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이면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이면체는 12개의 면을 가진 다면체를 통칭하며, 특히 볼록 정십이면체는 5개의 정 플라톤 다면체 중 하나로, 슐레플리 기호 {5, 3}으로 나타낸다. 이 외에도 3개의 별모양 정십이면체, 즉 케플러-푸앵소 다면체가 존재하며, 결정학에서는 황철석형 십이면체와 사각 오각 십이면체(테타르토이드)가 중요한 형태를 이룬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아르키메데스 입체의 쌍대 다면체이며, 다양한 십이면체들이 존재한다. 십이면체는 천체 투영관의 투영기나 주사위 등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면 그래프 - 다듬은 정육면체
    깎은 정육면체는 정육면체의 꼭짓점을 잘라 만든 다면체로, 6개의 정팔각형과 8개의 정삼각형으로 구성되고, 마름모 입방팔면체 등과 연관되며, 데카르트 좌표계와 트리보나치 수열로 꼭짓점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키랄성 및 팔면체 대칭성을 가지며 여러 분야에 활용됩니다.
  • 평면 그래프 - 정이십면체
    정이십면체는 20개의 정삼각형 면으로 이루어진 볼록 정다면체로, 정반오각기둥 양쪽에 정오각뿔을 붙인 형태이며, 정십이면체와 쌍대 관계를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다면체 - 마름모구십면체
    마름모구십면체는 깎은 정이십면체에 각뿔을 붙여 만든 다면체이며, 넓은 마름모 60개와 좁은 마름모 30개로 구성되고 좁은 마름모는 황금비의 제곱과 관련된 대각선 비율을 가지며 최적 충전율은 약 0.7947이다.
  • 다면체 - 삼각쌍뿔
    삼각쌍뿔은 6개의 정삼각형 면, 5개의 꼭짓점, 9개의 모서리를 가진 존슨 다면체이자 델타다면체로, 두 정사면체를 밑면끼리 결합한 형태이며, 분자 기하학, 색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십이면체
개요
정십이면체
정십이면체
종류정다면체
12
모서리30
꼭짓점20
면당 꼭짓점 수5
모서리당 면 수2
꼭짓점당 모서리 수3
카이랄성없음
대칭군Ih, H3, [5,3] (+, 532)
회전군I, [5,3]+ (532)
쌍대다면체정이십면체
특징볼록, 델타다면체, 등면체
꼭짓점 배열20
12
슈레플리 기호{5,3}
위소프 기호3 | 2 5
콘웨이 다면체 표기법D
대칭성Ih, H3, [5,3], (*532)
회전 대칭성I, [5,3]+, (532)
속성
면적3√(25+10√5) a2
부피(15+7√5)/4 a3
이면각arctan(2)

2. 정십이면체

볼록 정십이면체는 슐레플리 기호 {5, 3}으로 나타낼 수 있는 플라톤 다면체 중 하나이다. 쌍대 다면체는 각 꼭짓점에 5개의 정삼각형이 있는 정이십면체 {3, 5}이다.

2. 1. 정십이면체의 종류

정십이면체는 볼록 정십이면체 외에도 3개의 별모양 정십이면체 (케플러-푸앵소 다면체)가 있다.

4가지 종류의 정십이면체
x150px

볼록 정십이면체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5/2, 5}, 큰 십이면체 {5, 5/2}, 큰 별모양 십이면체 {5/2, 3}는 케플러-푸앵소 다면체에 해당한다.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십이면체는 서로 쌍대 다면체이다. 큰 별모양 십이면체는 큰 이십면체 {3, 5/2}의 쌍대이다. 이 모든 정별 십이면체는 정오각형 또는 오각성 면을 가지고 있다. 볼록 정십이면체와 큰 별모양 십이면체는 동일한 추상 다면체의 서로 다른 실현이며,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십이면체는 또 다른 추상 정다면체의 서로 다른 실현이다.

3. 정십이면체와 관련된 다면체

정십이면체는 결정 구조준결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십이면체와 관련이 있다.

볼록 정십이면체는 5개의 정 플라톤 다면체 중 하나이며 슐레플리 기호 {5,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쌍대 다면체는 각 꼭짓점에 5개의 정삼각형이 있는 정 이십면체 {3, 5}이다.

4가지 종류의 정십이면체



볼록 정십이면체는 세 개의 별모양 다각형을 가지며, 이들은 모두 정별 십이면체이다. 이들은 4개의 케플러-푸앵소 다면체 중 3개를 형성한다. 이들은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5/2, 5}, 큰 십이면체 {5, 5/2}, 큰 별모양 십이면체 {5/2, 3}이다.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십이면체는 서로 쌍대이다. 큰 별모양 십이면체는 큰 이십면체 {3, 5/2}의 쌍대이다.

결정학에서, 두 개의 중요한 십이면체는 입방정계의 일부 대칭 클래스에서 결정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정십이면체와 위상적으로 동일하지만 덜 대칭적이다. 즉, 황철석형 대칭을 갖는 황철석형과 사면체 대칭을 갖는 사면체 육면체이다.

사면체 육면체는 사면체 육면체 (Th) 대칭을 가진 십이면체이다. 정십이면체와 마찬가지로 12개의 동일한 오각형 면을 가지고 있다.[3] 그러나 오각형은 정오각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30개의 모서리는 24개와 6개의 두 세트로 나뉜다.

정십이면체는 결정에 존재하지 않지만, 사면체 육면체 형태는 광물 황철석의 결정에서 발생하며, 이는 정다면체 형태의 발견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 진정한 정십이면체는 준결정(예: 홀뮴-마그네슘-아연 준결정)에서 나타나며, 이십면체 대칭을 가진다.

황철석 결정 모형의 이중 위치

3. 1. 황철석형 십이면체 (Pyritohedron)

'''황철석형 십이면체'''(영어: pyritohedron)는 황철석 결정에서 발견되는 십이면체 형태이다. 정십이면체와 위상적으로 동일하지만, 오각형 면이 정오각형이 아니다. 황철석형 십이면체는 Th 대칭을 가지며, 30개의 모서리는 두 세트(24개, 6개)로 나뉜다.[3]

(회전 모델은 여기를 참조)


정십이면체는 결정에 존재하지 않지만, 황철석형 십이면체 형태는 황철석의 결정에서 발견되며, 이는 정다면체 형태의 발견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 진정한 정십이면체는 준결정(예: 홀뮴-마그네슘-아연 준결정)의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십면체 대칭을 가진다.

황철석형 십이면체의 면은 밀러 지수가 (210)이며, 이는 이각이 2·arctan(2) ≈ 126.87°이고 각 오각형 면은 약 121.6°의 각도를 가지며, 그 사이에 약 106.6°의 두 각도와 약 102.6°의 두 반대 각도가 있음을 의미한다. 완벽한 결정의 면에 대한 측정 공식은 다음과 같다.

황철석형 십이면체의 면 측정
공식
높이\text{높이} = \frac{\sqrt{5}}{2} \cdot \text{긴 변}
너비\text{너비} = \frac{4}{3} \cdot \text{긴 변}
짧은 변\text{짧은 변} = \sqrt{\frac{7}{12}} \cdot \text{긴 변}



자연 황철석


자연 황철석의 면각


정육면체의 여덟 개 꼭짓점의 좌표는 (±1, ±1, ±1)이다. 12개의 추가적인 꼭짓점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 (0, ±(1 + ''h''), ±(1 − ''h''2))
  • (±(1 + ''h''), ±(1 − ''h''2), 0)
  • (±(1 − ''h''2), 0, ±(1 + ''h''))


여기서 ''h''는 모서리 길이가 2인 정육면체의 면 위 쐐기 모양 "지붕"의 높이이다. 완벽한 자연 황철석(또한 Weaire–Phelan 구조의 황철석형 십이면체)에 대해 ''h'' = (정육면체 모서리 길이의 4분의 1)이다. 정십이면체의 경우 ''h'' = = 0.618...이다.

영이 아닌 좌표가 서로 바뀐 두 개의 황철석형 십이면체는 두 십이면체의 화합물에서 십이면체와 같이 서로 이중 위치에 있다.

3. 1. 1. 기하학적 자유도

높이가 ± 사이인, 볼록하고 오목한 황철석형 십이면체가 교대로 있는 벌집 구조


0 (정육면체)와 1 (마름모 십이면체) 사이의 높이


황철석형 십이면체는 기하학적 자유도를 가지며, 정육면체와 마름모 십이면체를 극한 형태로 가진다. 정육면체는 가장자리가 정렬된 입방 볼록 껍질 형태이며, 마름모 십이면체는 6개의 가장자리가 길이 0으로 축소된 형태이다. 정십이면체는 모든 모서리와 각도가 같은 특별한 중간 사례이다.[3]

이러한 극한 사례를 지나면 움푹하거나 비볼록한 황철석형 십이면체를 만들 수 있다. ''엔도-십이면체''는 움푹하고 정삼각형이며, 볼록한 정십이면체와 함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그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면 12개의 꼭짓점이 중앙에서 일치하는 퇴화된 경우를 지나, 모든 모서리와 각도가 다시 같고 면이 정별 모양 오각형으로 왜곡된 큰 별 모양 십이면체가 된다. 반대 방향으로, 마름모 십이면체를 지나면 물고기 모양의 자체 교차하는 정삼각형 오각형 면을 가진 비볼록 정삼각형 십이면체를 얻는다.

황철석형 십이면체의 특수한 경우
같은 절대값과 반대 부호를 가진 버전은 함께 벌집 모양을 형성한다. (이 애니메이션 비교).
표시된 비율은 모서리 길이의 비율(24개 세트(큐브 꼭지점에 닿음) 대 6개 세트(큐브 면에 해당))이다.
비율1 : 10 : 11 : 12 : 11 : 10 : 11 : 1
h−101
−1.618...−0.618...0.618...1.618...
이미지--
퇴화, 중앙에 12개의 꼭지점
엔도-십이면체라고 불리는 움푹한 정삼각형 십이면체
마름모 십이면체는 6개의 교차 모서리가 길이 0으로 줄어든 퇴화된 경우이다.
자체 교차 정삼각형 십이면체


3. 2. 사각 오각 십이면체 (Tetartoid)

'''테타르토이드''' (또는 '''사각 오각 십이면체''', '''오각형-삼사면체''', '''사면체 오각 십이면체''')는 손대칭 T를 갖는 십이면체이다. 정십이면체와 같이, 12개의 동일한 오각형 면을 가지며, 각 면에는 20개의 꼭짓점에서 세 개가 만난다. 그러나 오각형은 정규적이지 않으며, 이 도형은 5겹 대칭 축을 갖지 않는다.

테타르토이드
사각 오각 십이면체
면 다각형불규칙 오각형
Conway 표기법gT
12
모서리30 (6+12+12)
꼭짓점20 (4+4+12)
대칭군T, [3,3]+, (332), 차수 12
속성볼록, 면 전이



정십이면체는 결정체에 존재하지 않지만, 테타르토이드 형태는 존재한다. 테타르토이드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1/4"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완전한 팔면체 대칭의 1/4과, 황철석형 대칭의 절반을 갖기 때문이다.[4] 광물 코발타이트는 이 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5]

코발타이트


고체의 위상과 대칭을 공유하는 추상화는 정육면체와 사면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정육면체에서 각 면은 기울어진 모서리에 의해 이등분된다. 사면체에서 각 모서리는 삼등분되며, 각 새로운 꼭짓점은 면 중심에 연결된다. (Conway 표기법에서는 이것이 자이로 사면체이다.)

4. 마름모 십이면체



'''마름모 십이면체'''는 열두 개의 마름모 면과 팔면체 대칭을 가진 조노헤드론이다. 준정다면체깎은 정육면체 (아르키메데스 입체)의 쌍대 다면체이며, 결정 형태로 자연에서 발견된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공간을 채우는 도형이다.

6개의 특수한 모서리가 0의 길이로 줄어들어 오각형이 마름모 면으로 축소된 사면체의 퇴화된 형태로 볼 수도 있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여러 별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첫 번째 별 모양은 평행다면체 공간 채움이기도 하다.

빌린스키 십이면체는 마름모 삼십면체와 합동인 열두 개의 면을 가지며, 대각선의 비율이 황금비인 또 다른 마름모 십이면체이다. 이것 또한 조노헤드론이며, 1960년 빌린스키에 의해 기술되었다.[7] 이 도형은 비주기적인 공간 채움에서 마름모 삼십면체, 마름모 이십면체, 마름모 육면체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또 다른 공간 채움 도형이다.[8]

5. 그 외의 십이면체

결정학에서, 두 개의 중요한 십이면체는 입방정계의 일부 대칭 클래스에서 결정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정십이면체와 위상적으로 동일하지만 덜 대칭적이다. 즉, 황철석형 대칭을 갖는 황철석형과 사면체 대칭을 갖는 사면체형이 있다.

위상적으로 구별되는 십이면체(오각형 및 롬빅 형태 제외)는 다음과 같다.


  • 합동 불규칙 면: (면-추이)
  • * 육각 쌍각뿔 – 12개의 이등변 삼각형, 육각 기둥의 쌍대, D6h 대칭, 24차
  • * 육각 사다리꼴 면체 – 12개의 연, 육각 반각기둥의 쌍대, D6d 대칭, 24차
  • 기타 덜 규칙적인 면:
  • * 십일각형 피라미드 – 11개의 이등변 삼각형과 1개의 정규 십일각형, C11v, 11차
  • * 사다리꼴-마름모꼴 십이면체 – 6개의 마름모, 6개의 사다리꼴 – 삼각 직각 컵 평면의 쌍대, D3h 대칭, 12차
  • * 마름모꼴-육각형 십이면체 또는 ''늘어난 십이면체'' – 8개의 마름모와 4개의 정삼각형 육각형, D4h 대칭, 16차
  • * 절단된 오각 사다리꼴 면체 - D5d, 20차, 정규 십이면체와 위상적으로 동일

5. 1. 일양 다면체

정십이면체

정십이면체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

큰 십이면체

큰 별모양 십이면체

팔면반팔면체

팔면반팔면체

5. 2. 카탈란 다면체



마름모 십이면체는 열두 개의 마름모 면과 팔면체 대칭을 가진 조노헤드론이다. 깎은 정육면체(아르키메데스 입체)의 쌍대 다면체이며, 결정 형태로 자연에서 발견된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공간을 채우도록 서로 겹쳐진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6개의 특수한 모서리가 0의 길이로 줄어들어 오각형이 마름모 면으로 축소된 사면체의 퇴화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마름모 십이면체는 여러 별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첫 번째 별 모양은 평행다면체 공간 채움이기도 하다.

또 다른 중요한 마름모 십이면체인 빌린스키 십이면체는 마름모 삼십면체와 합동인 열두 개의 면을 가지며, 대각선의 비율이 황금비이다. 빌린스키가 1960년에 기술하였다.[7] 이 도형은 또 다른 공간 채움 도형이며, 마름모 삼십면체, 마름모 이십면체, 마름모 육면체와 함께 비주기적인 공간 채움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8]

세모 사면체

5. 3. 존슨 다면체

5. 4. 기타 십이면체

거울상을 제외하고 위상적으로 구별되는 ''볼록'' 십이면체는 6,384,634개이며, 꼭짓점의 수는 8개에서 20개까지 다양하다.[9]

위상적으로 구별되는 십이면체(오각형 및 롬빅 형태 제외)는 다음과 같다.

종류그림구성면대칭차수
십각기둥--정사각형 10개,
십각형 2개
D10h40
반오각기둥--정삼각형 10개,
오각형 2개
D5d20
마름모 십이면체 제2종
마름모 십이면체 제2종
마름모 12개--
장마름모 십이면체
장마름모 십이면체
마름모 8개, 정육각형 4개D4h16
쌍육각뿔
쌍육각뿔
이등변삼각형 12개D6h24


6. 십이면체의 활용

아르망 스피츠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제안에 따라 천체 투영관 천체 투영기에 "지구본"과 같은 역할로 십이면체를 사용했다.[10]

정십이면체는 던전 앤 드래곤과 같은 게임에서 d12로 알려진 주사위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1908 Chambers's Twentieth Century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913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2] 논문 Platonic Solids and High Genus Covers of Lattice Surfaces https://www.tandfonl[...] 2020-05-27
[3] 웹사이트 Crystal Habit http://www.galleries[...] 2016-12-02
[4] 웹사이트 The 48 Special Crystal Forms https://www.uwgb.edu[...] 2013-09-18
[5] 웹사이트 Crystal Habit http://www.galleries[...] 2016-12-02
[6] 웹사이트 The Tetartoid http://demonstration[...] 2016-12-02
[7]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golden rhombic polyhedra http://www.mi.sanu.a[...]
[8] 논문 Tilings, coverings, clusters and quasicrystals http://met.iisc.erne[...]
[9] 웹사이트 Counting polyhedra http://www.numerican[...] 2016-12-02
[10] 간행물 Forerunners of the Planetarium https://archive.org/[...] 196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