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되며, 34개 운수 업체가 노선을 전담하고 수입금은 부산광역시에서 통합 관리한다. 일반, 급행·좌석, 심야, 마을, 시티투어, 공항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가 있으며, 균일요금제를 시행하여 이용 구간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을 부과한다. 교통카드 사용 시 환승 할인이 적용되며, 2015년부터 도시철도 및 마을버스 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2024년 7월 기준으로, 부산 시내버스는 LED 전광판을 통해 노선 정보를 제공하며, 안내 방송은 보이스웨어 TTS 방식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한 고속버스·시외버스 통합 터미널로, 2001년 도심 교통 체증 완화와 아시안 게임 대비를 위해 이전·통합되었으며, 3층 건물에 다양한 편의 시설과 대중교통 연결, 전국 각지 버스 노선을 갖추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은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하여 영남권과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임시 터미널 형태로 운영되고 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교통 - 노포 나들목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한 노포 나들목은 2005년 개통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서울 방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며 고분로와 체육공원로399번길을 통해 국도 제7호선 및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과 간접 연결된다. - 부산광역시의 교통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지역 | 부산광역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부산광역시 교통국 대중교통과 |
서비스 지역 | 부산광역시 |
기타 지역 | 부산광역시 일원,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거제시, 김해시, 양산시, 창원시 |
노선 수 | 149 |
인가 대수 | 2,517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 레일플러스, 한페이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BC, 롯데, 삼성, 신한, 씨티, , 하나, 현대 |
웹사이트 | 부산광역시 대중교통정보 |
2. 현황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되며, 34개의 운영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1] 각 업체는 전담 노선을 운영하며, 수입금은 부산광역시에서 통합 관리 후 분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1]
요금제는 균일요금제를 채택하여,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을 부과한다.[1] 시내버스 간 환승 시에는 이용한 버스 중 가장 높은 요금만 지불하는 무료환승제가 시행되고 있다.[1] 2015년 7월 1일부터 환승요금(성인기준 200원)은 폐지되었다.[2]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대중교통 환승할인제에 포함되어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 무료환승, 혹은 환승할인이 적용된다.[2]
선수단 | 후수단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일반버스 | 일반버스 | 무료 | 무료 | 무료 |
급행버스 | 550KRW | 550KRW | 무료 | |
마을버스 | 무료 | 무료 | 무료 | |
도시철도 | 무료 | 150KRW | 250KRW | |
급행(좌석)버스 | 일반버스 | 무료 | 무료 | 무료 |
급행(좌석)버스 | 무료 | 무료 | 무료 | |
마을버스 | 무료 | 무료 | 무료 | |
도시철도 | 무료 | 무료 | 무료 |
환승 관련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2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며, 총 3번 승차할 수 있다.
- 하차 후 30분 이내(일부 노선은 60분)에 승차해야 환승이 적용된다.
- 도시철도 2구간(10km 이상) 추가운임은 별도로 부담한다.
- 환승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운전기사의 승차단말기 조작이 있는 경우 환승이 불가능하다.
- 도시철도, 마을버스간 환승요금은 없으며 부산-김해 경전철, 김해, 양산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가장 높은 교통수단의 요금과 광역환승요금(성인기준 500KRW)을 1회만 지불한다.
- 부산광역시의 일반, 급행, 마을버스와 김해공항리무진 간에는 환승이 불가능하다. 김해공항리무진은 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하다.
- 2000번은 타 노선에서 환승이 불가능하다.
3. 노선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일반버스와 급행, 좌석버스, 심야버스로 나뉜다.[1] 각 종류별로 다른 도색을 적용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심야버스는 기존 일반, 급행, 좌석버스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도색 없이 운영된다.[1]
- 1969년에 도입된 부산직할시 도시형버스 도색은 상아색 바탕에 어두운 초록색 줄무늬를 넣은 형태로, 2000년까지 사용되었다.
- 1978년 부산직할시 좌석 도색은 동원여객 일부 차량을 제외하면 상아색 바탕에 주황색 줄무늬를 넣었으며, 패널바디 차량은 차량 하단의 스커트판넬 부분이 전부 어두운 초록색이었다.
- 이 도색은 전국적으로도 오랫동안 유지된 도색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9년 중후반까지 사용되었다.[8]
- 마을버스는 과거 일반버스 구도색과 동일한 도색을 적용했으나, 1990년대 중후반부터 위쪽 라인을 노란색으로 변경하였다. (당시 운행하던 차량들의 대부분은 노란색을 위에 덧대어서 광고판을 뜯은 자리에는 예전처럼 녹색인 경우도 있었다.)
- 2000년 초중반에는 파란색/주황색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 다른 시에서는 무냉방 차량에도 신도색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부산의 경우 태화교통의 극소수 차량을 제외하고는 무냉방 차량에 신도색을 적용한 사례가 없다.
- 현재 마을버스는 2012년 신차부터 새로운 도색을 적용하고 있으며, 연두색/녹색 라인의 도색을 사용하고 있다.
- 2016년에는 시내버스 도색이 변경되었다.
■ '''일반 도시형버스'''는 시내 주요 교통 결절점을 연결하며, 대부분의 구간에 정차한다. 파란색 바탕에 하얀색이 일부 포함된 도색이다.
■ '''좌석버스'''는 장유, 진해(청안동), 금정산성 지역에서 운행하며, 2014년 7월 현재 3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수요가 적고 일반 버스보다 배차 간격이 긴 편이다.
■ '''급행버스'''는 도심과 부도심을 빠르게 연결하며, 정류장을 선택적으로 정차한다. 흰색을 포함한 주황색 도색이며, 일반버스보다 배차 간격이 짧다.
■ '''심야버스'''는 밤 10시 이후 운행된다. 급행버스와 일반버스 일부 노선이 밤 10시 이후 심야노선으로 운행되며, 급행버스의 경우(심야 1001번, 심야 1008번, 심야 1010번 제외)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요금은 급행버스와 일반버스보다 비싸다. 주간 노선과 야간 노선이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1. 노선 체계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일반버스와 급행, 좌석버스, 심야버스로 구분된다.[1] 각 종류별 버스는 서로 다른 색깔로 칠해져 있지만, 심야버스는 일반버스와 급행, 좌석버스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노선과 같은 색깔을 사용한다.[1]부산 시내버스의 노선 번호 체계는 다음과 같다.
종류 | 번호 체계 |
---|---|
도시형버스 | 2번 ~ 300번 단위[2] |
좌석버스 | 58-1, 203 |
급행버스 | 1000번 단위 |
광역버스 | 2000번 단위 |
마을버스 | 지역명 + 일련번호(00~) |
시티투어버스 | 해당사항 없음 |
공항리무진버스 | 해당사항 없음 |
3. 2. 노선 목록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문서에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목록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일반, 좌석, 급행, 심야, 마을버스, 시티투어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1]구분 | 노선 |
---|---|
일반 |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 37, 38, 39, 40, 41, 42, 43, 44, 46, 49, 50, 51, 52, 54, 55, 55-1, 55-2, 57, 58,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 77, 80, 81, 82, 83, 83-1, 85, 86, 87, 88, 88-1, 90, 96, 96-1, 99,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 115-1, 121, 122, 123, 124,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89-1, 190, 200, 210, 300, 301, 302, 307, 338, 506, 508, 520, 583[2] |
좌석 | 58-1, 203 |
급행 | 1000,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8, 1009, 1009-1, 1011, 1012, 2000, 2029 |
심야 | 15, 30, 51, 58-1, 58-2, 106, 141, 182, 183, 508, 1000, 1001, 1002, 1003, 1004, 1008 |
마을 | 강서, 금정, 기장, 남구, 동구, 동래, 부산진, 북구, 사상, 사하, 서구, 수영, 연제, 영도, 중구, 해운대 |
시티투어 | 부산시티투어버스 (해운대코스, 태종대코스, 을숙도 자연생태코스, 야경코스, 역사문화탐방코스, 해동용궁사코스, 스카이라인투어) |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시내를 연결하는 공항리무진 노선도 운행 중이며, 서면, 부산역, 해운대 등을 경유한다. 이 외에도 부산역에서 출발하는 부산시티투어버스가 다양한 코스로 운행되고 있다.
3. 3. 기타 버스
마을버스는 각 주거지역과 주요 교통 결절점을 연결하는 지선 성격의 버스이다. 모든 구, 군에서 운행한다. 대부분 소형차량이나 중형차량을 많이 투입하며 강서20번이나 부산대학교 순환버스는 대형차량도 투입된다. 강서구, 기장군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간선버스의 역할도 한다.[1]공항리무진은 구간 수요가 적더라도 일반도로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나 자동차전용도로를 이용하여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시내의 도심과 부도심을 빠르게 연결한다. 서구청노선과 해운대1.해운대2노선이 있다.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며, 대중교통 환승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승차권은 공항리무진 매표소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그 중 해운대 노선이 수요가 높다.[1]
- '''부산역 노선'''(서구청노선)은 서구청과 김해국제공항을 잇는 노선으로 서면, 부산역, 중앙동, 남포동을 경유한다. 운임은 성인과 청소년은 6000KRW이며 어린이는 3000KRW이며 4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1]
- 해운대노선 해운대 신도시의 장산역과 김해국제공항을 잇는 노선으로 벡스코, 해운대, 신시가지를 경유한다. 운임은 성인과 청소년은 7000KRW이며 어린이는 3500KRW이고 각 노선마다 2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공항에서 통합 15분정도의 간격이다.[1]
이 외에 시티투어버스가 운행되는데, 부산역을 출발하여 해운대코스, 태종대코스, 스카이라인투어, 역사문화탐방코스, 해동용궁사코스, 을숙도 자연생태코스, 야경코스가 개발되어 있다. 순환형 코스는 KTX 승차권 연계 할인을 하며 테마형 코스는 KTX 연계 할인이 되지 않는다. 해운대코스, 태종대코스는 선착순으로 운행하고 스카이라인투어, 역사문화탐방코스, 해동용궁사코스, 을숙도 자연생태코스, 야경코스는 사전예약이 필요한데, 요금은 [http://www.citytourbusan.com/ 부산관광공사 부산시티투어]를 참고하라.[1]
3. 4. 인접 시·군 노선
부산광역시는 인접한 김해, 거제, 양산, 울산, 창원 등과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여 지역 간 연계를 돕고 있다.지역 | 노선 |
---|---|
김해 | 4 · 6 · 8 · 8-1 · 70 · 73 · 220 · 911 · 912 |
거제 | 2000 (거제) |
양산 | 12 · 16 · 17 · 21 · 23 · 58 · 59 · 60 · 61 · 132 · 1100 · 1200 · 1300 · 1500 · 2100 · 2300 · 법서1·법서1-1 |
울산 | 715 · 1127 · 1137 · 1147 · 울주02 |
창원 | 305[3] · 352 · 353 |
2011년 5월 21일 부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광역 환승 할인제 도입과 동시에 시계외 구간 요금은 폐지되었다. 이전에는 김해, 양산 방향 노선에 대해 연령에 관계없이 입석형 100원, 좌석형 200원을 추가 징수했었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 부산 차적 차량은 시계외 요금은 물론 구간 요금도 없다.
다만, 2014년 1월 24일 개통된 부산 ↔ 거제 시내버스는 거가대교를 기준으로 2700KRW의 시계외 요금을 징수하여 부산 ↔ 거제 간 이동 시 운임은 4500KRW이다.
4. 운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현금과 선불·후불 교통카드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과거 발행되었던 승차권과 토큰은 현재 요금보다 낮으므로, 차액을 추가하면 이용할 수 있다.[1]
2023년 10월 6일부터 시행된 시내버스 요금은 다음과 같다.
시내버스 요금표 | |||||||
---|---|---|---|---|---|---|---|
구분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
시내버스 | 1700KRW | 1550KRW | 900KRW | 800KRW | 400KRW | 무료 | |
급행버스(좌석버스) | 2200KRW | 2100KRW | 1700KRW | 1350KRW | 1300KRW | 무료 | |
급행 심야좌석 | 2600KRW | 2500KRW | 1900KRW | 1550KRW | 1500KRW | 무료 | |
일반 심야버스 | 2100KRW | 2050KRW | 1100KRW | 1000KRW | 600KRW | 무료 | |
부산 ↔ 거제 시계외요금 | 3800KRW | 3600KRW | 3300KRW | 3050KRW | 3000KRW | 없음 | |
2023년 10월 6일 시행, 환승 요금 미포함. 부산 ↔ 거제 요금은 급행버스와 시계외요금을 합산한다. |
4. 1. 운임 및 요금제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전 구간 균일요금제가 적용되어 이용 구간에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부과된다. 요금은 현금과 선불 · 후불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할인받을 수 있다.[1]2015년 7월 1일부터 무료 환승이 시행되어, 시내버스 간 환승 시 이용한 버스 종류 중 가장 높은 요금만 지불하면 된다. 도시철도나 마을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다. 단, 환승 할인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 최대 3대의 교통수단까지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
일반버스와 심야 일반버스는 카드 이용 시 성인은 150원(심야는 50원), 청소년은 100원 할인되며, 어린이는 무료이다. 급행(좌석)버스와 심야 급행(좌석)버스는 카드 이용 시 성인은 100원, 청소년은 350원 할인되며, 어린이는 무료이다.[1]
2023년 10월 6일 기준 시내버스 요금표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
시내버스 | 1700KRW | 1550KRW | 900KRW | 800KRW | 400KRW | 무료 |
급행버스(좌석버스) | 2200KRW | 2100KRW | 1700KRW | 1350KRW | 1300KRW | 무료 |
급행 심야좌석 | 2600KRW | 2500KRW | 1900KRW | 1550KRW | 1500KRW | 무료 |
일반 심야버스 | 2100KRW | 2050KRW | 1100KRW | 1000KRW | 600KRW | 무료 |
부산 ↔ 거제 시계외요금 | 3800KRW | 3600KRW | 3300KRW | 3050KRW | 3000KRW | 없음 |
대중교통 환승할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2. 시계외 요금
김해시, 양산시 방향 노선에 대해 연령에 관계없이 입석형은 100원, 좌석형은 200원을 추가로 징수하던 시계외 구간 요금은 2011년 5월 21일부터 부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광역 환승 할인제 도입과 동시에 폐지되었다.[3] 따라서 대부분 부산광역시 차적 차량은 시계외 요금은 물론 구간 요금도 없다.다만 2014년 1월 24일부터 개통된 부산 ↔ 거제도 시내버스는 거가대교를 기준으로 2700KRW의 시계외 요금을 징수하는데, 부산 ↔ 거제 간 이동 시 운임은 4500KRW이 된다.
4. 3. 교통카드
부산광역시에서는 선불 교통카드와 후불 교통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타 지역 교통카드도 일부 사용 가능하다.[4][5]- 선불 교통카드: 부산광역시에서 충전 및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부산카드와 하나로카드를 사용한다. 디지털부산카드를 발급하는 마이비카드사의 다른 지역 교통카드도 충전과 사용이 자유롭다.
- 후불 교통카드: KB국민카드, 신한, 비씨, 삼성, 현대, 롯데, 씨티, 하나카드, 농협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타 지역 카드: 타 지역의 마이비카드와 수도권에서 사용되는 티머니,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다. 티머니는 GS25, CU, 미니스톱, 신한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우체국 ATM에서 충전할 수 있다. 캐시비는 세븐일레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마트와 세븐일레븐에 비치된 롯데ATM, GS25, CU, 미니스톱, 신한은행, 제주은행, 우리은행, 부산전철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할 수 있다. 탑티머니와 센스패스는 2000번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5. 대중교통 환승할인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대중교통 환승할인제에 포함되어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무료 환승 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2015년 7월 1일부터 환승 요금이 폐지되어 이용한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요금만 지불하면 된다.
환승 관련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2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며, 총 3번 승차할 수 있다.
- 하차 후 30분 이내(일부 노선은 60분)에 승차해야 환승이 적용된다.
- 도시철도 2구간(10km 이상) 추가 운임은 별도로 부담한다.
- 환승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운전기사의 승차 단말기 조작이 있으면 환승이 불가능하다.
- 도시철도, 마을버스 간 환승 요금은 없으며 부산-김해 경전철, 김해, 양산 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가장 높은 교통수단의 요금과 광역 환승 요금(성인 기준 500KRW)을 1회만 지불한다.
- 부산광역시의 일반, 급행, 마을버스와 김해공항리무진 간 환승은 불가능하다. 김해공항리무진은 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하다.
- 2000번은 타 노선에서 환승이 불가능하다.
6. 운수 업체
2024년 7월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34개의 운수 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다.[6]
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운행 대수 | 예비 대수 | 노선 번호 | |||||||||
---|---|---|---|---|---|---|---|---|---|---|---|---|---|
합계 | 일반 | 급행·좌석 | 심야 | 합계 | 일반 | 급행·좌석 | 심야[7] | 합계 | 일반 | 급행·좌석 | 심야 | ||
국제여객 | 3 | 3 | - | - | 48 | 48 | - | - | 3 | 3 | - | - | 10, 111-1, 210 |
금진여객 | 5 | 4 | 1 | - | 41 | 39 | 2 | - | 3 | 3 | - | - | 55-1, 55-2, 124, 128-1, 1009 |
남부여객 | 8 | 7 | - | 1 | 61 | 61 | - | 2 | 4 | 4 | - | - | 6, 7, 9, 70, 71, 508, 508(심야) |
대도운수 | 4 | 4 | - | - | 72 | 72 | - | - | 5 | 5 | - | - | 77, 110, 110-1, 148-1 |
대진여객 | 6 | 6 | - | - | 82 | 82 | - | - | 4 | 4 | - | - | 115-1, 129-1, 187, 189, 189-1 |
동남여객 | 5 | 4 | 1 | - | 87 | 85 | 2 | - | 4 | 4 | - | - | 67, 138, 138-1, 167, 2000 |
동원여객 | 7 | 5 | 2 | 1 | 95 | 78 | 17 | 2 | 4 | 3 | 1 | - | 2, 81, 96-1, 103, 338, 1000, 1000(심야), 2000 |
동진여객 | 5 | 4 | 1 | - | 69 | 68 | 1 | - | - | - | - | - | 3, 11, 96, 338, 2000 |
부산여객 | 7 | 4 | 2 | 2 | 63 | 39 | 24 | 7 | 4 | 3 | 1 | - | 39, 139, 180, 182, 182(심야), 1003, 1003(심야), 2029 |
부일여객 | 9 | 4 | 3 | 3 | 75 | 41 | 34 | 6 | 4 | 2 | 2 | - | 38, 40, 182, 182(심야), 185, 1001, 1001(심야), 1011, 2029 |
삼성여객 | 7 | 7 | - | - | 121 | 121 | - | - | 9 | 9 | - | - | 5-1, 43, 54, 86, 87, 115, 506 |
삼신교통 | 12 | 8 | 2 | 2 | 126 | 96 | 30 | 7 | 6 | 5 | 1 | - | 37, 49, 50, 80, 90, 148, 301, 302, 1002, 1002(심야), 1008, 1008(심야) |
삼진여객 | 8 | 6 | 1 | 1 | 102 | 100 | 2 | 2 | 5 | 5 | - | - | 15, 15(심야), 59, 111, 121, 126, 1012 |
삼화피티에스 | 4 | 4 | - | - | 100 | 100 | - | - | 7 | 7 | - | - | 42, 99, 155, 179 |
성원여객 | 4 | 3 | - | - | 38 | 38 | - | - | 2 | 2 | - | - | 122, 123, 127 |
세익여객 | 4 | 3 | - | 1 | 58 | 58 | - | 3 | 4 | 4 | - | - | 31, 183, 183(심야), 200 |
세진여객 | 10 | 8 | - | 1 | 98 | 98 | - | 2 | 6 | 6 | - | - | 29, 73, 80, 106, 107, 184, 188, 300, 106(심야) |
시민여객 | 4 | 4 | - | - | 78 | 78 | - | - | 5 | 5 | - | - | 20, 22, 24, 27 |
신성여객 | 2 | 2 | - | - | 41 | 41 | - | - | 2 | 2 | - | - | 23, 26 |
신한여객 | 11 | 9 | 1 | 1 | 120 | 114 | 6 | 2 | 6 | 6 | - | - | 8, 17, 30, 30(심야), 88, 101, 113, 186, 190, 1006 |
영신여객 | 4 | 4 | - | - | 99 | 99 | - | - | 3 | 3 | - | - | 55-1, 55-2, 61, 161, 171 |
오성여객 | 3 | 3 | - | - | 43 | 43 | - | - | 6 | 6 | - | - | 62, 108 |
용화여객 | 4 | 4 | - | - | 43 | 43 | - | - | 3 | 3 | - | - | 16, 41, 83, 83-1, 583 |
유한여객 | 4 | 4 | - | - | 50 | 50 | - | - | 3 | 3 | - | - | 82, 85, 88-1, 190 |
일광여객 | 4 | 4 | - | - | 64 | 64 | - | - | 4 | 4 | - | - | 31, 36, 63, 307 |
일신여객 | 4 | 4 | - | - | 68 | 68 | - | - | 3 | 3 | - | - | 44, 52, 115-1, 144 |
창성여객 | 5 | 5 | - | - | 74 | 74 | - | - | 4 | 4 | - | - | 68, 134, 167, 168, 583 |
태영버스 | 14 | 6 | 6 | 3 | 67 | 33 | 34 | 6 | 5 | 2 | 3 | - | 55, 55-1, 55-2, 58, 58-1, 58-1(심야), 58-2, 58-2(심야), 520, 1004, 1004(심야), 1005, 1009-1, 2000, 2029 |
태진여객 | 5 | 5 | - | - | 80 | 80 | - | - | 3 | 3 | - | - | 46, 160, 169, 169-1 |
학성여객 | 3 | 3 | - | - | 37 | 37 | - | - | 3 | 3 | - | - | 57, 83-1, 105 |
한창여객 | 2 | 2 | - | - | 63 | 63 | - | - | 3 | 3 | - | - | 33, 33-1, 133 |
해동여객 | 7 | 4 | 1 | 2 | 72 | 68 | 4 | 8 | 3 | 2 | 1 | - | 100, 100-1, 141, 141(심야), 181, 1011 |
화신여객 | 4 | 3 | - | 1 | 53 | 53 | - | 2 | 5 | 5 | - | - | 51, 51(심야), 131, 300 |
7. 차량 정보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1969년에 도입된 이래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상아색과 어두운 초록색을 사용한 도색이 주를 이루었으며, 1978년에는 좌석버스에 상아색 바탕에 주황색 라인을 넣은 도색이 도입되었다. 이 도색은 2009년까지 사용될 정도로 오랫동안 유지되었다.[8]
마을버스는 1990년대 중후반까지 일반버스와 동일한 도색을 사용하다가 노란색 라인을 추가했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파란색과 주황색 조합의 도색이 도입되었고, 2012년부터는 연두색과 녹색 라인을 사용한 도색이 적용되고 있다. 2016년에는 시내버스 도색이 변경되었다.
부산에서는 타 시와 다르게 무냉방 차량에 새로운 도색을 적용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버스의 종류에 따라 도색에 차이가 있다. 일반 도시형버스는 파란색 바탕에 흰색, 좌석버스와 급행버스는 주황색 계열, 심야버스는 기존 노선과 동일한 도색을 사용한다.
7. 1. 도색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는 종류별로 다른 도색을 적용하여 버스의 시인성을 높이고 있다.- 1969년에 도입된 부산직할시 도시형버스 도색은 상아색/어두운 초록색 라인의 도색을 2000년까지 사용하였다.
- 1978년 부산직할시 좌석 도색은 동원여객의 일부 차량을 제외하면 상아색 바탕에 주황색 라인이었으며, 패널바디 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스커트판넬 부분이 전부 어두운 초록색이었다.
- 이 도색은 전국적으로도 상당히 장수한 도색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9년 중후반까지 생존해 있었다.[8]
- 마을버스의 경우 예전에는 일반버스 구도색과 동일한 도색을 적용했으나, 1990년대 중후반 위쪽 라인을 노란색으로 바꾸었다.
- 2000년 초중반 파란색/주황색의 도색으로 바뀌었다.
- 2016년 시내버스의 도색이 변경되었다.
- '''일반 도시형버스'''는 파란색 바탕에 하얀색이 일부 찍혀 있다.
- '''좌석버스'''는 주황색 도색으로 칠해져 있다.
- '''급행버스'''는 흰색을 포함한 주황색의 도색으로 칠해져 있다.
- '''심야버스'''는 밤 10시 이후에 운행되는 버스로, 기존 노선과 동일한 도색을 사용한다.
7. 2. 안내 방송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안내방송은 보이스웨어라는 TTS 방식으로 제공된다. 억양이 올바르지 않고 발음이 부정확하다는 비판이 있다. 영어 안내방송 또한 보이스웨어로 제공된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창원시의 시내버스, 양산시의 시내버스에서도 부산과 동일한 형식의 안내방송을 사용하고 있다.[1]마을버스에도 일부 노선에 한해 안내방송이 사용된다. 최초로 사용된 노선은 북구 3번이고, 현재 사용 중인 노선 중 가장 먼저 안내방송을 사용한 노선은 금정 6번이다.[1]
7. 3. LED 전광판
2008년 부산광역시 버스 앞면 행선판에 최초로 LED 전광판이 적용되었다.[1] 이후 일부 노선에만 적용되던 LED 전광판은 2009년 말 모든 노선에 설치되었다.[1] 초기 LED 전광판은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했지만, 개선된 전광판에서는 중국어와 일본어 서비스도 제공되었다.[1] 현재 부산광역시 소속 모든 시내버스는 LED 전광판을 설치하였으나, 한정면허인 203번은 설치 의무가 없어 설치되지 않았다.[1]LED 표출 형식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2] 초기에는 주요 정차 정류장 표시 후 "Dynamic Busan"과 노선 번호가 바로 표시되었으나, 이후 슬라이드 형식으로 변경되었다.[2] 2019년부터는 싸인텔레콤과 비슷한 방식으로 LED 전광판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3]
8. 사진
참조
[1]
문서
과거에는 300번 단위 번호가 좌석버스였으며 300번 미만 번호는 도시형버스였다. 현재 특급좌석버스 노선은 모두 폐선되었다.
[2]
문서
1번 버스는 62번으로 통폐합하여 사라졌다.
[3]
문서
305번 본선과 305-2번은 부산과 맞닿진 않지만 305-1번 (구)검문소 경유 노선으로 운행
[4]
문서
부산후불교통카드 문구가 적힌 카드만 이용 가능하며, 서울교통카드나 新교통카드 문구가 적힌 카드는 사용할 수 없다.
[5]
문서
"[[2009년]] [[1월]]부터 [[부산 도시철도]] 및 수도권 [[수도권 전철|전철]], 시내버스와 함께 수도권 교통카드의 이용이 가능해졌다."
[6]
웹사이트
시내버스 노선별 대수 및 운행현황
http://www.busan.go.[...]
부산광역시청 대중교통과
2016-03-19
[7]
문서
합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8]
문서
마산, 창원, 진해시의 좌석버스 도색도 이 도색과 같았다.
[9]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0]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11]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https://www.data.go.[...]
[12]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http://www.yooshin.c[...]
[13]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