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0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0계 전동차는 1964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일본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이다. 최고 속도 220km/h로 운행되었으며,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16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 이후 100계 전동차 개발에도 불구하고 1986년까지 증비가 지속되었으며, 1999년 도카이도 신칸센, 2008년 산요 신칸센에서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현재는 일부 차량이 보존 및 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대중에게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국유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200계 전동차
신칸센 200계 전동차는 일본 신칸센에서 운행된 고속철도 차량으로, 산악 노선 운행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1982년 도입되어 2013년 정기 운행에서 퇴역했다. - 일본국유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100계 전동차
신칸센 100계 전동차는 1985년 국철이 도카이도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개발한 전동차로, 0계 전동차의 노후화 및 디자인 개선, 승차감 및 쾌적성 향상을 목표로 "샤크 노즈"라 불리는 독특한 전면 마스크와 신칸센 최초의 2층 차량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며, 국철 민영화 후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에 승계되어 운용되다 2012년 3월 퇴역하였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수송력 증강과 속도 향상을 목표로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승차감을 개선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노조미, 히카리, 코다마 등 다양한 등급으로 운행되며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위한 8량 편성 모델도 존재한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신칸센 0계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고속 철도 차량 |
운영 기간 | 1964년 10월 1일 – 2008년 12월 14일 (44년 74일) |
제조사 | 히타치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긴키 차량 기샤 세이조 닛폰 차량 도큐 차량 |
후계 기종 | 300계 신칸센 500계 신칸센 700계 신칸센 |
제작 년도 | 1963년–1986년 |
개량 | 1990년–1998년 |
폐차 년도 | 1977년–2008년 |
제작 수량 | 3,216량 (201 편성) |
보존 수량 | 25량 (2024년 11월 기준) |
폐차 수량 | 2,989량 |
편성 | 4량, 6량, 8량, 12량 또는 16량 (전동차 편성) |
수송 능력 | 368–1,340명 |
운영사 | 일본국유철도 (1964–1987) JR 도카이 (1987–1999) JR 서일본 (1987–2008) |
소속 기지 | 도쿄, 신오사카, 하카타 |
운행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1964-1999) 산요 신칸센 (1972-2008) 하카타미나미선 (1990-2008) |
차량 정보 | |
차체 | 강철 |
차량 길이 | 25m (중간차) 25.15m (선두차) |
차량 폭 | 3,383mm |
차량 높이 | 4,490mm |
문 | 양쪽 2개 |
최고 속도 | 210km/h (1964–1986) 220km/h (1986–2008) 120km/h (하카타미나미선) |
가속도 | 1.0km/h/s (1964–1992) 1.2km/h/s (1992–2008) |
감속도 | 2.84km/h/s |
견인 전동기 | 브러시 직류 전동기, 185kW each |
출력 | 11,840kW (16량 편성) |
변속기 | 2차측 탭 체인저 구동 |
전력 공급 | 교류 25kV, 60Hz, 가공 전차선 |
집전 방식 | PS 200 팬터그래프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병용 전자직통 제동 |
신호 장치 | ATC-1형 |
수상 |
2. 역사
wikitext
0계 전동차는 1964년 10월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일본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이다.[2] 이전 일본 열차와 달리 도카이도 신칸센 및 모든 후속 신칸센 노선은 표준궤(1435mm)를 채택했으며, 25kV 교류 전기로 구동되었다. 모든 차량의 차축에 185kW 견인 전동기를 장착하여 최고 220km/h의 속도로 운행했다.[2]
초기에는 12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으며,[5] 1967년 5월 도쿄의 0계 전동차의 모습과 1등석 객차 내부 모습을 담은 이미지가 남아있다.
객실 내에는 아날로그 속도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1964년 4월부터 9월까지 히타치 제작소, 기샤, 일본 차량 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에서 30개 편성(H1~H6, K1~K6, N1~N6, R1~R6, S1~S6)이 제작되어 도쿄와 오사카 차량 사업소에 배속되었다.[5][6] 초기 12량 편성은 2개의 1등석 객차(15, 16형)와 2개의 식당차(35형)를 포함했다.[6]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형식 | Mc | M' | M | M' | MB | M' | MS | M'S | MB | M' | M | M'c |
량수 | 21 | 26 | 25 | 26-200 | 35 | 26-200 | 15 | 16 | 35 | 26 | 25 | 22 |
1965년에는 철도우호회의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27] 당시에는 "0계"라는 호칭이 사용되지 않아 "도카이도 신칸센용 여객 전차"라는 명칭으로 표창장을 받았다.[28]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수송력 증강을 위해 16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1975년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을 앞두고 1974년부터 식당차가 편성되었다.
1976년부터 1차 차량의 폐차가 시작되어 1978년 10월까지 완료되었다.[29] 1985년에는 100계가 개발되었지만, 0계의 증비는 국철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6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 1986년 최고 속도가 220km/h로 향상되었고, ATC 작동 속도도 225km/h로 변경되었다.[30] 1992년에는 가속도가 1.2km/h/s로 향상되었다.
1999년 9월 18일 코다마 473호(YK8 편성)를 마지막으로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1] 2001년에는 영국 요크의 국립 철도 박물관에 선두차 1량(22-141)이 기증되었다. 2007년에는 YS-11 등과 함께 기계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 11월 30일 코다마 659호(R68 편성)를 마지막으로 정기 운행을 종료하고, 12월 6일, 13일, 14일에 "히카리호"로서 "0계 작별 운전"이 이루어졌다.[3][4] 12월 14일 임시 "히카리" 347호(R61 편성)를 마지막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4]
신칸센 개업에 앞서 가모노미야 모델선에서 시제 편성(A편성, B편성)의 주행 시험이 실시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 당시 12량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오사카 엑스포)를 계기로 수송력 증강을 위해 16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6] 1967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6차에서 9차에 걸쳐 21개의 12량 편성 차량이 추가 제작되었으며, '고다마' 열차 운행에 투입될 1등차(16형)는 1량만 포함되었다.[6]
1975년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을 앞둔 1974년부터 식당차가 편성되었다.[6] 1976년부터는 개통 당시부터 사용되어 온 1차 차량의 폐차가 시작되어 1978년 10월까지 폐차 및 해체가 이루어졌다.[29]
1985년 산요 신칸센 개업 시 증비된 0계를 대체하기 위해 100계가 개발되었지만, 0계의 증비는 국철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6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 같은 해, 최고 속도를 210km/h에서 220km/h로 높이고, ATC 작동 속도도 225km/h로 변경되었다.[30] 1992년에는 가속도를 1.0km/h/s에서 1.2km/h/s로 변경했다.
1965년에는 철도우호회의 블루리본상 사상 최대 득표율인 70.3%[27]로 제8회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 당시에는 "0계"라는 호칭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카이도 신칸센용 여객 전차"라는 명칭으로 표창장이 수여되었다.[28]
1999년 9월 18일 "코다마" 473호(YK8 편성)를 마지막으로 0계는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1] 2001년에는 영국 요크의 국립 철도 박물관에 선두차 1량(22-141)이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에 의해 기증되었다.
2007년 8월에는 YS-11 등과 함께 기계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 11월 30일 "코다마" 659호 (R68 편성)를 마지막으로 0계의 정기 운행을 종료했다. 같은 해 12월 6일·13일·14일에 신오사카 - 하카타 구간에서 "히카리호"로서 "0계 작별 운전"이 이루어졌으며, 12월 14일 임시 "히카리" 347호(R61 편성)를 마지막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 그 후 전 차량이 폐차되어 차종으로서 폐지되었다.
국철 시대에는 기본 번대 차량 중 1차차 - 11차차까지의 1162량이 폐차되었다.[35]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은 각각 768량, 358량의 기본 번대 차량을 승계받았다. JR 도카이 차량은 1987년, JR 서일본 차량은 1989년부터 폐차가 진행되었으며, 각 연도 폐차량 수는 JR 도카이가 1998년도의 160량, JR 서일본이 1997년도의 106량이 각각 최대였다. 기본 번대 차량은 JR 도카이는 1998년, JR 서일본은 2001년에, 1000번대 차량은 2005년을 마지막으로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JR 도카이 | JR 서일본 | 폐차량 수 | 변동 | |||||||
---|---|---|---|---|---|---|---|---|---|---|
년/번대 | 0 | 1000 | 2000 | 계 | 0 | 1000 | 2000 | 계 | ||
1987 | 768량 | 393량 | 178량 | 1339량 | 358량 | 226량 | 131량 | 715량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 도카이 · JR 서일본이 탄생. | |
1988 | 736량 | 393량 | 178량 | 1307량 | 358량 | 226량 | 131량 | 715량 | JR 도카이: 32량 | 웨스트 히카리 등장. |
1989 | 708량 | 393량 | 178량 | 1279량 | 336량 | 226량 | 131량 | 693량 | JR 도카이: 28량 JR 서일본: 22량 | 웨스트 히카리 편성을 12량 편성으로 증강. |
1990 | 604량 | 375량 | 172량 | 1151량 | 310량 | 226량 | 131량 | 667량 | JR 도카이: 126량 + 양도 2량 JR 서일본: 28량 | S・Sk 편성을 Y・Yk 편성으로 재편성. 선두차 2량이 JR 도카이에서 JR 서일본으로 양도. |
1991 | 522량 | 368량 | 172량 | 1062량 | 299량 | 226량 | 131량 | 656량 | JR 도카이: 89량 JR 서일본: 11량 |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전 차량 16량 편성으로 통일. |
1992 | 473량 | 360량 | 172량 | 1005량 | 266량 | 226량 | 131량 | 623량 | JR 도카이: 57량 JR 서일본: 33량 | 노조미 운행 개시에 따라, 기동 가속도를 변경. |
1993 | 382량 | 345량 | 172량 | 899량 | 217량 | 226량 | 131량 | 574량 | JR 도카이: 106량 JR 서일본: 49량 | 35형이 형식 소멸. |
1994 | 303량 | 320량 | 172량 | 775량 | 189량 | 226량 | 131량 | 546량 | JR 도카이: 124량 JR 서일본: 28량 | |
1995 | 204량 | 290량 | 172량 | 666량 | 179량 | 226량 | 131량 | 536량 | JR 도카이: 109량 JR 서일본: 10량 |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 |
1996 | 130량 | 239량 | 172량 | 541량 | 165량 | 226량 | 131량 | 522량 | JR 도카이: 125량 JR 서일본: 14량 | JR 도카이 소속 히카리 편성 소멸. |
1997 | 54량 | 174량 | 168량 | 396량 | 124량 | 210량 | 131량 | 465량 | JR 도카이: 145량 JR 서일본: 57량 | Y 편성 소멸.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YK 편성만 남게 됨. |
1998 | 7량 | 100량 | 133량 | 240량 | 50량 | 180량 | 129량 | 359량 | JR 도카이: 156량 JR 서일본: 106량 | Q 편성이 등장. |
1999 | - | 18량 | 62량 | 80량 | 10량 | 139량 | 126량 | 275량 | JR 도카이: 160량 JR 서일본: 84량 | JR 도카이에서 대형 창문 차량이 소멸. |
2000 | - | - | - | 0량 | 2량 | 112량 | 121량 | 235량 | JR 도카이: 80량 JR 서일본: 40량 | 도카이도 신칸센에서의 운용을 종료. |
2001 | - | - | - | - | - | 73량 | 108량 | 181량 | JR 서일본: 54량 | 웨스트 히카리 폐지. |
2002 | - | - | - | - | - | 51량 | 104량 | 155량 | JR 서일본: 26량 | Q 편성이 소멸. |
2003 | - | - | - | - | - | 22량 | 80량 | 102량 | JR 서일본: 53량 | 히카리 레일스타를 기반으로 한 신도색 차량이 등장. |
2004 | - | - | - | - | - | 7량 | 71량 | 78량 | JR 서일본: 24량 | |
2005 | - | - | - | - | - | 4량 | 56량 | 60량 | JR 서일본: 18량 | 패밀리 히카리 편성이 소멸. |
2006 | - | - | - | - | - | - | 48량 | 48량 | JR 서일본: 12량 | R 편성 및 1000번대 차량이 소멸. 남은 것은 WR 편성뿐이 되었다. |
2007 | - | - | - | - | - | - | 36량 | 36량 | JR 서일본: 12량 | |
2008 | - | - | - | - | - | - | 30량 | 30량 | JR 서일본: 6량 | 37형이 형식 소멸. |
2009 | - | - | - | - | - | - | - | 0량 | JR 서일본: 30량 | 0계 영업 운전 종료. |
주요 출처는 [http://www.n-sharyo.co.jp/museum/tec0/tec0-transition.html 일본 차량 박물관 0계 신칸센 1차부터 38차까지의 변천]이다.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및 개통까지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여 차량 개발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모델 차량인 1000형을 기반으로 한 0계 전동차를 개발하고,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후속 차량에 개선점을 반영할 계획이었다.[32] 이 차량은 전국 신칸센망 완성 시점에 주파수 50 Hz/60 Hz 양용 차량으로 할 구상이었다.[32] 951형, 961형과 같은 시험 차량이 제작되었고, 후속 차량을 위해 100번대 형식을 결번 처리하고, 도호쿠·조에츠 신칸센용 영업 차량에는 200계 형식이 부여되었다.[32]
그러나 신칸센 차량은 장거리 고속 운전으로 인해 예상보다 차체 및 기기의 열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32] 초기 제조 차량은 12년째 법정 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아 1976년 9월부터 폐차가 시작되었다.[32]
당시 국철의 재정 악화와 노동 분쟁으로 인해 차량 기술 혁신이 정체되었고, 0계의 기본 성능이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노동조합은 신형 차량 도입에 부정적이었다.[33] 또한, 0계 증비가 너무 많이 진행되어 편성 내 차량 노후화 정도가 달라져 기존 차량과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0계를 새로 제조하여 낡은 0계를 교체하는 방식이 지속되었고, 약 22년간 38차례에 걸쳐 세부적인 개량을 거듭하며 0계가 계속 발주 및 제작되었다.[34]
2008년 11월 30일, 신칸센 0계는 정기 운행을 종료했다.[144] 2007년 9월 N700계 추가 증비 계획 발표에 따라, 500계를 단편성화하여 산요 신칸센 '고다마'로 투입하고, 0계를 대체하게 되었다.[145] 2008년 12월부터는 100계와 500계 개조 편성이 투입되었다.
정기 운행 종료 이후, 2008년 12월 6일, 13일, 14일에 0계 '히카리' 특별 열차가 운행되었다. 12월 14일 '히카리 347호'를 마지막으로 0계 운행은 완전히 종료되었다.[152]
1995년 9월 17일, 0계 "히카리"는 도쿄역 - 나고야역 구간에서 철수했고,[140] 1998년 10월 3일 이후 도카이도 구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1999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는 6개 편성이 남아 도쿄 - 신오사카 구간 '고다마' 등에 투입되었고, 1999년 9월 18일 '고다마 473호'를 마지막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운행이 종료되었다.[143]
JR 서일본에 남은 0계는 노후화가 진행되어, 2008년 11월 30일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전 차량 폐차되었다. 2008년 2월부터 6월까지 3개 편성은 개통 당시 도색으로 복원되어 운행되었다.
2008년 3월 15일 개정 시 0계 운행 열차는 하행 4편, 상행 6편이었다. 정기 운행 마지막 날인 11월 30일 '고다마 659호'는 하카타역에서 종료 세레모니를 가졌다.
12월 6일, 13일, 14일 '작별 운전'에서는 임시 '히카리'가 운행되었고, 12월 14일 신오사카, 히로시마, 하카타 각 역에서 작별 세레모니가 열렸다. R61 편성이 사용되었고, 기념 승차증 배포, 여성 차내 판매원 제복 복원 등의 연출이 있었다.
2009년 1월, 0계는 공식적으로 폐차되었고, 45년 역사가 막을 내렸다.
현재 0계 차량은 일본 각지와 영국, 대만 등지에 보존되어 있다. 국립 철도 박물관(영국 요크)에는 JR-West가 기증한 차량이,[8] 타이난 고속철도역(타이난)에는 건축 한계 측정 차량으로 활용되었던 차량이 보존되어 있다.[9]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역사
0계 전동차는 1964년 10월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일본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이다.[2] 이전 일본 열차와 달리 도카이도 신칸센 및 모든 후속 신칸센 노선은 표준궤(1435mm)를 채택했으며, 25kV 교류 전기로 구동되었다. 모든 차량의 차축에 185kW 견인 전동기를 장착하여 최고 220km/h의 속도로 운행했다.[2]초기에는 12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으며,[5] 1967년 5월 도쿄의 0계 전동차의 모습과 1등석 객차 내부 모습을 담은 이미지가 남아있다.
객실 내에는 아날로그 속도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1964년 4월부터 9월까지 히타치 제작소, 기샤, 일본 차량 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에서 30개 편성(H1~H6, K1~K6, N1~N6, R1~R6, S1~S6)이 제작되어 도쿄와 오사카 차량 사업소에 배속되었다.[5][6] 초기 12량 편성은 2개의 1등석 객차(15, 16형)와 2개의 식당차(35형)를 포함했다.[6]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형식 | Mc | M' | M | M' | MB | M' | MS | M'S | MB | M' | M | M'c |
량수 | 21 | 26 | 25 | 26-200 | 35 | 26-200 | 15 | 16 | 35 | 26 | 25 | 22 |
1965년에는 철도우호회의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27] 당시에는 "0계"라는 호칭이 사용되지 않아 "도카이도 신칸센용 여객 전차"라는 명칭으로 표창장을 받았다.[28]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수송력 증강을 위해 16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1975년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을 앞두고 1974년부터 식당차가 편성되었다.
1976년부터 1차 차량의 폐차가 시작되어 1978년 10월까지 완료되었다.[29] 1985년에는 100계가 개발되었지만, 0계의 증비는 국철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6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 1986년 최고 속도가 220km/h로 향상되었고, ATC 작동 속도도 225km/h로 변경되었다.[30] 1992년에는 가속도가 1.2km/h/s로 향상되었다.
1999년 9월 18일 코다마 473호(YK8 편성)를 마지막으로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1] 2001년에는 영국 요크의 국립 철도 박물관에 선두차 1량(22-141)이 기증되었다. 2007년에는 YS-11 등과 함께 기계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 11월 30일 코다마 659호(R68 편성)를 마지막으로 정기 운행을 종료하고, 12월 6일, 13일, 14일에 "히카리호"로서 "0계 작별 운전"이 이루어졌다.[3][4] 12월 14일 임시 "히카리" 347호(R61 편성)를 마지막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4]
신칸센 개업에 앞서 가모노미야 모델선에서 시제 편성(A편성, B편성)의 주행 시험이 실시되었다.
2. 2. 증비 및 편성 변화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 당시 12량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오사카 엑스포)를 계기로 수송력 증강을 위해 16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6] 1967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6차에서 9차에 걸쳐 21개의 12량 편성 차량이 추가 제작되었으며, '고다마' 열차 운행에 투입될 1등차(16형)는 1량만 포함되었다.[6]1975년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을 앞둔 1974년부터 식당차가 편성되었다.[6] 1976년부터는 개통 당시부터 사용되어 온 1차 차량의 폐차가 시작되어 1978년 10월까지 폐차 및 해체가 이루어졌다.[29]
1985년 산요 신칸센 개업 시 증비된 0계를 대체하기 위해 100계가 개발되었지만, 0계의 증비는 국철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6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 같은 해, 최고 속도를 210km/h에서 220km/h로 높이고, ATC 작동 속도도 225km/h로 변경되었다.[30] 1992년에는 가속도를 1.0km/h/s에서 1.2km/h/s로 변경했다.
1965년에는 철도우호회의 블루리본상 사상 최대 득표율인 70.3%[27]로 제8회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 당시에는 "0계"라는 호칭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카이도 신칸센용 여객 전차"라는 명칭으로 표창장이 수여되었다.[28]
1999년 9월 18일 "코다마" 473호(YK8 편성)를 마지막으로 0계는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1] 2001년에는 영국 요크의 국립 철도 박물관에 선두차 1량(22-141)이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에 의해 기증되었다.
2007년 8월에는 YS-11 등과 함께 기계 유산으로 인정되었다. 2008년 11월 30일 "코다마" 659호 (R68 편성)를 마지막으로 0계의 정기 운행을 종료했다. 같은 해 12월 6일·13일·14일에 신오사카 - 하카타 구간에서 "히카리호"로서 "0계 작별 운전"이 이루어졌으며, 12월 14일 임시 "히카리" 347호(R61 편성)를 마지막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 그 후 전 차량이 폐차되어 차종으로서 폐지되었다.
국철 시대에는 기본 번대 차량 중 1차차 - 11차차까지의 1162량이 폐차되었다.[35]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은 각각 768량, 358량의 기본 번대 차량을 승계받았다. JR 도카이 차량은 1987년, JR 서일본 차량은 1989년부터 폐차가 진행되었으며, 각 연도 폐차량 수는 JR 도카이가 1998년도의 160량, JR 서일본이 1997년도의 106량이 각각 최대였다. 기본 번대 차량은 JR 도카이는 1998년, JR 서일본은 2001년에, 1000번대 차량은 2005년을 마지막으로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JR 도카이 | JR 서일본 | 폐차량 수 | 변동 | |||||||
---|---|---|---|---|---|---|---|---|---|---|
년/번대 | 0 | 1000 | 2000 | 계 | 0 | 1000 | 2000 | 계 | ||
1987 | 768량 | 393량 | 178량 | 1339량 | 358량 | 226량 | 131량 | 715량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 도카이 · JR 서일본이 탄생. | |
1988 | 736량 | 393량 | 178량 | 1307량 | 358량 | 226량 | 131량 | 715량 | JR 도카이: 32량 | 웨스트 히카리 등장. |
1989 | 708량 | 393량 | 178량 | 1279량 | 336량 | 226량 | 131량 | 693량 | JR 도카이: 28량 JR 서일본: 22량 | 웨스트 히카리 편성을 12량 편성으로 증강. |
1990 | 604량 | 375량 | 172량 | 1151량 | 310량 | 226량 | 131량 | 667량 | JR 도카이: 126량 + 양도 2량 JR 서일본: 28량 | S・Sk 편성을 Y・Yk 편성으로 재편성. 선두차 2량이 JR 도카이에서 JR 서일본으로 양도. |
1991 | 522량 | 368량 | 172량 | 1062량 | 299량 | 226량 | 131량 | 656량 | JR 도카이: 89량 JR 서일본: 11량 |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전 차량 16량 편성으로 통일. |
1992 | 473량 | 360량 | 172량 | 1005량 | 266량 | 226량 | 131량 | 623량 | JR 도카이: 57량 JR 서일본: 33량 | 노조미 운행 개시에 따라, 기동 가속도를 변경. |
1993 | 382량 | 345량 | 172량 | 899량 | 217량 | 226량 | 131량 | 574량 | JR 도카이: 106량 JR 서일본: 49량 | 35형이 형식 소멸. |
1994 | 303량 | 320량 | 172량 | 775량 | 189량 | 226량 | 131량 | 546량 | JR 도카이: 124량 JR 서일본: 28량 | |
1995 | 204량 | 290량 | 172량 | 666량 | 179량 | 226량 | 131량 | 536량 | JR 도카이: 109량 JR 서일본: 10량 |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 |
1996 | 130량 | 239량 | 172량 | 541량 | 165량 | 226량 | 131량 | 522량 | JR 도카이: 125량 JR 서일본: 14량 | JR 도카이 소속 히카리 편성 소멸. |
1997 | 54량 | 174량 | 168량 | 396량 | 124량 | 210량 | 131량 | 465량 | JR 도카이: 145량 JR 서일본: 57량 | Y 편성 소멸.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YK 편성만 남게 됨. |
1998 | 7량 | 100량 | 133량 | 240량 | 50량 | 180량 | 129량 | 359량 | JR 도카이: 156량 JR 서일본: 106량 | Q 편성이 등장. |
1999 | - | 18량 | 62량 | 80량 | 10량 | 139량 | 126량 | 275량 | JR 도카이: 160량 JR 서일본: 84량 | JR 도카이에서 대형 창문 차량이 소멸. |
2000 | - | - | - | 0량 | 2량 | 112량 | 121량 | 235량 | JR 도카이: 80량 JR 서일본: 40량 | 도카이도 신칸센에서의 운용을 종료. |
2001 | - | - | - | - | - | 73량 | 108량 | 181량 | JR 서일본: 54량 | 웨스트 히카리 폐지. |
2002 | - | - | - | - | - | 51량 | 104량 | 155량 | JR 서일본: 26량 | Q 편성이 소멸. |
2003 | - | - | - | - | - | 22량 | 80량 | 102량 | JR 서일본: 53량 | 히카리 레일스타를 기반으로 한 신도색 차량이 등장. |
2004 | - | - | - | - | - | 7량 | 71량 | 78량 | JR 서일본: 24량 | |
2005 | - | - | - | - | - | 4량 | 56량 | 60량 | JR 서일본: 18량 | 패밀리 히카리 편성이 소멸. |
2006 | - | - | - | - | - | - | 48량 | 48량 | JR 서일본: 12량 | R 편성 및 1000번대 차량이 소멸. 남은 것은 WR 편성뿐이 되었다. |
2007 | - | - | - | - | - | - | 36량 | 36량 | JR 서일본: 12량 | |
2008 | - | - | - | - | - | - | 30량 | 30량 | JR 서일본: 6량 | 37형이 형식 소멸. |
2009 | - | - | - | - | - | - | - | 0량 | JR 서일본: 30량 | 0계 영업 운전 종료. |
주요 출처는 [http://www.n-sharyo.co.jp/museum/tec0/tec0-transition.html 일본 차량 박물관 0계 신칸센 1차부터 38차까지의 변천]이다.
|thumb|1989년 5월의 16량 NH ''히카리'' 편성]]
|thumb|1997년 3월 ''West Hikari'' 열차의 SK5 편성]]
|thumb|left|1997년 3월 SK 편성에 부착된 "West" 로고]]
2. 3. 장기 증비의 원인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및 개통까지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여 차량 개발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모델 차량인 1000형을 기반으로 한 0계 전동차를 개발하고,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후속 차량에 개선점을 반영할 계획이었다.[32] 이 차량은 전국 신칸센망 완성 시점에 주파수 50 Hz/60 Hz 양용 차량으로 할 구상이었다.[32] 951형, 961형과 같은 시험 차량이 제작되었고, 후속 차량을 위해 100번대 형식을 결번 처리하고, 도호쿠·조에츠 신칸센용 영업 차량에는 200계 형식이 부여되었다.[32]그러나 신칸센 차량은 장거리 고속 운전으로 인해 예상보다 차체 및 기기의 열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32] 초기 제조 차량은 12년째 법정 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아 1976년 9월부터 폐차가 시작되었다.[32]
당시 국철의 재정 악화와 노동 분쟁으로 인해 차량 기술 혁신이 정체되었고, 0계의 기본 성능이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노동조합은 신형 차량 도입에 부정적이었다.[33] 또한, 0계 증비가 너무 많이 진행되어 편성 내 차량 노후화 정도가 달라져 기존 차량과의 호환성을 고려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0계를 새로 제조하여 낡은 0계를 교체하는 방식이 지속되었고, 약 22년간 38차례에 걸쳐 세부적인 개량을 거듭하며 0계가 계속 발주 및 제작되었다.[34]
2. 4. 퇴역 및 이후
2008년 11월 30일, 신칸센 0계는 정기 운행을 종료했다.[144] 2007년 9월 N700계 추가 증비 계획 발표에 따라, 500계를 단편성화하여 산요 신칸센 '고다마'로 투입하고, 0계를 대체하게 되었다.[145] 2008년 12월부터는 100계와 500계 개조 편성이 투입되었다.정기 운행 종료 이후, 2008년 12월 6일, 13일, 14일에 0계 '히카리' 특별 열차가 운행되었다. 12월 14일 '히카리 347호'를 마지막으로 0계 운행은 완전히 종료되었다.[152]
1995년 9월 17일, 0계 "히카리"는 도쿄역 - 나고야역 구간에서 철수했고,[140] 1998년 10월 3일 이후 도카이도 구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1999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 시점에는 6개 편성이 남아 도쿄 - 신오사카 구간 '고다마' 등에 투입되었고, 1999년 9월 18일 '고다마 473호'를 마지막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운행이 종료되었다.[143]
JR 서일본에 남은 0계는 노후화가 진행되어, 2008년 11월 30일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전 차량 폐차되었다. 2008년 2월부터 6월까지 3개 편성은 개통 당시 도색으로 복원되어 운행되었다.
2008년 3월 15일 개정 시 0계 운행 열차는 하행 4편, 상행 6편이었다. 정기 운행 마지막 날인 11월 30일 '고다마 659호'는 하카타역에서 종료 세레모니를 가졌다.
12월 6일, 13일, 14일 '작별 운전'에서는 임시 '히카리'가 운행되었고, 12월 14일 신오사카, 히로시마, 하카타 각 역에서 작별 세레모니가 열렸다. R61 편성이 사용되었고, 기념 승차증 배포, 여성 차내 판매원 제복 복원 등의 연출이 있었다.
2009년 1월, 0계는 공식적으로 폐차되었고, 45년 역사가 막을 내렸다.
현재 0계 차량은 일본 각지와 영국, 대만 등지에 보존되어 있다. 국립 철도 박물관(영국 요크)에는 JR-West가 기증한 차량이,[8] 타이난 고속철도역(타이난)에는 건축 한계 측정 차량으로 활용되었던 차량이 보존되어 있다.[9]
3. 차량 구조
당시까지 일본이 독자적으로 축적한 기술로만 동력분산식 열차로 개발되었으며, 신기술은 사용하지 않았다. 제조 기간이 23년(38차)으로 매우 길었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변경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대부분의 기본 설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일본 최초의 초고속 철도 차량이지만, 설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컨셉을 기초로 개발되었다.
- 미경험의 신기술은 사용하지 않고, 그동안 일본 철도가 축적한 실증된 기술(프루븐 테크닉)을 조합한다.
- 장래에 개량의 여지를 남긴다.
대부분의 기본 설계는 변하지 않았지만, 제조 기간이 약 23년, 38차에 걸친 장기에 걸쳐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이너 체인지가 여러 번 이루어졌다. 특히 22차 차량(1000번대)에서는 창 구조나 차체 하부 기기의 면에서, 30차 차량(2000번대)에서는 차내 설비의 면에서 0계로서는 큰 변경이 있었다.
== 차체 및 외관 ==
신칸센 0계 전동차의 차체는 강철을 사용한 전체 길이 25m, 전체 폭 3.4m의 대형 유선형 차체로 1량의 총중량은 64t에 달한다.[36] 공기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차량 디자인이 결정되었으며, 설계에는 일본국철 (현 JR) 기술자이자 2차대전 당시 구 일본 해군의 기술 장교 중 유일한 생존자인 미키 타다나오가 참여하였다. 그는 일본 해군의 쌍발 폭격기 '은하'를 디자인 모티브로 했다고 증언했다.[38]
전두부 선단에는 '빛 전두장치'라고 불리는 둥근 플라스틱 커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안에는 비상용 연결기가 수납되어 있다.[39] 개발 초기에는 반투명 아크릴 수지 재질로, 전조등을 광원으로 하여 빛나는 구조였으나, 주행 중 새와의 충돌로 자주 파손되어 빛나는 기능이 없는 튼튼한 FRP 재질로 변경되었다.[39] 전조등과 미등은 동일한 램프를 겸용하며, 미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빨간색 스크린 (빨간 필터)을 통해 점등시키는 구조이다.[40]
선두차 하부에는 고속 운전 시 장애물로 인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배장기를 설치했다.[41] 강판을 다중으로 배열한 이 스커트 부분은 조그마한 바위 정도는 쉽게 날릴 수 있다.
차체 길이는 24.5m, 차체 폭은 3,380mm로 매우 대형의 유선형 준 장력 구조 차체이다.[36] 재래선 차량보다 5m 길고, 50cm 이상 넓다. 객실 바닥면 높이는 1,300mm로, 구 남만주철도 "아지아"호용 객차 등의 표준궤용 여객차의 표준 바닥면 높이와 같다.
초창기 차량은 행선판이 장착되어 있었지만 도난 사고가 빈번하여 전동식 롤지로 변경되었다. 최초의 도장은 차체가 크림 10호, 창문 주위가 청색 20호로 구분되어 칠해졌으며, 이 청색 도장은 "신칸센 블루"라고도 한다.

== 설비 ==
모든 차량에는 히트펌프식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74] 터널 내에서는 차내 기압 변동을 막기 위해 차외와의 환기를 차단한다.[75] 그러나 산요 신칸센에서는 터널이 많아 환기 차단 횟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오카야마역 서쪽 구간에서는 연속 환기 방식이 채용되었다.[80] 1973년 이후 제조된 차량은 이 환기 방식에 대응하지만, 그 이전 차량은 당시 '히카리' 편성에만 적용되었다. 이후 편성 재조합으로 S편성과 Y편성이 조성되었을 때, 비대응 차량이 포함된 편성은 오카야마역 서쪽 운행 불가 표시를 위해 원래 편성 번호에 50을 더하여 구별했다.
초기 차량은 좌석 2열당 1개의 넓은 창문이 설치되었으나, 자갈 비산으로 인한 유리창 손상 우려로 1976년 이후 후기형은 좌석 1열당 1개의 좁은 창문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부터 증비된 2000번대 차량은 좌석 간격을 넓히면서 창문의 가로폭도 약간 넓어졌다. 또한 제작 간략화를 위해 창문 주변부가 FRP 유닛으로 변경되면서 창문 아래 문지방이 폐지되었다.
초기에는 차체 측면에 비상구가 설치되었으나, 사용 빈도가 낮고 차체 부식 방지를 위해 폐쇄되었다.[81]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덮개를 제거하고 새 판을 용접하여 매끄럽게 마감한 반면, JR 서일본 소속 차량은 비상구 자체를 용접하였다. 2000번대부터는 비상구를 설치하지 않았다.
보통차(1969년까지 2등차[82]) 좌석은 바다 쪽 3열을 포함하여 총 5열 배치로 수송력을 중시했다. 초기에는 은색과 청색의 전환식 좌석(W-12, W-70)이었으나,[83] 1981년 이후 생산분은 도호쿠 신칸센 200계와 거의 같은 오렌지색 계열의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D-23, D-32)로 변경되었다.[84] 3열 측은 회전 공간이 없어 한 방향으로 고정되었다.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고다마'용 Y편성과 YK편성의 지정석 차량(9~12호차),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SK편성 '웨스트 히카리', WR편성의 전 차량은 좌우 2열씩 총 4열로 교체되었다.[84]
그린차(1969년까지 1등차[82])는 골든 올리브색의 4열 배치 리클라이닝 시트(R-25)였다. 1981년 이후 차량은 200계와 같이 시트 색상이 와인 레드로 변경되었다(R-32).
뷔페는 개업 초기부터 존재했으며,[85] 오카야마 개업 시까지 제조된 차량(35형)에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었지만,[86] 이후 증비 차량(37형)에서는 입식으로 변경되었다. 개업 당시에는 모든 편성에 2량씩 투입되었으나, 오사카 만국박람회 수송을 앞둔 1969년부터 수송력 증강을 위해 고다마용 편성 5호차를 매점 차량(25형 400번대)으로 교체하여, 고다마용 편성은 뷔페 1량이 정규가 되었다.[87]
하카타 개업 이후 '히카리'용으로 사용된 H, NH, N 편성에는 식당차(36형)가 설치되었다. 식당차에는 산 쪽에 독립된 통로를 설치하여 객실 간 이동 승객 및 승무원과 식당차 이용객을 분리했다. 당초에는 통로 쪽에 창문을 설치하지 않았으나, 이용객들의 불만으로 1979년부터 통로 측 벽면에 창문을 설치하는 개조가 실시되었다.[88]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 당시 하카타~히메지 간 운용되던 0계 식당차는 영업이 중지되었고, 이후 재개되지 않았다.
민영화 이후 JR 서일본은 '웨스트 히카리' 편성에 뷔페를 설치한 차량을 연결했다. 뷔페 카운터 옆 공간을 확대하여 테이블과 의자를 설치해 좌석으로 가져가지 않고 바로 앉아 먹을 수 있도록 했다.
일부 차량에는 전화실이 설치되어 있었다.
== 주행 기기 ==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주전동기는 MT200형 직류 직권 정류자 전동기를 사용했다. 연속정격출력은 185kW이며, 1964년 당시 일본에서 전동차용 전동기 및 카르단 구동 방식 전동기로서는 최강이었다.[52][53] 1량당 4기를 탑재하여 1량으로 740kW(≒1000HP)의 출력을 확보했으며, 전체 차량을 전동차로 편성하여 동력 성능상 균형 속도는 평탄선에서 235km/h, 10‰ 상구배에서 196km/h에 달했다. 이후 절연 강화를 도모한 MT200A형을 거쳐, 1973년 신조차량부터는 1시간 정격 출력을 225kW로 증강시킨 MT200B형을 장비했다.[52] 1992년에는 0계의 주전동기가 MT200B로 통일되어, 한류치를 올려 가속도를 1.2km/h/s로 상승시켰다.[52]
실용속도 200km/h의 DT200형 대차는 고속 안정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기계적인 브레이크로서 고속 대역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공기 유압 변환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했다. 또한 고속 주행을 위해, 베어링 구조는 일본철도 차량 사상 최초의 유압식 볼베어링이 채용되었다.[54] 축 스프링 기구는 민덴 독일 방식을 개량한 IS식으로, 축받이의 앞뒤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차축의 위치 결정을 앞뒤 방향에서 긴 판스프링으로 하는 방식이다. 베개 스프링은 다이어프램식 공기 스프링을 채용하여, 베개보와 차체를 볼스터 앵커로 연결하는 다이렉트 마운트 구조를 채택했다.
가선으로부터의 교류 25kV를 변압기로 강압한 다음 실리콘 정류기로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바꾸었다.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은 2량마다 1개씩 탑재된 제어기로, 가선으로부터의 교류 25kV를 강압한 변압기의 2차측 탭을 바꾸어 2량분 8개의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조정하는 저압 탭 제어 방식이다.[58] 약계자 제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트랜스로부터 자유롭게 전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발전 제동은 50km/h까지 작동하며 그 이하의 속도가 되면 공기 브레이크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었으나, 이후 30km/h로 개선되었다.[57][61]
팬터그래프는 컴팩트하여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하방교차형이 처음으로 채용되었다. 신칸센용 차량 중 0계만이 특고압 인통선을 가지지 않고, 각 유닛당 1기의 팬터그래프를 사용한다.[71] 이는 개업 당시 송전 방식과 공조장치 설치 문제 때문이었다. 단, JR 서일본 소속 NH82편성에는 예외적으로 특고압 인통선 준비 공사가 실시되었다.
3. 1. 차체 및 외관
신칸센 0계 전동차의 차체는 강철을 사용한 전체 길이 25m, 전체 폭 3.4m의 대형 유선형 차체로 1량의 총중량은 64t에 달한다.[36] 공기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차량 디자인이 결정되었으며, 설계에는 일본국철 (현 JR) 기술자이자 2차대전 당시 구 일본 해군의 기술 장교 중 유일한 생존자인 미키 타다나오가 참여하였다. 그는 일본 해군의 쌍발 폭격기 '은하'를 디자인 모티브로 했다고 증언했다.[38]전두부 선단에는 '빛 전두장치'라고 불리는 둥근 플라스틱 커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안에는 비상용 연결기가 수납되어 있다.[39] 개발 초기에는 반투명 아크릴 수지 재질로, 전조등을 광원으로 하여 빛나는 구조였으나, 주행 중 새와의 충돌로 자주 파손되어 빛나는 기능이 없는 튼튼한 FRP 재질로 변경되었다.[39] 전조등과 미등은 동일한 램프를 겸용하며, 미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빨간색 스크린 (빨간 필터)을 통해 점등시키는 구조이다.[40]
선두차 하부에는 고속 운전 시 장애물로 인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배장기를 설치했다.[41] 강판을 다중으로 배열한 이 스커트 부분은 조그마한 바위 정도는 쉽게 날릴 수 있다.
차체 길이는 24.5 m, 차체 폭은 3,380 mm로 매우 대형의 유선형 준 장력 구조 차체이다.[36] 재래선 차량보다 5m 길고, 50 cm 이상 넓다. 객실 바닥면 높이는 1,300mm로, 구 남만주철도 "아지아"호용 객차 등의 표준궤용 여객차의 표준 바닥면 높이와 같다.
초창기 차량은 행선판이 장착되어 있었지만 도난 사고가 빈번하여 전동식 롤지로 변경되었다. 최초의 도장은 차체가 크림 10호, 창문 주위가 청색 20호로 구분되어 칠해졌으며, 이 청색 도장은 "신칸센 블루"라고도 한다.
|thumb|200px|좌석 지정 표시기(슬림라인)]]
3. 2. 설비
모든 차량에는 히트펌프식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74] 터널 내에서는 차내 기압 변동을 막기 위해 차외와의 환기를 차단한다.[75] 그러나 산요 신칸센에서는 터널이 많아 환기 차단 횟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오카야마역 서쪽 구간에서는 연속 환기 방식이 채용되었다.[80] 1973년 이후 제조된 차량은 이 환기 방식에 대응하지만, 그 이전 차량은 당시 '히카리' 편성에만 적용되었다. 이후 편성 재조합으로 S편성과 Y편성이 조성되었을 때, 비대응 차량이 포함된 편성은 오카야마 서쪽 운행 불가 표시를 위해 원래 편성 번호에 50을 더하여 구별했다.초기 차량은 좌석 2열당 1개의 넓은 창문이 설치되었으나, 자갈 비산으로 인한 유리창 손상 우려로 1976년 이후 후기형은 좌석 1열당 1개의 좁은 창문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부터 증비된 2000번대 차량은 좌석 간격을 넓히면서 창문의 가로폭도 약간 넓어졌다. 또한 제작 간략화를 위해 창문 주변부가 FRP 유닛으로 변경되면서 창문 아래 문지방이 폐지되었다.
초기에는 차체 측면에 비상구가 설치되었으나, 사용 빈도가 낮고 차체 부식 방지를 위해 폐쇄되었다.[81]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덮개를 제거하고 새 판을 용접하여 매끄럽게 마감한 반면, JR 서일본 소속 차량은 비상구 자체를 용접하였다. 2000번대부터는 비상구를 설치하지 않았다.
보통차(1969년까지 2등차[82]) 좌석은 바다 쪽 3열을 포함하여 총 5열 배치로 수송력을 중시했다. 초기에는 은색과 청색의 전환식 좌석(W-12, W-70)이었으나,[83] 1981년 이후 생산분은 도호쿠 신칸센 200계와 거의 같은 오렌지색 계열의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D-23, D-32)로 변경되었다.[84] 3열 측은 회전 공간이 없어 한 방향으로 고정되었다.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고다마'용 Y편성과 YK편성의 지정석 차량(9~12호차),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SK편성 '웨스트 히카리', WR편성의 전 차량은 좌우 2열씩 총 4열로 교체되었다.[84]
그린차(1969년까지 1등차[82])는 골든 올리브색의 4열 배치 리클라이닝 시트(R-25)였다. 1981년 이후 차량은 200계와 같이 시트 색상이 와인 레드로 변경되었다(R-32).
뷔페는 개업 초기부터 존재했으며,[85] 오카야마 개업 시까지 제조된 차량(35형)에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었지만,[86] 이후 증비 차량(37형)에서는 입식으로 변경되었다. 개업 당시에는 모든 편성에 2량씩 투입되었으나, 오사카 만국박람회 수송을 앞둔 1969년부터 수송력 증강을 위해 고다마용 편성 5호차를 매점 차량(25형 400번대)으로 교체하여, 고다마용 편성은 뷔페 1량이 정규가 되었다.[87]
하카타 개업 이후 '히카리'용으로 사용된 H, NH, N 편성에는 식당차(36형)가 설치되었다. 식당차에는 산 쪽에 독립된 통로를 설치하여 객실 간 이동 승객 및 승무원과 식당차 이용객을 분리했다. 당초에는 통로 쪽에 창문을 설치하지 않았으나, 이용객들의 불만으로 1979년부터 통로 측 벽면에 창문을 설치하는 개조가 실시되었다.[88]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발생 당시 하카타~히메지 간 운용되던 0계 식당차는 영업이 중지되었고, 이후 재개되지 않았다.
민영화 이후 JR 서일본은 '웨스트 히카리' 편성에 뷔페를 설치한 차량을 연결했다. 뷔페 카운터 옆 공간을 확대하여 테이블과 의자를 설치해 좌석으로 가져가지 않고 바로 앉아 먹을 수 있도록 했다.
일부 차량에는 전화실이 설치되어 있었다.
3. 3. 주행 기기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주전동기는 MT200형 직류 직권 정류자 전동기를 사용했다. 연속정격출력은 185kW이며, 1964년 당시 일본에서 전동차용 전동기 및 카르단 구동 방식 전동기로서는 최강이었다.[52][53] 1량당 4기를 탑재하여 1량으로 740kW(≒1000HP)의 출력을 확보했으며, 전체 차량을 전동차로 편성하여 동력 성능상 균형 속도는 평탄선에서 235km/h, 10‰ 상구배에서 196km/h에 달했다. 이후 절연 강화를 도모한 MT200A형을 거쳐, 1973년 신조차량부터는 1시간 정격 출력을 225kW로 증강시킨 MT200B형을 장비했다.[52] 1992년에는 0계의 주전동기가 MT200B로 통일되어, 한류치를 올려 가속도를 1.2km/h/s로 상승시켰다.[52]실용속도 200km/h의 DT200형 대차는 고속 안정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기계적인 브레이크로서 고속 대역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공기 유압 변환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했다. 또한 고속 주행을 위해, 베어링 구조는 일본철도 차량 사상 최초의 유압식 볼베어링이 채용되었다.[54] 축 스프링 기구는 민덴 독일 방식을 개량한 IS식으로, 축받이의 앞뒤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차축의 위치 결정을 앞뒤 방향에서 긴 판스프링으로 하는 방식이다. 베개 스프링은 다이어프램식 공기 스프링을 채용하여, 베개보와 차체를 볼스터 앵커로 연결하는 다이렉트 마운트 구조를 채택했다.
가선으로부터의 교류 25kV를 변압기로 강압한 다음 실리콘 정류기로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바꾸었다.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은 2량마다 1개씩 탑재된 제어기로, 가선으로부터의 교류 25kV를 강압한 변압기의 2차측 탭을 바꾸어 2량분 8개의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조정하는 저압 탭 제어 방식이다.[58] 약계자 제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트랜스로부터 자유롭게 전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발전 제동은 50km/h까지 작동하며 그 이하의 속도가 되면 공기 브레이크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었으나, 이후 30km/h로 개선되었다.[57][61]
팬터그래프는 컴팩트하여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하방교차형이 처음으로 채용되었다. 신칸센용 차량 중 0계만이 특고압 인통선을 가지지 않고, 각 유닛당 1기의 팬터그래프를 사용한다.[71] 이는 개업 당시 송전 방식과 공조장치 설치 문제 때문이었다. 단, JR 서일본 소속 NH82편성에는 예외적으로 특고압 인통선 준비 공사가 실시되었다.
4. 형식 및 차종
신칸센 0계 전동차는 다양한 형식과 차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수 형식과 짝수 형식이 유닛을 구성하며, 짝수 형식(M'차)은 하카타 방면에 팬터그래프가 설치되어 있다.
- 15형(Ms): 그린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36형을 제외한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주 제어기, 저항기, 전동 발전기 등을 탑재한다. 1000번대 차량은 30량만 존재하며, 2000번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 16형(M's): 그린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27형을 제외한 홀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집전 장치, 주 변압기, 정류 장치,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 15형과 달리 객실용 승강문이 양쪽 끝에 설치되어 있다.[89]
- 21형(Mc):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로, 36형을 제외한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하카타 방향 운전대를 갖추고 있으며, 주 제어기, 저항기, 전동 발전기 등을 탑재한다.
- 22형(M'c): 보통석을 갖춘 제어 전동차로, 27형을 제외한 홀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도쿄 방향 운전대를 갖추고 있으며, 집전 장치, 주 변압기, 정류 장치,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
- 25형(M):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36형을 제외한 짝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주 제어기, 저항기, 전동 발전기 등을 탑재한다.
- 26형(M'):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27형을 제외한 홀수 형식과 짝을 이룬다. 집전 장치, 주 변압기, 정류 장치,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
- 27형(Ma): 보통석을 갖춘 중간 전동차로, 36형 또는 36형에서 개조된 26형과 짝을 이룬다. 휠체어 대응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90] 36형에 탑재되어야 할 공기 압축기 등을 탑재한다.[90] 2000번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 35형(Mb): 보통석과 뷔페를 병설하는 중간 전동차이다. 1000번대 이후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다.
- 36형(M'd): 전실 식당차[92]로, 중간 전동차이며 27형과 짝을 이룬다. 2000번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 37형(Mb): 보통석과 뷔페를 병설하는 중간 전동차이다. 22차량부터 35형을 대신하여 투입되었으며, 0번대와 2000번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1000번대는 창문 소형화 등, 2000번대는 시트 피치 확대,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 등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장기간 사용 과정에서 운용 재검토 등으로 인해 일부 형식에 대해 개조에 따른 번대 구분이 발생했다. 21·22형의 경우 3900번대와 7950번대, 25형의 경우 1900번대, 2900번대, 3300번대, 3900번대, 4900번대, 26형의 경우 1900번대, 3000번대, 37형의 경우 5300번대, 7300번대, 7530번대, 7700·7730번대가 존재한다.
5. 운용
5. 1. 국철 시대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 당시에는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 개최에 따른 수송력 증강을 위해 16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107]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의 히로시마 ~ 하카타 구간이 개통되면서 식당차가 편성되었다.[106]개업 초기에는 "히카리"와 "고다마" 모두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나, 1972년 "히카리"와 "고다마"의 편성이 분리되었다. "고다마"는 1등차(그린차) 1량과 뷔페차 1량을 포함한 12량 편성, 혹은 1등차(그린차) 1량, 뷔페차 1량 및 매점차 1량을 포함한 1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히카리"는 1등차(그린차) 2량과 뷔페차 2량을 포함한 1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최고 속도는 210km/h였으나, 1986년에 220km/h로 향상되었다.
1985년 산요 신칸센 개업 시 증산된 0계를 대체하기 위해 후계 형식인 100계가 개발되었지만, 0계 증비는 일본국유철도가 JR로 민영화되기 직전인 1986년 4월까지 계속되었다.
1999년 9월 18일, 고다마 473호(YK8편성)가 도카이도 신칸센에서의 마지막 정기 운용을 마치고, 이후 0계는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퇴역했다. 단축된 편성은 산요 신칸센에서 고다마호로 2008년 11월 30일까지 운용되었다.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히카리 고다마 | 21형 (Mc) | 26형 (M') | 25형 (M) | 26형 (M'2) | 35형 (Mb) | 26형 (M'2) | 15형 (Ms) | 16형 (M's) | 35형 (Mb) | 26형 (M') | 25형 (M) | 22형 (M'c) |
2등차 | 뷔페차 | 2등차 | 1등차 | 뷔페차 | 2등차 |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히카리 | 21형 (Mc) | 26형 (M') | 25형 (M) | 26형 (M'2) | 35형 (Mb) | 26형 (M'2) | 25형 (M7) | 26형 (M'7) | 15형 (Ms) | 16형 (M's) | 35형 (Mb) | 26형 (M') | 25형 (M5) | 26형 (M'7) | 25형 (M) | 22형 (M'c) |
보통차 | 뷔페차 | 보통차 | 그린차 | 뷔페차 | 보통차 |
5. 2. JR 시대

히카리용 16량 편성(H/NH)은 전성기에 99편성이 존재하여 JR 발족 당시에는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가 소유하고 있었다.
고다마용 16량 편성(Y/YK)은 JR 도카이가 소유하고 있었다. 도카이도 신칸센의 고다마는 JR 발족 당초에는 12량 편성으로 S, SK편성이었지만, 1989년에 고다마의 이용자가 증가했기 때문에 중간차 4량이 추가되어 16량 편성화, Y, YK편성으로 고쳐졌다. 터널 내 환기방식의 차이에 의해 오카야마역 이서로 들어갈 수 없는 차량이 들어가 있는 편성은 원래의 편성 번호에 50이 더해져 있었지만, 이러한 편성이 1990년대 전반까지 남아 있었다. 원칙적으로는 고다마용이었지만, 승객이 많을 때에는 산요 신칸센 구간 주행을 포함한 임시 히카리로 충당되는 일도 많이 있었다.[117]
H, NH편성과 달리 Y, YK 편성의 그린차는 8호차 1량 뿐으로 5호차에 뷔페가 연결되어 있었다. 때문에 식당차는 없다. 지정석 차량인 9~12호차의 좌석은 가로 4열이 되어 2개의 'II'을 디자인한 심볼 마크와 오렌지색 호차 번호표가 외관상의 특징이었다.
Y편성은 긴 창문의 0번대로 구성되어 있던 것에 비해 YK편성은 선두차와 일부의 중간차가 개인창인 1000번대, 2000번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JR 도카이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0계는 YK 편성이다. SK편성은 JR 서일본에서도 소유하고 있어, 웨스트 히카리도 SK편성을 자칭하고 있었다.
1988년에 당시 보류 차량이 된 중간차 4량(15-52・16-99・25-539・26-835)의 좌석을 모두 철거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도록 했다. "고다마"용 SK・S편성에 증결하여 운용되었다.[116] "고다마"의 16량화로 운용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1990년 11월을 마지막으로 운용을 종료했으며, 4량 모두 다음 해인 1991년에 폐차되었다.
5. 2. 1. JR 도카이
히카리용 16량 편성(H/NH)은 전성기에 99편성이 존재하여 JR 발족 당시에는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가 소유하고 있었다.
고다마용 16량 편성(Y/YK)은 JR 도카이가 소유하고 있었다. 도카이도 신칸센의 고다마는 JR 발족 당초에는 12량 편성으로 S, SK편성이었지만, 1989년에 고다마의 이용자가 증가했기 때문에 중간차 4량이 추가되어 16량 편성화, Y, YK편성으로 고쳐졌다. 터널 내 환기방식의 차이에 의해 오카야마역 이서로 들어갈 수 없는 차량이 들어가 있는 편성은 원래의 편성 번호에 50이 더해져 있었지만, 이러한 편성이 1990년대 전반까지 남아 있었다. 원칙적으로는 고다마용이었지만, 승객이 많을 때에는 산요 신칸센 구간 주행을 포함한 임시 히카리로 충당되는 일도 많이 있었다.[117]
H, NH편성과 달리 Y, YK 편성의 그린차는 8호차 1량 뿐으로 5호차에 뷔페가 연결되어 있었다. 때문에 식당차는 없다. 지정석 차량인 9~12호차의 좌석은 가로 4열이 되어 2개의 'II'을 디자인한 심볼 마크와 오렌지색 호차 번호표가 외관상의 특징이었다.
Y편성은 긴 창문의 0번대로 구성되어 있던 것에 비해 YK편성은 선두차와 일부의 중간차가 개인창인 1000번대, 2000번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JR 도카이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0계는 YK 편성이다. SK편성은 JR 서일본에서도 소유하고 있어, 웨스트 히카리도 SK편성을 자칭하고 있었다.
1988년에 당시 보류 차량이 된 중간차 4량(15-52・16-99・25-539・26-835)의 좌석을 모두 철거하여,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도록 했다. "고다마"용 SK・S편성에 증결하여 운용되었다.[116] "고다마"의 16량화로 운용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1990년 11월을 마지막으로 운용을 종료했으며, 4량 모두 다음 해인 1991년에 폐차되었다.
5. 2. 2. JR 서일본



- H/NH/N 편성: 16량 편성으로 히카리용으로 사용되었다. 전성기에는 99편성이 존재했으며,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소유했다. 8호차에는 식당차, 9호차(이후 5호차로 변경)에는 뷔페가 연결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차량은 도카이도 신칸센의 고다마로도 사용되었다.[118] NH32편성은 JR 서일본에 마지막까지 남은 16량 편성으로, 마지막 식당차 차량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1999년에 폐차되었다.
- SK/S 편성: 12량 편성으로, 히카리로 운용되었지만, 웨스트 히카리의 등장에 따라 전용되었다. 히카리 레일스타의 등장으로 2000년에 소멸되었다.
- R/WR 편성: 고다마용 6량 편성으로, 모두 JR 서일본에만 존재했다. R편성은 NH편성에서, WR편성은 웨스트 히카리 6량 편성 혹은 SK편성에서 재조합되었다. R2·R24편성은 뷔페 부분을 플레이 룸으로 개조하여 패밀리 히카리로 운행했지만, 2002년에 운행을 종료하고 폐차되었다.
- Q 편성: 고다마용 4량 편성으로, JR 서일본에만 존재했다. 1997년 3월부터 하카타와 / 사이를 운행하는 ''코다마'' 셔틀 열차와 일부 하카타미나미선 운행에 사용되었다. 100계 4량 P편성으로 대체되어 2001년 9월에 퇴역했다.[6]
5. 3. 특별 편성
0계에는 전용 어전 열차 편성이 존재했다. 1965년 5월 7일 시마네현 전국 식수제 때 처음 등장했는데, 초기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137] 처음에는 특별한 표시가 없었으나, 1966년 4월 오카야마현 식수제 어전 열차 운행부터 선두차 스커트에 흰색 V자형 표식이 추가되었고, 1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137][138] 1971년 8월 이후에는 파란색 아이라인으로 표식이 변경되었다.[139] 0계를 사용한 어전 열차는 1984년 5월이 마지막이었고, 이후 1986년 5월부터는 100계가 사용되었다.[137]style="background-color:#ccc;" | | ||||||||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
형식 | 21형 (Mc) | 26형 (M') | 15형 (Ms) | 16형 (M's) | 35형 (Mb) | 26형 (M') | 25형 (M) | 22형 (M'c) |
좌석 | 2등차 | 1등차 | 뷔페차 | 2등차 | ||||
차량 번호 | 31 | 61 | 31 | 31 | 62 | 62 | 62 | 31 |
용도 | 어봉차 | 어봉차 | 어전차 | 어봉차 | 어봉차 |
산요 신칸센 개업을 기념하여 0계 "히카리"가 운행되기도 했다. 2002년 3월 16일에는 산요 신칸센 신오사카-오카야마 간 개업 30주년을 기념하여 R31편성이 오카야마에서 신오사카까지 운행되었다. 2005년 3월부터 4월에는 산요 신칸센 전선 개업 30주년을 기념하여 R10·R18편성이 운행되었다.
6. 보존 및 전시 차량
0계는 일본 각지에 보존되어 있다. 영국 요크에 위치한 국립철도박물관에는 22-141 차량이 보존되어 있는데, 2001년에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기증한 것이다.[190]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장소 | 비고 |
---|---|---|---|---|
16-1, 21-1, 22-1, 35-1 | 1964년 | 1977년 | 교토 철도박물관 | 도입 초기 C편성으로 도입되었다.[192] 2016년 이전에는 오사카 교통현대박물관에 보존.[191] |
21-2 | 1964년 | 1977년 | 철도 박물관 | H2편성으로 운행. 2008년 오사카에서 이전, 2009년부터 전시.[193] |
22-2 | 1964년 | 1977년 | 서일본 여객철도 교육 센터 (오사카부 스이타시) | H2편성으로 운행. |
21-25 | 1964년 | 1978년 | 철도 박물관 | 도쿄 교통박물관에 전시되었다가 이전. |
21-59 | 1968년 | 1982년 | 시즈오카현 후지시 신도리마치공원[192] | |
21-73 | 1969년 | 1984년 | 오사카부 셋쓰국 신칸센 공원 | [192] |
22-75 | 1969년 | 1985년 | 오메 철도 공원 | 1980년대 후반 도호쿠 아이보리 도장을 적용.[192] |
22-77 | 1969년 | 1990년 | 후쿠오카시 사즈키 유치원 | 교무실과 도서실로 사용.[192] |
36-84, 21-86 | 1975년(36-84), 1971년(21-86) | 1991년 | SC말레브 철도공원 | [194] |
22-86 | 1971년 | 1991년 | 도카이 여객철도 하마마츠 작업소 | [192] |
21-100 | 1973년 | 1991년 | 도쿄도 아키시마시 아키시마 시립 도서관 | 도서관으로 사용.[192] |
21-141 | 1976년 | 2000년 | 에히메현 사이조 철도 역사 공원[195] | 구 H94편성, R52편성으로 변경.[192] |
22-141 | 1976년 | 2000년 | 영국 요크 국립철도박물관 | 2001년 서일본 여객철도 기증. |
22-1003 | 1976년 | 1994년 | 교토부 가메오카시 나미카와 철도공원 | [192] |
21-2023 | 1985년 | 1998년 | 요코하마시 J-TREC 공장 | 2009년까지 사쿠마 철도 공원 보존, 2010년 이전.[196] |
22-2029 | 1986년 | 1999년 | 아이치현 도요카와시 일본차량제조 공장 | [192] |
16-2034, 37-2523 | 1986년(16-2034), 1983년(37-2523) | 미상 | SC말레브 철도공원 | [194] |
21-5035 (구 21-1032) | 미상 | 미상 | 타이완 고속철도 | 구조 측정용 용도. |
22-7007 | 미상 | 2008년 | 오사카부 스이타 공원 | R68편성, 향후 공원 전시 예정.[197] |
21-7008 (구 21-2026) | 1983년 | 2008년 | 효고현 가와사키 중공업 공장 | R61편성, 0계 차량 중 마지막 운행.[198] |
21-7038 | 미상 | 미상 | 고베 해양박물관 내 가와사키 굿타임즈 월드 | 웨스트 히카리 도장 적용.[192] |
7. 문화적 영향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과 같은 달에 공개된 검은 초특급은 산요 신칸센의 토지 매수 의혹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본 계열이 등장하는 최초의 상업 영화로 알려져 있다.[176] 다카쿠라 켄 주연의 신칸센 대폭파에서는 범인 역을 맡았으며, 국철의 협조 거부에도 불구하고 차량 세트가 정교하게 재현되어 국철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이 세트는 이후 5년간 보존되며 TV 드라마 신칸센 공안관 등에서 재활용되었다.[176]
1984년 고질라에서는 신바시・유라쿠초 부근에서 0계가 주행하는 장면과 유라쿠초 마리온 앞에서 고질라에게 붙잡혀 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토호쿠 선, 야마노테 선과 함께 파괴되는 장면이 등장한다. 대괴수 공중전 가메라 대 갸오스에서는 갸오스가 나고야에 날아와 신칸센 지붕을 초음파 메스로 자르고 승객을 잡아먹는 장면이 나온다.
ALWAYS 3번가의 석양 '64에서는 마지막 장면에 기쿠치 고타로와 결혼한 호시노 무츠코가 0계에 탑승하여 스즈키 가족과 작별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근육맨 제29화 "신칸센을 날려버려"에서는 "초인 올림픽" 종목으로 0계를 맨손으로 밀어 주행 거리를 겨루는 경기가 등장하며, 테리맨은 선로에 강아지가 있는 것을 보고 신칸센을 멈춰 실격된다.
기관차 토마스 장편 제16작 미래 발명 쇼에 어서 와!에서는 해당 차량을 모델로 한 "켄지(Kenji)"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게이트 키퍼즈 제11화 "저 신칸센을 멈춰라!"에도 등장한다.
울트라맨 80 제7화 "도쿄 사일런트 작전"에서는 소음 괴수 노이즐러가 주행 중인 0계 옆에 내려와 선두 차량을 들어 올리는 장면이 나오며, 실제 0계 주행 장면이 사용되었다. 이 0계 미니어처는 신칸센 대폭파에서 사용된 것을 토에이에서 빌려 촬영한 것이다.
역 구내, 도로 표지판 등에서는 0계를 도안화한 픽토그램이 사용되었다.[179][180][181] 일본 수화(일본 수화)에서 '신칸센'을 나타내는 단어는 0계의 광전두부를 본따 만들어졌다.[182]
JR 시코쿠는 키하32형 1량을 개조하여 0계 전동차의 외관을 본뜬 관광 열차 "철도 취미 열차"를 요도선에서 2014년 3월 15일부터 운행하고 있다. 영업 최고 속도는 85 km/h이다.[183]
과거 산요 신칸센 신시모노세키역의 신시모노세키 신칸센 승무원 훈련 센터에서 0계 훈련 차량(구 Q3 편성)이 사용되었으나, 2009년에 하카타 종합 차량소로 회송되었다.[177] 이후 100계 P2 편성이 그 역할을 맡았다.[178]
7. 1. 영화 및 애니메이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과 같은 달에 공개된 검은 초특급은 산요 신칸센의 토지 매수 의혹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본 계열이 등장하는 최초의 상업 영화로 알려져 있다.[176] 다카쿠라 켄 주연의 신칸센 대폭파에서는 범인 역을 맡았으며, 국철의 협조 거부에도 불구하고 차량 세트가 정교하게 재현되어 국철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이 세트는 이후 5년간 보존되며 TV 드라마 신칸센 공안관 등에서 재활용되었다.[176]1984년 고질라에서는 신바시・유라쿠초 부근에서 0계가 주행하는 장면과 유라쿠초 마리온 앞에서 고질라에게 붙잡혀 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토호쿠 선, 야마노테 선과 함께 파괴되는 장면이 등장한다. 대괴수 공중전 가메라 대 갸오스에서는 갸오스가 나고야에 날아와 신칸센 지붕을 초음파 메스로 자르고 승객을 잡아먹는 장면이 나온다.
ALWAYS 3번가의 석양 '64에서는 마지막 장면에 기쿠치 고타로와 결혼한 호시노 무츠코가 0계에 탑승하여 스즈키 가족과 작별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근육맨 제29화 "신칸센을 날려버려"에서는 "초인 올림픽" 종목으로 0계를 맨손으로 밀어 주행 거리를 겨루는 경기가 등장하며, 테리맨은 선로에 강아지가 있는 것을 보고 신칸센을 멈춰 실격된다.
기관차 토마스 장편 제16작 미래 발명 쇼에 어서 와!에서는 해당 차량을 모델로 한 "켄지(Kenji)"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게이트 키퍼즈 제11화 "저 신칸센을 멈춰라!"에도 등장한다.
울트라맨 80 제7화 "도쿄 사일런트 작전"에서는 소음 괴수 노이즐러가 주행 중인 0계 옆에 내려와 선두 차량을 들어 올리는 장면이 나오며, 실제 0계 주행 장면이 사용되었다. 이 0계 미니어처는 신칸센 대폭파에서 사용된 것을 토에이에서 빌려 촬영한 것이다.
7. 2. 기타
역 구내, 도로 표지판 등에서는 0계를 도안화한 픽토그램이 사용되었다.[179][180][181] 일본 수화(일본 수화)에서 '신칸센'을 나타내는 단어는 0계의 광전두부를 본따 만들어졌다.[182]JR 시코쿠는 키하32형 1량을 개조하여 0계 전동차의 외관을 본뜬 관광 열차 "철도 취미 열차"를 요도선에서 2014년 3월 15일부터 운행하고 있다. 영업 최고 속도는 85 km/h이다.[183]
과거 산요 신칸센 신시모노세키역의 신시모노세키 신칸센 승무원 훈련 센터에서 0계 훈련 차량(구 Q3 편성)이 사용되었으나, 2009년에 하카타 종합 차량소로 회송되었다.[177] 이후 100계 P2 편성이 그 역할을 맡았다.[178]
8. 한국 고속철도와의 관계
참조
[1]
서적
成山堂書店
[2]
서적
High Speed in Japan: Shinkansen - The World's Busiest High-speed Railway
Platform 5 Publishing
[3]
웹사이트
Thank you Shinkansen Series 0- Special Website
http://www.jr-odekak[...]
2008-10-18
[4]
웹사이트
http://www.tv-asahi.[...]
tv-asahi.co.jp
2008-12-15
[5]
간행물
Electric Trains for the New Tokaido Line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965-02-05
[6]
서적
JRR
2011-03
[7]
논문
車両の動き2008-2009
Koyusha Co., Ltd.
2009-07
[8]
웹사이트
Shinkansen: High-speed revolution
https://www.railwaym[...]
2024-12-17
[9]
웹사이트
高鐵修復新幹線0系花魁車 110年第2季開放展示
https://www.cna.com.[...]
中央通訊社
2020-09-22
[10]
잡지
Koyusha Co., Ltd.
2016-06
[11]
서적
San-ei
[12]
보도자료
鉄道博物館における0系新幹線車両の公開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 East
2009-06-08
[13]
논문
Kōtsū Shimbun
2011-04
[14]
서적
Ikaros Publications Ltd.
2014-11-25
[15]
보도자료
http://www.tokyu-car[...]
Tokyu Car
2010-08-23
[16]
웹사이트
駅ホームに新幹線、実は図書館です...大阪・吹田で初代「0系」公開
https://www.yomiuri.[...]
Yomiuri Shimbun
2020-10-17
[17]
논문
Koyusha Co., Ltd.
2009-06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서적
新幹線50年の技術史 (ブルーバックス)
講談社
2014-04-18
[23]
문서
[24]
서적
新幹線全車種コンプリートビジュアルガイド
グラフィック社
[25]
잡지
[26]
잡지
[27]
문서
[28]
잡지
[29]
신문기사
朝日新聞
1978-10-15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37]
서적
[38]
간행물
新幹線車両の流線型 その生い立ち
電気車研究会
[39]
문서
この光前頭は、当時の鉄道模型や玩具でもギミックとして再現された製品が多く見られた。
[40]
문서
前灯に赤フィルターをかけるアイディアは、1958年(昭和33年)の[[国鉄181系電車|20系電車]]でも採用されたが、この時は左右交互に点滅させて非常灯とするためであった。これは手作業で着脱するものであったが、1961年(昭和36年)登場の[[名鉄7000系電車]]([[パノラマカー]])では、4灯中下部2灯の前照灯を尾灯と非常灯に兼用する設計となり、折り返し頻度の高さを考慮し、赤フィルターを半円筒状とした電動回転式となった。
[41]
문서
高速走行ではできるだけ高い位置に設置するのが望ましいためである。
[42]
문서
この運転装置の配置は、その後の新幹線車両にも受け継がれている。
[43]
문서
この速度計配置は[[新幹線200系電車|200系]]にも受け継がれているが、200系では補助速度計を格納式としており、常時使用しない場合には、前方視野を妨げないように格納されており、必要な場合には、レバーを扱ってばねの力により上昇させる仕組みとなっている。
[44]
문서
主速度計の左側に2つ縦列に配置されている。
[45]
문서
形状は異なるが、[[在来線]]の[[交直流電車|交直流]]、[[交流電車]]にも同様の装備がある。
[46]
문서
「新幹線旅客電車説明書」発行 日本国有鉄道 臨時車両設計事務所(新幹線)1964年2月 p.428
[47]
문서
よって、0系の座席表示サボに「自由席」と表示された写真はほぼ残されていない。
[48]
문서
ただし日本万国博覧会開催時は「ひかり」のステッカー表記がなされた。
[49]
뉴스
新幹線 ハイライトの色 JR東海の旧国鉄資料で判明
http://www.tokyo-np.[...]
中日新聞東京本社
2014-01-06
[50]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通巻217号(1985年3月号)「特集:鉄道車両 色彩の美学」pp.36 - 37
[51]
문서
「新幹線旅客電車説明書」発行 日本国有鉄道 臨時車両設計事務所(新幹線)1964年2月 p.36
[52]
서적
[53]
문서
電車モーターを設計していたころ (PDF)
鉄道友の会福井支部
2010-05
[54]
문서
ブレーキキャリパー|キャリパー式の車輪ディスクブレーキと呼ばれるこの機構は、その後の新幹線の基礎ブレーキとして受け継がれ使用されている他、JR西日本のJR西日本681系電車|681系特急電車など、高速運転を実施する在来線車両の一部にも採用されている。
[55]
서적
[56]
문서
この方式の台車は、その後に製造された100系・200系の台車にも採用されている。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웹사이트
0系新幹線 1次車から38次車までの変遷
https://www.n-sharyo[...]
日本車両
2023-07-02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간행물
電車モーターを設計していたころ
http://www6.plala.or[...]
鉄道友の会福井支部
2010-01
[66]
문서
単相220 Vカゴ形コンデンサー電動機を使用。
[67]
간행물
新幹線電車用シリコン整流器および高圧電気品
http://www.hitachihy[...]
日立製作所
[68]
서적
[69]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4
三栄書房
[70]
문서
上下線の電圧差は25√2 kV となる。
[71]
서적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4
三栄書房
[72]
문서
[73]
논문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新幹線大研究
[77]
서적
新幹線車掌日記〜時速二百十キロの人間模様
[78]
서적
東海道新幹線「新幹線にお乗り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日本国有鉄道
[79]
문서
[80]
간행물
国鉄新幹線電車用連続換気装置の開発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75-03
[81]
문서
[82]
뉴스
東海道新幹線が開業50周年に
https://plus.chunich[...]
中日新聞
2014-10-04
[83]
논문
[84]
논문
[85]
Youtube
東海道新幹線開業 東京五輪へ「ひかり1号」【映像記録 news archive】
https://www.youtube.[...]
ANNnewsCH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논문
[90]
논문
[91]
문서
[92]
문서
[93]
논문
[94]
문서
新幹線電車の先頭車改造
日本鉄道技術協会
1988-03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서적
鉄道ファン2008年11月号
交友社
[101]
논문
[102]
문서
鉄道ファン1994年11月号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서적
[107]
서적
[108]
문서
신칸센 차량 명감
JTBパブリッシング
[109]
서적
[110]
서적
[111]
논문
II 대에 들어간 신칸센 전차
https://doi.org/10.1[...]
電気学会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산요 신칸센 간사이・주코쿠・키타큐슈를 잇는 대동맥
JTBパブリッシング
[115]
문서
[116]
문서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문서
JR전차 편성표'95 겨울호
제이・아루・아루
[122]
서적
JR기동차 객차 편성표 '97년판
제이・아루・아루
1997-07-01
[123]
서적
JR전차 편성표 '06 겨울호
제이・아루・아루
[124]
문서
전차로 GO!
[125]
웹사이트
0계 신칸센 전차 6량 편성 아코모 개선에 대해서
https://web.archive.[...]
서일본 여객 철도 프레스 릴리스
1997-03-13
[126]
문서
[127]
문서
[128]
서적
JR전차 편성표 '07 여름호
제이・아루・아루
[129]
뉴스
0계 R67편성, 원색으로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railf.jp
2008-04-18
[130]
뉴스
프레쉬 그린의 0계, 운행을 종료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railf.jp
2008-06-20
[131]
서적
JR전차 편성표 '08 겨울호
제이・아루・아루
[132]
서적
JR전차 편성표 '08 여름호
제이・아루・아루
[133]
서적
JR전차 편성표 '09 겨울호
제이・아루・아루
[134]
서적
鉄道ファン 2008년 7월호(차량 배치표)
交友社
[135]
서적
鉄道ファン 2009년 7월호(차량 배치표)
交友社
[136]
서적
JR기동차 객차 편성표 '03년판
제이・아루・아루
2003-07-01
[137]
서적
[138]
문서
[139]
문서
[140]
서적
[143]
Youtube
新幹線物語 より早く より快適に
https://www.youtube.[...]
NPO法人科学映像館
[144]
웹사이트
JRおでかけネット 0系新幹線時刻表
https://web.archive.[...]
2009-02-02
[145]
웹사이트
「0系新幹線定期運転終了セレモニー」の実施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9-02-26
[147]
웹사이트
新幹線0系車両の塗色変更について
https://web.archive.[...]
JR西日本プレスリリース
2008-03-01
[148]
웹사이트
9月定例社長会見
https://web.archive.[...]
2008年9月定例社長会見
2008-09-28
[149]
웹사이트
「0系さよなら運転」の追加運転について
https://web.archive.[...]
JR西日本プレスリリース
2009-03-17
[150]
웹사이트
0系さよなら運転列車の指定席先行受付 さよなら、夢の超特急 JRおでかけネット
https://web.archive.[...]
2008-10-03
[151]
웹사이트
新幹線の臨時列車(2008年冬)JR西日本
https://web.archive.[...]
2008-10-17
[152]
뉴스
初代新幹線「0系」 : ありがとう「ひかり347(さよなら)号」で完全引退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09-01-18
[154]
뉴스
Googleのロゴにも「0系新幹線」
https://internet.wat[...]
INTERNET Watch
2008-12-15
[156]
웹사이트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2月定例社長会見
https://web.archive.[...]
2009-02-22
[157]
뉴스
「0系」ふるさとで余生 製造元川崎重工、1両買い取り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9-02-19
[158]
뉴스
最後の0系新幹線車両、神戸に向け搬出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9-03-16
[159]
뉴스
初代新幹線 : 0系先頭車両、吹田市が一般公開へ(毎日新聞)
https://web.archive.[...]
2009-03-11
[160]
뉴스
0系R68編成6号車が吹田操車場跡地へ
https://www.yomiuri.[...]
railf.jp
2009-06-16
[161]
웹사이트
展示車両一覧
http://www.mtm.or.jp[...]
京都鉄道博物館
2015-06-07
[162]
문서
編集長敬白アーカイブ:D51 498号機まもなく復帰。
http://rail.hobidas.[...]
鉄道ホビダス
2009-08-27
[163]
간행물
10月21日(水)16:15より『0系新幹線車両』を展示公開いたします!!
http://www.railway-m[...]
鉄道博物館
2009-10-19
[164]
문서
「鉄博」鉄道博物館館報創刊号 2012.3.31 p8-10より
[165]
간행물
JR東海博物館(仮称)展示車両
https://jr-central.c[...]
JR東海プレスリリース
2009-07-24
[166]
뉴스
「新幹線図書館」が閉館 昭島 市民ら名残惜しむ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0-03-03
[167]
간행물
東急車輛産業遺産第3号として0系新幹線電車前頭部を保存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急車輛プレスリリース
2010-08-23
[168]
문서
吹田市の0系22-7007が限定一般公開
https://railf.jp/new[...]
railf.jp
2009-08-24
[169]
문서
哀れ、無残…「最後の0系」新幹線、無償譲渡も7年間放置 無計画で持て余し、歴史的資料をないがしろ?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WEST
2016-01-21
[170]
뉴스
駅ホームに新幹線、実は図書館です…大阪・吹田で初代「0系」公開
https://www.yomiuri.[...]
2020-10-17
[171]
웹사이트
高速化の“名優”がそろい踏み 川重兵庫工場
https://web.archive.[...]
神戸新聞
2009-08-28
[172]
웹사이트
Shinkansen 'Bullet Train' exhibition(NRM)
http://www.nrm.org.u[...]
[173]
뉴스
High-speed train crawls to new home(BBC NEWS)
http://news.bbc.co.u[...]
[174]
웹사이트
高鐵修復新幹線0系花魁車 110年第2季開放展示
https://www.cna.com.[...]
中央通訊社
2020-09-22
[176]
뉴스
読む鉄道、観る鉄道第24回『黒の超特急』 - 山陽新幹線土地疑獄から始まる田宮二郎のハードボイルド
https://news.mynavi.[...]
2013-01-13
[177]
웹사이트
新下関乗務員訓練センターの0系が博多総合車両所へ
http://railf.jp/news[...]
2009-01-08
[178]
서적
鉄道ファン2009年7月号
交友社
[179]
뉴스
朝日新聞
2009-03-02
[180]
문서
なおこのサインを緑色に反転して200系をモデルにしたものはJR東日本の[[東北新幹線]]、[[上越新幹線]]、[[長野新幹線]](当時)の案内に引き続き使用されたが、2010年以降は[[新幹線E5系電車|E5系]]を元にした新デザインに順次変更されている。
[181]
뉴스
0系新幹線の団子っ鼻が復活 JR小倉駅のトイレ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0-04-20
[182]
서적
ありがとうエル特急 45年の軌跡のすべて
天夢人
2018-04-02
[183]
웹사이트
「鉄道ホビートレイン」の運行開始日の決定等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四国旅客鉄道
2014-04-24
[184]
웹사이트
地球環境保全への貢献
https://company.jr-c[...]
2023-11-29
[185]
서적
高速鉄道物語 -その技術を追う-
成山堂書店
[186]
웹인용
"初代の「0系新幹線」が44年間の歴史に終止符" (news video confirming that the train used was set R61)
http://www.tv-asahi.[...]
tv-asahi.co.jp
2008-12-15
[187]
웹인용
Thank you Shinkansen Series 0- Special Website
http://www.jr-odekak[...]
2008-10-18
[188]
서적
High Speed in Japan: Shinkansen - The World's Busiest High-speed Railway
Platform 5 Publishing
[189]
서적
新幹線電車データブック2011
JRR
2011-03
[190]
웹인용
National Railway Museum based article on the acquisition of the donated 0 series
http://www.nrm.org.u[...]
2008-05-28
[191]
서적
Koyusha Co., Ltd.
2016-06
[192]
서적
San-ei
[193]
웹사이트
"鉄道博物館における0系新幹線車両の公開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 East press release
2009-06-08
[194]
서적
Kōtsū Shimbun
2011-04
[195]
서적
Ikaros Publications Ltd.
2014-11-25
[196]
웹인용
http://www.tokyu-car[...]
도큐차량제조
2010-08-23
[197]
웹사이트
"0系R68編成6号車が吹田操車場跡地へ"
http://railf.jp/news[...]
Japan Railfan Magazine
2009-06-17
[198]
서적
Koyusha Co., Ltd.
2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