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생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생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면으로, 신라 시대 생서량군의 행정 중심지였다. 조선 시대에는 수군만호영이 설치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동첨절제사의 직할지가 되었다. 1906년 외남면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서생면, 외남면, 온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간절곶, 진하 해수욕장 등 관광 명소가 있다. 최근에는 부산 기장군 편입 문제를 두고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주군 - 언양군
    언양군은 신라시대 거지화현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 현양으로 개칭, 조선시대 언양현을 거쳐 언양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울산군에 통합되며 소멸된 경상남도의 옛 군이다.
  • 울주군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서생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종류
위치울산광역시 울주군
면적36.9 km²
인구 (2022년)8650명
지리
위치울주군 남동쪽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0개의
법정리신암리, 명산리, 나사리, 화산리, 대송리, 용리, 서생리, 진하리, 화정리, 위양리
주요 시설
면사무소 위치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해맞이로 894
홈페이지서생면 행정복지센터
기타
우편 번호689-880

2. 역사

신라 시대에는 현재의 서생면, 온산읍, 온양읍 지역을 관할하는 생서량군(生西良郡)의 행정 중심지였다.[12] 757년에 생서량군은 동안군(東安郡)으로 개칭되었고, 우풍현(虞風縣, 현재의 웅촌면양산시의 웅상 지역)은 동안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13]

고려 시대에는 동안군이 현으로 격하되어 흥려부(현재의 울산)에 편입되었다.[13]

조선 초기 이 지역 동쪽의 서생포에는 수군만호영(西生浦 水軍萬戶營)을 두었다가 임진왜란 후 수군만호를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로 승격하였다.[13] 고종 32년(1895년)에 각 도의 병영, 수영이 폐지되면서 동첨절제사의 직할지였던 지역에 서생면을 설치하였다.[13]

1906년 9월 24일 온남면 일부와 서생면 일부가 외남면으로 분리되어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면사무소는 연산리(지금의 명산리)에 두었다.[13]

1912년 4월 1일 양산군 외남면이 울산군으로 환원되었다.

1914년 4월 1일 서생면, 외남면과 온남면 수마동(禾麻洞)이 통합하고 10개리로 개편하였다.[22] 면사무소는 서생리에 두었다가 뒤에 신암리로 이전하였다.

개편 전개편 후
서생면 성내동(城內洞), 외리동(外里洞)서생리(西生里)
서생면 구정동(九亭洞), 온남면 수마동(禾麻洞)화정리(禾亭里)
서생면 진하동(鎭下洞)진하리(鎭下里)
서생면 대륙동(大陸洞), 송정동(松亭洞), 외남면 평동(平洞)대송리(大松里)
외남면 신리동(新里洞), 운곡동(雲谷洞), 군령동(軍令洞)신암리(新岩里)
외남면 강월동(江月洞), 연산동(連山洞), 용동 일부명산리(明山里)
외남면 화산동(禾山洞)화산리(禾山里)
외남면 위동(渭洞), 양암동(良岩洞)위양리(渭陽里)
외남면 용동(龍洞)용리(龍里)
외남면 나사동(羅士洞)나사리(羅士里)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서생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서생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서생면이 되었다.[23]

1963년 1월 1일 동래군에 편입되었다.[24]

1973년 1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면서 양산군에 편입되었다.[25]

1983년 2월 15일 다시 울주군으로 환원되었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서생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서생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이 되었다.

2. 1. 고대

신라 시대에는 현재의 서생면, 온산읍, 온양읍 지역을 관할하는 생서량군(生西良郡)의 행정 중심지였다.[12] 757년, 생서량군은 동안군(東安郡)으로 개칭되었고, 우풍현(虞風縣, 현재의 웅촌면양산시의 웅상 지역)은 동안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13] 이 지역은 삼국 시대에 생서랑(生西郎) 또는 생서량(生西良)이라고 불렸으며, 지명은 "경주의 동쪽에 있는 "으로 해석된다. 경주의 동남 해안으로, 지형적 특성상 경주의 외곽을 지키기 위한 군사 기지로서의 성격이 강했다.[12]

고려 시대에는 동안군이 현으로 격하되어 흥려부(현재의 울산)에 편입되었다.[13]

울산 신암리 유적은 빗살무늬 토기 시대(신석기 시대)의 유적이며, 빗살무늬 토기와 융기문 토기가 발견되었다. 대송리의 서생초등학교 대송분교 부근에서도 신석기 시대 토기 조각과 청동기 시대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다(대송리 신석기 시대 유적).[11] 대송리에서는 복골(卜骨)로 보이는 유물과 많은 삼국 시대 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대송리 삼국 시대 생활 유적).[14]

2. 2. 조선 시대

서생면 지역은 신라시대 '''생서량군'''(生西良郡)의 치소가 있었던 지역으로, 지금의 서생면, 온산읍, 온양읍 지역을 관할하였다. 757년에 '''동안군'''(東安郡)으로 개칭하고 '''우풍현'''(虞風縣, 현재의 웅촌면양산시 웅상지역)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흥려부(현재의 울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13]

조선 초기 이 지역 동쪽의 서생포에는 수군만호영(西生浦 水軍萬戶營)을 두었다가 임진왜란 후 수군만호를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로 승격하였다.[13] 임진왜란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가토 기요마사가 침입하여 서생포왜성을 쌓았고, 의 마귀 제독 등이 이를 공격했다. 일본군은 철수했다. 고종 32년(1895년)에 각 도의 병영, 수영이 폐지되면서 동첨절제사의 직할지였던 지역에 서생면을 설치하였다.[13]

임진왜란 이후 서생 지방은 구진, 진하, 북동, 남동이 수군 동첨절제사 지역이었고, 상독(현 화산), 강월, 연산, 위동, 양암, 용동, 운곡, 군령, 신리, 나사, 나해가 온남면 관할이었다.[13] 1894년 동첨절제사 직할지에 서생면을 두어 구진, 진하, 북동, 남동을 관할하게 했다.[13]

1906년 9월 24일 온남면 일부와 서생면 일부가 외남면으로 분리되어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면사무소는 연산리(지금의 명산리)에 두었다.[13] 성내리, 외리, 송정동, 대륙동 그 후 상독, 강월, 연산, 위동, 양암, 용동, 운곡, 군령, 신리, 나사, 나해, 평동 지역을 분리하여 외남면을 두고, 광무 10년 (1906년) 9월 24일, 칙령 49호의 시행에 따라 양산군에 소속시켰지만, 1910년에 다시 울주군으로 되돌렸다.[13]

1912년 4월 1일 양산군 외남면이 울산군으로 환원되었다.

1914년 4월 1일 서생면, 외남면과 온남면 수마동(禾麻洞)이 통합하고 10개리로 개편하였다.[22] 면사무소는 서생리에 두었다가 뒤에 신암리로 이전하였다.

개편 전개편 후
서생면 성내동(城內洞), 외리동(外里洞)서생리(西生里)
서생면 구정동(九亭洞), 온남면 수마동(禾麻洞)화정리(禾亭里)
서생면 진하동(鎭下洞)진하리(鎭下里)
서생면 대륙동(大陸洞), 송정동(松亭洞), 외남면 평동(平洞)대송리(大松里)
외남면 신리동(新里洞), 운곡동(雲谷洞), 군령동(軍令洞)신암리(新岩里)
외남면 강월동(江月洞), 연산동(連山洞), 용동 일부명산리(明山里)
외남면 화산동(禾山洞)화산리(禾山里)
외남면 위동(渭洞), 양암동(良岩洞)위양리(渭陽里)
외남면 용동(龍洞)용리(龍里)
외남면 나사동(羅士洞)나사리(羅士里)


2. 3. 일제 강점기

1906년 9월 24일, 온남면의 일부와 서사량면의 일부가 양산군의 외남면에 편입되었고, 면사무소는 연산리(현 명산리)에 위치했다.[2] 1912년 4월 1일, 외남면이 양산군에서 울산군으로 이관되었다.[2]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년 12월 29일)에 의거하여 인근 외남면, 온남면의 화마동과 수마동이 서생면에 통합되어 10개 마을(화정, 서생, 진하, 대송, 나사, 명산, 화산, 위양, 용리, 신암)을 관할하게 되었다.[2][13] 면사무소는 서생리에 위치했으며, 이후 신암리로 이전했다.[2]

2. 4. 대한민국

신라시대에 서생면 지역은 '''생서량군'''(生西良郡)의 치소였으며, 온산읍, 온양읍 지역을 관할하였다. 757년에 '''동안군'''(東安郡)으로 개칭하고 '''우풍현'''(虞風縣, 현재의 웅촌면과 양산시 웅상지역)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흥려부(현재의 울산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조선 초기 서생포에 수군만호영(西生浦 水軍萬戶營)을 두었다가 임진왜란 후 수군만호를 수군동첨절제사(水軍同僉節制使)로 승격하였다. 고종 32년(1895년)에 각 도의 병영, 수영이 폐지되면서 동첨절제사의 직할지였던 지역에 서생면을 설치하였다.

1906년 9월 24일 온남면 일부와 서생면 일부가 외남면으로 분리되어 양산군에 편입되었다. 면사무소는 연산리(지금의 명산리)에 두었다. 1912년 4월 1일 양산군 외남면이 울산군으로 환원되었다. 1914년 4월 1일 서생면, 외남면과 온남면 수마동(禾麻洞)이 통합하고 10개리로 개편하였다.[22] 면사무소는 서생리에 두었다가 뒤에 신암리로 이전하였다.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서생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서생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서생면이 되었다.[23] 1963년 1월 1일 동래군에 편입되었다.[24] 1973년 1월 1일 동래군이 폐지되면서 양산군에 편입되었다.[25] 1983년 2월 15일 다시 울주군으로 환원되었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서생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서생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서생면은 10개 법정리와 21개 행정리, 69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21] 2013년 2월 28일 기준으로 인구는 3,886세대 8,558명이다. 면소재지는 신암리이다.

법정리한자세대인구
신암리新巖里1,0792,419
명산리明山里167386
화산리禾山里420918
위양리渭陽里204468
용리龍里82181
서생리西生里230542
화정리禾亭里90193
진하리鎭下里9992,077
대송리大松里296677
나사리羅士里319697
서생면西生面3,8868,558


4. 지리

서생면은 남쪽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서쪽으로 울주군 온양읍, 북쪽으로 울주군 온산읍과 접하며, 동쪽은 동해(울산만)에 닿아 있다. 울산광역시 최남단에 위치하며,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간절곶이 있다.[6]

전반적으로 해발 100~200m의 구릉이 많으며, 용곡산 능선이 동서로 뻗어 있다. 서부에는 효암강이 남쪽으로 흐르고, 북동쪽 끝에는 회야강이 동쪽으로 흘러 하구에 평야를 형성한 뒤 바다로 흘러든다.[6][7]

5. 교통

철도는 면 서부에 동해선이 지나가며, 화산리에 서생역이 있다. 동해선 광역철도가 선다. 주요 도로로는 부산광역시에서 울산광역시를 거쳐 강원도 고산군까지 연결되는 국도 제31호선이 있다.

5. 1. 도로

국도 제31호선부산광역시에서 울산광역시를 거쳐 강원도 고산군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서생면의 주요 도로이다.

5. 2. 철도

동해선이 서생면의 서부를 지나며 화산리에 서생역이 있는데 동해선 광역철도가 선다.

6. 산업

쌀과 채소 생산이 활발하며, 특산물로는 (서생배)와 양식 다시마(서생돌미역)[6], 미나리, (서생란한국어), 팽이버섯이 있다[8]

명산리(明山里)의 강월마을(江月村)・신암리(新岩里)의 비학(飛鶴)・신리(新里) 일대에는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6. 1. 농업

서생면에서는 쌀과 채소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산물로는 (서생배), 양식 다시마(서생돌미역)[6], 미나리, (서생란), 팽이버섯이 있다.[8]

6. 2. 에너지

서생면은 쌀과 채소 생산이 활발하며, 특산물로는 (서생배), 양식 다시마(서생돌미역)[6], 미나리, (서생란), 팽이버섯이 있다.[8]

명산리(明山里)의 강월마을(江月村)・신암리(新岩里)의 비학(飛鶴)・신리(新里) 일대에는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7. 관광

진하 해수욕장이나 명선도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특히 간절곶은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신년 행사가 인기를 끌어 이를 위한 관광 열차가 운행될 정도로 성황을 이룬다.[7] 면내의 문화재로는 서생포 만호진성 (울산 기념물 35), 서생포 왜성 (울산 문화재자료 8), 서생 나사봉수대 (울산 기념물 15), 창상표당지 등이 있다.[6]

7. 1. 문화재

진하 해수욕장이나 명선도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특히 간절곶은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신년 행사가 인기를 끌어 이를 위한 관광 열차가 운행될 정도로 성황을 이룬다.[7] 면내의 문화재로는 서생포 만호진성 (울산 기념물 35), 서생포 왜성 (울산 문화재자료 8), 서생 나사봉수대 (울산 기념물 15), 창상표당지 등이 있다.[6]

8. 교육

8. 1. 초등학교

명산초등학교, 서생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가 있다.

8. 2. 중학교

서생중학교

8. 3. 대학교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는 서생면에 위치한 대학교이다.

9. 부산 기장군 편입 문제

9. 1. 행정구역 변경 절차

울산광역시 울주군 주민투표 조례에 따르면 주민투표 실시를 청구할 경우 주민투표청구권자 총 수의 10% 이상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29] 이 절차를 거쳤다고 해도 투표를 통한 행정구역 변경은 서생면 주민들만 찬성한다고 가능한 일도 아니다. 서생면 주민이 아닌 다른 울주군 주민들도 공감해야 하고, 다른 지역 주민들이 세수 비중이 높은 서생면의 이탈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미지수다.[30]

주민투표를 통해 행정구역을 변경하려면 투표권자 총수 3분의 1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유효투표의 절반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약 18만명으로 추산되는 울주군 유권자 수를 볼 때 서생면이 기장군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울주군 유권자 6만명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이 중 3만명 이상 찬성해야만 가능하다.

합의가 불발되면 주민투표에 부쳐야 하는데, 주민투표의 경우 투표 참여율이 저조한 경우가 많아 최소 투표율 요건을 채우기조차 어렵다.[28] 사실상 지방의회의 합의로 문제를 해결해내지 못하는 한 서생면 주민들의 요구가 실현되긴 어려운데, 더욱이 초등학교 통학 문제 수준이었던 수원과 용인 사례보다 훨씬 더 고려할 사안이 많고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고 기장군민들의 의견이 더욱 중요시하다.

9. 2. 주민투표의 어려움

합의가 불발되면 주민투표에 부쳐야 하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다. 주민투표는 투표 참여율이 저조하여 최소 투표율 요건을 채우기조차 어렵다.[28]

울산광역시 울주군 주민투표 조례에 따르면, 주민투표 실시를 청구하려면 주민투표청구권자 총수의 10% 이상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29]

이 절차를 거쳐도 투표를 통한 행정구역 변경은 서생면 주민들만의 찬성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서생면 주민이 아닌 다른 울주군 주민들도 공감해야 하며, 다른 지역 주민들이 세수 비중이 높은 서생면의 이탈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미지수다.[30]

주민투표를 통해 행정구역을 변경하려면 투표권자 총수 3분의 1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유효투표의 절반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울주군 유권자 수를 약 18만 명으로 추산할 때, 서생면이 기장군에 편입되려면 울주군 유권자 6만 명 이상이 투표에 참여하고 이 중 3만 명 이상이 찬성해야만 가능하다.

사실상 지방의회의 합의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서생면 주민들의 요구가 실현되기 어렵다. 더욱이 초등학교 통학 문제 수준이었던 수원용인 사례보다 고려할 사안이 많고 넘어야 할 산이 많으며, 기장군민들의 의견이 더욱 중요하다.

9. 3. 용인-수원 행정구역 조정 사례

지방자치법 제4조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의 명칭이나 구역을 변경하거나, 폐지, 설치, 분리, 통합할 때에는 관계 지방자치단체의 의회(지방의회)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주민투표법 제8조에 따라 주민투표를 한 경우에는 예외이다.[26] 지방의회가 합의 조정하는 것이 주민투표보다 의견을 모으기 쉽다.

2023년 주거지역의 행정구역을 지방의회 합의로 변경한 첫 사례가 있다. 용인시 구역에 있던 C아파트 주민들은 자녀들의 통학 문제를 이유로 수원시로 편입을 요청했다. C아파트에서 도보 4분 거리에 수원시 관할 초등학교가 있었지만, 행정구역이 용인시였기 때문에 20분 이상 걸리는 용인시 관할 초등학교로 통학해야 했다. 2023년 9월 조정이 합의되어 C아파트는 수원시로 편입되었는데, 이는 공식적인 논의가 시작된 이후 7년 만의 일이었다.[27]

9. 4.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3-02-04
[2] 웹사이트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상남도령 제2호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3-02-05
[3] 웹사이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제정·개정문 https://www.law.go.k[...] 2023-02-05
[4] 웹사이트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https://www.law.go.k[...] 2023-02-05
[5] 웹사이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https://www.law.go.k[...] 2023-02-05
[6] 웹사이트 doopedia http://www.doopedia.[...] 斗山 2012-09-22
[7] 서적 땅이름 울산사랑(울주군편) http://uljukang.org/[...] 정도
[8] 웹사이트 울주군 서생면 http://seosaeng.ulju[...] 2012-09-23
[9] 웹사이트 울주군 서생면 http://seosaeng.ulju[...] 2012-09-23
[10] 웹사이트 울주군 서생면 http://seosaeng.ulju[...] 2012-09-23
[11] 웹사이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http://www.ccp.go.kr[...] 2012-09-24
[12]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2-09-22
[13] 웹사이트 울주군 서생면 http://seosaeng.ulju[...] 2012-09-23
[14] 웹사이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http://www.ccp.go.kr[...] 2012-09-24
[15]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2-09-23
[16]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2-09-23
[17]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2-09-23
[18]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http://www.law.go.kr[...] 2012-09-23
[19]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전라남도광양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2-09-23
[20]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2-09-23
[21] 웹사이트 울주군 서생면 http://seosaeng.ulju[...] 2012-09-24
[22] 문서 경상남도령 제2호
[23] 문서 법률 제1068호
[24] 문서 법률 제1173호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25] 문서 법률 제2597호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년 3월 12일)
[26] 뉴스 부산 기장군에 편입하려는 울산 서생면 주민들 왜?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20-02-14
[27] 뉴스 울주군 서생면, 부산 기장군 편입 요구 본격화 https://www.news1.kr[...] 뉴스1코리아 2020-02-10
[28] 뉴스 "울산 싫다, 부산으로 바꿔달라" 원전 4기 있는 서생면의 분노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2-17
[29] 뉴스 "울산 말고 부산 기장군 될래요" 서생면 주민들의 집단행동, 왜? https://m.post.naver[...] 네이버 포스트 2020-02-18
[30] 뉴스 서생면 주민..부산 기장군 편입 원한다 https://usmbc.co.kr/[...] 울산MBC 2020-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