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17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17도는 지구의 북위 17도에 위치한 위선으로,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여러 국가와 해역을 통과한다. 아프리카에서는 말리, 니제르, 차드, 수단, 에리트레아를 지나 홍해로 진입하며, 아시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인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이어진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를 지나 카리브해를 통과하며, 대서양과 남태평양을 지나 필리핀을 통과한다. 이 외에도 17도선은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임시 군사 분계선으로 사용되었으나, 1976년 베트남 통일로 인해 그 의미를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북위 17도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위치 | 아시아 아프리카 |
통과 지역 | 북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
주요 통과 국가 | 모리타니 말리 알제리 니제르 차드 리비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인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
지리 | |
특징 | 이 위도에서는 태양이 동지점으로부터 26.43도 위에, 하지점으로부터 90.43도 위에 있다. |
시간대 | |
일조 시간 | 1년 중 하루의 12시간 54분 동안 보인다. |
2. 지리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북위 17도선은 다음 지역을 통과한다.
좌표 | 나라, 지역, 해역 | 주석 |
---|---|---|
홍해 | ||
파라산 제도 | ||
홍해 | ||
인도양 (아라비아해) | ||
인도양 (아라비아해) | ||
마하라슈트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 | ||
인도양 (벵골만) | ||
흘라가 국립공원 통과, 양곤 북쪽 | ||
인도양 (마르타반만) | ||
남중국해 (파라셀 제도) | ||
루손섬 | ||
태평양 | 필리핀해, 북마리아나 제도 구구안섬과 사리간섬 사이 | |
카리브해 | 세인트키츠 네비스 네비스섬 남쪽, 레돈다섬 북쪽 | |
앤티가섬 | ||
대서양 | ||
상투안타웅섬 | ||
대서양 | ||
2. 1. 아프리카
북위 17도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이동할 때 아프리카 대륙에서 말리를 통과한다. 이후 니제르, 차드, 수단을 차례로 지난다. 마지막으로 에리트레아를 통과한 후 홍해로 진입한다.2. 2. 아시아
북위 17도는 홍해를 통과하며, 사우디아라비아 (파라산 제도 포함), 예멘, 오만을 지난다. 그 후 인도양 (아라비아해)을 지나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텔랑가나주)를 통과한다. 다시 인도양 (벵골만)을 거쳐 미얀마 (흘라가 국립공원, 양곤 북쪽, 마르타반만), 태국, 라오스, 베트남을 지난다. 마지막으로 남중국해 (파라셀 제도)를 통과한다.2. 3. 오세아니아
북위 17도는 태평양을 통과하며, 필리핀해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의 구구안섬과 사리간섬 사이를 지난다.2. 4. 북아메리카
북위 17도는 북아메리카에서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를 통과한다. 또한 카리브해를 지나며, 앤티가 바부다의 레돈다섬 북쪽과 세인트키츠 네비스의 네비스섬 남쪽을 통과한다.```wikitable
2. 5. 남아메리카
2. 6. 대서양
북위 17도는 대서양을 통과하며, 앤티가 바부다의 앤티가섬, 카보베르데의 산투안타오섬, 모리타니를 지난다.3. 베트남의 군사 분계선 (17도선)
'''17도선'''(vĩ tuyến 17vi)은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설치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임시 군사 분계선이었다. 이 분계선은 정확히 17도선과 일치하지 않고 그 남쪽, 대략적으로 꽝찌 성의 벤하이 강을 따라 보 호 수(Bo Ho Su) 마을까지, 거기에서 라오스-베트남 국경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었다.
1976년에는 미국의 철수와 남베트남 정부의 항복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이 분계선은 무의미해졌다.
3. 1. 제네바 협정과 17도선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임시 군사 분계선인 17도선()이 설치되었다. 이 분계선은 17도선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남쪽의 벤하이 강을 따라 설정되었으며, 대부분 17도선보다 남쪽에 위치했다. 벤하이 강을 따라서 꽝찌 성의 보 호 수(Bo Ho Su) 마을까지, 거기에서 라오스-베트남 국경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었다.1976년 남베트남이 북베트남에 항복하고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이 분계선은 사라졌다.
3. 2. 베트남 전쟁과 17도선의 의미 변화
17도선은 1954년 제네바 협정에 의해 설치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임시 군사 분계선이었다. 이 분계선은 북위 17도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고, 실제로는 그 남쪽인 꽝찌 성의 벤하이 강을 따라 설정되었다. 17도선은 벤하이 강을 따라 보 호 수(Bo Ho Su) 마을까지 이어졌고, 거기에서 라오스-베트남 국경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었다.1976년 미국의 철수와 남베트남 정부의 항복으로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17도선은 의미를 잃게 되었다.
3. 3. 베트남 통일과 17도선의 소멸
'''17도선'''(vĩ tuyến 17vi)은 1954년의 제네바 협정에 의해 설정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잠정적인 군사 분계선이었다. "17도선"이라는 속칭으로 불렸지만, 북위 17도선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벤하이 강을 따라 설정되었다. 북위 17도선 상에 있는 곳은 하구 부근뿐이며, 경계선의 대부분은 17도선보다 남쪽에 있었다.1976년에 남베트남이 북베트남에 항복하고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군사 분계선은 소멸되었다. 베트남의 통일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한반도 통일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uration of Daylight/Darkness Table for One Year
http://aa.usno.navy.[...]
2019-09-24
[2]
URL
http://aa.usno.nav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