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기마치산조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기마치산조가는 가마쿠라 시대에 산조 킨우지를 시조로 시작된 일본의 씨족이다. 5대 오기마치산조 킨히데의 딸이 고곤 천황의 후궁이 되면서 내대신까지 배출하며 대신가를 형성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쇼군가와 연을 맺었지만, 오닌의 난을 거치며 가세가 기울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사가 가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화족이 되었으며, 사가 히로는 만주국의 황족 푸제와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기마치산조가 - 사가 긴토
    사가 긴토는 일본 제국의 귀족으로 귀족원 후작 의원을 지냈으며, 아버지로부터 가독 상속 후 백작, 후작 작위를 받았고, 귀족원 의원으로서 30년 이상 재직하며 훈장 등을 수여받고 정삼위에 서위되는 등 귀족으로서의 삶을 누렸다.
  • 공가 가문 - 다카쓰카사가
    다카쓰카사가는 가마쿠라 시대에 창설되어 모란 문양을 사용했으며, 센고쿠 시대에 단절되었다가 재건되었고,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쇼군가의 오토다이도코로를 배출했으며, 메이지 시대에 공작 작위를 받은 일본의 귀족 가문이다.
  • 공가 가문 - 사이온지가
    후지와라노 킨자네의 아들 사이온지 미치스에를 시조로 하는 사이온지 가는 막부와의 소통, 황실과의 혼인, 비파 제작 가문으로서의 명맥 유지, 그리고 사이온지 긴모치의 메이지 유신 공헌과 내각총리대신 역임 등을 통해 일본 역사 속에서 영향력을 이어온 귀족 가문이다.
  • 공가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공가 - 공경
    공경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여 일본 궁중 관리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율령 체제에서 대신들을 포함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 제도가 창설되면서 폐지되었다.
오기마치산조가
가문 정보
가문명정친정삼조가 (嵯峨家)
가나오오기마치산조케 (사가케)
가몬오기마치 렌교 (正親町連翹)
본성후지와라 북가간인류산조 서류
시조오기마치산조 긴우지
종별공가 (대신가)
화족 (후작)
출신지야마시로국헤이안쿄
근거지야마시로국 헤이안쿄
도쿄부도쿄시
주요 인물오기마치산조 히데코
오기마치산조 사네마사
오기마치산조 긴쓰무
오기마치산조 사네나루
사가 히로
분가산조니시가 (대신가, 백작)
하나조노가 (우림가, 자작)
도다씨? (무가, 백작)

2. 역사

좌대신 산조 사네후사의 셋째 아들 킨우지를 시조로 한다. 사네후사의 장남 킨후사가 계승한 본가 산죠가와 구별하기 위해 킨우지류를 오기마치산조가로 불렀는데, 이 가명이 정착된 것은 7대 킨토요 무렵으로 여겨진다. '오기마치'는 저택이 오기마치 히가시노토우인에 접해있던 것에서 유래한다.[1] 킨우지는 오기마치산조 외에도 보리사나 별저택이 있던 지명인 사가(嵯峨)와 니시무라(西郊)를 칭하기도 했다.

가업은 절화・관주・서위・제목 등 4가지 중요한 일과 유직고실이다. 고노에가의 가신[1]으로, 에도 시대 가록은 200석이었고,[4] 나이나이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 화족이 되었고, 1884년 화족령으로 백작이 되었으나, 4년 후 메이지 유신에서 사네나루의 공으로 후작으로 서임되었다.[6]

분가인 산죠니시가와 함께 본가 산죠가의 대가 끊겼을 때 양자를 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묘소는 교토시 사가의 보리사 니손인에 있다.

오기마치산조가의 계보는 황실과 연결되어 있다. 5대 킨히데의 외손자가 스코 천황고코곤 천황이며, 스코 천황의 계통은 지금의 황실까지 이어졌다. 또한 렌시의 후시미노미야 계통을 통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황적이탈한 구황족 11궁가에도 연결되어 있었다. 25대 사네토모와 26대 킨노리의 외5세손으로 다이쇼 천황이 있으며, 여기서도 오늘날의 황실로 연결되어 있다.

막부 말기 사네나루는 기소, 코쿠지고요가카리를 지냈으며, 존왕양이파에게 적대시되어 한때 실각했으나, 메이지 신정부 수립에 공을 세워 요직을 역임했다.

1870년 사네나루는 가명을 사가(嵯峨)로 고쳤다.[1] 그의 아들 킨토1884년 백작이 되었으나,[6] 1888년 아버지 사네나루의 공훈으로 후작이 되었다. 30대 사네토의 장녀 히로는 만주국 황제이자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아이신기오로 푸이의 동생 푸계와 결혼했다.[7]

2. 1. 가문의 성립과 발전 (가마쿠라 시대 ~ 무로마치 시대)

좌대신 산조 사네후사의 셋째 아들 킨우지를 시조로 한다. 본가인 산조가와 구별하기 위해 "오기마치산조가"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저택이 오기마치 히가시노토우인에 접해있었기 때문이다. 킨우지는 이 오기마치산조 외에도, 보리사나 별저택이 있던 지명인 사가(嵯峨)나 니시무라(西郊)를 칭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정2위 곤다이나곤을 최고위관직으로 하고 있었으나, 5대 킨히데 때 그의 딸 히데코(요로쿠몬인)가 고곤 천황후궁으로 들어가, 스코고코곤 천황의 생모가 되면서, 내대신까지 오르게 되었다. 그의 아들 사네츠구, 손자 킨토요도 내대신에 올랐고, 이 때부터, 대신가의 가격이 정해졌다.

킨히데의 『킨히데 공기(公秀公記)』와 그의 아버지 사네미의 『사네미 향기(実躬卿記)』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에 걸친 일기이다.[1]

킨토요의 동생 킨토키는 산죠니시가를 일으켰다.[2] 킨토요의 증손자 사네마사는 여동생 타다코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정실로 들어간 인연으로, 그 총애를 받아 권세를 떨쳤다. 그의 아들인 킨미는 오닌의 난 즈음하여, 쇼군가의 명에 응하지 않고, 아시카가 요시미에게 가담했기 때문에 해직되었다. 이에 가독은 사네마사의 동생인 킨츠나로 옮겨졌고, 그의 유자 사네오키가 가독을 이었다. 사네오키가 분메이 13년 (1481년) 25세의 나이로 사망한 후, 아버지인 킨미가 곤다이나곤에 임명되어 적가(嫡家)로 복귀하지만, 곧 코후쿠지에서 씨족에서 방출처분을 받았다 (복성 후, 킨하루로 개명). 그의 손자인 킨에는 에이쇼 8년 (1511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다가 단바로 퇴거하면서, 이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쇼군의 노여움을 사고, 일가 단절의 고비에 섰다. 서류인 산죠니시 사네타카가 적가(嫡家)의 위급을 구하기 위해, 쇼군의 신뢰가 두터운 아노 스에츠나를 통해 사면을 요청했다 (『사네타카 공기(実隆公記)』).

2. 2. 쇼군가와의 관계와 가문의 분열 (무로마치 시대)

오기마치산조 가문은 쇼군 가문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다. 5대 당주 킨히데의 딸 히데코가 고곤 천황의 후궁이 되어 스코 천황고코곤 천황을 낳으면서, 내대신까지 오를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아들 사네츠구와 손자 킨토요 역시 내대신에 올라, 이때부터 대신가의 가문 등급이 정해졌다.[1]

킨토요의 동생 킨토키는 산죠니시가를 일으켰다.[2] 킨토요의 증손자인 사네마사는 여동생 타다코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정실이 된 인연으로 권세를 누렸다.[3] 그러나 그의 아들 킨미는 오닌의 난 즈음 쇼군의 명에 따르지 않고 아시카가 요시미에게 가담하여 해직되었다.

가독은 사네마사의 동생 킨츠나에게 넘어갔고, 그의 유자(양자) 사네오키가 가독을 이었다. 사네오키가 1481년 25세의 나이로 사망한 후, 아버지 킨미가 곤다이나곤으로 복귀했지만, 곧 코후쿠지에서 추방되었다. 그의 손자 킨에는 1511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다가 단바로 퇴거할 때 수행하지 않아 쇼군의 노여움을 사 가문이 단절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2. 3. 에도 시대

에도 시대에는 고노에가의 가신[1]으로, 가록은 200석이었다.[4] 나이나이 가문으로서, 절화・관주・서위・제목의 4가지 중요한 일과 유직고실을 가업으로 삼았다.[1]

섭가 이외의 공가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에도 시대를 통틀어 대신을 배출한 적은 없었다.[4] 에도 시대 중기의 킨츠무는 타케노우치 타카모치에게서 스이카 신토를 배웠으나, 호레키 사건에 연루되어 파면 및 영구 칩거 처분을 받았다.[5]

2. 4. 메이지 유신과 사가 가문으로의 개칭

좌대신 산조 사네후사의 셋째 아들 킨우지를 시조로 한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 한자 5글자의 긴 가명이 불편하다는 것을 느낀 28대 사네나루는 가명을 '''사가가 (嵯峨家)'''로 고쳤다.[1]

1870년 (메이지 3년) 12월, 사네나루는 가명을 사가(嵯峨)로 개칭했다. 그의 아들 킨토1884년 (메이지 17년)에 백작에 서임되었으나, 1888년 (메이지 21년), 아버지 사네나루의 공훈으로 후작으로 승작되었다. 30대 사네토의 장녀 히로는 만주국 황제이자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아이신기오로 푸이의 동생 푸제의 아내가 되었다.[7]

1869년 (메이지 2년) 6월 17일, 행정관 달로 공가와 다이묘 가문이 통합되어 화족 제도가 탄생하자, 오기마치산조 가문도 공가로서 화족에 포함되었다. 같은 해 9월 26일에는 왕정 복고에 대한 공헌으로 사네나루에게 상전록 1000석이 하사되었다.

1881년 (메이지 14년)에 사네나루는 은거하여 아들 기미카츠에게 가독을 물려주었지만, 그 후에도 거의 매일 궁내성에 출근하는 등 정력적으로 일했다. 1884년 (메이지 17년) 7월 7일, 화족령 시행으로 화족이 5작제가 되면서, 기미카츠는 대납언까지 선임된 예가 많은 구 당상가로서 백작에 서작되었다.

하지만 사네나루는 대신가가 평당상가와 같은 백작으로 된 것과, 훈공으로 가격보다 높은 작위를 받은 나카야마 타다요시의 나카야마 가와 히가시쿠제 미치토키의 히가시쿠제 가와 동등하게 취급되지 않는 것에 불만을 품고, 태정대신 산조 사네토미에게 아들 기미카츠에게 후작위를 줄 것을 청원했다. 결국 1888년 (메이지 21년) 1월 17일, 기미카츠는 아버지 사네나루의 유신 공로로 후작으로 승작되었다. 같은 날 사네나루의 일기에는 "오늘, 5년 이래의 숙망을 이루어 대행의 지극히 이르렀다. 이는 완전히 신불의 가호, 조상의 여광, 감격에 넘치는 것이니. 즉시, 신불, 조상 영신 등에 봉고, 두려워 아뢰옵니다"라고 기쁨의 모습이 엿보인다. 이 3일 후에는 사네나루에게 종1위가 수여되었다.

2. 5. 근현대: 만주국 황족과의 결혼과 그 이후

1870년 12월, 사네나루는 가명을 사가(嵯峨)로 고쳤다. 그의 아들 킨토1884년백작이 되었으나, 1888년에 아버지 사네나루의 공적으로 후작이 되었다.[6] 30대 사네토의 장녀 히로는 만주국 황제이자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아이신기오로 푸이의 동생 푸제와 결혼했다.[7]

3. 역대 당주


  • 산조 킨우지|오기마치산조 킨우지일본어 (1182년 - 1237년)
  • 산조 사네카게|오기마치산조 사네카게일본어 (1199년 - 1241년)
  • 산조 킨츠라|오기마치산조 킨츠라일본어 (1238년 - 1315년)
  • 산조 사네미|오기마치산조 사네미일본어 (1264년 - ?)
  • 산조 킨히데|오기마치산조 킨히데일본어 (1285년 - 1363년)
  • 산조 사네츠구|오기마치산조 사네츠구일본어 (1313년 - 1388년)
  • 산조 킨토요|오기마치산조 킨토요일본어 (1333년 - 1406년)
  • 산조 사네토요|오기마치산조 사네토요일본어 (? - 1404년)
  • 산조 킨마사|오기마치산조 킨마사일본어 (1384년 - 1427년)
  • 산조 사네마사|오기마치산조 사네마사일본어 (1409년 - 1467년)
  • 산조 킨하루|오기마치산조 킨하루일본어 (1440년 - 1495년)
  • 산조 사네모치|오기마치산조 사네모치일본어 (1463년 - 1530년)
  • 산조 킨에|오기마치산조 킨에일본어 (1494년 - 1578년)
  • 산조 사네토미|오기마치산조 사네토미일본어 (1536년 - 1568년)
  • 산조 키미나카|오기마치산조 키미나카일본어 (1557년 - 1594년)
  • 산조 사네요시|오기마치산조 사네요시일본어 (1588년 - 1633년)
  • 산조 킨타카|오기마치산조 킨타카일본어 (1619년 - 1648년)
  • 산조 사네아키|오기마치산조 사네아키일본어 (1625년 - 1668년)
  • 산조 킨카도|오기마치산조 킨카도일본어 (1649년 - 1671년)
  • 산조 사네히사|오기마치산조 사네히사일본어 (1656년 - 1695년)
  • 산조 킨오사|오기마치산조 킨오사일본어 (1668년 - 1719년)
  • 산조 사네히코|오기마치산조 사네히코일본어 (1703년 - 1725년)
  • 산조 킨츠무|오기마치산조 킨츠무일본어 (1721년 - 1777년)
  • 산조 사네토모|오기마치산조 사네토모일본어 (1748년 - 1785년)
  • 산조 킨노리|오기마치산조 킨노리일본어 (1774년 - 1800년)
  • 산조 사네요시|오기마치산조 사네요시일본어 (1798년 - 1820년)
  • 산조 킨타루|오기마치산조 킨타루일본어 (1820년 - 1822년)
  • 산조 사네나루|오기마치산조 사네나루일본어 (1820년 - 1909년)
  • 사가 긴토|사가 긴토일본어 (1863년 - 1941년)
  • 사가 사네토|사가 사네토일본어 (1887년 - 1966년)
  • 사가 킨모토|사가 킨모토일본어 (1922년 - 1998년)
  • 사가 사네미츠|사가 사네미츠일본어 (1963년 - )

4. 방계

오기마치산조 사네쓰구의 동생 준대신 오기마치산조 사네토시 계통이다.

123
오기마치산조 사네토시 (1319년 - 1386년)오기마치산조 긴아쓰 (? - 1409년)오기마치산조 긴요리 (? - 1444년 이후)



오기마치산조 사네미의 형 비참의 산조 사네나카 계통이다.

123
오기마치산조 사네나카 (1319년 - 1386년)오기마치산조 기나키라 (? - 1409년)오기마치산조 사네하루 (? - 1444년 이후)



삼조 사네카즈의 동생 준대신 삼조 사네카게 계통이다.

123
삼조 사네카게 (1319년 - 1386년)삼조 기미타카 (? - 1409년)삼조 기미요리 (? - 1444년 이후)



삼조 사네미야의 형 비참의삼조 사네시게 계통이다.

123
삼조 사네시게 (1257년 - 1322년 이후)삼조 기미아키 (1281년 - 1336년)삼조 사네치 (1292년 - 1353년)


5. 계보

오기마치산조가(사가가) 계보[1]
대수이름비고
1킨우지산죠 사네후사의 셋째 아들. 오기마치산조가의 시조.
2사네카네
3킨츠라
4사네미
5킨히데딸 히데코가 고곤 천황의 후궁이 되어 스코 천황, 고코곤 천황을 낳음.
6사네츠구
7킨토요
8사네토요
9킨마사
10사네마사여동생 타다코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정실이 됨.
11킨하루오닌의 난 당시 아시카가 요시미에게 가담하여 해직되었다가 후에 복귀.
12사네오키킨츠나의 유자.
13킨에아시카가 요시타다를 수행하지 않아 일가 단절의 위기를 겪음.
14사네토미
15키미나카
16사네요시
17킨타카
18사네아키
19킨카도
20사네히사
21킨오사
22사네히코[12]
23킨츠무호레키 사건에 연좌되어 파면 및 영구칩거 처분.
24사네토모
25킨노리
26사네요시
27킨타루
28사가 사네나루존왕양이파에게 적대시되어 실각했으나, 메이지 신정부 수립에 공헌. 1870년 가명을 사가(嵯峨)로 고침.
29킨토1884년 백작, 1888년 후작.
30사네토
31킨모토장녀 히로가 만주국 황제 푸이의 동생 푸계와 결혼.
32사네미츠


6. 막부 말기의 영지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의 『구고구령취조장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막부 말기 오기마치산조 가문의 영지는 3개 마을 200석이었다.[1]

야마시로국
오토쿠니군 닭관정촌(鶏冠井村) 중 - 105석
오토쿠니군 이와미카미사토촌(石見上里村) 중 - 45석
기이군 길상원촌(吉祥院村) 중 - 50석


참조

[1] 간행물 実躬卿記 2022-11-16
[2] 간행물 三条西公時 2022-11-16
[3] 간행물 正親町三条実雅 2022-11-16
[4] 논문 近世公家社会の「家」に関する一試論 : 養子縁組をめぐって https://cir.nii.ac.j[...] 関西大学史学・地理学会
[5] 간행물 正親町三条公積 2022-11-16
[6] 간행물 正親町三条実愛 2022-11-16
[7] 간행물 愛新覚羅 浩 2022-11-16
[8]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上
[9] 문서 園池実卿の子
[10] 문서 滋野井公澄の二男
[11] 문서 소노이케 사네쿄의 아들
[12] 문서 시게노이 킨즈미의 차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