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콜라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콜라노족은 필리핀 루손 섬 남동부의 비콜 지방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이다. 이들은 민족 서사시 이발롱에 등장하는 이발롱에서 유래되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비콜라노족은 매운 고추와 코코넛 밀크를 사용한 요리로 유명하며, 페냐프란시아 성모를 기리는 축제를 매년 개최한다. 역사적으로 외세에 저항적인 면모를 보였으며, 시메온 올라와 웬세슬라오 빈존스의 지도 아래 스페인, 미국, 일본의 점령에 대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콜라노족 - 비콜어군
비콜어군은 필리핀 비콜 지방의 언어 집합으로, 민족어, Ethnologue, McFarland (1974), Lobel (2000)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언어와 방언이 다양하게 구분되며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독특한 음운 및 형태론적 특징을 갖는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콜라노족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 비콜어군, 필리핀어, 영어 |
종교 | 기독교(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소수 개신교), 이슬람, 애니미즘, 토착 민속 신앙 |
관련 민족 | 타갈로그, 비사야인(마스바테뇨, 와라이), 기타 필리핀인 |
인구 | |
총 인구 (2020년) | 7,079,814명 (필리핀 인구의 6.5%) |
거주 지역 | |
주요 거주 지역 | 필리핀 (비콜 지방, 케손 주, 북사마르 주, 메트로 마닐라, 다바오 지방, 카라가 지방, Soccsksargen, 미사미스오리엔탈 주) |
해외 거주 | 전 세계 |
2. 역사
비콜라노족은 이발롱 민족 서사시, 신석기 시대 고고학적 발굴, 스페인 선교사들의 영향, 시메온 올라와 웬세슬라오 빈존스 주지사 등의 항쟁을 통해 그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5] 이들은 외세 점령에 강하게 저항한 민족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중앙 정부가 이 지역을 통제하기 어려웠다.[5]
2. 1. 고대 역사
이발롱이라는 민족 서사시에 따르면, 이 지역 사람들은 이전에 이발롱 또는 이발농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고대 시대에 사왕안(현재 레가스피 시)을 다스린 가트 이발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발롱은 "이발의 사람들"을 의미했고, 결국 이발론으로 줄어들었다. 이발롱을 대체한 비콜이라는 단어는 원래 bikod|굽이치는bik을 의미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주요 강을 묘사하는 단어였다.[5]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고학적 발굴과 이 지역의 광산업, 도로 건설 및 철도 프로젝트로 인한 우연한 발견을 통해 비콜 본토가 풍부한 도자기 유물의 보고임이 드러났다. 매장 동굴 발견은 또한 스페인 이전 시대에 매장 항아리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5]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의 영향은 주로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와 프란치스코회 스페인 선교사들의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프란치스코회를 통해 비콜란디아의 수호성인인 페냐프란시아 성모의 연례 축제가 시작되었다. 가톨릭 사제 미겔 로블레스는 현지 예술가에게 살라망카에 있는 성모상의 복제품을 조각하도록 요청했고, 현재 이 조각상은 나가 시에서 열리는 연례 강물 퍼레이드를 통해 기념되고 있다.[5]2. 3. 근현대
시메온 올라와 웬세슬라오 빈존스 주지사의 지도 아래, 비콜라노족은 스페인, 미국, 일본의 점령에 맞서 적극적으로 저항했다.[5] 비콜라노족은 역사적으로 외세 점령에 가장 강하게 저항한 민족 중 하나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중앙 정부가 이 지역을 통제하기는 매우 어려웠다.[5]
3. 지역
비콜라노족은 루손 섬 남동부 비콜 지방에 주로 거주한다. 알바이 주, 남카마리네스 주, 북카마리네스 주, 카탄두아네스 주, 마스바테 주, 소르소곤 주가 비콜 지역에 속한다. 많은 비콜라노족이 케손 주 지방 근처에도 살고 있다.
또한 비사야 제도의 북사마르 (비콜란디아와 가깝기 때문에), 민다나오 섬의 다바오 지방, 미사미스 오리엔탈 주, 카라가 지방 및 소크사르겐 지방에도 거주한다.
4. 인구
2020년 기준 비콜라노족의 인구는 6,082,165명이다.[6] 이들은 철기 시대에 대만에서 이주해 온 오스트로네시아족의 후손이다. 한족, 아랍인, 스페인인과의 혼혈도 많으며, 특히 스페인 혼혈의 비율이 높다. 정부 지원 연구에 따르면 비콜라노족 인구의 20%가 히스패닉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차바카노족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7]
비콜라노족은 루손섬의 다른 민족 집단과 마찬가지로 고향 외부 지역에도 널리 퍼져 살고 있다. 2000년 기준으로, 메트로 마닐라의 여러 도시에서 비 타갈로그족 집단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8]
도시 | 비콜라노족 인구 | 도시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
칼루칸 시 | 59,276명 | 5.05% |
파식 시 | 24,678명 | 4.9% |
발렌수엘라 시 | 21,896명 | 4.55% |
케손 시 | 108,293명 | 5% (비사야족 다음) |
마닐라 | 39,295명 | 2.5% (일로카노족, 세부아노족 다음) |
또한, 루손 지방의 다른 지역에서도 비콜라노족은 가장 큰 비 타갈로그족 집단을 구성하거나, 비사야족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집단을 구성한다.[8]
지방 | 비콜라노족 인구 | 비고 |
---|---|---|
리잘 주 | 73,253명 | 가장 큰 비 타갈로그족 집단 |
라구나 주 | 57,282명 | 가장 큰 비 타갈로그족 집단 |
바탕가스 주 | 11,661명 | 가장 큰 비 타갈로그족 집단 |
카비테 주 | 52,031명 | 비사야족 다음 |
불라칸 주 | 43,605명 | 비사야족 다음 |
케손 주 | 36,339명 | 비사야족 다음 |
아우로라 주 | 7,079명 | |
팜팡가 주 | 6,685명 | |
오리엔탈 민도로 주 | 2,930명 | |
마린두케 | 247명 |
이 외에도 세부 (1,534명, 인구의 0.06%)와 민다나오의 다바오 지역 등에서도 비콜라노족이 소수 민족으로 발견된다.[8][9] 비콜 지역 외부 거주 비콜라노족은 545,544명 이상으로 추산된다.[8]
5. 문화와 특징
비콜라노족은 교육과 사회적 지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지역적이고 친근하며 모험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알려진 것과는 달리, 모든 비콜라노족이 매운 음식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며, 남성도 요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비콜라노족 여성들은 가사 노동을 돕고, 결혼 후에도 이러한 역할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남성들은 주로 생계를 책임지고 가족을 경제적으로 부양한다.
5. 1. 언어
비콜어 또는 비콜라노는 매우 단편적인 언어이며, 방언 간의 차이가 커서 다른 방언을 말하는 비콜라노 화자들끼리는 서로 이해하지 못한다.[1]5. 2. 종교
비콜라노족은 대부분 스페인 식민지 시기에 기독교로 개종하여,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많다.[1] 비콜 지역의 많은 교회에서는 매일 미사가 열린다.[1]5. 3. 요리

비콜라노들의 요리는 주로 매운 고추와 가타(코코넛 밀크)를 이용한 요리로 잘 알려져 있다. 외부에 비콜 익스프레스로 요리로 알려진 ‘굴라이 나 라다’(gulay na lada)는 현지의 고추와 코코넛 우유를 이용한 풍미있는 요리이다.[1]
비콜라노족은 매운 음식이나 향신료가 강한 음식을 잘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콜라노 요리는 음식에 고추와 ''가타''(코코넛 밀크)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지역 밖에서는 비콜 익스프레스로 알려진 ''굴라이 나 라다''가 있는데, 이는 ''실링 라부요''(작은 고추)와 코코넛 밀크를 사용한 인기 있는 요리이다. 식사는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이 풍부하며, 채소는 거의 항상 코코넛 밀크에 요리된다. 육류 요리에는 포체로, 아도보, 타파 그리고 디누구안 등이 있다. 흔히 먹는 생선은 고등어와 멸치이며, 부히 호수에서는 시나라판 또는 ''타비오스''(세계에서 가장 작은 물고기로 알려짐)가 흔하다.[1]
5. 4. 전통 가치
다른 이웃 지역과 같이, 비콜라노족 여성들은 가사 노동을 돕는다. 결혼 후에도 계속 돕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비콜라노족 남성들은 주로 생계를 유지하며 가족을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다.비콜라노족은 매우 종교적인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교육과 사회적 지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지역적이고, 친근하며, 모험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
끈끈한 가족 관계와 종교성은 태풍의 영향을 받기 쉬운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중요한 특징이다. , , 과 같은 전통 관습이 남아있으며, 신, 영혼, 사후 세계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pabasa'', ''tanggal'', 피에스타, ''flores de mayo''와 같은 연례 의식이 있다. 또한 ''tawong lipod'', duwende'', , , , , , 과 같은 영적 존재에 대한 믿음도 있다.[5]
5. 5. 생계
코프라 가공과 마닐라 삼 껍질 벗기기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이루어진다. 어업 또한 중요한 산업이며, 어류 공급은 보통 5월부터 9월까지 풍부하다. 조직적인 상업 어업은 고가의 그물과 동력 또는 전등이 달린 배나 발사선인 ''팔라카야'' 또는 ''바스니간''을 사용한다. 반면에 개인 어부는 ''바스니그''와 ''팡키'', chinchorobik, bulichebik, sarapbik와 같은 그물을 사용한다. 부히 호수에서는 sarapbik과 sumbilingbik을 사용하는데, sarapbik으로 잡힌 작은 물고기는 시나라판이다. inangclabik, sakagbik, sibid-sibidbik, sakagbik 유형의 bunuanbik (울타리), og-ogbik와 kitangbik의 두 종류인 banwitbik도 사용된다. 광업과 마닐라 삼으로 다양한 품목을 제조하는 것도 중요한 산업이다. 광업은 스페인 사람들이 카마리네스 노르테의 파라칼 광산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코코넛과 마닐라 삼은 여러 비옥한 화산의 해안 계곡, 언덕 또는 경사면에서 재배되는 두 가지 주요 수입 제품이다. 비콜 강 유역은 쌀 창고로, 농민들에게 식량을 위한 쌀, 옥수수, 뿌리 작물을 제공하며, 빈번한 태풍을 피할 경우 약간의 현금 잉여분을 제공한다. 토지 준비를 위해 일반적으로 물소가 끄는 쟁기와 써레가 사용된다. 낫은 벼 줄기를 자르는 데 사용되며, 탈곡은 벼 이삭을 밟거나 ''바스바스''로 두드려서 이루어지고, 정리는 ''니고''(키질 바구니)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6. 비콜라노족 신화
비콜라노족은 다양한 신과 영웅, 그들의 이야기가 담긴 풍부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
비콜라노족 신화는 최고신 구구랑(Gugurang)과 그의 형제인 악신 아수앙(Asuang)의 대립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구구랑은 선(善)을 상징하며 마욘 화산과 벼락을 다스리는 린티(Linti), 천둥을 다스리는 달로그도그(Dalogdog) 등의 조력자와 함께 세상을 다스린다.[11] 세상을 받치고 있는 이름 없는 거인은 손가락의 움직임만으로도 지진을 일으키며, 몸 전체를 움직이면 지구가 파괴될 것이라고 전해진다.[13]
하늘의 신 랑기톤(Languiton), 물의 신 투비간(Tubigan), 바다의 여신 다갓(Dagat), 바람의 신 파로스(Paros) 등 다양한 신들이 존재하며,[13] 이들의 자손인 다가(Daga), 아들라오(Adlao), 불란(Bulan), 비토온(Bitoon)은 반역을 일으켰다가 죽임을 당하거나 실수로 죽임을 당해 각각 땅, 태양, 달, 별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3]
어부들의 수호신 마긴당(Magindang), 숲의 신 오코트(Okot), 달을 삼키려는 뱀 바쿠나와 등 다양한 신들이 존재하며,[16] 필멸자 로사와 사랑에 빠진 이름 없는 태양신은 로사의 마을을 불태워 온천만 남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5]
6. 1. 신
- 구구랑(Gugurang): 최고신. 마욘 화산의 분화구를 노하게 하면 굉음을 내게 한다. 벼락으로 말리나오 산을 반으로 갈랐다.[11] 선(good)의 신이다.[12]
- 아수앙(Asuang): 구구랑의 형제. 구구랑의 불을 탐내며 불멸과 범죄가 지배하도록 악령과 조언자들을 모은 악신이다. 구구랑에게 패배했지만 그의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있다.[11]
- 린티(Linti): 구구랑의 조력자로 번개를 다스린다.[11]
- 달로그도그(Dalogdog): 구구랑의 조력자로 천둥을 다스린다.[11]
- 이름 없는 거인: 세상을 받치고 있다. 그의 검지 손가락의 움직임은 작은 지진을, 셋째 손가락의 움직임은 강한 지진을 일으킨다. 몸 전체를 움직이면 지구가 파괴될 것이다.[13]
- 랑기톤(Languiton): 하늘의 신[13]
- 투비간(Tubigan): 물의 신[13]
- 다갓(Dagat): 바다의 여신[13]
- 파로스(Paros): 바람의 신. 다갓과 결혼했다.[13]
- 다가(Daga): 다갓과 파로스의 아들. 아버지의 바람을 다스리는 능력을 물려받았다. 할아버지 랑기트에게 반역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죽었다. 그의 몸은 땅이 되었다.[13]
- 아들라오(Adlao): 다갓과 파로스의 아들. 다가의 반역에 가담하여 죽었다. 그의 몸은 태양이 되었다.[13] 또 다른 신화에서는, 살아있었고 전투 중에 불란의 팔 하나를 잘라 그의 눈을 맞혔는데, 팔은 평평해져 땅이 되었고, 불란의 눈물은 강과 바다가 되었다.[14]
- 불란(Bulan): 다갓과 파로스의 아들. 다가의 반역에 가담하여 죽었다. 그의 몸은 달이 되었다.[13] 또 다른 신화에서는, 살아있었고 그의 잘린 팔에서 땅이 생겨났고, 그의 눈물에서 강과 바다가 생겨났다.[14]
- 비토온(Bitoon): 다갓과 파로스의 딸. 손자들의 반역에 분노한 랑기트에 의해 실수로 죽임을 당했다. 그녀의 산산조각 난 몸은 별이 되었다.[13]
- 이름 없는 신: 필멸자 로사와 사랑에 빠진 태양신. 아버지의 결혼 승낙이 있을 때까지 세상을 밝히기를 거부했다. 그 후 로사를 방문했지만, 불을 다스리는 자신의 능력을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려, 실수로 로사의 온 마을을 태워 버려 온천만 남았다.[15]
- 마긴당(Magindang): 소리와 신호를 통해 어부들이 좋은 어획을 얻도록 이끄는 낚시의 신[16]
- 오코트(Okot): 사냥꾼을 먹이로 이끄는 휘파람을 가진 숲의 신[16]
- 바쿠나와: 달을 삼키려 하는 뱀[16]
- 할리야(Haliya): 달의 여신[12]
- 바탈라(Batala): 칼라온과 싸운 선한 신[16]
- 칼라온(Kalaon): 파괴의 악신[16]
- 칼라온의 아들: 사악한 아버지의 뜻을 거역한 칼라온의 아들[16]
- 오노스(Onos): 땅의 지형을 바꾼 대홍수를 일으켰다.[17]
- 오리올(Oryol): 유혹적인 목소리를 가진 아름다운 처녀로 나타난 교활한 뱀. 영웅 한디옹의 용감함과 기개에 감탄하여, 영웅이 땅에서 짐승을 몰아내 평화가 올 때까지 그를 도왔다.[17]
6. 2. 영웅
6. 3. 기타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Philippines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4-01-27
[3]
간행물
2015 Census of Population Highligh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ttp://rsso05.psa.g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08-15
[4]
웹사이트
Bicol - people
https://www.britanni[...]
2018-08-13
[5]
웹사이트
The Bicolanos -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http://ncca.gov.ph/s[...]
2018-08-13
[6]
간행물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rsso05.psa.g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gion 5, Bikol Region
2021-08-04
[7]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Appendix, Page 35)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1-01-21
[8]
웹사이트
The Bicolano People or the Bikolanos (Bikol: Mga Bikolnon)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s [Bicol Region Philippines]
https://www.yodisphe[...]
2023-09-14
[9]
웹사이트
Davao Region (Philippine Literature)
https://www.slidesha[...]
2023-09-15
[10]
웹사이트
Bicolanos Culture, Customs And Traditions - Culture And Tradition
http://www.livingint[...]
2018-08-13
[11]
서적
Asuang Steals Fire from Gugurang
1923
[12]
서적
CCP Encyclopedia of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Cultural Center of the Philippines
1994
[13]
서적
Ethnography of the Bikol People
1923
[14]
서적
The Origin of Earth and of Man
1923
[15]
서적
Pag-aaral at Pagsalin sa Pilipino ng mga Kaalamang-Bayan ng Bikol at ang Kahalagahan ng mga Ito sa Pagtuturo ng Pilipino sa Bagong Lipunan
National Teacher's College
1975
[16]
서적
Bikols of the Philippines
A.M.S. Press
1983
[17]
서적
un pequeño fragmento inedito en verso
1895
[18]
서적
Ibalon: Tatlong Bayani ng Epikong Bicol
Children's Communication Center: Aklat Adarna
1992
[19]
서적
Readings in Philippine literature
Rex Book Stor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