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영화는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에서 제작된 영화를 통칭한다. 초기에는 영화를 공산주의 선전 도구로 활용하여 영화 산업을 국유화하고 검열을 실시했다. 1920년대에는 혁명과 내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와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으며, 몽타주 기법 등 다양한 실험적 시도가 이루어졌다. 1930년대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영화 스타일로 채택되었고, 1940년대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영화 제작이 위축되었다. 스탈린 사후 검열이 완화되면서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제작되었으며,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등 많은 영화 제작자들이 소련 영화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영화 제작소로는 렌필름, 모스필름, 소유즈멀트필름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는 1935년에 시작되어 칸, 베를린, 베네치아 영화제와 함께 세계 4대 영화제로 불리기도 했지만, 2022년 이후 국제 영화 제작자 연맹의 인증이 중단되었으며, 최우수 작품상 등을 시상하는 영화제이다. - 소련의 영화 - 소련의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출품작
소련은 1963년부터 1991년까지 총 18편의 영화를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로 출품하여, 《전쟁과 평화》 (1968), 《데르수 우잘라》 (1975),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1980) 총 3편이 수상하였다. - 러시아의 영화 - 러시아 영화
러시아 영화는 제정 러시아 시대부터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쳐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를 발전시키고 세계적인 거장들을 배출했으나, 소련 붕괴 후 경제적 어려움과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적인 보이콧에 직면하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 러시아의 영화 - 고스필모폰드
고스필모폰드는 러시아의 국립 영화 보관소로, 소련 영화감독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1948년 설립되어 일본 영화사 연구에 기여하고 영화 보존 및 상영에 힘쓰는 기관이다.
소련 영화 |
---|
2. 역사
러시아 혁명으로 소련이 수립된 후, 영화는 새로운 국가의 중요한 선전 도구로 인식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은 영화를 대중에게 공산주의를 교육하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여겼다.[1][2]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러시아 영화 산업은 크게 악화되었다. 대부분의 영화관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었고, 많은 영화인들이 국외로 떠났다. 새로운 정부는 영화 제작 시스템을 재건할 자금이 부족했기 때문에, 초기에는 주로 기존 영화를 재활용하거나 수입 영화를 상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짧은 교육 영화인 아지트키와 뉴스 영화 제작에 집중했다. 지카 베르토프의 뉴스 영화 시리즈 《키노-프라브다》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홍보하고 영화 기법을 실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1년에는 영화 산업에 활력이 생기면서 모스크바에 영화관이 다시 문을 열기 시작했다. 1923년까지 89개의 영화관이 추가로 문을 열었으며, 개인들이 장편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1925년에는 모든 영화 조직이 합병되어 ''소브키노''가 설립되었고, 영화 산업에 대한 면세 혜택과 수출입 독점권을 부여받았다.[3]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전함 포템킨》(1925)은 폭넓은 찬사를 받으며 개봉되었으며, 프롤레타리아트의 미덕을 강조한 선전 영화였다.
1930년대에는 《서커스》와 같은 인기 영화가 개봉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스톤 플라워》(1946), 《시베리아의 발라드》(1947), 《쿠반의 코사크》(1949)와 같은 컬러 영화가 제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소련 영화는 《병사의 발라드》와 《두루미는 날아간다》와 같은 작품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고도》는 1950년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꼽히며, 바드 운동의 토대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억압을 다룬 《참회》와 우화적 SF 영화 《킨-자-자!》와 같이 다양한 주제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2. 1. 혁명과 내전 시기 (1917-1920년대 초)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정부는 영화 산업을 국유화했다.[4] 블라디미르 레닌은 영화를 대중에게 공산주의를 교육하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여겼으며,[1][21] 1922년 1월 17일 "영화 사업에 관한 지침"을 발표하여 영화 사업을 체계화하고 모든 영화를 등록, 검열하도록 지시했다.[1][21]이 시기에는 대중을 선동하고 교육하기 위한 단편 영화인 아지트키가 많이 제작되었다. 또한, 뉴스 영화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지카 베르토프는 뉴스 영화 시리즈 《키노-프라브다》를 통해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홍보하고 영화 기법을 실험했다.[5]
1919년 8월 27일, 레닌은 영화 산업을 국유화하여 제국 이후의 소련 영화를 창조하였고, 영화 제작 및 상영에 대한 모든 통제는 인민 교육 위원회로 이관되었다.[4] 러시아 내전 동안에는 선동 열차와 배가 병사, 노동자, 농민을 방문하여 다양한 전선의 사건에 대한 뉴스 영화를 상영했다.
1920년대에 지각 베르토프가 이끄는 다큐멘터리 영화 그룹은 "이미지 중심의 대중적인 영화"로 가는 길을 개척했는데, 이는 소련 영화 다큐멘터리의 기초가 되었다. 베르토프의 시사 뉴스 연재물인 ''키노-프라다''와 영화 ''앞으로, 소비에트!''가 대표적인 작품이다.[5]
2. 2. 1920년대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은 1925년에 전함 포템킨을 발표하여 폭넓은 찬사를 받았다. 이 영화는 프롤레타리아트의 미덕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제시한 선전 영화였다.[3] 에이젠슈테인은 이 영화에서 혁신적인 몽타주 기법과 영화 언어의 은유적 특징을 선보여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다. 그는 또한 영화 ''10월''에서 혁명적 서사시의 개념을 발전시켰다.[7]레프 쿨레쇼프는 쿨레쇼프 효과로 알려진 편집과 몽타주를 통해 의미를 창출하는 영화 제작 스타일을 실험했다. 이는 당시 필름 재고 부족으로 인해 필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되었다.[7]
에스피르 슈브는 몽타주 편집 기법을 사용하여 낡은 제정 시대 다큐멘터리를 혁명적인 주제로 재활용한 역사-혁명 영화인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 등을 제작했다.[5]
알렉산드르 도브젠코는 역사-혁명 서사시인 ''즈베니고라'', ''아르세날''과 시적 영화 ''대지''를 통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적 영화를 제작하여 주목받았다.[7]
1924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과 레프 쿨레쇼프는 "프롤레타리아의 이념적, 예술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련 영화 제작자 최초의 협회인 혁명 영화 협회(ARK)를 만들었다. 국가는 이 조직을 관리했지만, "1920년대 후반까지 정치적, 예술적 견해의 다원주의가 특징이었다".[6]
2. 3. 1930년대
1930년대 초, 러시아 영화 제작자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자신들의 작품에 적용했다. 이 시기 가장 뛰어난 영화 중 하나는 혁명과 내전 시기의 러시아 혁명가와 사회를 다룬 《차파예프》(1934)였다. 이 영화는 순교한 붉은 군대 사령관 차파예프와 그의 추종자들이 혁명적 대의를 위해 영웅적으로 싸운다는 점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모범으로 선전되었다. 또한, 주인공 차파예프를 인간적인 면모, 유머 감각, 소박한 매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하여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1934년 첫 상영 이후 관객들은 여러 번 영화를 관람했으며, 이후 세대에도 주기적으로 재개봉되었다.[8]세르게이 유트케비치의 《황금 산》, 보리스 바르넷의 《변두리》, 그리고리 코진체프와 레오니드 트라우베르크의 막심 3부작(《막심의 청춘》, 《막심의 귀환》, 《비보르크 구역》)과 같은 영화들은 혁명의 역사를 다루었다. 미하일 롬의 《10월의 레닌》과 《1918년의 레닌》과 같이 블라디미르 레닌에 관한 전기 영화도 주목할 만하다. 세르게이 게라시모프의 《일곱 용감한 사람들》과 《콤소몰스크》는 러시아 사회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묘사했다.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는 1930년대에 지속적인 인기를 얻은 뮤지컬 코미디 장르의 대가였다. 그는 뛰어난 코미디 배우이자 가수인 아내 류보프 오를로바와 함께 《서커스》, 《볼가-볼가》, 《타냐》와 같은 여러 편의 뮤지컬 영화를 제작했다. 특히, 목가적인 코미디 《볼가-볼가》는 흥행 성공 면에서 《차파예프》에 버금갈 정도였다. 알렉산드로프의 1940년 뮤지컬 《타냐》에서 오를로바는 영리한 노동 절약 방식을 개발하여 소련 산업 지도부의 계급으로 올라가는 겸손한 하녀 역을 맡았다. 관객들은 영화의 코미디적인 신데렐라 이야기를 즐기면서 직장에서의 효율성의 가치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8]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알렉산더 네프스키》, 브세볼로트 푸도프킨의 《미닌과 포자르스키》, 이고르 사브첸코의 《보그단 흐멜니츠키》는 민족 영웅을 다룬 영화였다. 마르크 돈스코이의 막심 고리키에 관한 영화 3부작(《고리키의 어린 시절》, 《나의 견습》, 《나의 대학교》)과 같은 문학 고전의 각색도 있었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 스탈린은 권력을 공고히 하고 경제 및 문화 전반에 걸쳐 소련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경제는 시장 기반의 신경제정책 (NEP)에서 중앙 계획 시스템으로 이동했고, 새로운 지도부는 예술적 표현을 포함한 문화적 문제에 대한 당의 통제를 강화하는 "문화 혁명"을 선언했다.
영화 분야에서는 중앙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1930년에 소유즈키노라는 새로운 기관이 창설되었다. 소유즈키노는 모든 영화 제작 및 배급 활동을 조정하고, 제작 계획 수립, 배급 및 상영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각본 개발은 여러 위원회의 검토와 수정을 거치는 길고 복잡한 과정이었으며, 1930년대에는 검열이 더욱 강화되었다. 장편 영화 프로젝트는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지연되거나 중단될 수 있었다.
이러한 중앙 통제 시스템으로 인해 1930년대 영화 생산 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NEP 기간 말에 연간 100편 이상의 장편 영화가 개봉되었지만, 1932년에는 70편, 1934년에는 45편으로 감소했다. 스탈린 시대의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다시 세 자릿수를 기록하지 못했다.
한편, 소련은 서방과의 영화 관계를 단절했다. 외국 영화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1931년 이후 영화 수입을 중단했다. 또한, 소련은 자체적인 음향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알렉산더 쇼린과 파벨 타거는 1920년대 후반에 독자적인 음향 시스템 연구를 수행했으며, 1930년까지 사용할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영화관 개조 비용을 포함한 구현 과정은 어려웠고, 소련은 1935년까지 음향 전환을 완료하지 못했다.
2. 4.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소련 영화 제작은 감소했지만, 전쟁 관련 영화는 증가했다.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1938), 《이반 뇌제》(1944)와 같은 역사 서사 영화를 제작했다.[2]전쟁 이후, 소련 영화 산업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으로 인한 물질적, 재정적 손실 외에도, 스탈린 정권은 사회적 통제와 검열을 강화했다. 1945년부터 1953년까지 제작된 영화 수는 현저히 적었으며, 1951년에는 단 9편의 영화만 제작되었다.[29] 1948년 소련 정부는 영화 산업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켜 양보다 질을 강조하고, 모든 영화가 공산주의 사상을 장려하는 걸작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탈린은 새 영화의 공개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았다.[29]
이러한 상황에서 영화관들은 신작 부족을 메우기 위해 1930년대 후반 영화들을 재상영하거나, "트로피 영화"라고 불리는 외국 영화들을 상영했다. 트로피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붉은 군대가 독일과 동유럽에서 가져온 영화들이었다.[10] 1948년, 소련 공산당 위원회는 이 중 50편을 소련에서 개봉하도록 허가했으며, 이 중 24편이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1] 이 영화들은 주로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제작된 영화였다.[11]
트로피 영화의 상영은 당시 소련의 상황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정부는 영화관 운영 유지와 국가 재건 자금 확보를 위해 이를 허용했을 가능성이 있다.[13]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영화 상영을 통해 1년 동안 7억 5천만 루블의 순수익을 국가 금고에 가져와야 했다.[14]
트로피 영화에 대한 소련 관객의 반응은 엇갈렸지만, 《내 꿈 속의 여인》과 같은 독일 뮤지컬 코미디는 큰 인기를 끌었다.[16]
2. 5. 1950년대
요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 이른바 '해빙기'를 맞이하면서 검열이 완화되었고, 영화 제작자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좁은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제의 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1957년 미하일 칼라토조프 감독의 《학이 난다》는 1958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2]
- 1959년 그리고리 추흐라이 감독의 《병사의 발라드》는 1960년 칸 영화제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하고, 1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최우수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제34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2]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1955년에는 세르게이 유트케비치가 《Отелло (фильм, 1955)|오셀로ru》를, Фрид, Ян Борисович|얀 프리드ru가 《Двенадцатая ночь (фильм, 1955)|십이야ru》를 영화화했다.[37] 그리고리 코진체프가 1964년에 제작한 《햄릿》과 1971년에 제작한 《리어왕》은 특히 유명하다.[37] 1975년 구로사와 아키라가 소련에서 제작한 《데르수 우잘라》는 당시 일본과 소련에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38]
2. 6. 1960-1970년대
1960년대와 1970년대 소련 영화는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영화가 제작되며 활성화되었다. 이 시기,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는 《안드레이 루블료프》(1966), 《솔라리스》(1972), 《잠입자》(1979) 등 예술 영화를 제작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 세르게이 파라자노프는 《석류의 색(1969)》과 같은 독창적인 영화를 제작했다.[1] 레오니드 가이다이는 코미디 영화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이 시기에는 오스턴(Red Western) 장르도 유행했는데, 《사막의 하얀 태양(1970)》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영화는 중앙아시아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담고 있었지만, 우주 비행사들이 발사 전에 의례적으로 시청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며, 많은 명대사를 남겼다.[1]
구로사와 아키라는 1975년 소련에서 《데르수 우잘라》를 제작했다.[38] 이 영화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유일한 일본 외 영화로, 당시 일본과 소련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38]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영화화하는 작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세르게이 유트케비치의 《Отелло|오셀로|오셀로 (1955년 영화)ru》(1955), Фрид, Ян Борисович|얀 프리드ru의 《Двенадцатая ночь (фильм, 1955)|십이야|십이야 (1955년 영화)ru》(1955), 그리고리 코진체프의 《햄릿》(1964)과 《리어왕》(1971) 등이 대표적이다.[37]
소련 영화 60주년(1979년)을 기념하여 4월 25일에 "День российского кино|소비에트 영화의 날|Soviet Cinema Dayru"가 제정되었다. 이 날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영화 및 사진 산업을 국유화하는 법령에 서명한 8월 27일에 매년 기념되었다.[1]
2. 7. 1980년대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이전 시대보다 검열이 완화되었다.[39] 소련의 필름 누아르인 chernukha|체르누하ru로 알려진 장르는, 《작은 베라》(Ма́ленькая Ве́раru) 등을 포함하여 소련의 삶의 더 잔혹한 측면을 그렸다.[40]1980년대에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특히,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는 영화들이 등장했는데,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억압을 다룬 《참회》와 우화적 SF 영화 《킨-자-자!》 등이 대표적이다.
3. 검열
이오시프 스탈린의 사망과 국장 이후, 소련 영화 제작자들은 관객들이 영화의 등장인물과 이야기에서 보고 싶어하는 것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영화 산업은 여전히 정부의 일부였으며, 정치적으로 불쾌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자료는 삭제, 편집, 재촬영 또는 보류되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의는 더 인간적인 등장인물의 개발을 허용하도록 자유화되었지만, 공산주의는 여전히 근본적으로 비판받지 않아야 했다. 또한, 상대적인 예술적 자유의 정도는 행정부에 따라 변경되었다.[1]
검열로 인해 발생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이반 뇌제'' 2부는 1946년에 완성되었지만, 스탈린 사후 5년 뒤인 1958년에 개봉되었다.
- 에이젠슈테인의 ''알렉산드르 넵스키''는 강력한 러시아 지도자가 독일 튜턴 기사단의 침략군에 맞서는 모습을 묘사했기 때문에 독일의 소련 침공 전에 검열을 받았다. 침공 후, 이 영화는 선전 목적으로 개봉되어 상당한 비평적 찬사를 받았다.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은 이전 시대의 검열 완화를 가져왔다.[17] Чернуха (клише)|체르누하ru(대략 "검은 것")로 알려진 장르는 리틀 베라와 같은 영화를 포함하여 소련 생활의 더 혹독한 면을 묘사했다.[18]
4. 장르
소련 영화는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발전했다. 주요 장르로는 드라마, 역사 서사, 코미디, 전쟁 영화, 레드 웨스턴(오스턴), SF, 아트하우스/실험 영화, 아동 영화, 다큐멘터리, TV 영화 등이 있다.
1940년대에는 《알렉산더 네프스키》, 《이반 뇌제》, 《엘베 강에서의 만남》과 같은 흑백 영화와, 《돌꽃》, 《시베리아의 발라드》, 《쿠반 코사크》와 같은 컬러 영화가 제작되었다.[1]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탈린 정권의 강화된 사회 통제와 검열로 인해 영화 제작 편수가 급감했다.[1] 1951년에는 9편, 1952년에는 최대 23편의 영화만이 제작되었는데, 이는 할리우드의 연간 400~500편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치였다.[1] 1948년 소련 각료회의 결의안은 영화 산업에 이념적 순수성을 강조하며 양보다 질을 우선시하도록 요구했고, 이는 영화 제작을 더욱 위축시켰다.[1]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많은 영화가 제작되어 소련 및 소련 이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이 시기에는 드라마, 코미디, 전쟁 영화, 레드 웨스턴, SF, 아트하우스/실험 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대표적인 영화로는 《다섯 밤낮》, 《모스크바의 거리를 걷다》, 《작전 Y와 슈릭의 다른 모험》, 《납치, 코카서스 스타일》, 《전쟁과 평화》, 《안드레이 루블료프》, 《다이아몬드 팔》, 《석류의 색》, 《사막의 하얀 태양》, 《행운의 신사들》, 《솔라리스》, 《운명의 반전, 또는 즐거운 목욕!》, 《오피스 로맨스》, 《잠입자》 등이 있다.[1]
소련 영화 감독들은 국영 영화 위원회인 고스키노의 자금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상업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웠고, 이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세르게이 파라자노프, 니키타 미할코프와 같은 감독들이 철학적이고 시적인 영화를 제작하는 데 기여했다.[4] 동방극(붉은 서부극)도 이 시기에 인기를 끌었다.[4]
애니메이션 또한 존경받는 장르였으며,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는 국제적으로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칭송받았다.[1]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검열이 완화되면서, 《작은 베라》와 같은 영화들은 소련 삶의 어두운 면을 그리기도 했다.[40]
4. 1. 드라마
세르게이 예이젠슈테인이 감독한 전함 포템킨(1925)은 브뤼셀 세계 박람회에서 역대 최고의 영화로 선정된 무성 드라마 영화이다. 막심 고리키의 소설 어머니(1906)를 원작으로 한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감독의 어머니(1926)와 알렉산드르 도브젠코의 대지(1930)도 대표적인 드라마 영화이다.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가 감독한 첫 번째 선생님(1966)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배경으로 한다. 알렉산드르 자르히 감독의 안나 카레니나(1967)는 레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를 원작으로 한다. 엘다르 랴자노프의 무정한 로맨스(1984)는 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의 연극 지참금 없는 여자를 각색했다.4. 2. 역사 서사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감독의 1938년작 역사 드라마 영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와 1945년작 《이반 뇌제》(2부작)가 있다. 미하일 숄로호프의 노벨상 수상작 소설 《고요한 돈 강》을 각색한 세르게이 게라시모프의 1957-58년작 《고요한 돈 강》도 역사 서사 영화이다. 1966년에는 15세기 러시아 성상화 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삶을 바탕으로 느슨하게 각색된 《안드레이 루블료프》와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한 《전쟁과 평화》가 제작되었다. 엘렘 클리모프 감독이 연출한 그리고리 라스푸틴에 관한 1973년 역사 드라마 영화 《고뇌》와 안드레이 콘찰롭스키의 1979년 4부작 서사 드라마 영화인 《시베리아드》는 에두아르트 아르테미예프의 유명한 사운드트랙이 특징이다.4. 3. 코미디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소련 영화에서 코미디 장르가 크게 발전한 시기였다. 많은 영화가 제작되었고, 소련 및 소련 이후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제목 | 연도 | 감독 | 주연 | 비고 |
---|---|---|---|---|
모스크바의 거리를 걷다 | 1963 | 게오르기 다넬리야 | 니키타 미할코프 | |
작전 Y와 슈릭의 다른 모험 | 1965 | 레오니드 가이다이 | 속편 납치, 코카서스 스타일(1966) | |
납치, 코카서스 스타일 | 1966 | 레오니드 가이다이 | 민족 유머, 부패한 지역 관리 풍자 | |
다이아몬드 팔 | 1968 | 레오니드 가이다이 | 유리 니쿨린, 아나톨리 파파노프, 안드레이 미로노프 (배우) | |
행운의 신사들 | 1971 | 예브게니 레오노프 | ||
12개의 의자 | 1971 | 레오니드 가이다이 | 일프와 페트로프의 소설 12개의 의자 원작 | |
이반 바실리비치: 미래로 | 1973 | 레오니드 가이다이 | ||
12개의 의자 | 1976 | 마르크 자하로프 | 안드레이 미로노프 (배우) | 일프와 페트로프의 소설 원작, 뮤지컬 |
운명의 아이러니, 또는 목욕을 즐기세요! | 1975 | 엘다르 랴자노프 | 매년 새해 전야 TV 방영 | |
오피스 로맨스 | 1977 | 엘다르 랴자노프 | ||
바로 뮌하우젠 | 1979 | 마르크 자하로프 | 바론 뮌하우젠 이야기 바탕 | |
포크롭스키 게이트 | 1982 | 미하일 코자코프 | 올레그 멘시코프 |
1930년대에 등장하여 꾸준히 인기를 얻었던 장르는 뮤지컬이었다. 이 형식에 정통한 사람은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1903-1984)였다.[28] 그는 대중을 즐겁게 하는 일련의 뮤지컬에서 아내이자 코미디 배우이자 여성 가수인 류보피 올로바(1902-1975)와 함께 창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목가적인 코미디 '볼가 볼가'(1938)는 흥행 성공 면에서 '차파예프'에 뒤쳐질 뿐이었다.[28] 그들의 영화는 활기찬 다수의 음악이 몽타주 편집의 미학을 부활시키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계를 넓히기도 했지만, 현대의 정황을 암시하기도 했다. 알렉산드로프의 1940년 뮤지컬 '타냐'에서 올로바는 영리한 노동력 절약 업무 방식을 개선한 후, 소비에트 산업의 지도자 계급으로 승진하는 수수한 인물을 연기했다. 관객은 이 신데렐라 스토리를 소재로 한 영화의 코미디적 요소를 즐기면서 직장 내 효율의 가치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28]
4. 4. 전쟁 영화
소련 영화 산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전쟁을 소재로 한 다양한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대표적인 전쟁 영화는 다음과 같다.- 학이 난다: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로,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39]
- 병사의 발라드: 그리고리 추흐라이 감독의 낭만적인 전쟁 영화로, BAFTA 상을 수상했다.[39]
- 이반의 어린 시절: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데뷔작으로, 블라디미르 보고몰로프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39]
- 와서 보라: 엘렘 클리모프 감독의 전쟁 드라마/심리 스릴러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벨로루시 점령을 배경으로 한다.[39]
다른 전쟁 영화들은 다음과 같다.
- 더 포티 퍼스트[39]
- 조용한 새벽[39]
- 고양 (영화)[39]
- 캄앤씨[39]
- 41번째 (1927), 야코프 프로타자노프 감독[39]
- 베를린 함락, 미하일 츠아우렐리 감독[39]
- 41번째 (1956), 그리고리 추흐라이 감독[39]
- 해방 (총 5편), 유리 오제로프 감독의 소련-폴란드-동독-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합작[39]
- 이곳의 새벽은 고요하다, 보리스 바실리예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함[39]
- 오직 "노인"들만이 전투에 나선다,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전투기 조종사에 관한 전쟁 뮤지컬 영화[39]
- 그들은 조국을 위해 싸웠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의 서사적인 전쟁 드라마, 바실리 슈크신 주연[39]
- 등반, 1977년 라리사 셰피트코 감독의 전쟁 드라마, 보리스 플로트니코프 주연[39]
- 모스크바 전투 (총 2편), 유리 오제로프 감독의 소련-동독-체코슬로바키아-베트남 합작[39]
- 스탈린그라드 (총 2편), 유리 오제로프 감독의 소련-동독-체코슬로바키아-미국 합작[39]
4. 5. 레드 웨스턴 (오스턴)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사막의 태양
- 더 헤드리스 홀스맨
- 불타는 대지 (삼손 삼소노프 감독)
- 사라지는 복수자들 (에드몬드 케오사얀 감독)
- 사라지는 복수자들의 새로운 모험 (에드몬드 케오사얀 감독)
- 사막의 하얀 태양 (가장 인기 있는 오스턴 중 하나)
- 러시아 제국의 왕관, 혹은 다시 사라지는 복수자들 (에드몬드 케오사얀 감독)
- 목 없는 기사 (블라디미르 바인슈토크 감독)
- 낯선 사람들 사이의 고향 (니키타 미할코프 감독의 레드 웨스턴 영화, 데뷔작)
- 무장과 위험 (블라디미르 바인슈토크 감독)
- 카푸친 대로의 남자 (알라 수리코바 감독)
4. 6. SF
아엘리타, 솔라리스, 잠입자, 킨-자-자!는 소련 SF 영화의 대표작이다.4. 7. 아트하우스/실험
세르게이 파라자노프의 석류의 빛깔(1969)은 소련 내부에서 제한적으로 개봉되었고, 수년 후에야 해외에서 상영되었지만 이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1]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거울,[1] 솔라리스, 잠입자[5] 등은 철학적이고 시적인 영화로 유명하다.[4] 영화는 국영 영화 위원회인 고스키노의 공적 자금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소련의 영화 감독들은 상업적 압박에 얽매이지 않았고, 이는 철학적이고 시적인 영화 제작에 기여했다.[4]4. 8. 아동 영화
Илья Муромец와 Морозко 등이 대표적인 아동 영화이다.[1]4. 9. 다큐멘터리
카메라를 든 사나이 등 다큐멘터리 영화가 제작되었다.4. 10. TV 영화
개의 심장5. 주요 영화 제작자
초기 소련 영화는 미하일 치아우렐리,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알렉산드르 도브젠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그리고리 코진체프, 레프 쿨레쇼프, 야코프 프로타자노프,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이반 피리예프, 보리스 슈먀츠키, 레오니트 트라우베르크, 알렉산드르 메드베드킨, 지카 베르토프 등이 이끌었다. 후기에는 텡기즈 아불라제,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니키타 미할코프,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알렉세이 게르만, 엘렘 클리모프, 샤켄 아이마노프, 라리사 셰피트코, 엘다르 랴자노프, 레오니트 가이다이, 게오르기 다니엘리야, 키라 무라토바, 세르게이 파라자노프 등이 주요 제작자로 활동했다.
5. 1. 초기 (1920-1940년대)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레프 쿨레쇼프,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알렉산드르 도브젠코, 지가 베르토프,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 등이 초기 소련 영화를 이끈 주요 인물들이다.블라디미르 레닌은 영화를 공산주의 사상을 교육하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보았다.[1] 1919년 8월 27일, 레닌은 영화 산업을 국유화하고, "영화 제작과 공개에 관한 모든 관리가 인민 교육 위원회로 이관되었다[4]". 1922년 1월 17일, 레닌은 "영화 사업에 관한 지령"을 발표하여 영화 사업을 체계화하고, 모든 영화를 등록 및 번호 부여하며, 개인 영화관에 임대료를 징수하고 검열하도록 했다.[1] 1925년에는 모든 영화 기업이 합병되어 소프키노를 결성했고, 영화 산업은 면세 혜택과 수출입 독점권을 얻었다.[3] 이오시프 스탈린 역시 영화를 중요하게 여겼다.[2]
1925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전함 포템킨》이 개봉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프롤레타리아트의 미덕에 대한 당의 입장을 대변하는 선전 영화였다. 같은 해, "영화 위원회"는 벨라 발라즈, 루돌프 하름스, 레옹 무시낙의 영화 이론서를 번역 출판했다.[3]
1920년대 지가 베르토프가 이끄는 다큐멘터리 영화 그룹은 "이미지 중심의 선전 영화"로의 길을 개척하여 소련 다큐멘터리 영화의 기초를 다졌다. 베르토프의 뉴스 영화 연재물 《키노-프라브다》와 영화 《전진, 소비에트!》는 러시아 및 세계 영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에스피르 슈브는 낡은 제정 시대 다큐멘터리를 혁명적 주제로 재활용한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을 만들었다.[5] 1924년, 에이젠슈테인과 레프 쿨레쇼프는 혁명 영화 촬영 협회(ARK)를 창설했다. 이 조직은 1920년대 후반까지 다양한 정치적, 예술적 견해가 공존했다.[6] 알렉산드르 도브젠코는 역사-혁명 서사시 《즈베니고라》, 《아르세날》과 시적 영화 《대지》로 주목받았다.[7]
1930년대에는 뮤지컬 장르가 인기를 얻었으며, 그리고리 알렉산드로프는 아내 류보프 오를로바와 함께 여러 뮤지컬 영화를 만들었다. 《볼가-볼가》 (1938)는 《차파예프》에 버금가는 흥행 성공을 거두었다. 알렉산드로프의 1940년 뮤지컬 《타냐》에서 오를로바는 노동 절약 방식을 개발하여 산업 지도자로 성장하는 인물을 연기했다.[8]
소련 경제가 개선되었음에도 영화 제작은 감소했다. 1948년 각료 회의 결의안은 영화 산업을 더욱 위축시켰다. 이 결의는 양보다 질을 강조해야 하며, 모든 영화는 공산주의 사상을 고취하는 걸작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종종 영화 공개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영화 산업 장관은 스탈린과 고위 관료들을 위해 비공개 상영회를 열었다. 엄격한 검열과 복잡한 승인 절차로 인해 많은 시나리오 작가들이 떠났고, 영화사들은 고품질 영화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다.[29]
5. 2. 후기 (1950-1980년대)
후기 소련 영화의 주요 인물로는 텐기즈 아불라제,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니키타 미할코프,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알렉세이 게르만, 엘렘 클리모프, 샤켄 아이마노프, 라리사 셰피트코, 엘다르 랴자노프, 레오니드 가이다이, 게오르기 다니엘리야, 키라 무라토바, 세르게이 파라자노프 등이 있다.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비교적 활발하게 영화화했다. 1955년에는 세르게이 유트케비치가 Отелло (фильм, 1955)|오셀로|오셀로ru를, Фрид, Ян Борисович|얀 프리드|얀 프리드ru가 Двенадцатая ночь (фильм, 1955)|십이야|십이야ru를 영화화했다.[37] 그리고리 코진체프가 1964년에 제작한 햄릿과 1971년에 제작한 리어왕은 특히 잘 알려져 있다.[37] 1975년 구로사와 아키라가 소련에서 데르수 우잘라를 제작했다. 동러시아의 마을을 무대로 한 사냥꾼 데르수 우잘라의 모험 이야기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유일한 일본 외 영화로 당시 일본과 소련에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38]
6. 소련의 영화 제작소
참조
[1]
웹사이트
Lenin: Directives on the Film Business
https://www.marxists[...]
2018-12-15
[2]
뉴스
George Lucas should think twice before venerating filmmaking in the USSR
https://www.washingt[...]
2016-01-05
[3]
서적
When Was Soviet Cinema Born (in the Emergence of Film Culture)
Berghahn Books
2014
[4]
간행물
Censorship, Ideology, and Style in Soviet Cinema
https://doi.org/10.1[...]
1984-1985
[5]
간행물
Russia's Last Tsar Nicholas II and Cinema
[6]
간행물
The Purges of Soviet Cinema
2007-01
[7]
문서
Довженко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8]
웹사이트
THE CINEMA OF STALINISM: 1930–1941
http://www.filmrefer[...]
Advameg, Inc.
[9]
서적
Cinema and Soviet Society: From the Revolution to the Death of Stalin
I.B. Tauris & Co Ltd.
2001
[10]
서적
Cinema
[11]
서적
Film Propaganda: Soviet Russia and Nazi Germany
I.B.Tauris
1998
[12]
서적
Kino totalitarnoi epokhi
1989
[13]
서적
Cinema
[14]
서적
Film Propaganda
[15]
인용
[16]
서적
Cinema
[17]
서적
Recent Social Trends in Russia, 1960–1995
McGill-Queen's Press
1997
[18]
웹사이트
Hertenstein, Mike, Idols and Icons (Part II) A Surve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http://www.cornersto[...]
[19]
웹사이트
Top 15 Miniseries of all Time
http://listverse.com[...]
Listverse
2010-09-28
[20]
뉴스
Победа ретро и шоу: почему новогодние кинопремьеры ушли с ТВ
https://web.archive.[...]
gazeta.ru
2021-01-21
[21]
웹사이트
Lenin: Directives on the Film Business
https://www.marxists[...]
2018-12-15
[22]
간행물
Censorship, Ideology, and Style in Soviet Cinema
https://doi.org/10.1[...]
1984-1985
[23]
서적
When Was Soviet Cinema Born (in the Emergence of Film Culture)
Berghahn Books
2014
[24]
뉴스
George Lucas should think twice before venerating filmmaking in the USSR
https://www.washingt[...]
2016-01-05
[25]
간행물
Russia's Last Tsar Nicholas II and Cinema
1995
[26]
간행물
The Purges of Soviet Cinema
2007-01
[27]
문서
Довженко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28]
웹사이트
THE CINEMA OF STALINISM: 1930–1941
http://www.filmrefer[...]
Advameg, Inc.
2021-05-18
[29]
서적
Cinema and Soviet Society: From the Revolution to the Death of Stalin
I.B. Tauris & Co Ltd.
2001
[30]
서적
Cinema
[31]
서적
Film Propaganda: Soviet Russia and Nazi Germany
I.B.Tauris
1998
[32]
서적
Kino totalitarnoi epokhi
1989
[33]
서적
Cinema
[34]
서적
Film Propaganda
[35]
인용
[36]
서적
Cinema
[37]
서적
Kozintsev's Shakespeare films : Russian political protest in Hamlet and King Lear
https://www.worldcat[...]
McFarland
2012
[38]
서적
黒澤明と『デルス・ウザーラ』
https://www.wochikoc[...]
Wochi Kochi
2024-10-07
[39]
간행물
Recent Social Trends in Russia, 1960–1995
McGill-Queen's Press
1997
[40]
웹사이트
Idols and Icons (Part II) A Surve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http://www.corners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