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레판티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레판티네 섬은 나일강 최상류 아스완 지역에 위치한 섬으로, 고대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국경 역할을 했다. 섬의 이름은 코끼리를 뜻하는 이집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요새, 석재 채석장, 상아 거래소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으며, 아람어 파피루스인 엘레판티네 문서를 통해 유대인과 이집트인 간의 상호 작용을 엿볼 수 있다. 주요 유적으로는 사테트와 크눔 신전, 나일 측정기, 쿠벳 엘 하와, 성 시메온 수도원 등이 있으며, 현재는 아스완 박물관, 누비아인 마을, 호텔 등이 위치해 있다.

2. 지리

엘레판티네섬은 나일강 상류, 아스완의 일부에 위치한 섬으로, 이집트 북부 지역의 첫 번째 노모스(행정 구역)였다.[4] 남북으로 1,600m, 가장 넓은 곳은 450m에 달한다.[7] 섬의 모양은 코끼리 엄니와 유사하며, 강가의 둥근 바위들이 코끼리를 닮았다는 설도 있다.[8]

제1 폭포 바로 아래, 상 이집트의 남쪽 경계인 하 누비아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국경 역할을 했다.[4]

나일강의 중주(中洲)가 되는 섬으로,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긴 섬이며, Cataracts of the Nile|나일강 제1 급류영어(카타락트)의 종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2. 1. 주변 지역

섬 서쪽에는 섬 전체가 식물원인 나바타트 섬(키치너 섬)이 있다. 남쪽에는 무수한 작은 섬과 암초가 흩어져 있으며, 동쪽 강 건너편에는 아스완의 중심 시가지가 있다. 아스완은 원래 엘레판티네 섬에 종속된 취락이었지만, 현재는 도시화가 진행되어 엘레판티네 섬을 행정 구역 중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3. 역사

엘레판티네섬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의 이집트 구왕국 시대부터 섬에는 마을이 존재했다. 파라오 시대 섬의 옛 이름은 아부[37][38](''Abu''[39], ''Abw'', ''Abou'', ''Yebu'', ''Yeb'')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이집트어로 "코끼리" 또는 "상아"를 의미한다. 엘레판티네섬은 멀리 남쪽의 사헬 지방에서 생산되는 상아의 거래소로서 중요한 장소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설에 따르면, 섬은 코끼리로부터 몸을 지키는 장소였고, 그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엘레파스(ελέφας)가 고대 섬의 이름이었다고 한다.

영어권이나 프랑스어권 등에서 널리 통용되는 “Elephantine영어”의 명칭은, 고대 이집트어로 코끼리, 상아를 의미하는 "아부"를 고대 그리스어로 의역한 “Ελεφαντίνηel”에서 유래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엘레판티네섬은 나일강을 넘어 동쪽으로 확장되었으며, 이 동쪽 도시는 후에 슈에네(아스완의 옛 이름)가 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 시대에는 엘레판티네 섬과 동쪽 기슭 슈에네를 합한 도시는 더욱 발전했다. 이 무렵, 섬의 남쪽 기슭에 이시스를 모시는 신전이 세워졌는데, 유명한 엘레판티네 섬의 나일 측정기는 이 신전의 것이다. 엘레판티네 섬의 나일강 측정기는 잘 알려져 있지만, 당시 나일강에 면한 이집트의 신전은 어디든 하나는 나일강 측정기를 갖추고 있었다.[40]

20세기 초 엘레판티네 섬에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고대 페르시아 통치 시기(제31왕조)의 아람어 파피루스가 대량으로 발견되었다(엘레판티네 문서). 이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까지 엘레판티네 섬에는 유대인 식민지가 있었으며, 크눔 신전 근처에 YHWH를 모시는 큰 신전이 있었다.[41]

독일 고고학 연구소는 이 섬에서 지속적인 발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섬에 있는 아스완 박물관에 전시된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미라화된 크눔의 숫양도 포함된다. 선사 이집트 시대의 유물도 엘레판티네섬에서 발견되었다. 투트모세 3세제18왕조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희귀한 달력인 '엘레판티네 사물의 달력'이 섬에서 조각난 채로 발견되었다.

3.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엘레판티네섬은 ꜣbw "코끼리"로 알려졌으며,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국경에 위치했다.[4] 이곳은 상아와 같은 귀중품을 운송하는 무역로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요새를 세우기에 좋은 방어 지점이자, 강을 통한 무역의 자연스러운 화물 이전 지점 역할을 했다.[4] 제2중간기 (기원전 1650–1550년) 동안 이 요새는 이집트의 남쪽 경계를 표시했다.[9] 또한 이 섬은 이집트 전역의 기념물과 건물에 화강암을 제공하는 중요한 석재 채석장이었다.

고왕국 시대 이집트에서 엘레판티네 섬은 "남쪽으로 가는 문"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39] "이집트"라는 국가 또는 지역의 남쪽 경계로 여겨졌다.[39] 섬 남부에는 기원전 4000년부터 스운트(Sount)라는 성이 건설되었다. 고대 왕국은 이 도시를 세관 및 남쪽 나라와의 교역 장소로 이용했다. 제6왕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사테트 신을 모신 성소를 비롯하여, 지방 장관 거주지, 창고 구역 등이 흙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섬에서는 소규모의 계단식 피라미드였을 가능성이 있는 채석장 유구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스네프루에 의해 시작된 제4왕조의 기념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엘레판티네 섬의 사테트 여신 신전에 있던 파라오의 부조. 루브르 박물관 소장.


제11왕조제12왕조의 부조를 통해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도 기념물이 세워졌음이 밝혀졌다. 제12왕조의 창시자인 아멘엠하트 1세의 어머니가 엘레판티네가 속한 이집트의 노메인 Ta-Seti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으며,[10][11][12][13] 많은 학자들은 아멘엠하트 1세의 어머니가 누비아 출신이라고 주장한다.[14][15][16][17][18][19][20][21] 이집트가 누비아를 속령으로 삼았던 중왕국 시대에는 누비아 지배를 위한 행정청이 엘레판티네 섬에 설치되었다.[39]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도 엘레판티네 섬에는 수많은 신전이 세워졌다. 크눔에게 바쳐진 신전 주위에는 하트셉수트투트모세 3세 시대에 세워진 아누케트 신전과,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 세워진 상업 시설이 배치되었다.[39] 네크타네보 2세는 나일강의 수원지를 지키는 신이자 급류의 주신인 크눔 신전을 수리했으며, 크눔의 종신인 아누케트와 사테트의 신전 또한 수리했다.

투트모세 3세아멘호테프 3세의 신전은 19세기까지 볼 수 있었지만, 근대 이집트의 산업화 필요성으로 인해 완전히 철거되었다.

3. 2. 유대인 공동체

기원전 7세기경부터 유다 왕국의 용병과 그 가족들이 엘레판티네에 거주했다.[30][31] 이들은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국경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30][31] 기원전 587년 예루살렘 멸망 이후, 일부 유대인 난민들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엘레판티네에 정착했다. 이를 "반대 탈출기"라고 부르기도 한다.[32]

이들은 크눔 신전과 함께 운영된 자체적인 신전 (야훼의 집)을 건설하고, 가나안 종교다신교적 신앙을 유지하며 제물을 바쳤다.[32] 유대인 공동체가 언제, 왜 엘레판티네에 정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6] 이 신전은 므낫세가 이교 숭배를 부활시킨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지어졌거나, 단순히 유대인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어졌을 수 있다.[28]

엘레판티네 섬에서 일어난 유대인과 이집트인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지만, 연구 결과는 종종 문화 교류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6] 갈등은 이집트의 보석이 유대인의 손에 들어가면서 시작되었다.[33]

유대교 사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525년이다.[34] 기원전 410년, 유대교 사원인 야훼의 집은 크눔 사제들에게 뇌물을 받은 페르시아 군 지휘관에 의해 파괴되었다.[4][24][8] 이 공격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사제들이 특히 유월절 기간 동안 양을 희생하는 유대교 의식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8] 이 시기에 수집된 파피루스 기록은 유대인들이 사원 재건을 돕도록 바고아스에게 편지를 보낸 것을 보여준다.[8]

3. 3. 고고학적 발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엘레판티네섬에서는 유대인의 업적을 담은 아람어 파피루스가 발견되어 수집되었다. 독일의 대규모 발굴 작업을 통해 방대한 양의 파피루스와 오스트라카가 발견되었다.[22] 프랑스 팀도 엘레판티네섬에서 수백 점의 오스트라카를 발견했지만, 현재까지 거의 출판되지 않았다.[22][7] 이 시기 주요 발견물은 베를린, 브루클린, 카이로, 런던, 뮌헨, 파리의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24]

독일 고고학 연구소는 이 섬에서 지속적인 발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섬에 있는 아스완 박물관에 전시된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미라화된 크눔의 숫양도 포함된다. 선사 이집트 시대의 유물도 엘레판티네섬에서 발견되었다. 투트모세 3세제18왕조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희귀한 달력인 '엘레판티네 사물의 달력'이 섬에서 조각난 채로 발견되었다.

엘레판티네 파피루스 및 오스트라카는 기원전 5세기에 작성된 제국 아람어로 된 법률 문서와 서신의 보관소이다.[28][29] 이 파피루스는 기원전 7세기부터 엘레판티네에 주둔한 유다 왕국의 용병과 그 가족의 존재를 기록하고 있다. 이 용병들은 이집트와 누비아 사이의 국경을 지켰다.[30][31] 기원전 587년 예루살렘 멸망 이후, 일부 유대인 난민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엘레판티네에 정착했다. 그들은 크눔 신전과 함께 운영된 가나안 종교다신교적 신념을 보여주는 자체적인 신전 (야훼의 집)을 유지하며, 그곳에서 제물을 바쳤다.[32] 유대인 공동체가 언제, 왜 엘레판티네에 정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6]

4. 주요 유적

엘레판티네 섬에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이집트 중왕국 시대까지 지방 장관이었던 노마르케스의 묘가 섬 동쪽 강 건너편 둑 경사면에 만들어졌다. 이 묘소는 "쿠벳 엘 하와[42]"라고 불리며 발굴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노마르케스의 묘소는 동굴 내에 있는 지하 분묘이다. 이집트 제6왕조의 메크와 사브니의 이중 묘처럼 기둥이나 지주로 지탱되는 매우 넓은 방도 있다. 이집트 제12왕조의 사렌푸트 1세의 묘도 넓다. 묘에는 번호가 붙어 있으며, 사렌푸트 1세의 묘, 페피나크트 헤카이브의 묘, 사렌푸트 2세의 묘 등이 있다. 나일강 둑에서 쿠벳 엘 하와를 향해 부조로 장식된 참도가 만들어져 있으며, 야간에는 아스완 마을에서 볼 수 있도록 조명이 비춰진다.

쿠벳 엘 하와의 서쪽, 나일강에서 2킬로미터 떨어진 작은 언덕에는 성 시메온 수도원이 있다. 이 수도원은 이집트가 기독교화된 시대의 중요한 유적 중 하나로, 8세기에 세워진 이집트에서 가장 큰 수도원 중 하나였다. 높이 6-7미터의 벽으로 둘러싸여 요새화되어 있으며, 벽 안에는 3단의 테라스 형태의 부지가 있다. 최하단 테라스에는 3개의 네프를 가진 교회가 있다. 수도원은 12세기에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엘레판티네 섬의 유적

4. 1. 신전



섬의 주요 신전 두 곳은 사테트와 크눔을 위한 것이었다.[7] 기원전 3000년경에 세워진 사테트 신전은 이후 3,000년 동안 확장 및 개축되었다. 이집트 제3왕조부터 크눔에게 바쳐진 이집트 신전에 대한 기록이 섬에 남아있다. 이 신전은 이집트 제30왕조 시대에 완전히 재건되었으며, 그리스-로마 시대에 뒤따른 외세 통치 직전이었다.

작은 칼랍샤 신전 재건, 섬 남쪽


엘레판티네 섬의 크눔 신전 모형, 신왕국


현재 섬 남쪽 끝 대부분은 크눔 신전의 폐허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은 섬에서 여전히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폐허로, 제3왕조의 화강암 계단식 피라미드와 지역 이집트 제6왕조 노마르크인 헤카이비를 위해 지어진 작은 신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도 엘레판티네 섬에는 수많은 신전이 세워졌다. 신왕국 시대의 신전은 크눔에게 바쳐진 신전이며, 그 주위에는 하트셉수트투트모세 3세 시대에 세워진 아누케트 신에게 바쳐진 신전과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 세워진 상업 시설이 배치되었다.[39]

네크타네보 2세는 크눔 신전을 수리했다. 크눔은 나일강의 수원지를 지키는 신이며, 급류의 주신이다. 크눔의 종신인 아누케트와 사테트의 신전 또한 네크타네보 2세에 의해 수리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 시대에는 엘레판티네 섬과 동쪽 기슭 슈에네(아스완의 옛 이름)를 합한 도시는 더욱 발전했다. 이 무렵, 섬의 남쪽 기슭에 이시스를 모시는 신전이 세워졌다.

4. 2. 나일 측정기 (Nilometer)

나일강의 연례 홍수 때 나일강의 수위와 물의 투명도를 측정하던 구조물이 나일미터였다. 엘레판티네 섬에는 두 개의 나일미터가 있다.[4] 이 중 더 유명한 것은 사티스 신전과 관련된 회랑식 나일미터인데, 회랑을 따라 내려가는 돌계단이 있다.[4] 이것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나일미터 중 하나로, 로마 이집트 시대에 마지막으로 재건되었으며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 강으로 이어지는 아흔 개의 계단에는 아라비아 숫자, 로마 숫자, 이집트 상형 문자로 숫자가 새겨져 있다. 수면 가장자리에는 이집트 제17왕조 시대에 바위에 깊이 새겨진 비문이 있다.

다른 나일미터는 섬의 남쪽 끝, 크눔 신전 근처, 올드 카타라크 호텔 맞은편에 있는 직사각형의 분지이다. 아마도 이것이 두 개 중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역사가 스트라보는 나일미터 중 하나를 언급했지만, 어느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많은 자료에서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둘레를 계산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과 관련하여 유명한 전설적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우물"이 섬에 있다고 주장한다. 스트라보는 아스완이 북회귀선에 있음을 관찰하는 데 사용된 우물을 언급했지만, 이는 엘레판티네가 아닌 아스완의 우물을 언급한 것이다. 엘레판티네의 두 나일미터는 이 목적에 적합하지 않으며, 아스완의 우물은 분명히 사라졌다.[26]

4. 3. 기타 유적

엘레판티네 섬에는 제3왕조 시대의 화강암 계단식 피라미드 유적이 남아있다. 이 피라미드는 스네프루에 의해 시작되어 제4왕조에 의해 건조된 일련의 기념물 중 하나이거나, 제3왕조의 후니 시대부터 건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건축물은 이집트 고왕국의 거대한 피라미드 건설 시대보다 훨씬 이전부터 건설되었고 계속 수리되었으며, 변방에서 왕권을 나타내는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6왕조의 노마르크였던 헤카이브를 위한 작은 신전도 있다.

쿠벳 엘 하와는 섬 동쪽 강 건너편 둑 경사면에 위치한 지방 장관들의 묘소이다. 이 묘소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엘레판티네 섬을 다스렸던 지방 장관들의 지하 분묘이며, 이집트 고왕국(제6왕조)부터 이집트 중왕국(이집트 제12왕조) 시대까지의 지방 장관들의 묘가 있다. 묘에는 번호가 붙어 있으며, 사렌푸트 1세의 묘, 페피나크트 헤카이브의 묘, 사렌푸트 2세의 묘 등이 있다. 나일강 둑에서 쿠벳 엘 하와를 향해 부조로 장식된 참도가 만들어져 있으며, 야간에는 아스완 마을에서 볼 수 있도록 조명이 비춰진다.[42]

성 시메온 수도원은 쿠벳 엘 하와의 서쪽, 나일강에서 2킬로미터 떨어진 작은 언덕에 위치해 있다. 8세기에 건설된 이집트 최대 규모의 수도원 중 하나로, 높이 6-7미터의 벽으로 둘러싸여 요새화되어 있다. 벽은 아래쪽이 돌로 되어 있고 위에 벽돌이 쌓여 있다. 수도원 안에는 3단의 테라스 형태의 부지가 있으며, 최하단 테라스에는 3개의 네프를 가진 교회가 있다. 수도원은 12세기에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5. 엘레판티네 삼위신

엘레판티네 삼위신은 크눔, 사티스, 아누케트로 구성되어 있다. 아누케트가 이 둘의 딸인지, 사티스의 자매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4][27] 엘레판티네는 폭포의 머리를 한 신 크눔의 거주지였으며, 그는 섬 아래 동굴에서 나일강의 물을 지키고 통제했다.[4]

사티스는 아주 초창기부터 이집트의 이 전략적 지역을 보호하는 전쟁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다산의 여신으로 여겨질 때는, 그녀는 나일강의 풍요로운 연례 범람을 구현했다. 사티스의 숭배는 아스완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삼위신이 형성되었을 때, 크눔은 그녀의 배우자로 여겨졌고, 따라서 아누케트의 아버지로 여겨졌다. 신화 속 그의 역할은 나중에 바뀌었고, 다른 신이 강과 관련된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 당시, 그의 도공으로서의 역할은 그가 인간의 몸을 만드는 임무를 부여받게 했다. 아누케트는 첫 번째 폭포의 여신이었으며, 나일강의 의인화로 불린다.[4] 아누케트를 위한 숭배가 이 섬에서 형성되었다.[27]

6. 현대

섬의 남쪽 끝에는 크눔 신전 유적과 아스완 박물관이 있다. 독일 고고학 연구소가 섬의 고대 도시 유적에서 진행 중인 발굴 조사를 통해 크눔의 미라화된 숫양을 포함하여 박물관에 전시된 많은 유물을 발견했다.[6] 섬의 중간 부분에는 누비아인 마을 세 곳이 있다. 섬의 북쪽 끝에는 대형 고급 호텔이 있다.

아스완 식물원은 서쪽의 나바타트 섬에 인접해 있다. 엘레판티네 섬은 이집트 남부 나일강의 중주(中洲)가 되는 섬이다.

엘레판티네 섬은 관광업이 활발하다. 아스완에서 섬으로 이어지는 다리는 없지만, 나룻배나 펠루카라고 불리는 삼각돛 소형선을 타고 나일강을 건널 수 있다. 주요 관광 자원으로는 섬 남단의 크눔 신의 신전 터, 사테트 신전, 아스완 박물관, 야자나무로 둘러싸인 두 개의 누비아인 마을,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이전의 누비아인의 일상생활을 소개하는 애니마리아 박물관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Middle Egyptian http://projetrosette[...]
[2]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Merriam-Webster 1997
[3] 웹사이트 Nubian Monuments from Abu Simbel to Philae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07
[4] 서적 A Dictionary of Ancient Egypt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24-03-01
[5] 서적 Biblical Aramaic and Related Dialect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 학술지 The Jewish Temple at Elephantine https://www.jstor.or[...] 1908
[7] 학술지 Among the Priests of Elephantine Island Elephantine Island Seen from Egyptian Sources https://www.jstor.or[...] 2016
[8] 학술지 The Jewish Temple at Elephantine https://www.jstor.or[...] 2004
[9] 서적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New York 2000
[10] 학술지 The Beginning of the Twelfth Dynas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12]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3]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Facts on File Library of World History) Facts on File
[14] 학술지 'Were the ancient Egyptians black or white?'
[15]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UNESCO
[16] 학술지 Critique of the 'Black Pharaohs' Theme: Racist Perspectives of Egyptian and Kushite/Nubian Interactions in Popular Media 2021-12-01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Nub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
[18] 서적 Ancient Egypti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
[1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
[20] 서적 The story of Egypt : the civilization that shaped the world 2017
[21] 학술지 Ethnicity: Constructions of Self and Other in Ancient Egypt https://brill.com/vi[...] 2018-10-08
[22] 웹사이트 Elephantine http://jwa.org/encyc[...] 2024-02-21
[23] 학술지 The Elephantine Documents https://doi.org/10.2[...] 1912
[24] 서적 The Elephantine papyri in English: three millennia of cross-cultural continuity and change New York: E.J. Brill 1996
[25] 문서 Catalogue des monuments et inscriptions de l'Égypte antique Vienne 1894
[26] 서적 The Nile Mosaic of Palestrina: Early Evidence of Egyptian Relig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rill
[27] 웹사이트 Anuket: The Ancient Egyptian Goddess of the Nile {{!}} History Cooperative https://historycoope[...] 2024-02-22
[28] 서적 The Aramaic and Egyptian Legal Traditions at Elephantine: An Egyptolog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T&T Clark
[29]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vol. 2) https://books.google[...] Bloomsbury T&T Clark
[30] 방송 In the Beginning 2013-09
[31] 서적 Becoming a Diaspora Jew: Behind the Story of Elephantine Yale University Press
[32] 문서 Une Communauté Judéo-Araméenne à Éléphantine, en Egypte, aux vi et v siècles avant J.-C 1915
[33] 학술지 Previously, at Elephantine https://lockwoodonli[...] 2021-12-16
[34] 학술지 The Origin of the Jews in Elephantine https://www.jstor.or[...] 1955
[35] 서적 Biblical Aramaic and Related Dialect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6] 웹사이트 Jazīrat Aswān https://eg.geoview.i[...] 2024-02-12
[37] 서적 エジプトの考古学 同成社
[38] 문서 スネイプ (2015)
[39] 웹사이트 Elephantine https://www.britanni[...] 2024-03-07
[40] 서적 The Nile Mosaic of Palestrina: Early Evidence of Egyptian Religion in Italy https://books.google[...] Brill 1995
[41] 서적 Une Communauté Judéo-Araméenne à Éléphantine, en Egypte, aux vi et v siècles avant J.-C, 1915
[42] 웹사이트 甦る!エジプトに眠る財宝 特別版: 「古代エジプトの貴族 (原題: Riches & Rulers) 」 https://natgeotv.jp/[...] 2024-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