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공개 회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공개 회사는 주식이 증권 거래소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지 않는 회사로, 개인 주주, 투자자 또는 회사 설립자가 소유한다. 이는 주식이 일반 대중에게 공개적으로 판매되는 상장 회사와 대조된다. 비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투명성 관련 보고 의무가 상장 회사보다 적으며, 경영 지배권 방어 등의 이점이 있다. 비공개 회사는 주식회사, 유한 회사, 유한 책임 회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국가별로 법적, 조직적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공개 회사 - 국제전략문제연구소
    국제전략문제연구소는 1958년 런던에서 설립된 국제 안보 전략 연구 기관으로, 국제 안보, 사이버 안보, 지정학 등을 연구하며, 『밀리터리 밸런스』 발간, 샹그릴라 대화 및 마나마 대화 개최, 전략 자문 서비스 제공 등의 활동을 하지만 재정 투명성 논란도 있다.
  • 비공개 회사 - ZOTAC
    ZOTAC은 2006년 설립된 컴퓨터 부품 및 전자 제품 제조 기업으로, 그래픽 카드, 미니 PC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e스포츠 후원 등 사회적 기여 활동도 한다.
  • 유형별 기업 -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우선하며, 영리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균형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 유형별 기업 - 자회사
    자회사는 모회사의 의사결정을 지배하며 법적으로 독립된 별개의 실체로, 모회사의 신규 사업 진출, 세금 절감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행정 절차 복잡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비공개 회사

2. 정의 및 특징

'''비공개 회사'''는 민간 투자자, 주주, 또는 소유주가 소유한 상업 기업을 의미한다. 이는 공동으로 소유될 수도 있고, 단독 개인이 소유할 수도 있다. 공기업이나 정부 기관과 같은 국가 기관이 소유하는 공기업과는 대조적이며, 경제의 민간 부문을 구성한다. 생산 자산의 사유는 국유 또는 공동 소유(예: 노동자 소유 기업)와 구별된다. 이러한 구분은 특히 과거 동구권 국가에서 이전 국영 기업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국영 또는 공동 소유 회사와 대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소유 주식이나 지분이 증권거래소 등에서 공개적으로 거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주식이 공개적으로 거래되어 일반 대중 누구나 투자할 수 있는 상장 회사와 명확히 구분된다. 미국에서는 비상장 회사를 개인 주주, 투자자, 또는 회사 설립자가 소유하며 주식이 증권 거래소에서 공개적으로 구매될 수 없는 사업체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비공개 회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소유 구조: 회사 설립자나 그 가족, 상속인, 또는 소수의 투자자가 소유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직원들이 주식을 보유하기도 한다.[2] 대부분의 소규모 사업체는 비공개 회사 형태를 띤다. (자세한 내용은 #소유 구조 참조)
  • 보고 의무: 상장 회사에 비해 연간 보고서 제출 등 투명성 관련 보고 의무가 적거나 덜 포괄적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재무제표 공시 의무가 없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 의무 및 규제 참조)
  • 주식 양도: 주식 양도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주식 양도 제한 참조)
  • 주주 수: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최대 주주 수가 제한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 의무 및 규제 참조)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비공개 회사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운영 및 재무 정보를 상세히 공개할 필요가 없어 경쟁사에게 민감한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해도 즉각적인 신뢰도 하락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보고 의무가 적고 단기적인 주주 기대치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분기별 실적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에 집중할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운영 유연성으로 이어진다. 임원들은 주주총회 승인 없이도 신속하게 중요한 경영 결정을 내릴 수 있다.[4][5]

일상 용어에서는 '주식 공개'와 '상장'이 혼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주식을 공개했지만 상장하지 않은 회사(비상장 공개 회사)는 존재할 수 있다.[11][12] 반면, 비공개 회사는 반드시 비상장 상태이다.[13]

민간 기업이 경제의 주축을 이루고 사업 잉여를 소유주가 관리하는 경제 시스템을 자본주의라고 하며, 이는 산업을 국가나 공동체가 소유하는 사회주의와 대조된다. 자산을 민간 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을 민영화라고 한다. 비공개 회사는 사유 재산이 취할 수 있는 한 형태이다.

영국에서는 5명 이하의 주주에 의해 통제되거나, 이사직을 겸임하는 주주에 의해 통제되는 회사를 '비공개(private)' 또는 '폐쇄된(closed)' 회사라고 부르기도 한다.[8]

2. 1. 소유 구조

비공개 회사는 민간 투자자, 주주 또는 소유주가 소유하는 상업 기업으로, 공동으로 소유하거나 단독 개인이 소유할 수도 있다. 이는 공기업 및 정부 기관과 같은 국가 기관이 소유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며, 경제의 민간 부문을 구성한다. 생산 자산의 사유는 국유 또는 공동 소유(노동자 소유 기업 등)와 구별된다. 이러한 용어는 특히 이전 동구권 국가에서 과거 국영 기업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국영 또는 공동 소유 회사와 대비하여 어디에서든 사용될 수 있다.

공개 시장이 있는 국가에서 비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소유 주식이나 지분이 공개적으로 거래되지 않는 회사를 의미한다. 이는 주식이 공개적으로 거래되어 일반 대중이 투자할 수 있는 상장 회사와 대조된다. 미국에서는 비상장 회사를 개인 주주, 투자자 또는 회사 설립자가 소유하고 주식이 증권 거래소에서 공개적으로 구매될 수 없는 사업체로 정의한다.

비공개 회사는 주로 회사 설립자나 그 가족 및 상속인, 또는 소수의 투자자가 소유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직원들도 비공개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기도 한다.[2] 대부분의 소규모 사업체는 비공개 회사 형태를 띤다.

상장 회사의 자회사나 합작 투자(예: 제너럴 모터스새턴)의 경우, 해당 자회사 자체의 주식이 직접 거래되지 않는 한, 비공개 회사와 상장 회사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회사는 일반적으로 비공개 회사와 동일한 보고 요구 사항을 적용받지만, 자산, 부채, 활동 등은 기업 집단 관련 회계 및 증권 산업 규칙에 따라 모회사의 보고서에도 포함된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창업 시 출자자와 그 관계자만이 주식을 소유하여 주식의 자유로운 양도가 어려운 회사를 사적 소유 회사[14][10] 또는 폐쇄 회사라고 부르기도 한다.[12][18] 폐쇄 회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2][18]

구분특징
경영 결정지배적 주주(또는 전체 주주)의 의향과 강한 관련성을 가짐[15]
주주 성향다수파 주주는 경영권을 중시하며 배당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경향[15]
경영 방식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업무 수행 경향[15]
주주 구성파트너십과 유사하며, 주주들은 동료가 될 다른 주주 선택에 발언권을 가지려 하고, 주주를 회사의 경영진으로 한정하려는 경향[15]



일상적으로 주식 공개와 상장이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주식을 공개했지만 상장하지 않은 회사(비상장 공개 회사)는 존재할 수 있다.[11][12] 반면, 비공개 회사는 반드시 비상장 회사이다.[13]

비공개 회사 형태를 유지하는 이점 중 하나는 경영 지배권 탈취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비공개 회사는 사유 재산이 취할 수 있는 한 가지 형태이다.

2. 2. 경영

비공개 회사는 주식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세력에 의한 경영권 탈취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제학에서는 창업자와 그 관계자 등 소수만이 주식을 소유하고 자유로운 양도가 제한되는 회사를 사적 소유 회사[14][10] 또는 폐쇄 회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공개 회사는 이러한 특징을 가지며, 경영 방식에서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12][18]

  • 회사의 경영 관련 결정은 지배적 주주(또는 전체 주주)의 의사에 크게 좌우된다[15]
  • 다수 지분을 가진 주주들은 경영권 확보 및 유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배당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경향이 있다[15]
  • 형식적인 절차보다는 실질적인 내용에 집중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15]
  • 파트너십과 유사하게 운영될 수 있으며, 기존 주주들은 새로운 주주를 받아들이는 데 신중하고, 주주 구성원을 회사의 경영진으로 한정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15]

2. 3. 보고 의무 및 규제

비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연간 보고서 등을 통해 투명성을 보고해야 하는 의무와 요구 사항이 상장 회사보다 적거나 덜 포괄적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비공개 회사가 일반적으로 재무제표를 공시할 의무가 없다. 운영 및 재무 전망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공개 회사는 경쟁자에게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도 되며,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고객 및 이해 관계자의 신뢰가 즉시 훼손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보고 요구 사항과 주주 기대치로 인해, 비공개 기업은 분기별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에 집중할 수 있어 더 큰 운영 유연성을 얻는다.

더불어, 비공개 회사 임원은 주주 승인 없이 회사를 운영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조치를 지체 없이 취할 수 있다.[4][5]

국가별 규제를 살펴보면, 호주에서는 ''2001년 회사법'' 제2E조에 따라 상장 회사가 주주총회와 관련된 특정 문서를 호주 증권 투자 위원회(ASIC)에 제출해야 한다. 대규모 사유 회사에도 유사한 요구 사항이 있으며, 재무 보고서가 포함된 양식 388H를 ASIC에 제출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비공개 회사가 공공 회사와 다른 회계 감사 기준을 적용받으며, 이는 재무회계기준위원회의 비공개 회사 자문 부서에서 감독한다.

미국에서 비공개 회사 및 그 재무 정보를 조사하려면 해당 회사가 법인으로 설립된 미국 주 국무장관에게 연락하거나 (LLC 또는 파트너십의 경우 설립 주), Dun & Bradstreet와 같은 전문적인 비공개 회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Sageworks와 같은 다른 회사는 산업 코드로 분류된 비공개 회사에 대한 집계된 데이터를 제공한다.[6] 반면, 영국에서는 모든 법인 회사가 Companies House에 중앙 집중식으로 등록된다.[7]

비공개 회사는 또한 때때로 보유할 수 있는 주주 수에 대한 제한을 받는다. 예를 들어, 미국 1934년 증권 거래법 제12(g)조는 비공개 회사의 주주 수를 일반적으로 2,000명 미만으로 제한하며, 미국 1940년 투자회사법은 100명 이상의 보유자를 가진 투자 회사의 등록을 요구한다. 호주에서는 ''2001년 회사법'' 제113조에 따라 비공개 회사의 비고용인 주주 수를 50명으로 제한한다.

미국 법에서 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자사 주식을 다양한 투자자들이 널리 보유하고 있는 주식회사를 의미하며, 연방 증권 거래 위원회 등의 규정에 따라 일정 공시 의무가 적용되는 회사를 말한다.[16] 한편, 비공개 회사는 폐쇄 회사[10] 또는 폐쇄적 보유 회사[17]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8] 미국에서는 주법에 따라 주주 수 등에 의해 비공개 회사가 정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 주에서는 주식 양도 제한 등을 비공개 회사의 요건으로 하기도 한다.[19] 이 때문에 공개 회사의 정의에도, 비공개 회사의 정의에도 해당하지 않는 중간적인 회사가 다수 존재한다.[20] 몇몇 주에서는 비공개 회사에 대해 특별법을 제정하고 있다.[18]

2. 4. 주식 양도 제한

일반적으로 주식을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는 공개 회사[11][12]와는 달리, 비공개 회사는 주식의 양도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13] 비공개 회사는 정관 등을 통해 주식 양도에 제한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외부인이 쉽게 주주가 되는 것을 막아 경영권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창업자나 그 관계자들이 주로 주식을 소유하는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회사를 경제학에서는 사적 소유 회사[14][10] 또는 폐쇄 회사라고 부른다. 폐쇄 회사의 주주들은 새로운 주주가 참여하는 것에 대해 발언권을 갖기를 원하며, 주주 구성을 특정 인물들로 한정하려는 경향이 있다.[15] 이러한 주식 양도 제한은 경영 지배권 탈취와 같은 위험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각국의 법률에서도 비공개 회사의 주식 양도 제한을 규정하고 있다.

  • 미국의 일부 주(州)에서는 회사법에 따라 주식 양도 제한 등을 비공개 회사의 요건으로 명시하는 경우도 있다.[19]
  • 영국회사법상 비공개 회사는 일반 대중에게 회사의 주식을 인수하도록 권유하는 행위가 금지된다.[21]
  • 일본회사법에서는 주식회사가 정관으로 모든 주식에 대해 양도 제한을 설정하면 비공개 회사가 될 수 있다.

3. 조직 형태

비공개 회사는 조직 및 구조 방식에 따라 주식회사, 유한 회사, 유한 책임 회사, 무한 회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국가별 법률 체계에 따라 비공개 회사의 정의와 범위는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각 조직 형태는 보고 요구 사항, 소득세 부담, 정부 관련 의무, 직원 관계, 마케팅 기회 등 사업 운영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요구 사항 및 제한 사항을 가질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는 비공개 회사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법적 형태와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3. 1. 한국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한국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3. 2. 미국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영국에서와 달리, 비공개 회사라는 용어는 주식회사, 유한 회사, 유한 책임 회사, 무한 회사뿐만 아니라 파트너십, 개인 사업자 또는 사업 신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조직 형태는 보고 요구 사항, 소득세 부담, 정부 관련 의무, 직원 관계, 마케팅 기회 등 다양한 사업 운영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요구 사항과 제한을 가질 수 있다.

미국 법에서 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주식이 다수의 투자자에게 널리 분산되어 있고, 연방 증권 거래 위원회 등의 규정에 따라 특정 공시 의무가 적용되는 주식회사를 의미한다[16]。반면, 비공개 회사는 close corporation|폐쇄 회사eng[10] 또는 closely held corporation|폐쇄적 보유 회사eng[17] 등으로 불린다[18]

미국에서는 주(State) 법에 따라 주주 수 등을 기준으로 비공개 회사를 정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주에서는 주식 양도 제한을 비공개 회사의 요건으로 하기도 한다[19]。이 때문에 공개 회사의 정의에도, 비공개 회사의 정의에도 해당하지 않는 중간적인 형태의 회사가 다수 존재한다[20]。몇몇 주에서는 비공개 회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18]

3. 3. 영국

영국에서는 비공개 회사를 주식 유한 회사(약칭 ''Ltd'') 또는 무한 회사 등의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영국에서 '''비공개''' 또는 '''폐쇄된''' 회사란 5명 이하의 주주에 의해 통제되거나, 이사직을 겸임하는 주주에 의해 통제되는 회사를 의미한다.[8]

영국의 2006년 회사법 모델 정관에서는 회사를 공개 회사, 비공개 주식회사, 비공개 보증 유한 회사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21], 원칙적으로 공개 회사가 아닌 회사는 비공개 회사로 간주된다.[21]

영국의 비공개 회사는 사적인 방법을 통해서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일반 대중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사 주식의 인수를 권유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21] 또한, 비공개 회사는 법적으로 최소 1명의 이사만 두어도 설립 및 운영이 가능하다.[21]

3. 4. 기타 국가

비공개 회사는 조직 및 구조 방식에 따라 주식회사, 유한 회사, 유한 책임 회사, 무한 회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회사 형태는 각각 보고 요건, 소득세 부담, 정부 관련 의무, 직원 관계, 마케팅 기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추가적인 요구 사항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비공개 회사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조직 형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주식 유한 회사(약칭 Ltd|엘티디eng) 또는 무한 회사 형태가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호주에서는 사적 유한 회사(약칭 Pty Ltd|피티와이 엘티디eng) 또는 무한 사적 회사(약칭 Pty|피티와이eng)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인도의 경우, 비공개 회사는 기업부 산하의 회사 등록 기관에 등록해야 하며, 회사 이름 끝에 반드시 'Private Limited|프라이빗 리미티드eng'를 포함해야 한다.[3]

4. 장점 및 단점

일반적으로 주식을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는 공개 회사[11][12]와 달리, 주식을 공개하지 않은 회사가 비공개 회사이다.[13] 일상 용어에서는 주식 공개와 상장이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비상장 공개 회사도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비공개 회사는 반드시 비상장이다.

경제학에서는 비공개 회사와 같이 창업 시의 출자자 및 그 관계자만이 주식을 소유하고 주식의 자유로운 양도가 어려운 회사를 폐쇄 회사(사적 소유 회사)[14][10]라고도 부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12][18]


  • 회사의 경영에 관한 결정은 지배적 주주(또는 전체 주주)의 의향과 강하게 연결된다.[15]
  • 다수파 주주는 경영권을 중시하며 배당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경우가 많다.[15]
  • 회사 경영에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업무 수행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15]
  • 파트너십과 유사하게 운영되어, 주주들은 동료가 될 다른 주주를 선택하는 데 발언권을 가지려 하며, 주주를 회사의 경영진으로 한정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15]

4. 1. 장점

비공개 회사로 운영하면 경영권 탈취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4. 2. 단점

비공개 회사는 주주 수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 1934년 증권 거래법 제12(g)조는 비공개 회사의 주주 수를 일반적으로 2,000명 미만으로 제한하며, 미국 1940년 투자회사법은 100명 이상의 보유자를 가진 투자 회사의 등록을 요구한다. 호주에서는 ''2001년 회사법'' 제113조에 따라 비공개 회사의 비고용인 주주 수를 50명으로 제한한다.

또한, 주식을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는 공개 회사와는 달리[11][12], 비공개 회사는 주식 양도에 제한이 따른다.[13] 이는 창업 시의 출자자 및 그 관계자만이 주식을 소유하고 주식의 자유로운 양도가 어려운 폐쇄 회사(사적 소유 회사)의 특징 중 하나이다.[14][10][12][18]

5. 비공개 기업

'''비공개 기업'''은 민간 투자자, 주주, 또는 소유주가 소유한 상업 기업을 의미하며, 국영 기업이나 정부 기관과 같은 국가 기관과는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공동으로 소유하지만, 단독 개인이 소유할 수도 있다. 민간 기업은 경제의 민간 부문을 구성하며, 이러한 민간 기업이 경제의 중심이 되고 사업 이익을 소유주가 관리하는 경제 시스템을 자본주의라고 부른다. 이는 산업이 국가나 공동체에 의해 소유되는 사회주의와는 대조적인 개념이다. 국가 자산을 민간 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을 민영화라고 한다. 비공개 기업은 사유 재산의 한 형태이다.

공개 시장이 있는 국가에서 비공개 기업의 한 형태인 '''비공개 회사'''는 일반적으로 소유 주식이나 지분이 공개적으로 거래되지 않는 회사를 말한다. 이러한 회사는 주로 설립자나 그 가족, 상속인, 또는 소수의 투자자가 소유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직원들이 주식을 보유하기도 한다.[2] 대부분의 소규모 사업체는 비공개 회사 형태를 띤다.

상장 회사의 자회사나 합작 투자의 경우, 해당 자회사나 합작 투자 자체의 주식이 직접 거래되지 않는다면 비공개 회사와 상장 회사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의 새턴(Saturn Corporation)과 같은 경우가 있다. 이런 회사들은 비공개 회사와 유사한 보고 의무를 지지만, 그 자산, 부채, 활동 등은 모회사의 보고서에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기업 집단 관련 회계 및 증권 산업 규정에 따른 것이다.

5. 1. 비공개 기업의 유형


  • '''개인 사업체:''' 한 사람이 소유한 사업체이다. 소유자는 혼자서 사업을 운영하거나 다른 사람을 고용할 수 있다. 사업체 소유자는 사업체가 부담하는 부채에 대해 총체적이고 무제한적인 개인 법적 책임을 진다. 이 형태는 대개 소규모 사업체에 한정된다.
  • '''파트너십:'''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이윤 창출이라는 공동 목표를 위해 운영하는 사업 형태이다. 각 파트너는 파트너십이 부담하는 부채에 대해 총체적이고 무제한적인 개인 책임을 진다. 파트너십에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의 분류가 있다: 일반 파트너십, 유한 파트너십, 유한 책임 파트너십.
  • '''주식회사:''' 사업 주식회사는 영리 목적의 유한 책임 또는 무한 책임 회사 실체로, 구성원과는 별개의 법인격을 갖는다. 주식회사는 한 명 이상의 주주가 소유하며, 회사의 경영진을 고용하는 이사회가 감독한다. 주식회사 모델은 국영 기업 형태의 국가 부문에도 적용되어 왔다. 주식회사는 비공개적으로 소유될 수 있으며 (예: 비공개 회사 - 아래 참조) 공개적으로 거래될 수도 있다.
  • '''혼합 유형:''' 독일, 미국, 영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주식회사와 파트너십의 특성을 모두 갖춘 혼합 유형의 법인을 만들었다. 독일에서는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렝크터 하프퉁deu(Gmbh)라고 불리고, 미국에서는 유한 책임 회사(LLC)라고 불리며, 영국에서는 유한 책임 파트너십(LLP)이라고 불린다. 주식회사와 유사한 법인이지만 일반적으로 파트너십처럼 과세된다.

참조

[1] 뉴스 America's Largest Private Companies https://www.forbes.c[...] 2008-11-06
[2] 서적 Money Magnet: Attract Investors to Your Business John Wiley & Sons
[3] 웹사이트 Ministry of Corporate Affairs - MCA Services https://www.mca.gov.[...]
[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Private Companies http://www.privco.co[...] PrivCo
[5] 웹사이트 Private Company Research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3-01-10
[6] 웹사이트 Sageworks Private Company Data http://www.foxbusine[...] Fox Business Network 2012-02-01
[7] 웹사이트 Companies House: About Us https://www.gov.uk/g[...]
[8] 웹사이트 Corporation Tax Act 2010 https://www.legislat[...]
[9] 서적 すぐに役立つ株式会社のための定款作成実務マニュアル
[10] 문서 close corporation
[11] 문서 publicly held corporation
[12] 서적 証券論25講 晃洋書房
[13] 서적 証券論25講 晃洋書房
[14] 문서 privately held corporation
[15] 서적 アメリカ会社法 木鐸社
[16] 서적 アメリカ会社法 木鐸社
[17] 문서 closely held corporation
[18] 서적 アメリカ会社法 木鐸社
[19] 서적 アメリカ会社法 木鐸社
[20] 서적 アメリカ会社法 木鐸社
[21] 웹사이트 英国会社法改正 https://www.jetro.go[...] JETROロンドンセンター
[22] 뉴스 America's Largest Private Companies https://www.forbes.c[...] 2008-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