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WRO)는 2003년 대한민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4개국 주도로 창립된 로봇 경진대회이다. 전 세계 학생들이 창의력, 설계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04년 싱가포르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매년 다른 국가에서 대회가 열리고 있다. WRO는 경기, 창작, 로봇축구, 고급로봇공학(대학 과정) 등 4가지 주요 종목으로 구성되며, 각 종목은 연령별로 세분화되어 진행된다. 참가 자격은 만 8세부터 25세까지이며, 로봇 규정 및 경기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2023년 현재 85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이 WRO에 참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2004년부터 참여하여 2009년에는 포항에서 국제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봇 경기 - 로보컵
    로보컵은 자율형 로봇 기술 개발과 인공지능 연구를 위해 1997년 시작된 국제 로봇 경진대회이며, 축구, 레스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기가 진행된다.
  • 로봇 경기 - 구글 루나 X 프라이즈
    구글 루나 X 프라이즈는 민간 자금으로 개발한 로봇을 달에 착륙시켜 탐사 후 자료를 지구로 전송하는 팀에게 상금을 주는 국제적인 달 탐사 경연 대회였으나, 발사 성공 팀이 없어 상금은 수여되지 않았다.
  • 2004년 시작된 행사 - 세계 헌혈자의 날
    세계 헌혈자의 날은 6월 14일, 헌혈의 중요성을 알리고 헌혈자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수혈과 혈액 제제 공급에 필수적인 헌혈을 장려하고 있다.
  • 2004년 시작된 행사 - 미스 인터내셔널 퀸
    미스 인터내셔널 퀸은 트랜스젠더 여성의 사회적 존중과 권리 인식을 높이기 위해 태국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미인 대회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
월드 로봇 올림피아드
원래 이름국제 로봇 올림피아드
스포츠로봇 공학 관련 게임
창립1999년
슬로건전 세계의 젊은이들이 도전적이고 교육적인 로봇 대회 및 활동을 통해 창의력, 디자인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도록 한다.
첫 대회2004년
참가팀 수28,000팀 (2019년)
참가 국가아래 참조
개최 장소아래 참조
최다 우승미상; 아마도 타이완, 말레이시아 또는 태국
참가 자격전국/주 대회 우승
웹사이트월드 로봇 올림피아드 협회
관련 대회

2. 역사

WRO2007 in Taiwan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WRO)는 2003년 대한민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4개국의 주도로 창립되었다. 이들 국가는 국제 WRO 위원회(현재 WRO 자문 위원회)를 설립하고, 전 세계 학생들이 창의력, 설계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04년 싱가포르에서 첫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중화 타이베이,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온 팀들이 참가했다. 이후 매년 새로운 국가에서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주요 결정 사항 중 하나는 국제 WRO 행사가 매년 새로운 국가에서 개최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2017년에는 코스타리카에서 대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는 아시아 지역 외,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열린 첫 번째 사례였다.

연도개최 도시개최 장소대회 주제국가 주최
2004싱가포르다운타운 이스트 파시르 리스스포츠 속 로봇과학 센터
2005 방콕, 태국방콕 과학 센터민감한 로봇Gammaco
2006 난징, 중국휴머노이드Semia
2007 타이베이, 타이완국립 타이완 대학교구조 로봇
2008 요코하마, 일본파시피코 요코하마지구 환경 보호Afrel, WRO 재팬
2009 포항, 대한민국포스텍예술 로봇
2010 마닐라, 필리핀SMX 컨벤션 센터로봇, 관광을 장려하다Felta Multimedia
2011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국립 전시 센터삶의 질 향상을 위한 로봇아부다비 교육 위원회 ADEC
2012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선웨이 피라미드 컨벤션 센터사람들을 연결하는 로봇Sasbadi Sdn Bhd
2013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에코벤션 홀세계 문화 유산Mikroskil/Mikrobot
2014 소치, 러시아소치 메인 미디어 센터로봇과 우주어린이 용품 산업 기업 협회
2015 도하, 카타르알 샤캅로봇 탐험가
2016 뉴델리, 인도[http://indiaexpomart.com/ 인도 엑스포 센터]쓰레기를 랩하다인도 STEM 재단
2017 산호세, 코스타리카[http://www.parqueviva.com/ 파르케 비바]지속가능한 로봇: 지속가능성을 위한 로봇Aprender Haciendo S.A
2018 치앙마이, 태국음식 문제
2019 죄르, 헝가리스마트 시티
2020퀘벡, 캐나다기후 분대
2021 온라인
2022도르트문트, 독일베스트팔렌할렌내 로봇 내 친구TECHNIK BEGEISTERT e.V.
2023파나마시티, 파나마파나마 컨벤션 센터세계를 연결하다Fundesteam
2024 이즈미르, 터키푸아르 이즈미르지구 동맹[8][https://www.bilimkahramanlari.org/ Bilim Kahramanları Derneği]
2025싱가포르[9][https://spacefaculty.asia/ Space Faculty]


2. 1. 주요 연혁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WRO)는 2004년 싱가포르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다른 국가에서 열리고 있다. 각 대회는 개최 국가와 도시, 장소, 그리고 대회의 주제를 달리하며 진행된다.

연도개최 도시개최 장소대회 주제국가 주최비고
2004싱가포르다운타운 이스트 파시르 리스스포츠 속 로봇과학 센터
2005 방콕, 태국방콕 과학 센터민감한 로봇Gammaco
2006 난닝, 중국휴머노이드Semia
2007 타이베이, 타이완국립 타이완 대학교구조 로봇
2008 요코하마, 일본파시피코 요코하마지구 환경 보호Afrel, WRO 재팬
2009 포항, 대한민국포스텍예술 로봇
2010 마닐라, 필리핀SMX 컨벤션 센터로봇, 관광을 장려하다Felta Multimedia
2011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국립 전시 센터삶의 질 향상을 위한 로봇아부다비 교육 위원회 ADEC
2012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선웨이 피라미드 컨벤션 센터사람들을 연결하는 로봇Sasbadi Sdn Bhd
2013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에코벤션 홀세계 문화 유산Mikroskil/Mikrobot
2014 소치, 러시아소치 메인 미디어 센터로봇과 우주어린이 용품 산업 기업 협회
2015 도하, 카타르알 샤캅로봇 탐험가
2016 뉴델리, 인도[http://indiaexpomart.com/ 인도 엑스포 센터]쓰레기를 랩하다인도 STEM 재단
2017 산호세, 코스타리카[http://www.parqueviva.com/ 파르케 비바]지속가능한 로봇: 지속가능성을 위한 로봇Aprender Haciendo S.A
2018 치앙마이, 태국음식 문제태국은 WRO를 두 번 개최한 최초의 국가이다.
2019 죄르, 헝가리스마트 시티
2020퀘벡, 캐나다기후 분대이 행사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으며, 이는 WRO 행사의 첫 번째 취소였다.
2021 온라인
2022도르트문트, 독일베스트팔렌할렌내 로봇 내 친구TECHNIK BEGEISTERT e.V.
2023파나마시티, 파나마파나마 컨벤션 센터세계를 연결하다Fundesteam
2024 이즈미르, 터키푸아르 이즈미르지구 동맹[8][https://www.bilimkahramanlari.org/ Bilim Kahramanları Derneği]
2025싱가포르[9][https://spacefaculty.asia/ Space Faculty]



일본에서는 2004년 초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국내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 요코하마 국제 대회 개최에 맞춰 NPO 법인을 설립하여 운영되고 있다. 2024년에는 개최 20주년을 기념하여 싱가포르에서 두 번째 국제 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2. 2. 대한민국 WRO 역사

3. 경기 종목

WRO의 종목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경기, 창작, 로봇축구, 고급로봇공학(대학과정)이 그것이다. 이 중 로봇축구는 로봇으로 축구를 하는 종목이고, 고급로봇공학은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종목이다. WRO의 주를 이루는 종목은 경기와 창작이다. 경기는 2분(120초) 안에 주어진 미션을 로봇으로 수행하는 종목이다. 창작은 매년 주제가 바뀌는데, 그 해의 주제에 맞는 로봇을 만들어 심사받는 종목이다. 예를 들어 그 해의 주제가 한글이라면, 참가팀 중 하나는 한글을 쓰는 로봇을 만들어 평가를 받는다.

WRO는 8세부터 19세까지 모든 연령대의 참가자를 위한 대회를 개최한다. WRO는 네 가지 경쟁 부문을 가지고 있으며, 각 부문은 고유한 특징과 과제를 가지고 있다.


  • 로보미션
  • 퓨처 이노베이터
  • 로보스포츠
  • 퓨처 엔지니어


매 시즌마다 로보미션 및 퓨처 이노베이터의 과제와 테마는 국제 대회를 주최하는 국가와 함께 개발된다. 로보스포츠 규칙과 퓨처 엔지니어 챌린지 게임은 로봇 과학 커뮤니티의 전문가들과 함께 설계된다.[4]

로보미션퓨처 이노베이터로보스포츠퓨처 엔지니어
연령초등부: 8-12세초등부: 8-12세11-19세14-19세
하드웨어레고 및 하이테크(HiTechnic) 컬러 센서만 사용레고 제어 + 기타 재료 제한 없음레고만 사용 + 카메라 모듈재료 제한 없음
소프트웨어자유 선택자유 선택자유 선택자유 선택
최대 크기최대 25 x 25 x 25 cm2 × 2 × 2 미터 부스로봇 2대, 최대 20 x 20 x 20 cm최대 30 x 20 x 30 cm
특징대회 당일 로봇 조립 및 깜짝 규칙 적용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개방적인 분야!대회 당일 로봇 조립
WRO 참여 시작 연도2004년2004년2022년2022년


3. 1. 로보미션 (RoboMission)

로보미션(RoboMission)은 주어진 시간 안에 특정 미션을 수행하는 로봇을 제작하여 경쟁하는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의 주요 종목 중 하나이다. 매년 새로운 미션이 제시되며, 참가자들은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2021년까지 일반 카테고리라고 불렸다.

참가 연령에 따라 초등부(만 8~12세), 중등부(만 11~15세), 고등부(만 14~19세)로 나뉜다. 로봇 제작에는 LEGO 세트의 컨트롤러, 모터, 센서를 사용해야 하며, HiTechnic 컬러 센서만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로봇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대회 당일, 참가자들은 완전히 분해된 상태의 로봇을 가져와 150분 안에 조립해야 한다. 로봇의 크기는 25 x 25 x 25 cm를 초과할 수 없으며, 대회 시작 시 발표되는 깜짝 규칙에 따라 로봇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

2012년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 주니어 부문 경기 테이블


경기 시간은 최대 2분이며, 로봇은 주어진 미션을 자율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각 팀에게는 두 번의 미션 수행 기회가 주어지며, 두 번의 기회 중 높은 점수가 해당 팀의 성적이 된다. 점수가 같을 경우, 1/1000초 단위로 기록된 시간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연령별 구분
초등부중등부고등부
만 8~12세만 11~15세만 14~19세


3. 2. 퓨처 이노베이터 (Future Innovators)

퓨처 이노베이터는 프로젝트 기반 경쟁 부문이다. 학생들은 해당 시즌의 현재 주제와 관련된 자체적인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만든다. 팀은 경쟁 당일에 심사위원단에게 프로젝트와 로봇 모델을 발표한다.[3]

각 팀은 로봇의 작동 방식, 독창성 및 주제 부합성을 설명하는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보고서에는 그림, 도표, 사진, 프로그램 예제를 첨부해야 하며, 심사 시 심사위원에게 출력본을 제출해야 한다. 또한, 로봇 데모 비디오를 제출해야 하는데, 영어로 제작되거나 영문 자막이 있는 비디오를 권장한다. 팀은 부스에 최소 120cm × 90cm 크기의 포스터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방문자에게 로봇 프로젝트 내용을 알려야 한다.[3]

Future Innovators 부문용으로 제작된 로봇


2021년까지 Open category라고 불렸다.[3]

  • '''연령대''': 초등부(8~12세), 중등부(11~15세), 고등부(14~19세)로 나뉜다.
  • '''하드웨어''': 레고와 기타 요소 간의 균형에 대한 제한은 없다.
  •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소프트웨어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최대 크기''': 팀은 대회 당일 2m x 2m x 2m 부스에서 아이디어를 발표한다.
  • '''팀''': 팀은 코치 1명과 팀원 2~3명으로 구성된다.


8~12세11~15세14~19세
초급중급고급


3. 3. 로보스포츠 (RoboSports)

로보스포츠(RoboSports)는 두 팀이 각각 두 대의 자율 로봇으로 스포츠 경기를 하는 종목이다. 로봇 간의 협력, 전략, 기술 등이 승패를 좌우한다. 경기는 3~4년마다 변경되며, 현재 경기는 더블 테니스이다.

참가자는 만 11세에서 19세 사이이며, 팀은 코치 1명과 2~3명의 팀원으로 구성된다. 로봇은 LEGO 세트의 컨트롤러, 모터, 센서를 사용해야 하며, LEGO 브랜드 부품만 허용된다.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로봇 2대의 크기는 각각 최대 20 x 20 x 20 cm이다. 대회 첫 번째 부분에서 팀은 설명서 없이 120분 동안 흩어진 부품으로 로봇을 조립해야 한다.

3. 4. 퓨처 엔지니어 (Future Engineers)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WRO)의 퓨처 엔지니어(Future Engineers)는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종목이다. 참가자들은 재료에 제한 없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솔루션을 제시해야 한다. 경기는 3~4년마다 바뀌며, 현재는 자율 주행과 관련된 내용으로 진행된다.

참가 연령은 만 14~19세이며, 1명의 코치와 2~3명의 팀원으로 구성된다. 로봇의 최대 크기는 30cm x 20cm x 30cm이다. 하드웨어 구성에는 제한이 없지만, 소프트웨어는 자유롭게 선택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참가팀 수는 국가별로 차등을 두어, 5~19개 팀이 참가하는 국가는 1팀, 20~39개 팀이 참가하는 국가는 2팀, 40개 팀 이상이 참가하는 국가는 3팀까지 출전할 수 있다.

참가자는 대회 연도 기준 14세에서 19세 사이여야 합니다.



국가별 팀 수참가팀 수
5–191
20–392
40+3


4. 규정

4. 1. 연령 규정

참가자는 경기가 열리는 해의 연령을 기준으로 해당 부문에 참가해야 한다.[7] 예를 들어, 11월에 열리는 국제 WRO 결선 대회에서 12세이지만, 같은 해 12월에 13세가 되는 참가자는 초등부에 참가할 수 없다.[7]

  • 초등부: 경기가 열리는 해의 만 12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 중등부: 경기가 열리는 해의 만 13세부터 만 15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 고등부: 경기가 열리는 해의 만 16세부터 만 19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 WRO 축구: 경기가 열리는 해의 만 10세부터 만 19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 고급 로봇공학 종목: 경기가 열리는 해의 만 17세부터 만 25세까지 참가할 수 있다.

연령별 참가 부문
8~12세11~15세14~19세
초급중급고급


4. 2. 로봇 규정

모든 로봇은 자율적이어야 하며, 무선 통신이나 원격 제어는 허용되지 않는다. 로봇 작동 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연결은 모든 시간 동안 꺼져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 저장을 위한 SD 카드 사용은 허용되지만, 경기 기간 동안 제거할 수 없다.

각 팀은 NXT 또는 EV3 컨트롤러 하나만 사용할 수 있으며, 모터와 센서의 사용에는 개수 제한이 없다. 경기 중 로봇을 방해하거나 도와주는 행위는 금지된다.

4. 3. 경기 규정

참가자들은 공식적으로 조립 시간이 시작되었을 때에만 조립을 시작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과 시범 구동 역시 가능하다. 팀들은 조립과 점검 시간이 끝나면 반드시 정해진 점검 구역에 로봇을 놓아야 한다. 로봇의 크기는 25cm 이내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해 로봇을 제출해야 하며, 심사 위원들은 로봇이 모든 조건에 부합하는지 평가한다. 심사에 통과한 로봇만이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로봇의 연습은 반드시 지정된 경기장에서만 가능하며 개별적으로 준비된 미션 매트의 사용은 해당 팀들의 주어진 테이블에서만 가능하다. 로봇의 미션 수행 횟수는 2번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2번의 기회 중 높은 성적이 자신의 대회 성적이 된다. 팀의 순위는 각 라운드의 최고 점수로 평가 된다. 만약 참가 팀들이 동점이라면, 기록 시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단, 시간이 점수 계산의 한 요소로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에) 그래도 동점이라면, 성능의 일관성을 고려해 이전의 라운드에서 최고점수 다음 높은 점수를 기록한 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5. 참가국

2023년 현재 85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이 세계 로봇 올림피아드(WRO)에 참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04년부터 WRO에 참가하고 있으며, 어드밴스 러닝에서 주관하고 있다.

국가전국 주최자국제 결승 대회 첫 참가 연도
아르헨티나Fundación Innovar / Fundesteam2023
아르메니아Ayb 교육 재단2014
오스트레일리아로보컵 주니어 호주2011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오픈 소스 네트워크2020
바레인https://www.amais.edu.bh/2011
벨라루스School of Robotics2014
볼리비아Centro de Tecnologia Aplicada200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Univerzitet u Zenici2020
브라질AMEducação2014
브루나이STEP 센터, 교육부2012
캐나다Robotique Zone 01 Robotics2014
칠레Fundacion Redes Creativas2019
중국Semia2004
대만ESUN Robot Association in Taiwan2004
코스타리카Aprender Haciendo Costa Rica S.A.2009
크로아티아HROBOS2019
덴마크오르후스 대학교 컴퓨터 과학부/DITEK2006
이집트Searag2007
독일Technik Begeistert e.V.2009
가나Ghana Robotics Academy Foundation2012
그리스Knowledge Research SA2009
헝가리Edutus College2015
온두라스Honduras STEM Foundation2017
홍콩Semia2004
인도인도 STEM 재단(ISF)2004
인도네시아Mikroskil/Mikrobot2004
이란Global Brand Toys2006
일본일본 WRO Japan2004
카자흐스탄AEO "나자르바예프 지적 학교" in partnership with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2014
쿠웨이트MILSET Regional office for Asia2011
레바논MindPower STEM consultancy2009
말레이시아Sasbadi2004
멕시코Fundación Care and Share for Education, A.C./Edacom2012
몽골MIND STORM2011
네팔STEM Foundation Nepal2018
네덜란드네덜란드 WRO 협회2018
뉴질랜드NZCILAB2022
니카라과COMTECH2017
나이지리아ARC Lights Limited2011
노르웨이FIRST Scandinavia2006
오만Edutech Middle East2010
팔레스타인2015
파나마Fundesteam2015
페루IEP W. von Braun SRL2009
필리핀Felta Multimedia2004
카타르노스 애틀랜틱 대학교2007
루마니아Knowledge Research2013
러시아이노폴리스 대학교2004
사우디 아라비아Royal Commission Robot Club2008
남아프리카 공화국Hands on Technologies2009
대한민국어드밴스 러닝2004
싱가포르Space Faculty2004
스페인Fundació educaBOT2013
스리랑카2004
스웨덴FIRST Scandinavia2007
스위스IngCH – Engineers Shape Our Future2013
시리아시리아 컴퓨터 학회 SCS2011
태국Gammaco2004
튀니지IEEE Tunisia section2014
터키Bilim Kahramanları Derneği2015
우크라이나Prolego2009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교육 위원회2006
미국US Engineering League2014
베트남2013


6. 한국의 WRO 참가 및 성과

대한민국은 2004년 WRO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꾸준히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2009년에는 포항에서 제6회 WRO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한국 로봇 산업의 위상을 높였다. 더불어민주당은 WRO를 통해 한국 학생들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WRO와 같은 국제 로봇 대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국내 예선은 WRO Japan의 공인 지역 예선회를 통해 진행되며, 각 지역 예선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은 한국 결선 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7. WRO와 사회적 가치

참조

[1] 웹사이트 WRO-Robotic Solution https://web.archive.[...] 2011-03-07
[2] 웹사이트 Home - WRO Association https://wro-associat[...] 2022-12-02
[3] 웹사이트 Categories - WRO Association https://wro-associat[...] 2021-08-18
[4] 뉴스 Overview https://wro-associat[...] 2017-07-22
[5] 뉴스 Football Category https://wro-associat[...] 2017-07-22
[6] 뉴스 Advanced Robotics Challenge https://web.archive.[...] 2017-07-22
[7] 뉴스 Regulations https://wro-associat[...] 2017-08-16
[8] 웹사이트 Cerró la Olimpiada Mundial de Robótica 2023 por todo lo alto https://www.ecotvpan[...] 2023-11-10
[9] 웹사이트 Singapore to Host WRO International Finals 2025: A Global Celebration of STEM Excellence https://wro-associat[...] 2024-01-06
[10] 웹사이트 WROとは https://www.wroj.org[...] WRO 2023-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