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교통은 1996년 설립된 경기도 파주시의 버스 운송 업체로, 201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신성여객 시절에는 서부여객, 대성여객 등을 흡수 합병하며 노선을 확장했고,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주주로 참여하기도 했다. 2017년 유앤아이를 설립하여 M7111번 노선을 인수했으며, 신성여객의 따복버스를 제외한 모든 노선을 양수받았다. 현재는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맞춤형 버스 등을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시외버스, 공항버스, 일반좌석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나 일부는 계열사나 다른 업체로 양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성교통 계열사 - 문산시외버스터미널
과거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했던 문산시외버스터미널은 노선 축소와 문산역 앞 정류소 이전으로 터미널 기능이 약화되었고, 현재는 일부 시외버스 및 공항버스만 운행된다. - 신성교통 계열사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성운수 (서울)
대성운수는 1965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로, 333번, 343번, 345번, 440번, 33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의 차량을 운용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수교통
신수교통은 2004년 서울운수로부터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노선 등을 양도받아 설립되었고 이후 신성교통으로부터 일부 노선을 인수받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연고로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신성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회사 명칭 | 신성교통 주식회사 |
| 원어 명칭 | Shinsung Bus Co. |
| 산업 | 운수업 |
| 창립일 | 1996년 6월 29일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 1358 (교하동) |
| 사업 지역 | 진관지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진관동) 금촌사업소: 경기도 파주시 아동로 41 (아동동) 맥금동사업소: 경기도 파주시 장터고개길 10 (맥금동) 갈곡리사업소: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부흥로21번길 1051 송추사업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가마골로 231 |
| 인물 | 우세환 (대표이사) |
| 자본금 | 9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35,922,073,954원 (2020) |
| 영업이익 | -6,875,636,256원 (2020) |
| 순이익 | -3,611,403,590원 (2020) |
| 자산 총액 | 39,664,828,111원 (2020.12) |
| 주주 | 우정록: 66.25% 자기주식: 23.00% 신성여객주식회사: 10.75% |
| 계열사 | 한일운수 기흥여객 |
| 종업원 | 466명 (2020.12) |
| 종류 | 주식회사 |
| 제품 |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
2. 역사
1996년 6월 29일 서부여객 문산사업소의 909번, 92번 등을 인수받아 '''신성교통'''(경기법인)을 설립하였다.[2] 2002년 서부여객, 2004년 8월 대성여객을 흡수합병하여 도시형버스 34번, 36번(현 360번), 시외버스 37번(현 R3700번) 등을 인수하였다.[2]
2004년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주주로 참여, 방계회사 신성교통 서울법인을 설립하고 삼송동 본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이후 한국비알티자동차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2]
2006년 4월 7일 신성교통 서울법인 소속 9704번 광역버스가 본 회사 2000번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되었고,[2] 같은 해 7월 25일 명성 3번 도시형버스를 인수하였다.[2]
2007년 9월 1일 명성 도시형버스 6번(대화역~금촌동, 폐선), 55번(일산~불광동), 55-1번(일산~불광동]], 폐선), 55-2번(일산~불광동), 31번(310번, 폐선, 일산신도시~김포국제공항) 노선을 인수하였다.[2]
2008년 2월 18일 7731번(고양동~불광동) 대체 노선 도시형버스 330번(구파발역까지 운행) 신설,[2] 3월 1일 명성 일반좌석버스 33번(성석동~송정역) 노선 인수 및 광탄 연장,[2] 3월 18일 명성 도시형버스 5번, 8번 노선,[2] 3월 31일 명성 도시형버스 05번(고양동~문촌마을), 일반좌석버스 85번(고양동~송정역), 85-1번(고양동~송정역) 노선을 인수하였다.[2] 7월 1일 방계회사 제일여객 지선버스 7725번(송추~구파발역) 폐선, 대체 노선 350번 개통,[2] 12월 20일 광역급행버스 8880번을 서울법인 소속 광역버스 9714번과 공동 배차하였다.[2]
2009년 7월 16일 명성 직행좌석버스(공항버스) 3200번을 인수하였다.[2]
2011년 5월 20일 방계회사 서울법인 소속 M7111번을 이관받아 증차 운행하였다.[2]
2012년 10월 5일 도시형버스 351번(광적~구파발역)을 350번에서 분리 개통,[2] 11월 1일 3000번(금촌~인천), 3700번(의정부~인천), 5000번(문산~부천), 5600번(문산~인천공항) 직행버스를 신성운수에 양도, 시외버스 및 공항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2]
2013년 7월 31일 도시형버스 05번, 55번, 85-1번, 330번, 850번, 일반좌석버스 85번 등을 신성운수에,[2] 8월 1일 도시형버스 34번, 360번을 신성운수에 매각,[2] 8월 10일 일반좌석버스 773번, 직행좌석버스 9900번을 도시형버스 73번, 99번으로 형간 전환,[2] 11월 1일 도시형버스 73번, 76번을 신성운수에 매각하였다.[2] 11월 13일 77번 가좌마을~대화역 무정차, 77-1번 신설,[2] 12월 1일 51, 94번이 폐선되었다.[2] 12월 23일 M7426, M7625번 신설.[2]
2014년 1월 8일 '''신성교통 경기법인'''에서 현재 사명으로 변경,[2] 1월 10일 교하차고지 이전(교하동 548번지),[2] 3월 8일 적자 누적으로 일부 노선[2] 운행 중단, 7월 28일 운행 재개(50번, 52번, 9000번, M7426번, M7625번).[2] 4월 1일 직행좌석버스 3200번 대원고속,[2] 5월 1일 도시형버스 31번 신일여객,[2] 5월 24일 M버스 M7426번, M7625번 선진네트웍스 산하 파주여객에 양도하였다.[2]
2017년 3월 2일 '''유앤아이'''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새로 설립해 신성여객으로부터 M7111번을 인수했고,[3] 6월 1일 과거 서울 시내버스를 운영했던 '''신성교통''' 법인에 유앤아이의 모든 자산을 이관했다.[3] 12월 28일 '''신성여객'''의 따복버스를 제외한 모든 노선을 인수했다.
2019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진관지점을 설치했다.
2020년 4월 1일 직행좌석버스 3100번(운정신도시 - 홍대입구역) 노선을 신설했다.
2021년 6월 15일 경영난으로 아동동차고지를 폐쇄하고(이후 매각), 이후 교하동차고지 또는 맥금동차고지로 기점을 이전했다. 12월 1일 567번 노선 기점을 아동동차고지에서 맥금동차고지로 연장했다.[4]
2024년 7월 1일 계열사 제일여객을 한남여객운수에 매각했다. 12월 1일 80번, 150번, 567번, 900번 노선은 서울여객으로, 9번 노선은 기흥여객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2025년 1월 1일 7300번, 7500번, 7700번 노선은 폐선되고, 2200번, 3100번, 9030번 노선은 파주여객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2. 1. 신성여객 시절 (1996년 ~ 2014년)
1996년 6월 29일 서부여객 문산사업소의 909번, 92번 등을 인수받아 '''신성교통'''(경기법인)을 설립하였다.[2] 2002년 서부여객, 2004년 8월 대성여객을 흡수합병하여 도시형버스 34번, 36번(현 360번), 시외버스 37번(현 R3700번) 등을 인수하였다.[2]2004년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주주로 참여, 방계회사 신성교통 서울법인을 설립하였다.[2] 삼송동 본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이후 한국비알티자동차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2]
2006년 4월 7일 신성교통 서울법인 소속 9704번 광역버스가 본 회사 2000번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되어 교하를 경유하였고,[2] 같은 해 7월 25일 명성 3번 도시형버스를 인수하였다.[2]
2007년 9월 1일 명성 도시형버스 6번(대화역~금촌동, 폐선), 55번(일산~불광동), 55-1번(일산~불광동]], 폐선), 55-2번(일산~불광동), 31번(310번, 폐선, 일산신도시~김포국제공항) 노선을 인수하였다.[2]
2008년 2월 18일 7731번(고양동~불광동) 대체 노선 도시형버스 330번(구파발역까지 운행) 신설,[2] 3월 1일 명성 일반좌석버스 33번(성석동~송정역) 노선 인수 및 광탄 연장,[2] 3월 18일 명성 도시형버스 5번, 8번 노선,[2] 3월 31일 명성 도시형버스 05번(고양동~문촌마을), 일반좌석버스 85번(고양동~송정역), 85-1번(고양동~송정역) 노선을 인수하였다.[2]
2008년 7월 1일 방계회사 제일여객 지선버스 7725번(송추~구파발역) 폐선, 대체 노선 350번 개통,[2] 12월 20일 광역급행버스 8880번을 서울법인 소속 광역버스 9714번과 공동 배차하였다.[2]
2009년 7월 16일 명성 직행좌석버스(공항버스) 3200번을 인수하였다.[2]
2011년 5월 20일 방계회사 서울법인 소속 M7111번을 이관받아 증차 운행하였다.[2]
2012년 10월 5일 도시형버스 351번(광적~구파발역)을 350번에서 분리 개통,[2] 11월 1일 3000번(금촌~인천), 3700번(의정부~인천), 5000번(문산~부천), 5600번(문산~인천공항) 직행버스를 신성운수에 양도, 시외버스 및 공항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2]
2013년 7월 31일 도시형버스 05번, 55번, 85-1번, 330번, 850번, 일반좌석버스 85번 등을 신성운수에,[2] 8월 1일 도시형버스 34번, 360번을 신성운수에 매각,[2] 8월 10일 일반좌석버스 773번, 직행좌석버스 9900번을 도시형버스 73번, 99번으로 형간 전환,[2] 11월 1일 도시형버스 73번, 76번을 신성운수에 매각하였다.[2] 11월 13일 77번 가좌마을~대화역 무정차, 77-1번 신설,[2] 12월 1일 51,94번이 폐선되었다.[2] 12월 23일 M7426, M7625번 신설.[2]
2014년 1월 8일 '''신성교통 경기법인'''에서 현재 사명으로 변경,[2] 1월 10일 교하차고지 이전(교하동 548번지),[2] 3월 8일 적자 누적으로 일부 노선[2] 운행 중단, 7월 28일 운행 재개(50번, 52번, 9000번, M7426번, M7625번).[2] 4월 1일 직행좌석버스 3200번 대원고속,[2] 5월 1일 도시형버스 31번 신일여객,[2] 5월 24일 M버스 M7426번, M7625번 선진네트웍스 산하 파주여객에 양도하였다.[2]
2. 2. 신성교통으로 사명 변경 (2014년 ~ 현재)
- 2017년 3월 2일: '''유앤아이'''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새로 설립해 신성여객으로부터 M7111번을 인수했다.[3]
- 2017년 6월 1일: 과거 서울 시내버스를 운영했던 '''신성교통''' 법인에 유앤아이의 모든 자산을 이관했다.[3]
- 2017년 12월 28일: '''신성여객'''의 따복버스를 제외한 모든 노선을 인수했다.
- 2019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진관지점을 설치했다.
- 2020년 4월 1일: 직행좌석버스 3100번(운정신도시 - 홍대입구역) 노선을 신설했다.
- 2021년 6월 15일: 경영난으로 아동동차고지를 폐쇄하고(이후 매각), 이후 교하동차고지 또는 맥금동차고지로 기점을 이전했다.
- 2021년 12월 1일: 567번 노선 기점을 아동동차고지에서 맥금동차고지로 연장했다.[4]
- 2024년 7월 1일: 계열사 제일여객을 한남여객운수에 매각했다.
- 2024년 12월 1일: 80번, 150번, 567번, 900번 노선은 서울여객으로, 9번 노선은 기흥여객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 2025년 1월 1일: 7300번, 7500번, 7700번 노선은 폐선되고, 2200번, 3100번, 9030번 노선은 파주여객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3. 운행 노선
신성교통은 경기도 파주시의 버스 회사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 신성교통 | 1 | 10 | - | 7 | 151 | 19 | 62 | - | 68 |
| 신성여객 | - | - | - | 6 | 8 | - | - | - | 8 |
신성교통은 도시형버스, 맞춤형버스, 직행좌석버스,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M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3. 1. 도시형버스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
| 3 | 맥금동사업소 | 일산 신원A | 맥금동, 문산제일고, 금촌사거리, 파주시청, 파주스타디움, 조리읍, 봉일천시장, 운정역, 중산지구, 일산터미널, 일산시장 |
| 52 | 운정신도시 | 관산동 | 상지석동, 일산 사리현동, 벽제교 |
| 70 | 교하사업소 | 중산고교 | 교하동, 오도동, 교하택지지구, 덕이동, 대화역, 주엽역, 강선마을, 중산지구 |
| 70-1 | 교하사업소 | 대화역 | 교하동, 오도동, 운정신도시, 덕이초등학교, 덕이동, 농수산물센터 |
| 90 | 맥금동사업소 | 백석역 | 맥금동, 금촌역, 봉일천시장, 박애원, 중산지구, 신일중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산동구청, 마두역 |
| 600 | 법원읍(갈곡리) | 강선마을 | 법원사거리, 연풍리, 세경고등학교, 파주역, 월롱역, 금촌역, 운정신도시, 덕이동, 대화역, 주엽역 |
3. 2. 맞춤형버스
번호따복
따복
따복
따복
77-D
따복
따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