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대 우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 우림은 수억 년 동안 존재해 온 생태계로, 연간 2,000mm 이상의 강수량과 열대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전 세계 생물종의 절반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열대 우림은 수직적인 층상 구조를 가지며, 출현층, 수관층, 하층, 숲 바닥 등으로 구성된다. 열대 우림은 인간에게 식량 자원과 관광 기회를 제공하지만, 삼림 벌채, 기후 변화, 생물 개체 수 감소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한 보존 노력으로 국제 협력, 지속 가능한 관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 우림 - 데인트리 열대우림
    데인트리 열대우림은 호주 대륙의 일부였던 고대 열대우림으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며 198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열대 우림 - 아마존 우림
    아마존 우림은 남아메리카 아마존 분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열대 우림으로, 9개국에 걸쳐 분포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지만 삼림 벌채 등으로 위협받고 있고, 그 역사는 인류 정착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열대 우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열대 지역에서 많은 강수량을 보이는 지역의 숲
강수량60 mm 이상
평균 기온18°C 이상
다른 이름정글
서식 지역신열대구, 에티오피아구, 동양구
주요 서식 국가브라질
마다가스카르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베트남 등
인접 생태 지역온대 우림
운무림
사바나
기후열대 우림 기후
열대 몬순 기후
특징
협의의 의미동남아시아의 열대 우림
동물상포유류
조류
파괴 요인서식지 파괴

2. 역사

열대우림은 수억 년 동안 지구에 존재해왔다. 오늘날 대부분의 열대 우림은 중생대 초대륙 곤드와나 위에 있다.[41] 대륙이 분열되면서 양서류의 다양성이 크게 손실되었으며, 동시에 더 건조한 기후가 파충류의 다양화에 자극을 주었다.[42] 전 세계 5개의 주요 열대 우림 지역은 열대 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의 조그마한 외좌층이다.[41] 그러나 불완전한 화석 기록으로 인해 우림 기원의 세세한 부분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굴거리나무과 나무들이 수백만 년 동안 보르네오 저지대 열대우림을 지배해 왔다.

3. 특징

열대 우림은 한 해에 2000mm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열대 지역에서 연중 따뜻한 기온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온대우림과 비슷하지만, 열대 우림은 생물 종 다양성이 매우 높고 복잡한 생태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전 세계 생물 종의 절반 이상이 열대 우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루 아마존 강 우림


열대 우림은 덥고 습한 기후를 가지며, 연중 모든 달의 평균 기온은 18°C를 넘는다.[3] 연평균 강수량은 1680mm 이상이며, 10m를 넘는 곳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750mm에서 3000mm 사이이다.[4] 이러한 높은 강수량은 종종 토양 내 영양소 용탈을 일으켜 척박한 토양을 만들기도 한다.[4]

열대 우림은 높은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 모든 생물 종의 약 40%~75%가 열대 우림에 고유하며,[5] 지구상 동식물 종의 절반이 서식한다.[6] 피는 식물의 3분의 2가 열대 우림에서 발견되며,[4] 1헥타르의 열대 우림에는 42,000종의 곤충, 최대 313종의 나무 807그루, 1,500종의 고등 식물이 서식할 수 있다.[4] 열대 우림은 천연 의약품의 4분의 1 이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세계 최대의 약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7][8]

열대 우림은 대기 중 산소의 40%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대 우림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단편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위협받는 생태계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화산 활동, 기후 변화와 같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가 종 분화의 주요 원동력이었지만,[9] 현재는 인간에 의한 빠른 서식지 파괴가 종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세기 동안 벌목과 농업 개간으로 인해 전 세계 열대 우림 면적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10][11]

열대 우림 식물의 70%는 나무이며, 이들은 수직으로 3~5층의 층상 구조를 이룬다. 층상 구조는 초고목층, 수관(높이 30m~50m), 임관 등으로 구성된다. 태양 에너지는 대부분 수관에 집중되어 하층과는 다른 수관 생태계를 형성한다. 짙은 식생으로 인해 지표면 근처는 햇빛이 차단되어 풀이 자라기 어렵지만, 대형 동물에게는 이동이 용이한 지형을 제공한다.

토양 발달은 좋지 않다. 낙엽이나 부식층은 거의 없다. 이것은 기온이 높아 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며, 주로 흰개미가 낙엽을 빠르게 잘라서 자신의 둥지로 가져가 버리기 때문이다. 지질은 분해 속도가 빠르고 많은 강수량 때문에 양분이 용탈되어 메마르고 산성인 토양이 된다.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라토솔(라테라이트)이라고 불린다. 양분은 토양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생물 간에 순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대우림의 토양은 얇고, 넓은 면적에서 식생을 잃으면, 폭우의 영향도 있어서 급속히 토양 유실을 일으켜 사막화하기 쉽다.

3. 1. 구조

열대우림은 토양 표면에서 수관까지 수직적인 패턴으로 식생이 배열된 서로 다른 지층 또는 층으로 나뉜다.[13] 각 층은 그 특정 지층에서의 삶에 적응된 서로 다른 식물과 동물을 포함하는 독특한 생물 군집이다. 출현층만 열대우림에 고유하며, 다른 층들은 온대우림에서도 발견된다.[12]

열대우림에 있는 식물의 7할은 나무이다. 이들 나무는 수직으로 3~5층의 층상 구조를 이룬다. 가장 윗층에는 유난히 키가 큰 나무들이 드문드문 있으며, 이것을 초고목층이라고 한다. 그 아래에는 나무의 가지와 잎으로 덮인 층이 있는데, 이를 수관이라고 하며 높이 30m~50m에 달한다. 수관이 모여 있는 상층부를 임관이라고 한다. 구성 수종이 매우 많은 것도 열대우림의 특징 중 하나이다.

태양 에너지를 기반으로 합성되는 생산량의 대부분이 수관에 집중되기 때문에, 하층과는 다른 수관 생태계라는 특이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덩굴식물과 착생식물이 많은 것도 이러한 숲의 특징이다.

층상구조가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열대우림은 역동적이며 많은 변화가 숲의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출현목이나 수관목이 쓰러지면 숲에 빈 공간이 생긴다. 숲의 수관에 생긴 개방 공간은 열대우림 나무의 정착과 성장에 중요한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코스타리카 라 셀바 생물학 정류장의 나무 종의 아마도 75%가 종자 발아 또는 묘목 크기 이상의 성장을 위해 수관 개방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열대우림에서는 짙은 식생 때문에 햇빛이 차단되어 지표면 근처에서는 풀이 자라기 어렵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대형 동물에게는 이동하기에 적합한 지형이 된다. 어떤 이유(벌채, 산불 등)로 햇빛을 받게 되면, 이른바 정글이라고 불리는 관목과 덩굴식물이 풍부하고 통행하기 어려운 식생이 된다.

토양 발달은 좋지 않다. 낙엽이나 부식층은 거의 없다. 이는 기온이 높아 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며, 주로 흰개미가 낙엽을 빠르게 잘라서 자신의 둥지로 가져가 버리기 때문이다. 지질은 분해 속도가 빠르고 많은 강수량 때문에 양분이 용탈되어 메마르고 산성인 토양이 된다.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산화철의 색깔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라토솔(라테라이트)이라고 불린다. 양분은 토양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생물 간에 순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대우림의 토양은 얇고, 일단 넓은 면적에서 식생을 잃으면, 폭우의 영향도 있어서 급속히 토양 유실을 일으켜 사막화하기 쉽다.

건기가 없는 열대우림에서는 나무가 결실할 기회가 적어 영양분을 단단한 나무줄기 안이나 뿌리에 모아 두기 때문에, 나무 위에서 사는 동물에게는 채식이 의외로 어렵게 된다. 따라서 진화 과정에서 초식에서 잡식으로 변화하거나, 채식하기 더 쉬운 건기가 있는 땅으로 이동을 촉진했다고 생각되고 있다.

3. 1. 1. 수관층 (Canopy layer)

수관은 숲의 주요 층으로, 나머지 두 층 위를 덮는 지붕을 형성한다. 이 층에는 대부분의 가장 큰 나무들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높이는 30m~45m에 달한다. 키가 크고 잎이 넓은 상록수가 우점종이다. 숲의 수관에는 난초, 파인애플과 식물, 이끼류, 지의류 등 풍부한 착생식물 군집을 포함하여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 나타난다. 이러한 착생식물들은 나무줄기와 가지에 붙어서 비와 지지하는 식물에 쌓이는 잔해에서 물과 무기물을 얻는다. 동물상은 출현층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더 다양하다. 열대 수관의 절지동물 종 풍부도는 2천만 종에 달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층에 서식하는 다른 종으로는 황금볏긴코뿔새 (''Ceratogymna elata''), 칼라햇새 (''Anthreptes collaris''), 회색앵무 (''Psitacus erithacus''), 큰부리뿔새 (''Ramphastos sulfuratus''), 빨간아라 (''Ara macao'')와 같은 많은 조류 종과 꼬리감는원숭이 (''Ateles'' sp.), 아프리카 제왕나비 (''Papilio antimachus''), 세발가락나무늘보 (''Bradypus tridactylus''), 킨카주 (''Potos flavus''), 타만두아 (''Tamandua tetradactyla'') 등이 있다.[4]

3. 1. 2. 하층 (Understory layer)

하층은 수관층과 숲 바닥 사이에 위치한다. 하층은 다수의 조류, 소형 포유류, 곤충, 파충류, 그리고 포식자들의 서식지이다. 예를 들어 표범, 독화살개구리류, 코아티, 보아뱀, 그리고 많은 종류의 딱정벌레목 곤충들이 있다.[4]

이 층의 식물은 일반적으로 그늘을 잘 견디는 관목, 초본, 작은 나무, 그리고 햇빛을 받기 위해 나무 위로 올라가는 큰 목본 덩굴식물로 구성된다. 수관층을 통과하여 하층에 도달하는 햇빛은 약 5%에 불과하여, 진정한 하층 식물은 3m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 이러한 낮은 광량에 대한 적응으로, 하층 식물은 종종 훨씬 더 큰 잎을 가지고 진화하였다. 수관층까지 자랄 많은 묘목들이 하층에 있다.

3. 1. 3. 숲 바닥 (Forest floor)

열대 우림의 숲 바닥은 가장 아래층으로, 햇빛의 2%만 받는다. 이 지역에서는 햇빛이 적은 환경에 적응된 식물만 자랄 수 있다. 빽빽한 덤불이 있는 강둑, 습지 및 개간 지역을 제외하고는 햇빛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숲 바닥에는 식물이 상대적으로 드물다.

서부저지대고릴라


이렇게 열린 공간은 오카피, 타피르, 수마트라코뿔소와 같은 우제류 동물과 서부저지대고릴라와 같은 유인원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파충류, 양서류 및 곤충과 같은 더 큰 동물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숲 바닥에는 또한 부패하는 식물과 동물의 유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따뜻하고 습한 조건으로 인해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빠르게 사라진다. 여기서 자라는 여러 종류의 균류는 동물과 식물성 쓰레기의 부패를 돕는다.

3. 1. 4. 출현층 (Emergent layer)

출현층(emergent layer)에는 매우 큰 나무들, 즉 출현목(emergents)이 소수 존재하는데, 일반적인 수관 위로 자라 45~55m 높이에 이르며, 때로는 일부 종이 70~80m까지 자라기도 한다.[13][14] 이러한 나무들은 일부 지역의 수관 위에서 발생하는 고온과 강풍을 견뎌야 한다. 황제독수리 (''Stephanoaetus coronatus''), 킹콜로부스 (''Colobus polykomos''), 큰과일박쥐 (''Pteropus vampyrus'')와 같이 이 층에 서식하는 독특한 동물 종들이 여러 종 있다.[4] 출현목의 예로는 ''히드로코레아 엘레간스'', ''디프테릭스 파나멘시스'', ''히에로니마 알코르네오이데스'', ''히메놀로비움 메소아메리카눔'', ''레키티스 암플라'', ''터미날리아 오블롱가'' 등이 있다.

3. 2. 토양

열대 지방의 토양은 기후, 식생, 지형, 모재, 토양 연령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의 열대 토양은 용탈이 심하고 영양분이 부족하지만, 비옥한 토양도 존재한다. 열대 우림의 토양은 크게 알티솔과 옥시솔로 나뉜다. 알티솔은 풍화가 잘 된 산성 적색 점토 토양으로, 칼슘과 칼륨과 같은 주요 영양소가 부족하다. 옥시솔 역시 산성이며 오래되고 붉은색을 띠고, 고도로 풍화되고 용탈되었지만 알티솔보다 배수가 잘 된다. 알티솔은 점토 함량이 높아 물이 스며들고 흐르기 어렵다. 두 토양 모두 붉은색을 띠는 이유는 강한 열과 습기로 인해 철과 알루미늄의 산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인데, 이들은 물에 녹지 않고 식물에 의해 쉽게 흡수되지 않는다.

토양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은 지상 생산성과 산림 구조 및 역동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나무의 순환율을 조절하고, 화학적 특성(이용 가능한 질소와 인)은 산림 성장률을 조절한다. 아마존 동부와 중부,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의 토양은 오래되고 광물이 부족한 반면, 아마존 서부(에콰도르와 페루)와 코스타리카의 화산 지대의 토양은 젊고 광물이 풍부하다. 1차 생산성 또는 목재 생산은 아마존 서부에서 가장 높고, 옥시솔로 분류되는 심하게 풍화된 토양이 있는 아마존 동부에서 가장 낮다. 아마존 토양은 심하게 풍화되어 암석에서 유래하는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광물이 부족하다. 그러나 모든 열대 우림이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안데스 산맥 기슭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의 화산 지대에 있는 영양분이 풍부한 충적 평야와 화산 토양에서도 발생한다.[15]

옥시솔은 불모지이며 깊이 풍화되고 심하게 용탈되어 고대 곤드와나의 순상지에서 발달했다. 빠른 박테리아 부패는 부식질의 축적을 방지한다. 라테라이트화 과정에 의한 철과 알루미늄 산화물의 농축은 옥시솔에 밝은 붉은색을 부여하고 때로는 채굴 가능한 매장량(예: 보크사이트)을 생성한다. 화산 기원의 젊은 기질에서는 열대 토양이 매우 비옥할 수 있다.

균류는 영양분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높은 분해율은 토양의 인 수준, 강수량, 고온 및 다양한 미생물 군집의 결과이다.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 외에도 균류와 흰개미와 같은 풍부한 다른 분해자들이 이 과정을 돕는다. 영양분 순환은 중요한데, 지하 자원의 이용 가능성이 열대 우림의 지상 바이오매스와 군집 구조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토양은 일반적으로 인이 제한되어 있어 순생산성 또는 탄소 흡수를 억제한다. 토양에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낙엽과 기타 유기물을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무기 탄소 형태로 분해한다(분해 과정). 분해 과정 동안 미생물 군집은 호흡을 하며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분해 속도는 산소 흡수량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고온과 강수량은 분해 속도를 증가시켜 열대 지역에서는 식물 낙엽이 빠르게 부패하여 영양분이 지표수 또는 지하수를 통해 식물에 즉시 흡수된다. 호흡의 계절적 패턴은 낙엽과 강수량에 의해 조절되며, 분해 가능한 탄소를 낙엽에서 토양으로 이동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최근 건기로 인해 많은 양의 낙엽이 발생하고 따라서 더 높은 비율의 유기물이 토양으로 용탈되기 때문에 우기 초기에 호흡률이 가장 높다.

에콰도르 동부의 세이바 펜탄드라(Ceiba pentandra) 기부


많은 열대 우림의 특징적인 모습 중 하나는 나무의 판근(buttress root)이다. 판근은 깊은 토양층으로 뻗어 들어가는 대신,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고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 영양분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지표면에 광범위한 뿌리망을 형성한다. 열대 우림 토양의 영양분 대부분은 유기체와 낙엽의 빠른 순환 시간(turnover time) 및 분해 때문에 지표면 근처에 존재한다. 따라서 나무들은 영양분 흡수를 극대화하고 다른 나무들과의 빠른 흡수 경쟁에서 유리하기 위해 지표면에 판근을 형성한다. 이러한 뿌리는 물 흡수와 저장에도 도움이 되고, 기체 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늘리며, 추가적인 영양분을 위해 낙엽을 모은다. 또한, 이러한 뿌리는 폭우 시 영양분이 풍부한 물이 줄기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여러 개의 작은 물줄기로 돌리면서 지표수 흐름의 장벽 역할을 함으로써 토양 침식을 줄이고 영양분 획득을 극대화한다. 또한, 이 뿌리들이 만드는 넓은 표면적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높이까지 자라는 열대우림 나무에 지지력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안정성 덕분에 나무들은 격렬한 폭풍의 영향에도 견딜 수 있어 쓰러지는 나무의 발생률을 줄인다.

열대우림에서는 짙은 식생 때문에 햇빛이 차단되어 지표면 근처에서는 풀이 자라기 어렵다. 이것은 인간을 포함한 대형 동물에게는 이동하기에 적합한 지형이 된다. 어떤 이유(벌채, 산불 등)로 햇빛을 받게 되면, 정글이라고 불리는 관목과 덩굴식물이 풍부하고 통행하기 어려운 식생이 된다.

토양 발달은 좋지 않다. 낙엽이나 부식층은 거의 없다. 이것은 기온이 높아 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며, 주로 흰개미가 낙엽을 빠르게 잘라서 자신의 둥지로 가져가 버리기 때문이다. 지질은 분해 속도가 빠르고 많은 강수량 때문에 양분이 용탈되어 메마르고 산성인 토양이 된다.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산화철의 색깔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라토솔(라테라이트)이라고 불린다. 양분은 토양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생물 간에 순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대우림의 토양은 얇고, 넓은 면적에서 식생을 잃으면, 폭우의 영향도 있어서 급속히 토양 유실을 일으켜 사막화하기 쉽다.

3. 3. 생태

열대 우림은 수억 년 동안 지구에 존재해 왔으며, 오늘날 대부분은 곤드와나중생대 초대륙 위에 있다.[41] 대륙 분열로 양서류 다양성이 크게 손실되었지만, 건조한 기후는 파충류 다양화를 촉진했다.[42] 전 세계 5개 주요 지역(열대 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외곽)에 열대 우림이 분포한다.[41] 그러나 불완전한 화석 기록으로 인해 우림 기원의 세부 사항은 불분명하다.

열대 우림은 연간 2000mm 이상의 강수량과 연중 따뜻한 기온이 특징이다. 이는 온대우림과 유사하지만, 매우 다양한 생물 종과 복잡한 생태계를 형성한다는 차이가 있다. 전 세계 생물 종의 절반 이상이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30m 이상 자라는 키 큰 나무, 넓은 잎을 가진 식물, 해안의 맹그로브, 원숭이, 파충류, 곤충, 조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또한, 대기 중 산소의 40%가 열대 우림에서 공급된다고 알려져 있다.

열대 우림은 높은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보인다. 모든 생물 종의 약 40%~75%가 열대 우림에 고유하며,[5] 지구상 동식물 종의 절반이 서식한다.[6] 꽃 피는 식물의 3분의 2가 열대 우림에서 발견되며,[4] 1헥타르의 열대 우림에는 42,000종의 곤충, 최대 313종의 나무 807그루, 1,500종의 고등 식물이 서식할 수 있다.[4] 또한, 천연 의약품의 4분의 1 이상이 열대 우림에서 발견되어 "세계 최대의 약국"이라고 불린다.[7][8] 아직 발견되지 않은 수백만 종의 식물, 곤충,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열대 우림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단편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위협받는 생태계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화산 활동, 기후 변화와 같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가 종 분화의 주요 원동력이었지만,[9] 현재는 인간에 의한 빠른 서식지 파괴가 종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0세기 동안 벌목과 농업 개간으로 인해 전 세계 열대 우림 면적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10][11]

열대 우림 식물의 70%는 나무이다. 이들은 수직으로 3~5층의 층상 구조를 이루는데, 가장 위층에는 초고목층, 그 아래에는 수관(높이 30~50m), 수관 상층부인 임관, 그리고 1~3층의 중간층 임관과 최하층 임상이 있다. 구성 수종이 매우 많은 것도 특징이다.

태양 에너지는 대부분 수관에 집중되어 하층과는 다른 수관 생태계를 형성한다. 덩굴식물과 착생식물도 수관 생태계의 구성 요소이다. 짙은 식생으로 인해 지표면 근처는 일사가 차단되어 풀이 자라기 어렵지만, 대형 동물에게는 이동이 용이하다. 벌채, 산불 등으로 일사량이 증가하면 정글과 같은 통행이 어려운 식생이 형성된다.

건기가 없는 열대 우림에서는 나무의 결실 기회가 적어 영양분을 나무줄기나 뿌리에 모아두기 때문에, 나무 위 동물은 채식이 어렵다. 따라서 초식에서 잡식으로 변화하거나, 채식이 쉬운 건기 지역으로 이동하는 진화가 촉진되었다고 추정된다.

아마존을 비롯한 전 세계 열대 우림은 자연적, 인위적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이는 사바나화를 야기하여 생물 다양성 상실과 탄소 배출로 이어진다.

3. 3. 1. 기후

열대 우림은 덥고 습한 기후를 가지며, 연중 모든 달의 평균 기온은 18°C를 넘는다.[3] 연평균 강수량은 1680mm 이상이며, 10m를 넘는 곳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1750mm에서 3000mm 사이이다.[4] 이러한 높은 강수량은 토양 내 영양소 용탈을 일으켜 척박한 토양을 만들기도 한다.[4]

열대 우림은 적도 부근에 위치하여 적도 기후를 가지는데, 이는 온도, 강수량, 건기 강도라는 세 가지 주요 기후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진다. 열대 우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이산화탄소 농도, 태양 복사, 질소 이용 가능성 등이 있다. 기후 패턴은 보통 따뜻한 온도와 높은 연간 강수량으로 구성되지만, 강수량은 일 년 내내 변화하여 뚜렷한 우기와 건기가 나타난다. 홀드리지의 분류에 따르면, 진정한 열대 우림은 연간 강수량이 2m를 초과하고 연평균 기온이 24도를 초과하며, 잠재 증발산량 비율(PET) 값이 0.25 미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저지대 열대림은 강수량에 따라 열대 습윤림 또는 열대 다습림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열대 우림 생태계는 기후 변화, 특히 강수량 변화에 민감하다.

열대 우림이 형성되려면 연간 2000mm 이상의 강수량과 연중 따뜻한 기온(열대 지방)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3. 3. 2. 영양분 순환



높은 분해율은 토양의 인 수준, 강수량, 고온 및 다양한 미생물 군집의 결과이다.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 외에도 균류와 흰개미와 같은 풍부한 다른 분해자들이 이 과정을 돕는다. 영양분 순환은 중요한데, 지하 자원의 이용 가능성이 열대 우림의 지상 바이오매스와 군집 구조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토양은 일반적으로 인이 제한되어 있어 순생산성 또는 탄소 흡수를 억제한다. 토양에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낙엽과 기타 유기물을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무기 탄소 형태로 분해하는데, 이 과정을 분해라고 한다. 분해 과정 동안 미생물 군집은 호흡을 하며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 분해 속도는 산소 흡수량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고온과 강수량은 분해 속도를 증가시켜 열대 지역에서는 식물 낙엽이 빠르게 부패하여 영양분이 지표수 또는 지하수를 통해 식물에 즉시 흡수된다. 호흡의 계절적 패턴은 낙엽과 강수량에 의해 조절되며, 분해 가능한 탄소를 낙엽에서 토양으로 이동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최근 건기로 인해 많은 양의 낙엽이 발생하고 따라서 더 높은 비율의 유기물이 토양으로 용탈되기 때문에 우기 초기에 호흡률이 가장 높다.

토양의 발달은 좋지 않다. 낙엽이나 부식층은 거의 없다. 이것은 기온이 높아 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며, 주로 흰개미가 낙엽을 빠르게 잘라서 자신의 둥지로 가져가 버리기 때문이다. 지질은 분해 속도가 빠르고 많은 강수량 때문에 양분이 용탈되어 메마르고 산성인 토양이 된다. 산화철과 산화알루미늄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산화철의 색깔 때문에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라토솔(라테라이트)이라고 불린다. 양분은 토양에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생물 간에 순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대우림의 토양은 얇고, 일단 넓은 면적에서 식생을 잃으면, 폭우의 영향도 있어서 급속히 토양 유실을 일으켜 사막화하기 쉽다.

4. 생물 다양성과 종 분화

열대 우림은 식물과 동물 종의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 이러한 종 분화의 근본 원인은 수년간 과학자들과 생태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다. 열대 지방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이론이 개발되었다.

수마트라 부킷 라왕의 어린 오랑우탄


열대 우림은 연간 2,000mm 이상의 강수량과 연중 따뜻한 열대 기후 조건에서 형성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조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온대 지방에도 유사한 온대우림이 존재한다.

열대 우림은 동남아시아, 중앙아프리카, 중남미 등에서 나타나며, 서식 생물 및 종 다양성(생물다양성)이 뛰어나고 복잡한 생태계를 이룬다. 전 세계 생물 종의 절반 이상이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대기 중 산소의 40%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종간 경쟁

열대 지방에서는 비슷한 생태적 지위(niche)를 가진 종들의 밀도가 높고 이용 가능한 자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종간 경쟁이 발생한다. 경쟁에서 "패배"한 종은 멸종하거나 새로운 생태적 지위를 찾아야 한다. 직접적인 경쟁은 종종 어떤 이점을 가진 종이 다른 종을 지배하여 궁극적으로 멸종으로 이끄는 결과를 가져온다. 생태적 지위 분할(niche partitioning)은 종에게 주어지는 또 다른 선택지이다. 이는 서로 다른 서식지, 먹이원, 은신처 또는 일반적인 행동 차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자원을 분리하고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슷한 먹이를 먹지만 먹이 활동 시간이 다른 종은 생태적 지위 분할의 한 예이다.[16]

4. 2. 플라이스토세 피난처 이론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피난처 이론은 1969년 위르겐 하퍼(Jürgen Haffer)가 그의 논문 "아마존 열대우림 조류의 종 분화(Speciation of Amazonian Forest Birds)"에서 제시하였다. 하퍼는 마지막 빙하기 동안 열대우림이 비열대우림 식생으로 분리된 조각들로 나뉘어 종 분화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열대우림 조각들을 피난처(refugia)라고 불렀고, 이들 피난처 내에서 동소적 종 분화(allopatric speciation)가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빙하기가 끝나고 대기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대우림이 확장되면서 피난처들이 다시 연결되었다. 이 이론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과학자들은 여전히 이 이론의 타당성에 대해 회의적이다. 유전적 증거는 특정 분류군에서 플라이스토세 이전인 100만~200만 년 전에 종 분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5. 인간과의 관계

열대 우림은 지구 생태계와 인류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이지만, 동시에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전 세계 열대 우림의 40%를 차지하며 지구 산소의 25%를 생성하는 아마존 열대우림은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있다. 해마다 한국 면적의 5분의 4 정도가 사라지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로 인해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하지만 2016년에는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하여 벌채 위기에 놓였던 열대 우림을 시민의 힘으로 지킨 사례도 있었다.[44] 이처럼 아마존뿐만 아니라 지구 곳곳의 열대 우림은 자연적, 인위적인 이유로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사바나화, 종 다양성 상실, 탄소 배출로 이어진다.

5. 1. 원주민

코로와이족이 뉴기니에 지은 나무 위 집


열대 우림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삶을 품어왔다. 아메리카 원주민, 중앙아프리카의 콩고 피그미족, 동남아시아의 여러 부족들(예: 보르네오의 다야크족, 페난족) 등이 그 예이다. 우림 내 식량 자원은 높은 생물 다양성으로 인해 매우 분산되어 있으며, 대부분 수관층에 한정되어 있어 획득하는 데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일부 수렵 채집인들은 계절적으로 우림을 이용했지만, 주로 인근 사바나와 식량이 훨씬 풍부한 개방된 환경에 거주했다. 우림 거주자로 묘사되는 다른 사람들은 수렵 채집인으로, 숲 밖에 사는 농경민들과 가죽, 깃털, 꿀 등 고가의 숲 제품을 교환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2009년 브라질 아크리 주에서 만난 접촉되지 않은 부족 구성원


세계 여러 지역의 많은 원주민들은 열대우림에서 수렵 채집인으로 생활하거나, 가죽, 깃털, 꿀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림 제품을 열대우림 외부에 사는 농업인들과 교환하여 부분적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소규모 농업에 종사한다. 이들은 수만 년 동안 열대우림에 거주해 왔으며, 매우 은둔적인 삶을 살아왔기에 최근에야 일부 부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원주민들은 이페, 쿠마루, 웬게와 같은 고령 열대 활엽수를 찾는 벌목꾼들과 목축(육류)과 콩(유럽과 중국에서 가축 사료로 사용)을 위해 토지를 확장하려는 농부들로부터 큰 위협을 받고 있다.[17][18][19] 2007년 1월 18일, 브라질 국립 원주민 재단(FUNAI)은 브라질에서 67개의 다른 접촉되지 않은 부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2005년 40개에서 증가한 수치이다.[20] 이로써 브라질은 접촉되지 않은 부족 수가 가장 많은 국가로 뉴기니 섬을 제쳤다.[20] 뉴기니 섬의 이리안자야 주 또는 서파푸아는 약 44개의 접촉되지 않은 부족 집단의 고향이다.[21]

콩고 분지의 피그미 수렵 채집인


에콰도르의 와오라니 사냥꾼


피그미족은 적도 열대우림에 사는 수렵 채집인 집단으로, 평균 키가 1.5m 미만인 것이 특징이다. 이 그룹에는 중앙아프리카의 에페(Efe), 아카(Aka), 트와(Twa), 바카(Baka), 음부티(Mbuti)족이 포함된다.[22] 하지만 '피그미'라는 용어는 경멸적인 의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많은 부족이 이러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23]

주목할 만한 아메리카 원주민(아메린디언)으로는 아마존 분지와오라니, 야노마미, 카야포족이 있다. 아마존의 부족들이 실천하는 전통적인 농업 시스템은 화전 농업을 기반으로 하며 비교적 무해한 교란으로 간주된다. 실제로 개별 화전 경작지의 수준을 살펴보면 여러 전통적인 농업 관행이 유익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그늘 나무의 사용과 휴경은 모두 토양 유기물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는 아마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하게 풍화되고 용탈된 토양의 토양 비옥도 유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아시아에는 필리핀의 루마드족과 보르네오의 페난족과 다야크족을 포함한 다양한 산림 거주민이 있다. 다야크족은 전통적인 머리 사냥 문화로 유명한 특히 흥미로운 집단이다. 이반족의 "케냐랑(kenyalang)"이나 케냐족의 "마마트(mamat)"와 같은 특정 의식을 치르기 위해서는 신선한 인간의 머리가 필요했다.[24] 동남아시아에 사는 피그미족은 "네그리토"라고도 불린다.

5. 2. 자원

전 세계 열대 우림의 40%를 차지하는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구 산소의 25%를 생성한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산림 파괴가 계속되어, 매년 한국 면적의 5분의 4 정도가 사라지고 있다. 아마존 열대 우림은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로 인해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2016년에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하여 벌채 위기에 놓였던 열대 우림을 시민의 힘으로 지킨 사례도 있었다.[44] 아마존 외에도 지구 곳곳의 열대 우림은 자연적, 인위적 이유로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사바나화, 종 다양성 상실, 탄소 배출로 이어진다.

열대 우림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삶을 품어왔다. 아메리카 원주민, 콩고 피그미족, 다야크족, 페난족 등이 그 예이다. 열대 우림 내 식량 자원은 높은 생물 다양성으로 인해 매우 분산되어 있으며, 수렵 채집인들은 계절적으로 우림을 이용하거나, 숲 밖에 사는 농경민들과 숲 제품을 교환하며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고구마, 커피, 초콜릿, 바나나, 망고, 파파야, 마카다미아, 아보카도, 사탕수수 등은 열대 우림에서 유래했으며, 여전히 대부분 원래 열대 우림이었던 지역의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다.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에는 매년 전 세계적으로 4000만ton의 바나나와 1300만ton의 망고가 소비되었다. 1970년 중앙아메리카 커피 수출액은 30억달러에 달했다. 열대림은 온대림의 20종에 비해 250종의 재배되는 과일을 제공하며, 뉴기니의 숲에는 먹을 수 있는 과일이 열리는 251종의 나무가 있는데, 그중 43종만이 1985년까지 재배 작물로 확립되었다.[25]

열대우림은 생물다양성 유지, 탄소 격리 및 저장, 지구 기후 조절, 질병 관리, 수분 매개 등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지닌다. 아마존 지역 강우량의 절반은 숲에서 생성되며, 숲의 수분은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의 강우량에 중요하다.[26] 아마존 열대우림 지역의 삼림 벌채는 2014~2015년 브라질의 심각한 가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27][28] 2020년 네이처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세계의 온전한 열대림이 흡수하는 탄소량이 감소하여, 2019년 탄소 흡수량은 1990년대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일반적인 열대림은 2060년대까지 탄소 배출원이 될 수 있다.[29]

5. 3. 관광

최근 몇 년 동안 열대 지방의 생태관광이 증가했다. 열대 우림이 점점 희귀해지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다양한 서식지를 보유한 국가로 여행을 간다. 현지 주민들은 방문객이 가져오는 추가 수입으로부터 혜택을 받고 있으며, 방문객들에게 흥미로운 지역은 종종 보존된다. ''생태관광은 특히 긍정적인 경제적 변화를 가져올 때 보존을 위한 인센티브가 될 수 있다.'' 생태관광에는 동물 관찰, 아름다운 정글 투어, 심지어 문화 유적지와 원주민 마을 관광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행이 적절하게 수행되면 현지 주민과 현재의 동식물 모두에게 유익할 수 있다.

관광 증가는 경제적 지원을 증가시켜 더 많은 수익이 서식지 보호에 사용될 수 있도록 했다. 관광은 민감한 지역과 서식지 보존에 직접 기여할 수 있다. 공원 입장료 및 유사한 출처의 수익은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보호 및 관리 비용 지불에 특별히 사용될 수 있다. 세금과 관광으로 인한 수익은 정부가 숲 보호에 수익을 기여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관광은 또한 사람들을 환경과 더 가까이 접촉하게 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 증가는 더욱 환경 의식이 높은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관광은 야생 동물 보존 및 보호 노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및 남태평양에서도 그러하다.[30]

6. 황폐화와 보전

열대 우림은 수억 년 동안 지구에 존재해 왔으며, 오늘날 대부분은 곤드와나 대륙의 중생대 시기 초대륙 위에 분포하고 있다.[41] 대륙 분열로 양서류 다양성은 크게 감소했지만, 건조한 기후는 파충류 다양화를 촉진했다.[42]

20세기 이후 열대 우림은 벌채와 농지 개발 등으로 급속히 감소하면서 생물 다양성 감소와 기후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양서류와 파충류를 먹이로 하는 파충류의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34]

이러한 열대 우림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서식지 보호, 지속 가능한 관리 기술 모색, 산림벌채 및 산림황폐화로 인한 배출 감소(REDD)와 같은 국제 정책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7]

6. 1. 위협

열대 우림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단편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위협받는 생태계 중 하나이다. 화산 활동이나 기후 변화와 같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는 과거에도 발생했으며, 종 분화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확인되었다.[9] 그러나 인간에 의한 빠른 서식지 파괴는 종 멸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열대 우림은 20세기 내내 벌목과 농업 개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전 세계 열대 우림 면적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10][11]

6. 1. 1. 삼림 벌채

20세기 이후로 열대우림은 벌채와 농지 개발에 의한 파괴(산림 벌채)가 진행되어 급속히 감소·악화되고 있다. 그 속도는 매초 0.5ha~0.8ha에 달하며, 과거 지표면의 14%를 덮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열대우림은 현재 6%까지 감소했고, 이러한 감소가 계속된다면 40년 안에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멸종하는 생물 종의 수는 연간 5만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39]

산림 벌채의 원인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세계자원연구소(WRI)는 파괴의 가장 큰 위협은 목재나 종이 생산을 위한 상업적 벌채이며, 광업 개발, 농지나 목초지로의 전환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숲이 최종적으로 농지, 목초지, 산업용 조림지 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업적 벌채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은 크다.[39]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열대우림이 펼쳐진 국가 및 지역의 산림률은 감소 추세에 있다.[40] 전 세계의 열대 우림의 40%를 차지하며 지구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의 4분의 1을 생성하고 있는 아마존 열대우림은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계속 파괴되고 있다. 해마다 한국 면적의 5분의 4정도가 사라지고 있다. 아마존 열대 우림은 기후변화와 삼림파괴로 인해 언제든 재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한편, 2016년에는 아마존 열대 우림을 지키기 위해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해, 벌채 위기에 놓여있던 열대 우림이 시민의 힘으로 지켜진 사례도 있었다.[44] 아마존 뿐만 아니라 지구 곳곳의 열대 우림은 자연적, 인위적인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열대 우림의 파괴는 사바나화를 야기해, 종의 다양성 상실과 탄소배출로 이어진다.

브라질 마라냥 주의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2016년)

6. 1. 2. 기후 변화

열대 지방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열대 지방(특히 아마존 열대우림)은 탄소 흡수원으로 불린다. 주요 탄소 감소원이자 탄소 및 토양 메탄 저장소로서, 이러한 열대 우림의 파괴는 지구 에너지 포획, 대기 중 가스 증가에 기여한다. 기후 변화는 열대 우림 파괴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아프리카의 모든 열대 우림이 제거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대기 온도가 2.5°C에서 5°C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세기 이후로 열대우림은 벌채와 농지 개발에 의한 파괴(산림 벌채)가 진행되어 급속히 감소·악화되고 있다. 그 속도는 매초 0.5~0.8 헥타르에 달하며, 과거 지표면의 14%를 덮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열대우림은 현재 6%까지 감소했고, 이러한 감소가 계속된다면 40년 안에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멸종하는 생물 종의 수는 연간 5만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 벌채의 원인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세계자원연구소(WRI)는 파괴의 가장 큰 위협은 목재나 종이 생산을 위한 상업적 벌채이며, 광업 개발, 농지나 목초지로의 전환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숲이 최종적으로 농지, 목초지, 산업용 조림지 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업적 벌채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은 크다.[39]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열대우림이 펼쳐진 국가 및 지역의 산림률은 감소 추세에 있다.[40]

6. 1. 3. 생물 개체 수 감소

아마존 뿐만 아니라 지구 곳곳의 열대 우림은 자연적, 인위적인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열대 우림의 파괴는 사바나화를 야기하여, 종의 다양성 상실과 탄소 배출로 이어진다.

열대 우림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단편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위협받는 생태계 중 하나이다. 화산 활동과 기후 변화와 같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한 서식지 단편화는 과거에 발생했으며, 종 분화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확인되었다.[9] 그러나 인간에 의한 빠른 서식지 파괴는 종 멸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의심된다. 20세기 내내 벌목과 농업 개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전 세계 열대 우림 면적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10][11]

열대우림에서는 일부 동물 종, 예를 들어 양서류와 파충류를 먹이로 하는 파충류의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34] 이러한 추세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34] 열대우림의 계절성은 양서류의 번식 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특히 먹이가 특정된 종의 경우 대체 자원을 이용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36] 이러한 양서류를 먹이로 하는 파충류 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5]

20세기 이후로 열대우림은 벌채와 농지 개발에 의한 파괴(산림 벌채)가 진행되어 급속히 감소·악화되고 있다. 그 속도는 매초 0.5~0.8헥타르에 달하며, 과거 지표면의 14%를 덮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열대우림은 현재 6%까지 감소했고, 이러한 감소가 계속된다면 40년 안에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멸종하는 생물 종의 수는 연간 5만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 벌채의 원인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세계자원연구소(WRI)는 파괴의 가장 큰 위협은 목재나 종이 생산을 위한 상업적 벌채이며, 광업 개발, 농지나 목초지로의 전환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숲이 최종적으로 농지, 목초지, 산업용 조림지 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업적 벌채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은 크다.[39]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열대우림이 펼쳐진 국가 및 지역의 산림률은 감소 추세에 있다.[40]

6. 2. 보전 노력

열대 우림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과거 화산 활동이나 기후 변화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으로 서식지가 단편화되기도 했지만,[9] 최근에는 인간에 의한 빠른 서식지 파괴가 종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세기 내내 벌목과 농업 개간으로 인해 전 세계 열대 우림 면적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10][11]


6. 2. 1. 국제 협력

전 세계 열대 우림의 40%가 아마존에 있으며, 이곳은 지구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의 4분의 1을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아마존의 산림이 계속 파괴되고 있다. 해마다 한국 면적의 5분의 4 정도가 사라지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로 인해 언제든 재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2016년에는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하여 벌채 위기에 놓여있던 열대 우림을 시민의 힘으로 지킨 사례도 있었다.[44]

열대 우림 서식지를 보호하고 보존하려는 노력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열대우림 보전은 서식지의 엄격한 보호에서부터 열대 우림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관리 기술을 찾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국제 정책으로는 기업과 정부가 열대 우림 보전에 대한 재정적 투자를 통해 탄소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는 산림벌채 및 산림황폐화로 인한 배출 감소(REDD)라는 시장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37]

6. 2. 2. 지속 가능한 관리

아마존 열대 우림은 전 세계 열대 우림의 40%를 차지하며 지구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의 4분의 1을 생성한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인해 계속 파괴되고 있다. 해마다 한국 면적의 5분의 4 정도가 사라지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로 인해 언제든 재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2016년에는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해, 벌채 위기에 놓여있던 열대 우림이 시민의 힘으로 지켜진 사례도 있었다.[44]

열대우림 보전은 서식지의 엄격한 보호에서부터 열대 우림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지속 가능한 관리 기술을 찾는 것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 정책으로는 기업과 정부가 열대 우림 보전에 대한 재정적 투자를 통해 탄소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도록 하는 산림벌채 및 산림황폐화로 인한 배출 감소(REDD)라는 시장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37]

20세기 이후 열대 우림은 벌채와 농지 개발로 인해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그 속도는 매초 0.5ha~0.8ha에 달하며, 과거 지표면의 14%를 덮고 있었던 열대 우림은 현재 6%까지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가 계속된다면 40년 안에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멸종하는 생물 종의 수는 연간 5만 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자원연구소(WRI)는 산림 벌채의 가장 큰 위협은 목재나 종이 생산을 위한 상업적 벌채이며, 광업 개발, 농지나 목초지로의 전환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고 보고 있다. 숲이 최종적으로 농지, 목초지, 산업용 조림지 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업적 벌채가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영향이 크다.[39]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열대 우림이 펼쳐진 국가 및 지역의 산림률은 감소 추세에 있다.[40]

7. 한국과 열대우림

2016년에는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해, 벌채 위기에 놓여있던 아마존 열대 우림을 시민의 힘으로 지켜진 사례도 있었다.[44]

7. 1. 한국의 열대우림 의존도

한국은 직접 열대 우림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열대 우림에서 생산되는 자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특히 아마존 열대 우림은 지구 산소의 4분의 1을 생성하는 중요한 지역이다.[43]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브라질의 개발 정책으로 아마존 산림이 계속 파괴되고 있으며, 매년 한국 면적의 5분의 4 정도가 사라지고 있다.[43] 이는 기후 변화와 삼림 파괴로 인해 아마존 열대 우림이 재난 발생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하게 만들고 있다.[43]

2016년에는 "콩 모라토리엄"과 같이 아마존 열대 우림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효과를 보기도 했다.[44] 이는 시민의 힘으로 벌채 위기에 놓인 열대 우림을 지켜낸 사례로, 한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의 열대 우림 보존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7. 2. 한국의 역할과 책임

1960년대 이후 브라질에서는 개발 정책으로 아마존의 산림을 계속 파괴하고 있으며, 해마다 한국 면적의 5분의 4정도가 사라지고 있다. 아마존 열대 우림은 기후변화와 삼림파괴로 인해 언제든 재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할 위기에 처해 있다.[43]

한편, 2016년에는 아마존에서 경작된 콩의 유통 금지를 권고하는 "콩 모라토리엄"이 효력을 발휘해, 벌채 위기에 놓여있던 아마존 열대 우림이 시민의 힘으로 지켜진 사례도 있었다.[44]

참조

[1] 웹사이트 Why the Amazon Rainforest is So Rich in Species http://earthobservat[...] 2013-03-28
[2] 웹사이트 Why The Amazon Rainforest Is So Rich In Species https://www.scienced[...] 2013-03-28
[3] 웹사이트 Tropical broadleaf Evergreen Forest: The rainforest http://www.radford.e[...] 2009-03-14
[4] 서적 Tropical Rainforest: Our Most Valuable and Endangered Habitat With a Blueprint for Its Survival into the Third Millennium https://archive.org/[...] Checkmark
[5] 웹사이트 Rainforests.net – Variables and Math http://www.rainfores[...] 2009-01-04
[6] 웹사이트 The Tropical Rain Forest http://www.globalcha[...] 2008-03-14
[7] 웹사이트 Rainforests http://www.animalcor[...] 2013-03-28
[8] 웹사이트 The bite that heals https://web.archive.[...] 2016-06-24
[9] 논문 Rainforest collapse triggered Pennsylvanian tetrapod diversification in Euramerica
[10] 뉴스 Brazil: Deforestation rises sharply as farmers push into Amaz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9-01
[11] 뉴스 China is black hole of Asia's deforestation http://www.asianews.[...] Asia News 2008-03-24
[12] 논문 A Physiognomic Classification of Australian Rain Forests British Ecological Society 1959-10-01
[13] 서적 Tropical Rain Forest Ecosystems.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Scientific
[14] 웹사이트 Sabah http://www.nativetre[...] Eastern Native Tree Society 2007-11-14
[15] 웹사이트 Environmental news and information http://www.mongabay.[...] 2013-03-28
[16] 논문 Links between global taxonomic diversity, ecological diversity and the expansion of vertebrates on land
[17] 뉴스 'They're killing us': world's most endangered tribe cries for help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4-22
[18] 뉴스 Brazil's Indigenous Awa Tribe At Risk https://web.archive.[...] Huffington Post 2012-06-06
[19] 논문 Ontology of the self and material culture: Arrow-making among the Awá hunter–gatherers (Brazil) https://www.academia[...]
[20] 뉴스 Brazil sees traces of more isolated Amazon tribes https://www.reuters.[...] Reuters.com 2007-01-17
[21] 웹사이트 BBC: First contact with isolated tribes? http://www.survivali[...] 2007-01-25
[22] 웹사이트 People of the Congo Rainforest http://rainforests.m[...] 2017-08-11
[23] 웹사이트 Forest peoples in the central African rain forest: focus on the pygmies http://www.fao.org/d[...]
[24] 논문 Dayaks and forests of interior Borneo http://www.penn.muse[...]
[25] 서적 The primary source W. W. Norton and Co.
[26] 논문 Amazon Tipping Point 2018-02-21
[27] 뉴스 The Amazon effect: how deforestation is starving São Paulo of wat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11-28
[28] 뉴스 The science is clear: Forest loss behind Brazil's drought https://forestsnews.[...] Center for International Forestry Research (CIFOR) 2015-01-29
[29] 뉴스 Tropical forests losing their ability to absorb carbon,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3-04
[30]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s of Tourism http://www.uneptie.o[...] 2007-11-30
[31] 웹사이트 Forest Pulse: The Latest on the World's Forests https://research.wri[...] World Resources Institute 2023-06
[32] 웹사이트 Canadian mining companies set to destroy Ghana's forest reserves http://www.policyalt[...] Canadian Centre for Policy Alternatives Monitor 2003-10-01
[33] 논문 Diet, Dental Health, and Cultural Change among Recently Contacted South American Indian Hunter-Horticulturalists http://page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34] 논문 Are tropical reptiles really declining? A six-year survey of snakes in a tropical coastal rainforest: role of prey and environment
[35] 논문 When and where to find a pitviper: activity patterns and habitat use of the lancehead, Bothrops atrox, in central Amazonia, Brazil
[36] 논문 Some causes of extinction
[37] 뉴스 An Overview of REDD, REDD Plus and REDD Readiness http://www.rightsand[...] 2009-11-23
[38] 웹사이트 ジャングルは狭義には東南アジアの熱帯雨林を指していう 2022-10-00
[39] 웹사이트 RELEASE: Introducing Resource Watch: New Data Platform to Monitor the Planet's Pulse https://www.wri.org/[...] 2018-04-11
[40] 웹사이트 世界の森林(森林総合研究所ホームページ) http://www.ffpri.aff[...]
[41] 저널 인용 Tropical Rainforests and the Need for Cross-continental Comparisons
[42] 저널 인용 Rainforest collapse triggered Pennsylvanian tetrapod diversification in Euramerica
[43] 뉴스 인용 삼림파괴가 기후를 악화시킨다 http://www.greenpeac[...] 그린피스 2017-12-27
[44] 뉴스 인용 2016년에 시민의 힘(People Power)이 이뤄낸 9가지 놀라운 업적 http://www.greenpeac[...] 그린피스 2017-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