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삭방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고대에는 북쪽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전한 무제 때 흉노를 정벌하고 황하 유역을 회복하면서 설치되었으며, 삭방자사부에 속했다. 삭방군은 여러 차례 이름과 관할 지역이 바뀌었으며, 전한, 신나라, 후한, 오호십육국 시대, 북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존속했다. 당나라 시기에는 하주로 불리다가 삭방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지만, 758년 하주로 다시 바뀌면서 삭방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내몽골의 군 - 운중군
운중군은 전국 시대 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흉노와의 접경지로서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흉노 정벌의 기점으로 활용되다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 당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당나라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 삭방군 | |
|---|---|
| 개요 | |
| 관할 지역 | 허타오 지역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
| 설치 시기 | 전한 무제 시기 |
| 폐지 시기 | 서진 시기 |
| 역사 | |
| 설치 배경 | 흉노족에 대한 군사적 방어 및 허타오 지역 개척 |
| 주요 역할 | 변경 지역 방어, 농업 생산, 이주민 정착 지원 |
| 행정 구역 | 여러 현을 관할 (구체적인 현 목록은 추가 정보 필요) |
| 변천 과정 | 전한, 후한, 삼국 시대, 서진 시대를 거치며 존속, 서진 시기에 폐지 |
| 지리 | |
| 위치 | 허타오 지역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
| 중요성 | 농경에 적합한 비옥한 토지, 흉노족과의 접경 지역 |
| 사회 | |
| 인구 구성 | 이주민, 군인, 현지 주민 등으로 구성 |
| 경제 활동 | 농업 (주로 곡물 생산), 군수 물자 생산 |
| 기타 | |
| 중요 유적 | 삭방군 관련 유적 (추가적인 고고학적 연구 필요) |
| 현대적 의의 | 중국 역사 연구, 변경 지역 연구에 중요한 자료 |
2. 명칭
삭방(朔方)이라는 용어는 고대에 단순히 북쪽을 가리켰으며, 이러한 정의는 이아(爾雅)와 같은 사전에 기록되어 있다.
진나라의 옛 구원군 서부 지역으로, 한나라 초기에는 흉노의 침입으로 잃었다가 무제가 기원전 127년(원삭 2년)에 위청을 파견하여 흉노를 물리치고 황하의 큰 곡류 남방 일대(허타오, 하남, 또는 오르도스 고원)를 회복하면서 오원군과 함께 설치되었다.[10][11] 주보언은 이 지역이 비옥하기 때문에 군의 설치를 강력히 주장했고, 공손홍이 반대했으나 무제가 주매신을 시켜 공손홍을 설득시키고 군을 설치했다.
3. 역사
삭방자사부에 속했으며, 2년(원시 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4,338호, 136,628명이 있었다. 치소는 삭방현이었다. 기원전 8년(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0현이었다.[12]
왕망 때, 군의 이름을 구수(溝搜)로 고치고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신-후한 교체기 이 지역으로 들어온 선비족, 흉노, 오환족의 공격으로 인해 6현으로 축소되었고 인구 또한 1,987호 7,843명으로 대폭 줄어들었다.[14] 후한말 성장하는 선비족의 침략을 이기지 못했다. 결국 속현 중 하나인 광목현만이 신흥군의 속현으로 강등되어 진중 시 서우양 현 일대로 치소가 옮겨졌고 본래의 삭방 지역은 버려졌다. 버려진 삭방 지역에는 강족, 흉노족, 선비족 등이 섞여 살았다.[14]
오호십육국시대에 이 지역에 살던 이민족들이 국가를 세우면서 어얼둬쓰 시 다라터 기 서남지역을 치소로 하여 삭방군이 일시적으로 복구되었다. 삭방군은 후조, 전진, 후진을 거쳐 혁련발발이 세운 하의 영토가 되었다. 탁발규가 하를 멸망시키면서 북위에 소속되었다.
북위는 한나라 시대의 삭방군 지역에는 우라터 전기의 옥야진(沃野鎭)을 두었고, 옌안시 쯔창 현 일대에 삭방군을 설치하고 동하주에 소속시켰다. 북주는 삭방군에 총관부를 설치했다.[15][16]
수나라 대업 초 총관부를 폐지하고 삭방군을 재설치했다. 주현제를 실시할 때는 '''하주(夏州)'''로 불렸다. 3현 11,673호를 거느렸다.[16] 수말당초에는 이 지역 출신의 군벌 양사도가 삭방군을 점령했고, 그는 돌궐의 지원을 받아 당나라를 공격하기도 했다.[17][18][19]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양사도를 점령한 뒤 하주를 재설치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본 도독부는 하주, 수주, 은주의 3개 주를 관할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삭방군으로 개명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하주로 개명되었다. 천보 연간에는 9,213호 53,104명으로 인구가 늘었다.[19]
3. 1. 전한
기원전 127년 (전한 무제 원삭 2년), 위청이 흉노를 격파하고 황하 북쪽 굽이지역(허타오, 하남, 오르도스 고원)을 회복하면서 오원군과 함께 삭방군을 설치했다.[10][11] 주보언은 이 지역의 비옥함을 이유로 군 설치를 강력히 주장했으나, 공손홍은 반대했다. 그러나 무제는 주매신을 시켜 공손홍을 설득하고 군을 설치했다.
삭방군은 삭방자사부에 속했으며, 2년(원시 2년) 인구조사 결과 34,338호, 136,628명이 거주했다. 치소는 삭방현이었다.
황하 북쪽 굽이지역은 전국 시대 초기 조나라의 영토로, 구원이라 불리는 군이었다. 조나라가 약해지면서 흉노의 지배를 받았고, 진나라 시기 몽염의 원정으로 재정복되었다.
진나라 말기의 혼란기에 흉노가 다시 이 지역을 장악하여 한나라 건국 이후에도 북부 및 북동부 중국 침략의 거점으로 활용했다. 한-흉노 전쟁 중 무제는 기원전 127년 위청의 원정을 통해 이 지역을 회복하고 삭방군을 설치했다.
3. 1. 1. 속현 목록 (전한)
전한 무제는 기원전 127년(원삭 2년) 위청을 보내 흉노를 물리치고 황하의 큰 곡류 남방 일대(허타오, 하남, 오르도스 고원)를 회복하면서 삭방군을 설치했다.[10][11] 주보언은 이 지역이 비옥하여 군 설치를 강력히 주장했고, 공손홍이 반대했으나 무제가 주매신을 시켜 공손홍을 설득하고 군을 설치했다. 삭방군은 진나라의 옛 구원군 서부 지역으로, 한나라 초기에는 흉노의 침입으로 잃었다가 회복한 것이다.
삭방자사부에 속했으며, 2년(원시 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34,338호, 136,628명이 있었다. 치소는 삭방현이었다.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기원전 8년(원연·수화 연간) 당시 총 10개의 현을 두었다.[12]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삼봉현 | 三封縣 | 아라산맹 아라산 좌기 북동 | 기원전 120년(원수 3년) 무제가 축성했다. |
| 삭방현 | 朔方縣 | 오르도스시 항긴 기[13], 바얀누르시 우라트 전기 남동 | 금련염택(金連鹽澤)과 청염택(靑鹽澤)이 모두 남쪽에 있다. |
| 수도현 | 修都縣 | 오르도스시 항긴 기 북서 | |
| 임하현 | 臨河縣 | 바얀누르시 린허 구 북 | |
| 호주현 | 呼遒縣 | 바얀누르시 우라트 전기 남동 | |
| 유혼현 | 窳渾縣 | 바얀누르시 덩커우 현 북서 | 길 북서쪽으로 나가면 계록새(鷄鹿塞)가 있다. 도신택(屠申澤)이 동쪽에 있다. 서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 거수현 | 渠搜縣 | 바얀누르시 우라트 전기 남동 | 중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 옥야현 | 沃壄縣 | 바얀누르시 린허 구 남서 | 기원전 120년(원수 3년) 무제가 축성했다. 염관이 있다. |
| 광목현 | 廣牧縣 | 바얀누르시 우위안 현 남 | 동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
| 임융현 | 臨戎縣 | 바얀누르시 덩커우 현 북 | 기원전 124년(원삭 5년) 무제가 축성했다. |
3. 2. 신
| 전한 | 신 |
|---|---|
| 삭방 | 무부(武符) |
| 임하 | 감하(監河) |
| 유혼 | 극무(極武) |
| 거수 | 구수(溝搜) |
| 옥야 | 수무(綏武) |
| 광목 | 염관(鹽官) |
| 임융 | 추무(推武) |
왕망은 삭방군의 이름을 구수군으로 고쳤다.[1]
3. 3. 후한 ~ 서진
전한-신-후한 교체기에 선비족, 흉노, 오환족의 공격으로 6현으로 축소되었고 인구도 1,987호 7,843명으로 크게 줄었다.[14] 후한말 성장하는 선비족의 침략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속현 중 하나인 광목현만이 신흥군의 속현으로 강등되어 진중 시 서우양 현 일대로 치소가 옮겨졌고 본래의 삭방 지역은 버려졌다. 버려진 삭방 지역에는 강족, 흉노족, 선비족 등이 섞여 살았다.[14]3. 3. 1. 속현 목록 (후한~서진)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임융현 | 臨戎縣 | 변화없음 | |
| 삼봉현 | 三封縣 | ||
| 삭방현 | 朔方縣 | ||
| 옥야현 | 沃壄縣 | ||
| 광목현 | 廣牧縣 | 바얀누르시 우위안 현 남 → 진중 시 서우양 현 북서 | |
| 대성현 | 大城縣 | 어얼둬쓰 시 항진 기 남동 | 서하군에서 이관되었다. |
전한-신-후한교체기 이 지역으로 들어온 선비족, 흉노, 오환족의 공격으로 인해 6현으로 축소되었고 인구 또한 1,987호 7,843명으로 대폭 줄어들었다.[14] 후한말 성장하는 선비족의 침략을 이기지 못했다. 결국 속현 중 하나인 광목현만이 신흥군의 속현으로 강등되어 진중 시 서우양 현 일대로 치소가 옮겨졌고 본래의 삭방 지역은 버려졌다.[14]
3. 4. 오호십육국 시대 ~ 북조
오호십육국시대에 이 지역에 살던 이민족들이 국가를 세우면서 어얼둬쓰 시 다라터 기 서남지역을 치소로 하여 삭방군이 일시적으로 복구되었다. 삭방군은 후조, 전진, 후진을 거쳐 혁련발발이 세운 하의 영토가 되었다. 탁발규가 하를 멸망시키면서 북위에 소속되었다.[15][16]북위는 한나라 시대의 삭방군 지역에는 우라터 전기의 옥야진(沃野鎭)을 두었고, 옌안시 쯔창 현 일대에 삭방군을 설치하고 동하주에 소속시켰다. 북주는 삭방군에 총관부를 설치했다.[15][16]
3. 4. 1. 속현 목록 (북조)
후조, 전진, 후진을 거쳐 혁련발발이 세운 하가 이 지역을 차지했다. 탁발규가 하를 멸망시키면서 북위에 소속되었다.[15][16]북위는 옌안시 쯔창 현 일대에 삭방군을 설치하고 동하주에 소속시켰으며, 3현을 두었다. 북주는 삭방군에 총관부를 설치했다.[15][16]
3. 5. 수
대업 초 총관부가 폐지되고 삭방군이 재설치되었다. 주현제를 실시할 때는 '''하주(夏州)'''로 불렸으며, 3개 현, 11,673호를 거느렸다.[16] 수말당초에는 이 지역 출신의 군벌 양사도가 삭방군을 점령했고, 그는 돌궐의 지원을 받아 당나라를 공격하기도 했다.[17][18][19]607년 (수 양제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하주는 삭방군으로 개칭되었다.[8]
3. 5. 1. 속현 목록 (수)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암록현 | 岩綠縣 | 어월둬쓰 시 우선 기 무정하진 서남 | 서위 때 홍화군의 치소였다. |
| 영삭현 | 寧朔縣 | 위린 시 헝산구 탑만진 서남 | 북주에서 신설되었다. |
| 장택현 | 長澤縣 | 어얼둬쓰 시 어퉈커 전기 성천진 일대 | 서위에서 천희군(闡熙郡)을 설치했고 북위 대안군이 있던 곳이다. 장주로 승격되었으나 개황 초 군이 폐지되면서 현으로 격하되었다. 산록현(山鹿縣), 신천현(新蒨縣)을 통폐합했고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장주를 폐했다. |
3. 6. 당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양사도를 점령한 뒤 하주를 재설치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본도독부는 하주, 수주, 은주의 3개 주를 관할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삭방군으로 개명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하주로 개명되었다.천보 연간에는 9,213호 53,104명으로 인구가 늘었다.[19]
3. 6. 1. 속현 목록 (당)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삭방현 | 朔方縣 | 어월둬쓰 시 우선 기 무정하진 서남 |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암록현에서 삭방현으로 개명되었다.[19] |
| 덕정현 | 德靜縣 | 어월둬쓰 시 우선 기 알노도진(嘎魯圖鎭) | 633년(당 태종 정관 7년) 북개주 설치, 634년(당 태종 정관 8년) 북개주를 화주로 개명. 639년(당 태종 정관 13년) 화주 폐지.[19] |
| 영삭현 | 寧朔縣 | 위린 시 헝산구 탑만진 서남 | 623년(당 고조 무덕 6년) 남하주로 이관,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주 폐지로 귀속.[19] |
| 장택현 | 長澤縣 | 어얼둬쓰 시 어퉈커 전기 성천진 일대 | 633년(당 태종 정관 7년) 장주로 이관, 639년(당 태종 정관 13년) 장주 폐지로 귀속.[19] |
4. 역대 태수
량사도는 오르도스 남쪽 경계에 위치한 삭방군 출신의 명문가 자제로, 전 연대장이었다. 617년 봄, 량사도는 군 관리들로부터 권력을 빼앗아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량" 국가를 세웠다고 선언했다.[20]
4. 1. 전한
황하의 북쪽 굽이는 전국 시대 초기 조나라의 일부였던 상당한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이었다. 이 기간 동안 이곳은 구원이라고 불렸으며 군이었다. 조나라가 점차 약해지면서 이 지역은 흉노의 지배하에 떨어졌고, 진나라 시대에 장군 몽염이 이끄는 대규모 원정을 통해 다시 정복되었다.진나라 말기에 일어난 반란의 혼란 속에서 흉노는 다시 이 지역으로 이동하여 장악했고, 한나라 건국 이후에도 이 지역을 유지하며 북부 및 북동부 중국을 침략하는 중요한 거점으로 활용했다. 무제가 발발시킨 한-흉노 전쟁 동안에야 한나라는 진나라의 옛 변경을 적극적으로 장악하려 했다. 기원전 127년에 위청이 이끄는 원정군은 흉노를 격파했고, 이로 인해 삭방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8년에는 삭방군에 10개의 현이 있었다.[20]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後漢書
[3]
서적
三国志
[4]
서적
三国志
[5]
서적
晋書
[6]
서적
晋書
[7]
서적
魏書
[8]
서적
隋書
[9]
서적
旧唐書
[10]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1]
위키문헌
한서 권55 위청곽거병전제25
https://zh.wikisourc[...]
[1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3]
웹인용
杭锦之窗--历史沿革--杭锦旗人民政府门户网站
https://web.archive.[...]
2017-02-07
[14]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5]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16]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수신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