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로빈도 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로빈도 고시는 인도의 철학자, 요가 수행자, 민족주의자로, 1872년 인도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교육받았다. 그는 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었으며, 이후 퐁디셰리로 이주하여 영적 수행에 전념했다. 그의 사상은 '통합 요가'를 중심으로, 초정신(Supermind)을 통해 인간의 의식을 진화시키고 세상을 신성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우로빈도의 철학은 인도와 서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로빌이라는 국제 도시 건설에도 영감을 주었다. 그의 사상은 인간 잠재력 운동, 초개인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힌두교 성인 - 라마누자
    라마누자는 11~12세기에 활동한 인도의 철학자이자 힌두교의 스리바이슈나바 전통의 중요한 인물로, 비시슈타드바이타 철학을 발전시키고 박티 운동을 이끌었으며 사회 개혁에도 기여했다.
  • 인도의 힌두교 성인 - 비베카난다
    비베카난다는 1863년 벵골에서 태어난 힌두교 승려이자 철학자로서, 시카고 세계 종교 의회에서 힌두교를 대표하여 연설하고 베단타 협회를 설립하여 힌두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힌두교와 민족주의를 결합하여 인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철학자 - 차나키야
    차나키야는 고대 인도의 정치가이자 경제학자, 전략가로 마우리아 왕조 건국에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아르타샤스트라』는 정치, 경제, 군사 전략에 대한 지침서로서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저자 여부와 저술 시기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으며,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힌두교 철학자 - 비베카난다
    비베카난다는 1863년 벵골에서 태어난 힌두교 승려이자 철학자로서, 시카고 세계 종교 의회에서 힌두교를 대표하여 연설하고 베단타 협회를 설립하여 힌두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힌두교와 민족주의를 결합하여 인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인도의 철학자 - 비베카난다
    비베카난다는 1863년 벵골에서 태어난 힌두교 승려이자 철학자로서, 시카고 세계 종교 의회에서 힌두교를 대표하여 연설하고 베단타 협회를 설립하여 힌두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힌두교와 민족주의를 결합하여 인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인도의 철학자 - 비노바 바베
    비노바 바베는 인도의 사회 개혁가이자 간디주의 지도자로, 부단 운동을 통해 토지 불평등 해소와 비폭력 사회 건설에 기여했으며, 종교 간 화합을 강조하고 여성 자립을 위한 아쉬람을 설립했다.
아우로빈도 고시
기본 정보
아우로빈도 고시
아우로빈도, 1900년경
출생명아우로빈도 고시
출생일1872년 8월 15일
출생지캘커타, 벵골 관할구, 영국령 인도 (현재의 콜카타, 서벵골 주, 인도)
사망일1950년 12월 5일
사망지퐁디셰리, 프랑스령 인도 (현재의 퐁디셰리, 푸두체리 주, 인도)
국적인도
종교힌두교
교육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가족 관계
외조부라즈나라얀 바수
형제만모한 고시, 바린다 쿠마르 고시
사상 및 철학
철학통합 요가
진화론
중간 지대
초정신
정치 활동
정치 경력아누실란 사미티
Jugantar
벵골 분할
알리포레 폭탄 사건
Jugantar Patrika
Bande Mataram
정치 운동반영 독립 운동
주요 저서
저서신성한 삶
요가의 통합
사비트리
조직
창립스리 아우로빈도 아슈람
주요 장소
장소마트리만디르
퐁디셰리
커뮤니티
공동체스리 아우로빈도 아슈람
오로빌
제자
제자어머니
참파크랄
N.K. 굽타
아말 키란
니로드바란
파비트라
M.P. 판디트
P.K. 바타차르야
A.B. 푸라니
D.K. 로이
사트프렘
인드라 센
카팔리 샤스트리
영향
영향미라 알파사
오로빌
켄 윌버
하리다스 초두리
잡지 및 포럼
간행물Arya
Mother India
Collaboration
Sri Aurobindo Mandir Annual
서명

2. 생애

아우로빈도 고시는 1872년 8월 15일 인도 콜카타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교육받고 인도로 돌아와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이후 영적 수행에 전념한 인물이다.

아우로빈도(어머니 옆에 앉아 있음)와 그의 가족. 잉글랜드, 약 1879년


어린 시절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다.[77] 인도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으나, 1891년 승마 시험에 의도적으로 불참하여 임용되지 않았다.[9] 이는 당시 인도 지식인으로서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 의식을 보여주는 행위로 해석된다.

1893년 귀국 후 바로다 번왕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고, 1905년 벵골 분할령 발표 이후 민족주의 운동에 투신했다.[77] '반데 마타람' 등 민족주의 신문과 잡지를 통해 대중의 독립 의식을 고취했다.

1907년 9월 ''반데 마타람''의 사본


1908년 알리포르 폭탄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1년간의 수감 생활과 재판 끝에 무죄로 석방되었다.[10][11]

1908년 알리포어 감옥에 수감된 아우로빈도의 사진


1910년 프랑스 식민지였던 퐁디셰리로 피신하여 영적 수행에 전념했다. 1926년 제자 공동체인 스리 아우로빈도 아쉬람을 설립하고, 미라 알파사( '어머니'로 알려짐)와 함께 영적 작업을 이어갔다.[13]

1960년대 중반, '어머니'는 유네스코의 후원을 받아 퐁디셰리 근처에 국제 도시인 오로빌을 건설했다.[18]

2. 1. 초기 생애 (1872-1893)

1872년 8월 15일 인도 콜카타에서 아버지 크리슈나 둔 고시와 어머니 스와르날라타 데비 사이에서 태어났다.[6] 아버지는 에든버러에서 의학을 공부한 의사였으며, 자녀들에게 철저한 영국식 교육을 시키고자 했다.[7]

1879년 7세 때 형제들과 함께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맨체스터에서 W. H. 드루엣 목사 부부에게 교육을 받았다.[77] 드루엣 부부는 라틴어를 가르쳤으며, 이는 1881년 두 형이 맨체스터 그래머 스쿨에 입학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아우로빈도는 너무 어려 입학하지 못하고 드루엣 부부와 함께 역사, 라틴어, 프랑스어, 지리학, 산술을 공부했다.

1884년 드루엣 부부가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민을 가면서 런던의 드루엣 어머니 집에서 살게 되었고, 그해 9월 세인트 폴 학교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그리스어를 배우고 문학과 영시를 읽었으며, 독일어이탈리아어에도 익숙해졌다. 피터 히스는 아우로빈도가 영어, 프랑스어, 벵골어를 말하고 읽고 쓸 수 있었고,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를 읽고 쓸 수 있었으며, 구자라트어, 마라티어, 힌디어를 말하고 읽을 수 있었고,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를 읽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8]

188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장학금을 받고 인도 공무원 (ICS) 시험에 합격했다. 그러나 1891년 ICS에 관심이 없었던 아우로빈도는 승마 실기 시험에 의도적으로 늦게 참여하여 임용되지 않았다.[9] 이는 당시 인도 지식인으로서 영국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 의식을 보여주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2. 2. 인도 독립 운동과 투옥 (1893-1910)

1893년 영국에서 귀국한 아우로빈도 고시는 바로다 번왕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측량, 세입, 사무 등 다양한 업무를 맡았고, 1897년부터는 바로다 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이 시기 그는 산스크리트어와 벵골어를 독학하며 인도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77]

바로다에 머무는 동안, 아우로빈도는 '인두 프라카시'에 기고하고 바로다 대학교 위원회 의장으로 연설하는 등 간접적으로 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는 벵골과 마드야 프라데시의 저항 단체들과 연계하며, 로크마니야 틸락, 수녀 니베디타 등과 교류했다.

1905년 벵골 분할령 발표 이후, 아우로빈도는 본격적으로 민족주의 운동에 투신했다. 1906년 캘커타로 이주하여 캘커타 국립 대학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정치 활동 증가로 인해 1907년 8월 사임했다.[10][11] 그는 '반데 마타람' 등 민족주의 신문과 잡지를 편집하고 기고하며 대중의 독립 의식을 고취했다.

아우로빈도는 중세 프랑스와 미국, 이탈리아의 혁명에서 영감을 받아 비협조와 비폭력 저항을 지지했지만, 필요하다면 무장 투쟁도 불사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는 급진적 독립운동 단체인 아누실란 사미티 결성에 관여하고, 바가 자틴, 수렌드라나트 타고르 등 젊은 혁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1906년 인도 국민 회의에 참석한 아우로빈도는 "스와라지, 스와데시, 보이콧, 민족 교육"이라는 네 가지 목표를 설정하는 데 기여했다. 1907년 수라트 분열에서는 발 간가다르 틸락과 함께 강경파를 이끌었다.

스리 아우로빈도가 테이블에 앉아 있고, 틸락이 연설하고 있다: 1907년 수라트 회의


1908년, 아우로빈도는 알리포르 폭탄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 그는 알리포르 감옥에 1년간 수감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영적 체험을 통해 그의 삶의 관점이 크게 변화했다. 그는 비베카난다의 "방문"을 경험하고, 바가바드 기타를 통해 깊은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알리포르 폭탄 사건 재판은 1년 동안 진행되었고, 결국 아우로빈도는 무죄로 석방되었다. 그의 변호는 치타란잔 다스가 맡았다. 석방 후, 아우로빈도는 '카르마요긴'(영어)과 '다르마'(벵골어)라는 두 개의 새로운 간행물을 창간했다. 그는 웃타르파라 연설을 통해 자신의 관심사가 영적인 문제로 옮겨가고 있음을 밝혔다.

1910년, 영국 식민 정부의 탄압이 계속되자 아우로빈도는 모든 정치 활동을 중단하고 찬단나가르를 거쳐 프랑스 식민지였던 퐁디셰리로 피신했다.

2. 3. 퐁디셰리 은둔과 영적 활동 (1910-1950)

1910년, 아우로빈도는 모든 정치 활동을 중단하고 모틸랄 로이의 집인 찬단나가르에 은신했다. 영국 식민 정부는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려 했으나, 아우로빈도가 프랑스 식민지였던 퐁디셰리로 피신하면서 영장을 집행할 수 없게 되었다.[13]

퐁디셰리에서 아우로빈도는 영적 수행에 전념했다. 그의 가까운 영적 협력자인 미라 알파사( '어머니'로 알려짐)는 1914년 3월 29일 퐁디셰리에 왔으며,[18] 1920년에 정착했다. 아우로빈도는 그녀를 자신의 영적 동등자이자 협력자로 여겼다.

1926년 11월 24일, 아우로빈도가 은둔 생활을 시작한 후, 그는 제자 공동체인 스리 아우로빈도 아쉬람의 운영을 '어머니'에게 맡겼다. '어머니'는 스리 아우로빈도 국제 교육 센터를 설립하고 감독했다.[78] 1950년 아우로빈도 사망 후, '어머니'는 그의 영적 작업을 계속하며 아쉬람을 운영하고 제자들을 지도했다.

1960년대 중반, '어머니'는 유네스코의 후원을 받아 퐁디셰리 근처에 국제 도시인 오로빌을 건설했다. 오로빌은 모든 국적, 정치 사상, 신념을 초월한 평화와 조화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상향을 목표로 했다. 1968년 기념식에는 121개국과 인도 모든 주 대표가 참석했다. 오로빌은 현재 35개국에서 약 1700명의 회원을 받아들이고 있다.

'어머니'는 또한 인도의 프랑스 식민지 합병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으며, 퐁디셰리를 인도와 프랑스 간의 문화적 교류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어머니'는 1973년 11월 17일 사망할 때까지 퐁디셰리에 거주했다. 그녀의 육체적 변형 노력은 "Mother's Agenda"라는 13권의 저술에 기록되어 있다.

3. 사상

아우로빈도 고시는 인도요가 수행자이자 철학자, 시인이며 민족주의 운동가였다. 그는 베단타 철학, 특히 불이일원론(Advaita Vedanta)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샹카라의 관점을 비판하고, 물질세계의 실재성과 신성을 긍정했다.[43]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등 인도 고전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그는 세계를 마야(환영)로 보고 포기하는 삶만이 해탈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는 관습적인 인도 사상을 비판적으로 극복하려 했다.

1914년, 퐁디셰리에서 4년간 요가 수행을 집중적으로 한 후, 64페이지 분량의 월간 리뷰지 ''아르야''를 발행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 대부분은 ''아르야''를 통해 6년 반 동안 연재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신의 생명"'', ''"요가의 통합"'', ''"기타]에 관한 에세이집]"'', ''"

3. 1. 총체 요가 (Integral Yoga)

스리 아우로빈도의 총체 요가(Integral Yoga)는 그의 저서 ''요가의 종합''과 ''생명의 신성''에 설명되어 있다.[19] ''생명의 신성''은 ''아르야''에 연재된 에세이를 엮은 것이다.

스리 아우로빈도는 신성한 ''브라만''이 ''릴라'', 즉 신성한 유희를 통해 경험적 현실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환영(''마야'')이라는 전통적인 관점 대신, 아우로빈도는 세계가 진화하며, 인간 종이 동물 종 이후에 진화한 것처럼 인간 종보다 훨씬 더 높은 새로운 종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영적 수행의 최종 목표는 단순히 삼매를 통한 해방이 아니라, 세상을 신성한 존재로 변화시키기 위해 신성이 세상으로 내려오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것이 통합 요가의 목적이다.[19] 그는 의식의 물질 내로의 내포와 관련하여, "이 하강, 이 푸루샤, 신성한 영혼이 힘과 물질에 자신을 굴복시켜 그것들을 알리고 밝히는 희생은 무의식과 무지라는 이 세상의 구원의 씨앗이다."라고 썼다.[20]

스리 아우로빈도는 다윈주의는 물질이 생명으로 진화하는 현상을 묘사할 뿐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그는 생명이 이미 물질에 존재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모든 존재가 ''브라만''의 현현이기 때문이다. 그는 자연(그는 신성한 것으로 해석)이 물질로부터 생명을, 생명으로부터 마음을 진화시켰다고 주장하며, 모든 존재가 초의식 수준으로 나타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보았다. 즉, 진화에는 목적이 있었다. 그는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는 작업이 어렵고 즉각적인 가시적 결과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스리 아우로빈도 형이상학 체계의 중심에는 초정신(supermind)이 있는데, 이는 드러나지 않은 브라만과 현현된 세계 사이의 매개적 힘이다.[21] 그는 초정신이 우리에게 완전히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며, 항상 마음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마음은 현실적으로 초정신과 동일하며, 그 안에 가능성으로서 초정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22] 그는 초정신을 자신의 독창적인 발명품으로 묘사하지 않고, 《베다》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베다》의 신들이 초정신의 힘을 나타낸다고 믿는다.[23] 그는 《통합 요가》에서 "초정신은 분열과 무지의 원리가 존재할 수 없는 신성한 본성의 완전한 진리-의식, 즉 모든 정신적 물질이나 정신적 운동보다 우월한 항상 완전한 빛과 지식을 의미한다"고 선언한다.[24] 초정신은 삿치다난다(Sachchidananda)와 하위 현현 사이의 다리이며, 삿치다난다와는 반대로 마음, 생명, 육신이 영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초정신을 통해서이다.[25] 초정신의 강림은 초정신적인 종족의 창조를 의미할 것이다.[26]

스리 아우로빈도(Sri Aurobindo)의 존재와 진화 모델
존재의 수준발달
전체외부 존재내부 존재프시케 존재
초정신초정신지성적 인간
초정신화
정신rowspan="4"|오버마인드정신화

영성화
직관
계몽된 정신
상위 정신
잠재의식
정신
적절한 정신잠재 의식
(내부)
정신
rowspan="3" |진화
생명잠재의식.
생명
생명잠재 의식.
(내부)
생명
육체적잠재의식.
육체적
육체적잠재 의식. (내부)
육체적
무의식무의식



1914년, 퐁디셰리에서 4년간 요가 수행을 집중적으로 한 후, 그는 64페이지 분량의 월간 리뷰지 ''아르야''를 발행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 대부분은 ''아르야''를 통해 6년 반 동안 연재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The Life Divine"''(신의 생명), ''"The Synthesis of Yoga"''(요가의 통합), ''"Essays on The Gita"''(기타]에 관한 에세이집]), ''"The Secret of The Veda"''(

3. 2. 초정신 (Supermind)

스리 아우로빈도의 형이상학 체계에서 핵심은 초정신(supermind)이다. 초정신은 브라만과 현현된 세계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적인 힘이다.[21] 스리 아우로빈도는 초정신이 우리와 완전히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항상 마음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음은 현실적으로 초정신과 같으며, 그 안에 초정신을 잠재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22]

스리 아우로빈도는 초정신이 자신의 독창적인 발명이 아니라 《베다》에서 찾을 수 있으며, 《베다》의 신들이 초정신의 힘을 나타낸다고 믿는다.[23] 그는 《통합 요가(The Integral Yoga)》에서 "초정신은 분열과 무지의 원리가 존재할 수 없는 신성한 본성의 완전한 진리-의식, 즉 모든 정신적 물질이나 정신적 운동보다 우월한 항상 완전한 빛과 지식을 의미한다"고 말한다.[24] 초정신은 삿치다난다(Sachchidananda)와 하위 현현 사이의 다리이며, 삿치다난다와 달리 마음, 생명, 육신이 영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초정신을 통해서이다.[25] 초정신의 강림은 초정신적인 종족의 창조를 뜻한다.[26]

스리 아우로빈도의 존재와 진화 모델
존재의 수준발달
전체외부 존재내부 존재프시케 존재
초정신초정신지성적 인간
초정신화
정신rowspan="4"|오버마인드정신화
그리고
영성화
직관
계몽된 정신
상위 정신
잠재의식
정신
적절한 정신잠재 의식
(내부)
정신
rowspan=3 |진화
생명잠재의식.
생명
생명잠재 의식.
(내부)
생명
육체적잠재의식.
육체적
육체적잠재 의식. (내부)
육체적
무의식무의식


3. 3. 진화 (Evolution)

스리 아우로빈도는 신성(브라만)이 신성한 유희(릴라)를 통해 경험적 현실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그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환영(마야)이라는 주장에 반대하며, 세계가 진화하여 현재의 인간 종을 넘어선 새로운 종을 가진 새로운 세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적 수행의 목표가 단순히 세상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세상을 신성한 존재로 변화시키기 위해 신성이 세상으로 내려오는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이 통합 요가의 목적이다.[19] 그는 의식의 물질 내로의 내포에 대해 "이 하강, 이 푸루샤, 신성한 영혼이 힘과 물질에 자신을 굴복시켜 그것들을 알리고 밝히는 희생은 무의식과 무지라는 이 세상의 구원의 씨앗이다."라고 썼다.[20]

스리 아우로빈도는 다윈주의가 물질에서 생명으로의 진화를 묘사하지만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믿었다. 그는 생명이 이미 물질에 존재하며, 자연(신성)이 물질에서 생명을, 생명에서 마음을 진화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존재가 초의식 수준으로 나타나려 하며, 진화에는 목적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는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즉각적인 결과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슈리 아우로빈도의 형이상학 체계 중심에는 초정신(supermind)이 있다. 이는 드러나지 않은 브라만과 현현된 세계 사이의 매개적 힘이다.[21] 그는 초정신이 우리에게 완전히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며, 마음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음은 현실적으로 초정신과 동일하며, 그 안에 가능성으로서 초정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22] 그는 초정신을 자신의 독창적인 발명품이 아니라 《베다》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베다》의 신들이 초정신의 힘을 나타낸다고 믿었다.[23] 그는 《통합 요가(The Integral Yoga)》에서 "초정신은 분열과 무지의 원리가 존재할 수 없는 신성한 본성의 완전한 진리-의식, 즉 모든 정신적 물질이나 정신적 운동보다 우월한 항상 완전한 빛과 지식을 의미한다"고 말했다.[24] 초정신은 삿치다난다(Sachchidananda)와 하위 현현 사이의 다리이며, 삿치다난다와는 반대로 마음, 생명, 육신이 영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초정신을 통해서이다.[25] 초정신의 강림은 초정신적인 종족의 창조를 의미한다.[26]

스리 아우로빈도의 존재와 진화 모델
존재의 수준발달
전체외부 존재내부 존재프시케 존재
초정신초정신지성적 인간
초정신화
정신스리 아우로빈도-외부 rowspan="4"|오버마인드정신화
그리고
영성화
직관
계몽된 정신
상위 정신
잠재의식
정신
적절한 정신잠재 의식
(내부)
정신
아우로빈도-P rowspan=3 |진화
생명잠재의식.
생명
생명잠재 의식.
(내부)
생명
육체적잠재의식.
육체적
육체적잠재 의식. (내부)
육체적
무의식무의식


3. 4. 인도 철학과의 관계

스리 아우로빈도는 베단타 철학, 특히 불이일원론(Advaita Vedanta)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세계를 환영(마야)으로 보는 샹카라의 관점을 비판하고, 물질세계의 실재성과 신성을 긍정했다.[43]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등 인도 고전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스리 아우로빈도는 자신의 저서 ''요가의 종합''과 ''생명의 신성''에서 통합 요가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설명했다. 그는 신성한 ''브라만''이 ''릴라'', 즉 신성한 유희를 통해 경험적 현실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아우로빈도는 세계가 진화하여 인간 종보다 훨씬 더 높은 새로운 종을 가진 새로운 세계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영적 수행의 최종 목표는 세상을 신성한 존재로 변화시키기 위해 신성이 세상으로 내려오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그는 다윈주의가 물질이 생명으로 진화하는 현상을 묘사할 뿐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생명이 이미 물질에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는 자연(그는 신성한 것으로 해석)이 물질로부터 생명을, 생명으로부터 마음을 진화시켰으며, 모든 존재가 초의식 수준으로 나타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진화에는 목적이 있었다.

슈리 아우로빈도 형이상학 체계의 중심에는 초정신(supermind)이 있는데, 이는 드러나지 않은 브라만과 현현된 세계 사이의 매개적 힘이다.[21] 그는 초정신이 우리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2] 그는 초정신을 자신의 독창적인 발명품으로 묘사하지 않고, 《베다》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믿는다.[23]

스리 아우로빈도는 세계를 최종적으로 마야(환영)로 거부하고 포기의 인생을 걷는 것만이 해탈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하는 관습적인 인도 사상을 비판적으로 극복하려 시도했다.

4. 영향

1964년 인도 우표 속 스리 아우로빈도


스리 아우로빈도는 인도 민족주의자였지만, 인간의 진화와 통합 요가에 대한 그의 철학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영향력은 광범위했다. 르네 게농은 스리 아우로빈도의 사상이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배신당했고, 그의 이름으로 출판된 일부 작품이 전통적이지 않아서 진본이 아니라고 생각했다.[46][47] 로드 헴셀은 켄 윌버의 아우로빈도 해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58]

4. 1. 인도 및 서구에 미친 영향

인도에서는 S. K. 마이트라, 아닐바란 로이, D. P. 차토파디야야가 스리 아우로빈도의 작품에 대해 논평했다. 미르체아 엘리아데, 폴 브런튼, 르네 게농과 같은 비밀주의와 전통적인 지혜에 관한 작가들은 모두 그를 인도 정신 전통의 진정한 대표자로 여겼다.[46][47]

하리다스 차우두리와 프레데릭 슈피겔버그[48]는 아우로빈도에게 영감을 받은 사람들 중 하나였으며, 샌프란시스코에 새로 설립된 미국 아시아 연구원에서 일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차우두리와 그의 아내 비나는 문화 통합 협회를 설립했고, 여기서 캘리포니아 통합 연구소가 나중에 생겨났다.[49]

스리 아우로빈도는 수바스 찬드라 보스가 인도 국민 운동에 전념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보스는 "아라빈도 고쉬의 빛나는 예시가 내 시야에 크게 나타납니다. 나는 그 예시가 나에게 요구하는 희생을 할 준비가 되었다고 느낍니다."라고 썼다.[50]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은 1968년 5월, 개인적인 위기를 겪고 스리 아우로빈도의 철학이 자신의 감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사트프렘이 스리 아우로빈도에 대해 쓴 글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이 경험 이후 슈톡하우젠의 음악은 신비주의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장 게브세르는 스리 아우로빈도가 자신의 작품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고, 자신의 저술에서 여러 번 그를 언급했다. ''보이지 않는 기원''에서 그는 ''요가의 종합''에서 긴 구절을 인용했다.[51] 게브세르는 "어떤 방식으로든 스리 아우로빈도를 통해 방사되는 매우 강력한 정신적 힘의 장으로 들어갔다"고 믿는다.[52] 그는 저서 ''아시아는 다르게 웃는다''에서 스리 아우로빈도 아쉬람을 방문하고 "예외적으로 재능 있는 사람"이라고 부르는 마더를 만난 것에 대해 보고한다.[53]

1915년 퐁디셰리에서 스리 아우로빈도를 만난 후, 덴마크 작가이자 예술가인 요하네스 홀렌버그는 유럽에서 최초의 요가 서적 중 하나를 출판했고, 이후 스리 아우로빈도에 관한 두 편의 에세이를 썼다. 그는 또한 ''신성한 삶''에서 발췌한 내용을 덴마크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54]

칠레의 노벨상 수상자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은 스리 아우로빈도를 "학자, 신학자, 그리고 깨달은 자의 독특한 합성체"라고 불렀다. "시민 지도력의 선물, 영적 지도의 선물, 아름다운 표현의 선물: 이것이 삼위일체이며, 스리 아우로빈도가 수많은 인도인에게 다가간 세 개의 빛의 창이다..."[55]

윌리엄 어윈 톰슨은 1972년 오로빌을 여행하여 "마더"를 만났다. 톰슨은 스리 아우로빈도의 영성에 대한 가르침을 "급진적 아나키즘"과 "포스트 종교적 접근"이라고 불렀으며, 그들의 작업을 "...선사 시대의 여신 문화로 거슬러 올라가, 마셜 맥루한의 용어로, 샤먼과 ''라 사제 팜''의 원형을 '문화적으로 회복'했다..."라고 여긴다. 톰슨은 또한 1973년 마더가 죽은 밤에 그녀로부터 샤크티, 즉 초능력을 경험했다고 썼다.[56]

인간 능력의 추가 진화에 대한 스리 아우로빈도의 아이디어는 마이클 머피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고, 간접적으로 머피의 저술을 통해 인간 잠재력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철학자 켄 윌버는 스리 아우로빈도를 "인도의 가장 위대한 현대 철학자 현자"[57]라고 불렀으며, 그의 철학적 비전에 그의 아이디어 중 일부를 통합했다. 뉴에이지 작가 앤드루 하비 또한 스리 아우로빈도를 주요 영감으로 보고 있다.[59]

4. 2. 오로빌 (Auroville)

'어머니'로 알려진 미라 알파사는 1960년대 중반, 인간의 단결을 촉진하는 유네스코의 후원을 받아 퐁디셰리 근처에 국제 도시인 오로빌을 개설했다.[78] 오로빌은 모든 국적, 정치 사상, 신념을 초월하여 평화와 단계적 조화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상향을 목표로 창조되었다.

1968년 오로빌 기념식에는 121개국과 인도의 모든 주 대표가 각자 한 줌의 흙을 오로빌 중심부 근처의 항아리에 넣었다. 이후 오로빌은 계속 발전하여 현재 35개국에서 약 1,700명의 회원을 받아들이고 있다.

5. 비판

아디 다는 스리 아우로빈도의 기여가 문학적이고 문화적인 것에 불과하며, 그의 정치적 동기를 영성과 인간 진화로 확장한 것이라고 평가한다.[67] N. R. 말카니는 스리 아우로빈도의 창조 이론이 일반적인 인간 경험을 초월하는 경험과 비전에 대해 이야기하기 때문에 허위라고 비판한다. 그는 이 이론이 어려운 문제에 대한 지적인 반응이며, 스리 아우로빈도가 존재의 진실에 근거하지 않은 것을 이론화하고 논의하는 데 예측 불가능성의 특성을 사용한다고 지적한다. 말카니는 자각은 이미 현실이며, 자각에 종속된 창조적 활동을 검토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68]

켄 윌버는 스리 아우로빈도가 ''신성한 삶''에서 제시한 물질, 생명, 정신, 오버마인드, 슈퍼마인드의 서로 다른 수준으로 현실을 나누는 개념과 달리, 이를 더 높거나 낮게 중첩된 홀론으로 칭하고, 4가지 현실(자신이 만든 현실 체계)만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스리 아우로빈도의 철학을 다르게 해석했다.[69]

라즈니쉬(오쇼)는 "스리 아우로빈도는 고타마 붓다의 깨달음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고 말한다"라는 추종자들의 질문에 대해, 스리 아우로빈도는 "깨달음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지만, 그는 깨달음을 얻지 못했다"라고 답했다.[70]

참조

[1] 뉴스 A horrendous tale https://www.thestate[...] The Statesman 2022-01-18
[2] 서적 Savitri: A Legend and a Symbol
[3] 뉴스 Remembering a guru https://www.thehindu[...] 2012-08-16
[4] 서적 The Life Divine https://books.google[...] Sri Aurobindo Ashram Publication Department 2009-05
[5] 서적 The Synthesis of Yoga https://books.google[...] Lotus Press
[6] 서적 Rishi Aurobindo Biswas Publishing House 1964
[7] 간행물 Asian Studies Center, Michigan State University
[8] 서적 The Lives of Sri Aurobindo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ri Aurobindo Society | Calcutta to England https://aurosociety.[...]
[10]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Sri Aurobindo. Sri Aurobindo Ashram Publication Dept
[11] 웹사이트 Advice to National College Students https://www.aurobind[...] 2021-06-19
[1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jaduniv.e[...] 2021-06-19
[13] 서적 Sri Aurobindo – a biography and a history
[14] 웹사이트 Sri Aurobindo: A Life Sketch http://www.sriaurobi[...] 2013-01-01
[15] 서적 A Western Journalist on India: The Ferengi's Columns Har-Anand Publications 2001
[16]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Sri Aurobindo https://www.nobelpri[...] 2020-04
[17] 서적 Shri Aurobindo's death - Colombo plan - Foreign Policy. 1950 https://www.abhilekh[...] India News Chronicle 1950-12-06
[18] 서적 Leap of Perception: The Transforming Power of Your Attention Atria books
[19] 서적 The Synthesis of Yoga Lotus Press
[20] 서적 The Synthesis of Yoga Lotus Press
[21] 서적 The Life Divine Lotus Press
[22] 서적 The Life Divine Lotus Press
[23] 서적 The Life Divine Lotus Press
[24] 서적 The Integral Yoga Lotus Press
[25] 서적 The Integral Yoga Lotus Press
[26] 서적 The Integral Yoga Lotus Press
[27] 서적 Essays in Philosophy and Yoga Sri Aurobindo Ashram
[28] 서적 Autobiographical Notes
[29] 서적 The Spirituality of the Future. A Search apropos of R.C. Zaehner’s Study in Sri Aurobindo and Teilhard de Chardin.
[30] 서적 The Spirituality of the Future. A Search apropos of R.C. Zaehner’s Study in Sri Aurobindo and Teilhard de Chardin.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31] 논문 Sri Aurobindo and Hegel on the Involution-Evolution of Absolute Spirit Philosophy East and West 1981-04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Evening Talks with Sri Aurobindo
[36] 간행물 Autobiographical Writings CWSA
[37] 간행물 CWSA
[38] 간행물 Letters on Poetry and Art CWSA
[39] 간행물 Publisher’s Note CWSA
[40] 간행물 CWSA
[41] 서적 Sri Aurobindo – A Biography and a history. Sri Aurobindo Ashram
[42] 서적 The Meeting of the East and the West in Sri Aurobindo’s Philosophy. Sri Aurobindo Ashram
[43] 서적 Fundamentals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D.K. Printworld 2018-12-19
[44] 간행물 Isha Upanishad CWSA
[45] 서적 Integralism the distinctive feature of Sri Aurobindo's philosophy D K Printworld
[46] 서적 Etude sur l'hindouisme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47] 웹사이트 Études sur l'hindouisme http://classiques.uq[...] 2022-02-28
[48] 서적 The integral philosophy of Sri Aurobindo: a commemorative symposium Allen & Unwin
[49] 웹사이트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Asian Studies]] to the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http://www.well.com/[...]
[50] 서적 Netaji Subhas Chandra Bose and Indian Freedom Struggle: Subhas Chandra Bose : his ideas and vision https://books.google[...] Deep & Deep 2018-12-19
[51] 간행물 Sri Aurobindo and European Philosophy
[52] 간행물 Der unsichtbare Ursprung
[53] 간행물 Asien lächelt anders
[54] 서적 Veda and Living Logos. Anthroposophy and Integral Yoga. Lindisfarne Books
[55] 간행물 Mother India 2023-06
[56] 웹사이트 Thinking otherwise – From Religion to Post-Religious Spirituality: Conclusion http://www.wildriver[...] 2014-04-13
[57] 서적 A Greater Psychology –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ical Thought of Sri Aurobindo Tarcher/Putnam
[58] 웹사이트 Ken Wilber and Sri Aurobindo: A Critical Perspective http://www.infinityf[...] 2002-01
[59] 웹사이트 Hidden Journey: A Spiritual Awakening http://www.tricycle.[...] 2014-02-06
[60] 서적 Sri Aurobindo: A Contemporary Reade routeledge
[61] 웹사이트 Sri Chinmoy's writings on Sri Aurobindo http://www.srichinmo[...] srichinmoylibrary.com 2013-11-12
[62] 서적 Mother's Agenda Inst. de Recherches Évolutives
[63] 서적 Who's who of Indian Writers: supplementary volume Sahitya Akademi
[64] 서적 K.D. Sethna Sahitya Akademi
[65] 뉴스 Woodrow Wilson Daughter Dead https://news.google.[...] 2015-11-16
[66] 서적 Sri Aurobindo – A Biography and a history Sri Aurobindo Ashram
[67] 웹사이트 Bubba Free John in India http://www.beezone.c[...] 2014-03-06
[68] 웹사이트 Sri Aurobindo's theory of evolution – a criticism by Prof. Malkani examined http://www.drkcv.org[...] 2014-02-06
[69] 웹사이트 Wilber's Critique of Sri Aurobindo http://www.kheper.ne[...] 2014-10-13
[70] 웹사이트 Osho Beyond Enlightenment http://oshosearch.ne[...] 2014-03-06
[71] 서적 Cinema and the Indian Freedom Struggle: Covering the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72] 웹사이트 R-Day parade: Ministry of Culture presents tableau on Sri Aurobindo's life, works as nation celebrates his 150th birth anniversary https://www.aninews.[...] 2022-01-27
[73] 웹사이트 Sri Aurobindo: A New Dawn https://www.anewdawn[...] 2024-02-03
[74] 뉴스 Animation film launch, dawnfire communion mark Sri Aurobindo birth anniversary https://www.thehindu[...] 2024-02-03
[75] 간행물 Glossary and Index of Proper Names in Sri Aurobindo’s Works Sri Aurobindo Ashram Trust
[76] 웹사이트 SABDA – Collected Works https://www.sabda.in[...] 2019-09-12
[77] 서적 オーダーメイドの幻想 水声社
[78] 문서 オーロビンドの高弟の1人であり、のちにアメリカに移住し霊性のグルとして活躍した[[シュリ・チンモイ]]はこのアーシュラムの出身である。
[79] 문서 教育分野の試みの先導で、ジャワハーラル・ネールなどのオブザーバーに感銘を与えた。
[80] 문서 サーンキヤ学派の開祖カピラが進化論の祖であるとしたのはH・P・ブラヴァツキーであるが、実際のサーンキヤ学派はダーウィンにおけるような進化並びに彼女のいう「進化」も主張しない。
[81] 문서 Mayaは幻影、vadaは主義といった意味。シャンカラから始まる不二一元論における考え方の一つ。詳細は前田専学著『ヴェーダーンタの哲学』並びに村上真完著『インド哲学概論』を参照のこ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