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군사 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군사 기지는 군대가 주둔하며 군사 활동을 수행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탄약창, 병영, 해군기지, 공군기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군사 기지는 육군, 해군, 공군 등 특정 군이 사용하는 시설로 구분되거나, 군수품 보관, 군인 주거 시설, 병원, 학교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기도 한다. 또한, 해외에 위치한 군사 기지는 주둔국의 군대가 사용하는 시설로, 전략적, 물류적 이유로 호스트 국가와의 조약을 통해 설립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시설 - 무기고
    무기고는 무기, 탄약, 군수품 등을 보관하고 제조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영국과 프랑스 등 여러 지역에 존재했다.
  • 군사 시설 - 대전차 방호벽
    대전차 방호벽은 적 전차의 진격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군사적 장애물로, 대한민국에서는 북한의 기갑 전력 남침에 대비하여 휴전선 인근 지역에 설치되었으나, 효용성 논란으로 점진적으로 철거되거나 안보 교육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군사 기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군사 시설
소유 및 운영군대
같이 보기
관련 항목군사
군사 작전
군사 조직
군사 정책
군사 계획
군사 기술
군사 문화
군사 역사
군사 용어
군사 훈련
군사 장비
군사 시설
군사 지역
군사 기지 목록
영문 정보
영어military base
기타군사 시설

2. 명칭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은 군사 기지에서 발생하는 군사 활동의 유형을 가리킨다.

핀란드 라펜란타의 라쿠우나매키 군사 지역 표지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은 기지에서 이루어지는 군사 활동의 유형과 부대의 전통적인 명명법을 나타낸다.

군사 기지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3. 분류

일반적으로 군사 기지는 군사 활동 유형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란의 다양한 군사 시설 – 2002


'군사'라는 단어의 다양한 의미에 따라, "군사 기지"는 국가의 군대 또는 준군사 조직(경찰, 헌병대, 민병대, 주방위군 등)이 주둔하는 (일반적으로 영구적인) 시설을 가리키거나, 육군(또는 해병대와 같은 다른 지상전투 관련 부대)만이 사용하는 시설을 가리킬 수 있다.[1]

군사 기지는 군수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많은 양의 군수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대부분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보통 군인이나 그 친척, 허가된 민간인만 출입할 수 있다.[1]

3. 1. 육군 기지

주둔지육군이나 해병대와 같은 지상 전투 부대가 사용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공군이나 해군이 사용하는 기지는 포함되지 않는다.

3. 2. 해군 기지

해군이 사용하는 영구적인 군사 기지의 몇 가지 예로는 영국 포츠머스의 HMNB 포츠머스, 미국 워싱턴 주의 휘드비 섬 해군항공기지 등이 있다. 비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인 군사 기지의 다른 예로는 전방 작전 기지(FOB), 군수 기지(Log base) 등이 있다.[1] 러시아어에서 "해군 기지"는 특정 울타리로 묘사된 시설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개별 시설이 위치할 수 있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 러시아 세바스토폴 해군 기지는 세바스토폴 시 내에 위치한 개별 시설(수변 정박 시설, 무기 창고, 본부 건물 및 해병대 기지)과 도시 북쪽 카차의 비행장으로 구성된다. 2) 레닌그라드 해군 기지는 훈련학교, 취역 연구소, 해군사관학교 및 콜틴 섬의 크론시타트 기지를 포함한 그레이터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모든 해군 시설로 구성된다.[1]

3. 3. 공군 기지

1990년 미 공군 스팡달렘 공군기지의 일부


공군 기지는 공군이 사용하는 군사 기지로, 군용비행장을 포함한다. 미국 공군 예비군이 사용하는 기지는 보통 현역 미 공군 기지이지만, 조지아주 도빈스 공군 예비기지나 인디애나주 그리섬 공군 예비기지처럼 예전에 현역 기지였던 곳도 있다. 공군 주방위군 시설은 민간 공항의 안전한 주둔지 구역에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미 공군 기지에 함께 있기도 하고, 미시간주 셀프리지 공군주방위기지처럼 공군 주방위군이 운영하는 기지도 있다.

공군 주방위군과 공군 예비군 시설은 현역 기지만큼 지원 시설이 다양하지 않은 편이다. 예를 들어 기지 내 숙소(오리건주의 킹즐리 필드 공군주방위기지는 예외), 진료소(훈련일 제외), 소매점(작은 편의점 정도) 등이 없는 경우가 많다.

공군 기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공군 비행장
  • 레이더 기지
  • 미사일 기지 (방공 미사일, 탄도탄 사일로)

3. 4. 해병대 기지

해병대는 육상 전투를 담당하는 부대이므로, 해병대 기지는 육군 기지와 유사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1]

3. 5. 기타 시설

군사 기지에는 주 목적의 시설 외에도 군인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설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설 종류설명비고
주거 시설군인들을 위한 주택
통신 시설우체국
식당일반 식당, 패스트푸드점
상업 시설주유소, 은행, 중고품점, 소매점 (슈퍼마켓, 백화점)위탁판매점, AAFES (미군)
종교 시설예배당
교육 시설학교
의료 시설병원, 진료소 (치과, 건강 진료소, 수의 진료소)
숙박 시설
오락 시설영화관, 피트니스 센터, 도서관, 골프장, 여행 센터, 지역 사회 봉사 센터, 야영장, 아동 발달 센터, 청소년 센터, 자동차 정비소, 취미/공예 센터, 볼링장, 지역 사회 센터미군 시설은 가족, 사기, 복지 및 레크리에이션(FMWR) 프로그램의 일환



미국 공군 예비군이 사용하는 기지는 보통 현역 미 공군 기지이지만, 조지아주 도빈스 공군 예비기지, 인디애나주 그리섬 공군 예비기지처럼 과거 현역 기지였던 곳도 있다. 공군 주방위군 시설은 민간 공항의 안전한 주둔지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미 공군 기지에 함께 있기도 하다. 미시간주 셀프리지 공군주방위기지처럼 공군 주방위군이 운영하는 기지도 있다. 공군 주방위군과 공군 예비군 시설은 현역 기지에 비해 지원 시설이 제한적인 편이다. (예: 기지 내 숙박 시설 (킹즐리 필드 공군주방위기지는 예외), 진료소 (훈련일 제외), 소매점 (일부 작은 편의점) 등이 없는 경우가 많다.)

러시아어에서 "군사 기지" 또는 "해군 기지"는 울타리로 둘러싸인 시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개별 시설이 위치한 넓은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러시아 세바스토폴 해군 기지는 세바스토폴 시내의 여러 시설(정박 시설, 무기 창고, 본부 건물, 해병대 기지)과 도시 북쪽 카차의 비행장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레닌그라드 해군 기지는 그레이터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모든 해군 시설(훈련학교, 취역 연구소, 해군사관학교, 콜틴 섬의 크론시타트 기지)을 포함한다.

4. 법적 관할권 (미국)

미국 내 군사 기지는 연방 소유지로 간주되며 연방법의 적용을 받는다. 군 기지에 거주하는 민간인(예: 군 장교의 가족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기지가 위치한 주의 민법형법의 적용을 받는다.[2] 군 기지는 작은 전초 기지부터 최대 10만 명의 인구를 가진 군사 도시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군 기지는 주변 지역과 다른 국가 또는 주에 속할 수 있다.

5. 각국의 군사 기지

세계 각국의 군사 기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미국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우주군의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 * 미국 해군 육상 시설 목록
  • * 미국 해병대 육상 시설 목록
  • * 미국 공군 기지 목록
  • * 미국 우주군 기지 목록

  • 18세기와 19세기에 왕립 공병대는 영국 제도와 영국 제국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792년, 수석 공병은 의회에 병영 건설 예산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동시에 막사 감독관 부서가 설립되었다. 184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왕립 공병대의 감독하에 다음 지역에 막사가 건설되었다.


지역건설 연도
브리스틀1847년
프레스턴1848년
런던탑1851년
쉬어니스1854년
셰필드1854년
커러 캠프1855년
데번포트1856년
첼시1861년



카드웰 개혁(1872)은 알더숏, 포츠머스, 플리머스, 런던, 워킹, 울리치, 더블린, 벨파스트, 몰타, 지브롤터희망봉에서 집중적인 막사 건설의 또 다른 시대를 열었다. 1959년, 군단의 작업 서비스는 민간 전쟁부 공사 기구(후에 재산 서비스 기관(PSA)으로 개명됨)로 이관되었고, 1965년까지 전 세계의 공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특수팀 왕립 공병(STRE)이 구성되었다. 일부 영국 및 영연방 해군 기지는 전통적으로 해군 함선인 것처럼 명명되고, 임관되고, 관리된다. 이러한 이유로 때로는 석조 프리깃이라고 불린다.


  • 프랑스군 기지는 다음과 같다.
  • * 프랑스 육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육군#조직을 참고.
  • * 프랑스 해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해군#주요 기지·시설을 참고.
  • * 프랑스 공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공군#일반 병력을 참고.

  • 러시아 해외 주둔군에 대해서는 러시아 연방군 해외 주둔 부대 목록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1. 미군 기지

미국은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우주군의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 미국 해군 육상 시설 목록
  • 미국 해병대 육상 시설 목록
  • 미국 공군 기지 목록
  • 미국 우주군 기지 목록

5. 1. 1. 주한미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주한미군'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5. 2. 영국군 기지

18세기와 19세기에 왕립 공병대는 영국 제도와 영국 제국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792년, 수석 공병은 의회에 병영 건설 예산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동시에 막사 감독관 부서가 설립되었다.

184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왕립 공병대의 감독하에 다음 지역에 막사가 건설되었다.

지역건설 연도
브리스틀1847년
프레스턴1848년
런던탑1851년
쉬어니스1854년
셰필드1854년
커러 캠프1855년
데번포트1856년
첼시1861년



카드웰 개혁(1872)은 알더숏, 포츠머스, 플리머스, 런던, 워킹, 울리치, 더블린, 벨파스트, 몰타, 지브롤터희망봉에서 집중적인 막사 건설의 또 다른 시대를 열었다.

1959년, 군단의 작업 서비스는 민간 전쟁부 공사 기구(후에 재산 서비스 기관(PSA)으로 개명됨)로 이관되었고, 1965년까지 전 세계의 공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특수팀 왕립 공병(STRE)이 구성되었다.

일부 영국 및 영연방 해군 기지는 전통적으로 해군 함선인 것처럼 명명되고, 임관되고, 관리된다. 이러한 이유로 때로는 석조 프리깃이라고 불린다.

5. 3. 프랑스군 기지


  • 프랑스 육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육군#조직을 참고.
  • 프랑스 해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해군#주요 기지·시설을 참고.
  • 프랑스 공군에 대해서는 프랑스 공군#일반 병력을 참고.

5. 4. 러시아군 기지

러시아 해외 주둔군에 대해서는 러시아 연방군 해외 주둔 부대 목록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6. 해외 군사 기지

해외 군사 기지는 해당 기지의 주요 점유자인 국가의 군대 영토 외부에 지리적으로 위치한 군사 기지이다.

이러한 기지는 보통 전략적 및 물류적 이유로 호스트 국가에 군사 기지를 설립해야 하는 다른 국가와 호스트 국가의 지배 권력 간의 조약에 의해 설립될 수 있다.

또한, 해외 군사 기지는 기지 점유 군인의 자녀들이 호스트 국가에서 태어나거나 자라지만 점유 군대의 본국에 대한 부모의 지식이 제한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군인 자녀 하위 문화의 근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

군 기지 외부에서 군인들에게 제공되는 민간 서비스

7. 영국 군사 기지

18세기와 19세기에 왕립 공병대는 영국 제도와 영국 제국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792년, 수석 공병은 의회에 병영 건설 예산을 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동시에 막사 감독관 부서가 설립되었다.

184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왕립 공병대의 감독하에 다음 지역에 막사가 건설되었다.

지역건설 연도
브리스틀1847년
프레스턴1848년
런던탑1851년
쉬어니스1854년
셰필드1854년
커러 캠프1855년
데번포트1856년
첼시1861년



카드웰 개혁(1872)은 알더숏, 포츠머스, 플리머스, 런던, 워킹, 울리치, 더블린, 벨파스트, 몰타, 지브롤터희망봉에서 집중적인 막사 건설의 또 다른 시대를 열었다.

1959년, 군단의 작업 서비스는 민간 전쟁부 공사 기구(후에 재산 서비스 기관(PSA)으로 개명됨)로 이관되었고, 1965년까지 전 세계의 공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특수팀 왕립 공병(STRE)이 구성되었다.

일부 영국 및 영연방 해군 기지는 전통적으로 해군 함선인 것처럼 명명되고, 임관되고, 관리된다. 이러한 이유로 때로는 석조 프리깃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base definition https://www.collinsd[...] 2018-04-03
[2] 뉴스 Smoke a Joint in the These States, But Not On Base https://www.military[...] 2016-1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