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비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비온은 고대 켈트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하얀색'을 의미하거나 '땅'을 뜻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시대에는 그레이트 브리튼 섬을 지칭했으며, 17~18세기 유럽 외교에서는 영국을 비꼬는 표현인 "불신의 알비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신화와 전설에서는 알비온이 거인들의 땅이거나 건국자의 이름으로 등장하며, 문학 작품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튼 제도의 역사 - 천인청원
    천인청원은 1801년 잉글랜드 국교회 내 천주교 신자들이 교회 정치 및 재정 개혁을 요구한 탄원서로, 교회 개혁 운동의 촉매제이자 잉글랜드 내전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현대 사회에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알비온
지리
일반 정보
알비온 (Albion)그레이트브리튼 섬의 고대 이름임.
어원"흰"을 의미하는 고대 켈트어 단어 *albio-에서 유래.
의미"흰 섬" 또는 "흰 절벽의 땅"을 의미.
역사
사용 시기기원전 4세기부터 중세 시대까지 사용됨.
최초 기록기원전 4세기에 마르세유의 피테아스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짐.
율리우스 카이사르카이사르가 브리튼을 침공할 때 "알비온"이라는 이름을 언급함.
영향"알비온"은 브리튼 섬을 지칭하는 시적인 표현이나 잉글랜드를 지칭하는 민족적 표현으로 사용됨.
문화
문학많은 시와 문학 작품에서 "알비온"이 영국 또는 잉글랜드를 상징하는 이름으로 사용됨.
예시윌리엄 블레이크의 작품에서 "알비온"은 신화적 인물로 등장하며, 영국의 정신과 문화를 상징함.
기타
관련 용어브리타니아
잉글랜드
그레이트브리튼

2. 어원

영어 지명은 그리스어 Ἀλβίωνgrc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3] 라틴어화되어 알비온(Albion, 소유격 )이 되었다.

골-라틴어 ''Albiōn'' (Albbu|알부mga)의 기원은 고대 켈트어 어간 ''*Alb-i̯en-''에 있다. 아마도 ''Alpes''와 같은 다른 지명들처럼 “하얀색”이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 어간 ''*albh-''에서 파생되었거나 (또한 웨일스어로 “세계”를 뜻하는 ''elfydd''와 독일어 ''Elves''에도 근거를 두고 있음) 인도-유럽어 공통조어가 생겨나기 이전의 단어일 것으로 여겨진다.[42]

알프레드 홀더의 ''Alt-Keltischer Sprachschatz''(1896)는 알비온을 ''Weissland'' (“하얀 땅”)으로 번역했고, 도버 백악절벽과 관련해서, 로마인들이 이 단어를 받아들여 ''albus'' (하얀색)라는 말이 생긴 것이 아닐까 하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어근 ''*albiyo-xtg''는 골어와 갈라티아어 albio-xga '세계'에서도 발견되며, 웨일스어 elfyddcy(고대 웨일스어 elbidowl '땅, 세계, 나라,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이는 다른 유럽 및 지중해 지명, 예를 들어 ''알프스 산맥'', ''알바니아'' 또는 강신 알페이오스 (원래 '희끄무레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가능한 어원이 있다. 원시 인도유럽어 단어 *'''' '하얀'(고대 그리스어 ἀλφόςgrc, 라틴어 albusla와 비교), 또는 *''alb-'' '언덕'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하얀'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은 아마도 유럽 대륙에서 보이고 도버 해협의 가장 좁은 해협의 랜드마크인 남동쪽의 하얀 도버 절벽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켈트 언어학자 자비에 델라마르는 원래 '세상 위, 보이는 세상'을 의미하며 '세상 아래', 즉 지하 세계와 대조되는 의미라고 주장했다.[4][5][6]

albus|알부스la "하얀"을 어원으로 한다.[40] 유럽 대륙에서 이 섬에 상륙하려 할 때 처음으로 눈에 띄는 도버 해협 연안 지역에 펼쳐진 절벽의 백악 지층(백악층, 석회암 지층)[41]의 흰색에서, 이 땅이 그 이름을 얻게 된 유래가 있다고 여겨진다.

3. 역사적 증거

AD 4세기 말엽에 아비에누스가 번역한 옛날(BC 6세기) 서기 페리플루스의 저서 《Massaliote Periplus》에서는 “브리타니아” (''Britannia'')라는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에 ''Ierni''와 ''Albiones''의 섬들이란 뜻의 ''nesos 'Iernon kai 'Albionon''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마살리아의 퓌티아스(BC 320년경)도 알비온(''Albion'')과 아이린 (''Ierne'')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툴레를 비롯한 서쪽에 있는 모든 섬들을 한데 묶어서 “νῆσος Πρεττανική” (브리튼 섬)이라고 부르는 점을 보았을 때, 퓌티아스의 말은 정확력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43]

AD 1세기에 이르러, 이 이름은 명확하게 그레이트 브리튼 섬만을 지칭하게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De mundo》(393b)를 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그들은 브리튼 제도라고 불리는 알비온과 아이린 두 거대한 섬들에 도달하였다."

로마 박물학자 대플리니우스의 저서 《박물지》에도 이와 비슷한 구절이 있다.

:"우리가 그곳에 있는 모든 섬들을 통틀어 간단히 브리타니아라고 부르지만, 정작 그곳에는 일찌감치 알비온이라는 이름이 있다."[12]

아비에누스의 『오라 마리티마』(Ora Maritima)를 보면, 이 책을 참고 자료로 삼은 것으로 여겨지는 『마사리아트 페리플러스』(기원전 6세기 원작, 서기 4세기 말 아비에누스 번역)는 "브리타니아"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이르니언과 알비오네스의 섬들"(nēsos Iernōn kai Albiōnōn)이라고 언급한다.[7] 마찬가지로, 피테아스(기원전 320년경)는 후대 작가들이 그의 저작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한 내용에서 "알비온과 이르네"(그레이트 브리튼과 아일랜드)를 언급한다. 피테아스는 νῆσος Πρεττανικήgrc(nēsos Prettanikē, "프레타닉 섬")에 대해 다소 모호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툴레를 포함하여 그가 서쪽 섬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8]

"알비온"이라는 이름은 이사도르 데 차락스(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에 의해 사용되었고,[9] 이후 많은 고전 작가들이 사용했다. 서기 1세기에는 이 이름이 그레이트 브리튼을 명확하게 지칭했다.

지중해 분지 너머의 대양을 묘사하면서, 유사 아리스토텔레스의 텍스트 『우주론』(Περὶ Κόσμου|translit=Perì Kósmougrc)는 브리튼 제도를 언급하며, 두 개의 가장 큰 섬의 이름을 알비온과 이르네 (지명)로 명명한다.

:그 안에는 브리튼 제도라고 불리는 두 개의 매우 큰 섬, 알비온과 이르네가 있는데, 그것들은 이미 언급된 섬들보다 크며, 켈트족의 땅 너머에 놓여 있다.[11]

2세기 그의 『지리학』에서 프톨레마이오스는 로마식 이름 "브리타니아" 대신 Ἀλουΐωνgrc(Alouiōn, "알비온")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타이어의 마리누스의 주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13] 그는 알비온과 이르네를 모두 νῆσοι Βρεττανικαὶ|translit=nēsoi Brettanikai|lit=브리튼 제도grc라고 부른다.[14][15]

930년, 잉글랜드 왕 애설스탠은 rex et primicerius totius Albionis regni|lit=알비온 왕국의 왕이자 수장la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6] 그의 조카 에드거 평화왕은 970년에 스스로를 totius Albionis imperator augustus|lit=모든 알비온의 아우구스투스 황제la라고 칭했다.[17]

유럽 대륙에서 이 섬에 상륙하려 할 때 처음으로 눈에 띄는 도버 해협 연안 지역에 펼쳐진 절벽백악지층 (백악층, 석회암 지층)[41]의 흰색에서, 이 땅이 그 이름을 얻게 된 유래가 있다고 여겨진다.

유럽외교사에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열강들이 당시 믿을 수 없었던 영국을 야유하는 말로서 perfide Albion프랑스어, Perfidious Albion영어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근세의 영국인 및 그 국가의 이명이 되었다.

4. 신화와 전설

알비나와 디오디시아스의 딸들(앞). 브루투스와 그의 부하들을 태운 배가 지나가자 알비온의 거인 두 명이 배경에 나타났다. 브루트 연대기, 대영 도서관 로열 19 C IX, 1450–1475


알비온이라는 이름의 땅은 거인들이 원래 살던 곳이거나 이 땅의 건국자였다는 전설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13세기 산문 '''멀린'''은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이야기를 따랐지만, 트로이의 브루투스와 코르네우스를 트로이 멸망 후 도시를 탈출하는 두 남작으로 설정했다. 브루투스는 브리튼으로 가서 런던을 건설했고, 거인족의 후손인 코르네우스는 브리타니로 가서 도시와 성을 건설했으며, 그의 이름을 코르누아유에 부여했다. 이 버전에서 거인족은 코르네우스의 후손으로, 아더 왕 시대까지 살아남아 색슨족이 브리튼을 침략했을 때 사라센과 함께 브리튼족과 싸웠다. 이야기 속에서 그들은 결국 아더와 그의 기사들에게 패배하여 "그 누구도 기다리지 않는" 숲으로 도망친다. 멀린은 그들을 쫓지 말라고 경고하며, "그들은 곧 그들에게 충분한 슬픔과 고통을 줄 사람들을 만날 것이다."라고 말한다.[20]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밀턴''과 ''예루살렘''은 알비온을 인류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거인으로 묘사한다.

2010년, 예술가 마크 시키는 2008년 그림 "로마 군단병 두 명이 돌로 변한 신-왕 알비온을 발견하다"를 그로스베너 박물관 컬렉션에 기증했다.[39]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작품은 17세기 후반까지 사실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대부분의 초기 영국 역사에 등장한다. 바스, 레이아몬, 라파엘 홀린셰드, 윌리엄 캠던, 존 밀턴은 이 전설을 반복하며, 이는 에드먼드 스펜서의 ''요정 여왕''에도 나타난다.[38]

4. 1. 알비온의 거인



알비온이라는 이름의 땅에는 원래 거인들이 살고 있었거나, 이 땅을 세운 사람이 거인이라는 전설이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내려온다. 존 밀턴은 그의 저서 《영국사》(1670)에서 "바다의 신 넵투누스의 아들인 거인 알비온이 이 섬을 정복하고 자신의 이름으로 짓고 44년 동안 통치했다"라고 기록했다.

전설 속의 '''알비오온'''('''Ἀλβιών'''grc, Albion영어)은 포세이돈암피트리테의 아들이자 알비온 섬에 사는 거인의 이름으로, 라틴어 지명 '''Albion'''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헤라클레스가 서쪽으로 향할 때 길을 막으려던 알비온을 쓰러뜨렸다고 전해진다.

4. 1. 1.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기록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저서 《브리타니아 열왕사》에 따르면, 망명한 트로이의 브루투스는 여신 디아나로부터 다음과 같은 예언을 들었다.[18]

브루투스여! 갈리아 경계를 넘어

서쪽 바다가 둘러싼 섬이 있으니,

거인들이 한때 점거했으나, 이제 남은 자 적어

그대의 입성을 막거나, 그대의 통치를 방해하리라.

그 행복한 해안에 도달하기 위해 돛을 올려라

운명이 그곳에 두 번째 트로이를 세우고

그대의 왕족에서 제국을 세우도록 정했으니,

시간도 결코 파괴하지 못하고, 경계도 제한하지 못하리라.


많은 모험 끝에 브루투스와 그의 동료 트로이인들은 갈리아에서 탈출하여 "약속된 섬을 향해 순풍에 돛을 올렸다."[18]

당시 알비온(Albion)이라 불리던 그 섬에는 몇몇 거인들만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루투스와 그의 일행은 그곳의 쾌적한 환경, 물고기가 풍부한 강, 매력적인 숲의 전망에 매료되어 그곳에 정착하기를 열망했다. 섬을 분할한 후 브루투스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섬을 브리튼(Britain)이라 불렀고, 그의 동료들을 브리튼인(Britons)이라 불렀다. 그는 자신의 이름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랐다.[19] 제프리는 마지막 거인들이 패배한 과정과, 가장 큰 거인인 고에마고트가 코리네우스에 의해 절벽에서 던져진 ঘটনা를 이어서 이야기한다.

포세이돈암피트리테의 아들이자 알비온 섬에 사는 거인의 이름은 라틴어 지명 Albion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는 알비오온(Ἀλβιών|알비온grc)이다.

영웅헤라클레스가 서쪽으로 향할 때 길을 막으려던 알비온을 쓰러뜨렸다고 전해진다.

4. 1. 2. 앵글로노르만 알비나 이야기

알비나와 그녀의 자매들이 알비온을 건국하고 그곳에서 거인족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14세기 후반에 나타났다.[21] "알비나 이야기"는 1300~1334년에 쓰인 8음절 앵글로노르만어 시 "Des grantz geanz"를 포함한 여러 형태로 남아 있다.[28][22][23][24]

시에 따르면, 세계 창조 3970년[26], 그리스 왕은 서른 명의 딸들을 왕족과 결혼시켰다. 그러나 거만한 신부들은 남편에게 종속되지 않기 위해 남편들을 모두 죽이기로 공모했다. 막내딸은 이 음모를 폭로했고, 다른 공주들은 키 없는 배에 갇혀 사흘 동안 표류하다가 사람이 살지 않는 땅에 도착했다. 이 땅은 훗날 "브리튼"으로 불리게 된다. 장녀 알비나(Albinexno)가 가장 먼저 땅을 밟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알비온이라 명명했다. 처음에는 도토리와 과일을 모아 먹었지만, 사냥을 통해 고기를 얻게 되자 음탕한 욕망이 생겨났다. 그 땅에는 다른 인간이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인큐버스"라 불리는 악령과 교접하여 거인족을 낳았다. 이 거인들은 발굴된 거대한 뼈로 그 존재가 증명된다. 브루투스는 알비나 이후 260년, 그리스도 탄생 1136년 전에 도착했지만, 그 당시에는 내분으로 인해 24명의 거인만이 남아 있었다.[27]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이야기처럼, 브루투스 무리는 땅을 점령하고 고그마고그를 물리친다.[27]

전설 속의 '''알비오온'''('''Ἀλβιών'''grc, Albion영어)은 포세이돈암피트리테의 아들이자 알비온 섬에 사는 거인의 이름이며, 라틴어 지명 '''Albion'''la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영웅헤라클레스가 서쪽으로 향할 때 길을 막으려던 알비온을 쓰러뜨렸다고 전해진다.

4. 1. 3.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딸들

중세 영어 산문 《브루트》(《브루트 또는 잉글랜드 연대기》, 1906–1908년 브리 편)는 와스에서 파생된 앵글로-노르만 《브루트》의 영어 번역본이다.[33][34][35] 이 연대기의 서문에는 "서리" (시리아[36])의 "디오클리시안" 왕과 그의 33명의 딸이 등장하며, 맏딸의 이름은 "알비네"였다. 공주들은 남편을 죽이려 모의한 후 모두 알비온으로 추방되었고, 그곳에서 현지 악마들과 결합하여 그들의 자손은 거인족이 되었다. 이 연대기는 항해 중에 알비네와 자매들의 운명을 그들의 신앙의 신인 "아폴린"에게 맡겼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아버지인 시리아 왕은 로마 제국의 황제와 매우 흡사하게 묘사되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 (3세기)는 시대착오적이며, 홀린셰드는 이를 다나오스와 그의 50명의 딸이 아르고스를 세운 전설을 엉뚱하게 섞은 것으로 설명한다.[37]

5. 문학적 사용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작품은 17세기 후반까지 사실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대부분의 초기 영국 역사에 등장한다. 바스, 레이아몬, 라파엘 홀린셰드, 윌리엄 캠던과 존 밀턴은 이 전설을 반복하며, 이는 에드먼드 스펜서의 ''요정 여왕''에도 나타난다.[38]

5. 1. 윌리엄 블레이크의 작품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밀턴''과 ''예루살렘''은 알비온을 인류를 대표하는 전형적인 거인으로 묘사한다.

2010년, 예술가 마크 시키는 2008년 그림 "로마 군단병 두 명이 돌로 변한 신-왕 알비온을 발견하다"를 그로스베너 박물관 컬렉션에 기증했다.[39]

윌리엄 블레이크서사시 『밀턴』에서는 '''알비온'''(Albion, 세계)이 탄생하기 전의 우주에는 "세계의 알"과 그것을 중심으로 섞이는 4개의 우주가 있으며, 각각 북쪽의 우주를 아서나, 남쪽의 우주를 유리젠, 동쪽의 우주를 루바, 서쪽의 우주를 서머스로 하였다.

6. 기타 알비온

유럽 외교사에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열강들이 당시 믿을 수 없었던 영국을 야유하는 말로서 "perfide Albion|불신의 알비온프랑스어"(Perfidious Albion|불신의 알비온영어)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근세의 영국인 및 그 국가의 이명이 되었다.[40]

위에 언급된 것 외에도, 브리튼 섬의 옛 이름으로서의 알비온을 어원으로 하는 고유 명사는 세계에 다수 존재한다. 알비온 (동음이의)을 참조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Canada Got Its Name http://canadaonline.[...] 2018-05-03
[2] 서적 Naming Canada: Stories about Canadian Place Nam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 문서 Ancient Greek
[4] 서적 Celtic Culture, ABC–CLIO
[5]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rrance
[6] 간행물 Early names of Britain
[7] 문서 Avienius' ''Ora Maritima''
[8] 간행물 Die Kassiteriden und Albion https://www.jstor.or[...] 1883
[9] 서적 Fragments des poemes géographiques de Scymnus de Chio et du faux Dicéarque, restitués principalement d'après un manuscrit de la Bibliothèque royale: précédés d'observations littéraires et critiques sur ces fragments; sur Scylax, Marcien d'Héraclée, Isidore de Charax, le stadiasme de la Méditerranée; pour servir de suite et de supplément à toutos les éditions des petits géographes grecs https://archive.org/[...] Gide
[10] 서적 The Britons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1] 서적 On Sophistical Refutations. On Coming-to-be and Passing Away. On the Cosmos. William Heinemann,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Naturalis historia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Ptolemy's Geographia, Book II – Didactic Analysis http://www.reshistor[...] 2011-07-27
[14] 서적 Claudii Ptolemaei Geographia sumptibus et typis Caroli Tauchnitii
[15] 문서 LSJ
[16] 웹사이트 England: Anglo-Saxon Royal Styles: 871–1066, Anglo-Saxon Royal Styles (9th–11th centuries) http://www.archontol[...] 2010-09-27
[17] 문서 Index of the Styles and Titles of Sovereigns of England https://web.archive.[...]
[18] 문서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Book 1, 15
[19] 문서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Book 1, 16
[20] 서적 Merlin, Or, The Early History of King Arthur: A Prose Romance https://books.google[...] Early English Text Society
[21] 문서 Harvnb Bernau 2007
[22] 문서 Harvnb Brereton 1937 p=xxxii
[23] 문서 Harvnb Brereton 1937
[24] 문서 Harvnb Jubinal 1842 pp=354–371
[25] 문서 Harvnb Michel 1862 pp=199–254
[26] 문서 Harvnb Brereton 1937 p=2
[27] 문서 Harvnb Barber 2004
[28] 문서 Once Called Albion: The Composition and Transmission of History Writing in England, 1280–1350 http://ora.ox.ac.uk/[...] Oxford University
[29] 문서 Mother or Stepmother to History? Joan de Mohun and Her Chronicl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30] 문서 Harvnb Carley Crick 1995 p=41
[31] 문서 Harvnb Carley Crick 1995
[32] 문서 Harvnb Evans 1998
[33] 문서 Harvnb Lamont 2007 p=74
[34] 문서 Harvnb Brie 1906–1908
[35] 문서 Harvnb Bernau 2007 p=106
[36] 서적 English Literature and the Classical Pas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7] 문서 "Holinshed's Chronicles|Historie of England"
[38] 서적 The Sources of the British Chronicle History in Spenser's Faerie Queene Haskell House
[39] 웹사이트 Chester Grosvenor Art competition: winners http://www.cheshire-[...] 2016-10-20
[40] 문서 albus は、album (アルバム)、albino (アルビノ)、albedo(アルベド)などの語源や同系語でもある。
[41] 문서 地質時代名の「白亜紀」もこの地層に由来する。
[42] 간행물 IEW
[43] 간행물 Rhein. M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