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항버스는 공항과 도시, 또는 공항 내 터미널 간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 간 승객 수송을 위한 에이프런 버스, 터미널 간 셔틀 버스, 주차장 셔틀 버스, 철도역-공항 셔틀 버스, 프리미엄 버스 노선, 익스프레스 버스 및 코치 등 다양한 형태로 운행된다. 공항버스 운행에는 공항 당국, 항공사, 제3자 운영자, 버스 회사 등이 참여하며, 특히 일본에서는 도쿄 공항 교통과 같은 전문 회사가 운영하는 리무진 버스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항버스 - 롱윈 버스
롱윈 버스는 1997년 5월 22일 운행을 시작하여 홍콩 국제공항, 퉁충, 홍콩 디즈니랜드 등을 연결하는 42개 노선을 운영하는 홍콩의 버스 회사로, 냉방 저상 2층 버스와 냉방 1층 전기 버스를 포함한 총 25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항공기 지상 조업 - 푸시백
푸시백은 항공기가 주기장에서 유도로로 이동하기 위해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후진하는 절차이며, 항공기 자체 동력으로 후진이 어렵거나 공항 환경에서 지상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 항공기 지상 조업 - 수하물 찾는 곳
수하물 찾는 곳은 공항에서 위탁 수하물을 승객에게 전달하는 장소이며, 국제선 도착 시 출입국 심사 및 세관 검사 후 위치하고, 국내선은 국제선 옆이나 공공 구역에 위치하며, 효율적인 수하물 처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 공항 시설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공항 시설 - 탑승교
탑승교는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를 연결하여 승객의 편리한 탑승과 하차를 돕는 시설로, 기술 발전과 함께 자동화, 안전성 향상,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환경 친화적인 소재 사용 등 다양한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항공기 주차 위치 제한, 안전사고 위험, 고비용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이동식 계단 등의 대체 설비가 사용되기도 하고 항구에서는 크루즈선 승하선용으로도 사용되며 광고 매체로도 활용된다.
공항버스 |
---|
2. 운행 방식
공항버스는 운행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여러 개의 터미널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공항에서는, 사람 이동 장치나 다른 환승 수단이 없을 때 터미널 간 셔틀 버스가 무료로 운행된다.[3][4]
공항 소유 또는 관련 주차장이 크거나 터미널 건물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무료 주차장 셔틀 버스가 제공될 수 있다.[5]
일반 노선 버스에 비해 1km당 운임 (요율)이 높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12] 교통 체증이나 교통 사고 등의 영향을 받아 철도에 비해 정시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사업자는 고속 국도나 유료 도로, 우회 도로 등을 활용하고, 일부는 고속 도로와 일반 도로 양쪽의 노선 면허를 취득하여 고속 도로 통행 금지 시 일반 도로로 우회하여 시간 손실을 최소화한다. 도쿄 공항 교통에서는 업무 무선 등으로 운행 지시와 운전사 간 정보 교환을 통해 손실을 줄이려 노력한다.
입석 운행이 금지된 고속 도로와 유료 도로를 경유하는 리무진 버스는 좌석 정원을 초과하는 수송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좌석 정원제, 사전 예약제, 좌석 지정석 제도가 운영된다. 일반적인 관광 버스 타입 차량은 입석 승차용 손잡이・손잡이 기둥 등의 설비가 없어 안전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조석을 갖추거나 수요에 여유를 둔 운행 시간표를 짜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 지방 공항과 도시를 잇는 리무진 버스는 항공 스케줄을 고려하여 버스 스케줄을 짜고, 여객기 예약 상황에 따라 버스를 증편하거나 예비 차량을 대기시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노선은 버스 정류장 수를 제한하고, 중간 정류장에서의 승하차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과거 버스 노선 개설이 허가제였던 시절, 철도 및 일반 노선 버스와의 과당 경쟁을 피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인가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규제 완화되었지만, 정시성・속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승하차 제한이 있는 노선이 많다. 공항 발착 이외의 이용을 인정하지 않는 노선은 항공기 운항 시간에 맞추는 경우가 많아, 항공기 도착 지연 시 버스 출발도 늦추는 대응을 한다. 단, 메만베쓰 공항-아바시리, 아오모리 공항-히로사키 간 노선[13]처럼 중간 정류장 승하차(공항 이용 외 여객)가 자유로운 노선도 있다.
공항에 발착하거나 경유하는 일반 노선 버스, 공항 직원 여객 수송을 위한 출퇴근 시간대 운행 버스, 공항 내 (무료) 순환 버스 등은 일반적으로 리무진 버스라고 불리지 않는다. 섬의 공항 등 이용자가 적은 공항에서는 리무진 버스 없이 일반 노선 버스만 운행되기도 한다.
이요 철도 버스는 마쓰야마 관광항과 시내를 잇는 "마쓰야마 관광항 리무진 버스"를 운행하는데, 이는 선박편과 항공편 이용객을 송영하는 버스로서 동일한 의미로 간주할 수 있다.
2. 1. 도시와 수반 공항 연결
이 경우는 특정 도시와 그 도시를 수반하는 공항 간에 공항버스 인가를 받아 운영되는 경우이다. 주로 공항이 기점과 종점인 경우만을 한정한다.2. 2. 타 지역 도시와 대형 공항 연결
대한민국의 경우 다른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전국의 주요 도시,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등을 바로 연결하는 노선이 있으며, 이 노선은 시외버스 인가를 받아 운영된다.[6]일부 운송 회사는 철도역과 공항 사이에 셔틀 버스를 제공하며, 추가 수하물 공간을 위해 시내버스를 장착하기도 한다. 이는 때때로 공항이나 철도 회사가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잉글랜드의 더럼 테스 밸리 공항은 아리바 노스이스트 버스 회사와 계약하여 공항 승객에게 무료 셔틀 버스를 제공했다.[6]
2023년까지 철도 운영업체인 고비아 템스링크 레일웨이는 루턴 공항 파크웨이역에서 루턴 공항까지 유료 셔틀 버스를 운영했지만,[7] 이후 자동 여객 수송 시스템 노선인 루턴 다트로 대체되었다.[8]
또한, 일부 항공사는 도시의 버스 터미널에서 공항까지 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다른 경우에는 도시의 인구 규모가 서로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너무 작다고 간주되는 두 공항을 연결하기도 한다. 전자의 예로는 싱가포르 항공이 뉴저지주 뉴어크 시내에서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있다. 후자의 예로는 유나이티드 항공이 텍사스주 보몬트의 보몬트 공항에서 텍사스주 휴스턴의 휴스턴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탈 공항까지 운행하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전에는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SAAB 340 항공기로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버스로 운행된다.
레일에어 서비스는 직통 열차가 없는 경우 기차역과 공항을 연결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2. 3. 일본의 공항버스
일본에는 하네다 공항과 나리타 국제공항을 잇는 리무진 버스를 필두로 일본의 각 공항과 도심지를 연결하는 공항버스가 많다. 일부는 JR 같은 곳에서 운영하기도 하며, 운영 체계는 대한민국의 공항버스와 비슷하다.1954년에 설립된 도쿄 공항 교통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쿄 공항 교통은 처음 캐딜락 등의 대형 승용차(리무진)로 공항과 호텔 등을 잇는 정기 운행을 시작했기 때문에 공항 리무진이라고 불렸다. 이용이 확대되어 버스 차량으로 운행하게 된 후에도 리무진이라는 명칭이 남았다. 또한, 노선 버스보다 내장이 호화로운 차량(원래 의미의 리무진 버스)을 채용한 것도 명칭의 유래로 여겨지며, 각지의 공항에서 후속 버스 회사들이 마찬가지로 "리무진 버스"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 널리 퍼지게 된 요인이 되었다.
주변 시정촌이나 호텔과 공항을 직통 운행함으로써, 철도 이용 시 환승이 필요한 지역에서 편리하다. 또한, 큰 짐을 트렁크에 맡길 수 있기 때문에, 철도 등을 이용할 때처럼 짐을 들고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대부분 철도의 첫차 전이나 막차 후에도 운행하며, 대부분 국내선의 첫 비행편이나 마지막 비행편을 이용할 수 있다.
3. 차량
공항 버스(또는 에이프런 여객 버스)는 주로 공항 터미널과 원격 항공기 주차 위치 사이의 승객 운송 수단으로 사용된다. 공항 당국, 항공사 또는 제3자 운영자가 운영할 수 있다.[2]
항공기가 터미널에서 항공교를 사용하지 않고 계류장에 주차하거나, 장거리 이동 또는 안전상의 이유로, 승객은 공항 터미널 도착 또는 출발 게이트에서 항공기까지 에어사이드 이동 버스(에이프런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에어사이드 이동 버스는 일반적인 도시 대중교통 버스 디자인을 따르거나, 공공 도로에서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 더 길고 넓게 제작될 수 있다. 때로는 트레일러 버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동 버스는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좌석 또는 좌석이 없이, 승객이 서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때로는 더 큰 항공기의 경우, 터미널로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코치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코치가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 버스는 일반적으로 활주로 근처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하기 위해 점멸식 비콘을 장착한다. 또한 양쪽 끝에 운전석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은 승강 가능한 여객실을 갖춘 모바일 라운지를 에어사이드 이동에 사용하며, 이는 에어사이드 버스와 항공교의 조합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목적에 맞게 제작된 공항 버스의 주요 제조업체는 북아일랜드의 Mallaghan Engineering LTD와 Cobus industries GmbH의 두 곳이다. 이용객 중 짐이 많은 항공기 이용객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부 트렁크 룸을 갖춘 고속버스 타입의 차량이 많이 사용되며, 트렁크 룸이 없는 차량에서는 좌석 일부를 철거하여 짐 보관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4. 운행 형태
항공기가 터미널에서 항공교를 사용하지 않고 계류장에 주차하거나, 장거리 이동 또는 안전상의 이유로, 승객은 공항 터미널 도착 또는 출발 게이트에서 항공기까지 에어사이드 이동 버스 또는 '''에이프런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에어사이드 이동 버스는 일반적인 도시 대중교통 버스 디자인을 따르거나, 공공 도로에서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 더 길고 넓게 제작될 수 있다.[2] 때로는 트레일러 버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동 버스는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좌석 또는 좌석이 없이, 승객이 서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때로는 더 큰 항공기의 경우, 터미널로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코치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코치가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 버스는 일반적으로 활주로 근처의 에어사이드에서 운행하기 위해 점멸식 비콘을 장착한다. 또한 양쪽 끝에 운전석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은 승강 가능한 여객실을 갖춘 모바일 라운지를 에어사이드 이동에 사용하며, 이는 에어사이드 버스와 항공교의 조합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목적에 맞게 제작된 공항 버스의 주요 제조업체는 북아일랜드의 Mallaghan Engineering LTD와 Cobus industries GmbH의 두 곳이다.
공항에 여러 개의 터미널이 있고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람 이동 장치나 다른 환승 수단이 없는 경우, 연결 승객을 한 터미널에서 다른 터미널로 수송하기 위해 무료 셔틀 버스가 사용될 수 있다.[3][4] 터미널 간 이동은 대중 교통 버스 네트워크에도 통합될 수 있다.
공항 소유 또는 관련 주차장이 크거나 터미널 건물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공항 소유주 또는 계약자는 터미널과 주차장 버스 정류장 사이를 순환하거나 셔틀 운행하는 무료 주차장 셔틀 버스를 제공할 수 있다.[5]
일반 시내버스 서비스를 운영하는 버스 회사들은 표준 노선과 함께 특별히 브랜드화된[9] 차량과 추가적인 수하물 공간을 사용하여 공항까지 가는 프리미엄 요금 노선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노선은 일반적으로 지점 간 셔틀 버스보다는 제한적인 정차를 한다.
새롭게 민영화된 런던 버스는 1990년대에 빅토리아 코치 스테이션에서 히드로 공항까지 ''에어버스'' 서비스를 운영했지만, 런던 지하철과 히드로 익스프레스 철도 연결이 개선된 후 이 서비스는 철수되었다.
일부 공영 버스 운영업체는 수요 응답형 교통 분야로 진출하여 프리미엄 정기 노선 버스 서비스와 개인 대여 공항 택시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고, 사전 예약 승객을 태우기 위해 노선을 변경할 수 있는 구역을 포함시켰다. 개인 대여 회사와 달리, 이들은 여전히 법적으로 공영 버스이다. 예를 들어, 내셔널 익스프레스의 Dot2Dot과 로디언 버스가 운영하는 에든버러 셔틀은 수하물 공간이 있는 고급 사양의 미니버스 기반 차량을 갖추고 있다.
다른 공항 터미널 간 거리가 멀고 다른 교통 수단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대중교통 버스 운영업체는 두 터미널을 연결하는 노선을 제공하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왕복 셔틀 또는 일반 노선 네트워크의 일부로 운영된다. 특별한 예시로는 패스트웨이가 있는데, 이 노선은 급행 버스 시스템으로 노선 네트워크의 핵심에서 개트윅 공항 북쪽 터미널과 남쪽 터미널을 연결한다.
공항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히 설비되거나 도색된 버스 외에도, 여러 특정되지 않은 버스 노선이 공항에서 정차하거나 종착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노선은 보통 정상 운행 시간 외에 운행되어 공항 직원, 비정상적인 비행 시간의 승객 및 일반 승객을 수송한다.
1km당 운임 (요율)은 일반 노선 버스에 비해 높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12]。
또한 교통 체증이나 교통 사고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 철도에 비해 정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사업자는 고속 국도나 유료 도로, 우회 도로 등을 활용한 노선을 설정하는 외에, 일부 사업자는 노선 면허 취득 시 고속 도로와 일반 도로 양쪽의 노선 면허를 취득하여 고속 도로 통행 금지 시에도 일반 도로로 우회하여 시간 손실을 최소화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도쿄 공항 교통에서는 업무 무선 등으로 운행 지시와 운전사가 정보를 주고받아 더욱 손실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입석 운행이 금지된 고속 도로와 유료 도로를 경유하는 리무진 버스의 경우, 좌석 정원을 초과하는 수송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선착순 승차에 의한 좌석 정원제, 사전 예약에 의한 좌석 정원제 또는 좌석 지정석 제도가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리무진 버스에 많이 사용되는 관광 버스 타입 차량은 입석 승차용 손잡이・손잡이 기둥 등의 설비가 없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보조석을 갖추거나, 사전에 수요에 여유를 둔 운행 시간표를 짜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방 공항과 도시를 잇는 리무진 버스에서는 항공 스케줄을 고려한 버스 스케줄이 짜여지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에는 사전에 여객기의 예약 상황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버스를 증편하거나 예비 차량을 대기시키는 등의 노력을 보이기도 한다.
대부분의 노선이 버스 정류장 수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중간 정류장에서의 승하차에 대해서는, 공항행은 승차만, 공항 발은 하차만이라는 제한을 두고 있는 노선도 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버스 노선 개설이 허가제였던 시대에, 병행하는 철도 노선과 일반 노선 버스와의 수요 조절의 필요상, 기존의 철도・버스 노선과의 과당 경쟁을 피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인가되었던 것을 들 수 있다. 현재는 규제 완화되어, 각 정류장에서의 승하차 취급도 신고하면 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일반 노선으로 면허를 취득한 것을 포함하여 정시성・속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승하차 제한이 있는 노선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공항 발착 이외의 이용을 인정하지 않는 노선으로, 발착 편수가 적은 공항의 경우, 항공기 운항 시간에 맞추는 경우가 많아, 항공기의 도착이 늦어진 경우에는 버스의 출발도 그에 맞춰 늦추는 대응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단, 메만베쓰 공항과 아바시리 시내를 잇는 노선이나 아오모리 공항과 히로사키 시내를 잇는 노선[13]과 같이, 버스 시간을 항공편에 맞추면서도, 중간 정류장에서의 승하차(공항 이용 이외의 여객)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노선도 존재한다.
공항에 발착, 혹은 공항을 경유하는 일반 노선 버스, 공항 직원 여객 수송을 위해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되는 버스, 규모가 큰 공항에서의 공항 내 (무료) 순환 버스 등, 일반적으로 리무진 버스라고 불리지 않는 공항에 들어가는 버스도 존재한다. 섬의 공항 등 이용자가 적은 공항에서는 리무진 버스가 없고 일반 노선 버스만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5. 운행 회사
항공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자 회사는 사업의 일환으로 버스를 운행할 수 있으며, 공항 터미널 근처에 승하차 지점이 있고, 추가 수하물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된다.
일부 운송 회사는 철도역과 공항 간에 셔틀 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 수하물 공간을 위해 시내버스를 장착한다. 이는 때때로 공항 또는 철도 회사에서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잉글랜드의 더럼 테스 밸리 공항은 아리바 노스이스트 버스 회사와 계약하여 공항 승객을 위한 무료 셔틀 버스를 제공했다.[6]
일반 시내버스 서비스를 운영하는 버스 회사들은 표준 노선과 함께 특별히 브랜드화된[9] 차량과 추가적인 수하물 공간을 사용하여 공항까지 가는 프리미엄 요금 노선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장거리 익스프레스 버스 및 코치 운영업체는 공항을 서비스 네트워크의 허브로 삼고 있으며, 내셔널 익스프레스 코치(National Express Coaches) 공항 서비스가 그 예이다.
전문적인 익스프레스 버스 운영의 예로는 이지버스(easyBus)가 있으며, 런던의 정류장에서 미니버스 서비스를 운영하여 루턴 공항(Luton Airport)까지 직접 운행한다.
도쿄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 오사카 국제공항, 간사이 국제공항과 같은 수도권 및 긴키권의 공항에 대해서는 도쿄 공항 교통, 오사카 공항 교통, 간사이 공항 교통과 같은 리무진 버스 운행을 주체로 하는 회사가 설립되어 있다.
2019년 2월 1일에는, 전국 각지의 공항 리무진 버스 운행 회사 12개 사에 의한 사업 제휴 및 공동 프로모션 등을 목적으로 "공항 액세스 버스 얼라이언스"가 설립되었고, 8월부터는 가맹 회사 수를 31개 사로 늘려 20개의 공항으로 운행하고 있다.[14][15]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Image of a BEA Routemaster bus
https://www.flickr.c[...]
Flickr.com
1988-07-31
[2]
웹사이트
Bus type classification for airside transfer buses
http://www.used-buse[...]
Used-buses.net
[3]
이미지
Airport Shuttle Service
https://blueskylimov[...]
[4]
웹사이트
Image of a free shuttle bus at LAX Airport
https://www.flickr.c[...]
Flickr.com
[5]
이미지
Image of Southampton Airport car park shuttle bus
https://www.flickr.c[...]
[6]
웹사이트
Sky Express shuttle bus
http://www.southernv[...]
Southern Van Hire
[7]
웹사이트
Image of Luton Airport Shuttle Bus
http://www.topartybu[...]
[8]
뉴스
Luton Dart airport shuttle welcomes first passengers
https://www.bbc.co.u[...]
BBC News
2023-03-10
[9]
이미지
Image of Dublin Bus airlink branded premium service bus
http://www.dottransf[...]
[10]
웹사이트
What Are Airport Transfer Taxicabs?
https://www.britwaya[...]
Britway Airport Transfer
1990-09-15
[11]
웹사이트
Fiumicino Airport Shuttle
https://www.fiumicin[...]
[12]
문서
成田空港におけるエアポートバス東京・成田や、福岡空港を発着する中長距離路線など例外もある
[13]
문서
ただし、「弘前バスターミナル⇔弘前駅前」間のみの乗車はできない。
[14]
웹사이트
空港バス運行12社、「空港アクセスバス・アライアンス」発足
https://www.traicy.c[...]
2019-02-02
[15]
문서
空港アクセスバス・アライアンス協議会
http://www.airport-b[...]
[16]
문서
다른 좌석버스보다 저렴한 요금을 받고 있으며, 고급차량을 운행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천서 공항버스 · 화물차 추돌…1명 사망 · 6명 부상
설 연휴 첫 날 오전 6시 ‘정체 극심’…서울→부산 9시간43분 – 바이라인네트워크
TMAP 공항버스 “어린이·청소년 승객 3월까지 무료 탑승” – 바이라인네트워크
내비만? 국민 모빌리티로 성큼…‘TMAP 찐팬’ 전략 착착 – 바이라인네트워크
티맵모빌리티, 3분기 매출 763억원 전년비 31%↑…순손실 소폭 증가 – 바이라인네트워크
TMAP·인천공항 초협력…교통·글로벌·친환경 '3박자' 맞춘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