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질주의는 사물의 본질이 존재하며, 이는 맥락을 초월하는 불변의 속성이라는 철학적 견해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본질주의적 사상을 제시했으나, 버트런드 러셀과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이를 비판했다. 본질주의는 자연주의, 인간 본성, 생물학적 분류, 사회적 범주,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며, 특히 성차별, 인종, 문화, 전략적 정체성 등 사회적 범주와 관련하여 비판과 옹호를 받는다. 심리학에서는 심리적 본질주의가 인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며, 역사학에서는 특정 문화나 국가의 본질을 규정하려는 시도로 나타난다. 비트겐슈타인의 가족 유사성 개념은 본질주의에 대한 주요 비판으로 제시되며, 형이상학적 논의와 경험적 논의의 차이,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의 본질주의 관련 논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질주의 - 철학자
- 본질주의 - 윌프레드 C. 스미스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는 캐나다 출신의 종교학자로, 인도와 이슬람사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종교 연구에 기여했으며, 종교 개념의 역사적 변화를 강조하고 "종교"라는 용어의 서구적 구성물임을 비판했다. - 과학철학 개념 - 패턴
패턴은 자연, 예술, 과학, 수학 등 여러 분야에서 반복되거나 규칙적인 형태 또는 구조를 의미하며, 자연에서는 대칭, 프랙탈, 나선형 등으로 나타나고, 예술과 건축에서는 시각적 아름다움과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활용되며, 수학에서는 수열, 프랙탈 등으로 연구되고, 컴퓨팅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으로 활용된다. - 과학철학 개념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미학 개념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 미학 개념 - 오락
오락은 즐거움과 만족을 제공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이자 시대와 기술에 따라 진화하며 심리학적, 철학적으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본질주의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어떤 것이 그 자체로 존재하는 데 필수적인 속성들의 집합을 가지고 있다는 철학적 관점 |
주요 개념 | 본질 속성 범주 자연 종류 |
반대 개념 | 반본질주의 실존주의 허무주의 |
철학적 관점 | |
핵심 주장 | 모든 존재는 고유한 본질을 가지며, 그 본질은 변하지 않고, 그 존재를 정의함 |
역사적 기원 |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기원 |
영향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 이론 중세 철학의 스콜라 철학 근대 철학의 합리주의 |
심리학적 관점 | |
심리적 본질주의 | 인간은 사물과 사람을 특정 본질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경향 사회적 편견 및 고정 관념 강화 집단 간 편견 심화 사회적 불평등 유지 |
과학적 관점 | |
생물학적 본질주의 | 생물학적 종을 불변하는 본질적 속성을 가진다고 가정 진화론적 관점과 대조 |
사회과학적 본질주의 | 사회적 범주를 고정되고 불변하는 것으로 간주 사회적 구성주의와 대조 |
비판 | |
본질주의의 문제점 | 다양성과 변화 무시 편견 및 고정 관념 강화 사회적 불평등 정당화 지나치게 단순화된 이해 초래 |
관련 용어 | |
반본질주의 | 본질주의에 반대하는 철학적 입장 |
실존주의 |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고 주장 |
구성주의 | 지식과 현실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 |
자연 종류 | 본질주의와 관련된 개념 |
2. 철학에서의 본질주의
철학에서 본질주의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기원하며, 사물의 본질은 영원하고 불변하며 모든 가능한 세계에 존재한다고 본다. 플라톤은 사물이 데미우르고스의 활동으로 혼돈에서 질서 있는 실체로 만들어지며, 이상적인 형상을 모방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질료설로 이어져, 사물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본질주의는 사물의 존재 양태가 필연적이고 불변적인 요소인 본질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사물을 이해하고 묘사할 때 이러한 특정 속성이나 요소만이 중요하게 고려되며, "비본질적" 요소는 우연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무시된다. 대상의 속성은 본래적이고 이상적인 속성인 본질과, 그 본질을 가리는 부수적인 요소로 나뉘어 계층적이고 이원적으로 이해된다.
사회과학에서 사회구성주의와 대비되는 본질주의는, 사회적 경험을 구성하는 여러 사물이나 범주에 특정 사회, 시대, 상황을 초월한 본질이 존재한다고 본다. 사회 상황에 따라 본질 이외의 부분은 변할 수 있지만, 본질은 불변하며, 그러한 사물은 사회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실존성을 가진 실체라고 본다.
본질주의는 고정적인 본질의 존재를 부정하는 비본질주의(non-essentialism)와 대립한다. 비본질주의나 상대주의는 본질이나 필연적인 공통 요소가 대상이 분류될 때의 행위에 의해 사후적으로 규정된다고 본다. 즉, 중심은 경계에 의해 결정된다. 반면, 전통적인 본질주의는 본질이 단순한 공통 요소나 분류 기준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결정 요인이라고 본다. 이 경우 중심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며, 외연적인 분류 기준은 본질에 의해 결정되고 그 정당성이 본질을 기준으로 판단된다.
본질은 필연성, 핵심적인 규정 요인, 나아가 "본래의·있어야 할"이라는 가치 판단을 수반하는 개념이다. 일상 언어에서의 경험적인 범주(예: "여성", "일본인", "시골")에서 일반적인 공통 요소의 집합을 본질로 제시하는 행위는 정치적, 사상적인 함의를 강하게 지닐 수밖에 없다.
본질은 대상의 동일시 방식, 그룹핑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는 가정이 중요하다. 본질주의에서 본질로 여겨지는 특성의 집합은 실재하는 대상 자체의 속성 계층성과 질서를 반영해야 한다. 즉, 본질적 속성과 비본질적 속성의 차이가 인식과 독립적으로 대상에 실재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본질주의에서 본질은 의미 분석으로 유도되는 조작적 개념이 아니라, 실재하는 실체이다.
하지만, 고대 철학과 현대 철학에서 여러 철학자들은 본질주의를 비판하거나 다른 관점을 제시하기도 했다.
2. 1. 고대 철학과 본질주의
플라톤은 사물이 데미우르고스의 활동으로 혼돈에서 질서 있는 실체로 만들어지며, 이상적인 형상을 모방한다고 주장했다.[12] 예를 들어, 원의 이상적인 형상은 완벽한 원이며,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우리가 그리고 관찰하는 원들은 공통적인 "관념", 즉 이상적인 형상을 가진다. 플라톤은 이러한 관념이 영원하며 그 현현보다 훨씬 우월하고, 우리는 물질 세계에서 이러한 현현을 각각의 이상적인 형상과 비교하고 관련지어 이해한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의 형상은 사물의 본질적이고 맥락을 초월하는 것, 즉 사물을 그것으로 만드는 추상적 속성이라는 점에서 본질주의적 교리의 원조로 간주된다. 플라톤의 동굴 비유가 그 예시다.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질료"와 "형상"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본질을 설명했다.[12] 그는 장인이 나무(질료)를 가지고 특정한 형태(형상)로 가공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이처럼, 특정 형상이 질료에 정체성을 부여하며, 이것이 곧 본질, 즉 "그것이 무엇인가"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이성'은 인간의 본질이며, 이성이 없으면 인간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2. 2. 현대 철학과 본질주의 비판
버트런드 러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 개념이 언어적 편의를 형이상학으로 옮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언어의 속성을 세계의 속성과 혼동했다고 지적하며, 어떤 사물의 "본질"은 우리가 그것을 위한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면 그 정의 속성에 있다고 보았다.[12] 러셀은 본질의 개념은 "hopelessly muddled" 되었지만 현대까지 모든 철학의 일부가 되었다고 평가했다.[12]플로티누스는 신플라톤주의를 통해 이상주의를 로마 제국에 도입했다. 그는 모든 존재자가 "일차적 본질"에서 나온다고 보았으며, 마음이 경험적 데이터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지각 대상을 형성하거나 질서짓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실존주의는 "존재"가 "본질"에 우선한다고 보며, 인간 본성의 불변성을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와 선택을 강조한다. 마르크스, 니체, 사르트르 등은 이러한 관점을 비판했다.
3. 자연주의와 본질주의
18세기부터 등장한 자연주의는 사회적 문제를 자연적 성향의 논리로 설명하는 본질주의의 한 형태이다.[13] 여기서 말하는 자연은 생물학적, 존재론적, 또는 신학적일 수 있다.[14] 이는 반자연주의 및 문화주의와 대립한다.[15]
3. 1. 인간 본성과 본질주의
인간 본성에 대한 상반된 개념은 본질주의적 관점 대 비본질주의적(혹은 반본질주의적) 관점,[16][17] 일원론 대 다원론으로 나눌 수 있다.[18]고전적인 휴머니즘은 영원하고 불변하는 인간성(human nature)이 존재한다고 믿는 본질주의적 개념을 전제로 한다. 인간성, 즉 인간다움이라는 것은 인간의 본질로서 존재하며, 개별 인간에게서 오염되거나, 맑게 드러나거나, 가려지기는 하지만, 그 존재 자체와 그것이 어떠한 것인가 하는 것은 불변하고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관점은 마르크스, 니체, 사르트르, 슈티르너 등 근대 실존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비판받았다. 실존주의자들은 실존(현실적인 존재)이 먼저이며, 그 본질은 그 후 실존(행위 주체, 즉 인간 주체)의 실천에 의해 결정되는 미결정적인 것이라고 생각했다.
3. 2. 생물학적 본질주의
진화가 과학 이론으로 발전하기 전에는 모든 종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는 본질주의적 관점이 지배적이었다.[20] 19세기 생물학자 루이 아가시는 종과 속 같은 분류군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창조주의 마음을 반영한다고 믿었다.[20] 이러한 관점은 진화를 반대하는 일부 종교인들이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하지만 21세기 계통 생물학 역사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진화 이전 사상가들이 모두 본질주의자는 아니었다.[21][22][23] 예를 들어 칼 린네는 본질주의자와 거리가 멀었다.[21][22][23] "본질주의 이야기"(또는 "신화")는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찰스 다윈 직전 시대의 존 스튜어트 밀과 윌리엄 휴얼까지 철학자들이 사용한 생물학적 예시를, 생물학자들이 '종'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혼동한 결과라는 주장도 있다.[21][22][23]
진화론에 따르면, 생물학적 종은 자연선택에 의해 형성된 개체군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역동적인 존재이다.[24][25] 이는 본질주의에서 말하는 정적인 본질과 대조된다. 또한, 현대 생물학은 종을 이해할 때 본질적인 특성보다는 계통 발생적 관계를 강조한다.[24][25] 모든 유기체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종 내의 변이성과 다양성은 고정된 생물학적 본성이라는 개념과 맞지 않는다는 점도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점이다.[24][25]
4. 사회적 범주와 본질주의
사회과학에서 사회구성주의와 대비되는 본질주의는 사회적 경험을 구성하는 여러 사물, 범주(중 적어도 일정한 기본적인 것들)에 특정 사회나 시대, 사회적 상황·문맥을 초월한 본질이 존재한다고 본다. 사회 상황에 따라 본질 이외의 부분은 변할 수 있지만, 그 본질은 불변하며, 그러한 사물은 사회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실존성을 가진 실체라고 보는 사고방식이다.
본질주의는 고정적인 본질의 존재나 본질에 의해 사물이 기본적으로 규정된다는 생각을 부정하는 비본질주의(non-essentialism)와 대립한다. 상대주의 입장에서는 본질이나 필연적인 공통 요소는 대상이 그 대상으로 선별·분류될 때 기능하는 분류·선별 행위에 의해 사후적으로 규정되는 것이라고 본다.
본질은 “본래의·있어야 할”이라는 가치 판단을 수반하는 개념이며, 일상 언어에서의 경험적인 범주(“여성”, “일본인”, “시골” 등)에서 일반적인 공통 요소의 집합을 본질로 제시하는 행위는 정치적·사상적인 함의를 강하게 지닐 수밖에 없다.
본질주의는 현실의 존재를 그 본질에 의해 맥락에서 벗어나 근거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기에, 기존의 관점, 분담, 체제화를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히 1960년대 이후 다양화된 차이와 변화를 긍정하는 정치적 논의의 맥락에서, 편견의 배경을 이루거나 그것을 강화하는 것으로 비판받아 왔다.
그러나 리버럴적인 입장에서의 본질주의 비판에 대해서는, 보수적이고 본질주의적인 입장뿐만 아니라 진보적인 입장에서도, 억압받는 쪽의 대항적인 정체성의 주장까지 부정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며, 그 사회적·정치적 함의는 단순하지 않다.
4. 1. 성차별적 본질주의 (Gender Essentialism)
페미니즘 및 젠더 연구에서 성차별적 본질주의는 남성과 여성에게 고정된 본질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남성과 여성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생각이며, 이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26][27] 게이/레즈비언 권리 옹호자 다이애나 푸스(Diana Fuss)는 "본질주의는 사물의 실제적이고 참된 본질, 즉 주어진 실체의 '본질'을 정의하는 불변하고 고정된 속성에 대한 믿음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이해된다."라고 썼다.[28]여성의 본질은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특별히 여성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특징과 동일시된다.[29] 이러한 여성성에 대한 생각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으로 설명되며, 양육, 공감, 지원 및 비경쟁성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 종종 집중된다. 페미니스트 이론가 엘리자베스 그로스(Elizabeth Grosz)는 1995년 저서 ''공간, 시간 그리고 변태: 신체 정치에 관한 에세이''에서 본질주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여성의 본질로 정의되는 특성들이 모든 여성에게 모든 시간에 공통적으로 공유된다는 믿음을 수반한다. 이는 변화의 다양성과 가능성의 한계를 의미한다. 주체가 자신의 본질에 반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녀의 본질은 여성을 서로 구별하는 모든 외관상의 변화의 기저를 이룬다. 따라서 본질주의는 고정된 특징, 주어진 속성 및 역사적 기능의 존재를 의미하며, 이는 변화의 가능성과 사회적 재편성의 가능성을 제한한다."[29]
성차별적 본질주의는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와 같이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한 대중문화에 널리 퍼져 있지만,[30] ''여성: 이미지와 현실''과 같은 여성학 개론 교과서에서는 정기적으로 비판받는다.[27]
1980년대부터 일부 페미니스트 작가들은 성과 과학에 대한 본질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에블린 폭스 켈러(Evelyn Fox Keller),[31] 산드라 하딩(Sandra Harding),[32] 낸시 투아나(Nancy Tuana)[33]는 현대 과학 기업이 본질적으로 가부장적이며 여성의 본성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앤 히브너 코블리츠(Ann Hibner Koblitz),[34] 레노어 블룸(Lenore Blum),[35] 메리 그레이(Mary Gray),[36] 메리 베스 루스카이(Mary Beth Ruskai),[37] 프니나 아비르-암(Pnina Abir-Am)과 도린다 아우트램(Dorinda Outram)[38]과 같은 다른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과학 연구의 다양한 성격과 서로 다른 문화와 역사적 시대에 여성의 경험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변화를 무시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이론들을 비판해왔다.
본질주의는 현실의 존재를 그 본질에 의해 맥락에서 벗어나 근거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기에, 기존의 관점, 분담, 체제화를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히 1960년대 이후 다양화된 차이와 변화를 긍정하는 정치적 논의의 맥락에서, 편견의 배경을 이루거나 그것을 강화하는 것으로 비판받아 왔다.
그러나 리버럴적인 입장에서의 본질주의 비판에 대해서는, 보수적이고 본질주의적인 입장뿐만 아니라, 진보적인, 또는 좌익적인 입장에서도, 억압받는 쪽의 대항적인 정체성의 주장까지 부정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며, 그 사회적·정치적 함의는 단순하지 않다.
4. 2. 인종적, 문화적, 전략적 본질주의
문화적 및 인종적 본질주의는 특정 인종이나 문화 집단이 본질적인 특성을 공유한다고 보는 관점이다.[39][40] 20세기 초, 많은 인류학자들은 인종이 생물학적 현상이며, 이것이 사람의 행동과 정체성의 핵심이라고 믿었다.[41] 이는 언어, 문화, 사회 집단이 인종적 경계를 따라 존재한다는 믿음과 결합하여 과학적 인종주의의 기반이 되었다.[42] 이는 나치의 우생학과 같은 차별적 이데올로기로 이어지기도 했다.[43] 그러나 문화 연구와 집단 유전학의 발전으로 인종적 본질주의는 과학적 지위를 잃게 되었다.[41] 현대의 많은 인류학자와 생물학자들은 인종을 유효하지 않은 유전적 또는 생물학적 지정으로 간주한다.[44]역사적으로 이러한 본질주의적 믿음은 파괴적이거나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본질주의적 사고는 인종적 편견과 관련이 있으며,[46][47] 의학 분야에서도 잘못된 결론과 불평등한 대우를 유발할 수 있다.[48]
탈식민주의 이론의 주요 개념인 전략적 본질주의는 1980년대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에 의해 소개되었다.[50] 이는 소수 집단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단순화하고 본질화하는 정치적 전술을 의미한다.[52] 이들은 집단 내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평등한 권리나 반세계화와 같은 목표를 위해 일시적으로 그룹 정체성을 단순화하여 제시한다.[51]
5. 심리학에서의 본질주의
심리학에서 본질주의는 형이상학적 본질주의와는 다르게, 세계에 대한 주장이 아니라 인식에서 존재를 나타내는 방식에 대한 주장이다.[62] 이 분야의 주요 인물인 수전 겔만은 아이들과 성인이 생물학적 존재 등 다양한 종류의 존재를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즉, 관찰되지 않은 유사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불변의 기저 본질이 있다고 가정한다.[63][64] 이러한 인과 관계는 단방향으로, 존재의 관찰 가능한 특징이 기저 본질을 정의하지는 않는다.[65]
본질주의는 사물의 존재 양태가 필연적이고 불변적인 요소인 본질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따라서 사물을 이해하고 묘사할 때 이러한 특정 속성이나 요소만을 고려하고, "비본질적" 요소는 우연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무시한다. 본질주의는 대상의 속성을 본질과 그 본질을 가리는 부수적인 요소로 나누어 계층적이고 이원적으로 이해한다. (가장 고전적인 예는 이데아론이다.)
사회과학에서 본질주의는 사회구성주의와 대비된다. 사회적 경험을 구성하는 여러 사물이나 범주에는 특정 사회, 시대, 상황을 초월한 본질이 존재하며, 사회 상황에 따라 본질 외의 부분은 변할 수 있지만 본질은 불변한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사물은 사회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실존성을 가진 실체라고 주장한다. 이는 사회를 분석할 때 외부에서 독립항으로 규정하는 실체를 가정하지 않으면 분석이 자의적이 된다는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과 관련된다.
본질주의는 비본질주의(non-essentialism)와 대립한다. 비본질주의나 상대주의는 본질이나 필연적인 공통 요소가 대상이 분류될 때 기능하는 분류 행위에 의해 사후적으로 규정된다고 본다. 즉, 중심은 경계에 의해 결정된다. 반면, 전통적인 강한 본질주의는 본질이 단순한 공통 요소나 분류 기준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결정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중심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며, 외연적인 분류 기준은 본질에 의해 결정되고 그 정당성과 정확성은 본질을 기준으로 판단된다.
본질은 필연성뿐만 아니라 핵심적인 규정 요인, 나아가 "본래의·있어야 할"이라는 가치 판단을 수반한다. 일상 언어에서의 경험적인 범주(예: "여성", "일본인", "시골")에서 선택된 일반적인 공통 요소의 집합을 본질로 제시하는 행위는 정치적, 사상적인 함의를 강하게 지닐 수 있다.
본질은 대상의 동일시되는 방식, 그룹핑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는 가정이 중요하다. 본질주의에서 본질로 여겨지는 특성의 집합은 실재하는 대상 자체의 속성의 계층성과 질서를 반영해야 한다. 즉, 본질적 속성과 비본질적 속성의 차이는 인식과 독립적으로 대상에 실재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본질주의에서 본질은 의미 분석으로 유도되는 조작적 개념이 아니라 실재하는 실체이다.
발달 심리학과 심리적 본질주의의 영향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5. 1. 발달 심리학과 본질주의
발달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아동들은 성장하면서 본질주의적 사고를 발달시킨다.[63][66] 이는 사물의 외형이 변하더라도 그 안에 변하지 않는 본질이 있다고 믿는 경향으로 나타난다.[71] 예를 들어, 아동들은 살아있는 대상의 행동은 스스로 지속되는 것으로, 무생물의 행동은 성인이 대상에 영향을 준 결과로 묘사하는데, 여기에서 이러한 경향을 볼 수 있다.[67]본질주의적 사고의 네 가지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다.[69]
기준 | 설명 |
---|---|
개별적 인과 메커니즘 |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한다.[69] |
타고난 잠재력 | 대상이 미리 정해진 발달 과정을 따를 것이라고 가정한다.[70] |
불변성 | 대상의 외형을 바꾸어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71] |
귀납적 잠재력 | 여러 대상이 특징을 공유해도 본질은 다를 수 있다.[72] |
심리학자들은 본질주의가 물리적, 사회적 세계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며, 본능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77] 폴 블룸은 사람들이 사물, 사람, 사건에 보이지 않는 본질이 있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77]
5. 2. 심리적 본질주의의 영향
심리적 본질주의는 사람들이 사물, 사람, 사건에 그것을 이루는 보이지 않는 본질이 있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세계에 대한 실제 주장이 아니라, 인식에서 존재를 나타내는 방식에 대한 주장이다.[62]심리적 본질주의는 편견 및 고정관념과 관련이 있으며, 사회 집단 간의 배제를 영속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3] 국적에 대한 본질주의는 반이민 정서와 관련이 있는데,[74] 여러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국적은 출생 시 상당히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국적의 가족에게 입양되어 자라도 변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75]
이는 인지 발달 과정에서 비롯된 본질주의적 사고방식의 과도한 확장 때문일 수 있다.[76] 폴 블룸은 사람들이 본질주의가 물리적 세계와 사회적 세계에 대한 이해의 기반이며, 본능적이고 보편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우리는 타고난 본질주의자라는 것이다.[77] 학자들은 본질주의적 사고의 범주적인 특성이 고정관념을 예측하고, 이를 예방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78]
6. 역사학에서의 본질주의
역사학에서 본질주의는 특정 국가나 문화의 필수적인 특징을 찾아 목록화하여, 이를 통해 그 사람들이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한다. 이러한 본질주의는 때때로 칭찬할 만한 국가적 또는 문화적 정체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추정되는 본질적 특징을 바탕으로 특정 문화를 비난하는 것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 문화가 본질적으로 여성적이며 "유약함"을 가지고 있어 이집트가 쉽게 정복당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53] 하지만 헤로도토스가 어느 정도까지 본질주의자였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는 아테네 정체성,[54] 또는 그의 ''역사''의 주제였던 그리스인과 페르시아인의 차이점을 본질화하지 않았다는 평가도 받는다.[55]
6. 1. 탈식민주의와 본질주의 비판
에드워드 사이드는 본질주의가 19세기 및 그 이후에도 서구 중심의 역사학과 민족지학에서 "결정적인 방식"이었다고 비판했다. 투라지 아타바키에 따르면, 이는 유로센트리즘(서구 중심주의), 과도한 일반화, 환원주의로 나타났다.[56]7.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과 옹호
본질주의는 사물의 본질이 변하지 않는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기원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질료설을 거쳐 현대까지 이어져 왔다.
플라톤은 현실 세계 너머에 완벽한 원형인 이데아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현실의 다양한 원들은 모두 불완전하지만, 이데아 세계에는 완벽한 원의 형상이 존재하며, 현실의 원들은 이 이데아를 모방한 것이라는 주장이다.[12]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사물이 질료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는데, 여기서 형상은 사물의 본질을 규정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본질주의는 여러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버트런드 러셀은 본질 개념이 언어적 편의를 형이상학으로 오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12] 즉, 우리가 어떤 대상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이 실제 세계의 속성과 혼동되었다는 것이다.
장 폴 사르트르와 같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질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과 행동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명제로 표현된다.
사회구성주의는 사회 현상이나 범주가 객관적인 본질을 갖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성별, 인종과 같은 범주는 생물학적 차이보다는 사회적 의미 부여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과 옹호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논쟁거리이다. 특히,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 문제와 관련하여 본질주의적 사고방식이 비판받고 있다. "여자는 감정적이다"와 같은 고정관념은 여성의 본질을 규정하고, 여성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보적인 입장에서도 억압받는 집단의 정체성 주장을 부정하는 것은 문제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여성주의 운동에서 여성의 경험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은 여성 차별에 맞서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7. 1. 비트겐슈타인의 가족 유사성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대상의 동일시가 반드시 공통된 본질에 기반하지 않으며, 부분적인 유사성의 연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가족적 유사성' 개념으로 설명된다.[12]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대상들은 전체적인 공통성 없이 부분적인 공통성의 연쇄를 통해 묶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B와 BC가 B를 공유하여 동일한 것으로 묶이고, BC와 CD가 C를 공유하여 동일한 것으로 묶인다면, AB와 CD는 직접적인 공통점은 없지만 동일시의 전이적 관계를 통해 같은 대상으로 묶일 수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게임"을 예시로 들었다.[12]
이는 고유명사나 시간에 따른 동일성이 갖는 어려움과도 관련된다. 많은 경우, 고유명사나 시간을 초월한 사물의 동일시는 의미론적으로 동일시 기준이 되는 속성을 함축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늪지대 인간(스와프맨), 테세우스의 배와 같은 사고 실험이 이러한 난점을 보여준다.
동일시는 기존 사례와의 유사성에 기반하지만, 어떤 속성과의 동일성을 기준으로 하는지는 매번 다를 수 있다. 새로운 사례가 집합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이전 사례의 판단 기준이 아닌, 현재 사례 집합에서 새롭게 도출된다. 즉, 전형적인 속성이나 사례는 집합의 범위나 구성원을 바꾸지 않고도 변동될 수 있다.
하지만 형이상학적 논의와 경험적 논의는 문제 설정이 다르므로 동일하게 다룰 수 없다. 본질주의자는 인간의 동일시 방식이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하여 사물을 제대로 동일시하지 못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본질주의적 관점에서는 경험적 현실에서 동일시가 전이적 측면을 가지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공통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이상적인 "정확한" 동일시와 그 기준이 되는 본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형이상학적 논의에서는 본질주의적 동일시 관념 자체가 모순을 품고 있는지, 필연적으로 실천 불가능한지, 일상 언어와 괴리된 인공적인 것인지 등의 반론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질주의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동일시가 반드시 본질(같은 것)의 공유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가족적 유사성'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
7. 2. 형이상학적 논의와 경험적 논의의 차이
본질주의 옹호자들은 인간의 인식 능력이 불완전하여 사물을 제대로 동일시하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들은 이상적인 "정확한" 동일시와 그 기준이 되는 본질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는다.[12] 따라서 형이상학적 논의에서는 본질주의적 관념 자체가 모순을 내포하는지, 실천 불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인공적인 개념인지에 대한 반론이 필요하다.7. 3. 한국 사회와 본질주의
한국 사회에서도 본질주의는 성별, 지역, 세대 등 다양한 사회적 범주를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 문제와 관련하여 본질주의적 사고방식이 비판받고 있다.[1] 그러나 리버럴적인 입장에서의 본질주의 비판에 대해, 진보적인 입장에서도 억압받는 쪽의 대항적인 정체성 주장까지 부정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며, 그 사회적·정치적 함의는 단순하지 않다.[1]참조
[1]
논문
Some Remarks on Essentialism
[2]
harvp
[3]
웹사이트
Plato's Parmenides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5-07-30
[4]
논문
Encountering, explaining and refuting essentialism
[5]
harvp
[6]
harvp
[7]
논문
The allure of essentialism and extremist ideologies
[8]
논문
Psychological Essentialism Predicts Intergroup Bias
https://www.research[...]
2018-06
[9]
논문
Essentialism Promotes Racial Prejudice by Increasing Endorsement of Social Hierarchies
2017-06-19
[10]
논문
How Should Educators and Publishers Eliminate Racial Essentialism?
https://journalofeth[...]
2022
[11]
논문
Race and Reification in Science
[12]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Routledge
[13]
서적
The Practice of Power and Belief in Nature
https://www.taylorfr[...]
Taylor & Francis
1996
[14]
서적
Feminist Knowledge (RLE Feminist Theory): Critique and Construct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3-05-20
[15]
서적
Towards the world culture society: Florian Znaniecki's culturalism
https://www.worldcat[...]
Peter Lang
2010
[16]
서적
Who are we? Theories of human n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7]
논문
Recent work on human nature: beyond traditional essences.
[18]
서적
Liberal Eugenics: In Defense of Human Enhancement
Wiley-Blackwell
2004
[19]
서적
Liberal Eugenics: In Defense of Human Enhancement
Wiley-Blackwell
2004
[20]
서적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21]
서적
The changing rule of the embryo in evolutionary biology: structure and synthe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논문
Collection and collation: theory and practice of Linnaean botany
[23]
논문
Non-essentialist methods in pre-Darwinian taxonomy
[24]
논문
Evolution, population thinking, and essentialism
[25]
논문
Darwinian metaphysics: species and the question of essentialism
[26]
서적
Myths of Gender: Biological Theories about Women and Men
Basic Books
[27]
서적
Women: Images & Realities: A Multicultural Anthology
McGraw-Hill
[28]
harvp
[29]
서적
Space, Time, and Perversion: Essays on the Politics of Bod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5
[30]
서적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HarperCollins
[31]
서적
Reflections on Gender and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Cornell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Less Noble Sex
Indiana University Press
[34]
논문
A historian looks at gender and science
[35]
서적
AWM's first twenty years: The presidents' perspecti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서적
Gender and mathematics: Mythology and Misogyn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7]
뉴스
Why women are discouraged from becoming scientists
1990-03-01
[38]
서적
Introduc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39]
논문
The (Biological or Cultural) Essence of Essentialism: Implications for Policy Support among Dominant and Subordinated Groups
Frontiers Media SA
2017-05-30
[40]
논문
Racial Identity and Non-Essentialism About Race
http://www.jstor.org[...]
Florid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Philosophy
2023-07-22
[41]
harvnb
[42]
harvnb
[43]
논문
The Origins and Demise of the Concept of Race
2004
[44]
harvnb
[45]
논문
The allure of essentialism and extremist ideologies
[46]
논문
Psychological Essentialism Predicts Intergroup Bias
https://www.research[...]
2018-06-01
[47]
논문
Essentialism Promotes Racial Prejudice by Increasing Endorsement of Social Hierarchies
2017-06-19
[48]
논문
Race and Reification in Science
[49]
논문
Encountering, explaining and refuting essentialism
[50]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Sociology
[51]
논문
Encountering, explaining and refuting essentialism
[52]
서적
Key Concepts in Post-colonial Studies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53]
문서
DeLapp 177
[54]
문서
Lape 149-52
[55]
문서
Gruen 39
[56]
문서
Atabaki 6-7
[57]
논문
What's wrong with essentialism?
https://www.tandfonl[...]
2011-03-01
[58]
뉴스
Essentialism in Context
https://www.historia[...]
2015-12-01
[59]
논문
Essentialism, Social Constructionism, and beyond
https://journals.sag[...]
1997-08-01
[60]
서적
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
[61]
웹사이트
The Origins of Pleasure (TED talk)
http://www.ted.com/t[...]
2011-07-01
[62]
논문
Concepts and conceptual structure
[63]
서적
The essential child: Origins of essentialism in everyday though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4]
논문
Ratings of essentialism for eight religious identities
[65]
논문
Genetic essentialism: On the deceptive determinism of DNA
[66]
논문
Understanding natural causes: Children's explanations of how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originate
[67]
논문
Essentialism goes social: Belief in social determinism as a component of psychological essentialism
[68]
논문
Lay Theories of Essentialism
[69]
논문
Chilean children's essentialist reasoning about poverty
https://bpspsychub.o[...]
2011-11-01
[70]
논문
Essentialism and folksociology: Ethnicity again
[71]
논문
Essentialism and attribution of monstrosity in racist discourse: Right-wing internet postings about Africans and jews
[72]
논문
The development of social essentialism: The case of Israeli children's inferences about Jews and Arabs
[73]
논문
Shifting ground: The variable use of essentialism in contexts of inclusion and exclusion
[74]
논문
Folk theories of nationality and anti-immigrant attitudes
https://www.nature.c[...]
2018
[75]
논문
Toward a psychology of Homo sapiens : Making psychological science more representative of the human population
2018-11-06
[76]
논문
The native mind: biological categorization and reasoning in development and across cultures
https://jeannicod.cc[...]
[77]
논문
Why we like what we like
http://www.psycholog[...]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78]
논문
Psychological essentialism and stereotype endorse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