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크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크만은 기원전 7세기 후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이다. 그의 생애는 불확실하며, 출생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사르디스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라코니아 출신이라는 주장도 있다.

알크만의 작품은 주로 합창 시였으며, '파르테네이아'로 알려진 소녀들의 노래가 대표적이다. 그의 시는 자연에 대한 묘사가 풍부하며, 명확하고 유쾌한 어조를 특징으로 한다. 언어는 도리아 방언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운율과 형식을 활용했다.

알크만의 작품은 고대부터 연구되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분석되고 있다. 그의 시는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스파르타의 시인 - 티르타이오스
    기원전 7세기 후반 스파르타의 애가 시인 티르타이오스는 격동기에 스파르타인들에게 충성과 용기를 고취하는 시를 써서 사회의 군사적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으로는 '헌법', '교훈', '전쟁 노래' 등이 있다.
  • 기원전 7세기 시인 - 티르타이오스
    기원전 7세기 후반 스파르타의 애가 시인 티르타이오스는 격동기에 스파르타인들에게 충성과 용기를 고취하는 시를 써서 사회의 군사적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으로는 '헌법', '교훈', '전쟁 노래' 등이 있다.
  • 기원전 7세기 시인 - 아르킬로코스
    아르킬로코스는 기원전 7세기경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시인이자 용병으로, 개인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시와 이암보스 시를 활용한 풍자로 유명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홉 서정 시인 - 핀다로스
    고대 그리스 서정 시인이자 보이오티아 키노스케팔라이 출신인 핀다로스는 현존하는 작품이 많은 유일한 보이오티아 시인으로, 그의 작품은 고대 그리스의 신화, 종교, 가치관, 사회상을 보여주며, 특히 《승리 기념시》는 4대 범그리스 경기 승리자들을 찬양하는 대표작이다.
  • 아홉 서정 시인 - 아나크레온
    아나크레온은 고대 그리스의 서정 시인으로, 사랑, 술, 연회 등 향락적인 주제를 다룬 시로 당대와 후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아나크레온테아를 통해 18세기 유럽에서 아나크레온 운동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고 페르시아 침공으로 인한 망명 생활과 폴리크라테스, 히파르코스 등 유력자들과의 교류가 그의 생애의 특징이다.
알크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알크만
원어 이름Ἀλκμάν
로마자 표기Alkman
라틴어 표기Alcman
생애
출생기원전 7세기
출생지스파르타 또는 사르디스
사망기원전 7세기
사망지스파르타
직업 및 활동
직업시인
활동 시기고대 그리스
장르서정시

2. 생애

알크만의 정확한 생몰년은 알 수 없지만, 대략 기원전 7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1] 그의 어머니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아버지 이름은 다마스 또는 티타로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

알크만의 출신지에 대해서는 고대부터 여러 의견이 있었다.[3] 고대 작가들은 종종 시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시인의 삶을 추정했기 때문에 그 기록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테살로니카의 안티파테르는 시인에게는 "어머니가 많다"고 표현하며, 유럽아시아 대륙 모두 알크만이 자신들의 고향 사람이라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4] 일반적으로는 고대 뤼디아의 수도였던 사르디스 출신으로 여겨졌지만, 수다에서는 그가 라코니아의 메소아 출신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5]

알크만이 사용한 방언이 복잡하다는 점도 그의 출신지에 대한 논란을 더했지만, 그의 시에 리디아나 아시아 문화에 대한 언급이 많다는 점은 리디아 출신 설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 예를 들어, 알크만은 자신이 "시끄러운 바위 산닭"(''caccabides'')에게서 시 쓰는 기술을 배웠다고 했는데,[6] 이 새는 소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며 그리스 본토에서는 자연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고대 학자들은 알크만의 시 중 한 구절("그는 시골뜨기도, 촌뜨기도 아니었으며... 고귀한 사르디스 출신이었다.")을 근거로 들기도 했다.[7] 하지만 이 구절이 정확히 누구를 지칭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일부 현대 학자들도 시에 나타난 언어[8]나 내용[9]을 근거로 리디아 출신 설을 지지한다. 그러나 기원전 7세기의 사르디스는 국제적인 도시였으므로, 시에 나타난 리디아 문화에 대한 언급이 당시 합창단 소녀들의 세련됨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였을 가능성도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10] 알크만은 아게시다스(하게시데무스?)라는 사람의 집안에 노예로 스파르타에 왔다가 뛰어난 재능 덕분에 해방되었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알크만이 가 들끓는 병(''phthiriasis'')으로 사망했다고 기록했지만,[12] 이는 철학자 크로톤의 알크마이온과 혼동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파우사니아스는 알크만이 스파르타에 있는 헬렌의 신전 옆에 묻혔다고 전했다.[14]

3. 작품

고대에는 알크만의 합창 시가 6권(약 50~60편의 찬가) 분량으로 존재했다고 전해지나, 중세 초기에 대부분 소실되었다. 오랫동안 알크만의 작품은 다른 그리스 작가들이 남긴 글에 인용된 단편적인 구절들을 통해서만 알려져 왔다.

상황이 바뀐 것은 1855년경 이집트 사카라의 한 무덤에서 파피루스 조각이 발견되고, 1960년대에는 옥시린쿠스의 고대 유적지에서 추가적인 파편들이 발굴되면서부터이다. 그의 작품 일부가 세상에 다시 알려지게 된 것이다. 현재 파리 루브르 박물관 등에 소장된 이 파편들은 주로 젊은 미혼 여성들의 합창단이 부른 노래인 '파르테네이온'(παρθενείονgrc)을 포함하고 있다.

알크만이 주로 작곡한 노래 유형으로는 신들을 기리는 찬가, 소녀들이 부르는 노래인 ''파르테네이아''(παρθένειαgrc), 그리고 서사시 낭송 전에 부르는 서곡인 ''프로오이미아''(προοίμιαgrc) 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자료들은 대부분 단편적이고 파편적이어서 작품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거나 정확히 분류하기는 어렵다.

가장 중요하고 분량이 많은 단편은 1855년 이집트 사카라에서 프랑스 학자 오귀스트 마리에트가 발견한 제1 파르테네이온(루브르 파르테네이온)이다. 알크만의 합창 가사는 스파르타의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맥락 속에서 실제 공연을 염두에 두고 창작되었다. 특히 현존하는 단편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파르테네이아''는 미혼 여성들의 합창단에 의해 불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3. 1. 파르테네이아 (처녀가)

고대에는 알크만의 합창 시가 6권(약 50~60편의 찬가) 있었으나, 중세 초기에 소실되었다. 이후 알크만은 다른 그리스 작가들의 글에 인용된 단편들을 통해서만 알려져 왔다. 1855년경 이집트 사카라의 두 번째 피라미드 근처 무덤에서 파피루스가 발견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현재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 파피루스 조각에는 젊은 미혼 여성들의 합창단이 부르는 노래인 '파르테네이온'(παρθενείονgrc) 약 100절이 담겨 있었다. 1960년대에는 옥시린쿠스의 고대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견된 이집트 파피루스 컬렉션에서 더 많은 파편들이 출판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파르테네이아(처녀가)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다른 종류의 찬가들도 있었다.

알크만이 주로 작곡한 노래 유형은 찬가, ''파르테네이아''(παρθένειαgrc, 소녀의 노래, 그리스어 παρθένοςgrc "소녀"에서 유래), 그리고 ''프로오이미아''(προοίμιαgrc, 서사시 암송의 서곡)로 보인다. 현존하는 자료는 대부분 단편적이고 파편적이어서 분류하기 어렵다.

가장 중요한 단편은 제1 파르테네이온 또는 루브르 파르테네이온으로, 1855년 프랑스 학자 오귀스트 마리에트가 이집트 사카라에서 발견했다. 이 파르테네이온은 총 101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30행 이상은 심하게 손상되었다. 이 단편의 내용은 해석의 여지가 많아, 발견 이후 학자들은 그 내용과 파르테네이온이 연행되었을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쟁해 왔다.

알크만의 합창 가사는 스파르타의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맥락 속에서 연행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현존하는 단편 대부분은 ''파르테네이아''의 구절이다. 이 노래들은 미혼 여성들의 합창단에 의해 불렸지만, 정확히 어떻게 공연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스위스 학자 클로드 칼람 (1977)은 이를 소녀 합창단이 연기하는 일종의 드라마로 보았으며, 입문 의례와 관련지었다.[18]

파르테네이아에서 소녀들은 합창단 리더(코리파이오스)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현한다.

:보라색의 풍요로움은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단단한 금으로 된 복잡한 뱀도, 어두운 눈을 가진 소녀들의 자부심인 리디아 머리띠도, 난노의 머리카락도, 신과 같은 아레타도, 또는 틸라키스와 클레에시테라 또한 그러하다. 에네시임브로타에게 가서 '아스타피스가 내 것이라면, 필릴라가 나를 바라본다면, 다마레타와 사랑스러운 이안테미스가 있다면'이라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아게시코라가 나를 지켜준다.[19]

:그녀가 나를 사랑하는지 보려고 한다. 그녀가 더 가까이 와서 부드러운 손을 잡는다면, 즉시 나는 그녀의 간청자가 될 것이다.[20]

초기 연구에서는 파르테네이온에 나타난 사랑의 에로틱한 측면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첫 번째 인용문 끝의 "지켜준다"로 번역된 동사(τηρεῖgrc) 대신, 파피루스 원문에는 "나를 (사랑으로) 지치게 한다"는 의미의 τείρειgrc가 사용되었다는 점이 지적된다. 칼람은 이러한 동성애적 감정이 동시대 시인 사포의 가사에서도 발견되며, 남성들의 스파르타식 소년애와 유사하게 입문 의례의 일부였다고 주장한다.[21] 후대의 플루타르코스 역시 스파르타 여성들이 동성 관계에 참여했음을 언급하는데, 이는 더 오래된 자료에 근거했을 가능성이 있다.[22] 이러한 관계가 육체적인 측면을 포함했는지, 그렇다면 어떤 성격이었는지는 여전히 논의 중이다.

시의 에로틱한 요소를 인정하면서도, 동시대 고전학자 키리아코스 찬찬노글루는 제1 파르테네이온 후반부가 아게시코라를 비판적으로 묘사하며, 그녀를 칭찬하기보다는 부재를 강조한다고 주장했다.[23] 그러나 찬찬노글루의 해석은 고전 연구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허친슨과 스텔레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제1 파르테네이온이 부족 입문 의식이 아닌 수확 의식을 위해 작곡된 노래라고 본다. 스텔레는 파르테네이온의 소녀들이 새벽의 여신(오르트리아)을 위해 쟁기( φάροςgrc, 또는 대부분의 번역에서는 옷, φᾶροςgrc)를 들고 다닌다고 주장한다. 새벽의 여신은 특히 새벽에 시작하는 수확기에 존경받았는데(헤시오도스, 《노동과 나날》, 575-580행), 이는 새벽이 노동 시간의 3분의 1을 차지하기 때문이다.[24] 별자리 시리우스의 열기는 새벽에 위협이 되므로, 합창단은 이를 물리치려 한다.[25] 동시에 합창단원들은 결혼할 준비가 된 여성으로서 자신들을 드러낸다. 스텔레는 칼람의 입문 의례 해석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시에 나타난 '에로틱' 언어의 중요성은 인정한다.

일부 학자들은 합창단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각자 리더를 두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공연의 시작과 끝에서는 하나로 합쳐지지만,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각 부분이 서로 경쟁하며 자신의 리더가 스파르타 최고의 소녀라고 주장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그러나 합창단이 실제로 나뉘었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제1 파르테네이온에 등장하는 또 다른 인물인 에네시임브로타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일부는 그녀를 경쟁 합창단의 리더로 보거나,[26] 테오크리토스의 이딜 2편에 나오는 ''파르마케우트리아''처럼 사랑에 빠진 소녀들에게 마법의 묘약을 제공하는 마녀와 같은 존재로 해석한다.[27] 또 다른 이들은 핀다르의 제2 파르테네이온에 나오는 안다에시스트로타처럼 합창단의 조련사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8]

3. 2. 그 외 작품

고대에는 알크만의 합창 시가 6권(약 50~60편의 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세 초기에 대부분 소실되었다. 오랫동안 알크만의 작품은 다른 그리스 작가들이 인용한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다.[29]

그러던 중 1855년경 이집트 사카라에 있는 두 번째 피라미드 근처의 무덤에서 파피루스 조각이 발견되었다. 현재 파리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 파피루스에는 젊은 미혼 여성들의 합창단이 부르는 노래인 소위 '파르테네이온'의 약 100절 가량이 담겨 있었다.[29] 이후 1960년대에는 옥시린쿠스의 고대 쓰레기 매립지 발굴 과정에서 더 많은 파피루스 파편들이 발견되어 공개되었다. 이 파편들 역시 대부분 파르테네이아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그 외 다른 종류의 찬가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29]

알크만이 스파르타 소년들을 위한 노래도 작곡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는 기원전 2세기 스파르타의 역사가 소시비우스가 남긴 기록에 근거한다. 아테나이오스가 인용한 소시비우스의 글에 따르면, 알크만의 노래가 김노파이디아 축제에서 불렸다고 한다.[29]

: 합창단 지도자들은 김노파이디아 축제를 기념하여 티레아에서 거둔 승리를 기리는 티레아 화관을 들고 간다. 세 개의 합창단이 있는데, 앞쪽은 소년들의 합창단, 오른쪽은 노인들의 합창단, 왼쪽은 남성들의 합창단이다. 그들은 옷을 벗고 춤을 추며 탈레타스와 알크만의 노래, 그리고 라코니아 출신 디오니소스도투스의 파이안을 부른다.[29]

4. 언어와 형식

파우사니아스는 알크만이 일반적으로 아름답게 들리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도리아 방언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노래는 그 아름다움을 전혀 잃지 않았다고 평가했다.[15]

알크만의 노래는 스파르타의 도리아 방언, 즉 라코니아 방언으로 작곡되었다. 이는 특정 철자법(예: α = η, ω = ου, η = ει, σ = θ)과 도리아 억양 사용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이 알크만 원본에 있었는지, 후대 라코니아 연주자들이 추가했는지, 혹은 알렉산드리아 학자들이 당시 도리아 방언을 기준으로 텍스트에 도리아적 색채를 입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폴로니우스 디스코루스는 알크만이 συνεχῶς αἰολίζων|sünekhōs aiolízōngrc "끊임없이 아이올리아 방언을 사용한다"고 묘사했다.[16] 그러나 이는 삼인칭 대명사 ϝός|wósgrc "그의/그녀의" 사용에 대한 평가로, 이 단어 자체는 도리아 방언에 속하므로 그 타당성은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많은 단편들은 그리스 서사시의 호메로스 방언에서 흔히 보이는 운율, 형태론, 구문론적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호메로스에게는 없지만 후대 서정 시인들에게 이어진 아이올리아 및 비(非)도리아적 특징(σδ = ζ, -οισα = -ουσα)도 나타난다. 이처럼 다양한 언어적 특징의 혼합은 그의 작품 분석을 복잡하게 만든다.

영국의 언어학자 데니스 페이지는 그의 저서(1951)에서 알크만 방언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

(i) 현존하는 알크만 단편의 방언은 기본적으로 라코니아 속어이다. (ii) 알크만 시대에 이 속어가 서사시 외 다른 방언의 특징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믿을 충분한 이유는 없다. (iii) 서사시 방언의 특징은 현존 단편 전체에서 산발적으로, 특히 운율이나 주제가 서사시에서 차용된 구절에서, 그리고 전체적으로 서사시에서 차용되거나 모방된 구절에서 관찰된다.

Witczak (2016)은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가 알크만에게서 처음 사용되었다고 기록한 용어 ἀάνθα|aánthagrc가 원시 알바니아어에서 유래한 초기 도리아 차용어일 가능성을 제기했다.[17]

알크만의 시는 주로 연 시 형식으로, 서로 다른 운율을 결합한 긴 (9-14행)이 여러 번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가 즐겨 사용한 운율 중 하나는 장단격 사각운이다.

알크만이 가장 자주 작곡한 노래 유형은 찬가, ''파르테네이아''(소녀들의 노래, παρθένος|parthénosgrc "소녀"), 그리고 ''프로오이미아''(서사시 암송의 서곡)로 여겨진다. 현존하는 자료는 대부분 단편적이어서 분류가 어렵다.

가장 중요한 단편은 제1 파르테네이온, 또는 루브르 파르테네이온으로 불리는 시이다. 1855년 프랑스 학자 오귀스트 마리에트가 이집트 사카라에서 발견했으며, 총 101행 중 30행 이상이 심하게 손상되었다. 이 단편의 내용과 공연 상황에 대해서는 발견 이후 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알크만의 합창 가사는 스파르타의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맥락 속에서 공연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현존하는 단편 대부분은 미혼 여성 합창단이 부른 ''파르테네이아''의 일부이다. 스위스 학자 클로드 칼람은 이를 소녀 합창단이 연기하는 일종의 드라마로 보고, 입문 의식과 연결했다.[18] 시에서는 소녀들이 합창단 리더(코리파이오스)에게 느끼는 깊은 애정이 표현된다. 예를 들어 한 구절에서는 "보라색의 풍요로움도, 단단한 금으로 된 복잡한 뱀도, 리디아 머리띠도... 난노의 머리카락도, 신과 같은 아레타도... 나를 보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아게시코라가 나를 지켜준다."[19] 와 같은 표현이나, "그녀가 나를 사랑하는지 보려 한다. 그녀가 더 가까이 와서 부드러운 손을 잡는다면, 즉시 나는 그녀의 간청자가 될 것이다."[20] 와 같은 구절이 나타난다.

초기 연구에서는 파르테네이온에 나타난 사랑의 에로틱한 측면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앞서 인용된 구절 중 "지켜준다"로 번역된 동사 τηρεῖ|tēreîgrc는 원본 파피루스에는 τείρει|teíreigrc("나를 (사랑으로) 지치게 한다")로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칼람은 이러한 동성애적 감정 표현이 동시대 시인 사포의 시에서도 나타나며, 남성들의 스파르타식 소년애와 마찬가지로 입문 의식의 일부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1] 후대의 플루타르코스 역시 스파르타 여성들 사이에 이러한 동성 관계가 존재했음을 언급했다.[22] 이러한 관계의 구체적인 성격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

시의 에로틱한 요소를 인정하면서도, 키리아코스 찬찬노글루는 제1 파르테네이온 후반부가 아게시코라를 칭찬하기보다는 비판적으로 묘사하며 그녀의 부재를 강조한다고 주장했다.[23] 그러나 이 해석은 주류 학계의 지지를 얻지는 못했다.

허친슨과 스텔레 등 다른 학자들은 제1 파르테네이온이 입문 의식이 아닌 수확 의례를 위해 작곡된 노래라고 본다. 스텔레는 소녀들이 새벽의 여신(오르트리아)에게 바칠 쟁기(대부분의 번역에서는 옷감, φᾶρος|phârosgrc)를 들고 있으며, 이 여신은 특히 새벽에 수확하는 시기에 존경받았다고 주장한다(헤시오도스, ''노동과 나날'', 575-580행).[24] 합창단은 새벽의 위협인 열기(별자리 시리우스)를 물리치려 하며,[25] 동시에 자신들이 결혼 적령기의 여성임을 드러낸다. 스텔레는 칼람의 입문 의례 설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시에 나타난 '에로틱' 언어의 중요성은 인정한다.

일부 학자들은 합창단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자 리더를 두고 경쟁하며 자신들의 리더가 최고라고 주장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합창단 분할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제1 파르테네이온에 등장하는 또 다른 인물인 에네심브로타의 역할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경쟁 합창단의 리더라는 설,[26] 테오크리토스의 시에 등장하는 인물처럼 사랑의 묘약을 만드는 마녀라는 설,[27] 핀다르의 시에 등장하는 인물처럼 합창단의 조련사라는 설[28] 등이 있다.

5. 평가 및 영향

알크만의 시는 다루는 주제와 관계없이 명확하고 가볍고 유쾌한 어조를 지닌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고대의 주석가들도 언급했던 바이다.[30] 의례축제의 세부적인 모습들이 주의 깊게 묘사되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그 맥락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알크만의 언어는 시각적인 표현이 풍부하다. 그는 여인의 노란 머리카락과 그녀가 목에 건 금목걸이, 칼카스 꽃의 보라색 꽃잎과 깊은 바다의 보라색 빛깔, 바람꽃의 "밝게 빛나는" 색, 포도 덩굴에서 푸른 싹을 갉아 먹는 새의 다채로운 깃털 등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자연에 대한 묘사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협곡, 산, 밤에 꽃이 피어나는 숲, 해초 위로 잔잔하게 물결치는 바다 소리 등이 그의 시에 담겨 있다. 또한 새, 말, 벌, 사자, 파충류, 심지어 기어 다니는 곤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과 생명체들이 그의 시구를 채운다.

>

산꼭대기와 산골짜기, 어깨와 협곡도 잠들어 있다;

어두운 땅에서 기어 나오는 것들,

언덕 기슭에 누워 있는 짐승들,

벌의 세대,

자주색 바닷물 깊이의 괴물들,

모두 잠들어 있고,

그들과 함께 날개 달린 새의 종족들.[30]

짝짓기하는 물총새


카리스토스의 안티고노스가 언급했듯이, 알크만은 한 시에서 자신이 나이가 들어 더 이상 합창단의 소녀들과 함께 춤을 출 수 없게 된 것을 슬퍼하며 노래했다. 그는 자신을 물총새(세릴, Ceryl)와 비교하는데, 물총새는 늙고 약해져 날 수 없게 되면 짝이 날개에 실어 옮겨준다고 한다.

>

더 이상, 아, 매혹적인 목소리를 가진 아름다운 소녀들이여!

내 사지가 쇠약해진다.—아, 내가 봄의 푸른 바다새, 물총새가 되어

어린 물총새 떼들 사이에서 파도의 꽃 위로 날아가

무심한 마음으로 아무 걱정 없이 있었으면 좋겠네![31]

6. 한국과의 관계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6. 1. 한국어 번역


  • ''그리스 합창 서정시집 알크만 외'', 단게 카즈히코 번역, 교토대학 학술출판회 (2002년)

참조

[1] 서적 2001
[2] 서적 Suda
[3] 서적 1985
[4] 서적 Greek Anthology
[5] 서적 Suda
[6] 서적
[7] 서적
[8] 간행물 Lampas 1980
[9] 간행물 Ktema 2002
[10] 서적
[11] 간행물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1974
[12] 서적 History of Animals
[13] 간행물 Prometheus 1975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Pron.
[17] 학회발표 The earliest Albanian loanwords in Greek https://www.academia[...] Institute of Modern Greek Studies 2020-12-19
[18] 서적 Les Chœurs de jeunes filles en Grèce archaïque Rowman and Littlefield 1996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1977
[22] 서적 Lycurgus
[23] 서적 Of Golden Manes and Silvery Faces: The Partheneion 1 of Alcman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8-06-20
[24] 서적 1997
[25] 서적 1997
[26] 간행물 Philologus
[27] 간행물 Museum Helveticum 1977
[28] 서적 Cultic persona http://alkman.george[...] 1977
[29] 서적 Deipnosophists
[30] 서적 1922
[31] 서적 https://archive.org/[...] 1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