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로디노급 전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로디노급 전함은 프랑스에서 건조된 체사레비치 전함을 기반으로 설계된 러시아 제국 해군의 전함이다. 1898년 러시아가 랴오둥반도와 뤼순항에 대한 조차 계약을 체결하면서 부동항 확보를 위해 건조되었으며, 러시아가 건조한 전함 중 가장 많은 수의 함급이었다. 텀블홈 선체를 채택하여 선체 중량을 경감하고 현측 포곽의 사계를 확보했으며, 30.5cm 연장포, 15.2cm 속사포 등을 탑재했다. 5척이 건조되었으나, 러일 전쟁 당시 쓰시마 해전에서 4척이 격침되었고, 남은 1척은 일본에 나포되어 운용되다 해체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슬라바는 문사운드 해전에서 자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전함 -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은 1890년대 러시아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평갑판 전함 3척(페트로파블롭스크, 폴타바, 세바스토폴)으로, 강력한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특히 페트로파블롭스크는 러일 전쟁 초기에 침몰하며 스테판 마카로프 제독이 전사한 비운의 함선이다.
  • 러시아의 전함 - 페트로파블롭스크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으로, 305mm 주포 4문 등을 장착하고 1900년 건조되어 러일 전쟁 중 뤼순 항구에서 기뢰 공격으로 침몰, 스테판 마카로프 제독을 포함한 다수의 승무원이 사망했다.
  • 러일 전쟁의 전함 - 바랴크 (방호순양함)
    바랴크는 1901년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한 방호순양함으로, 러일 전쟁 중 제물포 해전에서 자침되었고, 이후 일본 해군에서 운용되다 러시아에 재구매되었지만,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좌초되어 해체되었다.
  • 러일 전쟁의 전함 - 류리크 (1892년 장갑순양함)
    류리크 (1892년 장갑순양함)는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 해군이 건조한 장갑 순양함으로, 영국 해군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러일 전쟁 중 울산 해전에서 일본 해군과 교전 후 자침되었다.
  • 전함 함급 - 비토리오 베네토급 전함
    비토리오 베네토급 전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해군이 운용한 고속전함으로, 강력한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기 위해 38.1cm 주포와 풀리에세식 수뢰 방어 시스템을 채용했다.
  • 전함 함급 - 야마토급 전함
    야마토급 전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이 건조한 가장 큰 규모와 강력한 무장을 갖춘 전함으로, 46cm 주포 9문과 두꺼운 장갑을 탑재하여 해군 기술의 정점을 보여주었으나 항공전 시대로 인해 활약이 제한적이었으며, 야마토, 무사시 2척과 시나노 1척만이 완성되었다.
보로디노급 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오룔 정박 중 사선도
오룔 정박 중 사선도
함급전드레드노트급 전함
함정 정보
건조발트 해군 공창, 상트페테르부르크
해군성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
운용
건조 기간1899년–1905년
취역 기간1904년–1922년
운용 기간1904년–1922년
총 건조 함선 수5척
총 폐기 함선 수1척
총 손실 함선 수4척
제원
추진2축, 2 3단 팽창 증기 엔진
항속 거리at
승무원장교 28명, 사병 826명
동력
20 벨빌 보일러
무장
주포2 × 2연장 포
부포6 × 2연장 포
기타 포20 × 단장 포, 20 × 단장 포
어뢰 발사관4 × 단장 어뢰 발사관
장갑
장갑 종류크루프 장갑
관련 정보
참고, ,

2. 설계 및 제작

보로디노급 전함은 프랑스에서 건조되어 황해 해전에 참전한 체사레비치 전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러시아 해군의 요구에 맞춰 일부 변경되었다. 러시아 해군은 5척을 추가 건조하기로 하고 러시아 공장에서 건조하였다. 이 중 슬라바는 러일 전쟁 때에는 완성되지 못하여 전쟁에 참가하지 못하였다.

1906년 Brassey's Naval Annual에 묘사된 우현도 및 갑판 배치도


보로디노급은 체사레비치보다 더 무거운 엔진과 더 큰 포탑을 갖게 되어, 설계자는 동일한 속도, 흘수, 함포 및 장갑을 가지면서도 더 큰 배수량을 가진 함선을 건조해야 했다. 새로운 설계는 해군 기술 위원회(NTC)의 D. V. 스크보르초프가 1898년에 완료했다. 새로운 개념은 대략 더 무겁고 체사레비치보다 약간 더 크고 넓었다.[2]

스크보르초프는 선수와 선미에 각각 4문의 함포를 갖춘 두 개의 포좌를 추가했다. 이는 장갑대 위에 측면에 배치된 12문의 75 mm 함포에 추가된 것이다. 이로 인해 선체 나머지 부분에 사용된 텀블홈이 12문의 함포 위에서 삭제되었고, 대신 평평한 측면 장갑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5척의 보로디노급 전함은 측면에 배치된 75 mm 함포의 전후에만 텀블홈 선체를 가지고 있었다.[3]

기관실과 보일러실 사이의 중심선 벌크헤드는 한쪽이 침수되고 과적재 시 좁은 벨트 장갑이 잠길 경우 전복될 위험이 있었다.[4]

함선은 수선에서 전장, 전체 전장, 의 함폭, 의 흘수를 가졌으며, 설계보다 더 길었다. 정상 배수량은 였으며, 설계 배수량 보다 더 많았다. 이 함선은 28명의 장교와 754명의 사병으로 설계되었지만,[5] 크니아츠 수보로브는 쓰시마 해전 동안 928명의 승무원을 태웠다.[6]

보로디노급 함선은 각각 하나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하는 2개의 4기통 왕복 증기 기관에 의해 동력을 얻었으며, 20개의 벨빌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사용했다. 이 엔진은 최고 속도 을 내도록 설계되었다. 보로디노는 체사레비치에 설치된 프랑코-러시아 공장에서 제작된 La Seyne 기계의 복사본을 장착했다. 나머지 4척의 보로디노는 발트 공장에서 설계 및 제작된 기계류를 공급받았다. 보로디노의 엔진은 으로 평가되었고 보일러의 작동 압력은 이었으며, 자매함의 기계류는 으로 평가되었고 보일러의 작동 압력은 이었다. 다른 차이점은 보로디노에는 보일러용 절탄기와 3엽 스크류가 장착된 반면, 자매함에는 절탄기가 없고 4엽 프로펠러가 장착되었다는 것이다.[7]

함선이 완공 직후 극동으로 이동할 준비가 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단축된 해상 시험만 수행했다. 오룔만이 이 시험에서 설계 속도에 도달했으며, 엔진은 만 생산했다. 자매함의 엔진은 더 많은 출력을 냈지만 시험 동안 더 느렸다. 최대 적재 시, 이들은 의 석탄을 운반하여 의 속도로 의 항속 거리를 제공했다. 함선에는 총 용량이 인 6개의 증기 구동 발전기가 장착되었다.[7]

2. 1. 개발 배경

1894년 니콜라이 2세는 즉위 이후 태평양의 부동항을 원했다. 1898년 3월 러시아가 중국과 랴오둥 반도와 뤼순항에 25년 조차 계약을 체결하면서 이 야망을 달성했다.[1] 일본은 이전에 중국을 강요하여 1894~1895년의 청일 전쟁을 종결하는 시모노세키 조약의 일부로 항구와 주변 영토를 양도하게 했다. 그러나 프랑스, 러시아, 독일의 삼국 간섭으로 인해 중국이 지불한 배상금을 대폭 늘리는 조건으로 항구를 반환해야 했다.[1] 일본은 배상금의 상당 부분을 함대 확장에 투자했고, 러시아는 새로 획득한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보로디노급 전함이 포함된 주요 건설 프로그램("극동의 필요를 위해")을 시작했다.[1]

대일본제국 해군이 잇달아 12인치 포 전함을 구매하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제국 해군은 대항책이 필요했다. 태평양 함대용으로 건조한 10인치 포 전함 「페레스베트급」으로는 역부족이라는 판단에서, 1898년에 러시아 해군 최초의 12인치 포를 가진 신형 전함 2척이 외국에 발주되었다. 이것이 미국의 크램프 조선소(William Cramp and Sons)에서 건조된 「레트비잔」과 프랑스에서 건조된 「체사레비치」이다. 이 중 「체사레비치」는 프랑스로부터 라이센스 생산 허가를 얻었기 때문에, 이를 러시아의 공업력에 맞는 수준으로 복사하는 것으로 본급의 건조가 승인되었다.

본급의 기반이 된 「체사레비치」 (1903년)

2. 2. 설계 특징

Бородиноru급 전함은 프랑스에서 건조되어 황해 해전에 참전한 체사레비치 전함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텀블홈형 선체를 채택하여 선체 중량을 줄이고 현측 포곽의 사계를 확보했다.

주포는 "Pattern 1895 30.5cm(40구경)포"를 채용, 331.7kg의 포탄을 앙각 15도에서 14,640m까지 발사할 수 있었다. 이 주포는 30.5cm(40구경) 연장포탑 2기에 탑재되어 선수와 선미에 각각 배치되었다. 부포는 "Pattern 1892 15.2cm (45구경) 속사포"를 채용, 41.4kg의 포탄을 앙각 20도에서 11,520m까지 날릴 수 있었다. 15.2cm(45구경) 속사포는 연장 포탑 6기에 분산 배치되었다.

본급의 부포인 "Pattern 1892 15.2cm (45구경) 속사포". 사진은 "오렐"의 것.


어뢰정 방어를 위해 "Pattern 1892 7.5cm (50구경) 속사포" 와 "Pattern 1873 4.7cm (43.5구경) 속사포"를 다수 탑재했다. 7.5cm 포는 4.9kg 포탄을 앙각 20도에서 7,869m, 4.7cm 포는 1.5kg 포탄을 앙각 10도에서 4,575m까지 발사 가능했다.

본급에도 장비된 "Pattern 1892 7.5cm (50구경) 속사포". 사진은 순양함 "그로모보이"의 것.


벨빌식 수관 보일러 20기를 탑재하고, 2기의 4기통 왕복 증기 기관으로 추진되었다. 보일러실은 전후 2실로 나뉘어 있었고, 각 실은 보일러 5기를 병렬 배치하여 2실당 연돌 1기가 담당하는 구조였다.

설계상 문제로 인해 무게중심이 높아 복원성이 부족했고, 이는 안정성 문제로 이어졌다.[45] 해군 역사학자 안토니 프레스턴은 이를 지금까지 건조된 최악의 전함 중 하나로 간주했다.[4]

3. 함선 목록

보로디노급 전함 건조 데이터
함선이름 유래건조자비용기공진수취역최후
보로디노 (보로디노)보로디노 전투[19]신 해군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4572000RUB1900년 5월 23일1901년 9월 8일1904년 8월쓰시마 해전에서 격침, 1905년 5월 27일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III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III)러시아 제국차르 알렉산드르 3세[20]발트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3979000RUB1900년 5월 23일1902년 8월 3일1903년 11월쓰시마 해전에서 격침, 1905년 5월 27일
크냐즈 수보로프 (크냐즈 수보로프)알렉산드르 수보로프[21]발트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3841000RUB1901년 9월 8일1902년 9월 25일1904년 9월쓰시마 해전에서 격침, 1905년 5월 27일
오룔 (오룔)독수리[22]갈레르니 섬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3404000RUB1900년 6월 1일1902년 7월 19일1904년 10월쓰시마 해전에서 항복, 1905년 5월 28일,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이와미로 개명되어 해체 또는 표적으로 사용되어 1924년–1925년 침몰
슬라바 (슬라바)영광[23]발트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3841000RUB1902년 11월 1일1903년 8월 29일1905년 10월문사운드 해전 중 자침, 1917년 10월 17일


3. 1. 보로디노 (Бородино)

Бородиноru는 보로디노 전투[19]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신 해군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건조 비용은 14572000RUB이었다. 1900년 5월 23일에 기공하여 1901년 9월 8일에 진수되었고, 1904년 8월에 취역하였다.[14]

Бородиноru쓰시마 해전에 참전하였으나 1905년 5월 27일에 격침되었다.[18] 이 배의 생존 승무원은 침몰 전에 구축함으로 옮겨탄 로제스트벤스키 등 사령부 요원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보로디노의 포수가 "갑자기 배가 전복되었다"고 증언할 정도로, 이전부터 지적되었던 복원성 문제가 전투 중 손상으로 인해 악화되어 전복된 것으로 추정된다.

함명기공진수준공함력
보로디노1899년 7월1901년 9월 8일1904년 8월1905년 5월 27일 전몰(쓰시마 해전)


3. 2.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 (Император Александр III)

Император Александр IIIru러시아 제국차르 알렉산드르 3세[20]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발트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건조 비용은 13979000RUB이었다.[14] 1900년 5월 23일에 기공되어, 1901년 8월 3일에 진수되었고, 1903년 11월에 취역하였다.

Император Александр IIIru는 1905년 5월 27일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함대와 교전 중 침몰하였다.[18] 이 배는 건조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은 최신예함이었으나,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침몰했다.

함명기공진수준공함력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1899년 7월1901년 8월 3일1903년 11월1905년 5월 27일 전몰(쓰시마 해전)


3. 3. 크냐즈 수보로프 (Князь Суворов)

Князь Суворовru알렉산드르 수보로프[21]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발트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1901년 9월 8일에 기공하여 1902년 9월 25일에 진수되었고, 1904년 9월에 취역하였다. 건조 비용은 13841000RUB이었다.[14]

Князь Суворовru쓰시마 해전에 참전하여 1905년 5월 27일에 침몰하였다.[18] 이 해전에서 Князь Суворовru를 포함한 4척의 보로디노급 전함이 참전하였는데, 이들은 준공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은 최신예함이었다. 그러나 기함 Князь Suvorovru를 비롯하여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 보로디노 3척이 침몰하였고, 오르요는 일본군에 나포되어 일본 전함 이와미가 되었다. 3척의 침몰은 이전부터 지적되었던 복원성 문제와 전투 중 손상으로 인해 전복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3. 4. 오룔 (Орёл)

Орёл|오룔ru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갈레르니 섬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1900년 6월 1일에 기공, 1902년 7월 19일에 진수, 1904년 10월에 취역하였다. 건조 비용은 1340만 4천 루블이었다.[14] Орёл|오룔ru독수리를 의미한다.[22]

1905년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제국 해군에 나포되어 이와미(石見)로 개명되었다.[18] 일본은 이와미일본어를 대대적으로 개조하여 1907년 6월에 재취역시켰다.[37] 상부 구조물을 줄이고 함포 위치를 변경하는 등 상부 무게를 줄이는 작업을 거쳤다. 보일러는 일본제 미야바라 보일러로 교체되었고, 일본제 함포로 재무장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배수량이 약 약 13716634.50kg톤으로 감소했으며, 승무원은 장교 및 승무원 총 750명이었다.[3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함선은 1914년 8월부터 11월까지 칭다오 공방전에 참여했으며,[39] 1918년 일본이 러시아 내전시베리아 출병했을 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본 간섭 함대의 기함으로 활동했다.[40] 1921년에 훈련함으로 사용되었고,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조건에 따라 1922년에 무장 해제되었다. 최종 운명에 대한 자료는 엇갈리는데, 1924년 7월 미우라 근처에서 항공기에 의해 표적으로 침몰했거나 1924년에서 1925년 사이에 고베에서 해체되었다.

정박 중인

3. 5. 슬라바 (Слава)

Славаru러일 전쟁 중에는 완성되지 못해 참전하지 못했다.[23] 1905년 10월에 취역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발트해에서 독일 함대와 싸워 한때 격퇴하는 등 분전했지만, 문사운드 해전에서 초노급전함 쾨니히 등과의 포격전 끝에 결국 1917년 10월 17일 자침했다.[18]

슬라바 건조 데이터
이름의 유래건조자비용기공진수취역최후
영광[23]발트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13841000RUB1902년 11월 1일1903년 8월 29일1905년 10월문사운드 해전 중 자침, 1917년 10월 17일


4. 운용 역사

보로디노급 전함은 러일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러일 전쟁 당시 보로디노급 전함 4척은 러시아 제2태평양 함대의 주력으로 참전했다. 1904년 10월, 도거 뱅크 사건을 일으켜 국제적인 문제를 야기했다.[26][27]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슬라바는 발트해에서 복무하며, 1915년 8월 리가만 해전에서 독일 공해 함대와 교전했다.[41] 1917년 문사운드 해전에서 큰 피해를 본 후 자침했다.[42]

4. 1. 러일 전쟁

러일 전쟁에서 보로디노급 전함 4척은 러시아 제2태평양 함대의 주력으로 참전했다.

1904년 10월, 북해 도거 뱅크에서 영국 어선을 일본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공격하는 도거 뱅크 사건이 발생하여 국제 문제를 야기했다.[26][27] 이 사건은 당시 대한제국의 중립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했으며, 영일 동맹에 의거 일본을 지원하는 영국과 러시아 간 긴장을 고조시켰다.

1905년 5월, 쓰시마 해전에서 보로디노급 전함 4척 (보로디노,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 크냐즈 수보로프, 오룔)은 일본 함대와 교전하였으나 모두 상실하는 참패를 당했다.[34][35][6][36] 이 해전에서 기함 크냐즈 수보로프를 시작으로,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 보로디노 3척이 침몰했고, 남은 오룔은 일본군에 나포되어 일본 전함 이와미가 되었다. 3척의 침몰과 관련해서는 이전부터 지적되었던 복원성 악화가 피해로 인해 더욱 심해져 전복되었다고 하며, 3척 중 유일한 생존 승무원(침몰 전에 구축함으로 옮겨탄 로제스트벤스키 등 생존 사령부 요원은 제외)인 보로디노의 포수도 "갑자기 배가 전복되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쓰시마 해전의 결과는 대한제국의 운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 해군의 패배로 일본의 한반도 지배가 확고해졌으며, 이는 결국 대한제국의 국권 상실로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의 강제 병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함명함력
보로디노1905년 5월 27일 전몰(쓰시마 해전)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1905년 5월 27일 전몰(쓰시마 해전)
오르요 (이와미)1905년 6월 6일 일본 해군 편입
1922년 9월 1일 제적
크냐즈 수보로프1905년 5월 27일 전몰(쓰시마 해전)


4.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발트해에서 복무한 슬라바는 1915년 8월 리가만 해전에서 독일 공해 함대와 싸운 러시아 리가만 함대의 가장 큰 함선이었다.[41] 슬라바는 전투 중 3발의 피탄으로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슬라바는 1915년 나머지 기간과 1916년 동안 독일군 진지와 병력을 반복적으로 포격했다.[41] 1917년 문사운드 해전 동안 슬라바는 독일 드레드노트급 전함에 의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침수로 인해 흘수가 크게 증가했다. 얕은 수로 때문에 탈출이 불가능해졌고, 슬라바는 무후 (문) 섬과 본토 사이의 문사운드 해협에서 자침되었다.[42] 에스토니아인들은 1935년에 슬라바를 스크랩 처리했다.[43]

5. 평가

보로디노급 전함은 건조 당시 러시아 해군의 주력함이었으나, 설계상 문제와 러일 전쟁에서의 참패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무게중심이 높아 불안정하여 전복될 위험이 있었는데, 이는 일부 해군 건축가들이 보로디노급을 역사상 최악의 전함 중 하나로 여기는 이유 중 하나이다.[45]

쓰시마 해전에는 보로디노급 전함 4척이 참전했으나, 기함 크냐즈 수보로프를 포함하여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3세, 보로디노 3척이 침몰했고, 오르요는 일본군에 나포되었다. 이러한 대량 손실은 이전부터 지적되었던 복원성 문제가 전투 중 피해로 인해 더욱 악화되어 전복으로 이어진 결과로 여겨진다. 보로디노의 생존 승무원 역시 "갑자기 배가 전복되었다"고 증언했다.

마지막 함선인 슬라바는 제1차 세계 대전 발트해에서 활약했으나, 리가 만 해전에서 초노급전함 쾨니히 등과의 전투 끝에 자침했다.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인용
[26] 인용
[27] 인용
[28] 인용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인용
[33] 인용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Forczyk
[37]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38] 서적 McLaughlin
[39] 서적 McLaughlin
[40] 서적 Preston 1972
[41] 서적 Nekrasov
[42] 서적 Staff
[43] 서적 Campbell 1979
[44] 문서 tumblehome: 배의 윗쪽이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
[45] 서적 World's Worst Warship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