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울 음악은 1950년대 흑인 가스펠과 리듬 앤 블루스의 혼합으로 시작되어, 흑인 정체성을 강조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레이 찰스를 비롯한 여러 음악가들이 소울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1960년대는 아레사 프랭클린, 제임스 브라운 등 주요 아티스트들의 활약으로 소울 음악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1970년대에는 펑크, 사이키델릭 록 등 다양한 장르와 융합하며 하위 장르가 발전했고, 1980년대 이후에는 디스코와 펑크의 영향을 받아 차분한 폭풍, 네오 소울 등으로 분화되었다. 모타운, 스택스, 애틀랜틱 레코드 등이 소울 음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한국에서도 서구 소울 음악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장르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 음악 - 발라드 (대중 음악)
발라드는 중세 프랑스 샹송에서 유래되어 감상적인 대중가요를 지칭하는 용어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하위 장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솔 음악 - 스택스 레코드
1957년 설립된 스택스 레코드는 초기 컨트리 음악에서 리듬 앤 블루스로 전환하여 애틀랜틱 레코드와의 계약을 통해 R&B 레이블로 성장, 오티스 레딩, 샘 & 데이브 등 유명 아티스트를 배출하며 소울 음악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1975년 파산 후 콩코드 레코드에 인수되어 재건되었다. - 즉흥 연주 - 블루스
블루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남부 흑인들의 노동요에서 기원한 음악 장르로, 슬픔과 우울함을 표현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여러 장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기원과 초기 역사는 불분명하다. - 즉흥 연주 - 잼 밴드
잼 밴드는 그레이트풀 데드에서 시작되어 즉흥 연주와 다양한 장르 혼합을 특징으로 하며 라이브 공연 녹음 및 배포를 허용하는 문화를 공유하지만, 정의가 모호하여 일부 아티스트는 이 분류를 꺼리기도 하는 밴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역사 - 블루스
블루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남부 흑인들의 노동요에서 기원한 음악 장르로, 슬픔과 우울함을 표현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여러 장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기원과 초기 역사는 불분명하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역사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솔 음악 | |
---|---|
장르 정보 | |
명칭 | 소울 음악 |
원어 명칭 | soul music (영어) |
어원 | 영혼 |
스타일 기원 | 리듬 앤 블루스 가스펠 |
문화적 기원 | 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 미국 ("소울"이라는 명칭은 60년대에 등장) |
파생 장르 | 펑크 컨템포러리 R&B 디스코 |
하위 장르 | 시네마틱 소울 라틴 소울 (음악 장르) 모타운 네오 소울 레트로 소울 콰이어트 스톰 |
융합 장르 | 힙합 소울 누 재즈 팝 소울 사이키델릭 소울 프로그레시브 소울 소울 블루스 (음악 장르) 소울 재즈 (음악 장르) 스무스 소울 스왐프 록 |
지역적 장면 | 영국 시카고 디트로이트 멤피스 뉴올리언스 북부 잉글랜드 필라델피아 미국 남부 뉴욕 시티 웨스트 코스트 |
관련 항목 | |
관련 주제 | 소울 음악가 목록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 |
2. 역사
소울 음악은 1940년대 리듬 앤 블루스(R&B)에서 시작되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고스펠 색채가 강해지면서 발전한 음악 장르이다. 재즈와 백인 대중음악의 영향도 받아 형성되었다는 견해도 있다.[88]
소울 음악은 상업적인 대중음악이면서도, 고스펠에서 유래한 코드 진행, 베이스를 강조한 리듬, 콜 앤 리스폰스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티스 레딩, 아레사 프랭클린, 윌슨 피켓[89], 샘 앤 데이브[90], 조 텍스[91], 클라렌스 카터, 솔로몬 버크 등이 대표적인 가수이다. 특히 오티스 레딩은 1962년부터 64년까지 감상적인 가사의 소울 발라드를 발표하여 "Mr. Pitiful"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테네시 주 멤피스의 하이 레코드(Hi Records)는 알 그린 등 여러 소울 가수들의 음반을 발표하여 히트시켰고,[92] 이는 멤피스 소울이라는 하위 장르로 이어졌다.
소울은 R&B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며, 음반 가게나 라디오 등에서도 "소울/R&B"와 같이 함께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1980년대 블랙 컨템포러리와의 주요 차이점은 소울에는 샤우트와 같은 강렬한 표현이 있다는 점이다.[93] 1990년대에는 R&B가 다시 소울을 잇는 노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아폴로 극장은 소울을 비롯한 흑인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1960년대 영국에서는 디 이퀄스[94] 등이 활동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70년대 중반 칼 더글러스가 "쿵푸 파이팅"으로 미국 차트 1위를 기록했고, 스위트 센세이션[95] 등도 히트곡을 냈다. 1980년대에는 센트럴 라인, 주니어 등이, 1990년대에는 디 인플루언스, 이터널 등이 활동했다.
자메이카의 스카, 록스테디, 레게에서도 얼톤 엘리스[99], 투츠 히버트[100], 데니스 브라운[101] 등 소울풀한 가수들이 활약했다.
2. 1. 기원 (1950년대)


소울 음악은 전통적인 흑인 가스펠 음악과 리듬 앤 블루스(R&B)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1950년대부터 시작된 종교적 스타일과 세속적 스타일(가사 내용과 악기 모두)의 혼합으로 발전했다.[12] "소울"이라는 용어는 흑인 음악가들 사이에서 미국 흑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12]
음악학자 배리 한센(Barry Hansen)에 따르면,[13] 1950년대 초 리듬 앤 블루스 시장에서 많은 히트곡이 나왔지만, 당시에는 가장 모험적인 백인 팬들만 그 영향을 느꼈고, 나머지는 1960년대 소울 음악이 등장하여 가스펠 스타일로 부른 록 앤 롤의 열기를 느낄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AllMusic에 따르면, "소울 음악은 60년대 리듬 앤 블루스의 도시화와 상업화의 결과였다."[15] 세속적인 가사를 가진 가스펠 스타일의 음악을 가리키는 "소울 음악"이라는 표현 자체는 1961년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16] 흑인 문화권에서 "소울"이라는 용어는 흑인의 자부심과 문화를 의미한다. 1940년대와 50년대의 가스펠 그룹들은 때때로 그룹 이름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 가스펠에서 유래한 재즈 스타일은 소울 재즈로 알려지게 되었다. 1960년대에 가수와 편곡가들이 흑인 대중 음악에서 가스펠과 소울 재즈의 기법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소울 음악은 점차 당시 흑인 대중 음악을 포괄하는 용어로 기능하게 되었다.[17][18]
Acoustic Music Organization에 따르면, "소울 음악의 첫 번째 명확한 증거는 전 가스펠 그룹으로 R&B로 전향한 더 파이브 로열스(the "5" Royales)와 R&B 표준이 된 "Shake A Hand"를 발표한 페이 아담스(Faye Adams)에게서 나타난다."[19]
1950년대에 소울 음악의 등장에 기여한 중요한 혁신가들로는 클라이드 맥패터(Clyde McPhatter), 행크 발라드(Hank Ballard), 에타 제임스(Etta James)가 있다.[13] 레이 찰스(Ray Charles)는 1954년 "아이 갓 어 우먼(I Got a Woman)"을 시작으로 한 일련의 히트곡을 통해 소울 음악 장르를 대중화한 것으로 자주 언급된다.[20] 가수 바비 우맥(Bobby Womack)은 "레이는 천재였다. 그는 세상에 소울 음악을 알렸죠."라고 말했다.[21] 찰스는 자신의 노래 스타일에 필그림 트래블러스(Pilgrim Travelers)의 보컬리스트 제시 위태커(Jesse Whitaker)의 영향을 받았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오티스 레딩(Otis Redding)[22]에게 영향을 준 리틀 리처드(Little Richard)와 제임스 브라운(James Brown) 모두 동등하게 영향력이 있었다. 브라운은 "소울 음악의 대부"라는 별명을 얻었고,[14] 리처드는 자신의 음악이 세 가지 장르의 요소를 모두 담고 있고, 세 가지 장르의 아티스트들에게 영감을 주었기 때문에 자신을 "록 앤 롤, 리듬 앤 블루스, 소울의 왕"이라고 선언했다.[23]
샘 쿡(Sam Cooke)과 재키 윌슨(Jackie Wilson) 또한 소울의 선구자로 종종 인정받는다.[21][24] 쿡은 가스펠 그룹 더 소울 스터러스(the Soul Stirrers)의 리드 싱어로 인기를 얻은 후, 세속 음악으로 전향했다. 1957년 그의 "유 센드 미(You Send Me)" 녹음은 성공적인 팝 경력을 시작하게 했다. 그의 1962년 녹음곡 "브링 잇 온 홈 투 미(Bring It On Home To Me)"는 "소울 경험을 정의하는 최초의 레코드일지도 모른다"고 묘사되었다.[25] 쿡과 제임스 브라운과 동시대 인물인 재키 윌슨 또한, 특히 1957년 히트곡 "릿 쁘띠(Reet Petite)"를 통해 크로스오버(crossover) 성공을 거두었다.[26] 그는 특히 극적인 전달력과 공연으로 인해 특히 영향력이 있었다.[27]
2. 2. 발전과 확산 (1960년대)


1960년대는 소울 음악의 황금기였다. 디트로이트에서 프로듀서 돈 데이비스는 조니 테일러(Johnnie Taylor)와 드라마틱스(the Dramatics)와 같은 스택스 레코드(Stax Records) 아티스트들과 작업했다.[43] 디트로이트 에메랄드(the Detroit Emeralds)의 1970년대 초반 녹음 작품, 예를 들어 ''두 미 라이트''는 소울과 후대의 디스코 스타일을 잇는 연결 고리이다.[44]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베리 고디(Berry Gordy)가 설립한 탐라/모타운(Tamla/Motown) 레이블 그룹은 대부분의 초기 독립 R&B 레이블과 달리 흑인 소유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레이블 소속의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로는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Gladys Knight & the Pips), 슈프림스(the Supremes), 템테이션스(the Temptations), 미라클스(the Miracles), 포탑스(The Four Tops), 마블레츠(the Marvelettes), 메리 웰스(Mary Wells), 주니어 워커 앤 더 올스타스(Jr. Walker & the All-Stars),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마빈 게이(Marvin Gaye), 태미 테렐(Tammi Terrell), 마사 앤 더 밴델라스(Martha and the Vandellas),[54] 그리고 잭슨 5(the Jackson Five)가 있다.
히트곡들은 마치 산업용 "생산 라인" 방식과 같은 준산업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프로듀서와 작곡가들은 3분짜리 곡에 예술적 감각을 불어넣었다. 브라이언 홀랜드(Brian Holland), 라몬트 도지어(Lamont Dozier), 그리고 에디 홀랜드(Eddie Holland)는 작곡가이자 음반 프로듀서로서 슈프림스(the Supremes), 포탑스(The Four Tops), 그리고 마사 앤 더 밴델라스(Martha and the Vandellas)의 곡을 만들어 차트에서 거의 내려온 적이 없었다.[54] 그들은 짙은 음악적 질감 속에서 중요한 요소들이 빛을 발하도록 했다. 리듬은 손뼉이나 탬버린으로 강조되었다. 스모키 로빈슨(Smokey Robinson)은 또 다른 작곡가이자 음반 프로듀서로, 자신의 그룹인 미라클스(the Miracles)의 "내 눈물의 자취(The Tracks of My Tears)"에 가사를 붙였는데, 이 곡은 그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곡 중 하나였다.
스택스 레코드(Stax Records)와 애틀랜틱 레코드(Atlantic Records)스택스 레코드(Stax Records)와 애틀랜틱 레코드(Atlantic Records)는 당대 유명 가수들을 대거 배출하며 고품질의 댄스 음반을 제작한 독립 레이블이었다.[55] 이들은 표현력이 넘치는 가스펠풍 보컬이 특징인 소규모 앙상블을 주로 사용했으며, 금관악기와 색소폰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56] 에스텔과 제임스 스튜어트 남매가 설립한 스택스 레코드(Stax Records)는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에 이어 두 번째로 성공적인 레코드 레이블이었다. 오티스 레딩(Otis Redding), 윌슨 피켓(Wilson Pickett), 스테이플 싱어스(the Staple Singers) 등 많은 가수들의 히트곡을 발매했다.[57] 아흐메트 에르테군(Ahmet Ertegun)은 1944년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까지 외교관을 꿈꿨으나, 친구인 허브 아브람슨(Herb Abramson)과 함께 1947년 애틀랜틱 레코드(Atlantic Records)를 설립했다. 에르테군은 레이 찰스(Ray Charles)와 클로버스(the Clovers)를 위해 많은 노래를 작곡했으며, 심지어 자신의 가수였던 빅 조 터너(Big Joe Turner)의 노래 "Shake Rattle and Roll"에서 코러스를 부르기도 했다.[58]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의 아티스트들인 마빈 게이(Marvin Gaye),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스모키 로빈슨(Smokey Robinson)은 소울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지만, 그들의 음반은 레딩(Redding), 프랭클린(Franklin), 카(Carr)의 음반보다 팝 음악에 더 가까운 것으로 여겨졌다.[36] 시카고 출신 아티스트들의 음반은 고전 소울 음악과 스타일이 다르지만, 종종 이 장르의 일부로 간주된다.[45]
2. 3. 변화와 다양화 (1970년대)
1970년대에는 소울 음악이 펑크, 사이키델릭 록 등 다른 장르의 영향을 받아 더욱 다양하게 발전했다. 제임스 브라운,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등은 펑크 음악으로 발전한 대표적인 아티스트들이다. 마빈 게이, 스티비 원더, 커티스 메이필드 등은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소울 음악을 발표하여 대중들의 공감을 얻었다.이 시기에는 필라델피아 소울 등 새로운 하위 장르도 등장했다. 필라델피아 소울은 부드러운 사운드와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편곡이 특징이다.
2. 4. 쇠퇴와 부활 (1980년대 이후)
1980년대에 블랙 컨템포러리가 유행하면서 소울은 쇠퇴하는 듯 보였으나, 1990년대에 R&B가 다시 소울을 잇는 노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93] 소울과 블랙 컨템포러리의 큰 차이점은 소울에는 샤우트와 같은 강렬한 표현이 있지만, 블랙 컨템포러리는 샤우트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93]3. 하위 장르
소울 음악은 다양한 하위 장르로 발전했으며, 지역 및 음악적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구분 | 하위 장르 | 설명 |
---|---|---|
지역별 | 디트로이트 (모타운) 소울 | 팝 음악에 가까운 사운드로, 가스펠 음악의 영향을 받은 강력한 리듬감을 특징으로 한다. 손뼉 치는 소리, 베이스라인, 현악 및 관악 세션, 비브라폰 등이 사용되었다.[59] |
필라델피아 소울(필리 소울) | (하위 섹션 지역별에서 상세히 다룸) | |
시카고 소울 | 고전 소울 음악과 스타일이 다르지만, 종종 이 장르의 일부로 간주된다.[45] | |
1960년대 후반 영국 모즈족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강한 비트와 빠른 템포의 소울 음악을 기반으로 한다. "노던 소울"이라는 용어는 기자 데이브 고딘이 만들었다.[80] | ||
딥 소울(사우스 소울) | 미국 남부 사운드의 딥하고 블루지하며 펑키한 음악성이 특징이다. | |
음악적 특징별 | 블루아이드 소울 | 백인 아티스트들이 연주하는 소울 음악.[81] |
딥 소울 | 미국 남부의 흥겨운 가스펠 음악 사운드와 R&B의 에너지를 결합한 역동적이고 활기찬 스타일. | |
두왑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고고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펑크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뉴 잭 스윙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재즈 소울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부가루(라틴 소울) | (하위 섹션 음악적 특징별에서 상세히 다룸) | |
기타 | 스위트 소울 | 일본 고유의 표현 |
이 외에도 자메이카의 스카, 록스테디, 레게에서도 소울풀한 가수들이 활약해 왔다. 대표적인 가수로는 Alton Ellis[99], Toots Hibbert((The Maytals)[100], Dennis Brown[101], 리치 스티븐스 등이 있다.
3. 1. 지역별
디트로이트의 모타운 레코드는 돈 데이비스등의 프로듀서들과 마빈 게이(Marvin Gaye),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스모키 로빈슨(Smokey Robinson) 등의 아티스트들을 통해 소울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이들의 음반은 팝 음악에 더 가까운 것으로 평가받는다.[36] 조니 테일러(Johnnie Taylor)와 드라마틱스(the Dramatics)는 스택스 레코드(Stax Records) 아티스트로 활동했다.[43] 디트로이트 에메랄드(the Detroit Emeralds)의 ''두 미 라이트''는 소울과 디스코를 잇는 연결 고리로 평가받는다.[44]
모타운 레코드의 소울 음악은 가스펠 음악의 영향을 받은 강력한 리듬감을 특징으로 하며, 손뼉 치는 소리, 베이스라인, 현악 및 관악 세션, 비브라폰 등이 사용되었다. 올뮤직(AllMusic)은 모타운을 팝 소울의 선구적인 레이블로 평가한다.[59] 다이애나 로스(Diana Ross), 잭슨 5(the Jackson 5),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빌리 프레스턴(Billy Preston)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59] 1960년대 인기를 얻은 모타운 스타일은 1970년대에 더욱 세련되어 디스코로 이어졌다.[59]
테네시주 멤피스의 스택 레코드(Stax Records)[55]와 하이 레코드(Hi Records)에서 제작된 "멤피스 소울"은 멜랑콜리하고 멜로디컬한 호른 연주, 해먼드 오르간, 베이스, 드럼이 특징이다. 알 그린(Al Green)과 부커 T. 앤드 더 M.G.'s(Booker T. & the M.G.'s)의 녹음에서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시카고 출신 아티스트들의 음반은 고전 소울 음악과 스타일이 다르지만, 종종 이 장르의 일부로 간주된다.[45]
3. 2. 음악적 특징별
- '''딥 소울/서던 소울:''' 미국 남부의 흥겨운 가스펠 음악 사운드와 R&B의 에너지를 결합한 역동적이고 활기찬 스타일이다.
- '''프로그레시브 소울:''' 프로그레시브 록의 영향을 받아 앨범 지향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세련된 음악성과 야심찬 가사를 특징으로 한다.
- '''사이키델릭 소울:''' 사이키델릭 록과 소울 음악이 결합된 장르로, 펑크 음악의 등장에 영향을 주었다.
- '''블루아이드 소울''': 백인 아티스트들이 연주하는 소울 음악을 의미한다. 1960년대 중반 (Motown Records)와 (Stax Records)가 발매한 음악과 유사한 소울과 R&B를 연주한 (The Righteous Brothers), (the Rascals), (Spencer Davis Group), (Steve Winwood), 밴 모리슨 앤 뎀(Van Morrison & Them), (the Grass Roots) 등이 유명했다.[81] 1970년대와 1980년대에도 영국 언론에서 스택스와 모타운 사운드의 요소를 채택한 새로운 세대의 가수들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Hall & Oates), (David Bowie), (Teena Marie), (Hamilton, Joe Frank & Reynolds), (Frankie Valli), (Christina Aguilera), (Amy Winehouse), (Adele) 등도 블루아이드 소울 가수로 알려져 있다.
- '''브라운아이드 소울''': 주로 히스패닉계 미국인들이 만들고 연주한 소울 음악을 의미한다.[82][83]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영향을 받고, 종종 록 음악의 영향을 포함한다.[84] 이는 백인 아티스트들이 연주하는 블루아이드 소울과 대조된다.[85] (Ritchie Valens)는 전통 라틴 음악과 록 앤 롤의 영향을 이 장르에 도입한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이다. 동부와 서부 해안의 라틴계 그룹들은 펑크의 영향을 받은 필라델피아 소울의 영향을 받았다. 서부 해안의 (Latin rock) 신 또한 영향을 미쳤다. (Cannibal & the Headhunters)("천 개의 춤의 땅" (Land of a Thousand Dances))와 (Thee Midniters)는 반항적인 록 앤 롤의 감각을 지닌 브라운아이드 R&B 음악을 연주했다. 이들은 (frat rock)과 (garage rock) 신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서부 해안의 많은 히스패닉 인구는 활기찬 R&B에서 로맨틱 소울로 점차 멀어졌고, 그 결과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들었던 가장 달콤한 소울 음악 중 일부"였다.[82]
- '''노던 소울''': 1960년대 후반 영국 모즈족 문화에서 시작된 영국 잉글랜드 북부와 잉글랜드 미들랜즈에서 유래한 음악 및 댄스 운동으로, 강한 비트와 빠른 템포의 특정 스타일의 소울 음악을 기반으로 한다. "노던 소울"이라는 용어는 기자 데이브 고딘이 만들었고 그의 ''블루스 앤 소울'' 잡지 칼럼을 통해 유행하게 되었다.[80] 희귀한 소울 레코드는 나이트클럽의 DJ들이 틀었는데, 모타운과 소규모 레이블의 것들과 같이, 반드시 미국 북부 출신은 아닌, 빠른 템포의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미국의 무명 음반들이 포함되었다.
- '''네오 소울''': 1970년대 소울 스타일의 보컬과 악기 연주에 컨템포러리 R&B 사운드, 힙합 비트, 그리고 시적인 간주곡을 결합한 장르이다.
4. 주요 아티스트 및 레이블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는 베리 고디가 설립한 흑인 소유의 독립 R&B 레이블로,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슈프림스, 템테이션스, 미라클스, 포탑스, 마블레츠, 메리 웰스, 주니어 워커 앤 더 올스타스, 스티비 원더, 마빈 게이, 태미 테렐, 마사 앤 더 밴델라스, 잭슨 5 등 수많은 아티스트를 배출했다.[54] 모타운은 "생산 라인" 방식처럼 히트곡을 만들었는데, 브라이언 홀랜드, 라몬트 도지어, 에디 홀랜드가 슈프림스, 포탑스, 마사 앤 더 밴델라스의 곡을 통해 이를 주도했다.[54] 스모키 로빈슨은 미라클스의 "내 눈물의 자취"를 작사했다.
스택스 레코드와 애틀랜틱 레코드는 독립 레이블로서, 가스펠풍 보컬을 가진 소규모 앙상블과 금관악기, 색소폰을 활용한 댄스 음반을 제작했다.[55][56] 스택스 레코드는 에스텔과 제임스 스튜어트 남매가 설립, 모타운 레코드 다음으로 성공했으며, 오티스 레딩, 윌슨 피켓, 스테이플 싱어스 등의 히트곡을 냈다.[57] 애틀랜틱 레코드는 아흐메트 에르테군과 허브 아브람슨이 1947년 설립, 에르테군은 레이 찰스, 클로버스의 곡을 작곡하고 빅 조 터너의 "Shake Rattle and Roll" 코러스를 맡았다.[58]
하이 레코드(Hi Records)는 멤피스 기반 레이블로, O.V. 라이트, 보비 브랜드, 오티스 클레이, 앤 피블스, 알 그린 등의 솔 레코드로 "멤피스 소울" 탄생에 기여했다.[92]
4. 1. 주요 아티스트
레이 찰스, 샘 쿡, 재키 윌슨, 오티스 레딩, 아레사 프랭클린, 제임스 브라운, 마빈 게이, 스티비 원더, 커티스 메이필드 등은 솔 음악의 주요 아티스트이다.- 레이 찰스: 솔 음악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가스펠, 블루스, 재즈를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
- 샘 쿡: 감미로운 목소리와 세련된 창법으로 '스위트 소울'의 시대를 열었다.
- 재키 윌슨: 폭발적인 가창력과 화려한 무대 매너로 초기 솔 음악의 인기를 이끌었다.
- 오티스 레딩: 거칠고 열정적인 보컬과 호소력 짙은 가사로 '서던 소울'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 아레사 프랭클린: 압도적인 가창력과 깊은 감정 표현으로 '솔의 여왕'으로 불린다.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Respect"(오티스 레딩 작곡), "Do Right Woman, Do Right Man" 등의 노래는 그녀의 대표곡이다.[81][34][35]
- 제임스 브라운: 강렬한 리듬과 독특한 보컬 스타일로 '소울의 대부'로 불리며, 펑크(funk) 음악의 탄생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마빈 게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앨범 《What's Going On》을 통해 솔 음악의 지평을 넓혔다.
- 스티비 원더: 뛰어난 작곡 능력과 연주 실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폭넓은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 커티스 메이필드: 사회 문제를 다룬 가사와 섬세한 음악적 감각으로 '시카고 소울'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평가받는다.
- 솔로몬 버크: 1960년대 초반, "Cry to Me", "Just Out of Reach", "Down in the Valley" 등의 노래는 솔 음악의 고전으로 여겨진다.
- 윌슨 피켓: 1960년대 중반, 스택 레코드(Stax Records)에서 활동하였다.
- 알 그린: 1970년대에 하이 레코드(Hi Records)에서 활동하며, 멤피스 소울을 대표하는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 아서 콘리[102]
- 알 존슨[104]
- 알렉산더 오닐[105]
- 앤 섹스턴(Ann Sexton)
- 앤 피블스
- 에디 플로이드
- 에드윈 스타
- 클라렌스 카터
- 쿨 앤 더 갱
-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 KC 앤 더 선샤인 밴드
- 샘 앤 데이브
- 제임스 카
- 제임스 고반
- 조 텍스
- 조니 테일러[106]
- 스타일리스틱스
- 스모키 로빈슨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대니 해서웨이
- 테디 펜더그래스
- 더 템테이션스
- 더 바케이스
- 퍼시 슬레지
- 배리 화이트
- 해롤드 멜빈 앤 더 블루 노츠
- 빌리 폴
- 포 탑스
- 프린스
- 보비 우맥
- 미라클스
- 멜빈 데이비스[107]
- 리 도시
- 리틀 앤서니 앤 더 임페리얼스[108]
- 루터 인그램
- 루비 존슨
4. 2. 주요 레이블


솔 음악의 주요 레이블은 다음과 같다.
- '''애틀랜틱 레코드''': 솔로몬 버크가 1960년대 초반에 발표한 "Cry to Me", "Just Out of Reach", "Down in the Valley" 등은 솔 음악의 고전으로 여겨진다.[32] 아레사 프랭클린이 1967년에 녹음한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Respect", "Do Right Woman, Do Right Man" 등은 중요하고 상업적으로도 성공했다.[81][34][35]
- '''Stax 레코드''': 오티스 레딩과 윌슨 피켓 등 새로운 솔 가수들이 활동했다. 레딩은 1962년부터 1964년 사이에 감상적인 가사가 특징인 솔 발라드를 주로 녹음했다.[33]
- '''필라델피아 인터내셔널 레코드''': (주어진 자료에는 언급되지 않음)
분류:솔 음악
분류:음반사
5. 한국 소울 음악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일본 솔 음악 아티스트 목록이며, '한국 소울 음악' 섹션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변경 없음)
6. 사회문화적 영향
1940년대에 이미 리듬 앤 블루스(R&B)가 존재했지만,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고스펠(Gospel) 색채가 더욱 짙어지면서 소울 뮤직이라고 불리게 되었다.[88] 소울은 R&B와 명확한 경계를 긋기 어렵고, 레코드 가게의 장르 분류나 업계 신문, 라디오 히트 차트 등에서도 "소울/R&B"와 같이 하나의 세트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소울은 상업 음악이자 대중음악이며, 문화적, 예술적 가치도 지닌다. 고스펠에서 유래한 코드 진행, 베이스를 강조한 리듬, 콜앤레스폰스(call and response)의 사용 등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가수로는 오티스 레딩, 아레사 프랭클린, 윌슨 피켓[89], 샘 앤 데이브[90], 조 텍스[91], 클라렌스 카터, 솔로몬 버크 등이 있다.
아폴로 극장은 소울을 비롯한 흑인 엔터테인먼트의 성지로 여겨진다.
6. 1. 미국
소울 음악(Soul music영어)은 흑인 민권 운동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흑인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소울 음악은 흑인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패션, 댄스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6. 2. 한국
한국에서는 소울 음악이 저항 정신과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중도진보 성향의 예술가들은 소울 음악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표현했다.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Swamp Rock? A look at this Southern mix of country, funk, and soul
https://www.liveabou[...]
Liveabout
2019-02-24
[2]
웹사이트
Soul Music
https://www.encyclop[...]
[3]
웹사이트
soul music
https://www.britanni[...]
[4]
서적
Beyond Memory: Recording the History, Moments and Memories of South African Music
https://books.google[...]
African Minds
2013-09-11
[5]
간행물
2000: A Soul Odyssey
https://www.billboar[...]
2020-03-26
[6]
학술지
Soul Music: Its Sociolog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in American Popular Culture
https://doi.org/10.1[...]
1983-09
[7]
서적
Rockin' in Time
Pearson
[8]
웹사이트
Soul Music {{!}} The History of Rock and Roll Radio Show
https://thehistoryof[...]
[9]
서적
Popmuusikast
Eesti Raamat
[10]
웹사이트
Soul music {{!}} Definition, Songs, Artist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1]
웹사이트
Digging Into the Classic Soul of Stax Records
https://daily.bandca[...]
2022-06-13
[12]
서적
Rockin' in Time
Pearson
[13]
서적
The Rolling Stone Illustrated History of Rock & Roll
Rolling Stone
[14]
웹사이트
James Brown: Soul Survivor
https://www.pbs.org/[...]
PBS
2003-10-29
[15]
웹사이트
About Soul
http://www.allmusic.[...]
[1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17]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18]
웹사이트
Little Richard –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19]
웹사이트
Timeline of Musical Styles & Guitar History
https://acousticmusi[...]
[20]
방송
Pop Chronicles
[21]
웹사이트
Episode guides to ''Soul Deep – The Story Of Black Popular Music''
https://www.bbc.co.u[...]
BBC Music
[22]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Little Richard: The Authorised Biography
Omnibus Press
[23]
서적
Hog and Hominy: Soul Food from Africa to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방송
The Soul Reformation: More on the evolution of rhythm and blues. [Part 3]
https://digital.libr[...]
[25]
서적
The Rolling Stone Illustrated History of Rock & Roll
Rolling Stone
[26]
웹사이트
James Brown {{!}} Biography, Songs, Movi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09
[27]
서적
The Rolling Stone Illustrated History of Rock & Roll
Rolling Stone
[28]
간행물
Album Reviews - Popular Picks of the Week
https://www.american[...]
1961-02-25
[29]
뉴스
Ike and Tina to Give with 'Soul Music'
https://www.newspape[...]
1963-02-25
[30]
웹사이트
Ike & Tina Turner {{!}} Artist {{!}} GRAMMY.com
https://www.grammy.c[...]
[31]
뉴스
Chitlin' Circuit: Black performers' soulful showcase during segregation
https://www.ajc.com/[...]
[32]
서적
The Rolling Stone Illustrated History of Rock & Roll
Rolling Stone
[33]
서적
The Rolling Stone Illustrated History of Rock & Roll
Rolling Stone
[34]
서적
Top R&B/Hip-Hop Singles: 1942–2004
Record Research
[35]
서적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d You: Aretha Franklin, Respect, and the Making of a Soul Music Masterpiece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36]
웹사이트
Motown: The Sound that Changed America
https://www.motownmu[...]
2016-10-27
[37]
웹사이트
Percy Sledge: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38]
웹사이트
James Carr: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39]
웹사이트
Deep Soul
http://s.telegraph.c[...]
2016-10-27
[40]
웹사이트
Hi Records producer Willie Mitchell set the tone for polished Memphis soul
http://www.waxpoetic[...]
2014-06-25
[41]
뉴스
Chips Moman: The Cream Interview
http://www.nashville[...]
2012-08-17
[42]
웹사이트
Remembering Chips Moman
https://www.gracelan[...]
2016-06-14
[43]
웹사이트
Don Davis: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5
[44]
웹사이트
The Detroit Emeralds
http://www.allmusic.[...]
2016-10-25
[45]
웹사이트
Chicago Soul
http://www.allmusic.[...]
2016-10-25
[46]
웹사이트
Psychedelic Soul
http://www.allmusic.[...]
2016-10-26
[47]
웹사이트
The Meters: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48]
웹사이트
War: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49]
웹사이트
Daryl Hall & John Oates: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50]
웹사이트
Tower of Power: Artist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6-10-27
[51]
웹사이트
Soul Train and Pain: New Book Explores The Legacy of Don Cornelius' Empire
http://www.huffingto[...]
2013-11-30
[52]
웹사이트
It all Started with Soul Train
http://soultraincrui[...]
2015-08-12
[53]
뉴스
"Soul Train" creator Don Cornelius commits suicide
https://www.reuters.[...]
2012-02-00
[54]
문서
Motown artists
[55]
뉴스
The rebirth of the blues: Soul
https://www.saturday[...]
1969-02-08
[56]
서적
Pop Music: The Textbook
Peters Editions
2013-11-01
[57]
논문
Estelle Stewart Axton, 85, A Founder of Stax Records
New York Times
2004-00-00
[58]
논문
Review of: Atlantic Records: The House That Ahmet Built, by Susan Steinberg
Notes
2008-00-00
[59]
웹사이트
Pop-Soul
http://www.allmusic.[...]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2-07-15
[60]
간행물
Raphael Saadiq: The Way I See It
http://www.rollingst[...]
2008-10-30
[61]
서적
Pop When the World Falls Apart: Music in the Shadow of Doubt
Duke University Press
[62]
문서
[63]
웹사이트
The week's 29 best concerts: Nov. 30-Dec. 6
http://www.citypages[...]
2016-11-30
[64]
뉴스
Bilal '1st Born Second'
https://www.washingt[...]
2011-10-12
[65]
서적
Without Frontiers: The Life & Music of Peter Gabriel
Omnibus Press
[66]
간행물
Joi: Star Kity's Revenge (Universal)
https://books.google[...]
2002-03-00
[67]
뉴스
Bilal's New A Love Surreal Was Inspired by Salvador Dali
https://www.villagev[...]
2013-02-25
[68]
뉴스
Janelle Monae comes back down to earth on 'Dirty Computer'
https://www.chicagot[...]
2018-04-27
[69]
간행물
2000: A Soul Odyssey
https://www.billboar[...]
2020-03-26
[70]
서적
Sonic Cool: the Life & Death of Rock 'n' Roll
Hal Leonard Corporation
2002-00-00
[71]
웹사이트
Psychedelic Soul
https://web.archive.[...]
2018-11-26
[72]
학술지
Performing Glam Rock: Gender and Theatricality in Popular Music (review)
http://muse.jhu.edu/[...]
MIT Press
2016-02-16
[73]
서적
Britfunk: Black British Popular Music, Identity and the Recording Industry in the Early 1980s
Aldershot: Ashgate
2014-01-01 #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74]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 of the Beatles
Music Sales Group
1998-01-01 #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75]
서적
Icons of R&B and soul: an encyclopedia of the artists who revolutionized rhythm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01-01 #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76]
웹사이트
Disco Savvy: The Complete Disco Guide to Delegation - disco and funk
http://www.discosavv[...]
2018-09-29
[77]
서적
Soul: Black power, politics, and pleas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7-01-01 #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78]
뉴스
Selling their soul: women leading the way in R&B British invasion
http://www.canada.co[...]
Canada.com
2008-06-09
[79]
뉴스
The New British Invasion: Soul Divas 2008
http://thedailyvoice[...]
The Daily Voice
2008-04-30
[80]
웹사이트
Chris Hunt - Wigan Casino
http://www.chrishunt[...]
2018-09-29
[81]
방송
Show 52 – The Soul Reformation: Phase three, soul music at the summit. [Part 8]
https://digital.libr[...]
[82]
웹사이트
Brown-eyed Soul
https://www.allmusic[...]
2008-12-30
[83]
뉴스
Sonidos Latinos Latin Sounds / A True Talent, in English and Spanish
2000-09-17
[84]
서적
The Ultimate Soul Music Trivia Book
[85]
서적
Urban Spacemen and Wayfaring Strangers
Hal Leonard Corporation
2000-01-01 # 날짜 정보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86]
웹사이트
Gospel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2020-12-26
[87]
웹사이트
Blues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2020-12-26
[88]
백과사전
ソウルミュージック
https://kotobank.jp/[...]
[89]
음반
イン・ザ・ミッドナイト・アワー
[90]
음반
ホールド・オン, ソウル・マン
[91]
웹사이트
Joe Tex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20-12-26
[92]
웹사이트
Hi Records producer Willie Mitchell set the tone for polished Memphis soul
https://web.archive.[...]
2022-06-10
[93]
서적
ソウル&ファンク
ミュージック・マガジン社
[94]
문서
에디 그랜트가 재직했던 그룹
[95]
음반
サッド・スウィート・ドリーマー
1974-01-01 # 연도 정보만 있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96]
뉴스
Why Errol Brown's Hot Chocolate were a far stranger group than they are given credit for
https://www.theguard[...]
Guardian Media Group
2020-12-26
[97]
웹사이트
ルース・エンズ
https://www.allmusic[...]
2023-07-19
[98]
웹사이트
ミーシャ・パリス
https://p-vine.jp/ar[...]
2023-02-04
[99]
음반
ロックステディ
[100]
음반
トゥーツ・イン・メンフィス
1988-01-01 # 연도 정보만 있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101]
음반
マネー・イン・マイ・ポケット
[102]
웹사이트
Authur Conley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20-12-26
[103]
음반
레츠 스테이 투게더, 히어 아이 엠, 러브 앤 해피니스 등
[104]
문서
1948-2013. 도시적인 소울을 불렀던 가수. 65세로 사망.
[105]
음반
イノセント
1985-01-01 # 연도 정보만 있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106]
웹사이트
Johnnie Taylor {{!}} Biography & History
2020-12-26
[107]
문서
에이스・데이의 리드싱어를 맡았던 북부의 딥소울 가수.
[108]
문서
"하트 소 배드", "티어스 온 마이 필로우"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109]
문서
블루진스의 "태양에게 외치자" 등에서 리드를 맡았던 GS 시대의 일본 소울 가수.
[110]
문서
유명한 소울 음악 평론가인 사쿠라이 유타카가 밀착 지도한 일본 소울 GS. 제임스 브라운의 커버곡 등을 부른다. 야마시타 타츠로도 평가하는 밴드.
[111]
문서
대표곡으로 "메리 제인"이 있다.
[112]
문서
1979년의 "오사카에서 태어난 여자"가 히트했다. 하기와라 켄이치가 동곡을 커버했다. 또 BORO는 당시 미야모토 노리코와 친분이 있었다.
[113]
문서
미키 커티스가 프로듀스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