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한은 4세기 중국의 오호 십육국 시대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298년 이특이 익주로 들어온 것을 시작으로, 이웅이 304년 성도왕을 칭하며 건국했다. 이후 대성으로 국호를 바꾸고 도교를 장려하며 안정적인 통치를 이어갔으나, 이웅 사후 내분과 폭정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338년에는 국호를 한으로 변경했으나, 347년 동진의 환온에게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성한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호 | 성 (304–338), 한 (338–347) |
통칭 | 성한 |
종류 | 제국 |
정치 체제 | 군주제 |
존속 기간 | 304년 ~ 347년 |
건국 | 이웅의 왕위 주장 (304년) |
주요 사건 | 이웅의 황제 즉위 (306년) |
국호 변경 | 한으로 국호 변경 (338년) |
멸망 | 이세의 죽음 (361년) |
이전 | 서진 |
이후 | 동진 |
![]() | |
수도 | 성도 |
공용어 | 파촉어 |
통화 | 중국 동전 |
통치자 | |
황제 | 이웅 (304–334) 이반 (334) 이기 (334–338) 이수 (338–343) 이세 (343–347) |
역사 | |
선행 사건 | 이특의 연호 "건초(建初)" 선포 (303년) |
후행 사건 | 이세의 사망 (361년)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중국 |
2. 역사
298년 이특이 진주 산하 6군의 유민들을 이끌고 익주에 들어왔다.[2] 303년 성도 일부를 장악하고 독립 세력을 구축했으나 곧 전사했고, 이류·이웅이 뒤를 이어 12월 성도를 함락하고 익주를 장악했다. 304년 10월 이웅은 부하들의 추대로 성도왕에 즉위했고, 306년 6월 황제에 즉위해 국호를 '''대성'''(大成)이라 정했다.[5]
이웅은 범장생을 승상으로 삼고 법을 간소화하는 등 현명한 정치를 펼쳐 30년 가까이 안정된 평화를 누렸다. 그러나 형의 아들 이반을 후계자로 정해 아들들의 불만을 샀다. 334년 이웅 사후 이반이 즉위하자 곧 이웅의 아들 이기가 반정을 일으켜 이반을 죽이고 즉위했다. 이기는 폭정을 펼쳐 성나라 국력을 쇠퇴시켰다.
338년 이기의 숙부 이수가 이기의 폭정에 위협을 느껴 반정을 일으켜 이기를 폐위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이수는 봉국명을 따라 국호를 한(漢)으로 고쳤다. 이수는 즉위 초 이웅을 본받아 관대한 정치를 펼치고 검소함을 추구해 촉(蜀)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려 했다. 그러나 후조(後趙)에 사신으로 갔던 이들이 석호의 위세와 수도 업의 번화함을 전하자, 석호를 모방해 가혹한 형벌을 시행하고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여 백성들을 피폐하게 만들었다.[2] 이처럼 이수는 사치와 폭정을 일삼아 성한의 국력을 크게 쇠퇴시켰고, 343년 뒤를 이은 이세 역시 폭정을 일삼았다.
347년 동진 환온의 공격으로 성한은 멸망했다.
2. 1. 건국 배경
이특은 파 저족(巴氐族) 출신으로, 조조에게 귀순하여 북방으로 이주하였다.[1] 그의 부족은 원래 현재 쓰촨성 난충시에 위치한 바시군(巴西郡) 출신이었다.[1] 조조가 한중군(漢中郡)을 정복했을 때, 이특의 아버지 이호(李虎)는 가족을 이끌고 항복하여 뤼에양현(略陽縣)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지역 디족(氐族)과 섞였다.[2] 이들은 바-디(巴氐)로 알려졌는데, "바(巴)"는 그들의 조상의 고향을 의미했다.[2]서진 말기, 제만년(齊萬年)이 서진에 반란을 일으키면서 기근이 계속되어 관중(關中) 지역이 황폐해졌다.[2] 이로 인해 약양(略陽)·천수군(天水郡) 등 6개 군에서 많은 유민이 발생했고, 이특은 이들을 이끌고 남쪽 한중으로 이동했다. 이특은 더 나아가 촉군(蜀郡, 현재의 쓰촨성 일대)으로 들어가려 했으나 허가를 받지 못하자, 서진에서 파견된 시어사(侍御史) 이필(李苾)을 매수하여 촉으로 이주했다. 이때 이특의 세력은 한족(漢族) 등을 포함하여 10만 명에 달했다.
299년, 익주(益州)자사(刺史) 조신(趙廞)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특은 이에 가담하여 주요 장군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이후 조신을 몰아내고 300년에 성도(成都)를 점령했다. 이특은 새로운 익주자사 나상(羅尚)이 이끄는 진나라 군대가 도착하자 진나라에 항복했지만, 이 지역의 영향력 있는 난민 가문을 대표하는 역할을 했다.
이특과 나상 사이에는 난민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가라는 황실의 명령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북쪽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는 소문 때문에 난민들은 이주를 꺼렸고, 이특은 나상과 협상하여 체류 기간을 연장하려 했다. 그러나 나상은 지연에 곧 좌절하여 강제로 이주시키려 했고, 301년, 나상의 군대는 난민들을 공격하면서 이특의 반란이 시작되었다.
2. 2. 성(成)나라 건국 (304년 ~ 338년)
304년 10월, 이특의 아들 이웅은 부하들의 추대를 받아 성도왕에 즉위하였다.[5] 306년 6월에는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성'''(大成)이라 정하였다.이웅은 현자 범장생을 승상으로 삼고 법을 간소화하는 등 현명한 정치를 펼쳐 30년 가까운 재위 기간 동안 안정된 평화를 누렸다. 그는 오두미도의 신봉자였으며, 당시 도교는 사천과 한중에서 인기가 있었다. 이웅은 도교 은둔자인 범장생을 재상으로 임명했다.[5] 성한은 중국 북부의 혼란을 피해 도망온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5]
그러나 이웅은 후계자로 형의 아들인 이반을 정하여 아들들의 불만을 샀다. 334년에 이웅이 죽고 이반이 즉위하자 곧 이웅의 아들인 이기가 반정을 일으켜 이반을 죽이고 이기가 즉위하였다. 이기는 폭정을 펼쳐 성나라의 국력은 쇠퇴하였다.
2. 3. 한(漢)나라 건국 (338년 ~ 347년)
338년, 이기의 숙부 이수가 반정을 일으켜 이기를 폐위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이수는 국호를 한(漢)으로 변경했는데, 이는 자신의 봉국명에서 유래한 것이자 이웅의 계통과 거리를 두기 위함이었다. 이수는 사치스러운 생활과 폭정을 일삼아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1]이수는 즉위 초에는 이웅을 본받아 관대한 정치를 펼치고 검소함을 추구하여 촉(蜀) 백성들의 마음을 얻으려 했다. 그러나 후조(後趙)에 사신으로 갔던 이들이 후조 석호의 위세와 수도 업(鄴)의 번화함을 전하자, 석호를 모방하여 가혹한 형벌을 시행하고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여 백성들을 피폐하게 만들었다.[2]
339년 공장(龔壮), 라항(羅恒), 해사명(解思明), 이연(李演) 등이 제호를 버리고 동진에 귀순할 것을 권했으나, 크게 노하여 이연을 살해하고 다른 이들을 협박했다.[3]
341년 12월, 이수는 태자 이세를 대장군(大將軍)·녹상서사로 임명했다.[4]
343년 이수가 사망하고, 아들 이세가 즉위했으나, 이세 역시 폭정을 이어갔다.[5] 잦은 권력 다툼과 폭정으로 성한의 국력은 크게 쇠퇴했다.
2. 4. 멸망
347년 동진의 환온이 성한을 공격했다. 이세는 대군을 이끌고 맞섰으나, 팽모에서 이복 등이 연패하고 착교에서의 결전에서도 패배했다. 환온이 성도에 이르러 성을 불태우자, 이세는 밤에 동문으로 탈출하여 가맹성으로 달아났다. 등숭과 잠견의 권유로 이세는 항복을 결심하고 항복문을 보내 환온에게 항복했다. 환온은 이세와 그의 친족 10여 명을 건강으로 이송했고, 이로써 성한은 건국 44년 만에 멸망했다.3. 정치
성한은 중국 왕조의 제도를 모방하여 중앙에는 승상(丞相) 이하 백관(百官)을 설치하고, 지방에는 군현제(郡縣制)를 도입했다. 초기에는 법을 간소화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안정적인 통치를 유지했다. 하지만 잦은 권력 다툼과 폭정으로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고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다. 성한의 황제 권력은 파 저족(巴氐族) 출신의 이(李)씨와 익주(益州) 토착 호족(豪族)들의 연합 정권이었기 때문에 강력하지 못했다.
4. 종교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의 혼란기에, 한중과 파촉은 오두미도 신앙이 널리 퍼진 지역이었다. 성한은 이러한 지역을 기반으로 건국되었기 때문에, 도교의 영향을 받았다. 이웅은 도사 범장생을 천지태사로 정권에 등용하는 등 도교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
5. 역대 황제
대 | 성명 | 묘호·시호 | 재위 | 계통 | 비고 |
---|---|---|---|---|---|
1 | 이특 | 시조 경제 | 302년 - 303년 | 생존 중에는 대장군을 자칭 | |
2 | 이류 | 진문제 | 303년 | 이특의 동생 | 생존 중에는 대장군을 자칭 |
3 | 이웅 | 태종 무제 | 303년 - 334년 | 이특의 아들 | 304년에 대성 건국 |
4 | 이반 | 애제 | 334년 | 이탕 (이웅의 형)의 아들 | 원래 시호는 되돌아온 태자 |
5 | 이기 | 유공 | 334년 - 337년 | 이웅의 아들 | |
6 | 이수 | 중종 소문제 | 338년 - 343년 | 이양 (이특, 이류의 동생)의 아들 | 338년에 국호를 한으로 개칭 |
7 | 이세 | 말주 | 343년 - 347년 | 이수의 아들 |
이웅이 성한의 건국자이지만, 아버지 이특 시대에 자립하여 건초라는 연호를 세웠으므로, 이특을 초대 군주로 꼽는다.
5. 1. 성(成)
298년에 이특이 진주 산하의 6군의 유민들을 이끌고 익주에 들어왔다. 303년에 성도의 일부를 장악하고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하였으나 곧 전사하였고, 뒤를 이어 이류, 이웅이 무리를 이끌어 12월에 성도를 함락하고 익주를 장악하였다. 304년 10월, 이웅은 부하들의 추대를 받아 성도왕에 즉위하였으며 306년 6월에는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성'''(大成)이라 정하였다.338년에는 이수가 국호를 '''한'''(漢)으로 고쳤다.
묘호 | 시호 | 이름 | 재위 기간 | 연호 |
---|---|---|---|---|
성(成) 303 또는 304 – 338 | ||||
세조(世祖) | 경(景) | 이특 | 303 | 건초(建初) 또는 경초(景初) 303 |
– | – | 이류 | 303 | – |
태종(太宗) | 무(武) | 이웅 | 303–334 | 건흥(建興) 304–306 안평(晏平) 306–311 옥형(玉衡) 311–334 |
– | – | 이반 | 334 | 옥형(玉衡) 334 |
– | – | 이기 | 334–338 | 옥형(玉恆) 335–338 |
한(漢) 338–347 | ||||
중종(中宗) | 소문(昭文) | 이수 | 338–343 | 한흥(漢興) 338–343 |
– | – | 이세 | 343–347 | 태화(太和) 343–346 가녕(嘉寧) 346–347 |
5. 2. 한(漢)
298년 이특이 진주 산하 6군의 유민들을 이끌고 익주에 들어왔다. 303년 성도의 일부를 장악하고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했으나 곧 전사했고, 뒤를 이어 이류, 이웅이 무리를 이끌어 12월 성도를 함락하고 익주를 장악했다. 304년 10월 이웅은 부하들의 추대를 받아 성도왕에 즉위했으며, 306년 6월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성'''(大成)이라 정했다.이웅은 현자 범장생을 승상으로 삼고 법을 간소화하고 현명한 정치를 펼쳐 30년 가까운 재위 기간 동안 안정된 평화를 누렸다. 그러나 후계자로 형의 아들인 이반을 정하여 아들들의 불만을 샀다. 334년 이웅이 죽고 이반이 즉위하자 곧 이웅의 아들인 이월(李越)·이기가 반정을 일으켜 이반을 죽이고 이기가 즉위했다.
이기는 폭정을 펼쳐 성나라의 국력은 쇠퇴했다. 이기의 숙부 이수는 이기의 폭정으로 위협을 받아 338년 반정을 일으켜 이기를 폐위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이수는 자신의 봉국명에 따라 국호를 한(漢)으로 고쳤다. 이수의 치세에도 사치를 일삼고 폭정을 펼쳐 성한의 국력은 크게 쇠퇴했으며, 343년 뒤를 이은 이세도 폭정을 일삼았다.
347년 동진의 환온에 의해 멸망했다.
묘호 | 시호 | 이름 | 재위 기간 | 연호 |
---|---|---|---|---|
한(漢) 338–347 | ||||
중종(中宗) | 소문(昭文) | 이수 | 338–343 | 한흥(漢興) 338–343 |
– | – | 이세 | 343–347 | 태화(太和) 343–346, 가녕(嘉寧) 346–347 |
6. 가계도
1세 | 2세 | 3세 | 4세 |
---|---|---|---|
(추)롱시왕 이무 | (추)경제 이특 | (1)무제 이웅 | (2)애제 이반 |
(추)양왕 이상 | (4)소문제 이수 | (5)후주 이세 | |
(추)진왕 이류 | (3)폐제 이기 | ||
(추)헌제 이양 | 건녕왕 이월 | ||
(추)제왕 이보 | (추)광한공 이탕 | 이함 |
참조
[1]
문서
Kleeman, 2
[2]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A.D. 907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4]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5]
문서
晋書では302年に改元したと記載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