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대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의학은 열대 지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 분야이다. 열대 지역의 감염성 질환은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등 다양하며, 빈곤, 위생 문제와 결핵, HIV/AIDS, 소외 열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도 주요 과제이다. 열대의학은 역학,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기생충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제 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하며, 연구 및 교육 기관은 런던 위생 및 열대의학 학교, 리버풀 열대의학 학교 등이 있다. 한국의 열대의학 교육은 감염병 교육과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국제적인 연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군사 열대의학은 과거 전쟁에서 열대 질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백신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열대의학
개요
분야의학의 한 분야, 특히 감염병
전문 분야내과, 소아과, 감염내과, 예방의학 등
관련 학문기생충학, 세균학, 바이러스학, 역학, 공중보건학
주요 연구 대상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풍토병, 해외여행 관련 질병
역사
기원대항해시대 이후 열대 지역 탐험과 식민지 경영 과정에서 발생한 질병 문제
발전파스퇴르와 코흐의 세균학 발전, 로널드 로스와 패트릭 맨슨의 모기 매개 질병 연구
현대적 개념 정립20세기 초, 위생학과 미생물학 발전에 힘입어 체계화
주요 질병
바이러스 질환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황열, 치쿤구니야열
세균 질환말라리아, 아프리카 수면병, 샤가스병, 리슈마니아증
기생충 질환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세균성 이질
기타주혈흡충증, 사상충증, 회선사상충증
진단 및 치료
진단 방법임상 증상 관찰, 혈액 검사, 분변 검사, 유전자 검사, 영상 진단
치료 방법항생제, 항바이러스제, 구충제 투여, 수액 보충, 증상 완화 치료
예방백신 접종, 모기 기피제 사용, 위생 관리, 안전한 식수 섭취
연구 및 교육
주요 연구 기관세계보건기구(WHO), 국립보건연구원, 대학 부설 열대 의학 연구소
교육 과정의과대학, 보건대학원, 열대 의학 전문 과정
학술 단체국제열대의학회(ISTM), 대한열대의학회
기타
관련 직업열대의학 전문의, 여행의학 전문의, 국제보건 전문가
사회적 중요성국제 보건 안보, 해외여행객 건강 보호, 기후 변화에 따른 질병 확산 방지

2. 주요 질환

열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은 감염성 질환이 많은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질병들은 해당 지역의 빈곤 문제와 맞물려 보건 위생 및 의료 접근성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2. 1. 감염성 질환

열대 지역에서 나타나는 질병은 감염성 질환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주요 감염성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 문제는 빈곤으로 인한 보건 위생 문제 및 의료 문제와 복잡하게 얽혀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말라리아 확산을 막기 위해 모기의 주요 산란 장소인 웅덩이를 철저히 제거하는 등 강력한 위생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재정적, 환경적 제약이 있는 빈곤 국가에서는 현실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

또한, 결핵과 같이 사람 간 전염되는 질병의 경우, 치료 자체가 중요한 보건 대책이 된다. 그러나 빈곤 때문에 처방받은 약을 팔거나 치료를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 결핵균의 확산을 부추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기장 사용과 같이 비용 효과적인 말라리아 예방책의 유효성과 경제성을 검토하는 등, 단순한 검사나 약물 치료를 넘어선 다각적인 연구와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2. 2. 비감염성 질환

비전염성 질환은 심혈관 질환, , 부상, 호흡기 질환 등과 같은 일련의 만성 질환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질병은 개발도상국보다 선진국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했다.[8][15] 2001년 세계 질병 부담 연구에서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사망자의 20%가 비전염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5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만성 질환 사망의 80%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5][8] 비전염성 질환의 유병률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개발도상국에서 증가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교육 및 예방 의학 부족과 영양실조 또는 불량한 식단은 비전염성 질환의 많은 위험 요인으로 이어진다.[15]

3. 당면 과제

열대의학 분야는 여러 심각한 보건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경제적으로 취약한 지역과 개발도상국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주요 당면 과제로는 HIV/AIDS, 결핵(TB), 그리고 다양한 소외 열대 질환(NTDs)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들은 종종 서로 연관되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HIV 감염은 결핵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이며, 두 질병에 동시에 감염될 경우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고 예후도 나빠진다. 또한, 소외 열대 질환은 그 자체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적지만, 환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다른 감염병에 대한 취약성을 높여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이 질병들은 빈곤, 열악한 위생 환경, 부족한 의료 자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해당 지역 사회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제한된 자원 속에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이 열대의학 분야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국제적인 협력과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혁신적인 접근법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3. 1. HIV/AIDS

개발도상국에서만 2,200만 명이 HIV에 감염되어 살아가고 있다. 감염의 대부분은 여전히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지만,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지역에서도 감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6][7] 예상되는 신규 감염의 95%는 열대 지역의 저소득 국가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8][7] 예상되는 신규 감염자 수는 연간 300만에서 400만 명에 달한다.[7]

주사기 사용 및 무방비 성관계와 같은 위험 요인은 열대 지역 및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더 만연하다. 일단 HIV가 열대 지역으로 전파되면 성적으로 활동적인 인구 전체로 확산된다. 확산 속도와 범위는 다르지만,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HIV 유병률이 10%에 달한다. 더 심각한 것은 도시 지역에서 임산부의 유병률이 30%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 전문가들 또한 HIV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HIV 유병률이 10%라는 것은 모든 인력 또한 10%의 유병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의료진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7]

결핵은 질병의 더 빠른 진행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핵은 열대 및 개발도상국에서 만연하여 HIV를 더욱 파괴적으로 만든다.[14]

선진 서방 국가의 값비싼 첨단 의료 장비가 없는 열대 지역의 의사들은 제한적인 선택지만을 가지게 된다. HIV 관련 세균성 또는 미코박테리움 질환을 발견할 수 있다면, 기본적인 약물과 표준 치료 프로토콜로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부재하며, 전략이 있더라도 HIV 확산을 막는 데 필요한 만큼 효과적이지 않다.[7]

3. 2. 결핵 (TB)

결핵 (TB)은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는 전염성 세균 질환이지만,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질병은 특히 빈곤층이나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며,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더 흔하게 나타난다.[12][13] 결핵은 감염 후 바로 증상이 나타나는 활동성 형태와, 증상 없이 균이 몸 안에 잠복해 있는 잠복 상태로 나뉜다. 잠복 결핵은 수년, 때로는 10년 이상 지속될 수도 있다.[13]

결핵은 지난 200년 동안 다른 어떤 전염병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결핵 연구에 투입되는 자금은 HIV 연구의 1/6 수준에 불과하다.[12] 리버풀 열대의학 대학원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한 해에만 약 900만 명이 결핵에 새로 감염되었고, 같은 해 150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이 사망자 중 36만 명은 HIV에도 동시에 감염된 상태였다.[12] 2016년에는 130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했으며, 결핵과 HIV에 모두 감염된 37만 4천 명이 추가로 사망했다.[14]

연구 결과에 따르면, HIV에 감염된 사람은 잠복 결핵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이 12배에서 20배까지 더 높다.[14] 결핵 치료는 비용이 매우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기존 치료법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균(약물 내성 결핵)이 등장하면서 치료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12]

3. 3. 소외 열대 질환 (NTDs)

소외 열대 질환(NTDs)은 세계 보건 기구(WHO)가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 이상, 특히 개발 도상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한 18가지 열대 질환을 가리킨다. 이 질병들은 다양한 원인과 특징을 가지며(heterogeneous), 질병을 일으키는 유기체 외부에서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NTD는 기생충, 바이러스,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 NTD는 그 자체로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신체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소외된' 질병으로 불린다. 이러한 질병에 걸린 사람들은 다른 NTD나 HIV, 말라리아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더 취약해진다.[16]

소외 열대 질환의 영향은 장애 보정 생존 연수(DALY)로 측정할 수 있다. 각 DALY는 사망이나 장애로 인해 건강한 삶을 1년 잃는 것을 의미한다. 2010년에는 NTD로 인해 2,660만 DALY가 손실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NTD는 해당 질병이 풍토병인 국가에서 생산성을 15~30%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16] CDC에 따르면, '저소득'으로 분류된 국가의 100%가 동시에 5가지 이상의 다른 NTD의 영향을 받고 있다.[17]

열대 지역에서 나타나는 질병들은 감염성 질환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주요 질병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질병들은 빈곤으로 인한 보건 위생 문제 및 의료 문제와 얽혀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말라리아 대책으로 모기의 산란 장소인 웅덩이를 철저히 제거하지만, 이러한 위생 대책은 빈곤 국가에서는 현실적으로 시행되기 어렵다. 또한, 결핵은 사람 간 전염되므로 치료 자체가 중요한 보건 대책이지만, 빈곤 때문에 받은 약을 팔거나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많아 다제내성 결핵균의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 모기장 사용의 말라리아 예방 효과와 경제성에 대한 연구처럼, 단순한 검사나 약물 치료 외의 다양한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

4. 연구 및 교육

열대의학 교육은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열대의학 연구소에서 교육을 받거나, 감염병 교육에 통합되어 교육을 받는다.

4. 1. 국제적인 열대의학 교육 및 연구 기관

열대의학 교육은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열대의학 연구소에서 교육을 받거나, 감염병 교육에 통합되어 교육을 받는다.

세인트 패트릭 맨슨 경(Sir Patrick Manson)이 설립한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


영국에서 의사가 열대의학을 전공하고자 할 경우, 먼저 일반 내과에서 수련을 받고 왕립 의사 협회에 입회해야 한다. 또한, 열대의학 및 위생 디플로마를 취득하기 위해 정규 과정의 감염병 전문 과정을 동시에 이수해야 한다. 교육은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 또는 리버풀 열대의학 대학에서 진행된다. 더불어 런던, 리버풀 또는 버밍엄에 위치한 영국의 열대의학 관련 센터 중 한 곳에서 2년간 근무해야 한다. 영국에서 열대의학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의사는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 최소 1년 이상 해외 근무 경력이 있어야 한다.

미국의 열대의학 의사 교육은 이와 유사하지만, 미국에서는 보드에서 인정하는 전문 분야는 아니다. 의사들은 먼저 의과대학 과정을 마치고 감염병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이를 마치면, 미국 열대의학 및 위생 학회에서 자격 시험을 치러 임상 열대의학 및 여행자 건강 지식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4][5]

다음은 주요 국제 열대의학 교육 및 연구 기관 목록이다.

기관명위치
베른하르트 노흐트 열대의학 연구소독일 함부르크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영국 런던
미국 열대의학 및 위생 학회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오스트랄라시아 열대의학 대학호주
호주 열대 보건 및 의학 연구소호주 퀸즐랜드주 타운즈빌 및 케언스
안톤 브레인틀 센터 공중 보건 및 열대의학 연구소호주
마히돌 대학교 열대의학부태국 방콕
나가사키 대학 열대 의학 연구소일본 나가사키
툴레인 대학교 공중 보건 및 열대의학부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리버풀 열대의학 대학영국 리버풀
앤트워프 열대의학 연구소벨기에 앤트워프
필리핀 열대 의학 연구소필리핀 문틴루파
영국 왕립 열대의학 및 위생학회영국 런던
월터 리드 열대의학 과정미국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
프랑스 열대의학 및 국제 보건 학회 (Société Francophone de Médecine Tropicale et Santé Internationalefra)프랑스


5. 학제 간 접근

열대의학은 다루는 감염병과 질병의 범위가 넓고 특수하여 여러 학문 분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역학, 미생물학, 바이러스학, 기생충학, 그리고 환자나 물품 이송을 위한 물류 분야의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열대의학 의사는 다양한 언어 배경을 가진 환자들과 소통해야 하므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며, 진단 장비가 부족한 환경에서 진료하는 경우가 많아 뛰어난 임상 및 진단 기술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브라질 상파울루에서는 볼리비아 이민자 유입으로 차가스병 환자가 늘어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제 간 팀이 구성되었다. 상파울루는 1970년대부터 차가스병 전파가 통제되었지만, 차가스병 유병률이 4.4%인 볼리비아 이민자 집단 유입으로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 이 학제 간 팀은 지역 보건 요원, 일반 의료 종사자, 의사, 간호사, 실험실 직원, 지역 사회 요원 등으로 구성되었고, 소아과 및 심장과 의사도 협력했다. 이 팀은 1차 의료 수준에서 차가스병 관리 및 전파 차단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병리학, 기생충학, 환경역학 등 관련 지식을 공유하며 차가스병 예방, 진단,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또한 치료 순응도가 낮은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입 효과를 개선했으며, 이 접근 방식은 브라질 전역의 다른 팀들에게 차가스병 관리 교육을 제공하는 데 활용되었다.[18]

열대의학은 치료뿐 아니라 예방적 접근, 특히 교육을 중요하게 다룬다. 런던 위생 및 열대의학 대학원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의 수도 와가두구에서 여성 성노동자(FSW)를 대상으로 HIV 예방 중재 연구를 수행했다. HIV에 감염되지 않은 321명의 여성 성노동자에게 동료 주도의 HIV 및 성병(STI) 교육, 검사 및 관리, 심리적 지원, 일반 건강 관리, 생식 건강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들을 21개월간 분기별로 추적 관찰하며 HIV 검사와 필요한 예방적 개입을 제공한 결과, 총 409인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단 한 건의 신규 HIV 감염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개입이 없었을 경우 예상되는 감염률(100인년당 1.23건)과 비교할 때 예방적 접근의 높은 효과를 보여준다.[19]

6. 군사 열대의학

역사적으로 미국 군대는 많은 열대 질병의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약 백만 명의 군인이 복무 중 열대 질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큰 피해를 본 군인들은 태평양 전쟁, 특히 필리핀과 뉴기니에서 복무한 이들이었다. 말라리아는 태평양 지역에서 특히 널리 퍼져 있었으며, 남부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군인들도 열대 질병에 걸렸다.[2] 현재 소외 열대 질환으로 알려진 많은 질병들도 당시 미군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여기에는 기생충 감염, 주혈흡충증, 뎅기열, 그리고 림프 사상충증 등이 포함되었다. 림프 사상충증은 뉴기니와 통가 제도에서 미군이 1억달러 규모의 철수를 결정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였다.[2]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시기에도 미군은 계속해서 열대 질병의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 군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질병은 말라리아와 뎅기열이었다. A형 간염, 쯔쯔가무시병, 그리고 구충 감염 역시 이 전쟁들에서 군인들이 겪었던 주요 열대 감염병 중 하나였다.[2]

열대 질병이 군대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막기 위해 미군은 약물, 백신 및 기타 질병 통제 방법을 개발하는 데 힘썼다. 월터 리드 육군 연구소(WRAIR), 해군 의학 연구 센터(NMRC) 및 관련 연구 센터에서 수행된 연구는 열대 질병에 대한 군대의 대비 태세를 크게 향상시켰다. 1967년, 로버트 필립스 대위는 콜레라의 치사율을 60%에서 1% 미만으로 크게 낮춘 정맥 주사(IV) 요법을 개발하여 래스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미군이 허가한 다른 주요 성과로는 A형 간염일본뇌염 백신 개발이 있으며,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메플로퀸과 말라론 같은 약물도 개발했다.[2]

미래를 대비하여 미군은 현재 말라리아,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뎅기열, 그리고 HIV/AIDS 백신에 대한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2] 그러나 군 예산의 대규모 삭감으로 인해 이러한 연구 센터들은 점점 더 적은 자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이미 많은 계약직 연구 인력을 잃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2]

참조

[1] 뉴스 Tropical medicine https://www.healthca[...] Health Careers 2015-04-07
[2] 논문 United States military tropical medicine: extraordinary legacy, uncertain future 2013-12-26
[3] 논문 In memory of Patrick Manson, founding father of tropical medicine and the discovery of vector-borne infections 2012-10
[4] 웹사이트 Tropical Medicine MD/MPH Program Requirements {{!}} School of Public Health and Tropical Medicine https://sph.tulane.e[...] 2017-08-03
[5] 뉴스 Mayo International Health Program – Tropical Medicine Courses http://www.mayo.edu/[...] Mayo Clinic 2018-02-25
[6] 웹사이트 WHO {{!}} HIV / AIDS https://www.who.int/[...] 2018-03-19
[7] 논문 Tropical medicine in the HIV/AIDS era 1997-06-01
[8] 논문 The double burden of communicable and non-communicable diseases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academic.oup[...] 2006-03
[9] 웹사이트 CDC – Malaria – About Malaria – Biology https://www.cdc.gov/[...] 2018-03-12
[10] 웹사이트 CDC – Malaria – About Malaria – Disease https://www.cdc.gov/[...] 2018-03-12
[11] 웹사이트 Fact Sheet: World Malaria Report 2016 https://www.who.int/[...] 2018-03-12
[12] 웹사이트 Tuberculosis {{!}} LSTM http://www.lstmed.ac[...] 2018-03-01
[13] 웹사이트 Basic TB Facts {{!}} TB {{!}} CDC https://www.cdc.gov/[...] 2018-03-19
[14] 뉴스 TB and HIV {{!}} Co-infection, statistics, diagnosis & treatment https://www.tbfacts.[...] TB Facts.org 2018-03-19
[15] 논문 Non-communicable diseas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context, determinants and health policy 2008-10
[16] 뉴스 Neglected Tropical Diseases: Progress and Challenges for the Post-2015 Development Era – Science in the News http://sitn.hms.harv[...] Science in the News 2018-02-26
[17] 웹사이트 CDC – Global Health – Neglected Tropical Diseases https://www.cdc.gov/[...] 2018-02-27
[18] 논문 Interdisciplinary approach at the primary healthcare level for Bolivian immigrants with Chagas disease in the city of São Paulo 2017-03
[19] 뉴스 Recent Findings in HIV/AIDS Described by Researchers from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HIV prevention and care services for female sex workers: efficacy of a targeted community-based intervention in Burkina Faso). http://link.galegrou[...] AIDS Weekly 2015-10-19
[20] 웹사이트 日本熱帯医学会 http://www.tm.nagasa[...] 2010-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