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원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시의 시내버스는 수원시 관내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운임은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차량 내 안내방송이 이루어진다. 2022년 1월 기준 경진여객, 대원고속, 삼경운수,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 용남버스가 운행하며, 경기, 성남, 안산, 오산, 의정부, 용인, 화성 등 다른 시/군의 면허를 가진 업체들도 수원시를 경유한다.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며, 일반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수원시의 교통 -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09호선은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 과천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도로, 2005년 신규 지정되었으며, 서수원 ~ 의왕 간 고속화도로 구간 확장 등의 변화가 있었고, 포승읍, 향남읍, 정남면, 봉담읍, 매송면, 권선구, 부곡동, 고천동, 오전동, 청계동, 문원동, 과천동 등을 경유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수원시의 시내버스
버스 정보
지역수원시
구분시내버스
수원시내버스 13-4번
수원시내버스 13-4번
관리 기관수원시청 대중교통과
차적지경기도 수원시
운행 지역경기도 수원시 전역, 용인시, 안산시, 평택시, 화성시, 오산시, 성남시,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과천시, 서울특별시 일부
노선 수130
인가 대수1,220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사이트수원시 버스노선

2. 운임

2. 1. 운임 체계

수원시 관내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의 운임에 대한 정보는 마을버스 운임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환승 할인

수원시의 시내버스도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는다. 수도권 통합운임제는 서울 - 경기 - 인천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시 총 이동거리에 따라 운임을 부과되는 운임 체계다. 시내일반 노선의 경우 이동거리 10km 이하까지의 운임은 1,450원이며, 초과시 매 5km마다 1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3. 차량 안내방송

현재 수원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양진텔레콤으로 대부분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통일되어 있는 서울 면허의 차량과는 달리,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서울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수원시 연장 개통되면 보이스웨어 유미는 녹음을 사용한다.

수원, 성남 지역의 버스 노선 중에는 본시스템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노선들이 있는데, GPS방식의 안내방송이어서 GPS 음영지역에서 방송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일부 노선에서 실시되는 안내방송의 경우,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데도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해 노선들 간의 정류소 명칭이 다르게 방송된다.

3. 1. GPS 음영지역 문제

3. 2. 정류소 명칭 상이 문제

4. 운행업체

4. 1. 시내버스 운행업체

2022년 1월 기준 수원시 면허 시내버스 운행업체는 다음과 같다.[1]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경진여객1096
대원고속 (KD)221
삼경운수249
성우운수6111
수원여객39492
용남고속30301
용남버스423


4. 2. 다른 시, 군 면허 운행업체

광주 면허인 경기고속, 대원고속, 성남 면허인 성남시내버스, 대원버스, 안산 면허인 경원여객, 태화상운, 오산 면허인 오산교통, 의정부 면허인 경기고속, 용인 면허인 경남여객(본사는 수원시에 있지만 용인시 면허이다.), 화성 면허인 화성여객, 제부여객, 경진여객, 남양여객 등이 수원시를 경유한다.

5. 수원 시내 운행 노선

수원시내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일람이다. 비고란에 별다른 지역 언급이 없는 것은 수원시 면허 버스를 뜻한다.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2-1번 버스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천천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3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구운동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분이다.

수원여객의 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와 경희대학교 사이를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영통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5분이다. 5-2번 버스는 수원역환승센터에서 아이원.자이 파밀리에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남양여객제부여객이 공동 운행한다. 5-3번 버스는 남양여객에서 운행하며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아이원.자이파밀리에까지 운행하고, 상현역, 광교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동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7-1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동탄차고지에서 경기대학교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을 경유하며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7-1A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조원동(조원뉴타운)까지 운행하며, 동탄역, 망포역, 수원버스터미널, 수원역, 장안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25분이다. 7-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상현동)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성복역, 광교중앙역, 수원역, 수원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6~20분이다.

오산교통의 8번 버스는 오산교통 갈곶차고지에서 서천지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금곡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희대학교 캠퍼스에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9-1번 버스(용남고속)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공세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영통역, 경희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백암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기흥역, 용인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10-2번 버스(경남여객)는 흥덕지구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1~30분이다. 10-5번 버스(경남여객)는 용인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남양여객의 11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원시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환승센터,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12분이다. 11-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13번 버스(수원여객)는 광교산에서 금곡동(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8분이다. 13-1번 버스(수원여객)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금곡동 강남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시청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9분이다. 13-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능실마을 15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7~20분이다. 13-5번 버스(용남고속)는 동탄차고지에서 당수동 삼정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40분이다.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15-1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16-2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수원역을 13회 왕복 운행하며, 화서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용남고속의 1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수원여객의 20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20-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5분이다. 20-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신영통 현대타운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5분이다.

수원여객의 2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덕신상가)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세류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2분이다. 25-2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면 귀래리까지 6회 운행하며,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5-5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귀래산업단지까지 2회 운행하며, 출근 시간대에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7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지(풍덕천동)까지 운행하며,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5분이다.

30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0-1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2-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향남18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80분이다.

용남고속의 34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왕림휴게소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34-1번 버스(용남고속)는 34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수원여객의 35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향남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18분이다. 37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청명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20분이다.

제부여객의 39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향남환승터미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0~90분이다.

수원여객의 42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봉담2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오산교통의 46번 버스는 오산교통차고지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00분이다.

남양여객의 50-2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삼화리, 남전리까지 6회 운행한다. 50-3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덕고개까지 3회, 50-4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쌍학리까지 3회 운행한다. 50-5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창곡리·청요리까지 5회, 50-6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원리까지 3회 운행한다.

경남여객의 55번 버스는 상현역에서 강남대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40분이다.

대원고속의 60번 버스는 광주시 송정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광주터미널, 오리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2분이다.

수원여객의 61번 버스는 서부차고지(수원여대)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다. 6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성균관대역, 서수원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8분이다. 6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매교역,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대원고속의 65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경남여객의 66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66-4번 버스(경남여객)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8분이다.

수원여객의 80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광교호수마을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상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8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병점(신창미션힐.송화초교)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병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16분이다. 82-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세류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83-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15분이다.

용남고속의 88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조원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9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4분이다.

수원여객의 98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동탄신도시 나루마을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신도시 예솔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아주대학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2분이다. 99-2번 버스(용남고속)는 오목천동에서 곡반정동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수원여객의 11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2분이다.

화성여객의 116-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116-5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시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오산교통의 201번 버스는 오산 갈곶동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매교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75분이다. 202번 버스(오산교통)는 오산교통 탑동차고지에서 수원지방법원까지 운행하며, 오산대학교, 병점역, 세류역, 수원시청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분이다.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반도2차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50분이다. 203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장지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

성우운수의 300-1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병점동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301번 버스(성우운수)는 하북리(견산리)에서 범계역까지 운행하며,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7분이다. 310번 버스(성우운수)는 망포역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경희대학교, 영통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남양여객의 400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궁평항까지 운행하며, 광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30분이다. 400A번 버스(남양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사강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경남여객의 670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광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구성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5분이다.

경기고속의 700-2번 버스는 오리역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후문,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20분이다. 720-1번 버스(경기고속)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서현역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720-2번 버스(경기고속)는 수원대학교에서 백현동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죽전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5분이다. 720-3번 버스(화성여객)는 단국대학교에서 서동탄역파크자이까지 운행하며, 죽전역, 성복역, 상현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다.

화성여객의 721번 버스는 영통(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서희스타힐스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다.

용남고속의 777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성우운수의 900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다.

남양여객의 999번 버스는 연화장에서 현대기아연구소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5. 1. 일반시내버스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2-1번 버스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천천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3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구운동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분이다.

수원여객의 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와 경희대학교 사이를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영통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5분이다. 5-2번 버스는 수원역환승센터에서 아이원.자이 파밀리에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남양여객제부여객이 공동 운행한다. 5-3번 버스는 남양여객에서 운행하며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아이원.자이파밀리에까지 운행하고, 상현역, 광교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동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7-1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동탄차고지에서 경기대학교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을 경유하며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7-1A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조원동(조원뉴타운)까지 운행하며, 동탄역, 망포역, 수원버스터미널, 수원역, 장안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25분이다. 7-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상현동)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성복역, 광교중앙역, 수원역, 수원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6~20분이다.

오산교통의 8번 버스는 오산교통 갈곶차고지에서 서천지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금곡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희대학교 캠퍼스에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9-1번 버스(용남고속)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공세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영통역, 경희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백암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기흥역, 용인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10-2번 버스(경남여객)는 흥덕지구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1~30분이다. 10-5번 버스(경남여객)는 용인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남양여객의 11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원시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환승센터,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12분이다. 11-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13번 버스(수원여객)는 광교산에서 금곡동(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8분이다. 13-1번 버스(수원여객)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금곡동 강남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시청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9분이다. 13-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능실마을 15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7~20분이다. 13-5번 버스(용남고속)는 동탄차고지에서 당수동 삼정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40분이다.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15-1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16-2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수원역을 13회 왕복 운행하며, 화서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용남고속의 1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수원여객의 20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20-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5분이다. 20-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신영통 현대타운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5분이다.

수원여객의 2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덕신상가)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세류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2분이다. 25-2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면 귀래리까지 6회 운행하며,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5-5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귀래산업단지까지 2회 운행하며, 출근 시간대에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7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지(풍덕천동)까지 운행하며,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5분이다.

30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0-1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2-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향남18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80분이다.

용남고속의 34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왕림휴게소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34-1번 버스(용남고속)는 34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수원여객의 35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향남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18분이다. 37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청명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20분이다.

제부여객의 39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향남환승터미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0~90분이다.

수원여객의 42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봉담2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오산교통의 46번 버스는 오산교통차고지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00분이다.

남양여객의 50-2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삼화리, 남전리까지 6회 운행한다. 50-3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덕고개까지 3회, 50-4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쌍학리까지 3회 운행한다. 50-5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창곡리·청요리까지 5회, 50-6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원리까지 3회 운행한다.

경남여객의 55번 버스는 상현역에서 강남대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40분이다.

대원고속의 60번 버스는 광주시 송정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광주터미널, 오리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2분이다.

수원여객의 61번 버스는 서부차고지(수원여대)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다. 6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성균관대역, 서수원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8분이다. 6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매교역,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대원고속의 65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경남여객의 66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66-4번 버스(경남여객)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8분이다.

수원여객의 80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광교호수마을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상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8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병점(신창미션힐.송화초교)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병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16분이다. 82-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세류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83-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15분이다.

용남고속의 88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조원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9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4분이다.

수원여객의 98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동탄신도시 나루마을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신도시 예솔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아주대학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2분이다. 99-2번 버스(용남고속)는 오목천동에서 곡반정동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수원여객의 11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2분이다.

화성여객의 116-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116-5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시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오산교통의 201번 버스는 오산 갈곶동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매교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75분이다. 202번 버스(오산교통)는 오산교통 탑동차고지에서 수원지방법원까지 운행하며, 오산대학교, 병점역, 세류역, 수원시청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분이다.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반도2차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50분이다. 203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장지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

성우운수의 300-1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병점동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301번 버스(성우운수)는 하북리(견산리)에서 범계역까지 운행하며,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7분이다. 310번 버스(성우운수)는 망포역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경희대학교, 영통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남양여객의 400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궁평항까지 운행하며, 광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30분이다. 400A번 버스(남양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사강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경남여객의 670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광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구성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5분이다.

경기고속의 700-2번 버스는 오리역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후문,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20분이다. 720-1번 버스(경기고속)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서현역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720-2번 버스(경기고속)는 수원대학교에서 백현동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죽전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5분이다. 720-3번 버스(화성여객)는 단국대학교에서 서동탄역파크자이까지 운행하며, 죽전역, 성복역, 상현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다.

화성여객의 721번 버스는 영통(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서희스타힐스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다.

용남고속의 777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성우운수의 900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다.

남양여객의 999번 버스는 연화장에서 현대기아연구소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5. 2. 일반좌석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300삼경운수하북리(견산리)↔범계역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터미널, 동수원4, 한일타운, 파장동, 고천동, 호계46~8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1004제부여객제부도입구↔수원역서신, 송산, 마도, 남양, 비봉, 매송, 오목천동, 고색동15~30화성 면허 시내버스1004-1제부여객전곡항
탄도↔수원역전곡리, 송산, 마도, 남양, 비봉, 매송, 오목천동, 고색동6회화성 면허 시내버스


5. 3. 직행좌석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2007삼경운수수원역단대오거리역수원여고,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요금소, 청계요금소, 모란역8~123000경진여객수원여자대학교강남역수원역, 팔달문,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6~133002용남고속남부공영차고지
(곡반정동)↔강남역수원터미널, 수원시청역, 월드컵경기장, 수원광교박물관, 성복동,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25~40대광위 준공영제 노선3003용남버스수원여자대학교강남역서둔동, 구운동, 정자3동, 성균관대역,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10~303007용남고속수원터미널강남역권선고교,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시민의숲, 양재역5~303008(2층)용남고속선일초교↔강남역권선고교,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신논현역15회2층버스 운행4000성우운수사송동
공영차고지↔수원터미널성남시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판교역, 운중동, 경기대후문, 월드컵경기장, 아주대학교, 뉴코아35~505100용남고속경희대학교강남역영통역, 청명역,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6~30경희대학교 캠퍼스 진입G5100용남고속경희대학교강남역영통역, 청명역,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3회굿모닝 급행버스
2층버스 운행7000용남고속경희대학교사당역영통역, 청명역,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의왕요금소, 관문411~20대광위 준공영제 노선7001용남고속수원터미널사당역권선고교,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의왕요금소, 관문420~30대광위 준공영제 노선7002용남고속남부공영차고지
(곡반정동)↔인덕원역수원시청역, 월드컵경기장, 수원광교박물관, 성복동, 청계동40~707770경진여객수원역사당역수원여고,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요금소, 관문42~10평일은 24시간 운행
2층버스 운행7780경진여객고색동↔사당역권선구청, 구운동, 정천초중교, 정자동 동신아파트, 동원고, 의왕요금소, 관문45~202층버스 운행7800경진여객서부차고지↔사당역금곡동,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원고, 의왕요금소, 관문44~202층버스 운행8401경기고속수원역경기도청북부청사병무청, 장안문, 경기일보,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장암주공5단지, 신곡2동평일 6회
주말 2회의정부 면허 시내버스
경기순환버스
구리시 미경유
8409번 차량으로 운행8409경기고속수원역경기도청북부청사병무청, 장안문, 경기일보,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역, 돌다리, 배탈고개, 장암역, 망월사역, 의정부역, 의정부터미널30~60의정부 면허 시내버스경기순환버스8450용남고속수원터미널고양종합터미널수원역, 웃거리.힐스테이트수원테라스, 서수원버스터미널, 산본역,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백석동.요진와이시티(백석역)40~60구 시외버스 R8450번8471경진여객수원역↔안중터미널봉담, 발안, 제약공단, 청북읍사무소4회화성 면허 시내버스8472경진여객수원역↔안중터미널봉담, 발안, 제약공단, 청북읍사무소, 청북신도시40~60화성 면허 시내버스8800용남고속수원터미널↔서울역환승센터문화의전당,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우만4단지, 경기대후문, 순천향대학병원, 서울백병원, 을지로입구역15~409090성우운수수원역안산역서수원터미널, 대명고, 사사동, 상록수역, 성안고, 안산터미널, 스타프라자, 안산시청, 원곡동8~109802경진여객수원역조암터미널봉담, 향남터미널, 발안, 제암리, 수촌리30-50화성 면허 시내버스


5. 4. 광역급행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M5107경기고속경희대학교서울역 환승센터영통역, 청명역, 두진아파트, 명동, 을지로입구7~10광주 차적M5115경기고속광교마을↔서울역 환승센터광교테크노밸리, 경기대학교후문, 명동, 을지로입구20~30광주 차적M5121경기고속삼성전자↔서울역 환승센터매탄동, 광교테크노밸리, 명동, 을지로입구15~20광주 차적M5422대원고속삼성전자↔강남역매탄동, 광교테크노밸리,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aT센터15~20광주 차적M5532용남고속오산
갈곶동사당역원동초교, 오산역, U-City센터, 세교13단지, 죽미마을입구, 남부터미널, 예술의 전당, 방배동15~35수원시 미경유M5443경진여객호매실능실마을↔강남역수원은혜교회, 휴먼시아5단지, 칠보마을8단지, 홈플러스서수원점, 서수원버스터미널, 서초아트자이아파트→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25~35


6.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