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진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진여객은 1970년 대명여객으로 설립된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81년 정운여객으로, 1983년 경진운수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00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시외버스,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했으며, 노선 양수 및 양도, 신설을 통해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M버스) 등을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도시형 버스, 일반좌석버스, 시외버스 등의 노선을 운영했으나 일부는 다른 업체로 이관되거나 폐선되었다. 본점은 화성시에 위치해 있으며, 수원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남고속 계열사 - 제부여객
제부여객은 경기도 화성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화성여객에서 사명이 변경되었고 용남고속을 거쳐 현재는 사모펀드 MC 파트너스에 인수되어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1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 삼성여객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대원여객의 계열사이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울버스
서울버스는 1973년 상계운수로 시작하여 사명 변경과 노선 인수 등을 거쳐 현재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 K1 모빌리티 - 남양여객
남양여객은 1998년 삼성여객 노선을 용남고속이 인수하여 설립되었고, 수원여객 자회사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화성시에 본점을 두고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K1 모빌리티 - 화성운수
화성운수는 2008년 설립되어 오산교통으로부터 화성시내 노선을 인수받아 운영하는 화성시 시내버스 회사로, 2019년 소신여객에 인수되었으며 2024년 현재 5개의 시내일반 노선과 3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경진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경진여객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Kyongjin Bus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70년 4월 20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58 |
| 사업 지역 | 수원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220 서부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1407 서부버스공영차고지 안녕영업소 :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58 조암영업소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남로 3-3 (조암버스터미널) 터미널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 270(권선동, 수원버스터미널) 향남영업소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424 2층(향남환승터미널) |
| 인물 | 권성욱, 최진태 (공동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시외버스 |
| 자본금 | 2,300,000,000원(2017년 12월) |
| 매출액 | 49,562,780,282원(2017년) |
| 영업 이익 | -2,690,722,302원(2017년) |
| 순이익 | -652,136,715원(2017년) |
| 자산 총액 | 22,044,721,571원(2017년 12월) |
| 주주 | 케이제이홀딩스(100%) |
| 종업원 | 460명(2015년 12월) |
| 웹사이트 | 경진여객운수 주식회사 웹사이트 |
2. 연혁
경진여객은 여러 차례 사명을 변경하고, 노선을 양수·양도하거나 신설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내용 |
|---|---|
| 1970년 4월 20일 | 대명여객으로 설립[1] |
| 1973년 2월 6일 | 시외버스 면허 취득[1] |
| 1981년 5월 | 대명여객에서 정운여객으로 사명 변경[1] |
| 1983년 4월 | 정운여객에서 경진운수로 사명 변경[1] |
| 1997년 8월 12일 | 삼경운수로부터 좌석버스 777번과 직행좌석버스 7770번 양수 |
| 1999년 | 좌석버스 777번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직행좌석버스와 시외버스 면허를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 |
| 2000년 3월 | 경진운수에서 경진여객으로 사명 변경[1] |
| 2000년 6월 | 수원시 시내버스 면허 취득 |
| 2007년 2월 | 화성시 공영버스 한정면허 취득 |
| 2012년 11월 | 본사 차고지 내 가스충전소 설치[1] |
| 2017년 1월 24일 | 용남고속과 노선 교환 (34번, 34-1번 ↔ 3000번) |
| 2017년 3월 10일 | 도시형버스 30-1번 노선 신설[1] |
| 2017년 5월 30일 | 직행좌석버스 8156번 노선 신설[1] |
| 2017년 7월 3일 | 도시형버스 787번 노선 신설[1] |
| 2017년 8월 21일 | 도시형버스 38-1번 노선 신설[1] |
| 2018년 4월 26일 | 본점 주소 이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
| 2018년 5월 9일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리 소재 지점 폐쇄 |
| 2018년 6월 1일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에 수원지점 설치 |
| 2018년 11월 5일 | 33번, 38-1번, 38-2번 노선을 수원여객으로 이관[1] |
| 2019년 3월 1일 | 시외버스 사업 철수 |
| 2020년 12월 31일 | 777번 노선 용남고속에 양도, 38번 노선 제부여객에 양도 |
| 2021년 8월 3일 |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경진여객 인수[1] |
2. 1. 회사 설립 및 사명 변경
경진여객은 1970년 4월 20일 대명여객으로 설립되었다.[1] 1981년 5월 정운여객으로,[1] 1983년 4월 경진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이후 2000년 3월 현재의 사명인 경진여객으로 다시 한번 변경하였다.[1] 2021년 8월 3일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경진여객을 인수하였다.[1]2. 2. 면허 취득 및 전환
- 1973년 2월 6일: 시외버스 면허를 취득했다.[1]
- 1997년 8월 12일: 삼경운수로부터 좌석버스 777번과 직행좌석버스 7770번을 양도받았다.
- 1999년: 좌석버스 777번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직행좌석버스와 시외버스 면허를 기존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했다.
- 2000년 6월: 수원시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했다.
- 2007년 2월: 화성시 공영버스 한정면허를 취득했다.
- 2008년: 수원대 ~ 사당역 간 시외버스를 직행좌석버스 7790번, 직행좌석버스 7800번 등으로 각각 형간전환했다.
- 2012년 2월: 직행좌석버스 7900번을 개통했다.
- 2015년 11월 14일: 시외버스 R8155번을 직행좌석버스 8155번으로 형간전환했다.
- 2016년 2월: 수원시를 경유하는 도시형버스 노선들 중 일부를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했다.
- 2017년 1월 24일: 도시형버스 34번과 34-1번 노선을 용남고속으로 이관하고,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던 직행좌석버스 3000번 노선을 이관받았다.
- 2019년 3월 1일: 시외버스 R8471번, R8472번, R9802번 등을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고, R9801번은 R9802번에 통합하여 시외버스 사업에서 철수했다.
- 2020년 12월 31일: 777번 노선을 용남고속에 양도하고, 38번 노선을 제부여객에 양도했다.
2. 3. 노선 양수·양도 및 신설
1997년 8월 12일 삼경운수로부터 좌석버스 777번과 직행좌석버스 7770번을 양도받았다.[1] 1999년에는 좌석버스 777번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직행좌석버스와 시외버스 면허를 기존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했다.[1]2008년 수원대학교 ~ 사당역 간 시외버스를 직행좌석버스 7790번, 직행좌석버스 7800번 등으로 각각 형간전환했다.[1] 2012년 2월에는 직행좌석버스 7900번을 개통했다.[1]
2015년 11월 14일 시외버스 R8155번에서 직행좌석버스 8155번으로 형간전환했다.[1] 2016년 2월에는 수원시를 경유하는 도시형버스 노선들 일부를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했다.[1]
2017년 1월 24일 도시형버스 34번과 34-1번 노선을 용남고속으로 이관하고, 동시에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던 직행좌석버스 3000번 노선을 이관받았다.[1] 2017년 3월 10일에는 도시형버스 30-1번 노선을,[1] 5월 30일에는 직행좌석버스 8156번 노선을,[1] 7월 3일에는 도시형버스 787번 노선을,[1] 8월 21일에는 도시형버스 38-1번 노선을 각각 신설했다.[1]
2018년 11월 5일 도시형버스 33번, 38-1번, 38-2번 등을 수원여객으로 이관했다.[1]
2019년 3월 1일 시외버스 R8471번, R8472번, R9802번 등이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고, R9801번은 R9802번에 통합되어 시외버스 사업에서 철수했다.[1]
2020년 12월 31일 777번 노선은 용남고속에, 38번 노선은 제부여객에 양도했다.[1]
2. 4. 기타
경진여객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70년 4월 20일: 대명여객으로 설립[1]
- 1973년 2월 6일: 시외버스 면허 취득
- 1981년 5월: 사명을 대명여객에서 정운여객으로 변경
- 1983년 4월: 사명을 정운여객에서 경진운수로 변경
- 1997년 8월 12일: 삼경운수로부터 좌석버스 777번과 직행좌석버스 7770번 양수
- 1999년: 좌석버스 777번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직행좌석버스와 시외버스 면허를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
- 2000년 3월: 사명을 경진운수에서 경진여객으로 변경
- 2000년 6월: 수원시 시내버스 면허 취득
- 2007년 2월: 화성시 공영버스 한정면허 취득
- 2008년: 수원대 ~ 사당역 시외버스, 직행좌석버스 7790번, 직행좌석버스 7800번 등으로 각각 형간전환
- 2012년 2월: 직행좌석버스 7900번 개통
- 2012년 11월: 본사 차고지 내 가스충전소 설치
- 2015년 11월 14일: 시외버스 R8155번에서 직행좌석버스 8155번으로 형간전환
- 2016년 2월: 수원시 경유 도시형버스 노선들 일부를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
- 2017년 1월 24일: 도시형버스 34번, 34-1번 노선 용남고속으로 이관, 용남고속 운행 직행좌석버스 3000번 노선 이관
- 2017년 3월 10일: 도시형버스 30-1번 노선 신설
- 2017년 5월 30일: 직행좌석버스 8156번 노선 신설
- 2017년 7월 3일: 도시형버스 787번 노선 신설
- 2017년 8월 21일: 도시형버스 38-1번 노선 신설
- 2018년 4월 26일: 본점 주소 이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 2018년 5월 9일: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리 소재 지점 폐쇄
- 2018년 6월 1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에 수원지점 설치
- 2018년 11월 5일: 도시형버스 33번, 38-1번, 38-2번 등 수원여객으로 이관
- 2019년 3월 1일: 시외버스 R8471번, R8472번, R9802번 등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R9801번은 R9802번에 통합, 시외버스 사업 철수
- 2020년 12월 31일: 777번 노선 용남고속에 양도, 38번 노선 제부여객에 양도
- 2021년 8월 3일: 사모펀드 'MC 파트너스'가 경진여객 인수
3. 운행 노선
경진여객은 경기도 여러 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이 노선들은 직행좌석버스와 광역급행버스(M버스)로 구분된다.
직행좌석버스는 수원, 화성 등지와 서울의 강남역, 사당역 등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1006번은 수원대학교에서 강남역까지, 3000번은 수원여대에서 양재시민의숲역까지 운행한다. 7770번, 7780번, 7790번, 7800번 등은 수원과 사당을 잇는다. 8000번대 버스들은 화성, 수원, 안중, 조암 등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광역급행버스(M버스)는 경기도와 서울 도심을 빠르게 잇는다. M5443번은 능실마을에서 강남역, 양재역을 지나고, M5532번은 오산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한다.
3. 1. 직행좌석버스
- 1006번: 수원대학교 ↔ 봉담휴먼빌 ↔ 동화초중교 ↔ 봉담2LH단지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선바위역 ↔ 강남역 (화성시 면허, 2020년 7월 13일 개통)[1]
- 3000번: 수원여대 - 고색역 - 수원역 - 경기도청 - 팔달문 - 장안문 - 홈플러스 북수원점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 경수산업도로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선바위역 - 송동마을 -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 우면산터널 - 예술의 전당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 나들목 - 선암로 나들목 - 선바위역 (2017년 1월 24일 용남고속에서 이관) (수원시 면허) (2층버스 운행)
- 7200번: 동탄2신도시 - 리베라CC - 능동마을입구 - 광교중앙역 - 서울구치소 - 인덕원역 (2020년 7월 31일 개통, 2020년 11월 20일 제부여객에서 이관)(화성시 면허)
- 7770번: 수원역 ↔ 고등동 행정복지센터 ↔ 수원여자고등학교 ↔ 화서문 ↔ 장안문 ↔ KT 수원지사 ↔ 수원종합운동장 ↔ 홈플러스 북수원점 ↔ 수일중학교 ↔ 파장동 삼익아파트 ↔ 경기도 인재개발원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수원시 면허) (2층버스 운행)
- 7780번: 수원여대 ↔ 권선구청 ↔ 구운중학교 ↔ 웃거리 ↔ 구운사거리 ↔ 율현중학교 ↔ 정자동 중심상가 ↔ 동신아파트 ↔ 수원 SK 스카이뷰 ↔ 동원고등학교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수원시 면허) (2층버스 운행)
- 7790번 : 협성대학교 ↔ 장안대학교 ↔ 봉담읍 ↔ 동일하이빌 ↔ 수원대학교 ↔ 와우2리 ↔ 수영5거리 ↔ 천천IC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의왕TG 경유) ↔ 사당역(2008년 12월경 호매실, 율전동을 경유하는 노선을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7790번이 됨. 동시에 봉담택지지구를 경유하는 7800번을 신설. 2020년 2월 2일 수원대학교~사당역 구간이 협성대학교~사당역 구간으로 변경으로 인해 수원시 면허에서 화성시 면허로 변경됨)
- 7800번: 호매실 ↔ 칠보마을 ↔ 홈플러스 서수원점 ↔ 구운동 주민센터 ↔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이마트 서수원점 ↔ 율전동 삼성아파트 ↔ 성균관대학교 자연캠퍼스 후문 ↔ 성균관대역 ↔ 율전성당 ↔ 동원고등학교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수원시 면허) (2020년 2월 2일 노선 단축, 2층버스 운행)
- 8000번: 협성대학교 ↔ 장안대학교 ↔ 봉담읍 ↔ 동일하이빌 ↔ 수원대학교 ↔ 와우2리 ↔ 수영오거리 ↔ 호매실 ↔ 칠보마을 ↔ 서수원터미널 ↔ 성균관대역 ↔ 의왕시청 ↔ 한세대학교 ↔ 군포역 ↔ 금정역 (화성시 면허, 2020년 2월 2일 신설)
- 8155번 : 조암터미널 ↔ 발안리 ↔ 향남읍사무소 ↔ 해병대 사령부 ↔ 수원가톨릭대학교 ↔ 장안대학교 ↔ 봉담읍 ↔ 봉담I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의왕TG 경유) ↔ 사당역(2015년 11월 14일부터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됨. 화성시 면허)
- 8156번: 하길중학교 ↔ 향남환승터미널 ↔ 해병대 사령부 ↔ 수원가톨릭대학교 ↔ 장안대학교 ↔ 봉담읍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의왕요금소) ↔ 사당역 (2017년 5월 30일 신설) (화성시 면허)
- 8471번: 수원역 (시외버스) ↔ 고색역 ↔ 오목천역 ↔ 봉담읍 ↔ 장안대학교 ↔ 해병대 사령부 ↔ 발안리 ↔ 상신리 ↔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신포(청북) ↔ 후사리 ↔ 용성리 ↔ 금곡리 ↔ 안중오거리 ↔ 안중터미널 (수원시 면허)(2020년 11월 1일부터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및 화성시 면허에서 변경)
- 8472번: 수원역 (시외버스) ↔ 고색역 ↔ 오목천역 ↔ 봉담읍 ↔ 장안대학교 ↔ 해병대 사령부 ↔ 발안리 ↔ 상신리 ↔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신포(청북) ↔ 후사리 ↔ 청북신도시 ↔ 안중오거리 ↔ 안중터미널 (수원시 면허)(2019년 3월 1일에 시외버스에서 형간 전환, 2020년 11월 1일부터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및 화성시 면허에서 변경)
- 9802번: 수원역 (시외버스) ↔ 고색역 ↔ 오목천역 ↔ 봉담읍 ↔ 장안대학교 ↔ 해병대 사령부 ↔ 발안리 ↔ 제암리 ↔ 매곡리 ↔ 해창리 ↔ 수촌리 ↔ 어은리 ↔ 조암한라비발디 ↔ 조암터미널 (수원시 면허)(2019년 3월 1일 R9801과 통합 및 시외버스에서 형간 전환, 2020년 11월 1일부터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 및 화성시 면허에서 변경)
3. 2. 광역급행버스(M버스)
- M5443번: 능실마을21단지 - 한양수자인파크원 - 칠보마을 - 서수원버스터미널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서초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 (2019년 3월 12일 개통,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서 이관받은 노선이다.)
- M5532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2017년 3월 20일 개통,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을 거쳐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 이관 받지만 2022년 12월 31일부로 다시 양도)
4. 이전 운행 노선
경진여객에서 이전에 운행했던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 33번 | 수원역 | 평동,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발안주공아파트 | 발안주공아파트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3-1번 | 조암터미널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33-2번 | 조암터미널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34번 | 왕림휴게소 | 장안대학교, 봉담읍, 수원대학교, 융건릉, 병점역, 망포역, 영통역 | 광교동부차고지 | 2017년 1월 24일 용남고속으로 이관 |
| 34-1번 | 왕림휴게소 | 장안대학교, 봉담읍, 수원대학교, 융건릉, 병점역, 망포역, 영통역 | 광교동부차고지 | 2017년 1월 24일 용남고속으로 이관 |
| 38번 | 수원역 |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읍 |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 2020년 12월 31일 제부여객에 양도 |
| 38-1번 | 수원역 | 봉담읍, 수원가톨릭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2지구 | 상신초등학교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8-2번 | 수원역 | 평동,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화성종합경기타운 | 하길리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9번 | 수원역 |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환승터미널 | 향남환승터미널 | 화성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42번 | 북부공영차고지 | 화서역, 수원역 환승센터, 오목천동 | 오목천동 |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하였으나 2018년 5월 이후 수원여객 단독 운행 |
| 44번 | 수원대학교 | 병점역 | 나루고등학교 | |
| 50번 | 평택역 | 안성시청 | 안성시청 | 1998년 대신여객 5-1번 인수, 2005년경 협진여객에 양도 |
| 500번 | 평택역 | 중앙대학교 | 중앙대학교 | 2005년경 협진여객에 양도 |
| 777번 | 수원역 |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인덕원역, 남태령역, 사당역 | 사당역 |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 양도 |
| 787번 | 수원역 |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2017년 12월 14일 운행 중단 |
| 888번 | 경희대학교 | 수원역, 인덕원역, 양재역 | 양재역 | 1990년대 일반좌석 운행, 2000년경 수원여객에 양도 |
| 조암지선 | 조암터미널 발안 바다마트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팔탄면 일대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팔탄면 일대 | 화성시 면허,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광역급행버스(M버스)
M영어5532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 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2017년 3월 20일 개통,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을 거쳐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 이관, 2022년 12월 31일 다시 양도)
- 직행좌석버스
7900번: 호매실지구 - 권선구청 - 능실마을 - LG빌리지 - 홈플러스 서수원점 - 구운중학교 - 웃거리 - 삼환아파트 - 정자3동 주민센터 - 동남보건대학교 - 성균관대역 (서울 방향만 경유) - 동원고등학교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수원시 면허) (2019년 4월 22일부터 노선 단축, 2020년 1월 6일 폐선)[1]
- 일반좌석버스
720한국어번: 수원역 - 경기도청 - 동수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우만동 3, 4단지 - 경기대학교 후문 - 정평 - 수지초등학교 - 수지구청 - 한국아파트 - 삼성 4차아파트 - 수지중학교, 수지고등학교 - 미금역 - 정든마을 - KT 본사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역 - 야탑역 - 야탑동 - 하탑동 - 대원터널 - 상대원동 - 신구대학교 -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1999년 5월 남양여객 및 경기고속으로부터 양도받은 노선이나 얼마 안가 경기고속에 양도하여 시내버스로 전환 후 2019년 3월 16일 폐선)[1]
- 간선급행버스
수원역과 사당역을 잇는 8387번 간선급행버스가 있었다. 이 노선은 7770번 버스의 급행 노선이었으나, 시간 차이가 거의 없어 폐선되었다.[1]
- 시외버스
R9801번: 서수원터미널 - 수원역 (시외버스) - 고색동 - 오목천동 - 봉담읍 - 장안대학교 - 해병대 사령부 - 발안리 - 제암리 - 매곡리 - 해창리 - 수촌리 - 어은리 - 조암한라비발디 - 조암터미널 (2019년 3월 1일 R9802번과 통합 및 직행좌석으로 형간 전환)[1]
4. 1. 도시형 버스
|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 33번 | 수원역 | 평동,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발안주공아파트 | 발안주공아파트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3-1번 | 조암터미널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33-2번 | 조암터미널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향남제약공단 | 구문천리 |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34번 | 왕림휴게소 | 장안대학교, 봉담읍, 수원대학교, 융건릉, 병점역, 망포역, 영통역 | 광교동부차고지 | 2017년 1월 24일 용남고속으로 이관 |
| 34-1번 | 왕림휴게소 | 장안대학교, 봉담읍, 수원대학교, 융건릉, 병점역, 망포역, 영통역 | 광교동부차고지 | 2017년 1월 24일 용남고속으로 이관 |
| 38번 | 수원역 |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읍 |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 2020년 12월 31일 제부여객에 양도 |
| 38-1번 | 수원역 | 봉담읍, 수원가톨릭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2지구 | 상신초등학교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8-2번 | 수원역 | 평동,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화성종합경기타운 | 하길리 | 2018년 11월 5일 수원여객으로 이관 |
| 39번 | 수원역 | 수원여자대학교 입구, 봉담읍, 장안대학교, 해병대 사령부, 향남환승터미널 | 향남환승터미널 | 화성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 42번 | 북부공영차고지 | 화서역, 수원역 환승센터, 오목천동 | 오목천동 | 수원여객과 공동배차하였으나 2018년 5월 이후 수원여객 단독 운행 |
| 44번 | 수원대학교 | 병점역 | 나루고등학교 | |
| 50번 | 평택역 | 안성시청 | 안성시청 | 1998년 대신여객 5-1번 인수, 2005년경 협진여객에 양도 |
| 500번 | 평택역 | 중앙대학교 | 중앙대학교 | 2005년경 협진여객에 양도 |
| 777번 | 수원역 |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인덕원역, 남태령역, 사당역 | 사당역 |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 양도 |
| 787번 | 수원역 | 장안문, 수원종합운동장 | 파장동 | 2017년 12월 14일 운행 중단 |
| 888번 | 경희대학교 | 수원역, 인덕원역, 양재역 | 양재역 | 1990년대 일반좌석 운행, 2000년경 수원여객에 양도 |
| 조암지선 | 조암터미널 발안 바다마트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팔탄면 일대 | 우정읍, 장안면, 향남읍, 팔탄면 일대 | 화성시 면허, 2022년 10월 제부여객으로 이관 |
4. 2. 광역급행버스(M버스)
M영어5532번: 갈곶동.동부아파트 - 원동초등학교 - 오산역 오산터미널 - U-City 센터앞 - 세교13단지 - 죽미마을입구 - 봉담동탄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방배동래미안아트힐.국립국악원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자중고등학교 -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 사당역 (2017년 3월 20일 개통, 2018년 4월 1일 오산교통을 거쳐 2020년 12월 31일 용남고속에 이관, 2022년 12월 31일 다시 양도)4. 3. 직행좌석버스
7900번: 호매실지구 ↔ 권선구청 ↔ 능실마을 ↔ LG빌리지 ↔ 홈플러스 서수원점 ↔ 구운중학교 ↔ 웃거리 ↔ 삼환아파트 ↔ 정자3동 주민센터 ↔ 동남보건대학교 ↔ 성균관대역 (서울 방향만 경유) ↔ 동원고등학교 ↔ 의왕 나들목 ↔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사당역 (수원시 면허) (2019년 4월 22일부터 노선 단축, 2020년 1월 6일 폐선)[1]4. 4. 일반좌석버스
720한국어번: 수원역 - 경기도청 - 동수원사거리 - 아주대학교 - 우만동 3, 4단지 - 경기대학교 후문 - 정평 - 수지초등학교 - 수지구청 - 한국아파트 - 삼성 4차아파트 - 수지중학교, 수지고등학교 - 미금역 - 정든마을 - KT 본사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역 - 야탑역 - 야탑동 - 하탑동 - 대원터널 - 상대원동 - 신구대학교 -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1999년 5월 남양여객 및 경기고속으로부터 양도받은 노선이나 얼마 안가 경기고속에 양도하여 시내버스로 전환 후 2019년 3월 16일 폐선)[1]4. 5. 간선급행버스
수원역과 사당역을 잇는 8387번 간선급행버스가 있었다. 이 노선은 7770번 버스의 급행 노선이었으나, 시간 차이가 거의 없어 폐선되었다.[1]4. 6. 시외버스
- R9801번: 서수원터미널 - 수원역 (시외버스) - 고색동 - 오목천동 - 봉담읍 - 장안대학교 - 해병대 사령부 - 발안리 - 제암리 - 매곡리 - 해창리 - 수촌리 - 어은리 - 조암한라비발디 - 조암터미널 (2019년 3월 1일 R9802번과 통합 및 직행좌석으로 형간 전환)
5. 보유 차량
경진여객이 보유하고 있는 차종은 다음과 같다.
- 기아
- * 기아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 현대자동차
- *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
-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6. 사업장 현황
본점한국어: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58
수원지점한국어: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