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코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오코섬은 서아프리카 기니 만에 위치한 적도 기니의 섬으로, 반투족인 부비족이 원주민이며,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1472년 포르투갈 탐험가에 의해 발견되었고, 1778년 스페인에 양도되어 페르난도 포로 불리다가 1973년 마시아스 응게마 비요고 섬으로 개명되었다. 1968년 적도 기니의 독립과 함께 비오코섬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현재 인구는 부비족, 팡족, 페르난디노족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페인어와 부베어를 사용한다. 주요 산업은 카카오 재배와 석유 생산이며, 말라보 국제공항과 항만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오코섬 - 북비오코주
북비오코주는 적도 기니 비오코 섬 북부에 위치하며 남비오코주와 접경하고, 말라보를 주도로 하여 시포포 리조트와 피코 바실레 국립공원이 있으며, 상당수의 부비족이 부비어를 사용하며 거주하는 열대 우림 지역이다. - 비오코섬 - 남비오코주
- 적도 기니의 섬 - 안노본섬
안노본섬은 1473년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되어 포르투갈, 스페인 식민 지배를 거쳐 적도 기니에 속하게 되었으며, 어업과 임업이 주요 산업이고 석유 자원도 유망하며, 포르투갈 문화의 영향을 받아 안노본어를 사용한다. - 적도 기니의 섬 - 엘로베이치코섬
- 스페인령 아프리카 - 스페인령 모로코
스페인령 모로코는 20세기 초 스페인이 모로코 북부에 확보한 영향권 지역으로, 1912년 보호령 체제 수립 후 스페인의 보호령으로 관리되다가 1956년 모로코 독립과 함께 스페인이 해당 영토를 반환했으나 일부 지역은 스페인 영토로 남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 스페인령 아프리카 - 오랑
오랑은 알제리 북서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베르베르인에 의해 건설되어 지중해 연안의 주요 무역 거점으로 성장했으며, 스페인, 오스만 제국, 프랑스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알제리의 주요 항구이자 상업 중심지, 라이 음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 비오코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원어 이름 (부베어) | Ëtulá a Ëri |
| 어원 | 크리스티노 세리체 비오코의 이름을 따서 명명 |
| 위치 | 기니만 |
| 군도 | 카메룬 화산대 |
| 면적 | 2,017 km² |
| 길이 | 70 km |
| 너비 | 32 km |
| 최고봉 | 피코 바실레 |
| 해발고도 | 3,012 m |
| 행정 구역 | |
| 국가 | 적도 기니 |
| 지역 | 인술라르 지역 |
| 주 | 비오코 노르테 주, 비오코 수르 주 |
| 최대 도시 | 말라보 |
| 최대 도시 인구 (2019년 추정) | 297,000명 |
| 인구 통계 | |
| 인구 (2015년 센서스) | 335,048명 |
| 인구 밀도 | 165.8 명/km² |
| 민족 구성 (2002년) | 부비족 (58%) 팡족 (16%) 페르난디노족 (12%) 이보족 (7%) |
| 언어 | 적도 기니 스페인어 피칭글리스 부베어 |
| 과거 국가 정보 (페르난도 포) | |
| 국가명 | 페르난도 포 |
| 공식 국가명 | Provincia de Fernando Poo |
| 건국 시기 | 1959년 |
| 멸망 시기 | 1968년 |
| 이전 국가 | 스페인령 기니 |
| 다음 국가 | 적도 기니 |
| 수도 | [[파일:Coat of Arms of Santa Isabel City (Spanish Guinea).svg|20px]]산타 이사벨 |
| 면적 | 2034 km² |
| 인구 (1966년) | 74,000명 |
| 통화 | 페세타 |
| 기타 정보 | |
![]() | |
2. 역사
비오코섬은 다른 인근 섬들과 달리 원주민 아프리카인들이 거주했다. 기원전 첫 번째 천년기 중반에 반투 부족들이 본토에서 이 섬에 정착하여 부비족을 형성했다.
1472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페르나오 두 포가 이 섬을 처음으로 발견한 유럽인이었다. 그는 이 섬을 ''Formosa Flora'' ("아름다운 꽃")라고 명명했다. 1494년에는 포르투갈에 의해 식민지로 선포된 후 그의 이름을 기려 ''페르난도 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64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포르투갈의 동의 없이 섬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여 기니만으로 노예 무역을 집중시켰다. 1648년 포르투갈은 다시 섬에 나타나 네덜란드 회사를 대체했다.
부비족 씨족들은 몰람보 (약 1700–1760) 등의 지역 추장들의 활동으로 섬에 새로운 왕국을 건설했다. 1778년 엘 파르도 조약에 따라 포르투갈은 페르난도 포, 안노본, 기니 해안 리오 무니를 스페인에 양도했다.
몰람보 추장은 로리테 (1760–1810), 로포아 (1810–1842) 순으로 계승되었다. 1827년부터 1843년까지 영국은 아프리카 노예 무역 감시를 위해 포트 클래런스 (현대 말라보)와 산 카를로스에 기지를 임대했다. 1843년 후안 호세 레레나가 산타 이사벨로 개명된 포트 클래런스에 스페인 국기를 꽂아 영국의 영향력이 쇠퇴했고, 1855년 스페인은 영국의 임대 계약을 취소했다.[13] 마다비타 (1842–1860)와 세포코 (1860–1875)는 스페인이 섬에 대한 통제를 재확립하는 기간 동안 주요 지역 추장이었다.
1923년–1930년, 국제 연맹은 라이베리아와 스페인 식민지 페르난도 포 간의 계약 이주 노동자 수송을 조사했다. 1942년 페르난도 포는 Operation Postmaster라는 암호명으로 알려진 비밀 작전의 현장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9년 스페인령 기니는 페르난도 포 섬(비오코 섬)의 페르난도 포 현과 대륙의 리오무니 현으로 분할되었고, 페르난도 포 현은 스페인의 53번째 현이 되었다. 1968년 10월 12일 적도 기니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페르난도 포 섬은 마시아스 응게마 비요고 섬으로 불렸고, 수도 명칭도 산타 이사벨에서 말라보로 개명되었다. 1979년 섬 이름은 비오코로 변경되었다.
2. 1. 원주민과 초기 유럽인 접촉
기원전 첫 번째 천년기 중반에 반투 부족들이 본토에서 이 섬에 정착하여 부비족을 형성했다. 부비족은 반투어를 사용한다. 이 섬은 아마도 기원전 7세기 이전부터 이들 또는 다른 반투어를 사용하는 집단에 의해 점유되었을 것이다.1472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페르나오 두 포가 이 섬을 처음으로 발견한 유럽인이었다. 그는 이 섬을 ''Formosa Flora'' ("아름다운 꽃")라고 명명했다. 1494년에는 포르투갈에 의해 식민지로 선포된 후 그의 이름을 기려 ''페르난도 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
2. 2.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경쟁
1472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페르나오 두 포가 이 섬을 발견한 후, 1494년 포르투갈에 의해 식민지로 선포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은 사탕수수 재배를 위해 섬을 개발했으며, 품질은 좋지 않았지만 정제소의 생산량은 유럽 무역 중심지를 잠시 지배할 정도였다.[12]
164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포르투갈의 동의 없이 섬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기니만으로 노예 무역을 집중시켰다. 1648년 포르투갈은 다시 섬에 나타나 네덜란드 회사를 그들만의 회사로 대체했으며, 노예 무역에 전념하여 인접한 섬 코리스코에 설립했다.[12]
2. 3. 부비 왕국과 스페인 식민 통치
17세기부터 부비족은 몰람보 추장 등의 지도 하에 왕국 건설을 시작했다.[5] 1778년 엘 파르도 조약에 따라 포르투갈은 페르낭 두 포 섬, 안노본, 기니 해안 리오 무니를 스페인에 양도했다.19세기 초, 영국은 대서양 노예 무역 폐지 후 섬에 기지를 임대하여 노예 무역 감시에 활용했다. 1843년 스페인이 섬의 통제권을 재확립하고 영국의 영향력을 축소시켰다.[13] 스페인은 쿠바 등지에서 정치범을 추방하고, 카카오 플랜테이션을 확장하며 강제 노동을 실시했다. 1898년과 1902년에는 부비족의 대규모 반란이 발생했다.
2. 4. 20세기와 독립
1923년부터 1930년까지 국제 연맹은 라이베리아와 스페인 식민지 페르난도 포 간의 계약 이주 노동자 수송을 조사했는데, 노동 착취는 페르난도 포의 상황에서 비롯되었음이 드러났다.[15]1942년 페르난도 포는 Operation Postmaster라는 암호명으로 알려진 비밀 작전의 현장이었으며, 이는 섬에서 진행되던 독일 U보트의 보급 활동을 방해하려는 작전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59년 스페인령 기니는 페르난도 포 섬(비오코 섬)의 페르난도 포 현과 대륙의 리오무니 현으로 분할되었고, 페르난도 포 현은 스페인의 53번째 현이 되었다. 이때 현지 주민들은 스페인 시민권을 획득했다. 1968년 10월 12일 페르난도 포 현과 리오무니 현으로 구성된 적도 기니 자치구는 적도 기니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독립 후, 섬은 현재의 북비오코 현과 남비오코 현으로 분할되었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페르난도 포 섬은 마시아스 응게마 비요고 섬(초대 대통령인 마시아스 응게마에서 유래)으로 불렸고, 수도 명칭도 산타 이사벨에서 말라보로 개명되었다. 1979년 섬 이름은 비오코로 변경되었다.
3. 지리
비오코섬에서 발견되는 도마뱀의 일종인 불도마뱀은 섬의 옛 이름인 페르난도 포에서 유래된 ''Mochlus fernandi''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다.[8]
주요 도시는 적도 기니 수도인 말라보, 항만 도시인 루바, 남부의 중심 도시 리아바이다.
3. 1. 지형 및 위치

비오코섬은 총 면적 2017km2로, 남북으로 70km, 동서로 32km 뻗어 있다. 카메룬 화산선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매우 험준하며, 최고봉은 바실레 산 (3012m)이다. 섬의 대부분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다.
비오코섬은 아프리카 대륙붕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프리카 본토와는 수심 60m 정도의 얕은 바다(32km 너비)로 분리되어 있다. 플라이스토세 시대에는 아프리카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으나, 약 1만 년 전 최후 빙기가 끝나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섬이 되었다.[7] 비오코섬은 기니만 서부, 비아프라만과의 경계에 떠 있으며, 상투메 프린시페의 섬들에서 남서쪽으로 690km 떨어진 안노봉 섬 (면적 약 17km2)과 합한 총 면적은 2034km2이다. 해안선은 167km로 단조로운 편이다.
지리적으로 동쪽의 카메룬과 가까워 불과 56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한편, 남동쪽의 리오무니까지는 260km나 된다. 북부에는 해발 3008m의 성층 화산인 바실레 산 (구칭 산타 이사벨 산)이 솟아 있으며, 남부는 모카 고원을 시작으로 하는 고지대이다. 남서부에는 직경 5km의 칼데라 지형도 보인다. 남부의 산악은 침식이 빠르고 장년기 단계에 있으며, 절벽과 깊은 계곡이 종횡으로 뻗어 있어 교통이 불편하고 거주에 적합하지 않다.
비오코섬은 아프리카 판 내에 있는 핫스팟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핫스팟은 카메룬 고원에서, 해발 4095m의 카메룬 산을 비롯한 카메룬 산맥, 비오코섬, 상투메 프린시페, 그리고 2,000km나 떨어진 영국령의 세인트헬레나 섬에 이르는 해저 산맥군인 기니 해팽을 형성했다. 기니 해팽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는 바로 연간 0.6cm에서 1.2cm 움직이는 아프리카 판의 이동 방향과 일치한다.
3. 2. 지질
섬은 주로 현무암, 대부분 알칼리 현무암과 하와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0]3. 3.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 상 열대 우림 기후(Af)에 속하며, 약한 건기가 존재한다. 6월~8월은 우기, 12월~2월은 건기이다. 이는 1월에 비오코 섬 바로 위까지 적도 수렴대가 남하하기 때문이다.[7]수도 말라보의 기온은 16°C~33°C 범위이지만, 모카 고원에서는 21°C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강수 패턴은 섬 내에서도 변동이 심하며, 말라보의 연간 강수량은 1930mm이지만, 최남단 우레카에서는 10920mm에 달한다. 이는 비오코 섬에 우뚝 솟은 바실레 산의 영향이다. 비슷한 기후 패턴은 카메룬산이나 하와이섬에서도 볼 수 있다.[7]
바실레 산과의 위치 관계뿐만 아니라, 해발 고도에 따라서도 미소 기후가 형성된다. 비오코 섬은 거의 적도 직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목 한계는 2200m이다. 해발 700m까지는 열대 우림 기후이지만, 700m에서 1500m에 이르는 고도에서는 강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 4000mm까지 늘어난다.[7]
4. 인구와 언어
비오코섬의 인구는 2015년 기준 335,048명이다.[4] 역사적으로 이 섬의 원주민은 부비족이며, 팡족, 페르난디노족, 이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스페인어는 1844년부터 공용어였으며, 교육 및 행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적도 기니 국민의 67%가 스페인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특히 수도 말라보 주민들이 그러하다.[11]
원주민 언어는 부베어이지만, 다양한 민족 집단의 영향으로 피치라는 크리올어가 발달했다. 이 언어는 영어 문법을 기반으로 서아프리카 언어와 포르투갈어 어휘가 섞여 있으며,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여러 지역 출신 노동자들의 유입으로 형성되었다.
4. 1. 인구 구성
2015년 기준 비오코섬의 인구는 335,048명이다.[4] 섬의 원주민은 부비족으로, 현재 인구의 58%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팡족(16%), 페르난디노족(12%), 이보족(7%)과 아프리카 및 유럽 이민자들이 거주하고 있다.비오코섬에는 적도 기니 인구의 약 1/4이 거주하고 있다. 비오코섬에는 선주 민족이 없으며, 현재 기록에 따르면 13세기에 아프리카 본토에서 도망쳐 온 반투족의 부비족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부비족의 구전 기록에 따르면 비오코섬은 무인도였다. 2005년 현재에도 부비족과 팡족의 대립은 계속되고 있으며, 부비 동맹을 결성하고, 후에 비오코 자치 운동이 되어 분리 독립 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비오코섬에는 페르난디노라고 불리는 크레올인도 소수이지만 있으며, 중류 계급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19세기에 영국 해군에 의해 해방된 노예의 후손이다. 스페인인과 포르투갈인의 후손도 수천 명이 남아 있다. 식민지 시대에 크레올 페르난디노인과 스페인인들은 소수이지만 오랫동안 정부와 상업을 지배해 왔다.
4. 2. 언어
스페인어는 1844년 스페인이 섬을 점령한 이후 공용어였다. 100년 이상 스페인 식민지였던 것과 관련하여 교육과 행정의 언어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적도 기니 국민의 67%가 스페인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특히 비오코섬의 수도인 말라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그렇다.[11]약 5만 명의 화자를 가진 부베어는 비오코섬 원주민의 원래 언어이다. 그러나 비오코섬에서 활동했던 수많은 민족 집단과 사람들을 고려하여 피치라고 알려진 크리올어가 발달했다. 이 언어는 영국이 군사 기지를 운영했던 시기의 영어 문법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나이지리아와 라이베리아의 서아프리카 언어, 그리고 크리오어의 상당 부분을 형성하는 포르투갈어 어휘를 포함하는데, 이는 시에라리온에서 발달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노동자들이 이 모든 지역에서 비오코섬으로 왔다.
5. 경제
비오코섬은 강수 패턴을 비롯한 기후 조건이 카카오 재배에 적합하다. 식민지 시대에는 나이지리아 동부에서 강제로 끌려온 이보족과 이비비오족이 재배에 종사했으며, 이들을 니헤리아노스라고 불렀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나이지리아인 계절 노동자들이 카카오 플랜테이션에서 일했지만, 적도 기니 정부의 열악한 임금 및 노동 조건으로 인해 나이지리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 1975년에는 계절 노동자의 도항이 제한되어 2000년에는 플랜테이션 노동자가 부족해졌다.[1]
1992년 4월, 아쿠바 유전에서 원유 생산이 시작되었다.[3] 1996년부터는 미국의 모빌 석유(Mobil Oil)가 해저 유전인 ''자피로 유전''에서 원유 채굴을 시작하면서 석유 붐이 일어났다.[3]
말라보 서쪽의 푼타 에우로파에는 알바 가스 플랜트가 있어 해상 생산 유정에서 나오는 천연 가스를 처리한다. 이 플랜트는 마라톤 오일의 자회사인 Marathon Equatorial Guinea Production Limited가 운영하며, 프로페인, 부테인, 콘덴세이트를 포함한 천연 가스 액체를 생산한다. 알바 플랜트에서 나오는 잔류 가스 대부분은 EG LNG가 운영하는 천연 가스 액화 플랜트로 공급되며, 일부는 Atlantic Methanol Production Company로 공급되어 메탄올 생산에 사용된다. 세 플랜트에서 생산된 제품은 수출을 위해 대형 유조선에 선적된다.[2]
5. 1. 농업
비오코섬의 기후, 특히 강수 패턴은 카카오 재배에 적합하다. 식민지 시대에는 나이지리아 동부에서 강제로 데려온 이보족과 이비비오족이 재배에 종사했는데, 이들을 니헤리아노스라고 불렀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나이지리아인 계절 노동자가 카카오 플랜테이션에서 재배에 종사했다.[1] 그러나 적도 기니 정부의 열악한 임금 및 노동 조건 때문에 나이지리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1975년에는 계절 노동자의 도항을 제한하여 2000년에는 플랜테이션 노동자가 부족한 상황이다.[1]5. 2. 천연자원
1992년 4월, 아쿠바 유전에서 원유 생산이 시작되었다.[3] 1996년부터 미국의 모빌 석유(Mobil Oil)가 해저 유전 ''자피로 유전''에서 원유 채굴을 시작하여 석유 붐이 일어났다.[3]말라보 서쪽에 위치한 푼타 에우로파에는 알바 가스 플랜트가 있으며, 이곳에서 해상 생산 유정에서 공급되는 천연 가스를 처리한다. 이 플랜트는 자회사인 Marathon Equatorial Guinea Production Limited를 통해 마라톤 오일에서 운영한다. 이 플랜트는 프로페인, 부테인, 콘덴세이트를 포함한 천연 가스 액체를 생산한다. 알바 플랜트에서 나오는 잔류 가스의 대부분은 EG LNG에서 운영하는 천연 가스 액화 플랜트로 공급된다. 알바 플랜트의 잔여 가스 일부는 Atlantic Methanol Production Company로 공급되어 메탄올 생산에 사용된다. 세 플랜트에서 생산된 제품은 수출을 위해 대양을 항해하는 유조선에 선적된다.[2]
6. 교통
7. 관광
말라보의 식민지 지구와 섬 남부가 주요 관광 명소이며, 방문객들은 일라디 폭포(모카 폭포)(Cascadas de Iladyies)로 하이킹을 하거나 우레카의 외딴 해변에서 둥지를 트는 거북을 관찰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quatorial Guine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8-06-07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A-C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서적
The Pronunciation of Placenames: A Worldwid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07-05-30
[4]
웹사이트
Anuario Estadístico de Guinea Ecuatorial 2018
http://www.inege.gq/[...]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s de Guinea Ecuatorial
2020-05-29
[5]
웹사이트
Playa de Arena Blanca
http://www.atlasobsc[...]
[6]
서적
Geograficheskie nazvanii︠a︡ mira: toponimicheskiĭ slovarʹ
Russkie slovari
1998
[7]
논문
Pleistocene origin and colonization history of ''Lobelia columnaris'' Hook. f. (Campanulaceae: Lobelioideae) across sky islands of West Central Africa
2021-10-20
[8]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9]
웹사이트
Excerpt from The Illuminatus! Trilogy
https://www.penguinr[...]
[10]
논문
Geochemistry of the volcanic rocks from Bioko Island ("Cameroon Hot Line"): Evidence for plume-lithosphere interaction
https://dipot.ulb.ac[...]
2016-09-01
[11]
뉴스
Obiang convierte al portugués en tercer idioma oficial para entrar en la Comunidad lusófona de Naciones
https://web.archive.[...]
Terra
2007-07-13
[12]
웹사이트
The Hell-Borne Traffic
http://www.geographi[...]
2007-09
[13]
웹사이트
British Empire: Africa: Fernando Po
http://www.britishem[...]
2015-04-28
[14]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A Political, Geographical, Ethnographical, Social and Commercial History of the Philippine Archipelago
Charles Scribner's Sons
[15]
간행물
Prelude to Scandal: Liberia and Fernando Po, 1880–1930
1974
[16]
사전
ビオコ島
https://kotobank.jp/[...]
202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