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디포넥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디포넥틴은 2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 단백질로,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어 포도당 조절 및 지방산 산화 등 다양한 대사 과정을 조절한다. 혈장 내 농도는 성별, 당뇨병 유무, 체중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제2형 당뇨병, 비만 등의 대사 질환 억제에 기여한다. 아디포넥틴은 여러 수용체에 결합하여 AMP 키나아제를 활성화시켜 포도당 섭취를 촉진하며, 비만과 관련된 아디포넥틴 감소는 대사 증후군과 같은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아디포넥틴 연구는 1995년에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약물과 생활 방식 개선을 통해 아디포넥틴 수치를 조절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만 - 체중 감소
체중 감소는 건강 개선이나 외모 변화를 위해 체중을 줄이는 것으로, 생활 습관 변화, 특히 식단 조절과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과도한 감량은 신진대사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는 의학적 문제를 의심해야 하므로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만 - 그렐린
그렐린은 1999년에 발견된 호르몬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며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노화
노화는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수준의 특징을 보이는 복잡한 과정이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트랜스페린
트랜스페린은 척추동물 체액 내 당단백질로, 3가 철 이온을 운반하며 간에서 주로 합성되지만 다른 조직에서도 생성되어 철 항상성 유지, 철 결핍 및 과부하 진단, 뇌 질환 치료 약물 전달체 연구에 활용된다. - 펩타이드 호르몬 - 인슐린 유사체
인슐린 유사체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해 개발된 인슐린의 변형된 형태로, 속효성 및 지속성 인슐린으로 나뉘며 작용 기전과 작용 시간을 조절하여 기존 인슐린의 단점을 보완하고 저혈당증 발생률을 낮추지만 발암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물질이다. - 펩타이드 호르몬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디포넥틴 | |
---|---|
일반 정보 | |
![]() | |
기호 | ADIPOQ |
외부 식별자 | 위키데이터: Q416750 HGNC: 62 OMIM: 605441 RefSeq: NM_004797.4 UniProt: Q15848 |
기타 데이터 | |
염색체 | 3q27 |
위치 | 3번 염색체 장완 27 |
단백질 정보 | |
아미노산 수 | 244 |
유전자 정보 | |
유전자 자리 | 3q27 |
관련 질병 | |
관련 질병 | 비만 당뇨병 대사 증후군 심혈관 질환 |
기능 | |
기능 | 인슐린 민감성 조절, 항염증 작용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혈중 지방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2. 구조
아디포넥틴은 2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펩타이드(단백질)이다. 구조적으로 4개의 뚜렷한 영역으로 나뉜다. 첫 번째 영역은 세포 밖으로 분비를 유도하는 짧은 신호 서열이다. 두 번째 영역은 생물 종에 따라 달라지는 짧은 부분이다. 세 번째 영역은 콜라겐 단백질과 비슷한 6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 네 번째 영역은 구형(globular) 도메인이다. 전체적으로 아디포넥틴은 보체 1Q 인자(C1Q)와 유사성을 보인다. 그러나 구형 도메인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한 결과, 아미노산 서열 자체는 관련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TNFα와 매우 유사한 구조임이 밝혀졌다.[5]
아디포넥틴은 지방 조직에서 혈류로 분비되는 호르몬 단백질로,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도 분비된다.[8] 이 호르몬은 포도당 조절 및 지방산 산화를 포함한 여러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6][41][7] 혈액 내 아디포넥틴 농도는 다른 많은 호르몬에 비해 매우 높으며, 모든 혈장 단백질의 약 0.01%를 차지하고 농도는 약 5-10 μg/mL에 달한다.[17]
3. 기능
아디포넥틴 수치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높은 아디포넥틴 수치는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감소와 연관되어 있으며,[9] 일반적으로 비만인 사람보다 마른 사람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18] 여러 연구에서 아디포넥틴 수치가 체질량 지수(BMI)와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고 보고되었지만,[10] 건강한 성인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메타 분석 결과도 있다.[11] 신경성 식욕 부진증 환자나 칼로리 제한을 하는 경우, 아디포넥틴의 순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칼로리 제한 시 증가하는 골수 내 지방 조직이 이러한 아디포넥틴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성인의 경우, 혈장 농도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으며,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환자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체중 감량은 아디포넥틴의 순환 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킨다.[17]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주로 지방산 산화 조절과 간에서의 포도당 생산 억제를 통해 이루어진다.[16] 또한, 제2형 당뇨병,[10] 비만, 죽상 동맥 경화증,[7]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과 같은 대사 장애를 억제하는 데 기여하며, 이들 질환은 대사 증후군의 독립적인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14] 아디포넥틴은 렙틴과 함께 투여했을 때 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완전히 개선하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15] 아디포넥틴이 증가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생쥐는 지방 조직 세포 분화가 감소하고, 미토콘드리아 탈공액과 관련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13]
아디포넥틴 분자는 자가 결합하여 더 큰 구조를 형성한다. 세 분자가 결합하여 기본 단위인 호모트라이머(삼량체)를 만들고, 이 삼량체들이 다시 결합하여 육량체 또는 십이량체와 같은 고분자량 형태를 이룬다. 혈장 농도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고차 구조의 비율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여성에게서 고분자량 형태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분자량 형태가 포도당 항상성 조절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다.[18] 실제로 고분자량 아디포넥틴은 총 아디포넥틴과 유사하게 당뇨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9] 그러나 관상 동맥 질환의 경우, 저분자량 형태가 아닌 고분자량 아디포넥틴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0]
아디포넥틴은 뇌에 작용하여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렙틴의 작용과 유사하며;[21] 아디포넥틴과 렙틴은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뇌에서 시냅스 기능을 촉진하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며,[22] 아디포넥틴 수치가 낮은 경우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2]
아디포넥틴은 골격근에서 수용체(AdipoR1, AdipoR2 등)에 결합하여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K)를 활성화시킨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슐린에 반응하는 포도당 수송체인 GLUT4를 세포막 표면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한다.[56] 이 과정은 운동 시 근육 세포 내 아데노신 일인산(AMP) 농도 증가로 AMPK가 활성화되는 경로와 유사하여, 아디포넥틴이 인슐린 작용 없이도 운동과 비슷한 방식으로 포도당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57]
아디포넥틴의 혈중 농도는 내장 지방량과 역상관 관계를 보이지만, 그 정확한 조절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41] 일부 연구에서는 비만 상태의 지방 조직에서 증가하는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아디포넥틴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또한, 세포 내에서 번역 후 조절 과정을 통해 아디포넥틴 양이 조절될 가능성도 있다.[42]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아디포넥틴 수치를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55]
아디포넥틴 수용체인 AdipoR1과 AdipoR2의 발견과 관련된 초기 연구에 대해서는 2016년 연구 부정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58][59][60]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에 이미 수정 공고가 실렸다는 이유로 공식적인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되었다.[61][62][63][64]
'''아디포넥틴의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4. 수용체
아디포넥틴은 여러 종류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수용체는 다음과 같다.[23][24]
- 아디포넥틴 수용체 1 (AdipoR1):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상동성을 가진다. 주로 골격근에 풍부하게 분포한다.[4]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6개월간 운동을 시켰을 때 근육 내 AdipoR1 발현이 두 배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4]
- 아디포넥틴 수용체 2 (AdipoR2): AdipoR1과 마찬가지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상동성을 가진다. 주로 간에 풍부하게 분포한다.[4]
- T-카데린 - CDH13: 카데린 계열 단백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 수용체들은 신체 조직에 따라 분포가 다르며, 다양한 형태의 아디포넥틴에 대한 친화력이 다르다.
아디포넥틴 수용체는 세포 내 에너지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MPK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골격근에서 아디포넥틴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AMPK가 활성화되고, 이는 인슐린 신호 없이도 포도당 수송체인 GLUT4를 세포막 표면으로 이동시켜 글루코스 흡수를 촉진한다.[56] 이는 운동 시 아데노신 일인산(AMP) 농도 증가로 AMPK가 활성화되는 경로와 유사하여, 아디포넥틴이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57] 또한, 아디포넥틴은 지방산 연소를 촉진하고 세포 내 지방산을 감소시켜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도를 높이는 작용도 한다.[57] 간에서도 AMPK 활성화를 통해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작용 외에도 동맥 경화 억제, 항염증, 심근 비대 억제 등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었다.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발현은 인슐린 수치와 연관이 있으며, 당뇨병 모델 동물 실험에서는 골격근과 지방 조직에서 수용체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26]
한편, AdipoR1과 AdipoR2의 발견과 관련된 연구 데이터 조작 의혹이 2016년에 제기되었다. 평범한 연구자라고 불리는 익명의 개인/단체가 문제를 제기했고, 도쿄 대학은 이에 대한 조사를 발표했다.[27][58][59][60] 그러나 해당 논문은 이미 학술지에 수정 공고[61]가 게재되었다는 이유로 공식적인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되었다.[62][63][64] 이 연구의 책임 저자인 가도와키 다카시는 2016년 출판한 자서전[65]에서 AdipoR1과 AdipoR2는 야마우치 도시마사가 시미즈 다카오 연구실을 통해 동정한 것이며, 자신은 T-카데린보다 이들이 더 중요한 수용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AdipoR1과 AdipoR2 연구를 둘러싼 혼란에 대해서는 2019년 'Journal of Lipid Research'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일부 해설이 이루어졌다.[66]
5. 아디포넥틴과 질병
아디포넥틴은 포도당 조절 및 지방산 산화를 포함한 여러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 단백질이다.[6][41][7] 주로 지방 조직에서 혈류로 분비되며,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도 만들어진다.[8] 혈중 농도는 다른 호르몬에 비해 매우 높아 약 5-10 μg/mL 수준이며, 전체 혈장 단백질의 약 0.01%를 차지한다.[17] 일반적으로 성인 여성은 남성보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높다.[17]
아디포넥틴과 대사 질환높은 아디포넥틴 수치는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다.[9] 반대로, 아디포넥틴 수치가 낮으면 제2형 당뇨병,[10] 비만, 죽상 동맥 경화증,[7]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과 같은 대사 장애의 발생 위험이 커지며,[14] 대사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발병의 독립적인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14]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주로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고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16] 골격근에서는 아디포넥틴 수용체(AdipoR1 등)에 결합하여 AMP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고, 인슐린과는 별개로 GLUT4라는 포도당 수송체를 세포 표면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킨다.[56][57] 이는 운동이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는 방식과 유사하다.[57] 또한, 세포 내 지방산을 줄여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도를 높이는 작용도 한다.[57] 간에서도 AMP 키나아제를 활성화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한다.[57] 쥐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아디포넥틴과 렙틴을 함께 투여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이 완전히 개선되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15]
아디포넥틴은 혈액 내에서 삼량체, 육량체, 십이량체 등 다양한 크기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중 분자량이 큰 고분자량(HMW) 아디포넥틴이 포도당 대사 조절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8] 고분자량 아디포넥틴 수치가 높을수록 당뇨병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9] 그러나 관상 동맥 질환의 경우, 저분자량 형태와는 달리 고분자량 아디포넥틴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20]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아디포넥틴과 비만/체중아디포넥틴 수치는 비만과 밀접한 역상관 관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체질량 지수(BMI)가 높을수록 아디포넥틴 수치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10] 비만한 사람은 마른 사람보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낮은 경우가 많다.[18] 지방 조직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임에도 불구하고 비만 상태에서 오히려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7][10][21][41] 비만 시 지방 조직에서 증가하는 염증성 물질인 TNF-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체중을 감량하면 아디포넥틴의 혈중 농도가 상당히 증가한다.[17] 또한, 신경성 식욕 부진증 환자와 같이 칼로리 섭취를 극도로 제한하는 경우에도 아디포넥틴 농도가 증가하는데,[12] 이는 골수 내 지방 조직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2] 아디포넥틴은 뇌에 직접 작용하여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며, 이는 렙틴의 작용과 유사하고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21]
아디포넥틴과 기타 질환
- 뇌 기능 및 정신 건강: 아디포넥틴은 뇌의 시냅스 기능을 촉진하고 기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2] 아디포넥틴 수치가 낮으면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될 수 있으며,[22] 성인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도 연관성이 보고되었다.[44] 운동을 통해 아디포넥틴 분비가 증가하면 쥐 실험에서 해마 성장이 촉진되고 우울증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52]
-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DMARD나 TNF 억제제와 같은 치료에 잘 반응할 때 아디포넥틴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45]
- 감염성 질환: COVID-19 폐렴 환자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아디포넥틴 대 렙틴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46]
아디포넥틴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아디포넥틴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3q27 염색체에 위치하며, 이 유전자 영역은 제2형 당뇨병 및 비만에 대한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다. 아디포넥틴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SNP)은 인종이나 집단에 따라 제2형 당뇨병 발병률 및 심각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21][29][31][32][33][34]
특정 식품 성분 섭취나 생활 습관 변화도 아디포넥틴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베르베린,[35] 오메가-3 지방산(EPA, DHA),[36] 커큐민, 캡사이신, 진저롤, 카테킨[37] 등은 아디포넥틴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역시 아디포넥틴 수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5] 카페인 섭취와 아디포넥틴 수치 증가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불분명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47]
6. 아디포넥틴 연구 및 의학적 활용
아디포넥틴은 1995년 3T3-L1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처음으로 특성화되었고,[28] 1996년에는 쥐의 지방세포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는 mRNA 전사체로 확인되었다.[3] 인간 상동체 역시 지방 조직에서 가장 풍부한 전사체로 밝혀졌으나, 예상과 달리 비만 상태에서는 아디포넥틴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10][21][41] 이러한 감소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일부는 비만 지방 조직에서 증가하는 TNF-α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아디포넥틴 유전자는 염색체 3q27에 위치하는데, 이 영역은 제2형 당뇨병 및 비만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 모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아디포넥틴 보충이 인슐린 조절, 혈당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아디포넥틴은 여러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주요 수용체로는 아디포넥틴 수용체 1 (AdipoR1)과 아디포넥틴 수용체 2 (AdipoR2), 그리고 T-카데린 - CDH13이 있다.[23][24] AdipoR1과 AdipoR2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구조적 상동성을 가지며, T-카데린은 카데린 계열과 유사하다. 이 수용체들은 조직별로 분포가 다른데, AdipoR1은 주로 골격근에, AdipoR2는 간에 풍부하다.[4] 쥐를 대상으로 한 6개월간의 운동 연구에서는 근육 내 AdipoR1 발현이 두 배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4] 이 수용체들은 세포 대사 조절의 핵심 효소인 AMPK를 활성화시킨다. 수용체 발현은 인슐린 수치와 연관되어 있으며, 당뇨병 모델 쥐의 골격근과 지방 조직에서는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5][26]
2016년, 도쿄 대학은 AdipoR1 및 AdipoR2 동정 논문의 데이터 조작 의혹에 대한 조사를 발표했으나,[27][58][59][60] 해당 논문이 이미 학술지에 수정 공고[61]를 게재했다는 이유로 공식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되었다.[62][63][64] 논문의 책임 저자인 가도와키 다카시는 자신의 저서[65]에서 AdipoR1과 AdipoR2는 야마우치 도시마사가 시미즈 다카오 연구실과의 교류를 통해 동정한 것이며, 처음에는 아디포넥틴 수용체임을 믿기 어려웠으나 현재는 T-카데린보다 더 중요한 수용체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AdipoR1과 AdipoR2 연구와 관련된 혼란에 대해서는 2019년 'Journal of Lipid Research'에 게재된 논문에서 일부 해설이 이루어졌다.[66]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지방산 산화를 조절하고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며,[16] 골격근에서는 AdipoR1을 통해 AMPK를 활성화시켜 인슐린 비의존적으로 글루코스 수송체 GLUT4를 세포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한다. 이는 운동이 AMPK를 활성화하는 경로와 유사하여, 아디포넥틴이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56][57] 또한 렙틴과 함께 작용하여 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도 보고되었다.[15]
아디포넥틴 수치는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다. 낮은 아디포넥틴 수치는 제2형 당뇨병,[10] 비만, 죽상 동맥 경화증,[7]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과 같은 대사 질환의 독립 변수 위험 요소로 작용하며 대사 증후군 발병 위험을 높인다.[14] 또한, 낮은 아디포넥틴 수치는 성인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 관련이 있으며,[44] 인지 기능 저하와도 연관성이 보고되었다.[22] 반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DMARD나 TNF 억제제 치료에 반응할 경우 아디포넥틴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45] COVID-19 폐렴 환자에서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아디포넥틴 대 렙틴 비율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6] 뇌에서는 시냅스 형성 및 기억 기능을 촉진하며,[22] 운동으로 유도된 아디포넥틴 방출은 쥐의 해마 성장을 촉진하고 항우울 효과를 나타냈다.[52] 아디포넥틴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52][53]
아디포넥틴 수치는 생활 습관이나 특정 물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칼로리 제한 시 증가하며, 특히 골수 내 지방 조직이 이러한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12] 저탄수화물 다이어트[55]나 체중 감소 역시 아디포넥틴 수치를 증가시킨다.[17] 특정 식품 성분 중 베르베린,[35] 오메가-3 지방산(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헥사엔산 DHA),[36] 커큐민, 캡사이신, 진저롤, 카테킨[37] 등은 아디포넥틴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카페인 섭취와 아디포넥틴 수치 증가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지만, 그 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다.[47] 생활 습관 개선이나 스타틴과 같은 약물 치료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아디포넥틴 수치를 높일 수 있다.[48] 저분자 화합물인 AdipoRon은 AdipoR1 및 AdipoR2 작용제로 개발되었으나,[49] 관련 연구 데이터에 대한 조작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27] 고구마 추출물이 아디포넥틴 수치를 높여 혈당 조절을 개선한다는 보고도 있었지만,[50] 체계적 검토에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대한 고구마의 효과를 입증할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51]
아디포넥틴 유전자 내의 단일 염기 다형성(SNP)과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21][29][31][32][33][34] 여러 인종 집단에서 다양한 SNP가 확인되었으며, 그 유병률이나 질병과의 연관성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아디포넥틴은 조류[38]와 어류[39]에서도 발현되는 등 계통 발생학적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인간에서 아디포넥틴의 반감기는 약 2.5시간이다.[54]
7. 한국에서의 아디포넥틴 연구
(내용 없음)
7. 1. 아디포넥틴 연구의 윤리적 문제
아디포넥틴 수용체인 AdipoR1 및 AdipoR2의 작용제로 저분자 화합물인 AdipoRon이 보고된 바 있다.[49] 그러나 2016년, 도쿄 대학은 AdipoR1, AdipoR2 및 AdipoRon 관련 데이터가 조작 및 위조되었다는 익명의 제보를 받아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27]같은 해, AdipoR1과 AdipoR2의 발견을 다룬 초기 논문에 대해서도 연구 부정 의혹이 제기되었다.[58][59][60] 하지만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에 이미 수정 공고[61]가 실렸다는 이유로, 이 의혹은 대학 측의 공식적인 조사 대상에서는 제외되었다.[62][63][64]
이 논문의 책임 저자인 가도와키 다카시는 2016년에 출간한 자서전[65]을 통해, AdipoR1과 AdipoR2는 자신의 연구팀 소속이었던 야마우치 도시마사가 시미즈 다카오의 연구실을 드나들며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처음에는 이들이 아디포넥틴 수용체라는 사실을 믿기 어려웠으나, 현재는 T-Cadherin보다 더 확실한 수용체로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AdipoR1 및 AdipoR2 연구에서 나타나는 혼란에 대해서는 2019년 'Journal of Lipid Research'에 게재된 논문의 서론 부분에서 설명이 이루어졌다.[66]
참조
[1]
논문
Obesity and inflammation the linking mechanism and the complications
https://www.archives[...]
2017-06-08
[2]
논문
The efficacy of Panax ginseng in obesity and the related metabolic disorders
https://doi.org/10.1[...]
2021-12-01
[3]
논문
cDNA clon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adipose specific collagen-like factor, apM1 (AdiPose Most abundant Gene transcript 1)
1996-04
[4]
논문
Skeletal muscle adiponectin induction in obesity and exercise
2020-01
[5]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a complement-1q family protein suggests an evolutionary link to tumor necrosis factor
1998-03
[6]
논문
Adiponectin Genetic Variant and Expression Coupled with Lipid Peroxidation Reveal New Signatures in Diabetic Dyslipidemia
2021-06
[7]
논문
The role of the novel adipocyte-derived hormone adiponectin in human disease
2003-03
[8]
논문
Secretion of adiponectin by human placenta: differential modulation of adiponectin and its receptors by cytokines
2006-06
[9]
논문
Adiponectin levels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07
[10]
논문
Adiponectin: a link between excess adiposity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2002-11
[11]
논문
Lack of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plasma adiponectin levels in healthy adults
2011-12
[12]
논문
Bone marrow adipose tissue is an endocrine organ that contributes to increased circulating adiponectin during caloric restriction
2014-08
[13]
논문
Overexpression of adiponectin targeted to adipose tissue in transgenic mice: impaired adipocyte differentiation
2007-04
[14]
논문
Hypoadiponectinemia: a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2009-01
[15]
논문
The fat-derived hormone adiponec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both lipoatrophy and obesity
2001-08
[16]
논문
Adiponectin: a manifold therapeutic target for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coronary disease?
2014-06
[17]
논문
Effect of weight loss on coronary circulation and adiponectin levels in obese women
2009-05
[18]
논문
Adiponectin in health and disease
2007-05
[19]
논문
High-molecular-weight adiponectin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the ARIC study
2010-11
[20]
논문
Adiponectin isoforms in elderly patients with or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2010-04
[21]
논문
Adiponectin, an adipocyte-derived protein
http://www.biomed.ca[...]
[22]
논문
The Role of Leptin and Adiponectin in Obesity-Associated Cognitive Decline and Alzheimer's Disease
[23]
논문
Cloning of adiponectin receptors that mediate antidiabetic metabolic effects
2003-06
[24]
논문
T-cadherin is a receptor for hexameric and high-molecular-weight forms of Acrp30/adiponectin
2004-07
[25]
논문
Mechanisms regulating energy metabolism by adiponectin in obesity and diabetes
2006-11
[26]
논문
Changes in adiponectin, its receptors and AMPK activity in tissues of diet-induced diabetic mice
2008-02
[27]
뉴스
University of Tokyo to investigate data manipulation charges against six prominent research groups
https://www.science.[...]
ScienceInsider, Dennis Normile
2016-09-20
[28]
논문
A novel serum protein similar to C1q, produced exclusively in adipocytes
1995-11
[29]
논문
Adiponect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chanisms mediating risk for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7-06
[30]
논문
Adiponectin and metabolic syndrome
2004-01
[31]
논문
Adiponectin: an adipokine linking adipocytes and type 2 diabetes in humans
2005-04
[32]
논문
The genetics of adiponectin
2003-04
[33]
논문
The role of the adipocyte hormone adiponectin in cardiovascular disease
https://zenodo.org/r[...]
2005-04
[34]
논문
Adiponectin, type 2 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lessons from human genetic studies
2006-11
[35]
논문
The inhibition of inflammatory molecule expression on 3T3-L1 adipocytes by berberine is not mediated by leptin signaling
[36]
논문
Characterization and nucleotide binding properties of a mutant dihydropteridine reductase containing an aspartate 37-isoleucine replacement
1992-08
[37]
논문
New insight into adiponectin role in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eases
[38]
논문
cDNA cloning, genomic structure, chromosomal mapp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ADIPOQ (adiponectin) in chicken
[39]
논문
Adip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 genes are coexpressed during zebrafish embryogenesis and regulated by food deprivation
2008-06
[40]
논문
The role of adiponectin in cholesterol efflux and HDL biogenesis and metabolism
2019-11
[41]
논문
Adiponectin: Probe of the molecular paradigm associating diabetes and obesity
2015-02
[42]
논문
Up- and down-regulation of adiponectin expression and multimerization: mechanisms and therapeutic implication
2012-10
[43]
논문
Hypoadiponectinemia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2004-06
[44]
논문
Decreased serum levels of adiponectin i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014-04
[45]
논문
Serum adipokine levels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he resistance to treatment
2014-01
[46]
논문
Discriminatory Value of Adiponectin to Leptin Ratio for COVID-19 Pneumonia
2022-04-26
[47]
논문
Coffee and metabolic impairment: An updated review of epidemiological studies
2016-08-01
[48]
논문
Modulation of adiponectin as a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2014-04
[49]
논문
A small-molecule AdipoR agonist for type 2 diabetes and short life in obesity
2013-11
[50]
논문
Improved metabolic control by Ipomoea batatas (Caiapo)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diponectin and decreased fibrinogen levels in type 2 diabetic subjects
2008-07
[51]
논문
Sweet potato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2013-09
[52]
논문
Physical exercise-induced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antidepressant effects are mediated by the adipocyte hormone adiponectin
2014-11
[53]
논문
Adiponectin does not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but modifies cytokine expression of brain endothelial cells
2006-01
[54]
논문
Adipose tissue adiponectin production and adiponectin serum concentration in huma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2004-03
[55]
논문
Adiponectin Changes in Relation to the Macronutrient Composition of a Weight-Loss Diet
[56]
웹사이트
糖尿病治療薬
http://polaris.hoshi[...]
[57]
웹사이트
脂肪細胞とインスリン抵抗性
http://polaris.hoshi[...]
[58]
문서
告発文1_5cvq.pdf
http://scienceandtec[...]
Ordinary_researchers
2016-12-07
[59]
뉴스
News at a glance
http://science.scien[...]
2016-12-07
[60]
뉴스
東大医学部で「STAP級」論文不正 税金が消えた「糖尿病研究」の暗部
https://www.sentaku.[...]
2017-09-13
[61]
논문
corrigendum: Cloning of adiponectin receptors that mediate antidiabetic metabolic effects
https://www.nature.c[...]
2004-10-28
[62]
뉴스
論文不正の告発を受けた東京大学(3) 告発通りに図版の誤りはあったが……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17-08-17
[63]
Youtube
データねつ造など…東大教授らが研究不正|日テレNEWS24
https://www.youtube.[...]
日本テレビ
2017-09-13
[64]
문서
22報論文に関する調査報告
http://scienceandtec[...]
東京大学
2018-03-17
[65]
서적
医学のすすめ: すべては患者の幸せと医療の発展のために
http://www.nishimura[...]
西村書店
2017-09-08
[66]
논문
AdipoR1 and AdipoR2 maintain membrane fluidity in most human cell types and independently of adiponectin
http://www.jlr.org/c[...]
2019-05-01
[67]
간행물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편
2019-06
[68]
간행물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편
20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