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구트 비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구트 비문은 1956년 몽골 부구트 서쪽에서 발견된 돌궐 시대 비문이다. 귀부 위에 세워졌으며, 소그드어, 브라흐미 문자, 산스크리트어로 명문이 새겨져 있다. 소그드어 비문은 튀르크의 영주 니바르-카간과 마한-테긴의 활동, 타트파르 카간의 즉위, '교법의 돌' 건립에 대한 내용 등을 담고 있으며, 십이지 사용과 카간들의 원어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비문은 584년에서 늦어도 587년 사이에 세워졌으며, 당시 돌궐 제국과 소그드인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금석문 - 후이스 톨고이 비문
    후이스 톨고이 비문은 8세기 위구르 제국 시대의 비문으로, 당시 제국의 정치, 군사적 영향력, 사회, 문화적 맥락을 보여주는 사료이며, 주요 인물과 국가 및 지역 이름이 기록되어 있어 제국의 영역과 국제 관계를 파악하고 고대 튀르크어 연구에 기여하며 한국사 연구와의 연관성도 주목받는다.
부구트 비문
비문 정보
이름부구트 비문
위치몽골 부구트
제작 시기584년
언어고대 몽골어
문자브라흐미 문자
내용타타르족 정벌 기념
아파 칸의 업적 기림
특징
중요성초기 몽골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
돌궐과의 관계 연구에 기여
추가 정보
관련 유적후이스 톨고이 비문

2. 발견

1956년 몽골 아르항가이 아이막 부구트 서쪽에서 돌궐 시대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 동남쪽에 부구트 비문이 세워져 있었다.[1]

3. 외관

비문은 땅속에 묻혀 있었기에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만 상반신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다. 귀부 위에 세워져 있으며 주위 사면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 상부에는 늑대 조각이 있다. 전체 높이는 245cm, 귀부를 제외한 비석 높이는 197cm, 폭은 72cm, 두께는 19.5cm, 비문면 높이는 123cm이다.

4. 명문

부구트 비문의 사면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세 면은 소그드 문자소그드어로, 나머지 한 면은 브라흐미 문자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다.[12] 이를 통해 당시 돌궐 제1제국의 공용어는 소그드어였으며 튀르크어는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

1968년, 당시 몽골 학자들은 소그드어 비문이 위구르 문자와 튀르크어로 작성되었다고 판단했으나, 1971년 소련의 세르게이 그리고예비치 크랴슈트루니이와 리프시치 등은 소그드 문자와 소그드어로 작성된 것이라고 밝혔다.[12] 그러나 현재 뒷면은 알렉산더 보빈에 의해 몽골계 유연어로 작성된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다.

부구트 비문의 소그드어 비명 탁본


소그드어 비문의 내용과 세르게이 클랴스토르느이와 블라디미르 리브시치가 영어로 번역한 내용은 원문을 참조하라.

알렉산더 보빈은 유연어 원문과 영어 번역을 잠정적으로 제시했다.[17]

유연어 원문영어 해석문(잠정)


5. 내용

1997년 일본의 모리야스 다카오 등이 부구트 비문을 재조사하여 비문 내용을 크게 개선하였다. 소그드어면의 해독은 고문헌 연구가 요시다 유타카가 하였다.[1]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1]

기존 해독변경된 해독
새로운 승가람을 지어라 (nwh snk wst)교법의 돌을 세울 것 (nwm snk wst)
βγβwmyn γγn (부민 카간)wmn xγ'n (우무나 카간)
βγtspr γγ'n (바가 타스파르 카간)ttpr xγ'n (마가 타트파르 카간)
mγ'n tykyn (마칸 테긴)ttpr xγn tky-nt (마가 타트파르 카간의 테긴들)


5. 1. 해독문 변경

1997년 일본의 모리야스 다카오 등이 재조사하여 비문 내용을 크게 개선했다. 소그드어면의 해독은 고문헌 연구가 요시다 유타카가 하였다.[1]

큰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1]

기존 해독변경된 해독
새로운 승가람을 지어라 (nwh snk wst)교법의 돌을 세울 것 (nwm snk wst)
βγβwmyn γγn (부민 카간)wmn xγ'n (우무나 카간)
βγtspr γγ'n (바가 타스파르 카간)ttpr xγ'n (마가 타트파르 카간)
mγ'n tykyn (마칸 테긴)ttpr xγn tky-nt (마가 타트파르 카간의 테긴들)


5. 2. 변경 이후 내용

소그드어로 새겨져 있는 세 면에는 '마가 타트파르 카간(타발가한)'의 즉위와 '교법의 돌' 건립에 관하여 써져 있으며, '마칸 테긴으로 칭하는 돌궐 왕족의 공적'이 아니다. '교법의 돌'이란 이 부구트 비문을 말하며, '교법'이란 뒷면에 새겨진 불전(아마도 『십이인연경(十二因緣經)』)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끼 해에 왕이 되었다'고 되어 있듯, 당시 돌궐은 십이지에 의한 기년법을 알고 있었으며[13][8], 타발가한의 원음이 타트파르 카간(Tadpar qagan), 목한가한(木汗可汗)의 원음이 무칸 카간(Mugan qagan), 사발략가한(沙鉢略可汗) 혹은 이복가한(爾伏可汗)의 원음이 니바르 카간(Nivar qaghan), 암라가한(菴羅可汗)의 원음이 우무나 카간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14][9]

6. 소그드어 비문

‘mwh?|…|…sog pt|s’khsog ‘ws’t|…sog δ’r’nt|…sog tr’wkt|…sog cyn|st’nsog kwt|s’ttsog ‘γšywn’k|…sog ‘YK|…sog [약 15개 글자 공백] ZK?|…sog trwkc|…sog βγy|…sog nw’’r|…sog γ’γ’n|…sog ‘wskwp’r|…sog ckn’cw|…sog mγ’n|…sog tykyn|…sog pr|wsog γ’γ’n|…sog wy’k|…sog w’|štsog ‘X|RZYsog nwkr|…sog ZK|…sog βγy|…sog mwγ’n|…sog γ’γ’n|…sog ‘PZY|…sog βγy|…sog mγ’n|…sog tykyn|…sog [5~6개 글자 공백, 아마 cyw’nt?|…sog] pyštrw?|…sog k’w|…sog ‘wrts’r|…sog prm|…sog prw|…sog ‘nγt’k|…sog ‘βc’npδ|…sog ‘swšwyn’tt|…sog wm’|t’ntsog [약 25개 글자 공백] t|…sog ‘XRYZ|…sog n|wkrsog cyw’nt|…sog pyštrw|…sog βγy|…sog mwγ’n|…sog γ’γ’n|…sog (앞면) [35~40개 글자 공백] w|…sog k’w|…sog βγy|…sog s’r|…sog pwrsty|…sog rty|…sog nw|krsog k..|…sog […] [30~35개 글자 공백] ‘YK?|…sog š’δpyt|…sog trγw’nt|…sog γwrγ’p|‘yntsog twδwnt|…sog s|nksog wnt|…sog [10~12개 글자 공백] t|…sog rty|…sog pyšt|rwsog ….t?|…sog [8~10개 글자] y|…sog tw’|…sog γwyštr|…sog ‘XY|…sog mwγ’n|…sog γ’γ’n|…sog pr’yt|…sog rty|…sog (…) [약 15개 글자 공백] K|Ssog Pw|…sog ‘n|…sog β|…sog γ|tsog δ’r|tsog rty|…sog n’β|…sog cy|hsog šyr’k|…sog p’rtw|…sog δ’rt|…sog rty|…sog ms|…sog ‘kδry|…sog tγw|…sog βγy|…sog mγ’|nsog tyk|ynsog γ|šywny…sog (…) δ|…..sog rty|…sog [약 8개 글자] δ’rt|…sog rty|…sog ‘pw|…sog ‘nγwncyδ|…sog γšywny|…sog n’β|csog yh|…sog p’r|…sog rty|…sog nw|ksog βγy|…sog mγ’n|…sog ty|kynsog [약 25개 글자 공백] s|γsog wn|…sog ptγwštw|…sog δ’rt|…sog rty|…sog γrγwšk|…sog srδy|…sog .|…sog […] .w’št?|…sog wγwšw|…sog ?|…sog srδ|…sog γš|ysog wny.|…sog [약 15개 글자 공백, βγy|…sog t’sp’r|…sog] γ’γ’n|…sog k’w|…sog βγyšt|…sog s’r|…sog pwrst|…sog rty|…sog pyštrw|…sog š’δpyt|…sog trγw|‘ntsog γwrγ’p’ynt|…sog snk|wntsog twδ|wsog nt|…sog ‘PZY|…sog […] .n|…sog [γ’γ|‘n?sog] wk|wrtptsog s|dtwsog δ’rnt|…sog rty|…sog nwkr|…sog βγβwmyn|isog [βγy|…sog βwmyn|…sog 대신] γ’γ’n|…sog p’δy|…sog s’r|…sog [….] δ’rt|…sog kt?|…sog [….] t|…sog rty|…sog βγ|ysog βwmyn|…sog yn|…sog γ’|…sog γ’n|…sog pr|msog ‘t|…sog δ’rt|…sog k|t’yβsog βγ’|…sog t’sp’r|…sog γ’|…sog γ’n|…sog wsn|…sog RBk|‘sog [공백, 약 20개 글자] .t|…sog […] ..|…sog rt|ysog w’n’w?|…sog pr|msog ‘tw|…sog δ’rt|…sog RBkw|…sog nw|hsog snk’|…sog ‘wast|…sog rty|…sog ‘YK|…sog nw|ksog r|…sog [공백, 약 20개 글자] .npš|…sog ?|…sog [공백, 약 8개 글자] rty|…sog βγ’|…sog [βγy|…sog 대신] t’|sp’rsog γ’γ’n|…sog tr|‘γsog t|…sog ‘cw|…sog npyšnt|…sog cw|…sog krnw|‘ncy’k?sog h|…sog [공백, 약 40개 글자] (…) cw|…sog γwrγ|‘p’yntsog cwty|…sog wkwrt|…sog cw|…sog n’βcy’kh|…sog ‘|st’t?sog [공백, 약 40개 글자] y|…sog β’r’k|…sog ‘sp’δy’n|…sog wr’yt|…sog ‘yt|…sog myδ|…sog ‘nβγt|…sog δ’r’nt|…sog [공백, 약 40개 글자] sγwn|…sog ptγwštw|…sog δ’r’nt|…sog rty|…sog cyw’nt|…sog pyštrw|…sog […] [공백, 약 40개 글자] …tw|…sog δ’rt|…sog ….t|…sog rty|…sog c’n’w|…sog δw’|…sog γšywnk|…sog [공백, 약 40개 글자] …tw|…sog δ’r’nt|…sog rty|…sog (…) šyr’k|…sog βrtpδ|…sog m’tnt|…sog rty|…sog [공백, 약 40개 글자] …n’βcy’kh|…sog ?....|…sog p|tsγt’ksog ?|…sog ‘sp’δ|…sog m|…sog [공백, 약 40개 글자] …wyškrtw|…sog ?|…sog δ’r’nt|…sog (…) [공백, 약 40개 글자] (…) δw’|…sog šyrγw|šttsog w|…sog m’|tsog ‘nt|…sog (오른쪽 면) [공백, 약 40개 글자] .k?|…sog šyr’k|…sog krt|ksog ‘krtw?|…sog δ’rt|…sog rt|y…sog

[공백, 약 40개 글자] s|δtwsog δ’r’nt|…sog šyr’k|…sog šy|r’ksog krtk|…sog ‘’βry|tsog [δ’r’nt|…sog ?|…sog] [공백, 약 40개 글자] ….’cw|…sog ?|…sog n’β|csog yh|…sog mrt|γmsog ‘k|…sog ‘st’t|…sog ‘XRYZ|…sog βγym|…sog γ’n|…sog tykyn?|…sog [공백, 약 40개 글자] ‘XRZY|…sog βγy|…sog ?|…sog […] š|tsog nws|…sog [’ws|…sog, nwš|…sog or|…sog nyš|…sog ?|…sog] .|…sog wk’|…sog [p|wk’sog or|…sog ‘|…sog wk|’sog ?|…sog] trγw’n|…sog ‘YK|…sog m|γsog ‘|…sog n|…sog tykn|…sog [판독 불가능한 글자 흔적].[15]

세르게이 클랴스토르느이(Sergej G. Kljaštornyj)와 블라디미르 리브시치(Vladimir A. Livšic)가 영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16]

(왼쪽 면) 이 비석은 튀르크인들이 중국의 통치자 꿑스트(Kwts’tt) 치하에 세웠는데, 이는 … … 튀르크의 영주 니바르-카간(Nivar-qaghan) 때문이었다. 마한- –테긴이 카간의 자리에 오른 이후, 영주 무한-카간과 영주 마한-테긴은 오랜 기간 동안 전 세계의 구원자가 되었다 [문자 그대로, 그 이후와 미래에] … … … 그리고 지금, 이 후, 영주 무[한-카간] (앞면) [… 사망했다. 그리고 …] 신에게 묻고, 그런 다음 … … … (?)샤다피트(šadapït), 타르콴(tarkhwan), 쿠르카핀(qurqapïns), 투둔(tuduns), 섕[군](säng[üns]) [승인된 (?)] 그리고 그 이후 [그에게 말했다]: ‘너의 형인 무한-카간이 죽었다. 그리고 … … [그는 잘 (?)] 돈을 분배하고 [사람들을] 잘 먹였다. 그리고 이제 당신, 영주 마하[n]- –테긴, ………, 그리고 그런 통치자 없이 사람들을 먹여라!’ 그리고 이제 영주 마한-테[긴 …], 그는 이 말을 듣고 토끼 해에 […]. (?)샤다피츠(šadapïts), 타르[콴](tarkhw[ans]) 쿠르카핀(qurqapïns), 섕군(sängüns), 투둔(tuduns), (카간의) 친족이 승인했다. 그리고 그는 붐인-카간의 흙벽돌에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보여라!]’. 그리고 붐인-카간은 명령했다: ‘오, 영주, 타스파르-카간이여! 너는 위대한 [….]을 위해 … 해야 한다. 그리고 그는 명령했다: ‘새로운 위대한 상가를 세워라!’ 그리고 나서 […], 그는 이 단어들을 들었다. 그리고 영주 붐인-카간이 명령했다: ‘오, 영주 타스파르-카간이여! 너는 위대한 …을 위해 … 해야 한다. 그리고 그는 명령했다: ‘새로운 위대한 상가를 세워라!’ 그리고 나서 […], 그는 … 듣고 토끼 해에 […], 그가 듣고 그리고 그들 사이에는 …가 있었다. 그리고 마한이 그의 단어를 들었다. 그리고 …[….] 그는 잘 분배했다. 그리고 2명의 지배자[…], 그들은 …를 하고 … 지식이 가득했고 […] 사람들에게도 … 병사를 훈련시켰다[…]. 그들은 정복했고[…]. 그들은 친구였다. (오른쪽 면) […], 그는 많은 좋은 행위를 수행했다. 그리고 […], 그들은 승인했다, ‘매우 (또는: 많은) 좋은 행위’ – 그들은 칭찬했다[…]. 그와 같은 사람이 사람들 중에 있는가? 그리고 영주 무[한-테긴?] .[…]. 그리고 영주 (?) … (.)우카-타르칸, 마하[n-테긴] [판독 불가능한 글자 흔적].[4]

7. 브라흐미 몽골어 비문

알렉산더 보빈이 잠정적으로 번역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7][5]

브라흐미 몽골어(유연어) 비문과 영어 번역 (잠정)
원문영어 번역 (잠정)
Tadpar Mugan qagan sa-nam cig-du|타드파르 무간 카간 사-남 치그-두prawhen Tadpar and Mugan qagans resided [together]
++bi++tu Tadpar qa cog-nar oro-ga-ju++|++비++투 타드파르 카 초그-나르 오로-가-주++praTadpar qagan made the nobles enter, and
dig-n qa-n herte ku++ quri-r ndu-ti-ju qapa bar-ju gele-lupe-r ku|디그-ㄴ 카-ㄴ 헤르테 쿠++ 쿠리-르 ㄴ두-티-주 카파 바르-주 겔레-루페-르 쿠prathe qagan, who passed away, earlier...creating gathering with all [their] strength shut [themselves] in and talked
+cu-d-par dar-p-ta taga ayu-?-?C-cu|추-드-파르 다르-프-타 타가 아유-?-?C-추prawhen the enemies were defeated by members, [they] were afraid and
+++gacar haru tar-ju jar-n++|+++가차르 하루 타르-주 자르-ㄴ++prahurried to scatter in the back of the land...
purupu tal-u-ja-r/ju Asvar-un ordu-da|푸루푸 탈-우-자-르/주 아스바르-운 오르두-다prathe fact that they heavily plundered together and at Isbara's camp
-tu++ -un jar-va-r janti-ju|-투++ -운 자르-바-르 잔티-주prawith [he?] hit the messengers of X-GEN
qa-d habv-ca xa+ mede-ju++++|카-드 하브-차 카+ 메데-주++++prataking princes...knowing...
-nar puneken puker-ner Tadpar tala-|-나르 푸네켄 푸케르-네르 타드파르 탈라-praTadpar will capture X-PLUR, foxes and oxen
-quy nabu-d botugna-s qoniy ire-y|-쿠이 나부-드 보투그나-스 코니 이르-이pranabu, camel calves and sheep, which...came and
qagan-u +-gtir jalva-y Tadpar +?|카간-우 +-그티르 잘바-이 타드파르 +?praconnecting to qagan's X, Tadpar...
-ciliA-at ken hirge-c ...|-칠리A-앗 켄 히르게-c ...praafter making N into V, who from the people...
para-n qora-pi kebir qajar-a (?) |파라-ㄴ 코라-피 케비르 카자르-아 (?)prapeople...poison at the steppe lands
ol-ga-ba ku ceker-de a-qsa +|올-가-바 쿠 체케르-데 아-크사 +prawere made to receive...and were empty...
+ -tu + kuju-tu ken-u gar-par|+ -투 + 쿠주-투 켄-우 가르-파르praby...by whose strong hands
++-la kobeu-d gele-run da+hig|++-라 코베우-드 겔레-룬 다+히그prado X! As sons said...
+-d-un teme ingi-ner aci-sar-ju|+-드-운 테메 잉기-네르 아치-사르-주praloading male and female camels of X-PLUR and
+++bule-ku-per qa-d qagan|+++불레-쿠-페르 카-드 카간praby the churning, princes [and] qagan


8. 역사적 맥락

1956년 몽골 아르항가이 아이막 부구트 서쪽에서 돌궐 시대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 동남쪽에 부구트 비문이 세워져 있었다. 비석은 584년, 늦어도 587년에 세워졌으며, 타스파르 카간(타트파르 카간)에게 헌정되었다. 이때 돌궐은 만주에서 흑해까지 이르는 영역을 가졌고, 실크로드를 통제하면서 제국의 중심은 몽골 중부에 있었다. 552년 돌궐은 북위(北魏)의 도움으로 유연을 대체하였고, 560년에는 사산조 페르시아의 도움을 받아 에프탈을 무너뜨렸다. 유연과 에프탈의 패배와 돌궐의 추격은 아바르(Avar)가 동유럽으로 이주하는 것을 촉진하였다.

576년 돌궐 최대 영토


투르크인들은 사산조 페르시아에 맞서 비잔틴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569년, 알타이산에서 비잔틴 사절단 제마르추스는 실점밀가한(이스테미 카간)을 접견했다. 비문의 소그드어소그드인들이 실크로드를 지배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데, 소그드인은 소그드 출신 동부 이란인들로 아케메네스 제국의 태수 중 하나였다. 몽골계 유연 비문은 유연의 영향을 보여준다. 카간(가한)이라는 왕호는 탁발, 선비의 분파인 유연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거란, 토욕혼, 실위도 비슷하게 사용하였다. 일부 유연 귀족은 불교도였다. 비석 머리의 늑대는 몽골인들처럼 투르크인의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비문이 수직 방향으로 작성된 것과 거북이 기반석은 중국의 영향이다.

9. 건립 시기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부구트 비문의 건립 시기는 마가 움나 카간, 즉 제5대 암라 가한(재위: 581년)의 치세로 여겨진다.

참조

[1] 저널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s: the Brahmi Bugut and Khu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019-07-06
[2] 웹사이트 Монголын түүхийн тайлбар толь https://mongoltoli.m[...] 2019-07-06
[3] 웹사이트 The Bugut Inscription | Steppe History Forum http://steppes.probo[...] 2019-07-06
[4] 웹사이트 The Bugut Inscription | Steppe History Forum http://steppes.probo[...] 2019-07-06
[5] 저널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s: the Brahmi Bugut and Khu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019-07-06
[6] 문서 以前まではソ連のセルゲイ・グリゴリエヴィチ・クリャシュトルヌィ、リフシツらの調査により、βγ't'sp'r γ'γ'n(バガ・タスパル・カガン)とされてきたが、1997年の森安孝夫らによる調査によってmγ't'tp'r x'γ'n(マガ・タトパル・カガン)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た。
[7] 문서 テュルク語は突厥内のテュルク系民族のみで使用され、その他の被支配民族を含む可汗国全体ではソグド語が公用語として使われていたとされる。テュルク語が突厥可汗国の公用語として使われるようになるのは、おそらく東突厥第二可汗国時代になってからである。それはチョイレン銘文以降の碑文によってわかる。
[8] 문서 ビルゲ・カガン碑文にも干支が記載されている(小野川秀美「突厥碑文訳注」64頁『満蒙史論叢 第4巻』pp249-425、1943年)に「我ガ父可汗戊歳十月二十六」とある) 小野川秀美 1943
[9] 문서 これらはあくまでソグド語の発音であり、テュルク語がどう発音したのかはまだわからない。
[10] 저널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s: the Brahmi Bugut and Khu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019-07-06
[11] 웹사이트 Монголын түүхийн тайлбар толь https://mongoltoli.m[...] 2019-07-06
[12] 문서 テュルク語は突厥内のテュルク系民族のみで使用され、その他の被支配民族を含む可汗国全体ではソグド語が公用語として使われていたとされる。テュルク語が突厥可汗国の公用語として使われるようになるのは、おそらく東突厥第二可汗国時代になってからである。それはチョイレン銘文以降の碑文によってわかる。
[13] 문서 ビルゲ・カガン碑文にも干支が記載されている(小野川秀美「突厥碑文訳注」64頁『満蒙史論叢 第4巻』pp249-425、1943年)に「我ガ父可汗戊歳十月二十六」とある) 小野川秀美 1943
[14] 문서 이는 어디까지 소그드어 발음으로 튀르크어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는 아직 모른다.
[15] 웹사이트 The Bugut Inscription | Steppe History Forum http://steppes.probo[...] 2019-07-06
[16] 웹사이트 The Bugut Inscription | Steppe History Forum http://steppes.probo[...] 2019-07-06
[17] 저널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s: the Brahmi Bugut and Khu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2019-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