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토 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토 준은 20세기 후반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의 뒤를 이어 문예 비평계의 선두주자로 평가받았다. 그는 문학 평론뿐 아니라 사회 비평, 정치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논쟁적인 견해를 펼쳤다. 초기에는 안보 투쟁에 참여하는 등 진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1960년대 중반 이후 극우적 성향으로 전환하여 미국 점령 정책과 일본 헌법을 비판했다. 주요 저서로는 『나쓰메 소세키론』,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 『작가는 행동한다』 등이 있으며, 1999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군주주의자 - 도조 유코
도조 유코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총리였던 도조 히데키의 손녀로, 할아버지 옹호, 극동 국제 군사 재판 부정, 야스쿠니 신사 합사 옹호, 위안부 강제 연행 및 난징 대학살에 대한 부정적 입장 표명 등 일본의 보수 논객으로 활동했다. - 일본의 군주주의자 - 구리바야시 다다미치
구리바야시 다다미치는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이오지마 전투 당시 일본군 수비대 사령관으로서 혁신적인 방어 전략을 통해 미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오지마를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후 대장으로 추서되고 영화로도 알려졌다.
에토 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에가시라 아쓰오 |
출생일 | 1932년 12월 25일 |
출생지 | 도쿄도 도요타마군 |
사망일 | 1999년 7월 21일 |
사망지 |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
묘소 | 아오야마 영원 |
직업 | 문예평론가 |
언어 | 한국어 |
학력 | 쇼난 중학교 도쿄도립 제1중학교 |
모교 | 게이오기주쿠 대학 문학부 졸업 게이오기주쿠 대학 문학박사 |
활동 기간 | 1956년 - 1999년 |
작품 활동 | |
장르 | 문예평론 |
주제 | 일본의 근대, 근대 문학 |
주요 작품 | '노예의 사상을 배척하다' (1958년) '고바야시 히데오' (1961년) '성숙과 상실' (1967년) '바다는 되살아난다' (1976년) '소세키와 그 시대' (1970년 - 1999년, 미완) |
데뷔 작품 | '나쓰메 소세키' (1956년) |
사상 및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고바야시 히데오 요시다 겐이치 나쓰메 소세키 야마카와 마사오 |
영향을 받은 인물 | 이시하라 신타로 후쿠다 가즈야 효도 니주하치 도미오카 고이치로 니시오 간지 가토 노리히로 가라타니 고진 이시하라 지아키 오쿠보 다카키 다쿠보 다다에 모리모토 사토시 야마자키 유키타로 |
수상 내역 | |
수상 | 신초샤 문학상 (1962년) 기쿠치 간상 (1970년) 노마 문예상 (1970년) 일본예술원상 (1976년) 세론 대상 (1997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미우라 게이코 (1957년 - 1998년 사별) |
자녀 | 없음 |
2. 생애
에토 준은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였다.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에는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받았으며,[43] 20대부터 오랫동안 문예시평을 담당하여 큰 영향력을 가졌다. 20대에 쓴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와 『나쓰메 소세키론』 중, 특히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의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그려내 요시모토 다카아키를 비롯한 여러 문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4]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과 함께 패기 넘치는 신인으로 주목받았다. 1966년 도야마 가즈유키, 다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고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주재했으며, 1969년부터 약 9년간 마이니치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45]
도쿄 공업대학 교수로 채용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았으며, 나쓰메 소세키를 비평한 『나쓰메 소세키론』(1955)을 발표하여 노마 문학상과 기쿠치 간상을 수상했다. 이후 작가의 스타일은 그의 개인적인 행동 및 배경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와 『작가는 행동한다』(1959)를 발표했다.[1] 1962년 고바야시 히데오에 대한 비평을 쓴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록펠러 재단의 초청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2년간 연수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 다른 작품으로는 가족과 일본인의 뿌리를 추적하려고 시도한 『일족 재회』(1967~1972)가 있다.
에토는 문학 비평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많은 책과 수필을 썼다. 논란이 되는 견해를 취함으로써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했지만, 조약 비준 후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과 정치와 도덕을 혼동했다고 비난했다.[4]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일본의 전통을 파괴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비판하는 수필을 발표하며 극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5] 특히 전후 일본 헌법을 일본에 부과된 외국 수입품이라고 비판했다.[6]
1970년 러일 전쟁에 관한 작품인 『바다가 되살아나다』를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1977년 8월 일본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최초의 3시간짜리 역사 드라마가 되었다.[7] 1975년 게이오기주쿠 대학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으며, 일본의 많은 문학상 심사위원회에 참여했다.
1958년 이시하라 신타로, 오에 겐자부로, 다니가와 슌타로 등과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하여 60년 안보에 반대했다. 1962년 록펠러 재단 연구원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 유학했고, 1963년 프린스턴 대학교 동양학과에서 일본 문학사를 가르쳤다. 1964년 귀국 후 애국자이자 천황 숭배자의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1967년 도야마 이치로, 다카시나 슈지와 함께 잡지 『계간 예술』을 창간(1979년까지 발행)했다. 1971년부터 도쿄 공업대학 조교수, 후에 교수가 되었다. 『가쓰 가이슈 전집』 편찬에 참여했다.
1998년 12월, 암으로 부인 게이코가 사망했다. 1999년 6월에는 뇌졸중을 겪었고, 같은 해 7월 자택에서 자살하기 전 마지막에는 자신을 "형해"라고 칭했다. 유서에는 "심신의 불편함은 더해지고, 병고는 견딜 수 없다. 지난 6월 10일, 뇌졸중 발작을 겪은 이후의 에토 준은 형해에 지나지 않는다. 스스로 목숨을 끊어 형해를 단절하는 이유이다. 청컨대, 여러분이여, 이를 이해해 주십시오. 헤이세이 11년 7월 21일"이라고 적혀 있었다.[29] 1999년 7월 21일, 가마쿠라시 니시오몬 자택 욕실에서 면도칼을 사용하여 손목을 그어 자살하여, 향년 66세로 사망했다. 평생의 연구 과제였던 『漱石とその時代|소세키와 그 시대일본어』는 몇 회를 남기고 미완으로 끝났다. 부인의 투병 생활을 적은 『妻と私|아내와 나일본어』를 남기고, 이어지는 『幼年時代|유년 시대일본어』도 미완으로 끝났다. 장례식은 신도(神式)로 치러졌으며, 이시하라 신타로 등이 조사를 읽었다.[30]
2. 1. 초기 생애 (1932~1953)
1932년 도쿄 신주쿠에서 은행원 에가시라 타카시(江頭隆)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이름은 히로코(廣子)이다.[22] 할아버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제독이었다. 1937년 네 살 반에 어머니를 결핵으로 여의었다.[22] 1939년 토야마 소학교(戸山小学校)에 입학했지만, 몸이 약하고 선생님과 잘 맞지 않아 학교에 잘 나가지 않았다.[22] 집 창고에 숨어서 다니자키 준이치로, 야마나카 미네타로(山中峯太郎), 타가와 수이호 등의 책을 읽었다.[22] "학교가 없는 나라에 갈 수 있다면"이라고 꿈꾸기도 했다.[22]1942년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의 가마쿠라 제일 국민학교(鎌倉第一国民学校)(현재 가마쿠라 시립 제1 소학교)로 전학 간 후에는 학교를 좋아하게 되어 성적이 향상되었다.[22] 1945년 5월, 도쿄 대공습으로 도쿄 오쿠보(東京大久保)의 생가가 소실되었다.[22] 돌아가신 어머니의 유품을 잃은 것을 슬퍼했다.[22]
1946년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의 구제 쇼난 중학교(湘南中学)(현재 가나가와현립 쇼난 고등학교)에 입학했다.[22] 1년 선배인 이시하라 신타로와 친하게 지냈으며, 이시하라와의 교류는 평생 이어졌다.[22] 1948년 구제 도쿄도립 제1 중학교(東京都立第一中学校)(현: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로 전학했다.[22] 고서점에서 이토 시즈오의 시집 『반향(反響)』을 접한 것이 문학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가 되었다.[22] 재학 중에는 베레모를 쓰는 등 다소 비뚤어진 면도 있었다.[22]
1951년 건강 검진에서 폐침윤이 발견되어 고등학교를 휴학하고 가정 요양을 했다.[22]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다니자키 준이치로, 후쿠다 츠네타다(福田恆存), 오오카 쇼헤이 등의 작품을 탐독했다.[22] 고등학교에서는 우등생이었지만, 수학만큼은 전혀 못했다고 한다.[22]
2. 2. 학창 시절 (1953~1959)
1953년, 도쿄대학 문과 2류(현재의 도쿄대학교 문과 3류에 해당) 입시에 실패하고, 게이오기주쿠대학 문학부(교양과정)에 진학했다. 히비야고등학교(1950년 도립일중에서 개칭)의 교사로부터 "게이오는 경제학부 아닌가? 웬 문학부? 너도 의외로 성장이 더디구나."라며 노골적으로 무시당했기 때문에, 이후로는 다시는 히비야고등학교의 문턱을 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다만 말년에는 히비야고등학교 OB 강연회 "트와일라잇 포럼"의 강연을 맡는 등, 문제는 내면적으로는 이미 해소된 것처럼 보인다.[23]게이오 입학 전후로 후쿠자와 유키치를 읽고 감명을 받아 심취했으며, 후쿠자와는 저서 『작가는 행동한다』에서 중요한 모티프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차례 후쿠자와에 대해 논했다. 이후에도 모교 게이오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고, 교수로 초빙되었을 때의 기쁨을 나중에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있다(『국가란 무엇인가』).[23]
1954년 4월, 전문 과정 진학에 있어 영문학과를 선택했다. 요시다 켄이치의 『영국의 문학』의 영향이 크다. 같은 해 6월, 객혈하여 자택에서 요양했다.[23]
1955년, 당시 편집장이었던 야마카와 마사오의 의뢰로 『미타 문학』에 "여름의 소세키론"을 발표했다. 처음으로 에토 준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23]
1957년 3월, 게이오기주쿠대학교 문학부 문학과(영미문학 전공)를 졸업했다. 졸업 논문의 주제는 로렌스 스턴이었다. 같은 해 4월, 게이오기주쿠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사과정에 진학했다. 지도교수인 니시와키 준자부로에게 싫어졌다고 한다. 니시와키는 강의실에서 에토의 모습을 보자마자, "오늘은 에토 군이 있으니까 수업하지 않겠다."라고 선언하기도 했다고 한다. 같은 해 5월, 대학 동기였던 미우라 케이코와 결혼했다. 후년에 선배인 야스오카 쇼타로로부터 "케이코 씨와 사귀기 위해 일부러 도쿄대학교에 떨어진 것이 아니냐?"라고 놀림을 받았지만, 에토는 "저는 진지하게 시험을 봤는데 떨어졌습니다."라고 대답했다.[23]
1958년, 대학원생이면서 문예지에 평론을 집필하여 원고료를 벌었던 것이 교수회에서 문제시되어 제적을 권고받았지만, 수업료만 납부하고 저항의 의미로 등교를 거부했다. 같은 해 11월, 분게이슌주에서 『노예의 사상을 배격한다』를 출판했다.[23]
1959년 1월, 고단샤에서 『작가는 행동한다』를 출판했다. 같은 해 3월, 제적원을 제출하고 공식적으로 대학원을 중퇴했다.[23]
2. 3. 문예 평론가로서의 활동 (1959~1999)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에는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되었다.[43] 20대 무렵부터 오랫동안 문예시평을 담당해 큰 영향력을 가졌다. 20대에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 『나쓰메 소세키론』을 썼고, 특히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의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그려내어 요시모토 다카아키를 비롯한 다방면의 문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4]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과 함께 기백 넘치는 신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66년 도야마 가즈유키, 다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고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주재했다. 1969년 말부터 약 9년간 마이니치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45]도쿄 공업대학 교수로 채용되었지만, 에토 준은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았으며, 나쓰메 소세키를 비평한 『나쓰메 소세키론』(1955)을 발표하여 노마 문학상과 기쿠치 간상을 수상했다. 이후 작가의 스타일은 그의 개인적인 행동과 배경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와 『작가는 행동한다』(1959)를 발표했다.[1]
1958년 에토는 젊은 좌익 작가, 예술가, 작곡가 그룹과 함께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도입한 경찰 직무법(경찰이 좌익 활동가에 대한 영장 없는 수색과 압수를 허용하는 법안)에 항의하기 위해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했다.[2] 이들은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미일 안보조약 개정 반대 안보 투쟁에 참여했다.[3]
1962년 고바야시 히데오에 대한 비평을 쓴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록펠러 재단의 초청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2년간 연수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
다른 작품으로는 가족과 일본인의 뿌리를 추적하려고 시도한 『일족 재회』(1967~1972)가 있다.
에토는 문학 비평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많은 책과 수필을 썼다. 논란이 되는 견해를 취함으로써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했지만, 조약 비준 후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과 정치와 도덕을 혼동했다고 비난했다.[4]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에토는 일본의 전통을 파괴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비판하는 수필을 발표하며 극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5] 특히 전후 일본 헌법을 일본에 부과된 외국 수입품이라고 비판했다.[6]
1970년 러일 전쟁에 관한 작품인 『바다가 되살아나다』를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1977년 8월 일본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최초의 3시간짜리 역사 드라마가 되었다.[7]
1975년 게이오기주쿠 대학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가이로코: 애가』에 대한 문학 비평으로, 소세키 자신의 연애가 줄거리에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으며, 일본의 많은 문학상 심사위원회에 참여했다.
1958년 이시하라 신타로, 오에 겐자부로, 다니가와 슌타로, 데라야마 슈지, 아사리 게이타, 나가 로쿠스케, 마유즈미 도시로, 후쿠다 요시유키 등과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하여 60년 안보에 반대했다.
1962년 록펠러 재단 연구원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 유학했다. 체류 중에 『고바야시 히데오』가 신초샤 문학상을 수상했다.
1963년 프린스턴 대학교 동양학과에서 일본 문학사를 가르쳤다.
1964년 귀국 후 애국자이자 천황 숭배자의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1967년 도야마 이치로, 다카시나 슈지와 함께 잡지 『계간 예술』을 창간(1979년까지 발행).
1971년부터 도쿄 공업대학 조교수, 후에 교수가 되었다. 『가쓰 가이슈 전집』 편찬에 참여했다.
2. 4. 죽음 (1999)
1998년 12월, 암으로 부인 게이코가 사망했다. 부인을 잃은 후 에토 준은 예전과 같은 기력을 잃었다고 알려져 있다. 부인 간병 중에 전립선염을 앓았고, 1999년 6월에는 뇌졸중을 겪었다. 같은 해 7월 자택에서 자살하기 전 마지막에는 자신을 "형해"라고 칭했다. 유서에는 "심신의 불편함은 더해지고, 병고는 견딜 수 없다. 지난 6월 10일, 뇌졸중 발작을 겪은 이후의 에토 준은 형해에 지나지 않는다. 스스로 목숨을 끊어 형해를 단절하는 이유이다. 청컨대, 여러분이여, 이를 이해해 주십시오. 헤이세이 11년 7월 21일"이라고 적혀 있었다.[29]1999년 7월 21일, 가마쿠라시 니시오몬 자택 욕실에서 면도칼을 사용하여 손목을 그어 자살하여, 향년 66세로 사망했다. 부인의 장례식 이후의 일로, 자신도 뇌졸중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평생의 연구 과제였던 『漱石とその時代|소세키와 그 시대일본어』는 몇 회를 남기고 미완으로 끝났다. 부인의 투병 생활을 적은 『妻と私|아내와 나일본어』를 남기고, 이어지는 『幼年時代|유년 시대일본어』도 미완으로 끝났다.
장례식은 신도(神式)로 치러졌다. 게이코와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상주는 여동생이 맡았으며, 이시하라 신타로 등이 조사를 읽었다.[30]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 "에토가의 묘"이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에토 준은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문예 평론가이자 작가, 사상가였다. 20대부터 문예시평을 담당하며 문단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에는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받았다.[43]
1958년에는 이시하라 신타로, 오에 겐자부로 등 젊은 작가들과 함께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하여 기시 노부스케 총리의 경찰 직무법 개정에 항의했고,[2]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미일 안보 조약 개정에 반대하는 안보 투쟁에 참여했다.[3] 그러나 조약 개정 후에는 입장을 바꾸어 이전 동료들을 비판했다.[4]
1966년에는 토야마 카즈유키, 타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코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주재했고, 1969년부터 약 9년간 마이니치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
그는 문학 비평뿐만 아니라 전후 일본 사회와 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글을 발표하며 논쟁적인 지식인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미국의 일본 점령 정책과 그 영향을 비판하며 일본의 전통과 정체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1970년에는 러일 전쟁을 다룬 『바다는 되살아난다』(海がよみがえる)를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1977년 8월 일본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최초의 3시간짜리 역사 드라마가 되었다.[7]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다.
에토 준은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 전까지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사후에도 그의 작품과 사상은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문학 비평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에는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되었다.[43] 20대부터 문예시평을 담당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 『나쓰메 소세키』 등을 저술했는데, 특히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으로 요시모토 타카아키 등 여러 문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4]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과 함께 패기 넘치는 신인으로 주목받았다. 1966년(쇼와 41년) 토야마 카즈유키, 타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코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주재했고, 1969년(쇼와 44년)부터 약 9년간 매일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도쿄공업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도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아, 나쓰메 소세키 비평인 『나쓰메 소세키론』(1955)으로 노마 문학상(野間文芸賞)과 기쿠치 간상(菊池寛賞)을 수상했다. 이후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 『작가는 행동한다』(1959) 등을 발표했다.[1]
1962년에는 고바야시 히데오 비평서인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小林秀雄論集)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 초청으로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에서 2년간 연수했다.
그 외 저서로는 가족과 일본인(日本人)의 뿌리를 추적한 『일족 재회』(一族再会)(1967~1972)가 있다.
에토는 문학 비평(文学批評)부터 전후 정치 논평(政治評論)까지 다양한 주제의 책과 수필을 집필한 다작 작가였다. 논쟁적인 견해로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꼽혔다. 미일 안보 조약 반대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나, 조약 개정 후 입장을 바꾸어 이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과 정치, 도덕을 혼동한다고 비난했다.[4]
1975년 게이오 대학(慶應義塾大学)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漱石とアーサー王伝説)이라는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가이로코: 애가』(開校:挽歌)에 대한 문학 비평으로, 소세키 자신의 연애가 줄거리에 반영되었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1991년 일본 예술원(日本芸術院) 회원이 되었다.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문학상 심사위원회에 참여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망각한 것과 망각하게 한 것』, 『닫힌 언어 공간-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그 구속-기타』 등을 통해 GHQ의 전후 일본 언론 검열과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미국의 승리 후, "SAPIO"(쇼가쿠칸)에서 걸프전 당시 미국의 검열이 일본 점령 시기 미국의 검열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8]
3. 2. 사회 비평
江藤淳일본어은 문학부터 정치 논평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활동한 작가로, 날카로운 시각과 독자적인 주장으로 문단과 논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1958년, 江藤일본어은 젊은 좌익 작가들과 '젊은 일본 사회'를 결성하여 기시 노부스케 내각의 경찰직무법 개정안에 반대했다[2]。 1959년부터 1960년까지는 미일 안보 조약 개정에 반대하는 안보 투쟁에도 참여했다[3]。
그러나 개정된 미일 안보 조약이 비준되자, 江藤일본어은 입장을 바꾸어 이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이라고 비판했다[4]。
江藤일본어은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에서 귀국 후, 일본의 전통을 파괴했다며 미국의 점령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5]。 특히 일본국 헌법을 '외국으로부터 강요된 것'이라고 비판했다[6]。
江藤일본어은 GHQ에 의한 검열과 전후민주주의를 비판하며, 『닫힌 언어 공간―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등의 저작에서 그 영향을 지적했다. 또한 미국 정부가 비밀리에 일본 약체화 계획(워 길트 인포메이션 프로그램, 약칭 WGIP)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19]。
1970년대 후반부터 『잊혀진 것과 잊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등에서 GHQ에 의한 전후 일본 언론 검열,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민주주의를 비판했다. 이후 1991년 초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미국의 완전한 승리로 끝나자, 'SAPIO'(쇼가쿠칸) 잡지에서 걸프 전쟁 중 미국의 검열을 거론하며, 일본 점령 하에 미국이 행한 검열과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8]。
일본인의 존재 방식과 국어 문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며, 『자유와 금기』(카와데 쇼보 신사)에서는 "미국을 대표하는 점령군 당국에 의해 이처럼 '존재하게' 되었으며..."라며, 일본은 실질적으로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3. 3. 안보 투쟁 참여
1958년, 에토 준은 이시하라 신타로, 오에 겐자부로, 다니가와 슌타로, 데라야마 슈지, 아사리 케이타, 나가 로쿠스케, 마유즈미 도시로, 후쿠다 요시유키 등 젊은 문화인들과 함께 '젊은 일본의 모임'을 결성하였다.[2] 이들은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도입한, 경찰이 좌익 활동가에 대한 영장 없는 수색과 압수를 허용하는 경찰 직무법에 항의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이후 에토 준과 젊은 일본의 모임은 1959년부터 1960년까지 기시 노부스케의 미일 안보조약 개정 노력에 반대하는 대규모 안보 투쟁에 참여했다.[3]3. 4. 주요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夏目漱石|나쓰메 소세키일본어 | 도쿄 라이프사 | 1956년 | 이후 고단샤, 경초서방, 각가문고, 고단샤 문고 |
奴隷の思想を排す|노예의 사상을 배척한다일본어 | 문예춘추 | 1958년 | |
作家は行動する|작가는 행동한다일본어 | 고단샤 | 1959년 | 이후 가와데쇼보신샤, 고단샤문예문고 |
海賊の歌|해적의 노래일본어 | 미스즈쇼보 | 1959년 | |
作家論|작가론일본어 | 추오공론사 | 1960년 | |
日付のある文章|날짜가 있는 글일본어 | 치쿠마쇼보 | 1960년 | |
小林秀雄|고바야시 히데오일본어 | 고단샤 | 1961년 | 이후 신판, 고단샤문고, 각가문고, 고단샤문예문고 |
西欧の影|서양의 그림자일본어 | 신초사 | 1962년 | |
文芸時評|문예시평일본어 | 신초사 | 1963년 | |
アメリカと私|미국과 나일본어 | 아사히신문사 | 1965년 | 이후 고단샤문고, 분슌문고, 고단샤문예문고 |
犬と私|개와 나일본어 | 삼월서방 | 1966년 | 복간 1999년 |
続 文芸時評|속 문예시평일본어 | 신초사 | 1967년 | |
成熟と喪失|성숙과 상실일본어 | 가와데쇼보신샤 | 1967년 | 이후 고단샤문고, 고단샤문예문고 |
崩壊からの創造|붕괴로부터의 창조일본어 | 경초서방 | 1969년 | |
表現としての政治|표현으로서의 정치일본어 | 문예춘추 | 1969년 | 〈사람과 사상〉 선집 |
考えるよろこび|생각하는 기쁨일본어 | 고단샤 | 1970년 | 이후 고단샤문고, 고단샤문예문고, 강연집 |
漱石とその時代 第一部|소세키와 그 시대 제1부일본어[31] | 신초사 | 1970년 | |
漱石とその時代 第二部|소세키와 그 시대 제2부일본어 | 신초사 | 1970년 | 각·신초선서 |
旅の話・犬の夢|여행 이야기·개의 꿈일본어 | 고단샤 | 1970년 | 이후 고단샤문예문고 |
夜の紅茶|밤의 홍차일본어 | 호쿠요사 | 1972년 | |
再訪アメリカ|미국 재방문일본어 | 문예춘추 | 1972년 | |
一族再会 第一部|일족 재회 제1부일본어 | 고단샤 | 1973년 | 이후 고단샤문예문고(개정판) |
批評家のわがままな散歩|비평가의 제멋대로인 산책일본어 | 신초사 | 1973년 | 신초선서, 강연집 |
文学と私 戦後と私|문학과 나 전후와 나일본어[32] | 신초사 | 1973년 | 신초문고, 개정 2007년 |
戦後と私・神話の克服|전후와 나·신화의 극복일본어 | 추오공론신사 | 2019년 | 추코문고(신편, 해설 히라야마 슈키치) |
海舟余波 私の独私余適|카이슈 여파 나의 독사 여적일본어 | 문예춘추 | 1974년 | 분슌문고 1984년, 고단샤문예문고(개정판) 2018년 |
決定版 夏目漱石|결정판 나쓰메 소세키일본어 | 신초사 | 1974년 | 이후 문고 개정 2006년 |
フローラ・フローラアヌと少年の物語|플로라·플로라아누와 소년의 이야기일본어 | 호쿠요사 | 1974년 | |
コモンセンス|코몬센스일본어 | 호쿠요사 | 1975년 | |
続コモンセンス|속 코몬센스일본어 | 호쿠요사 | 1975년 | |
漱石とアーサー王伝説|소세키와 아더왕 전설일본어 | 도쿄대학출판회 | 1975년 | 박사논문, 고단샤학술문고 1991년 |
海は甦える|바다는 되살아난다일본어 | 문예춘추 | 1976년-1983년 | 전5권, 후에 문고 |
続々コモンセンス|속속 코몬센스일본어 | 호쿠요사 | 1976년 | |
再びコモンセンス|다시 코몬센스일본어 | 호쿠요사 | 1977년 | |
再々コモンセンス|재재 코몬센스일본어 | 호쿠요사 | 1978년 | |
新編コモンセンス抄|신편 코몬센스 초일본어 | PHP연구소 | 1990년 | 발췌판 |
なつかしい本の物語|그리운 책 이야기일본어 | 신초사 | 1978년 | 치쿠마문고, 2024년 |
歴史のうしろ姿|역사의 뒷모습일본어 | 일본서적 | 1979년 | 〈현대의 수상〉 선집 |
忘れたことと忘れさせられたこと|잊은 것과 잊게 된 것일본어 | 문예춘추 | 1979년 | 분슌문고(신편) 1996년 |
子犬のいる部屋|강아지가 있는 방일본어 | 고단샤 | 1979년 | |
パンダ印の煙草|판다 인쇄의 담배일본어 | 호쿠요사 | 1980년 | |
一九四六年憲法―その拘束|1946년 헌법―그 속박일본어 | 문예춘추 | 1980년 | 분슌가게이라이브러리(재정) 2015년 |
一九四六年憲法―その拘束 その他|1946년 헌법―그 속박 기타일본어 | 문예춘추 | 1995년 | 분슌문고(신편) |
落葉の掃き寄せ―敗戦・占領・検閲と文学|낙엽의 쓸어 모으기―패전·점령·검열과 문학일본어 | 문예춘추 | 1981년 | |
落葉の掃き寄せ 一九四六年憲法-その拘束|낙엽의 쓸어 모으기 1946년 헌법-그 속박일본어 | 문예춘추 | 1988년 | |
ワシントン風の便り|워싱턴 풍의 편지일본어 | 고단샤 | 1981년 | |
ポケットのなかのポケット|주머니 속의 주머니일본어 | 고단샤 | 1982년 | |
去る者と来る影|떠나는 사람 오는 그림자일본어 | 보쿠요샤 | 1982년 | 신장판 1986년 |
三匹の犬たち|세 마리의 개들일본어 | 가와데쇼보신샤 | 1983년 | 가와데문고, 신편 개제妻と私と三匹の犬たち|아내와 나와 세 마리의 개들일본어 1999년 |
理と義と|리와 의와일본어 | TBS브리타니카 | 1983년 | 한큐커뮤니케이션즈, 1999년, 강연집 |
自由と禁忌|자유와 금기일본어 | 가와데쇼보신샤 | 1984년 | 후에 문고 |
西御門雑記|니시오몬 잡기일본어 | 문예춘추 | 1984년 | |
大空、小空 西御門雑記 2|큰 하늘, 작은 하늘 니시오몬 잡기 2일본어 | 문예춘추 | 1985년 | |
近代以前|근대 이전일본어 | 문예춘추 | 1985년 | 분슌가게이라이브러리, 2013년 |
女性の記号学|여성의 기호학일본어 | 각가서점 | 1985년 | 후에 문고 |
日米戦争は終っていない|일미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일본어 | 분슌네스코 | 1986년 | 신판 1987년, 전자는 신서판 |
昭和の宰相たち|쇼와의 재상들일본어 | 문예춘추 | 1987년-1990년 | 전4권 |
同時代への視線|동시대에의 시선일본어 | PHP연구소 | 1987년 | 대담집(일부) |
批評と私|비평과 나일본어 | 신초사 | 1987년 | |
リアリズムの源流|리얼리즘의 원류일본어 | 가와데쇼보신샤 | 1989년 | |
昭和の文人|쇼와의 문인일본어 | 신초사 | 1989년 | 후에 문고 |
天皇とその時代|천황과 그 시대일본어 | PHP연구소 | 1989년 | 분슌가게이라이브러리(신편), 2019년 |
閉された言語空間 占領軍の検閲と戦後日本|닫힌 언어 공간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일본어[33] | 문예춘추 | 1989년 | 분슌문고, 1994년 |
全文芸時評|전문예시평일본어(상·하) | 신초사 | 1989년 | 상권 쇼와 33년 - 46년/하권 쇼와 47년 - 53년 |
日本よ、どこへ行くのか|일본아, 어디로 가는가일본어 | 문예춘추 | 1991년 | |
漱石論集|소세키론집일본어 | 신초사 | 1992년 | |
言葉と沈黙|말과 침묵일본어 | 문예춘추 | 1992년 | |
大きな空白の時代|큰 공백의 시대일본어 | PHP연구소 | 1993년 | |
漱石とその時代 第三部|소세키와 그 시대 제3부일본어 | 신초사 | 1993년 | 신초선서 |
腰折れの話|허리 부러진 이야기일본어 | 각가서점 | 1994년 | |
日本よ、滅びるのか|일본아, 망하는가일본어 | 문예춘추 | 1994년 | |
人と心と言葉|사람과 마음과 말일본어 | 문예춘추 | 1995년 | |
渚ホテルでの朝食|나기사 호텔의 아침식사일본어 | 문예춘추 | 1996년 | |
荷風散策―紅茶の後日談|카후 산책―홍차의 후일담일본어 | 신초사 | 1996년 | 후에 문고 |
漱石とその時代 第四部|소세키와 그 시대 제4부일본어 | 신초사 | 1996년 | 신초선서 |
保守とは何だろうか|보수란 무엇인가일본어 | 문예춘추 | 1996년 | |
国家とは何だろうか|국가란 무엇인가일본어 | 문예춘추 | 1997년 | |
月に一度|한 달에 한 번일본어 | 산케이신문사 | 1998년 | 증보판 1999년 |
小沢君、水沢へ帰りたまえ|오자와 군, 미즈사와로 돌아가시오일본어 | 산케이신문출판 | 2010년 | 발췌판, 해설 야마야마 타로 |
南洲残影|난슈잔영일본어 | 문예춘추 | 1998년 | 후에 문고 |
完本 南洲残影|완본 난슈잔영일본어 | 문예춘추 | 2016년 | 분슌가게이라이브러리 |
南洲拾遺 他|난슈수상 기타일본어 | 문예춘추 | 1998년 | 수상은 「제1부」로 「완본」에 재록 |
妻と私|아내와 나일본어 | 문예춘추 | 1999년 | 후에 妻と私・幼年時代|아내와 나·유년 시대일본어 문고, 분슌가게이라이브러리 |
幼年時代|유년 시대일본어 | 문예춘추 | 1999년 | |
漱石とその時代 第五部|소세키와 그 시대 제5부일본어 | 신초사 | 1999년 | 신초선서, 미완성작, 해설 오케야 히데아키 |
石原慎太郎論|이시하라 신타로론일본어 | 사쿠힌샤 | 2004년 | |
石原慎太郎・大江健三郎|이시하라 신타로·오에 겐자부로일본어 | 추오공론신사 | 2021년 5월 | 추코문고, 해설 히라야마 슈키치 |
小林秀雄の眼|고바야시 히데오의 눈일본어[34] | 추오공론신사 | 2021년 2월 | 해설 히라야마 슈키치 |
幸福への対話 第2 新しい女性|행복으로의 대화 제2 새로운 여성일본어 | 유게이샤 | 1969년 | 안다쓰 히토미와 대담 |
明治の群像 海に火輪を|메이지의 군상 바다에 불꽃을일본어 | 신초사 | 1976년-1977년 | 1·2 |
夏目漱石 朝日小事典|나쓰메 소세키 아사히 소사전일본어 | 아사히 신문사 | 1977년 | |
日本の名著 32 勝海舟|일본의 명저 32 가쓰 가이슈일본어 | 추오공론사 | 1978년[35] | 신판 1984년 |
もう一つの戦後史|또 하나의 전후사일본어[36] | 고단샤 | 1978년 | |
占領史録|점령사록일본어[37] | 고단샤 | 1980년-1981년 | 각·전4권, 고단샤 학술문고, 1989년, 문고 신판(상하), 1995년, 해제 하타노 스미오 |
終戦工作の記録|종전 작업의 기록일본어 | 고단샤 | 1986년 | 감수, 쿠리하라 켄·하타노 스미오 편, 고단샤 문고(상하) |
靖国論集 日本の鎮魂の伝統のために|야스쿠니 논집 일본의 진혼의 전통을 위해일본어[38] | 일본교문사 | 1986년 | 코보리 케이이치로와 공편, 〈교문선서〉, 근대출판사(개정판) 2004년 |
日本は世界を知っているか 転換期の知恵|일본은 세계를 알고 있는가 전환기의 지혜일본어 | 사이마루 출판회 | 1988년 | 나가타 쇼이치와 대담 |
日本の名随筆 76 犬|일본의 명수필 76 개일본어 | 작품사 | 1989년 | |
断固として「NO」と言える日本 戦後日米関係の総括|단호히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 전후 미일 관계의 총괄일본어 | 광문사 | 1991년 | 이시하라 신타로와 공저, 카파 홈즈 |
日米安保で本当に日本を守れるか|일미 안보로 정말 일본을 지킬 수 있는가일본어 | PHP연구소 | 1996년 |
4. 사상 및 평가
에토 준은 문학,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작가이자 평론가였다. 그의 사상과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문학 비평과 전후 정치 논평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논쟁적인 견해로 주목받았다.[4]
- 초기 입장 변화: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조약 개정 후 입장을 바꿔 과거 동료들을 비판했다.[4]
- 정치적 입장 변화: 1960년대 중반 이후 극우 성향으로 변화하며 미국 점령 정책과 전후 일본 헌법을 강하게 비판했다.[5][6]
- 가족과 일본인의 뿌리 탐구: 『일족 재회』(1967~1972)를 통해 가족사와 일본인의 기원을 탐구했다.
- 역사 드라마: 1970년 러일 전쟁을 배경으로 한 『바다가 되살아나다』를 완성, 1977년 TV 드라마로 제작되었다.[7]
- 수상 경력: 노마 문학상, 기쿠치 간상(1955년, 『나쓰메 소세키론』), 시치쇼샤 문학상(1962년,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 일본 예술원상(1975년) 등을 수상했다.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 1994년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다.
- GHQ 비판: 1970년대 후반부터 GHQ의 검열과 전후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저술을 발표했다.
- 일본의 정체성 문제: 일본이 실질적인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미국 정부의 일본 약체화 계획(워 길트 인포메이션 프로그램)을 비판했다.[19]
- 주요 저작:
- 『에토 준 저작집』 (전6권, 고단샤, 1967년)
- 『속 에토 준 저작집』 (전5권, 고단샤, 1973년)
- 『신편 에토 준 문학집성』 (전5권, 카와데쇼보 신샤, 1984년-1985년)
- 『에토 준 컬렉션』 (후쿠다 카즈야 편, 전4권, 치쿠마 가쿠게이 붕코, 2001년)
- 『[https://voiceofghost.com/archives/category/%e6%b1%9f%e8%97%a4%e6%b7%b3%e5%85%a8%e9%9b%86 에토 준 전집]』 (히라야마 슈키치 책임편집, [https://voiceofghost.com/archives/720 boid /VOICE OF GHOST](전자책, 약 30권 예정), 2022년 7월부터, 아마존 킨들판)
4. 1. 문학적 관점
에토 준은 도쿄공업대학 교수로 채용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았으며, 나쓰메 소세키를 비평한 첫 작품인 『나쓰메 소세키론』(1955)을 발표하여 노마 문학상과 기쿠치 간상을 수상했다. 이후 작가의 스타일은 그의 개인적인 행동과 배경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와 『작가는 행동한다』(1959)를 발표했다.[1] 1962년에는 고바야시 히데오에 대한 비평을 담은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小林秀雄論集)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다.다작 작가였던 에토 준의 책과 수필은 문학 비평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 논란이 되는 견해를 취함으로써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4]
특히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돌아온 후 일련의 수필을 발표하면서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매우 비판했다.[5] 특히 개정이 필요하지 않다면 대체되어야 할 일본에 부과된 외국 수입품이라고 주장한 전후 일본 헌법을 비판했다.[6]
1975년, 게이오 대학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가이로코: 애가』에 대한 문학 비평으로, 소세키 자신의 연애가 줄거리에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대표작 『성숙과 상실』은 제3의 신인의 작품을 소재로 문학에서의 모성에 대해 논했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거대한 미국 사회와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가라는 주제에 평생 동안 몰두하여, 전후 일본에서의 서구 모방의 근대화를 다른 언론인들보다 먼저 날카롭게 비판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잊혀진 것과 잊혀지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 기타』 등에서 GHQ에 의한 전후 일본 언론에 대한 검열,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 민주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4. 2. 사회적 관점
에토 준은 매우 다작하는 작가였으며, 그의 책과 수필은 문학 비평(文学批評)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政治評論)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논란이 되는 견해를 취함으로써 그는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4] 그는 처음에는 미일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같은 생각을 가진 작가와 지식인들과 함께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했지만, 개정된 조약이 비준된 후에는 자신의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과 정치와 도덕을 혼동했다고 비난했다.[4]1958년, 에토는 젊은 좌익 작가, 예술가, 작곡가 그룹에 합류하여 보수적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 총리가 도입한 가혹한 경찰 직무법(경찰이 좌익 활동가에 대한 영장 없는 수색과 압수를 허용하는 법안)에 항의하기 위해 "젊은 일본 사회"(若き日本の会)를 결성했다.[2] 에토와 젊은 일본 사회는 이후 1959년부터 1960년까지 기시의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노력에 반대하는 대규모 안보 투쟁(安保闘争)에 참여했다.[3]
에토는 특히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일련의 수필을 발표하면서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우(極右)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매우 비판했다.[5] 그는 특히 개정이 필요하지 않다면 대체되어야 할 일본에 부과된 외국 수입품이라고 주장한 전후 일본 헌법(日本国憲法)을 특히 비판했다.[6]
1970년대 후반부터의 『잊혀진 것과 잊혀지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 기타』 등에서 GHQ에 의한 전후 일본 언론의 검열,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 민주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이후 1991년 초 걸프전이 발발하여 미국의 전면 승리로 종결되자, 『SAPIO』(쇼가쿠칸) 지상에서 걸프전 중 미국의 검열을 거론하며, 그것이 일본 점령 하에 미국이 행한 검열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했다.[18]
일본인의 존재 방식이나 국어 문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했으며, 『자유와 금기』(카와데쇼보 신샤)에서는 "미국을 대표하는 점령군 당국에 의해 이처럼 '존재하게 된' 것이며..."라며 일본은 실질적으로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 정부가 극비리에 일본 약체화 계획(「워 길트 인포메이션 프로그램(WGIP)」)을 추진하고 있었다고[19] 계속 주장했다 (에토는 역사가의 입장에서 발언하는 것은 아니다. 에토 외에도 「WGIP」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20][21]).
5. 논란
에토 준은 문학 비평을 하면서 논란이 되는 견해를 보여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미일 안보 조약에 반대하며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하기도 했으나, 조약 개정 후에는 입장을 바꿔 이전 동료들을 비판했다.[4]
5. 1. 역사 인식 관련 논란
에토 준은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발표한 일련의 수필을 통해 정치적으로 극우(極右)적인 모습을 보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미국 점령 정책이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비판했다.[5] 특히 전후 일본 헌법(日本国憲法)을 개정이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대체되어야 할 외국 수입품이라고 주장했다.[6]5. 2. 정치적 입장 관련 논란
에토 준은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발표한 수필들을 통해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우(極右)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일으켰다.[5] 그는 미국 점령 정책이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비판했다.[5] 특히 전후 일본 헌법(日本国憲法)을 일본에 부과된 외국 수입품이라고 주장하며, 개정이 필요하지 않다면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그는 처음에는 미일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고,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하여 활동했지만, 개정된 조약이 비준된 후에는 자신의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지적 파산"과 정치와 도덕을 혼동했다고 비난했다.[4]
6. 영향
에토 준은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받았다.[43] 20대부터 오랫동안 문예시평을 담당하며 큰 영향력을 가졌다.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의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그려내어 요시모토 다카아키 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4]
1966년 도야마 가즈유키, 다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고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 주재했고, 1969년부터 약 9년간 마이니치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
1958년, 젊은 좌익 작가, 예술가 등과 "젊은 일본 사회"를 결성, 기시 노부스케 총리의 경찰 직무법에 항의했다.[2] 1959년부터 미일 안보조약 개정에 반대하는 안보 투쟁에 참여했다.[3]
가족과 일본인의 뿌리를 추적한 『일족 재회』(1967~1972)를 썼다. 문학 비평에서 정치 평론까지 다양한 저술을 남겼으며,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에 대한 입장 변화, 미국 점령 정책과 일본 헌법 비판[6]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잊혀진 것과 잊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등에서 GHQ의 언론 검열과 전후민주주의를 비판했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미국의 검열을 일본 점령 시기 미국의 검열과 비교하며 비판했다.[18]
일본인론과 국어국자문제에 대해 발언하며, 『자유와 금기』에서 일본이 실질적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미국 정부의 일본 약화 계획(워 기ल्ट 인포메이션 프로그램)을 비판했다.[19] (다른 주장도 있다.[20][21])
메이지 국가를 이상으로 하는 보수파 논객으로, 미시마 유키오 등의 자결과 국사의 계보를 논했다.[17] 에도성 무혈 개성의 가쓰 가이슈를 이상적 통치자로 평가, 『가쓰 가이슈 전집』 편찬에 참여했다. 『바다는 되살아난다』를 통해 일본 제국 해군 창립 과정을 그렸다.
6. 1. 문학계에 미친 영향
에토 준은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받았다.[43] 20대부터 오랫동안 문예시평을 담당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20대에 쓴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의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그려내 요시모토 다카아키 등 다양한 문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44]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과 함께 주목받는 신인으로 떠올랐다.1960년대 초부터 문단과 논단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45] 1966년에는 도야마 카즈유키, 다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고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하고 주재했다. 1969년 말부터 약 9년간 마이니치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
도쿄공업대학 교수로 채용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았다. 저명한 일본 작가 나쓰메 소세키를 비평한 첫 작품인 『나쓰메 소세키론』(1955)을 발표하여 노마 문학상과 기쿠치 간상을 수상했다. 이후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와 『작가는 행동한다』(1959)를 발표했다.[1]
1962년, 고바야시 히데오에 대한 비평서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직후 록펠러 재단의 초청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2년간 연수했다.
그는 문학 비평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책과 수필을 발표했다. 논란이 되는 견해를 취함으로써 인쇄 매체와 텔레비전에서 가장 저명한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젊은 일본 사회"를 설립했지만, 개정된 조약이 비준된 후에는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비난했다.[4]
특히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일련의 수필을 발표하면서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매우 비판했다.[5] 특히 전후 일본 헌법을 비판했다.[6]
1970년, 러일 전쟁에 관한 작품인 『바다가 되살아나다』를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1977년 8월 일본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최초의 3시간짜리 역사 드라마가 되었다.[7]
1975년, 게이오 대학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으며, 일본의 많은 문학상 심사위원회에 참여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잊혀진 것과 잊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등을 통해 GHQ의 전후 일본 언론 검열과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1991년 초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미국의 승리로 끝나자, SAPIO 잡지에서 걸프 전쟁 중 미국의 검열을 거론하며, 일본 점령 당시 미국의 검열과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8]
일본인의 존재 방식과 국어 문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했으며, 『자유와 금기』에서는 일본이 실질적으로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 정부가 극비리에 일본 약화 계획(워 기ल्ट 인포메이션 프로그램, 약칭 WGIP)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19]
6. 2. 사회에 미친 영향
전후 일본의 저명한 문예 평론가로, 고바야시 히데오 사후 문예 비평의 1인자로 평가받았다.[43] 20대부터 오랫동안 문예시평을 담당하여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20대에 쓴 『노예의 사상을 배제한다』는 일본의 근대적 자아에 대한 비판을 그려내 요시모토 타카아키를 비롯한 다방면의 문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44] 오에 겐자부로, 시바 료타로 등과 함께 주목받는 신인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1966년에는 토야마 카즈유키, 타카시나 슈지, 후루야마 코마오와 함께 “계간 예술”을 창간·주재했고, 1969년 말부터 약 9년간 매일 신문의 문예 시평을 담당했다.
도쿄공업대학 교수로 채용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문학에 쏟았으며, 나쓰메 소세키를 비평한 첫 작품인 『나쓰메 소세키론』(1955)을 발표하여 노마 문학상과 기쿠치 간상을 수상했다. 이후 『노예의 사상을 배격하다』(1958)와 『작가는 행동한다』(1959)를 발표했다.[1]
1958년, 젊은 좌익 작가, 예술가, 작곡가 그룹과 함께 "젊은 일본 사회"를 결성하여 보수적인 기시 노부스케 총리가 도입한 가혹한 경찰 직무법에 항의했다.[2] 이들은 1959년부터 1960년까지 기시의 미일 안보조약 개정 노력에 반대하는 대규모 안보 투쟁에 참여했다.[3]
1962년, 고바야시 히데오에 대한 비평인 『고바야시 히데오 론슈』를 출판하여 시치쇼샤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직후 록펠러 재단의 초청으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2년간 연수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
그의 책과 수필은 문학 비평에서부터 전후 정치 논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그는 미일 상호 협력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지만, 개정된 조약이 비준된 후에는 입장을 바꾸어 전 동료들을 비난하기도 했다.[4]
특히 1960년대 중반 프린스턴에서 돌아온 후 일련의 수필을 발표하면서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일본의 전통을 파괴하거나 전복했다고 생각한 미국 점령 정책을 매우 비판했다.[5] 특히 일본 헌법을 비판했다.[6]
1970년, 러일 전쟁에 관한 작품인 『바다가 되살아나다』를 완성했는데, 이 작품은 1977년 8월 일본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최초의 3시간짜리 역사 드라마가 되었다.[7]
1975년, 게이오 대학에 "소세키와 아서왕 전설"이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1991년 일본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4년부터 일본 작가 협회 명예 회장을 역임했으며, 일본의 많은 문학상 심사위원회에 참여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잊혀진 것과 잊게 된 것』, 『닫힌 언어 공간 - 점령군의 검열과 전후 일본』, 『1946년 헌법 - 그 구속』 등에서 GHQ에 의한 전후 일본 언론 검열, GHQ의 속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전후민주주의를 비판했다. 1991년 초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미국의 승리로 끝나자, "SAPIO"에서 걸프 전쟁 중 미국의 검열을 거론하며, 그것이 일본 점령 하에 미국이 행한 검열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8]
일본인의 자세나 국어 문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했으며, 『자유와 금기』에서는 일본은 실질적으로 독립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 정부가 비밀리에 일본 약화 계획(「워 기ल्ट 인포메이션 프로그램」, 약칭 WGIP)을 추진했다고[19] 주장했다. (다른 주장도 있다.[20][21])
참조
[1]
서적
The Columbia Anthology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From 1945 to the Pres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Inherited Responsibility and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East Asia.
Routledge
[5]
서적
The Korean war: handbook of the literature and research.
Greenwood Publishing Group
[6]
서적
A Pacifist Constitution for an Armed Empire. Past and Present of Japanese Security and Defense Policies
FrancoAngeli
[7]
서적
Military Intervention in Pre-War Japanese Politics: Admiral Kato Kanji and the 'Washington System'
Routledge
[8]
기타
[9]
서적
江藤淳と大江健三郎
[10]
뉴스
忘れがたき文士たち
日本経済新聞
2010-12-12
[11]
서적
吉本隆明・江藤淳 日本文学硏究資料刊行会
有精堂出版
1980-00-00
[12]
서적
江藤淳1960 中央公論特別編集
中央公論新社
2011-00-00
[13]
뉴스
朝日新聞記事
朝日新聞東京本社
1976-04-06
[14]
웹사이트
三島由紀夫:米滞在の江藤淳に書簡ノーベル賞も意識?
http://www.asyura2.c[...]
[15]
서적
江藤淳コレクション〈1〉「史論」
ちくま学芸文庫
1999-00-00
[16]
간행물
諸君!
文藝春秋
1971-07-00 # 昭和46年7月号
[17]
서적
南州残影
文藝春秋
2020-05-00
[18]
서적
断固「No」と言える日本 戦後日米関係の総括
光文社
1991-00-00
[19]
서적
閉された言語空間
文藝春秋
1989-00-00
[20]
뉴스
【月刊正論】これが戦後の元凶だ! 米占領軍の日本洗脳工作「WGIP」文書、ついに発掘 (2/6)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4-08
[21]
뉴스
【月刊正論】これが戦後の元凶だ! 米占領軍の日本洗脳工作「WGIP」文書、ついに発掘 (3/6)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4-13
[22]
서적
新潮日本文学〈62〉石原慎太郎集
[23]
서적
〈落第〉この青春の予期せぬバカンス
[24]
뉴스
有吉氏らが委員に 新中教審の18氏決る
朝日新聞
1972-05-30
[25]
서적
追憶の作家たち
[26]
서적
追憶の作家たち
[27]
서적
追憶の作家たち
[28]
서적
だいたいで、いいじゃない。
文藝春秋
[29]
서적
江藤淳記
晶文社
2023-09-20
[30]
서적
弔辞 劇的な人生を送る言葉
文春新書
[31]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 2 夏目漱石
新潮社
1983
[32]
서적
作家の自伝 江藤淳 アメリカと私/戦後と私
日本図書センター
1998
[33]
서적
CLOSED LINGUISTIC SPACE
出版文化産業振興財団
2020
[34]
간행물
現代日本文学館 月報
文藝春秋
1966-1969
[35]
서적
氷川清話、海舟語録
講談社
[36]
인터뷰집
종전 관련 인터뷰집
외무성
1977-1978
[37]
서적
天皇がバイブルを読んだ日
講談社
1982
[38]
서적
同時代への視線
PHP研究所
1987
[39]
서적
[40]
서적
文士たちのアメリカ留学
書籍工房早山
2019
[41]
간행물
(제목 없음)
文藝春秋
[42]
서적
(제목 없음)
[43]
뉴스
忘れがたき文士たち
日本経済新聞
2010-12-12
[44]
서적
吉本隆明・江藤淳
日本文学硏究資料刊行会
1980-01-01 # 년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음
[45]
서적
江藤淳1960 中央公論特別編集
中央公論新社
2011-01-01 # 년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