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평통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평통보는 조선 시대에 사용된 동전으로, 고려 시대부터 주화 유통을 시도했으나 실패를 거듭한 끝에, 구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일본산 구리를 수입하여 1633년(인조 11년)부터 발행되었다. 상평통보는 초기에는 유통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숙종 대에 이르러 전국적으로 유통되었고, 다양한 종류와 기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발행 기관의 다원화, 위조 화폐 문제, 주화 품질 저하, 구리 부족 등으로 인해 전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 당백전, 당오전 발행의 실패와 1904년 화폐정리사업으로 인해 상평통보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 (주화) - 페니
페니는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었거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화 단위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금속의 종류, 무게, 가치가 변해왔으며, 현재는 주로 1센트 동전을 지칭하고 행운과 관련된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 동화 (주화) - 오수전
오수전은 기원전 118년 전한 무제 때부터 당나라 개원통보 발행 전까지 중국에서 700년 이상 사용된 엽전으로, 중국 화폐의 표준이 되었고 주변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다. - 한국의 통화 - 당오전
당오전은 1883년 조선 정부가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발행한 화폐로, 상평통보의 5배 가치를 지녔으나 물가 폭등과 경제 혼란을 초래하여 결국 폐지되었다. - 한국의 통화 - 붉은 군대 사령부의 원
붉은 군대 사령부의 원은 1945년 소련군 통제하의 북한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발행된 지폐이며, 1, 5, 10, 100원 권 등 4종이 발행되었고 한국어 문구와 발행 연도가 표기되었다. - 조선의 경제 - 보부상
보부상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의 상인 집단으로, 부상과 보상으로 나뉘어 전국적인 조직 체계를 갖추고 국가적인 역할도 수행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며 관련 문화재가 남아있다. - 조선의 경제 - 고공
조선 시대의 고공은 경영형 부농이 활용한 임금 노동 방식으로, 단기, 장기, 특수 고공으로 나뉘며 농업 생산성과 사회경제 구조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장기 고공은 사회적 불평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상평통보 | |
---|---|
기본 정보 | |
한글 | 상평통보 |
한자 | 常平通寶 |
히라가나 | じょうへいつうほう |
가타카나 | サンピョントンボ |
로마자 표기 | sanpyeongtongb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sangp'yŏngt'ongbo |
동전 정보 | |
나라 | 조선 |
액면 | 상평통보 |
단위 | 문 |
무게 | 25.1 |
지름 | 24~40 |
두께 | 2.8 |
성분 | 구리, 주석 |
주조년도 | 1633년(인조 11년) 1678년(숙종 4년) ~ 1894년(고종 31년) |
앞면 | |
![]() | |
앞면 디자인 | 상하좌우에 상평통보(常平通寶) |
뒷면 | |
![]() | |
뒷면 디자인 | 주조한 관청의 이름(사진은 선혜청 주조) |
참고 자료 |
2. 배경
고려 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건원중보, 저화, 조선통보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주화나 지폐를 만들어 유통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구리와 같은 원료 부족, 현물화폐 중심의 경제 구조 등의 이유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실패하였다.[12][13][14][15] 당시 조선 사회는 자급자족적 농업 경제를 기반으로 하여 포(布)나 쌀과 같은 현물이 교환 수단으로 주로 쓰였기에 금속 화폐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16][18]
그러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상업 활동이 점차 활발해지고, 세금으로 거두는 포의 품질 저하 문제(추포 유통)가 심각해지는 등[19][21] 국가 재정 운영과 시장 관리를 위해 안정적인 화폐 제도의 필요성이 커졌다. 효종 때 십전통보 발행 시도도 있었으나 이 역시 성공하지 못했다.[22]
이러한 상황에서 주화 발행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구리 부족 문제가 해결될 기미가 보였다. 17세기 들어 이웃 나라 일본에서 새로운 광산 개발로 구리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고,[23] 조선은 이 구리(왜동)를 수입하여 주화 제작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3][26] 이처럼 사회경제적 필요성이 높아지고 주원료인 구리 확보가 가능해지면서, 마침내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될 수 있는 배경이 마련되었다.
2. 1. 고려 시대의 주화
996년 (고려 성종 15년)에 한국 최초의 주화인 건원중보가 철로 만들어졌다. 이 주화는 뒷면에 '동국(東國)'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이후 998년에는 당나라의 개원통보를 본떠 만든 고려 개원통보(고려개원)가 발행되었는데, 이는 안티모니를 많이 포함한 독특한 구리 재질로 만들어졌다.1102년 (고려 숙종 7년)에는 해동중보, 해동통보, 동국중보, 동국통보, 삼한중보, 삼한통보 등 다양한 종류의 동전이 발행되었다. 하지만 이들 주화는 모두 발행량이 적어 주로 귀족들 사이에서만 사용되었고, 일반 시장에서는 거의 유통되지 못했다.
2. 2. 조선 초기의 주화
고려 시대부터 여러 차례 주화를 유통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한국 최초의 주화로는 996년(고려 성종 15년)에 주조된 건원중보가 있다.[12] 이러한 법정 명목 화폐 유통 시도는 조선 초에도 이어졌다. 태종 때에는 종이 화폐인 저화를 발행하여 유통시켰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종이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문제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13] 세종 역시 조선통보라는 동전을 만들어 유통시키려 했지만 실패했고,[14] 이후 철을 원료로 한 철전 주조도 시도되었으나 이 또한 실패로 돌아갔다.[15]조선은 기본적으로 자급자족적인 농업 경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이 때문에 사람들 사이의 선물이나 부조, 국가의 세금 징수와 자원 분배 등이 시장에서의 상업 경제와 혼재되어 있었다.[16] 따라서 물건을 교환하기 위한 화폐의 필요성은 이웃한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세종 때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박서생은 당시 일본에서는 일상적으로 주화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여행이나 군수품 보급에 주화가 매우 유리하다고 보고했다.[17] 이처럼 조선 초기에 주화를 만들려 했던 주된 이유는 상업적 거래를 활성화하기보다는 국가의 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그 결과 실제 상거래에서는 여전히 옷감(포)이나 곡식 같은 현물화폐가 주로 사용되었다.[18]
2. 3. 조선 후기 주화 발행 여건 변화
조선 후기에 들어 국가의 주화 발행 필요는 점점 더 커지게 되었다.[19] 민간에서는 거래에 사용되는 직물의 경우 국가가 정한 품질에 미달하는 추포(麤布)의 통용이 일반화되어 문제가 되고 있었다.[19] 조선은 세금으로 받는 직물의 규격을 5승포로 정하였는데, 이는 한 폭에 들어가는 날줄의 수가 400개 이상인 직물을 뜻한다.[20] 그러나 실제 거래에서는 4승포나 3승포 등이 상포(常布)로 불리며 사용되었고, 심지어 옷감으로는 도저히 사용할 수 없는 2승포도 거래되었다. 2승포는 오로지 거래만을 위해 제작된 직물이라 할 수 있다.[21] 이러한 상황에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경향이 나타나 시장에서는 품질이 낮은 추포가 주로 통용되었다. 효종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가의 시장 통제력을 강화하고 재정을 확충하고자 십전통보를 발행하였으나, 유통에 성공하지 못하였다.[22]여러 차례 반복된 조선의 주화 유통 정책 실패는 무엇보다 원료인 구리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인조반정 이후 조세 수취의 방편으로 동전 주조가 시도되었으나 여전한 구리 부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였다.[23] 헌종 시기 거제도에서 구리 광산이 발견되었지만[24] 산출량은 여전히 부족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17세기 들어 일본의 구리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변하였다. 16세기 일본의 연간 구리 생산량이 50ton 가량이었던 데 반해, 17세기에는 새로운 광산이 개발되면서 150ton 이상으로 증가하였다.[23] 조선은 이렇게 생산량이 늘어난 일본의 구리, 즉 왜동을 수입하여 상평통보의 주조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구리의 수입 가격은 구리 100 근 당 은 20 냥 정도였다.[26]
3. 발행과 유통
인조는 즉위 초부터 조선통보 발행을 추진했으나 정묘호란 발발로 중단되었다.[27] 이후 1633년(인조 11년) 상평청(常平廳)에서 상평통보를 처음 발행했지만[3] 널리 유통되지는 못했다.[27] 이때 만들어진 상평통보는 1문의 가치를 지닌 초주단자전이었다.[28] 상평청은 본래 곡물과 직물을 비축하여 흉년에 대비하는 구휼 기관이었기에, 비축 물자를 기반으로 주화를 제작하게 된 것이다.[29]
숙종 역시 즉위 초부터 주화 유통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처음에는 청나라 동전을 수입해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청이 동전 유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어 자체 제작을 결정했다.[30] '상평(常平)'은 늘 일정한 가치를 유지한다는 의미의 상시평준(常時平準)을 줄인 말이며, '통보(通寶)'는 예로부터 화폐를 가리키는 용어였다.[31]
1678년(숙종 4년)부터 상평통보가 본격적으로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다. 초기 주전(鑄錢, 동전을 만드는 일)은 호조, 상평청, 진휼청, 어영청, 사복시, 훈련도감, 수어청 등 여러 기관에서 담당했다. 이 중 어영청과 같은 군영이 포함된 것은 상평통보 발행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군사 재원 확보였음을 보여준다.[30] 각 발행 기관은 필요한 재원을 자체적으로 확보하고 수량을 정해 국왕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1692년(숙종 18년), 총융청 책임자이자 장희빈의 오빠였던 장희재는 청나라와의 무역을 통해 얻은 은 1만 냥을 구리로 바꾸어 주전 재료로 사용하겠다고 보고하기도 했다.[32]
국가는 주화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금을 돈으로 내도록 하는 금납화 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시전 상인들에게 3년간 무이자로 돈을 빌려주어 시장에서 실제 사용되도록 유도했다.[27] 상평통보는 서울과 평안도 지방에서 먼저 유통되기 시작하여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었다.[30]
그러나 상평통보의 발행과 유통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초기에는 급격한 통화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했고, 이후에는 화폐가 유통되지 않고 쌓이는 전황 현상과 사전(私錢) 유통 문제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발행 초기 문제점과 전황, #발행 기관 다원화와 사전 문제 참조)
상평통보는 1894년에 주조 발행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이후 1905년 이후 조선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시행된 '화폐정리사업'에 따라 점차 회수되었고, 제일은행 한국지점을 통해 일본 제국이 발행한 화폐로 대체되었다. 이때 상평통보 10문은 일본 화폐 1전으로 교환되었다.
3. 1. 발행 초기 문제점과 전황
숙종의 의지로 상평통보가 본격적으로 발행되기 시작했지만, 초기 유통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국가는 세금을 돈으로 내도록 하는 금납화를 추진하고, 시전 상인들에게 무이자로 돈을 빌려주는 등[27] 유통을 장려했으나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혔다.발행 초기, 급격히 늘어난 동전 공급량은 당시 화폐량과 물가의 관계(인플레이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조선 사회에 물가 상승이라는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문제로 인해 1698년, 상평통보의 주조는 다시 금지되었고 이후 30년 동안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다.[33]
주조가 재개되고 상평통보가 화폐로 자리를 잡은 뒤에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주화는 교환 수단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재산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사람들이 동전을 사용하기보다는 재산 축적의 수단으로 삼아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발행된 양에 비해 실제 시장에서 유통되는 동전의 양이 부족해지는 전황이 발생했으며, 이는 다른 여러 요인과 겹쳐 18세기 내내 조선 경제를 괴롭히는 고질적인 문제가 되었다.[34]
전황을 심화시킨 요인 중 하나는 위조화폐인 사전(私錢)의 유통이었다. 상평통보 발행처가 호조, 상평청 등 중앙 관청뿐 아니라 각 도의 감영까지 여러 곳으로 나뉘어[27] 발행되면서 국가의 통제가 어려웠고, 이 틈을 타 사사로이 동전을 만들어 유통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사전은 구리 함량이나 크기가 국가에서 발행한 관전(官錢)보다 떨어져 화폐 가치를 교란시켰다.[35] 숙종은 사전 주조를 금지하고[36] 동전 뒷면에 발행처와 주전소 기호를 넣어 관리하려 했으나[27]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결국 순조 대에 이르러서는 사사로이 만든 사전마저 유통을 용인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7]
또한, 상평통보 주조에 필요한 구리가 부족해지면서 국가가 공인한 관전의 품질마저 점차 저하되었다. 1752년(영조 28년)에는 기존보다 무게를 줄인 중형전을 발행했고, 5년 뒤에는 무게를 더 줄였으며, 순조 시기에는 이보다 더 작은 소형전이 발행되기에 이르렀다.[27][2] 이렇게 동일한 액면가의 주화 품질이 계속 나빠지자, 사람들은 실질 가치가 높은 예전 동전을 녹여 구리를 빼돌리는 훼전(毁錢) 행위를 하기 시작했다.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의 양을 더욱 부족하게 만들어 전황을 악화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되었다.[23]
정조는 호조에서만 상평통보를 독점 발행하도록 하여 주화 발행에 대한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하고자 했으나,[33] 순조 시기에 잦은 기근 구휼 등을 이유로 발행처는 다시 여러 곳으로 나뉘게 되었다.[33]
3. 2. 발행 기관 다원화와 사전 문제
1633년 상평통보(常平通宝)가 처음 주조될 때는 뒷면에 글자가 없었으나, 1678년부터는 발행 장소를 나타내는 글자 한 자를 추가하기 시작했다. 이 초기 상평통보는 고상평(古常平)이라 불리며 발행량이 적었다.1679년부터는 송전(宋銭)처럼 1개당 2문(文)의 가치를 지닌 절이전(折二銭)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발행되면서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신상평(新常平)이라고 부른다. 이 무렵부터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여 상평통보는 조선에서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하여 일본의 관영통보(寛永通宝)와 같은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신상평 절이전의 뒷면에는 발행소를 나타내는 글자, 숫자 '이(二)', 천자문(千字文)의 일부 글자(주로 처음 40~50자), 기호 등이 조합되어 새겨져 종류가 다양해졌다.
1752년에는 크기가 약간 작은 절이전이 대량으로 주조되었으며, 뒷면 표기는 이전과 유사하게 다양했다. 다만 '이(二)' 이외의 다른 한자 숫자도 사용되었다. 1778년부터는 액면가 1문의 소평전(小坪銭) 역시 대량으로 주조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 소평전은 뒷면 표기가 더욱 복잡해져, 발행소 글자, 숫자(주로 1부터 10까지 사용되었으나 일부는 10을 넘기도 함), 천자문 글자(없는 경우도 많음), 기호 등이 조합되어 그 종류가 매우 많아졌다. 한 설에 따르면 1만 종류 이상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존하는 것은 대략 6~7천 종류로 여겨진다. 흔히 '엽전'이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이 소평전이다.
이처럼 상평통보 뒷면에 발행 기관이나 주조 정보를 표시하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여하는 주조 기관이 다양해지고 그 표기 방식 또한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4. 주조
인조는 즉위 초부터 주화 발행에 의지를 보여 호조에서 조선통보를 발행하도록 했으나, 정묘호란 발발로 중단되었다.[27] 이후 1633년(인조 11년) 상평청(常平廳)에서 상평통보를 발행했지만[3] 널리 유통되지는 못했다.[27] 이때 만들어진 상평통보는 1문의 가치를 지닌 당일전(當一錢)인 초주단자전(初鑄單字錢)이었다.[28] 상평청은 본래 곡물과 직물을 비축하여 흉년에 대비하는 구휼 기관이었기에 물가 조절 기능이나 중앙은행 역할은 하지 않았다.[29] 그러나 당시 일본 구리(왜동)가 매년 수만 근씩 유입되는 등[3] 이전 시기보다 주화 제작 여건은 개선된 상태였다.
숙종 역시 즉위 초부터 주화 유통에 적극적이어서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다. 처음에는 청나라 동전을 수입해 사용하려 했으나, 청이 동전 유출을 엄격히 금지하여 자체 제작을 결정했다.[30] '상평(常平)'은 '상시평준(常時平準)'의 줄임말로 늘 일정한 가치를 유지한다는 뜻이며, '통보(通寶)'는 예로부터 화폐를 가리키는 말이었다.[31]
발행 초기에는 호조, 상평청, 진휼청, 어영청, 사복시, 훈련도감, 수어청 등 여러 관청에서 주전을 담당했다. 이 중 어영청 같은 군영이 포함된 것은 상평통보 발행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군사 재원 확보였음을 보여준다.[30] 각 발행 기관은 필요한 재원과 수량을 국왕에게 보고하고 승인받았지만, 재원 확보는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했다. 예를 들어, 1692년(숙종 18년) 총융청 책임자이자 장희빈의 오빠인 장희재는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얻은 은 1만 냥을 구리로 바꿔 주전 재료로 쓰겠다고 보고하기도 했다.[32]
주화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는 세금을 돈으로 내도록 하는 금납화를 추진하고, 시전 상인들에게 돈을 3년간 무이자로 빌려주어 시장에서 사용되도록 유도했다.[27] 상평통보는 서울과 평안도 지방에서 먼저 유통되기 시작해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었다.[30]
하지만 초기 유통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조선은 화폐 유통량과 물가 상승의 관계, 즉 인플레이션 개념을 알지 못했다. 초기에 동전 공급이 급증하자 물가가 급등하는 충격을 겪었고, 이 때문에 1698년 상평통보 주조는 다시 금지되어 이후 30년간 중단되기도 했다.[33] 이후 상평통보가 화폐로 정착하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금속 화폐는 교환 가치 외에 재산 가치도 지녀 축재 수단으로 여겨지면서, 발행량에 비해 실제 유통되는 양이 부족해지는 전황이 나타난 것이다. 이 문제는 다른 요인들과 겹쳐 18세기 내내 조선 경제를 괴롭혔다.[34]
정조는 호조에서만 상평통보를 발행하도록 하여 국가 통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순조 시기 잦은 기근 대처 등을 이유로 발행처는 다시 여러 곳으로 늘어났다.[33] 중앙 관청 외에 각 도의 감영에서도 상평통보를 발행했다.[27] 이렇게 발행처가 다양해지자 사사로이 상평통보를 찍어내는 사전(私錢), 즉 위조화폐 관리가 어려워졌다. 사전은 구리 함량이나 크기가 국가에서 발행한 관전(官錢)과 달라 화폐 가치를 혼란시켰다.[35] 숙종은 사전 주조를 금지하고[36] 상평통보 뒷면에 발행처와 주전소 기호를 넣어 관리하려 했지만 효과는 미미했고, 순조 대에는 결국 사전 유통마저 용인하게 되었다.[27]
한편, 상평통보 주조에 필요한 구리가 부족해지자 국가가 공인하는 관전마저 점차 품질이 떨어졌다. 1752년(영조 28년)에는 기존 당이전(當二錢)의 무게를 1전 7푼으로 줄인 중형전이 발행되었고, 5년 뒤에는 다시 1전 2푼으로 줄였다. 순조 시기에는 이보다 더 작은 소형전도 발행되었다.[27][2] 액면가는 같지만 실질 가치가 높은 옛 동전을 녹여 구리를 빼돌리는 훼전(毁錢) 행위가 성행했고, 이는 주화 유통량 부족, 즉 전황을 심화시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되었다.[23]
4. 1. 금속 성분
(내용 없음)4. 2. 다양한 종류와 기호
1633년 처음 상평통보를 주조했을 때는 뒷면에 글자가 없었으나, 1678년부터는 발행한 곳을 나타내는 글자 한 자를 뒷면에 넣기 시작했다. 이 두 종류의 초기 상평통보를 통틀어 古常平|고상평일본어이라고 부르는데, 발행 수량과 현재 남아있는 수량이 모두 적다. 특히 뒷면에 글자가 없는 것은 극히 드물다.1679년부터는 1개당 2문(文)의 가치를 지닌 宋銭|송전일본어 제도에서 있었던 것처럼, 折二銭|절이전일본어이 상평통보의 돈 이름으로 발행되었는데, 그 수량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이후의 상평통보를 新常平|신상평일본어이라고 부른다. 이 시기부터 조선에서는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하면서 상평통보가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하여, 당시 일본의 관영통보와 비슷한 위상을 갖게 되었다. 신상평 절이전의 뒷면에는 발행 관청을 나타내는 글자, 한자 숫자 '이(二)', 천자문의 초기 40~50자, 그리고 다양한 기호 등이 조합되어 새겨져 있어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1752년에는 크기가 약간 작은 절이전이 대량으로 주조되어 발행되었다. 이 동전의 뒷면 역시 이전 절이전과 비슷하게 다양한 표기가 있지만, 숫자 '이(二)' 외에 다른 한자 숫자도 사용되었다.
1778년부터는 1문의 가치를 지닌 小平銭|소평전일본어 역시 대량으로 만들어져 널리 사용되었다. 소평전은 뒷면의 종류가 엄청나게 다양한데, 발행 관청을 나타내는 글자, 한자 숫자(기본적으로 1부터 10까지 사용되었으나 일부 10을 넘는 경우도 있다), 천자문(새겨지지 않은 경우도 많음), 그리고 여러 기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기록에 따르면 소평전의 종류는 1만 가지가 넘는다고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약 6천~7천 종류 정도로 여겨진다.
상평통보 소평전은 흔히 "엽전"이라고도 불린다.
5. 가치 변동
숙종 시기 발행된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이름에 '상평(常平)', 즉 상시평준(常時平準)의 의미를 담아 늘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냈다.[31] 그러나 실제 유통 과정에서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했다.
발행 초기, 조선 정부는 화폐 유통량 증가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인플레이션의 개념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동전 공급이 급격히 늘어나자 물가가 오르는 충격을 겪게 되었고, 결국 1698년에는 상평통보 주조를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약 30년간 주조가 중단되기도 했다.[33]
주조 재개 이후 상평통보가 화폐로 자리 잡으면서는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주화는 교환 수단으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재산으로서의 가치도 지녔기 때문에, 사람들이 동전을 사용하지 않고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의 양이 부족해지는 전황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는 18세기 조선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로 작용했다.[34]
정조는 호조에서만 상평통보를 발행하도록 하여 주화 발행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순조 대에 이르러 잦은 기근 구휼 등을 이유로 다시 여러 관청에서 주화를 발행하게 되었다.[33] 중앙 관청 외에도 각 도의 감영 등 발행처가 다양해지면서[27], 국가의 허가 없이 사사로이 만들어지는 사전(私錢)의 관리 문제도 심화되었다. 일종의 위조화폐인 사전은 구리 함량이나 크기가 정식 관청에서 만든 관전(官錢)과 달라 화폐 가치를 혼란시켰다.[35] 숙종은 사전 주조를 금지하고 동전 뒷면에 발행처와 주전소 기호를 넣어 관리하려 했으나[36]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순조 대에는 결국 사전의 유통마저 용인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7]
한편, 주조에 필요한 구리가 부족해지면서 국가가 발행하는 관전의 품질도 점차 저하되었다. 1752년(영조 28년)에는 기존 당이전의 무게를 줄인 중형전이 발행되었고, 5년 뒤에는 무게를 더 줄였다. 순조 시기에는 이보다 더 작은 소형전까지 등장했다.[27][2] 이렇게 액면가는 같지만 실질 가치가 다른 동전들이 혼용되자, 사람들은 가치가 높은 예전 동전을 녹여 구리를 빼돌리는 훼전(毁錢) 행위를 하기도 했다. 이는 시중의 동전 부족, 즉 전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23]
6. 당백전, 당오전
당백전은 1866년 흥선대원군이 부족한 재정을 메우고 경복궁 중건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한 화폐이다.[7] 이름처럼 액면가는 상평통보 100배(100문)였지만, 실제 가치는 기존 상평통보(당이전)의 3~5배, 또는 소평전의 5~6배 정도의 구리만 사용되어 만들어졌다. 뒷면에는 발행처를 뜻하는 '戸'와 함께 '大當百'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하지만 명목 가치와 실제 가치의 큰 차이 때문에 시장의 신뢰를 얻지 못했고, 극심한 물가 상승만 일으키는 등 경제에 큰 혼란을 가져왔다. 결국 발행 2년 만에 통용이 중지되고 회수되었다.[7]
이후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직접 통치하던 1883년에는 개항 이후의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당오전이 발행되었다.[8] 당오전은 액면가 5문의 화폐로, 뒷면에는 '當五'라는 글자와 발행처, 일련번호를 뜻하는 글자들이 새겨졌다. 그러나 당오전 역시 실제 가치는 소평전의 2배 정도에 불과하여 당백전과 마찬가지로 물가 상승 등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만 미쳤다. 결국 당오전도 1895년에 통용이 중지되고 회수되었다.[8] 이처럼 준비 없이 무리하게 추진된 고액 화폐 발행 정책의 연이은 실패는 조선 말기 경제 혼란을 더욱 깊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7. 폐지
당오전 발행의 실패 이후 조선 정부는 1892년(고종 29년) 은본위제 도입을 목표로 신식화폐조례를 선포하고[50] 신식 화폐 발행을 시도하였다. 1894년(고종 31년)에는 신식화폐발행장정을 통해 은화를 법정화폐로 지정했으나[51], 화폐 유통의 경제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백동화를 남발하면서 화폐 정책은 다시 혼란에 빠졌다.[49] 이러한 혼란은 결국 일본이 경제 안정을 명분으로 개입하여 1904년 화폐정리사업을 강행하는 빌미를 제공했고, 이는 조선의 중요한 주권 중 하나인 화폐 발권 권한을 빼앗기는 결과로 이어졌다.[11]
상평통보는 1894년에 주조 발행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나, 신식 화폐 발행 이후에도 보조화폐로서 계속 통용되었다.[51] 그러나 1904년 일본의 간섭 아래 시작된 화폐정리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회수 및 폐기되기 시작했다.[11] 1905년 통감부가 설치된 이후에는 조선 고유의 화폐 발행이 완전히 금지되었고, 상평통보는 제일은행 한국지점을 통해 일본 제국이 발행한 화폐로 점차 대체되었다. 당시 교환 비율은 상평통보 10문당 일본 화폐 1전이었다.
참조
[1]
실록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돈을 만들어 사용하게 하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null
[2]
백과사전
상평통보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3]
실록
호조에서 화폐 유통에 대해 아뢰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null
[4]
백과사전
화폐단위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5]
뉴스
"[이승종의 환율이야기]"한 푼만 줍쇼…" 한 푼은 얼마일까?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5-07-05
[6]
박물관
상평통보 당이전
https://www.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null
[7]
웹사이트
당백전(當百錢) 당백전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8]
백과사전
당오전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9]
백과사전
신식화폐조례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10]
백과사전
신식화폐발행장정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11]
백과사전
화폐정리사업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12]
웹사이트
건원중보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13]
웹사이트
저화(楮貨) 저화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14]
백과사전
조선통보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15]
웹사이트
화폐의 유통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16]
서적
조선시대사 1 - 국가와 세계
null
푸른역사
2015
[17]
실록
박서생이 시행할 만할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null
[18]
논문
조선 초기 화폐 유통의 과정과 그 성격 - 저화 유통을 중심으로 -
https://www.kci.go.k[...]
조선시대사학보
2009
[19]
웹사이트
추포(麤布) 추포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20]
웹사이트
면포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21]
웹사이트
금속화폐 시행론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22]
논문
孝宗朝 行錢事目과 行錢策, 성과와 한계
https://www.kci.go.k[...]
동양고전연구
2018
[23]
논문
조선 후기 鑄錢정책과 財政활용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2014
[24]
실록
거제에서 구리가 산출되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null
[25]
논문
거제 장안 동광상의 광물, 유체포유물 및 동위원소 연구
https://text.cnu.ac.[...]
충남대학교
2000
[26]
웹사이트
왜동(倭銅) 왜동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27]
웹사이트
상평통보 주조 - 엽전 한 닢, 가벼운 무게로 세상을 바꾸다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28]
박물관
상평통보 당일전
https://museum.mokpo[...]
폭포자연사박물관
null
[29]
웹사이트
상평청(常平廳) 상평청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30]
웹사이트
상평통보(常平通寶) 상평통보
http://dh.aks.ac.kr/[...]
실록위키
null
[31]
박물관
상평통보
https://www.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null
[32]
실록
총융청의 군수 마련 방안에 대해 장희재가 아뢰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null
[33]
웹사이트
동전의 보급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null
[34]
백과사전
전황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null
[35]
웹사이트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위조 화폐 제작업자, 도주자
https://ncms.ncultur[...]
지역N문화
null
[36]
웹사이트
상평통보
https://whm.wonju.go[...]
[37]
뉴스
10원짜리 동전 녹여 어떻게 20억원을 벌었을까요?
https://www.hani.co.[...]
한겨레
2014-11-19
[38]
웹사이트
냥
https://encykorea.ak[...]
[39]
간행물
돈의 주조에 대해 의논하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1798-03-16
[40]
논문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과 미세조직을 통한 재료학적 특성 연구
https://scienceon.ki[...]
2015
[41]
웹사이트
조선통보
https://museum.seoul[...]
[42]
웹사이트
우리나라의 화폐-조선
https://www.bok.or.k[...]
[43]
웹사이트
creounity.com
http://creounity.com[...]
[44]
웹사이트
화폐박물관 제1전시실
https://museum.komsc[...]
[45]
웹사이트
조선후기 화폐가치가 올라 물가가 하락했으면 민중들은 더 좋지 않았을까요?
https://eiec.kdi.re.[...]
[46]
웹사이트
돈의 가치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47]
논문
조선후기 은광 개발 억제의 배경과 실상
https://www.kci.go.k[...]
2019
[48]
뉴스
식량난 ‘해결사’ 질소고정 방법
https://www.sisajour[...]
시사저널
1994-05-05
[49]
웹사이트
일본 제일은행권의 발행과 한국 화폐 주권의 침탈
http://contents.hist[...]
한국문화사
[50]
웹사이트
신식화폐조례
https://encykorea.ak[...]
[51]
웹사이트
신식화폐발행장정
https://encykorea.a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