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벡터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벡터 함수는 실수 변수를 입력으로 받아 벡터를 출력하는 함수로, 공간 상의 곡선이나 곡면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1변수 벡터 함수는 실수 변수를 입력으로 받아 벡터를 출력하며, 다변수 벡터 함수는 여러 개의 변수를 입력으로 받아 벡터를 출력한다. 선형 벡터 함수는 행렬로 표현될 수 있으며, 다중 회귀 분석 등에서 활용된다. 벡터 함수의 미분은 각 성분을 따로 미분하여 구하며, 물리적으로 위치, 속도, 가속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또한, 벡터 함수의 곱의 미분, 야코비 행렬, 무한 차원 벡터 함수, 벡터장 등과 관련된 개념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벡터 미적분학 - 벡터장
    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이나 미분다양체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키는 사상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벡터값 함수로 표현되고 미분다양체에서는 접다발의 단면이나 도함수로 정의되며, 물리학, 기상, 유체역학, 전자기학,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벡터 미적분학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함수의 종류 - 항등 함수
    항등 함수는 집합 X의 각 원소를 자기 자신에게 대응시키는 함수로서, 정의역과 공역이 같은 집합 X에서 단사 함수이자 전사 함수이며, 함수 합성에서 항등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 함수의 종류 - 볼록 함수
    볼록 함수는 실수 벡터 공간의 볼록 집합에서 정의되고 그래프 상의 두 점을 연결한 선분이 항상 그래프 위에 있거나 접하는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과 여러 분야에 응용되는 함수이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벡터 함수
개요
정의벡터 공간의 원소를 값으로 가지는 함수
변수실수 또는 복소수
예시공간 곡선, 벡터장
구성 요소 함수
정의벡터 함수를 각 성분별로 나타내는 함수
표기f₁(t), f₂(t), ..., fₙ(t) (t는 매개변수)
벡터 함수의 표현f(t) = (f₁(t), f₂(t), ..., fₙ(t))
미분
정의각 성분 함수의 미분으로 정의
표기f'(t) = (f'₁(t), f'₂(t), ..., f'ₙ(t))
적분
정의각 성분 함수의 적분으로 정의
표기∫f(t) dt = (∫f₁(t) dt, ∫f₂(t) dt, ..., ∫fₙ(t) dt)

2. 벡터 함수의 정의와 표현

벡터 함수는 실수 또는 다변수 벡터를 입력받아 벡터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벡터 함수는 각 성분을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각 성분 함수가 실수 함수인 벡터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벡터 함수는 입력 변수의 개수에 따라 1변수 벡터 함수와 다변수 벡터 함수로 나눌 수 있다. 1변수 벡터 함수는 하나의 실수 매개변수(주로 시간)에 따라 유클리드 벡터를 출력하며, 다변수 벡터 함수는 여러 개의 변수를 입력받아 벡터를 출력한다.

2. 1. 1변수 벡터 함수

1변수 벡터 함수는 하나의 실수 매개변수(흔히 시간을 나타냄)에 의존하여 유클리드 벡터를 생성한다. 데카르트 표준 단위 벡터, , 로 표현하면, 이러한 벡터 함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주어진다.

\mathbf{r}(t) = f(t)\mathbf{i} + g(t)\mathbf{j} + h(t)\mathbf{k}

여기서 , , 는 매개변수 의 '''좌표 함수'''이며, 이 벡터 함수의 정의역은 함수 , , 의 정의역의 교집합이다. 이는 다른 표기법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mathbf{r}(t) = \langle f(t), g(t), h(t)\rangle

벡터 는 원점에 꼬리를 두고, 함수에 의해 평가된 좌표에 머리를 둔다.

오른쪽 그래프에 표시된 벡터는 근처에서(와 사이, 즉 3회전 약간 넘게) 함수 \langle 2\cos t,\, 4\sin t,\, t\rangle의 평가이다. 나선은 가 0에서 까지 증가함에 따라 벡터 끝이 그리는 경로이다.

2차원 벡터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bf{r}(t) = f(t)\mathbf{i} + g(t)\mathbf{j} 또는

\mathbf{r}(t) = \langle f(t), g(t)\rangle

  • 주어진 실수에 대해, 그 정수 부분 및 Fractional part|소수 부분영어의 묶음을 대응시키는 함수는 2차원 벡터값 함수이다.
  • 평면 또는 3차원 공간 내의 곡선의 parametric curve|매개변수 곡선|label=매개변수 표시영어는 벡터값 함수의 중요한 예이다.

2. 2. 다변수 벡터 함수

다변수 벡터 함수는 여러 개의 변수를 입력으로 받아 벡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x, y, z) = (f(s,t), g(s,t), h(s,t)) \equiv \mathbf{F}(s,t).

여기서 \mathbf{F}는 벡터 값 함수이다. 이러한 함수는 곡면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차원 공간에 매립된 곡면의 경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x_1, x_2, \dots, x_n) = (f_1(s,t), f_2(s,t), \dots, f_n(s,t)) \equiv \mathbf{F}(s,t).

주어진 실수에 대해, 그 정수 부분 및 Fractional part|소수 부분영어을 묶어 대응시키는 함수는 2차원 벡터값 함수이다.

2. 3. 선형 벡터 함수

함수가 선형인 경우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 \mathbf{y} = A\mathbf{x},

여기서 \mathbf{y}는 출력 벡터이고, \mathbf{x}는 입력 벡터이며, A매개변수의 행렬이다.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아핀 경우(이동까지 선형)이며, 이때 함수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mathbf{y} = A\mathbf{x} + \mathbf{b},

여기서 추가적으로 \mathbf{b}는 매개변수 벡터이다.

선형의 경우는 예를 들어 다중 회귀에서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종속 변수의 예측 값의 벡터 \hat{\mathbf{y}}는 모델 매개변수의 추정 값의 벡터 \hat{\boldsymbol\beta} (k < n)로 선형적으로 표현된다.

: \hat{\mathbf{y}} = X\hat{\boldsymbol\beta},

여기서 X(이전 일반 형식에서 A의 역할을 함)는 고정된(경험적 기반) 숫자의 행렬이다.

3. 벡터 함수의 미분

벡터 함수의 미분은 각 성분 함수의 미분을 통해 정의된다.

실변수 벡터값 함수 \boldsymbol{f} \colon \mathbb{R} \to \mathbb{R}^{n}미분은 실함수의 경우와 완전히 같은 형태로, 전진 차분 상의 극한으로 정의할 수 있다.

:\boldsymbol{f}'(t):=\lim_{h\to 0}\frac{\boldsymbol{f}(t+h) - \boldsymbol{f}(t)}{h}

벡터의 연산이 성분별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극한이 존재하면, 그것은 성분 함수의 미분으로 이루어진 벡터값 함수와 일치한다.

:\boldsymbol{f}'(t) = \left( f_{1}'(x), f_{2}'(x), \dotsc , f_{n}'(x) \right)

실함수의 미분에 관한 중요한 성질은 대부분 벡터값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특히 미분의 선형성과 곱의 법칙이 성립한다.

3. 1. 1변수 벡터 함수의 도함수

다음 극한이 존재할 때, 벡터함수 를 점 t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v'\left( t \right)=\underset{\Delta t\to 0}{\mathop{\lim }}\,\frac{v\left( t+\Delta t \right)-v\left( t \right)}{\Delta t}

이 벡터함수 를 의 도함수라고 한다.

데카르트 좌표계를 사용하여 각 성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v'\left( t \right)=\left[ v_{1}'\left( t \right),v_{2}'\left( t \right),v_{3}'\left( t \right) \right]

따라서 도함수 는 각 성분을 따로따로 미분함으로써 구해진다.

스칼라 함수와 같이, 많은 벡터 값 함수는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성분을 미분하여 미분할 수 있다. 따라서,

:\mathbf{r}(t) = f(t) \mathbf{i} + g(t) \mathbf{j} + h(t) \mathbf{k}

가 벡터 값 함수라면,

:\frac{d\mathbf{r}}{dt} = f'(t) \mathbf{i} + g'(t) \mathbf{j} + h'(t) \mathbf{k}.

벡터 미분은 다음과 같은 물리적 해석을 허용한다. 만약 가 입자의 위치 (벡터)를 나타낸다면, 그 미분은 입자의 속도이다.

:\mathbf{v}(t) = \frac{d\mathbf{r}}{dt}.

마찬가지로, 속도의 미분은 가속도이다.

:\frac{d \mathbf v}{dt} = \mathbf{a}(t).

만약 가 시간 와 같은 단일 스칼라 변수의 벡터 함수로 간주된다면, 위의 방정식은 '''a'''의 에 대한 첫 번째 일반 시간 도함수로 축소된다.[1]

:\frac{d\mathbf{a}}{dt} = \sum_{i=1}^{n}\frac{da_i}{dt} \mathbf{e}_i.

실변수 벡터값 함수 \boldsymbol{f} \colon \mathbb{R} \to \mathbb{R}^{n}에 대해, 그 미분은 실함수의 경우와 완전히 같은 형태로, 전진 차분 상의 극한

:\boldsymbol{f}'(t):=\lim_{h\to 0}\frac{\boldsymbol{f}(t+h) - \boldsymbol{f}(t)}{h}

로 정의할 수 있다. 벡터의 연산이 성분별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극한이 존재하면, 그것은 성분 함수의 미분으로 이루어진 벡터값 함수와 일치한다: \boldsymbol{f}'(t) = \left( f_{1}'(x), f_{2}'(x), \dotsc , f_{n}'(x) \right)

실함수의 미분에 관한 중요한 성질은 대부분 벡터값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특히 미분의 선형성과 곱의 법칙이 성립한다.

3. 2. 벡터 함수의 편도함수

2변수 또는 3변수를 갖는 벡터 함수의 편도함수를 살펴보자. 벡터 함수

:v영어=v₁영어, v₂영어, v₃영어=v₁영어i영어+v₂영어j영어+v₃영어k영어

의 각 성분 함수가 n개의 변수 t₀영어, ⋯, tₙ영어에 대한 미분가능한 함수라고 가정하자. 이때, 변수 tₘ영어에 관한 v영어의 편도함수(partial derivative) ∂v/∂tₘ영어는 다음과 같은 벡터 함수로 정의된다.

:∂v/∂tₘ영어 = ∂v₁/∂tₘ영어i영어 + ∂v₂/∂tₘ영어j영어 + ∂v₃/∂tₘ영어k영어

벡터 함수 '''a'''영어의 스칼라 변수 q영어에 대한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a'''/∂q영어 = Σᵢ=₁ⁿ영어 ∂aᵢ/∂q영어 '''e'''ᵢ영어

여기서 ''a''ᵢ영어는 '''e'''ᵢ영어 방향의 '''a'''영어의 ''스칼라 성분''이다. 또한 '''a'''영어와 '''e'''ᵢ영어의 방향 코사인 또는 내적이라고도 한다. 벡터 '''e'''₁영어, '''e'''₂영어, '''e'''₃영어는 미분이 수행되는 좌표계에서 고정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실변수 벡터값 함수 '''f''' : ℝ → ℝⁿ영어에 대해, 그 미분은 실함수의 경우와 완전히 같은 형태로, 전진 차분 상의 극한

:'''f'''′(t):= lim

로 정의할 수 있다. 벡터의 연산이 성분별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위의 극한이 존재하면, 그것은 성분 함수의 미분으로 이루어진 벡터값 함수와 일치한다: '''f'''′(t) = (f₁′(x), f₂′(x), …, fₙ′(x))영어

실함수의 미분에 관한 중요한 성질은 대부분 벡터값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특히 미분의 선형성과 곱의 법칙이 성립한다.

벡터 변수의 벡터값 함수 '''f''' : ℝⁿ → ℝᵐ영어의 경우에는, 이것을 m영어 개의 n영어-변수 함수 yᵢ영어 (1=i = 1, …, m영어)의 조로 보면, mn영어개의 편미분이 생각된다. 이들 편도함수를 제 i영어 행이 스칼라값 함수 yᵢ영어의 기울기가 되도록 하여 얻어지는 m영어행 n영어열의 배열은 '''f'''영어야코비 행렬이라고 불린다.

:\begin{pmatrix}

\dfrac{\partial y_1}{\partial x_1} & \cdots & \dfrac{\partial y_1}{\partial x_n} \\

\vdots & \ddots & \vdots \\

\dfrac{\partial y_m}{\partial x_1} & \cdots & \dfrac{\partial y_m}{\partial x_n}

\end{pmatrix}

3. 3. 전미분

벡터 '''a'''가 스칼라 변수 (''r'' = 1, ..., ''n'')}}의 함수이고, 각 이 시간 의 함수일 경우, '''a'''의 에 대한 일반적인 도함수는 전미분으로 알려진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1] 다음과 같다.

:\frac{d\mathbf a}{dt} = \sum_{r=1}^{n} \frac{\partial \mathbf a}{\partial q_r} \frac{dq_r}{dt} + \frac{\partial \mathbf a}{\partial t}.

일부 저자는 전미분 연산자를 나타내기 위해 대문자 를 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전미분은 변수 의 시간 변화로 인한 '''a'''의 변화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부분 시간 도함수와 다르다.

3. 4. 비고정 기저를 갖는 벡터 함수의 도함수

벡터 함수의 도함수는 스칼라 함수와 달리 기준 틀의 선택에 영향을 받는다. 고정된 데카르트 좌표계가 아닌 경우, 기준 틀에 따라 도함수가 달라지며, 서로 다른 기준 틀에서의 도함수는 운동학적 관계를 갖는다.[1]

기저 벡터 '''e'''1, '''e'''2, '''e'''3가 기준 좌표계 E에서는 고정되어 있지만, 기준 좌표계 N에서는 고정되지 않은 경우, 기준 좌표계 N에서 벡터의 일반 시간 미분 공식은 다음과 같다.

:\frac{dt} = \sum_{i=1}^{3} \frac{da_i}{dt} \mathbf{e}_i + \sum_{i=1}^{3} a_i \frac{{}^\mathrm{N}d\mathbf{e}_i}{dt}

여기서 미분 연산자 왼쪽에 있는 위첨자 N은 미분이 취해지는 기준 좌표계를 나타낸다. 우변의 첫 번째 항은 '''e'''1, '''e'''2, '''e'''3가 상수인 기준 좌표계 E에서의 '''a'''의 미분과 같다. 우변의 두 번째 항은 두 기준 좌표계의 상대적인 각속도를 벡터 '''a''' 자체와 외적한 것과 같다.[1] 따라서 두 기준 좌표계에서 벡터 함수의 미분을 연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1]

:\frac{{}^\mathrm Nd\mathbf a}{dt} = \frac{{}^\mathrm Ed\mathbf a}{dt} + {}^\mathrm N \mathbf \omega^\mathrm E \times \mathbf a

여기서 NωE/N'''''ω'''''E영어는 기준 좌표계 N에 대한 기준 좌표계 E의 각속도이다.

일례로, 관성 기준틀에서 로켓과 같은 우주 비행체의 속도를 지면에 대한 로켓의 속도 측정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위치 rR/'''r'''R영어에 있는 로켓 R의 관성 기준틀 N에서의 속도 NvR/N'''v'''R영어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frac{{}^\mathrm Nd}{dt}(\mathbf r^\mathrm R) = \frac{{}^\mathrm Ed}{dt}(\mathbf r^\mathrm R) + {}^\mathrm N \mathbf \omega^\mathrm E \times \mathbf r^\mathrm R.

여기서 NωE/N'''''ω'''''E영어는 관성틀 N에 대한 지구의 각속도이다. 속도는 위치의 미분이므로 NvR/N'''v'''R영어 및 EvR/E'''v'''R영어은 각각 기준 좌표계 N과 E에서 rR/'''r'''R영어의 미분이다. 따라서,

:{}^\mathrm N \mathbf v^\mathrm R = {}^\mathrm E \mathbf v^\mathrm R + {}^\mathrm N \mathbf \omega^\mathrm E \times \mathbf r^\mathrm R

여기서 EvR/E'''v'''R영어는 지구에 고정된 기준 좌표계 E에서 측정된 로켓의 속도 벡터이다.

4. 벡터 함수의 곱의 미분

벡터 함수의 곱의 미분은 스칼라 함수의 곱의 미분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특히, 벡터의 스칼라 곱의 경우, 가 의 스칼라 변수 함수라면,[1]

:\frac{\partial}{\partial q}(p\mathbf a) = \frac{\partial p}{\partial q}\mathbf a + p\frac{\partial \mathbf a}{\partial q}.

점 곱의 경우, 와 두 벡터가 모두 의 함수라면,[1]

:\frac{\partial}{\partial q}(\mathbf a \cdot \mathbf b) = \frac{\partial \mathbf a }{\partial q} \cdot \mathbf b + \mathbf a \cdot \frac{\partial \mathbf b}{\partial q}.

마찬가지로, 두 벡터 함수의 외적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1]

:\frac{\partial}{\partial q}(\mathbf a \times \mathbf b) = \frac{\partial \mathbf a }{\partial q} \times \mathbf b + \mathbf a \times \frac{\partial \mathbf b}{\partial q}.

5. 야코비 행렬

실수 t \in \R^m의 함수인 \mathbf{f}의 성분들의 편도함수는 n \times m 행렬을 형성하며, 이를 \mathbf{f}야코비 행렬이라고 부른다.[1]

벡터 변수의 벡터값 함수 \boldsymbol{f} \colon \mathbb{R}^{n} \to \mathbb{R}^{m}의 경우, \boldsymbol{f}m개의 n-변수 함수 y_i (1=i=1, …, m)의 조로 보면, mn개의 편미분이 생각된다.[1] 이들 편도함수를 모아 제 i 행이 스칼라값 함수 y_i의 기울기가 되도록 배열하면 다음과 같은 mn열의 행렬을 얻을 수 있다.

\begin{pmatrix}

\dfrac{\partial y_1}{\partial x_1} & \cdots & \dfrac{\partial y_1}{\partial x_n} \\

\vdots & \ddots & \vdots \\

\dfrac{\partial y_m}{\partial x_1} & \cdots & \dfrac{\partial y_m}{\partial x_n}

\end{pmatrix}

이 행렬은 \boldsymbol{f}야코비 행렬이라고 불린다.[1]

6. 무한 차원 벡터 함수

함수 '''f'''의 값이 무한 차원 벡터 공간 ''X'' (예: 힐베르트 공간)에 속하는 경우, '''f'''를 ''무한 차원 벡터 함수''라고 부를 수 있다.

7. 벡터장

벡터장은 공간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벡터장은 유체의 흐름, 전자기장 등 다양한 물리 현상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