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인도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령 인도 육군은 1858년 세포이 항쟁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로부터 직접 통치권을 이양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이전에는 동인도 회사가 통제했으며, 영국 육군 부대와 함께 운영되었다. 1895년 통합 인도 육군이 창설되었고, 1903년 키치너 경의 개혁을 통해 단일 지휘 체계를 갖추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70만 명의 병력이 중동에서 복무했고, 서부 전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13,000개의 메달과 12개의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는 250만 명으로 증가하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원 군대가 되었으며, 다양한 전선에서 활약했다. 1947년 인도 분할로 부대와 자산이 인도 자치령과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되었으며, 영국령 인도 육군의 전통은 현재의 인도 육군에 계승되었다. 조직은 영국 육군의 영향을 받았으며, 계급 체계는 장교, 부사관, 병사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의 군사사 - 동아프리카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동아프리카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이탈리아군과 영국군 및 영연방군이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벌인 전투로, 영국군이 승리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를 점령하고 홍해 안전 확보와 중동 지역 방어에 기여했다. - 인도의 군사사 - 그레이트 게임
그레이트 게임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중앙아시아에서 영국과 러시아 간에 벌어진 지정학적 경쟁으로, 인도 통제권을 둘러싼 이해 충돌, 러시아의 남하정책, 영국의 지배 확장 야망이 얽혀 외교, 첩보, 군사 개입 등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소련 붕괴 후에는 새로운 강대국들의 경쟁이 '신 그레이트 게임'으로 불리기도 한다. - 인도의 군사사 - 세나파티
세나파티는 인도에서 유래되어 동남아시아에서 군사 지도자를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각 지역에서 군 사령관 또는 총사령관을 의미하는 직함으로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 영국령 인도 - 동벵골
1947년 인도 분할 후 파키스탄의 일부였다가 1955년 동파키스탄으로 이름이 바뀐 동벵골은 벵골 문화의 중심지로서 벵골어 운동 등의 변화를 겪고 1971년 방글라데시로 독립하였다. - 영국령 인도 - 암살단
암살단은 인도 아대륙 북부에서 여행자를 살해하고 강도질하던 집단으로, 손수건이나 올가미를 사용하여 교살하는 수법을 사용했으며, 19세기 중반 영국 식민지 시대에 소탕되었다.
영국령 인도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존속 기간 | 1895년 4월 1일–1947년 8월 15일 |
소속 | 영국 제국 |
국가 | 영국령 인도 |
종류 | 육군 |
규모 | 제1차 세계 대전: 약 1,500,000명 제2차 세계 대전: 약 2,500,000명 small: (각 분쟁 중 총 복무 인원) |
본부 | 인도 총사령부 |
장비 | 리엔필드 |
전투 | 제3차 영국-아프간 전쟁 제1차 모흐만드 전역 의화단 운동 티라 전역 영국 티베트 원정 마흐디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와지리스탄 전역 (1919년~1920년) 와지리스탄 전역 (1936년~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북서 변경 지대 (1858년–1947년)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1946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로버츠 경 키치너 경 윌리엄 버드우드 경 윌리엄 슬림 경 클로드 오킨레크 경 에드워드 퀴난 경 윌리엄 로크하트 경 |
역사 | |
이전 명칭 | 인도 정부 육군 |
사령부 | |
사령부 | 북부 사령부 동부 사령부 서부 사령부 남부 사령부 |
2. 역사
인도 육군은 세포이 항쟁이 종결된 1858년 영국 국왕이 동인도 회사로부터 영국령 인도의 직접 통치권을 넘겨받았을 때를 기원으로 한다. 1858년 이전에는 인도 육군의 전신 부대는 회사가 통제했으며, 회사의 수익으로 급여를 지급했다. 이들은 런던의 영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영국 육군 부대와 함께 운영되었다.[25][26]
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은 각자 고유의 총사령관을 두고 별도의 부대로 유지되었다. 전체 작전 통제는 벵골 육군의 총사령관이 행사했으며, 이 사람은 공식적으로 동인도 총사령관이었다.[27] 1861년부터 대부분의 장교 인력은 세 개의 관할 구역 참모대로 통합되었다.[28]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조사 위원회는 관할 구역 육군의 폐지를 권고했다. 군수품, 보급 및 수송, 급여 부서는 이때 통합되었다.[29]
펀자브 변경군은 1886년까지 평시에는 펀자브의 부총독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으며, 그 후 인도 총사령관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30] 하이데라바드 임시 부대 및 기타 현지 부대는 직접적인 정부 통제를 받았다.[31] 1889년에는 사단과 여단이 폐지되었다.[32] 평시에는 사단 참모가 유지되지 않았고, 병력은 아대륙 전체에 분산되어 내부 치안이 주요 기능이었다. 1891년 세 개의 참모대가 하나의 인도 참모대로 통합되었다.[33] 2년 후 마드라스 육군과 봄베이 육군은 총사령관 직책을 잃었다.[34]
1895년, 관할 구역 육군이 폐지되고 인도 육군이 창설되면서 벵골, 마드라스(버마 포함), 봄베이(신드, 퀘타, 아덴 정착지 포함), 펀자브(북서 변경 및 펀자브 변경군 포함)의 4개 지휘부로 묶였다. 각 지휘부는 인도 총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중장의 지휘를 받았다.[35] 관할 구역 육군은 1894년 10월 26일 육군부 명령 981호에 따라 1895년 4월 1일부터 폐지되어 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을 단일 인도 육군으로 통합했다.[25][26] 육군은 북부, 남부, 동부, 서부의 4개 사령부로 통합되었다. 인도 육군은 폭력 행위 진압과 폭동 및 반란 발생 시 민간 당국에 무력 지원을 제공했다. 새로 통합된 육군이 처음으로 직면한 대외 작전 중 하나는 1899년부터 1901년까지의 의화단 운동이었다.[27] 수많은 인도 군인들은 1900년 6월 10일부터 8월 14일까지 베이징 구제 및 국제 공사관에 기여한 공로로 "베이징 구제" 버클이 있는 중국 전쟁 메달 1900을 받았다.[30][31][29][32]
'''인도 육군''' ('''Indian Army''')이라는 단어가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시기 | 의미 |
---|---|
1857년 ~ 1894년 | 영국인 병사와 세포이로 구성된 "인도 정부군" |
1895년 ~ 1902년 | 벵골군, 마드라스군, 봄베이군 등 속령의 군대를 포함하는 개념 |
1903년 ~ 1947년 | 키치너의 개혁 이후 |
2. 1. 영국령 인도 육군 시기 (1858년 ~ 1947년)
세포이 항쟁이 종결된 1858년 영국 국왕이 동인도 회사로부터 영국령 인도의 직접 통치권을 넘겨받으면서 인도 육군이 시작되었다. 1858년 이전에는 인도 육군의 전신 부대는 동인도 회사가 통제했으며, 회사의 수익으로 급여를 지급했다. 이들은 런던의 영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영국 육군 부대와 함께 운영되었다.[25][26]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은 각자 고유의 총사령관을 두고 별도의 부대로 유지되었다. 전체 작전 통제는 벵골 육군의 총사령관이 행사했으며, 이 사람은 공식적으로 동인도 총사령관이었다.[27] 1861년부터 대부분의 장교 인력은 세 개의 관할 구역 참모대로 통합되었다.[28]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조사 위원회는 관할 구역 육군의 폐지를 권고했다. 군수품, 보급 및 수송, 급여 부서는 이때 통합되었다.[29]
펀자브 변경군은 1886년까지 평시에는 펀자브 부총독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으며, 그 후 인도 총사령관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30] 하이데라바드 임시 부대 및 기타 현지 부대는 직접적인 정부 통제를 받았다.[31] 1889년에는 사단과 여단이 폐지되었다.[32] 평시에는 사단 참모가 유지되지 않았고, 병력은 아대륙 전체에 분산되어 내부 치안이 주요 기능이었다. 1891년 세 개의 참모대가 하나의 인도 참모대로 통합되었다.[33] 2년 후 마드라스 육군과 봄베이 육군은 총사령관 직책을 잃었다.[34]
1895년, 관할 구역 육군이 폐지되고 인도 육군이 창설되면서 벵골, 마드라스(버마 포함), 봄베이(신드, 퀘타, 아덴 정착지 포함), 펀자브(북서 변경 및 펀자브 변경군 포함)의 4개 지휘부로 묶였다. 각 지휘부는 인도 총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중장의 지휘를 받았다.[35] 1894년 10월 26일 육군부 명령 981호에 따라 1895년 4월 1일부터 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을 단일 인도 육군으로 통합했다. 육군은 북부, 남부, 동부, 서부의 4개 사령부로 통합되었다. 인도 육군은 폭력 행위 진압과 폭동 및 반란 발생 시 민간 당국에 무력 지원을 제공했다. 새로 통합된 육군이 처음으로 직면한 대외 작전 중 하나는 1899년부터 1901년까지의 의화단 운동이었다.[36] 1900년 6월 10일부터 8월 14일까지 베이징 구제 및 국제 공사관에 기여한 공로로 "베이징 구제" 버클이 있는 중국 전쟁 메달 1900을 받았다.[37][38][39]

1903년 하르툼의 키치너 경이 인도 육군 사령관이 되면서 키치너 개혁이 시작되었고, 그는 3개의 육군을 통합했다. 또한 펀자브 변경군, 하이데라바드 파견대 및 기타 지역 부대를 하나의 인도 육군으로 통합했다.
개혁의 기본 원칙은 대외 침략에 대한 북서 변경 지역의 방어가 육군의 주요 역할이며, 모든 부대는 해당 변경 지역에서 그 역할에 대한 훈련과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육군의 조직은 평시와 전시가 동일해야 하며, 내부 치안 유지는 육군이 경찰을 지원하는 부차적인 역할이었다.[40] 키치너 경은 육군이 군사 기지에 여단 또는 연대 규모로 전국에 분산되어 있고,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 주둔군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1]
개혁된 인도 육군은 작전 편성으로 배치되어 인도 아대륙 북부에 집중될 예정이었다. 사령관의 계획은 북서 변경 지역을 통과하는 주요 축에 2개의 군단 사령부에 배치된 9개의 전투 사단을 요구했다. 5개 사단은 럭나우–페샤와르–카이베르 고개 축에 배치되고 4개 사단은 봄베이–모우–퀘타 축에 배치될 예정이었다.[42] 그러나 34개의 기지를 포기하고 제안된 군단 지역에 새로운 기지를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이 과도하게 높게 평가되어 계획을 수정해야 했다.[43]
1905년에 채택된 타협안에 따라, 4개의 기존 사령부는 3개로 축소되었고, 육군 본부와 함께 10개의 상비 사단과 4개의 독립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 북부 사령부: 제1 (페샤와르) 사단, 제2 (라왈핀디) 사단, 제3 (라호르) 사단, 코하트 여단, 반누 여단, 데라자트 여단
- 서부 사령부: 제4 (퀘타) 사단, 제5 (모우) 사단, 제6 (푸나) 사단, 아덴 여단
- 동부 사령부: 제7 (메르트) 사단, 제8 (럭나우) 사단
육군 본부는 제9 (세쿤데라바드) 사단과 버마 사단을 직접 통제했다.[44] 번호가 매겨진 사단은 동원 시 완전한 보병 사단, 기병 여단, 그리고 내부 치안 또는 지역 변경 방어를 위한 다수의 병력을 배치할 수 있도록 조직되었다. 상설 사단 사령부는 소장 휘하에 참모 장교들로 구성되었다.[45]

1909년에 개혁이 종료된 후, 인도 육군은 영국식으로 조직되었지만 장비는 부족했다. 인도 육군 사단은 각각 4개 대대로 구성된 3개의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3개 대대는 인도 육군 소속이었고, 1개 대대는 영국 소속이었다. 인도 대대는 종종 다른 부족, 카스트 또는 종교의 중대로 분리되었다. 인도 아대륙의 추정 인구 3억 1,500만 명 중에서 150만 명의 지원자가 나왔다.
연대 대대는 특정 사단이나 여단에 영구적으로 할당되지 않았고, 대신 한 편성에서 몇 년을 보내고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순환 배치는 모든 부대에게 변경 지역에서 실전 경험을 제공하고, 정적인 연대 기지에서 '지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46] 반대로, 사단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단일 인도 육군만 존재하며 모든 부대가 지역 기원과 상관없이 훈련받고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연대는 기병, 포병, 정규 보병, 구르카 라이플의 단일 서열로 재편되었다.[47] 연대 명칭은 이전의 대통령 육군에 대한 모든 언급을 제거하도록 변경되었다.[48] 적절한 경우 다른 식별 세부 사항을 떠올리는 하위 명칭이 채택되었다. (예: 제2 벵골 랜서 연대 → 제2 랜서 연대(가드너의 말))


1903년에 인도 참모대의 명칭이 폐지되었고, 이후 장교들은 '인도 육군'에 임명되었다. 전반적인 군사 정책, 평시 훈련 감독, 전쟁 수행 군사 작전, 내부 치안 또는 대외 군사 배치를 위한 병력 배치, 향후 작전 계획 및 정보 수집을 처리하기 위해 총참모부가 창설되었다. 1906년에는 군사 정책, 조직 및 배치, 동원 및 전쟁 계획, 정보 및 작전 수행을 처리하기 위해 일반 부서가 설립되었다. 참모 장교 훈련을 위해 인도 참모대학이 1905년에 설립되었고, 1907년부터 퀘타에 영구적으로 배치되었다.
중간 지휘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육군 본부는 사소한 행정 세부 사항으로 짓눌렸다. 사단 지휘관은 자신의 현역 부대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내의 내부 치안 및 의용군에 대한 책임도 졌다. 동원 시 사단 참모는 현장으로 이동하여 지역 행정을 유지할 사람이 없었다. 군수 지원이 부족했고, 현장 부대를 위해 의도된 많은 군대가 이전 기지에서 새로운 사단 지휘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분명해졌고 추가적인 재조직으로 이어졌다.
2. 1. 1.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영국령 인도 육군의 규모는 215,000명이었다. 전쟁 전에 인도 정부는 유럽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2개의 보병 사단과 1개의 기병 여단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34] 약 140,000명의 병사들이 서부 전선의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90,000명은 최전선 인도 군단에서, 약 50,000명은 보조 대대에서 복무했다.[35] 결국 4개 이상의 사단이 인도 원정군 A로 파견되어 1914년 서부 전선에 도착한 인도 군단과 인도 기병 군단을 구성했다.
이프르 전투에서 첫 교전을 치른 인도군의 쿠다다드 칸은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36] 다르완 싱 네기는 1911년 이후 인도인 최초로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았다.
거의 70만 명의 병력이 중동에서 복무하며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터키군과 싸웠다.[37] 이들은 재보급을 위한 수송 수단이 부족했고 극도로 덥고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찰스 타운센드 경 소장의 지휘를 받아 바그다드를 점령하기 위해 진격했지만 오스만군에게 격퇴되었다.
인도 육군은 서부 전선에서 누브 샤펠 전투등에서 활약 하였고, 갈리폴리 전투 및 시나이와 팔레스타인 전역에 참여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 전역의 쿠트 포위전에서 싸웠고 탕가 전투를 포함하여 동아프리카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인도 아대륙 출신 참가자들은 12개의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포함하여 13,000개의 메달을 받았다. 전쟁이 끝날 무렵 총 47,746명의 인도인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고, 65,126명이 부상을 입었다.[37]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국 군대"가 복무했으며, 이는 반자치 번왕국에서 제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약 21,000명이 징집되었으며, 주로 펀자브의 시크교도와 라지푸타나의 라지푸트 (예: 비카네르 낙타 군단 및 하이데라바드, 마이소르, 조드푸르 창기병대)로 구성되었다. 이 부대는 시나이와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활약했다.
영국령 인도 육군은 다음 전투에 참전했다.
- 서부 전선
- 갈리폴리 전투
- 메소포타미아 전선, 쿠트 포위전
2. 1. 2. 양차 대전 사이 (1918년 ~ 1939년)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영국령 인도 육군의 일부 부대는 투르크메니스탄 마리 주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말레손 원정과 러시아 내전의 연합국 개입 참조) 그 후, 군대는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0년대에 인도 영토군과 보조군 (인도)이 창설되었다. 인도 영토군은 군대 내의 시간제, 유급, 완전 자원 봉사 조직이었다. 그 부대는 주로 유럽인 장교와 인도인 기타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인도 영토군은 인도 방위군의 인도 부대를 대체하기 위해 1920년 인도 영토군법에 의해 창설되었으며,[38] 영국 영토군을 모델로 한 완전 자원 봉사 부대였다. 인도 영토군에 해당하는 유럽 부대는 보조군 (인도)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인도인들을 고위 장교 계급으로 진급시키는 인도화 과정을 시작했다. 192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영국령 인도 육군은 영국 출신 병사와 장교 64,669명, 인도 출신 병사 187,432명으로 구성되었다. 인도 사관생도들은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유학했으며, 국왕 임명 인도 장교로 정식 임관되었다. 국왕 임명 인도 장교는 모든 면에서 영국 임관 장교와 동등했으며, 영국군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인도인 부왕 위임 장교와는 달리). 일부 국왕 임명 인도 장교는 경력의 일부 기간 동안 영국군 부대에 배속되었다.
1922년, 전쟁 경험을 통해 130개의 독립된 단일 대대 보병 연대를 유지하는 것이 비실용적이라는 것이 드러난 후, 다수의 대형(4~5개 대대) 연대가 창설되었으며,[39] 다수의 기병 연대가 통합되었다. 인도 육군 연대 목록 (1922년)은 더 적은 수의 대형 연대를 보여준다. 1932년까지 영국 및 인도 육군 장교들은 대부분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았지만, 그 이후 인도 장교들은 그 해에 설립된 데라둔의 인도 육군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았다.
2. 1.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인도 육군은 205,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전쟁이 계속되면서 250만 명으로 증가하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원 군대가 되었다.[40] 이 과정에서 인도 제3군단, 인도 제4군단, 인도 제15군단, 인도 제21군단(1942년 중동에서 제10군과 함께 복무), 인도 제33군단, 인도 제34군단 등 6개의 군단이 창설되었다. 또한 제2사단, 제4사단, 제5사단, 제6사단, 제7사단, 제8사단, 제9사단, 제10사단, 제11사단, 제12사단, 제14사단, 제17사단, 제19사단, 제20사단, 제21사단, 제23사단, 제25사단, 제26사단, 제34사단, 제36사단(나중에 영국군으로 전환), 제39사단 등 인도 사단과 4개의 기갑 사단(제31사단, 제32사단, 제43사단, 제44사단)과 하나의 공수 사단(제44사단)이 편성되었다.


인도 육군은 동아프리카 전역, 북아프리카 전역, 이탈리아 전역, 버마 전역 등에서 추축군에 맞서 싸웠다. 특히 코히마 전투와 임팔 전투에서 일본군의 침공을 저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약 87,000명의 인도 군인이 사망했다. 이 기간 동안 31명의 인도인이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40]
독일군과 일본군은 인도 전쟁 포로로부터 전투 병력을 비교적 성공적으로 모집했다. 이들은 호랑이 군단과 인도 국민군(INA)으로 알려졌다. 인도 민족주의 지도자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4만 명 규모의 INA를 이끌었다. 1942년 2월 말라야와 싱가포르에서 포로로 잡힌 총 55,000명의 인도인 중 약 30,000명이 INA에 합류하여[41] 버마 전역에서 연합군과 싸웠다. 그러나 일부 인도 육군 병력은 모집에 저항하여 포로로 남았다.
2. 2. 인도 분할과 독립 이후 (1947년 ~ 현재)
1947년 인도 분할의 결과로 영국령 인도 육군의 부대, 부서, 자산 및 토착 인력은 인도 자치령과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되었다.[42] 1947년에는 영국령 인도 육군의 구르카 연대에 관한 최종 협정이 체결되었다. 동부와 서부 네팔에서 모집된 4개의 구르카 연대가 영국 육군에 합류하게 되었고, 나머지 6개 구르카 연대는 인도 자치령에 합류했다. 분할 이후의 과도기 동안 파키스탄에 있던 구르카 연대들은 그곳에서 복무했지만 결국 인도 본토로 이동했다.[44]분할은 영국령 인도 육군의 민족적 불균형을 줄였고, 이는 현재의 인도 육군이 되었다. 그러나 분할은 파키스탄 군대에 더 많은 민족적 불균형을 초래했는데, 이는 파키스탄이라는 새로운 민족 국가가 서 펀자브, NWFP, 동 벵골, 발루치스탄 및 신드를 합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파키스탄 육군은 이들 지역 중 두 곳에서 온 병사들로 주로 구성되었다.[45] 방글라데시 독립으로 파키스탄 육군에서 창설된 방글라데시 육군은 많은 영국령 인도 육군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1946년부터 1947년에 걸쳐 영국령 인도 육군은 영국 연방 점령군으로서 연합군 점령하의 일본에 주둔했다. 1947년의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에 따라 영국은 철수하고, 영국령 인도 육군은 인도 육군과 파키스탄 육군으로 분할되었다. 그러나 그 잔재는 영국 육군에도 남아있는데, 현재 보유하고 있는 4개의 구르카 연대가 그것이다.
3. 조직
1857년 인도 반란 이후, 1858년 영국 왕실이 동인도 회사로부터 직접 통치를 넘겨받으면서 인도 육군이 기원했다. 1858년 이전에는 인도 육군의 전신 부대는 회사가 통제하고 회사의 수익으로 급여를 지급받았다. 이들은 런던의 영국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영국 육군 부대와 함께 운영되었다.
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은 각자 고유의 총사령관을 두고 별도의 부대로 유지되었다. 전체 작전 통제는 벵골 육군의 총사령관이 행사했으며, 이 사람은 공식적으로 동인도 총사령관이었다. 1861년부터 대부분의 장교 인력은 세 개의 관할 구역 참모대로 통합되었다.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조사 위원회는 관할 구역 육군의 폐지를 권고했다. 군수품, 보급 및 수송, 급여 부서는 이때 통합되었다.
펀자브 변경군은 1886년까지 평시에는 펀자브 부총독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으며, 그 후 인도 총사령관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하이데라바드 임시 부대 및 기타 현지 부대는 직접적인 정부 통제를 받았다. 1889년에는 더 높은 편제인 사단과 여단이 폐지되었다. 평시에는 사단 참모가 유지되지 않았고, 병력은 아대륙 전체에 분산되어 내부 치안이 주요 기능이었다. 1891년 세 개의 참모대가 하나의 인도 참모대로 통합되었다.
2년 후 마드라스 육군과 봄베이 육군은 총사령관 직책을 잃었다.
1895년, 관할 구역 육군이 폐지되고 인도 육군이 창설되면서 벵골, 마드라스(버마 포함), 봄베이(신드, 퀘타, 아덴 정착지 포함), 펀자브(북서 변경 및 펀자브 변경군 포함)의 4개 지휘부로 묶였다. 각 지휘부는 인도 총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중장의 지휘를 받았다.
관할 구역 육군은 1894년 10월 26일 육군부 명령 981호에 따라 1895년 4월 1일부터 폐지되어 세 개의 관할 구역 육군을 단일 인도 육군으로 통합했다.[25][26] 육군은 북부, 남부, 동부, 서부의 4개 사령부로 통합되었다. 인도 육군은 관할 구역 육군과 마찬가지로, 폭력 행위 진압과 폭동 및 반란 발생 시 민간 당국에 무력 지원을 제공했다.
키치너 경이 1903년 새로 임명된 인도 육군 사령관이 되면서 키치너 개혁이 시작되었고, 그는 3개의 전 육군을 통합했다. 또한 펀자브 변경군, 하이데라바드 파견대 및 기타 지역 부대를 하나의 인도 육군으로 통합했다.
개혁의 기본 원칙은 대외 침략에 대한 북서 변경 지역의 방어가 육군의 주요 역할이며, 모든 부대는 해당 변경 지역에서 그 역할에 대한 훈련과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육군의 조직은 평시와 전시가 동일해야 하며, 내부 치안 유지는 육군이 경찰을 지원하는 부차적인 역할이었다.
키치너 경은 육군이 군사 기지에 여단 또는 연대 규모로 전국에 분산되어 있고, 사실상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 주둔군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혁된 인도 육군은 작전 편성으로 배치되어 인도 아대륙 북부에 집중될 예정이었다. 사령관의 계획은 북서 변경 지역을 통과하는 주요 축에 2개의 군단 사령부에 배치된 9개의 전투 사단을 요구했다. 5개 사단은 럭나우–페샤와르–카이베르 고개 축에 배치되고 4개 사단은 봄베이–모우–퀘타 축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34개의 기지를 포기하고 제안된 군단 지역에 새로운 기지를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이 과도하게 높게 평가되어 계획의 해당 측면을 수정해야 했다.
1905년에 채택된 타협안에 따라, 4개의 기존 사령부는 3개로 축소되었고, 육군 본부와 함께 10개의 상비 사단과 4개의 독립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사령부 | 구성 |
---|---|
북부 사령부 | 제1 (페샤와르) 사단, 제2 (라왈핀디) 사단, 제3 (라호르) 사단, 코하트 여단, 반누 여단, 데라자트 여단 |
서부 사령부 | 제4 (퀘타) 사단, 제5 (모우) 사단, 제6 (푸나) 사단, 아덴 여단 |
동부 사령부 | 제7 (메르트) 사단, 제8 (럭나우) 사단 |
육군 본부는 제9 (세쿤데라바드) 사단과 버마 사단을 직접 통제했다. 번호가 매겨진 사단은 동원 시 완전한 보병 사단, 기병 여단, 그리고 내부 치안 또는 지역 변경 방어를 위한 다수의 병력을 배치할 수 있도록 조직되었다. 상설 사단 사령부는 소장 휘하에 참모 장교들로 구성되었다.
]1909년에 개혁이 종료된 후, 인도 육군은 영국식으로 조직되었다. 인도 육군 사단은 각각 4개 대대로 구성된 3개의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3개 대대는 인도 육군 소속이었고, 1개 대대는 영국 소속이었다. 인도 대대는 종종 다른 부족, 카스트 또는 종교의 중대로 분리되었다.
연대 대대는 특정 사단이나 여단에 영구적으로 할당되지 않았고, 대신 한 편성에서 몇 년을 보내고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순환 배치는 모든 부대에게 변경 지역에서 실전 경험을 제공하고, 정적인 연대 기지에서 '지역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반대로, 사단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단일 인도 육군만 존재하며 모든 부대가 지역 기원과 상관없이 훈련받고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연대는 기병, 포병, 정규 보병, 구르카 라이플의 단일 서열로 재편되었다. 연대 명칭은 이전의 대통령 육군에 대한 모든 언급을 제거하도록 변경되었다. 적절한 경우 다른 식별 세부 사항을 떠올리는 하위 명칭이 채택되었다.
구르카 연대는 1861년부터 자체 소총 연대로 발전했다. 이들은 벵골 육군의 이전 제42, 43, 44 구르카 연대가 제6, 7, 8 구르카 라이플이 되기 전까지 5개였다. 42, 43, 44번은 각각 데올리, 에린푸라 불규칙 부대와 메르와라 대대(라지푸타나)에 할당되었다.
산 포대는 이미 2년 전에 번호를 잃었다. 1903년 개혁에 따라 원래 번호에 20을 더하여 다시 번호가 매겨졌다. 육군은 포병이 거의 없었고(단 12개의 산 포병 포대), 왕립 인도 포병 포대가 사단에 배속되었다. 인도 육군 공병대는 마드라스, 벵골, 봄베이 공병 그룹으로 구성되어 각 관할 구역에서 형성되었다.
기병 소대와 보병 중대로 구성된 펀자브 변경선 부대 퀸스 온 가이드 연대는 퀸스 온 가이드 연대(럼스덴의)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번호는 유지하지 않았다. 새로운 연대 번호와 명칭은 1903년 10월 2일자 ''인도 육군 명령 181''에 통지되었다.
1903년에 인도 참모대의 명칭이 폐지되었고, 이후 장교들은 단순히 '인도 육군'에 임명되었다. 그 후 전반적인 군사 정책, 평시 훈련 감독, 전쟁 수행 군사 작전, 내부 치안 또는 대외 군사 배치를 위한 병력 배치, 향후 작전 계획 및 정보 수집을 처리하기 위해 총참모부가 창설되었다. 기능은 영국식으로 두 개의 부서로 나뉘었다. 훈련, 징계 및 인사를 다루는 부관총장과 보급, 숙소 및 통신을 다루는 군수총장이었다. 1906년에는 군사 정책, 조직 및 배치, 동원 및 전쟁 계획, 정보 및 작전 수행을 처리하기 위해 일반 부서가 설립되었다. 참모 부서의 장들은 참모총장에게 답변했으며, 그 직책은 중장이 맡았다. 참모 장교 훈련을 위해 인도 참모대학이 1905년에 설립되었고, 1907년부터 퀘타에 영구적으로 배치되었다.
중간 지휘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육군 본부는 사소한 행정 세부 사항으로 짓눌렸다. 사단 지휘관은 자신의 현역 부대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내의 내부 치안 및 의용군에 대한 책임도 졌다. 동원 시 사단 참모는 현장으로 이동하여 지역 행정을 유지할 사람이 없었다. 군수 지원이 부족했고, 현장 부대를 위해 의도된 많은 군대가 이전 기지에서 새로운 사단 지휘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분명해졌고 추가적인 재조직으로 이어졌다.
'''인도 육군''' ('''Indian Army''')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바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 1857–1894
- '''인도 육군'''은 영국인 병사와 인도인 병사(세포이)로 구성된 "인도 정부군"을 의미했다.
- 1895–1902
- '''인도 육군'''은 벵골군, 마드라스군, 봄베이군 등 속령의 군대도 포함하는 개념이 되었다.
- 1903–1947
- 키치너의 개혁으로
- '''인도군'''은 "''해외 영국인 장교와 함께, 인도에서 징집되어, 영구적으로 인도를 거점으로 하는 군대''"가 되었다[47]。
- 재인 영국 육군 ('''British Army in India''')은 인도에 주둔하는 영국군 부대를 의미한다.
- 재인 육군 ('''Army of India''')은 '''인도 육군'''과 '''재인 영국 육군''' 양쪽으로 구성되었다.
4. 계급 및 복무
인도 육군의 계급 체계는 영국 육군의 계급 체계를 따르고 있으며, 크게 장교, 부사관, 병사로 구성된다.
장교
- 영국 및 인도 출신 위관급 장교: 영국 육군의 위관급 장교와 동일한 계급을 가졌다.
- 국왕 위임 인도 장교(KCIO): 1920년대부터 창설되었으며, 영국 장교와 동등한 권한을 가졌다.[39]
- 부왕 위임 장교(VCO): 인도인 장교 계급으로, 인도군에 대한 지휘권은 있었으나 모든 영국 국왕(및 여왕) 위임 장교와 KCIO의 지휘를 받았다.
- 수베다르 메이저(소령 해당) 또는 리살다르 메이저(기병, 소령 해당)
- 수베다르(대위 해당) 또는 리살다르(기병, 대위 해당)
- 제마다르(소위 해당)
부사관
- 중대 하빌다르 메이저(중대 상사 해당)
- 중대 군수 하빌다르(중대 군수 상사 해당)
- 하빌다르 또는 다파다르(기병, 상사 해당)
- 나이크 또는 랜스-다파다르(기병, 병장 해당)
- 랜스-나이크 또는 대행 랜스-다파다르(기병, 하사 해당)
병사
1857년 인도 봉기 이후, 영국은 펀자브 지역을 중심으로 시크교도, 아완족, 가카르족, 기타 펀자브인 무슬림, 발로흐족, 파슈툰족 등 "전투 종족"으로 분류된 이들을 중심으로 병력을 모집했다.
인도 육군의 복무는 전적으로 자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약 175만 명이 참전하여 많은 병력이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는 250만 명이 참전했다.
계급 그룹 | 장성급 장교 | 영관급 장교 | 위관급 장교 | |||||||||
---|---|---|---|---|---|---|---|---|---|---|---|---|
영국령 인도 육군 견장 계급장 | ||||||||||||
계급 | 원수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사관후보생 |
약어 | FM | Gen | LtGen | MajGen | Brig | Col | LtCol | Maj | Capt | Lt | 2Lt | OCdt |
계급 그룹 | 자국 장교 | ||
---|---|---|---|
영국령 인도 육군 견장 계급장 | |||
계급 | 수베다르 메이저 | 수베다르 | 제마다르 |
약어 | SubMaj | Sub | Jem |
계급 그룹 | 선임 부사관 | 하사관 | 사병 | |||||
---|---|---|---|---|---|---|---|---|
영국령 인도 육군 견장 계급장 | 계급장 없음 | |||||||
계급 | 연대 하빌다르 메이저 | 연대 군수참모 하빌다르 | 중대 하빌다르 메이저 | 중대 군수참모 하빌다르 | 하빌다르 | 나이크 | 랜스 나이크 | 세포이 (또는 동급) |
약어 | RHM | RQMH | CHM | CQMH | Hav | Nk | LNk | Sep |
참조
[1]
서적
The Flags of our Fighting Army
https://www.gutenber[...]
A & C Black
[2]
웹사이트
"King's Colour, 2nd Battalion, 17th Dogra Regiment, 1926-1947 (c)"
https://collection.n[...]
National Army Museum
2024-09-16
[3]
웹사이트
History of South Command
http://indianarmy.ni[...]
Indian Army
2010-01-04
[4]
웹사이트
Independence and Partition, 1947
https://www.nam.ac.u[...]
National Army Museum
2024-09-08
[5]
서적
Army of Empire: The Untold Story of the Indian Army in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8
[6]
웹사이트
Warfare 1914-1918 (India)
https://encyclopedia[...]
2024-09-08
[7]
서적
India's War: World War II and the Making of Moder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6
[8]
서적
The Indian Army on the Western Fro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Behind the photographs: Indian Army Recruitment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iwm.org.[...]
2024-09-07
[10]
웹사이트
Indian Army personnel
https://www.national[...]
2021-12-04
[11]
웹사이트
History of South Command
http://indianarmy.ni[...]
Indian Army
2010-01-04
[12]
웹사이트
Faithful Fighters
https://www.sup.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4-09-15
[13]
웹사이트
A Matter of Military Honour
https://forceindia.n[...]
Force: National Security and Aerospace Newsmagazine
2024-09-16
[14]
웹사이트
Commands Of The Indian Army
https://www.centrefo[...]
Centre for Defence Careers
2024-09-16
[15]
웹사이트
Warfare 1914-1918 (India)
https://encyclopedia[...]
2024-09-08
[16]
서적
India's War: World War II and the Making of Moder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6
[17]
서적
The Flags of our Fighting Army
https://www.gutenber[...]
A & C Black
[18]
서적
The Political System of British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cent Constitutional Cha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22
[19]
서적
World Armi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Publishers
1983
[20]
간행물
Military Loyalty in the Colonial Context: A Case Study of the Indian Army during World War II
https://muse.jhu.edu[...]
2009
[21]
서적
The Indian Army in the Two World War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2]
웹사이트
A Matter of Military Honour
https://forceindia.n[...]
Force: National Security and Aerospace Newsmagazine
2024-09-16
[23]
웹사이트
Reconstitution of the Armed Services
https://archive.pib.[...]
2021-01-02
[24]
웹사이트
Independence and Partition, 1947
https://www.nam.ac.u[...]
National Army Museum
2024-09-08
[25]
웹사이트
History of South Command
http://indianarmy.ni[...]
Indian Army
2010-01-04
[26]
서적
Indian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Government of India: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1941
[27]
서적
The Boxer Rebellion: The Dramatic Story of China's War on Foreigners That Shook the World in the Summer of 190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8]
서적
British Battles & Medals
https://archive.org/[...]
Spink
1988
[29]
서적
War Medals and Their History
https://www.gutenber[...]
Stanley Paul & Co
[30]
웹사이트
Eight-Nation Alliance Bronze China War Medal (Full Size, With Relief of Pekin Clasp)
https://www.legends.[...]
Legends Museum
2024-09-18
[31]
서적
The Medal Yearbook 2014
https://archive.org/[...]
Token Publishing Limited
2015-09-14
[32]
웹사이트
China War Medal 1900
http://www.onlinemed[...]
Online Medals
2024-09-18
[33]
웹사이트
Two Sowars of the 15th Lancers (Cureton's Multanis), 1915
https://collection.n[...]
National Army Museum
[34]
웹사이트
The Indian Army 1914 v. 1
http://orbat.com/sit[...]
2009-09-09
[35]
웹사이트
Exhibitions & Learning online ¦ First World War ¦ Service records
http://www.nationala[...]
The National Archives
2012-11-20
[36]
간행물
Lastpost, p. 19 and Crampton McKenzie, ''Eastern Epic'' vol. 1, p. 31, note 4
[37]
웹사이트
Participants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in the First World War
http://www.mgtrust.o[...]
Memorial Gates Trust
2009-09-12
[38]
뉴스
Indian Auxiliary Forces: A Territorial Scheme
The Times
1920-10-01
[39]
서적
The Indian Army
Blandford
[40]
서적
Last Post: Indian War Memorials Around the World
https://www.mea.gov.[...]
Centre for Armed Forces Historical Research, United Service Institution of India
[41]
웹사이트
'Great in adversity': Indian prisoners of war in New Guinea
http://www.awm.gov.a[...]
[42]
서적
The Indian Listener
https://books.google[...]
All India Radio
1946-02-22
[43]
서적
Army and Nation: The Military and Indian Democracy Since Independ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Indian Army and the End of the Raj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Army and Nation: The Military and Indian Democracy Since Independ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Stringer Lawrence, the Father of the Indian Army
J. Murray
[47]
문서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Army
[48]
웹인용
Indian Army personnel
https://www.national[...]
2021-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