보가 되었다.
신체 | 25세, 183cm / 75kg |
---|---|
격투술 | 가라데와 마샬아츠 |
설명 | 1탄부터 4탄까지 전 시리즈에 걸쳐 등장한다. 1탄에서 전 경찰이었던 그는 도시 외곽에 가라데 도장을 개설한다. 이후 3탄에서 그는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게 된다. 리메이크에서는 아예 경찰로 근무하면서 가라데 도장의 사범을 겸하고 있다. |
- '''아담 헌터'''
세가에서 만든 베어너클에서는 1탄에서만 등장하지만 리메이크 버전에도 등장한다. 아담은 1탄에서 블레이즈와 정반대로 느리지만 강한 공격력과 긴 공격 범위가 특징인 캐릭터이다. 특히 기본공격 콤보 마지막에 적을 발로 차서 전방 일직선으로 화면 끝까지 날려버리는데 던지기 공격마냥 전방의 적들을 함께 쓸어버릴 수 있어서 매우 강력하다. 2탄에서는 미스터 X의 지령을 받은 시바에 의해 납치되어 등장하지 않으며, 3탄에서는 게임 중간 데모에서 플레이어들에게 헬리콥터로 지원사격을 하는 존재로 카메오 출연을 한다. 그 이후 리메이크 버전에서 정식 캐릭터로서 등장한다. 리메이크의 애덤은 모든 면에서 액슬과 유사한 스타일의 캐릭터로 변모한다.(베어너클 리메이크에서의 엑셀과 아담의 성능은 스트리트 파이터의 류와 켄, 또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의 쿠사나기 쿄와 야가미 이오리처럼 비슷하게 보인다). 원래 등장은 1편이 끝이었기에 리메이크에서의 아담은 봄버게임에서 만든 오리지널 필살기들을 가지고 등장한다. 격투술은 복싱 기반. 베어너클 리메이크에서는 베어너클2의 시나리오의 영향으로 맥스와는 엄청나게 친하다.
신체 | 26세, 188cm / 88kg |
---|---|
격투술 | 복싱 기반 |
설명 | 세가에서 만든 베어너클에서는 1탄에서만 등장하지만 리메이크 버전에도 등장한다. |
- '''미스터 X'''
신디케이트의 보스로 등장하는 미스터 X 역시 게임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악당이다. 1탄과 2탄에서는 인간의 형태로 등장했으나, 3탄에서는 육체를 잃어버린 대신에 뇌만 남은 형태로 플레이어들을 괴롭힌다. 리메이크에서는 역시 인간형으로서 플레이어로 선택이 가능한데 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밸런스를 망치기에 충분한 능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점이 지적되어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는 총기 난사류의 필살기가 초필살기화되어 남발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여 게임 밸런스를 조정했다. 파워, 스피드 등 강해야 되는 스텟은 강하며 점프 등 강할 필요가 없는 스텟은 한없이 약하다.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 상점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히든캐릭터는 캐쉬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미스터 X의 상점가는 55000JPY이다. 미스터 X는 시바와 마찬가지로 강캐에 속하면서 시나리오 분류상 완전악역 캐릭터이기 때문에 원호 공격 자체가 없으며 미스터X로 원호공격을 시도하면 미스터X가 "경찰 따위를 부르냐"는 식으로 플레이어를 비웃는다. 시나리오 상 3탄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4탄은 그의 아들인 미스터 Y와 딸인 미즈Y가 그의 포지션을 대신한다.
신체 | 51세, 213cm / 115kg |
---|---|
설명 | 신디케이트의 보스로 등장하는 미스터 X 역시 게임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악당이다. |
4. 2. 베어 너클 2
전작에 있었던 원호공격이 사라지고 대신 캐릭터마다 필살기가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대전격투게임과 횡스크롤 액션게임의 장점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게임으로 발전했다. 스트리트파이터2의 영향을 받은 듯한 필살기(장풍, 승룡권 동작)가 몇 개 있으며, 필살기 사용 시 음성 추가, 근거리 히트 시 다단히트가 되는 기술, 매우 다양한 기본기를 가진 적 캐릭터의 등장 등으로 나타난다. 무식하게 적 숫자와 둘러싸기만으로 밀어붙이던 베어너클 1에 비해 적들 종류가 다양해지고 움직임도 다채로워졌다. 특히 적 하나하나의 인공지능이 매우 발달했는데, 마치 대전격투게임처럼 적 캐릭터들이 점프 뛴 플레이어를 대공기본기로 쳐내는 장면은 입을 벌어지게 만들며 졸개 하나라도 신경 써서 상대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적 체력게이지가 파이널파이트처럼 나타나게 되어 편해졌다.적의 종류가 손에 꼽히던 전작에 비해 엄청나게 다양해졌으며 플레이어만큼이나 기본기나 특수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중형 적들도 종류가 매우 많아 쉽게 질리지 않는다. 이는 전편의 4M에 비해 16M라는 당시 메가드라이브 최고 용량 게임 중 하나로 나오면서 그래픽, 사운드, 연출 모두 엄청나게 파워업한 것이며, 덕분에 게임센터용 횡스크롤 게임과 비교해도 전혀 뒤처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당시 메가드라이브의 판매 대수를 크게 끌어올린 하드 견인을 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슈퍼패미콤으로 발매된 파이널파이트2는 이 게임과 비교당하면서 더 나쁜 평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도 인기가 많아 스트리트파이터 비디오처럼 당시 유행하던 해적 비디오판으로 실사영화화 계획까지 세워졌었으나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
새로운 캐릭터로는 프로레슬러인 맥스 썬더, 롤러 스케이트를 착용한 새미 헌터, 뛰어난 무술 실력을 자랑하는 시바 등이 등장한다.
4. 3. 베어 너클 3
베어너클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히든 캐릭터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그 캐릭터로는 중간보스인 애쉬와 빅티, 그리고 첫 스테이지의 보스인 시바가 해당되었다. 전 시리즈 중 난이도가 가장 낮다. 다만 전체적으로 보스들 패턴이 대단히 짜증나고 까다로워져서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달리기 시스템이 모두 있어 게임플레이가 많이 수월해졌다. 필살기 시스템도 개선되어 OK가 되었을 때 사용하면 체력이 줄지 않는다. 무기에도 내구도가 생겨서 적을 때리거나 무기 필살기를 쓸 경우 내구도가 소모되어 사라진다. 또한 필살기 레벨업 시스템이 추가되어 일정 점수마다 그랜드어퍼 등의 대쉬 필살기가 파워업되며 연출이 변화하여 3회까지 레벨업한다. 그 외에도 각 캐릭터마다 잘 쓰는 무기의 무기 필살기를 가지고 있어서 무기를 든 채 대쉬 필살기나 체력 소모 필살기를 쓸 경우 잔 길버트를 제외하고 3인의 캐릭터들은 고유의 필살기가 나간다. 다만 2편의 호쾌함과 시원시원함이 줄어들어서 재미면에서는 오히려 나쁜 평가도 늘어났다. 2에 비해 스토리성이 상당히 강해졌고 후반 스테이지에서 인질을 구출하느냐 하지 못하느냐에 따라 마지막 스테이지가 분기가 되며 엔딩도 달라지게 된다.[66]다음은 3편에 새로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설명이다.
- 잔 길버트 박사
- * 나이 불명
- * 201cm / 153kg
3탄에서 처음 등장한다. 전 마약 밀매조직의 일원이었으나, 이후 액셀과 블레이즈에게 힘을 보탠다. 잔은 두 사람에게 밀매조직이 폭탄을 이용하여 도시를 파괴하려 한다는 음모를 알린다. 그는 몸의 일부를 로봇으로 개조한 사이보그이다. 2편의 맥스 대신 등장했지만 파워 캐릭터라기엔 타격이나 던지기 공격력은 매우 평범하며 대신 리치가 매우 길다. 그는 무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볼로 전환하여 적을 공격하기 때문에 무기를 집어도 사용이 불가능하며 무기 필살기도 없다. 필살기는 일렉트릭 바디 및 일렉트릭 핸드로, 몸에서 전기 동력을 발생시켜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전 캐릭터들 중에 공격 범위가 일렉트라 다음으로 길다. 파워업 필살기의 경우 숄더태클 횟수가 늘어나는 심심한 연출뿐이고 (더구나 공격 범위 때문에 동료 플레이어까지 같이 쓸어버리는 일이 잦다) 무기도 사용 불가능한 등 상당히 성의 없이 만들어진 캐릭터라는 평이 많고 플레이하는 재미도 대단히 떨어지며 캐릭터로서의 매력도 떨어지는 덕분에 베어너클 3의 나쁜 평가에 한몫을 담당한 캐릭터.
- 빅티
- * 8세
- * 159cm / 76kg
북미판에서의 이름은 캥거루에서 따온 루이다. 빅티는 2스테이지에서 조련사의 명령으로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서커스단의 동물인데, 만약 플레이어가 브루스(조련사)만 해치우고 빅티를 살려 줄 경우, 이후 플레이어가 선택 가능한 캐릭터로 바뀐다. 단,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의 모든 히든 캐릭터들은 캐쉬로 구입해야 하는 조건 때문에 빅티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브루스만 죽이면 빅티는 김괴와 목줄을 버리고 도망친다. 빅티는 플레이어와의 협력 공격도 가능하다. 단 공격 범위가 좁고 위력이 약하며 무기를 잡을 수 없다. 리메이크에서는 인기투표에서 밀렸는지 Ver.4 버전에서는 선택할 수 없고 Ver.5 버전에서만 빅티를 플레이어로 선택할 수 있다.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 상점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히든 캐릭터는 캐쉬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빅티의 상점가는 가장 저렴한 50,000이다. 빅티의 원호 공격은 레귤러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경찰을 소환한다.
- 애쉬
- * 35세
- * 204cm / 84kg
1스테이지에서 최초로 중간 보스로 등장하며, 호모이다. 그는 동력 보트에 졸개 캐릭터들을 태워서(북미판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므로 동력 보트에 졸개 캐릭터들을 태워서 플레이어에게 조달하는 것을 시바가 한다.) 플레이어에게 조달하는 운전사 노릇을 하다가, 졸개들이 모두 제압당하면 직접 자신이 플레이어를 상대한다.(북미판에서는 애쉬가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도노반과 똑같이 생긴 외관에 체력을 주인공의 2배 이상 보유하며 스피드 역시 도노반의 거의 3배 가까운 수준의 '보노'라는 이름의 졸개 캐릭터로 대체된다.) 기분 나쁜 웃음소리를 내며 플레이어에게 빠르게 접근하여 던지기 기술을 사용한다. 설정상의 문제 때문에 일본판 이외에 다른 언어로 되어 있는 팩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메이크 Ver.4에서는 어디로 가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 옥상으로 올라가지 않고 밖으로 나가서 바본(Barbon)을 쓰러뜨리면 두 번째 스테이지에서 길거리가 나오는데 이때 나이트클럽에 들어가면 그곳의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리메이크 Ver.5에서는 첫 스테이지를 베어너클 3의 루트로 선택하면 중간 보스로 등장하며 베어너클 리메이크의 루트로 선택할 경우 '아틀라스 나이트클럽'에 들어가면 중간 보스로 등장하기도 한다. 원작에서는 특정 묘수를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도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된 애시는 다소 코믹해 보이는 외관과는 달리, 게임 밸런스를 망치기에 충분한 공격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베어너클 리메이크에서 이러한 점이 보완되었으며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 상점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히든 캐릭터는 캐쉬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애쉬의 상점가는 60,000이다. 베어너클 리메이크에서 애쉬의 원호 공격은 필살기로 변태 속성을 지닌다.
4. 4. 베어 너클 리메이크
베어 너클 리메이크는 세가가 아닌 봄버게임에서 제작한 게임으로, 베어 너클 1, 2, 3편의 장점을 모아 만들었다. Ver.5에서는 루트 선택 시스템과 히든 캐릭터를 캐시로 구매하는 상점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봄버게임은 적 캐릭터 인기투표를 통해 1위를 한 베어 너클 2의 일렉트라를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만들었다.[77]- 슈퍼 시바: Ver.4에만 등장하는 시바의 강화 버전이다. 웃옷을 벗은 모습으로, 일반 시바보다 공격력이 강하고 장풍을 사용할 수 있다. 밸런스 문제로 Ver.5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 루드라: 베어 너클 리메이크에 등장하는 여성 닌자 캐릭터이다. 긴 머리를 위로 묶은 차가운 인상이며, Ver.5에서 7번째 스테이지 보스로 등장한다. 장거리 및 단거리 공격, 매치기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나며, 특히 뒤에서 잡고 던지는 매치기는 매우 강력하다. 대시 필살기는 아랑전설의 테리 보가드의 번 너클과 유사하며, 원호 공격은 불을 이용한 전체 공격이다. 상점에서 99,999 캐시로 구매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엔딩도 존재한다. 여동생이 신디케이트에 납치되어 어쩔 수 없이 미스터 X의 부하가 되었다는 설정이다.
- 일렉트라 (엘르): 베어 너클 리메이크 Ver.5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추가되었다.[77] 모든 여성 캐릭터 중 가장 키가 크고 힘과 스테미너가 뛰어나며, 채찍을 사용해 먼 거리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단검을 사용하면 필살기가 달라지며, 특정 조건에서 발동하는 무적 판정 필살기도 가지고 있다. 상점에서 90,000 캐시로 구매할 수 있는데, 이는 인기투표 1위의 결과로 성능이 보완되었기 때문이다. 원호 공격은 전기를 이용한 필살기이다. 불의의 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미스터 X의 부하가 되었지만, 그를 배신하기 위해 엑셀을 매수하려는 물밑 작업을 하고 있다.
4. 5. 베어 너클 4
베어 너클 3의 시점으로부터 10년 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미스터 X는 이미 사망했으며, 미스터 X의 아들인 미스터 Y(Mr.Y)와 미스터 X의 딸인 미즈 Y(Ms.Y) 남매가 신디케이트를 재건하기 위해 경찰을 매수하면서 벌어진 사건을 해결하는 시나리오이다.새로운 캐릭터로는 아담 헌터의 딸인 체리 헌터와, 전작의 맥스 썬더의 포지션인 플로이드 이라이아가 등장한다. 플로이드 이라이아는 원래 공사장 노가다 인부였으나 사고로 두 팔을 잃고 잔 길버트 박사가 달아준 기계 팔을 사용하며, 잔 길버트 박사를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다. 반면 맥스 썬더는 전작의 아바데데 포지션으로 넘어가서 적으로 등장한다.
2020년 4월 30일, 프랑스에 거점을 둔 퍼블리셔 DotEmu는 『베어 너클 IV』를 발매했다. 이 작품은 세가가 부여한 정식 라이선스를 바탕으로 DotEmu 외에도 세가의 다른 작품인 『원더 보이 드래곤의 함정』을 리메이크한 Lizardcube 및 Guard Crush Games에 의한 3사 공동 개발 체제로 제작되었다. 같은 해 7월 30일에는 3goo에서 PS4・Switch용 패키지 소프트 『베어 너클 IV 스페셜 에디션』이 발매될 예정이다.
그래픽은 2D 셀 터치 애니메이션적인 묘사로 되어 있는 한편, 조건을 만족하면 역대 작품의 주인공을 플레이어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72]
이 작품의 음악은 오리지널 버전을 담당한 코시다 유조와 카와시마 모토히로가 새롭게 작곡한 키 뮤직을 제공하며, 파이널 파이트에서 일부 곡을 담당한 시모무라 요코 등이 곡을 제공했다.[73]
5. 적들
베어 너클 시리즈에 등장하는 적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갈시아, 카를로스, 조셉, B.T | 가장 기본적인 졸개로, 내려찍기나 주먹 연타로 공격한다. 가끔 단검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체력이 약하다. 베어 너클 1에서는 인공지능이 높아 강한 편이었다. 1편에서는 잽 두 번 후 스트레이트로 플레이어를 쓰러뜨리지만, 2편에서는 잽만 날린다. 베어너클3 북미판에서는 갈시아가 가르시아로 등장한다.[38] |
도노반, Z | 갈시아 다음으로 약하며, 주먹 공격 후 어퍼컷을 사용한다. 베어 너클 2에서는 플레이어가 점프하면 어퍼컷으로 대공 공격을 한다. 가끔 파이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베어 너클 2부터 등장하며, 베어 너클 3에서는 불도저를 운전하기도 한다. |
슬럼, 바이스 | 베어 너클 3에 추가된 적으로, 약한 공격을 막아낸다. 뒤에서 잡는 경우가 많다. 슬럼은 가드를, 바이스는 박치기 공격을 한다. 북미판에서는 슬럼이 골디, 바이스가 잭(Zack)으로 등장한다.[38] |
시그널, 아이스 | 닭벼슬 머리를 한 펑크족 졸개로, 던지기와 슬라이딩 공격을 한다. 갈시아나 도노반보다 강하며, 체력도 높다. 2탄 이후 난이도가 높아지면 슬라이딩으로 반격한다. 파이널 파이트에 등장하는 적과 복장과 포즈가 유사하다. 베어너클3 북미판에서는 시그널이 스캐럽으로 등장한다.[38] |
템페스트, 사이클론, 스톰, 포그, 겔 | 폭주족 졸개로, 오토바이 돌진, 수류탄 투척, 직접 싸우는 종류가 있다. 오토바이 공격은 점프 공격으로 격추할 수 있지만, 수류탄이나 갑작스러운 오토바이 공격은 위협적이다. 일반 형태는 주먹 공격, 뒤잡기, 파이프 공격을 한다. 체력은 많지 않다. 스톰은 오토바이 돌진 공격을 하지만 체력이 가장 약하다. 베어너클3 북미판에서는 사이클론이 윙스로 등장한다.[38] |
하쿠요, 드래곤, 피닉스, 타이거 | 날라차기, 대공발차기, 펀치 연타, 근접 기공장 공격을 하는 강한 적이다. |
노라 | 1편에서는 채찍을 든 여성 졸개로 등장한다. 팬티스타킹과 레오타드 차림이며, 전기 공격은 하지 않는다. 4편에서는 스테이지 3 보스로 승격했다. |
가넷, 루비, 다이아몬드 | 베어 너클 3에 추가된 여성 적이다. 나이트클럽에서 주로 등장하며, 날라차기와 따귀 공격을 한다. 날아차기는 화면 끝에서 끝까지 공격할 정도로 거리가 길다. 일본판에서는 맨다리로, 북미판에서는 수지, 그레이스, 에마라는 이름으로 팬티스타킹을 신고 등장하며 공격 자세도 다르다. 리메이크에서는 두 버전 모두 등장한다. |
저글러 | 베어 너클 1에만 등장했으나 리메이크에서 다시 등장했다. 도끼나 화염병을 저글링하다가 던지는 공격을 한다. |
잭(Jack), 슬래쉬 | 베어 너클 2에만 등장했으나 리메이크에서 다시 등장했다. 단검 공격을 하며, 쓰러뜨리면 다시 일어나 단검을 만든다. 슬래쉬는 리메이크에서 추가된 적으로 총도 사용한다. 리메이크에서는 보트나 오토바이를 타고 쇠사슬을 휘두르기도 한다. |
골드, 실버, 브론즈 | 베어 너클 3에 추가된 경호원 같은 적이다. 원거리에서는 권총, 근접에서는 던지기 공격을 한다. |
쿠사나기, 한조 | 베어 너클 2에 추가된 적으로, 수리검, 점프 수리검, 던지기, 펀치, 다리걸기, 공중제비 등 다양한 공격을 한다. 플레이어가 점프 공격을 하면 인법 그림자 분신으로 회피한다. 일본도나 표창을 들고 나오기도 한다. |
킥복서 | 졸개 중 최강의 적으로, 무에타이 복장을 하고 있다. 로우킥, 미들킥, 하이킥, 무릎 돌진, 잡기 등 다양한 공격을 하며, 플레이어의 공격도 막아낸다. 특정 지역에서만 등장하며, 보스급 수준이다. |
R-1, R-2 | 베어 너클 3 후반부에 등장하는 로봇 적이다. 발차기와 레이저 공격을 하며, 체력이 없을 때 자폭하기도 한다. |
봉고 | 뚱보 졸개로, 따귀, 배치기, 불뿜기, 구르기 등 다양한 공격을 하지만 느려서 강하지 않다. (베어 너클 3 북미판 이름은 드와이트) |
댄치 | 빅티의 조련사로 채찍 공격을 한다. 빅티보다 먼저 브루스를 잡으면 베어 너클 3에서는 빅티를 아군으로 쓸 수 있지만, 베어 너클 리메이크에서는 금괴를 버리고 도망간다. 베어 너클 3과 리메이크에 등장한다. (북미판 이름은 브루스) |
일렉트라 | 베어 너클 2에 등장하는 여성 졸개로, 노라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점프 발차기, 채찍, 전기 공격을 한다. 3에서는 디자인이 변경되어 점프는 하지만 날아차기는 하지 않는다. 리메이크에서는 아군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
딜런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며, 상의를 탈의하고 바지 속에 손을 넣고 다닌다. 공중돌려차기와 박치기 공격을 한다. |
엘리자베스 | 베어 너클 4에 추가된 여성 적이다. 보이시한 옷차림을 하고 있으며, 독극물이 든 플라스크와 수류탄을 던진다. |
허니, 슈가 | 베어 너클 4에 추가된 여성 적이다. 폭주족 졸개의 여성 버전이지만 키가 작고 비만이다. 파이널 파이트의 G.올리버, 빌 불, 웡 후처럼 돌진 박치기 공격을 한다. |
일반 경찰관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며, 매수된 서장의 부하이다. 기본 공격 외에 매치기 공격을 한다. |
무장 경찰관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며, 매수된 서장의 부하이다. 진압봉과 방패로 공격한다. |
쿠보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는 해골 인간 같은 로봇으로, 무기로만 공격한다. 맨손일 경우 몸 속에서 무기를 꺼낸다. |
고로 | 베어 너클 4에 등장하는 다이몬 고로처럼 도복을 입은 거인이다. 다이몬 고로와 달리 공수도를 사용한다. |
안토니오 | 베어 너클 1 스테이지 1 보스로, 부메랑과 발차기 공격을 한다. |
사우더 | 베어 너클 1 스테이지 2 보스로, 갈퀴 공격을 한다. 플레이어가 점프 공격을 하면 분신처럼 빠르게 움직이며 반격한다. |
험프리 | 베어 너클 1 스테이지 4 보스로, 봉고의 강화 버전이다. 2명이며, 불 공격, 돌진, 내려찍기 공격을 한다. 뚱뚱해서 던지면 플레이어가 깔린다. |
바본 |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1 보스, 베어 너클 4 스테이지 5 보스이다. 펀치, 돌려차기, 대공 올려차기, 유도 던지기 공격을 하며 가드도 가능하다. 바텐더로 추정된다. |
제트 |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2 보스로, 항상 공중에 떠 있어 상대하기 까다롭다. 잡기 공격, 급낙하 공격, 지상 대각 돌진 발차기, 수퍼맨처럼 직선 주먹 돌진 공격을 한다. 액슬을 제외한 캐릭터는 제자리 점프 공격이 유효하다. |
잠자 |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3 보스로, 롤링 어택, 매치기, 갈퀴 공격, 대공 승룡권, 슬라이딩을 한다. |
아바데데 | 베어 너클 1 스테이지 3 보스,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4 보스이다. 래리어트 공격을 하며, 베어 너클 전 보스 중 위력이 가장 강하다. 2편에서는 잡히거나 연타 공격을 맞으면 튕겨내는 등 까다롭다. 1편에서는 돌진 래리어트 공격만, 2편에서는 저먼 수플렉스, 집어던지기, 플라잉 보디 어택, 잡고 스패너로 찍기 등의 공격을 한다. |
레드베어 |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5 보스로, 슈퍼 헤비급 복싱 선수이다. 빠른 잽, 점프 히프 어택, 승룡 어퍼컷, 잡고 박치기 등으로 공격한다. |
로봇 액슬 | 베어 너클 3 스테이지 3 보스로, 액슬과 외모가 같다. 2단계 파워업 필살기 포즈로 달려든다. 데미지가 누적되면 과열되어 빨라진다. (일본판 이름은 브레이크, 북미판 이름은 액슬) |
오니히메 & 야샤 | 베어 너클 1 스테이지 5 보스, 베어 너클 3 스테이지 2 보스이다. 베어 너클 1 버전은 블레이즈와 같은 그래픽에 색깔만 다르며, 베어 너클 3 버전은 장풍, 회전차기, 협동 공격을 한다. (베어 너클 3 북미판 이름은 모나 & 리사) |
파티클 | 베어 너클 2 스테이지 7 보스로, R-1, R-2와 같은 공격에 팔 회전 공격이 추가되었다. 괴이한 움직임으로 점프하며, 붙잡으면 감전된다. 난이도에 따라 1~4대가 등장한다. |
야마토 | 베어 너클 3 스테이지 4 보스로, 2개의 분신을 먼저 상대하고 본체와 싸운다. 각 공격 패턴이 다르다. |
시바 | 베어 너클 2에서는 페이크 최종 보스, 베어 너클 3에서는 스테이지 1 보스, 베어 너클 4에서는 스테이지 6 보스로 등장한다. 파이널 크래쉬라는 필살기를 사용한다. 플레이어 캐릭터와 거의 동일한 기본기, 잡기, 긴급 회피기를 가졌다. |
루드라 | 베어 너클 리메이크에서만 등장하며, 스테이지 7 보스이다. 인술(忍術)을 사용하며, 분신술도 사용한다. |
미스터 X | 베어 너클 1, 2 최종 보스로, 기관총 난사 공격을 한다. |
로보 X | 베어 너클 3 페이크 최종 보스로, 기관총 외에 유도탄을 사용한다. (북미판 이름은 로봇 X) |
네오 X | 베어 너클 3 진 최종 보스이다. 공중에 떠다니고 빠르게 움직여 데미지를 넣기 힘들며, 제한 시간 내에 쓰러뜨려야 한다. (북미판 이름은 로봇 Y) |
디바 | 베어 너클 4 스테이지 1 보스로, 뱀을 이용한 공격을 하는 여성이다. 키가 매우 크다. |
경찰서장 | 베어 너클 4 스테이지 2 보스로, 신디케이트에 매수된 인물이다. |
노라 | 베어 너클 1에서는 졸개였으나 베어 너클 4에서는 스테이지 3 보스로 등장한다. 신디케이트 화물선 선장이다. 갈시아 2명을 소환하며, 채찍으로 갈시아를 때리면 슈퍼 아머 판정이 생긴다. 노라 본인도 슈퍼 아머 판정이다. 쓰러뜨리면 변태 성욕을 발산하며 배를 난파시킨다. 전투력이 높지 않음에도 보스인 이유는 신디케이트 내 후궁이기 때문이다. |
에스텔 아기레 | 베어 너클 4 스테이지 4, 7 보스로 등장하는 근육질 여성 경찰관이다. 경찰 수뇌부가 매수된 사실을 모르고 주인공들과 맞선다. 스테이지 7에서 쓰러뜨리면 진실을 알고 주인공 일행에 합류한다. |
맥스 썬더 | 베어 너클 4 스테이지 9 보스로, 신디케이트에 세뇌당해 적이 되었다. 쓰러뜨리면 세뇌가 풀리고 아군에 합류한다. |
미스터 Y | 베어 너클 4 최종 보스로, 미스터 X의 아들이다. 미즈 Y의 남동생이며, 기관단총을 사용한다. 둘 중 먼저 체력이 떨어진 쪽이 로봇에 탑승한다. |
미즈 Y | 베어 너클 4 최종 보스로, 미스터 X의 딸이다. 미스터 Y의 누나이며, 사브르를 사용한다. 둘 중 먼저 체력이 떨어진 쪽이 로봇에 탑승한다. |
6. 다른 미디어로 발매된 베어 너클
=== 만화 ===
소닉 더 코믹에서 니겔 키칭과 마크 밀러가 베어 너클 2를 배경으로 6부작 만화를 연재했다. 애덤 헌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1990년대 초, 세가 프랜차이즈 게임을 기반으로 한 3개의 6부작 만화 시리즈가 ''소닉 더 코믹''에 등장했다. 처음 두 편은 마크 밀러가, 세 번째 이야기와 ''소닉 더 포스터 매거진'' 이야기는 니겔 키칭이 썼다. 세 이야기는 게임과 다른 세계관이며 애덤 헌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1994년 영국에서 ''베어 너클: 배드 시티 파이터''라는 제목으로 원래 6부작 "베어 너클" 만화의 그래픽 노블 편집본이 책으로 발매되었다.[1]
제목 | 이슈 번호 | 연도 | 작가 | 줄거리 |
---|---|---|---|---|
베어 너클 | #7-12 | 1993 | 마크 밀러 | 악셀, 블레이즈, 맥스가 부패한 경찰을 그만두고 자경단으로 활동하며 범죄 조직 보스 호크를 처치하는 내용이다. |
스케이트의 이야기 | #25-30 | 1994 | 마크 밀러 | 악셀 팀의 친구이자 몇 안 되는 정직한 경찰 머피의 의붓아들 스케이트가 계부가 미스터 X에게 살해당한 후 악셀 팀에 합류하는 내용이다. |
마을에서 유일한 게임 | #41-46 | 1994–5 | 니겔 키칭 | 신디케이트가 거리 갱단을 동원하는 내용이다. |
삶의 사실 | 포스터 매거진 #7 | 1994 | 니겔 키칭 | 악셀, 블레이즈, 스케이트, 맥스가 등장한다. |
=== 사운드트랙 ===
코시로 유조가 작곡한 베어 너클 사운드트랙은 칩튠 기반 전자 댄스 음악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모토히로 카와시마는 코시로 유조를 도와 2편과 3편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1편부터 3편까지의 사운드트랙 CD는 경매 사이트나 일본 음반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14]
이 사운드트랙은 실험 음악적이며,[14] 일렉트로, 하우스 음악,[15] 테크노, 하드코어, 정글,[16] 앰비언트 음악,[17] 브레이크비트,[18] 개버,[19] 노이즈,[20] 트랜스 음악 등 다양한 전자 장르를 포함한다.[15][18][21]
세가 제네시스 비디오 게임 콘솔(YM2612)의 야마하 FM 신스 사운드 칩과 NEC PC-88 컴퓨터(YM2608)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22][23] 코시로 유조의 자체 오디오 프로그래밍 언어인 "Music Love"는 PC-88의 음악 매크로 언어 (MML)의 수정 버전이다.[23]
GamesRadar는 사운드트랙을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했으며,[15][17] 역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음악 중 하나로 꼽았다.[24] ''Streets of Rage 2''(1992)는 "스웨거 하우스 신스의 혼합", "지저분한" 일렉트로 펑크와 "비디오 게임만큼 나이트클럽에서도 편안하게 느껴질 트랜스적인 전자 텍스처"로 혁신적이라고 평가받았다.[15] ''Streets of Rage 3'' 또한 자동 생성된 무작위 시퀀스, 실험적인 하드코어 "정글과 같은 빠른 비트 테크노" 사운드,[14][16] 그리고 트랜스 음악 요소로 인해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다.[21]
이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은 아이코니카,[25][26][27] BT,[17] Labrinth,[27] 마틴, 조커, 다크스타,[26] 차일디쉬 감비노,[28] 데인저 등 다양한 칩튠, 일렉트로니카, 그라임, 덥스텝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9]
=== 소설 ===
1993년 맷 예오가 ''베어 너클 2'' 소설(''스트리트 파이터 II'' 소설과 함께 출판)을 썼다. 이 소설은 35페이지 분량으로, 시리즈의 두 번째 게임을 기반으로 하며, 영국에서 ''세가 포스''(Sega Force) 잡지 부록으로 무료 배포되었다.
6. 1. 만화
미국의 만화잡지 '소닉 더 코믹'에 니겔 키칭과 마크 밀러가 베어 너클 2를 배경으로 6부작 만화를 연재했다. 여기서 애덤 헌터는 등장하지 않는다.1990년대 초, 이 게임을 기반으로 한 3개의 6부작 만화 시리즈가 ''소닉 더 코믹''에 등장했다(다른 여러 각색과 함께 인기 있는 세가 프랜차이즈). 처음 두 편은 마크 밀러가 썼고, 세 번째 이야기(및 ''소닉 더 포스터 매거진'' 이야기)는 니겔 키칭이 썼다. 이 세 이야기는 게임과는 다른 세계관이며 애덤 헌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1994년 영국에서 ''베어 너클: 배드 시티 파이터''라는 제목으로 원래 6부작 "베어 너클" 만화의 그래픽 노블 편집본이 책으로 발매되었다.[1]
제목 | 이슈 번호 | 연도 | 작가 | 줄거리 |
---|---|---|---|---|
베어 너클 | #7-12 | 1993 | 마크 밀러 | 악셀, 블레이즈, 맥스가 부패한 경찰을 그만두고 자경단으로 더 많은 선행을 하기 위해 맥스의 전 파트너이자 범죄 조직의 보스이자 무술가인 호크를 처치하는 내용이다. |
스케이트의 이야기 | #25-30 | 1994 | 마크 밀러 | 악셀과 그의 팀의 친구이자 경찰 내 몇 안 되는 정직한 경찰 중 한 명인 머피의 비행 청소년 의붓아들 스케이트가 계부가 미스터 X에게 살해당한 후 마지못해 악셀의 그룹에 합류하게 되는 내용이다. |
마을에서 유일한 게임 | #41-46 | 1994–5 | 니겔 키칭 | 신디케이트가 거리 갱단을 동원하는 내용이다. |
삶의 사실 | 포스터 매거진 #7 | 1994 | 니겔 키칭 | 악셀, 블레이즈, 스케이트, 맥스가 등장한다. |
6. 2. 사운드트랙
코시로 유조가 작곡한 베어 너클 사운드트랙은 큰 호평을 받았다. 모토히로 카와시마는 코시로 유조를 도와 2편과 3편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1편부터 3편까지의 사운드트랙 CD는 경매 사이트나 일본 음반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14]이 사운드트랙은 주로 실험 음악적이며,[14] 칩튠 기반 전자 댄스 음악으로,[16] 일렉트로, 하우스 음악,[15] 테크노, 하드코어, 정글,[16] 앰비언트 음악,[17] 브레이크비트,[18] 개버,[19] 노이즈,[20] 트랜스 음악 등 다양한 전자 장르를 포함한다.[15][18][21]
세가 제네시스 비디오 게임 콘솔(YM2612)의 야마하 FM 신스 사운드 칩과 NEC PC-88 컴퓨터(YM2608)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22][23] 코시로 유조의 자체 오디오 프로그래밍 언어인 "Music Love"는 PC-88의 음악 매크로 언어 (MML)의 수정 버전이다.[23]
비평가들은 베어 너클 사운드트랙을 크게 칭찬했다. GamesRadar는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했으며,[15][17] 역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음악 중 하나로 꼽았다.[24] ''Streets of Rage 2''(1992)는 "스웨거 하우스 신스의 혼합", "지저분한" 일렉트로 펑크와 "비디오 게임만큼 나이트클럽에서도 편안하게 느껴질 트랜스적인 전자 텍스처"로 혁신적이라고 평가받았다.[15] ''Streets of Rage 3'' 또한 자동 생성된 무작위 시퀀스, 실험적인 하드코어 "정글과 같은 빠른 비트 테크노" 사운드,[14][16] 그리고 트랜스 음악 요소로 인해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다.[21]
이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은 아이코니카,[25][26][27] BT,[17] Labrinth,[27] 마틴, 조커, 다크스타,[26] 차일디쉬 감비노,[28] 데인저 등 다양한 칩튠, 일렉트로니카, 그라임, 덥스텝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9]
6. 3. 소설
1993년 맷 예오가 ''베어 너클 2'' 소설(''스트리트 파이터 II'' 소설과 함께 출판)을 썼다. 이 소설은 35페이지 분량으로, 시리즈의 두 번째 게임을 기반으로 하며, 영국에서 ''세가 포스''(Sega Force) 잡지 부록으로 무료 배포되었다.7. 관련 작품
- 베어 너클 컬렉션 - Xbox 360의 세가 에이지스 온라인 작품으로 발매. 시리즈 1, 2, 3을 수록.
- PROJECT X ZONE 2:BRAVE NEW WORLD - 액셀 스톤(성우: 스기타 토모카즈)이 솔로 유닛으로 참전. 액셀의 성우는 고대우삼의 추천으로 캐스팅되었다.
- Streets Of Kamurocho - 용과 같이 시리즈를 소재로 한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이며, 시스템은 『베어 너클 II 사투로의 진혼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74]
- Streets of Rage 4 - 메가 드라이브 이후 시리즈의 첫 번째 신작으로, 2018년에 발표되어 2020년에 출시되었다. Streets of Rage 3의 사건으로부터 10년 후를 배경으로 한다.[9] Lizardcube, Guard Crush Games, Dotemu에서 개발했다.[10]
- ''Streets of Rage: Revolution'' - The Game Awards 2023에서 세가가 발표한 새로운 ''Streets of Rage'' 게임이다.[12]
- '''Streets of Rage Remake'''
: 스페인의 BOMBER GAMES라는 그룹이 제작한 리메이크판. 베어 너클 『III』을 기반으로 『I』이나 『II』의 캐릭터와 스테이지를 가능한 한 많이 집어넣고, 오리지널 요소까지 더한 "베어 너클 잡탕"이다. 2P 측을 CPU로 설정하여 혼자서도 2인 동시 플레이가 가능하며, 스테이지 중간에 분기가 있어 코스를 선택할 수 있고, 플레이 중에 얻은 아이템을 포인트로 사용하여 추가 캐릭터나 숨겨진 요소를 구매할 수 있는 등 여러 특징이 있다. 사용 가능한 플레이어 캐릭터는 초기 상태에서 액셀, 블레이즈, 아담, 맥스, 스케이트(새미), 잔 6명이며, 최대 12명(마리)까지 늘어난다. BGM은 『I』 ~ 『III』의 어레인지 곡이 사용되었다.
: 오랫동안 버전 4.01β 상태로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지만, 2011년 4월에 버전 5.0이 출시되었으며, BOMBER GAMES에서는 이것을 일단 완성판으로 하고 있다. 이전에는 [http://www.bombergames.net/ 공식 사이트]의 포럼에서 바이너리 패키지도 배포되었지만, 2013년 현재는 해외 사이트 "Streets of Rage Online"에서 윈도우판, macOS판, Xbox판 버전 5.0a가 배포되고 있다.
8. 비판 및 논란
《베어 너클 리메이크》는 봄버게임에서 개발한 비공식 게임으로, 세가의 《베어 너클》 시리즈의 특징들을 집약한 작품이었다. 그러나 세가는 저작권을 이유로 《베어 너클 리메이크》 공식 홈페이지를 폐쇄 조치했다.[1] 이로 인해 추가 스테이지와 진 엔딩 업데이트가 무산되어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1] 세가의 이러한 조치는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정당한 행동으로 볼 수 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개발 중단을 초래한 세가의 대응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형성되었다.[1]
일부에서는 원작 게임의 캐릭터 설정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예를 들어, 애쉬의 동성애 설정이나 일부 여성 캐릭터들의 과도한 노출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gotten Franchises: Streets of Rage
http://www.sega-16.c[...]
2004-09-11
[2]
웹사이트
New Streets Of Rage And ESWAT Games Were Being Pitched To Sega
http://www.siliconer[...]
2013-05-06
[3]
웹사이트
Beats of Rage
http://www.seniletea[...]
Senileteam.com
2013-10-12
[4]
웹사이트
SorR project
http://www.bombergam[...]
Bombergames.net
2010-02-03
[5]
간행물
Sega shuts down monster Streets of Rage remake project
https://www.wired.co[...]
2011-04-13
[6]
웹사이트
The Obsessive Streets Of Rage Remake Is Finally Finished
https://www.kotaku.c[...]
2011-04-05
[7]
웹사이트
Fan-Made Streets Of Rage Remake Pulled After Request From Sega
https://www.kotaku.c[...]
2011-04-12
[8]
논문
Mods as Lightning Rods
2018-07-17
[9]
뉴스
Streets of Rage 4 Announced
https://www.ign.com/[...]
2018-08-27
[10]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4 is coming
https://www.polygon.[...]
Vox Media
2018-08-27
[11]
웹사이트
Streets of Kamurocho, a mashup of Streets of Rage 2 and Yakuza, coming to PC on October 17 for a limited time
https://www.gematsu.[...]
2020-10-14
[12]
웹사이트
Sega gives retro fans a heart attack with 5 game reveals at once: Jet Set Radio, Shinobi, Golden Axe, Streets of Rage, Crazy Taxi, "and more"
https://www.gamesrad[...]
2023-12-07
[13]
웹사이트
Crazy Taxi, Golden Axe, Jet Set Radio, Shinobi, and Streets of Rage revivals – new information and images
https://www.gematsu.[...]
2023-12-20
[14]
웹사이트
Interview: Yuzo Koshiro
http://www.sega-16.c[...]
2008-02-05
[15]
웹사이트
Game music of the day: Streets of Rage 2
http://www.gamesrada[...]
GamesRadar
2010-04-19
[1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Yuzo Koshiro
http://www.psy-q.ch/[...]
[17]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2 Original Soundtrack (US): Review
http://www.squareeni[...]
Square Enix Music Online
[18]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2 Original Soundtrack (US): Review
http://www.squareeni[...]
Square Enix Music Online
[19]
웹사이트
Yuzo Koshiro / Motohiro Kawashima – Bare Knuckle III
http://www.discogs.c[...]
Discogs
[20]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http://www.hardcoreg[...]
Hardcore Gaming 101
[21]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3 review – Sega Megadrive
http://www.meanmachi[...]
[22]
웹사이트
The Magic of FM Synth
http://www.1up.com/f[...]
1UP.com
2012-06
[23]
웹사이트
Retro Japanese Computers: Gaming's Final Frontier
http://www.hardcoreg[...]
Hardcore Gaming 101
[24]
웹사이트
Game music of the day: Streets of Rage
http://www.gamesrada[...]
GamesRadar
2010-12-04
[25]
뉴스
Ikonika interview: Producer and DJ, Ikonika had an incredible 2010
http://www.timeoutdo[...]
2011-01-11
[26]
웹사이트
Recording Under the Influence: Ikonika
http://www.self-titl[...]
2010-04-21
[27]
뉴스
Ikonika interview: Dubstep has taken the world by storm over the past 12 months
http://www.timeoutdu[...]
2011-01-18
[28]
웹사이트
Yuzo Koshiro
http://www.whosample[...]
WhoSampled
[29]
Discogs release
Danger (7) – 09/17 2007
[30]
웹사이트
'STORIES INTERNATIONAL PARTNERS WITH "THE WALKING DEAD" PRODUCERS CIRCLE OF CONFUSION ON FILM & TV ADAPTATIONS OF HIT SEGA FRANCHISES "ALTERED BEAST" AND "STREETS OF RAGE" {{!}} STORIES LLC, STORIES INTERNATIONAL, INC.'
http://www.stories-l[...]
[31]
웹사이트
'Altered Beast' and 'Streets of Rage' coming to film and TV
https://www.engadget[...]
2016-12-06
[32]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Film In Works; 'Sonic's dj2 Entertainment & Escape Artists To Produce Video Game Adaptation Scripted by 'John Wick's Derek Kolstad
https://deadline.com[...]
2022-04-18
[33]
웹사이트
Lionsgate Acquires Live-Action Streets of Rage Film
https://www.animenew[...]
2022-11-16
[34]
문서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とは「セガ」から発売された「2人同時プレイも可能」な「ベルトスクロールアクションゲーム」。「1作目」にして準最高傑作 - Middle Edge
https://middle-edge.[...]
[35]
서적
『ゲームサイド vol.06』p.109
[36]
웹사이트
シリーズ26年ぶりの最新作「ベア・ナックルIV」が本日配信開始。パッケージ製品「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は7月30日発売へ
https://www.4gamer.n[...]
Aetas
2020-04-30
[37]
간행물
7月号特別付録 メガドライブ&ゲームギア 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7-15
[38]
인터뷰
古代祐三インタビュー
http://www.redbullmu[...]
レッドブル
2020-05-15
[39]
간행물
7月号特別付録 メガドライブ&ゲームギア オールカタログ'93
徳間書店
1993-07-15
[40]
웹사이트
セガ、iモード「ベアナックル モバイル」、初代「ベア・ナックル」を携帯電話向けにリニューアル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0-03-29
[41]
웹사이트
セガ、iPhone/iPod touch「ベア・ナックル」を配信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0-03-29
[42]
웹사이트
メガドライブ版を完全移植!iPhone/iPod Touch『ベア・ナックル』配信開始
https://www.inside-g[...]
イード
2020-03-29
[43]
웹사이트
セガ、Windows phone向けアプリ『ベアナックル モバイル』の配信を開始
https://www.inside-g[...]
イード
2020-03-29
[44]
웹사이트
ダイジェスト・ニュース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0-03-29
[45]
웹사이트
セガ、PS3/Xbox 360「セガエイジスオンライン」シリーズの配信日決定!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0-03-29
[46]
웹사이트
「セガエイジスオンライン」配信日決定 ― Xbox360には『ゴールデンアックス』『ベア・ナックル』も
https://www.inside-g[...]
イード
2020-03-29
[47]
웹사이트
PSN/XBLA向け復刻タイトルシリーズ「セガエイジスオンライン」は5月23日より配信。「ゴールデンアックス」「ベア・ナックル」も5月30日に登場
https://www.4gamer.n[...]
Aetas
2020-03-29
[48]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アックスコレクション』と『ベア・ナックルコレクション』が配信開始
https://www.famitsu.[...]
KADOKAWA
2020-03-29
[49]
웹사이트
3DS「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8月21日に配信!3D立体視化でステージの存在感がアップした「3D復刻プロジェクト」第8弾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20-03-29
[50]
웹사이트
『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配信決定 ― 2人プレイに対応、新システム「一撃必殺」モードも搭載
https://www.inside-g[...]
イード
2020-03-29
[51]
웹사이트
『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が本日より配信開始
https://www.famitsu.[...]
KADOKAWA
2020-03-29
[52]
웹사이트
『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が本日配信――新たに一撃必殺モードや海外バージョンを収録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20-03-29
[53]
웹사이트
「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本日よりニンテンドーeショップで配信。悪のシンジケートから街の平和を取り戻す,懐かしのベルトスクロールアクションが復刻
https://www.4gamer.n[...]
KADOKAWA
2020-03-29
[54]
웹사이트
さらば、セガ3D復刻プロジェクト! 3DS「3D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インタビュー
https://game.watch.i[...]
株式会社インプレス
2013-08-21
[55]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 Overview – allgame
http://www.allgame.c[...]
Allgame
2014-07-29
[56]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for Game Gear (1992)
http://www.mobygames[...]
Blue Flame Labs
2017-09-23
[57]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for Wii (2007)
http://www.mobygames[...]
Blue Flame Labs
2017-09-23
[58]
문서
MegaTech rating
EMAP
1992-05
[59]
간행물
At the Controls
Wizard Entertainment
1993-01
[60]
간행물
Streets of Rage
1991-11
[61]
간행물
Streets of Rage (Game Gear)
1992-12
[62]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for Genesis (1991)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7-09-23
[63]
웹사이트
Streets of Rage for SEGA Master System (1993)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7-09-23
[64]
웹사이트
ベア・ナックル 怒りの鉄拳 まとめ [メガドライブ]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17-09-23
[65]
서적
メガドライブ大全(企画・編集:CONTINUE)
太田出版
2004-09-29
[66]
웹사이트
メガドライブを代表する格闘アクションのシリーズ最終作「ベア・ナックル3」がiPhone/iPod touchで復活|Gamer
https://www.gamer.ne[...]
2011-04-28
[67]
문서
Fighting Force Unreleased ? Not really :D
http://www.satakore.[...]
[68]
웹사이트
メガドライブのベルトスクロールアクション『ベア・ナックル』シリーズが24年振りに復活。最新作『Streets of Rage 4』正式発表
https://news.denfami[...]
2018-08-28
[69]
문서
Streets of Rage 4 - Streets of Rage.net
https://web.archive.[...]
[70]
문서
Streets of Rage Online
http://archive.konte[...]
[71]
웹사이트
『3D ベア・ナックルII』セガ 3D復刻プロジェクト注目作の顛末をオリジナル開発者と移植スタッフとが語らう【特別企画】(5/5)
https://www.famitsu.[...]
2015-07-10
[72]
웹사이트
E60M1: 『ベア・ナックルIV』これはまごうことなきベア・ナックルだ! ベルトスクロールアクションが旧作ファンへのサービスもたっぷりに大復活
https://www.famitsu.[...]
KADOKAWA
2020-04-30
[73]
뉴스
『ベア・ナックルIV』コンポーザー陣が発表。古代祐三&川島基宏両氏に加え、下村陽子氏、長沼英樹氏、山岸継司氏が参戦
https://www.famitsu.[...]
ファミ通.com
2019-07-18
[74]
웹사이트
『龍が如く』と『ベア・ナックルII』が融合。桐生と真島が戦う『Streets Of Kamurocho』Steamにて期間限定無料配信へ
https://automaton-me[...]
2020-10-14
[75]
웹인용
Bomber Game 공식 사이트
http://www.bombergam[...]
2009-03-14
[76]
웹인용
베어너클 리메이크 제작 프로젝트 블로그
http://www.bombergam[...]
2013-10-12
[77]
블로그
베어너클 리메이크 Ver.5를 일렉트라로 플레이한 스크린 샷이 있는 유저의 블로그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